KR102290622B1 -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 Google Patents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622B1
KR102290622B1 KR1020200035539A KR20200035539A KR102290622B1 KR 102290622 B1 KR102290622 B1 KR 102290622B1 KR 1020200035539 A KR1020200035539 A KR 1020200035539A KR 20200035539 A KR20200035539 A KR 20200035539A KR 102290622 B1 KR102290622 B1 KR 102290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eated filter
sealing part
filter media
fabric
se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장성
Original Assignee
(주)에어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릭스 filed Critical (주)에어릭스
Priority to KR102020003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81Venturi's or systems showing a venturi effe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는 리테이너의 상,하부캡의 둘레를 주름여재에 일체로 봉제(縫製)한 다중(多重) 봉제부에 의해 밀폐력을 강화시키어, 주름형 필터 측으로 흡입되는 배출가스, 미세분진 등이 리테이너의 상하부 캡과 주름여재의 결합부 사이로 누출되는 일이 없도록 밀폐하여, 주름형 필터의 집진 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Pleated Filter for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각종 제조공장 혹은 가공 공장 혹은 화력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유해한 배출가스, 미세분진 등을 집진하는데 사용하는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되는 가스 및 미세분진 등이 주름여재 상부의 벤츄리관 혹은 하부 마감캡의 결합부위로 누출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자, 상기 주름여재 상부의 상기 벤츄리관 및 하부 마감캡의 대응부위를 다중(多重) 밀폐부로 구성한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장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나 미세분진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집진기에 사용되는 주름용 필터들이 하기 특허문헌들에 공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본 발명은 외주면이 타공된 관형의 몸체가 있고, 상기 몸체 상부에는 나팔관 형태의 벤츄리가 몸체 내부까지 삽입된 상태로 장착된 입구부가 일체로 구비된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형태에 맞게 제작되어 그 외부 면에 밀착되게 씌워지되, 그 상부는 연장된 길이를 갖고 케이지의 입구부 내부로 접혀 결합되는 헤드부가 구비되고, 케이지의 몸체와 접촉되는 부위는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된 반면, 그 하부는 비주름부로 형성되어 몸체의 하단면을 폐쇄시키며 봉제된 여재;로 구성된 여재의 교체가 가능한 절곡형 필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절곡형 필터는 케이지와 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캡이 필요 없이 재봉된 여재를 케이지에 용이하게 장착시키고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여재의 교체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필터부의 재활용 및 분리수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케이지 상단에 내부로 절곡된 경사부를 형성하여 주입되는 함진공기의 압력을 자체적으로 높여 세정 및 여과효율을 높이고, 하단에는 분진이 침적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필터의 수명향상 및 교체시기를 늘릴 수 있다.'는 것이고,
특허문헌2는 '본 발명은 집진기용 필터백에 있어서, 필터포를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한쪽은 막히고 다른 쪽은 필터케이지에 끼움 결합하는 부위인 스냅링 등의 결합재를 가지는 집진기용 필터백에서, 필터백을 일정 간격으로 접어 골부와 산부를 가지도록 한 필터체와; 필터체의 외주연을 따라 산부 마다 봉재 결합하여 산부와 골부를 유지토록 하는 보강밴드를 포함하여 구성한 집진기 용 필터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필터체를 산부와 골부가 반복되는 형태를 이루어 분진 제거를 위한 펄스에어의 공급시 골부가 산부와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팽창되었다가 산부와 골부를 이루므로 필터체의 골부의 이동량이 많아 분진의 털림 효과를 증진시키고, 털림 현상시 발생하는 산부와 골부의 형태는 일정 길이 간격마다 설치한 링형 밴드 형상의 보강밴드를 사용하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형태의 변형 없이 사용 가능하여 경제적이고, 필터체가 산부와 골부를 이루므로 여과면적이 증대하여 전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집진기의 제조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소형의 집진기로도 대형의 집진기의 집진 효과를 제공 가능하여 설치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 3은 '집진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의 주름형 여과포의 주름 간격을 유지시켜 필터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필터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 이다. 즉, 집진기 필터의 여과포에 결합 구성되는 간격유지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는 여과포의 바깥쪽 둘레에 접하게 구성된 환형의 띠와, 상기 환형의 띠 내측으로 여과포 주름의 외측 골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된 수개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간격유지구가 결합 구성된 여과포의 안쪽 둘레에 접하게 구성된 환형의 띠와, 상기 환형의 띠 외측으로 여과포 주름의 내측 골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된 수개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내측 간격유지구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간격유지구를 여과포의 바깥쪽 둘레에 또는 간격유지구 및 내측간격유지구를 여과포의 바깥쪽 둘레와 동시에 안쪽 둘레에 여과포 주름의 골 사이 사이와 대응되는 결합돌기를 사용하여 결합 구성하여 필터에 의한 탈진시나 필터의 역세척 시에 여과포의 주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여과포의 수축 및 팽창을 최대한 억제시키므로 필터의 내구성을 증대시켜서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필터의 집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주름 여과포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리테이너의 벤츄리관과 하부 마감캡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봉제부에서의 밀폐력 약화로, 벤츄리관을 통해 주름 여과포 측으로 흡입되는 배출가스 혹은 미세분진 등이 벤츄리관 및 하부 마감캡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봉제부의 사이로 그대로 누출되어 주름 여과포에 의한 집진력을 약화시키는 커다란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따라서 필터의 내부로 흡입되는 가스 혹은 미세분진이 주름 여과포의 벤츄리관 및 하부 마감캡과의 결합부위로 누출됨을 없게 하는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특허등록번호 제10-1423665호 KR 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083550호 KR 실용 공개번호 제20-2010-000748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주름여재의 벤츄리관과 하부 마감캡의 결합부위를 다중 밀폐부로 구성하여, 필터의 내부로 흡입되는 배출가스 및 미세분진 등이 주름여재의 벤츄리관과 하부 마감캡의 결합부위로 누출됨이 없는 우수한 밀폐력을 갖게 한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는, 상부의 벤츄리관과 하부 마감캡을 구비한 골조형 혹은 타공형 리테이너의 외주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 주름여재 ; 상기 주름여재의 상측으로부터 원통형상을 이루며 봉제되어 상기 벤츄리관의 전 외주부에 다중으로 결합하여 상기 벤츄리관 측으로 흡입되는 배기가스, 미세 분진 등의 이물질이 상기 벤츄리관과의 결합부위로 누출됨이 없도록 밀폐하고, 상단에는 상기 벤츄리관의 상단 외측주면에 탄성적으로 결합 고정되는 지지링이 설치된 상부 다중 밀폐부 ; 및 상기 주름여재의 하측에 원통형상을 이루며 봉제되어 상기 하부 마감캡의 외부 전 둘레와 하단부를 다중으로 밀폐하여 상기 벤츄리관 측으로 흡입되는 배기가스, 미세 분진 등의 이물질이 상기 하부 마감캡과의 결합부위로 누출됨이 없도록 밀폐하는 하부 다중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다중 밀폐부는, 2중으로 겹쳐지게 한 원단을 상기 주름여재의 상단 외부 전 둘레부분을 원통형을 이루며 감싸게 위치하여 상기 주름여재와 일체로 봉제되고 상단 주연(周緣)부에는 상기 지지링이 내장된 상부 제1밀폐부와 한겹의 원단을 상기 상부 제1밀폐부와 상기 주름여재의 사이에서 상기 주름여재를 밀착되게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상부 제1밀폐부 및 상기 주름여재와 일체로 봉제한 상부 제2밀폐부와 한겹의 원단으로 상기 주름여재의 상부 내측 주면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주름여재에 일체로 봉제됨에 의해 상기 벤츄리관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는 상태로 위치하게 한 상부 제3밀폐부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 다중 밀폐부는, 2중으로 겹쳐지게 한 원단을 상기 하부 마감캡의 둘레와 상기 주름여재의 하측 외부의 전둘레 부분을 원통형을 이루며 감싸게 위치하여 상기 주름여재와 일체로 봉제한 하부 제1밀폐부와 한겹의 원단을 상기 하부 제1밀폐부와 상기 주름여재 사이에서 상기 주름여재를 밀착되게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하부 제1밀폐부 및 상기 주름여재와 일체로 봉제한 하부 제2밀폐부와 2중으로 겹쳐지게 한 원단을 상기 하부 마감캡의 저부 및 상기 하부 제1밀폐부의 하측 개방부를 폐쇄하게 위치하여 상기 하부 제1밀폐부와 일체로 봉제한 하부 제3밀폐부와 한겹의 원단을 상기 주름여재의 하측 내주면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주름여재에 봉제함에 의해 상기 하부 마감캡의 외주면에 밀착 상태로 위치하게 한 하부제4밀폐부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탄성 지지링은 원단으로 감싸지게 설치된 와이어링, 고무링, 및 탄성력을 갖는 원단을 적어도 2번이상 다중으로 겹쳐지게 접어 링형태로 구성한 것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은 천연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테프론,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메타아마이드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을 혼합하여 만든 부직포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름여재의 주름을 찌그러짐 없게 압박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밴드의 상기 주름여재의 산부분과의 접촉부위 마다 초음파 용착부에 의하여 주름여재에 일체로 용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름여재에 구비한 다중 밀폐부에 의하여, 주름여재의 벤츄리관과 하부 마감캡과의 결합부위에서 배기가스 및 미세분진 등의 누출요인이 없도록 밀폐력을 강화하여 우수한 집진력을 갖게 한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의 일부를 절단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리테이너를 보이게 표시한 도면이며,
도 3a는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3b는 도 2의 'B' 부분 확대도이며,
도 4a,4b는 도 2의 'C' 부분에 대한 부분 분리도 및 결합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의 일부를 절단하여 내부를 보이게 표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D'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의 주름형 필터 부분이 리테이너의 벤츄리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 할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만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도 1 및 도 2 참조)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100)는, 상부의 벤츄리관(110)과 하부 마감캡(120)을 구비한 리테이너(130)에 리테이너(130)의 외부 전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 원통형상의 주름 여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주름여재(140)의 상측에는, 상기 주름여재(140)의 상측으로부터 원통형상을 이루며 봉제되어 상기 벤츄리관(110)의 전 외주면부를 다중으로 밀폐하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벤츄리관(110)의 흡입구(112)를 통해 흡입되는 배기가스, 미세 분진 등의 이물질이 상기 주름여재(140)와 벤츄리관(110)의 결합부 측으로 누출됨이 없도록 하면서 상단에는 상기 벤츄리관(110)의 상단 테두리부(114)의 저부로 탄성적으로 결합 고정되는 탄성 지지링(152)이 설치된 상부 다중 밀폐부(1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름여재(140)의 하측에는, 상기 주름여재(140)의 하측으로부터 원통형상을 이루며 봉제되어 상기 하부 마감캡(120)의 외부 전 둘레와 저부측을 다중으로 밀폐하는 상태로 결합하여 상기 벤츄리관(110)의 흡입구(112)를 통해 흡입되는 배기가스, 미세 분진 등의 이물질이 상기 주름여재(140)와 하부 마감캡(120)과의 결합부위로 누출됨이 없도록 하는 하부 다중 밀폐부(160)를 포함하고 있다.
도면(도 1, 도 2 및 도 3a 참조)의 표시와 같이, 상기 상부 다중 밀폐부(140)는, 2중으로 겹을 이루게 한 원단을 상기 주름여재(140)의 상단 외부 전 둘레부분을 원통형을 이루며 감싸게 위치하여 상기 주름여재(140)와 봉제선(151-1)에 의하여 일체로 봉제되고 상단 주연(周緣)부에는 상기 탄성 지지링(152)이 내장된 상부 제1밀폐부(153)와, 한겹의 원단을 상기 상부 제1밀폐부(153)와 상기 주름 여재(140)의 사이에서 상기 주름여재(140)를 밀착되게 감싸는 형태로 위치되게 하여 상기 상부 제1밀폐부(153) 및 상기 주름여재(140)와 상기 봉제선(151-1)에 의하여 일체로 봉제한 상부 제2밀폐부(154)와, 그리고 한겹의 원단으로 상기 주름여재(120)의 상부 내측 주면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주름여재(120)에 봉제선(151-2)에 의해 일체로 봉제된 상부 제3밀폐부(155)로 구성 된다. 상기 상부 제3밀폐부(155)는 상기 벤츄리관(110)의 하측의 외주면부에 밀착는 상태로 지지하여 밀폐력을 더 부여한다.
또한, 도면(도 1, 도 2 및 도 3b 참조)표시와 같이, 상기 하부 다중 밀폐부(160)는, 2중으로 겹쳐지게한 원단을 상기 하부 마감캡(120)의 둘레와 상기 주름 여재(140)의 하측 외부의 전둘레 부분을 원통형을 이루며 감싸게 위치하여 상기 주름여재(140)와 봉제선(161-1)에 의해 일체로 봉제한 하부 제1밀폐부(163)와, 상기 하부 제1밀폐부(163)와 상기 주름여재(140)사이에 위치되는 한겹의 원단을 상기 주름여재(140)의 하측 외주부를 밀착되게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하부 제1밀폐부(163) 및 상기 주름여재(140)와 봉제선(161-2)에 의해 일체로 봉제한 하부 제2밀폐부(164)와, 2중으로 겹쳐지게 한 원단을 상기 하부 마감캡(120)의 저부 및 상기 하부 제1밀폐부(163)의 하측 개방부를 폐쇄하게 위치하여 상기 하부 제1밀폐부(163)와 상기 봉제선(161-1)과 같은 봉제선에 의하여 일체로 봉제한 하부 제3밀폐부(165)와, 그리고 한겹의 원단을 상기 주름여재(140)의 하측 내주면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주름 여재(140)에 봉제선(161-3)으로 봉제한 하부 제4밀폐부(166)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제4밀폐부(166)역시 상기 하부 마감캡(120)의 외주면부에 밀착는 상태로 지지하여 밀폐력을 더 부여한다.
도면(도 2 및 도 3a 참조)표시와 같이, 상기 상부 제1밀폐부(153)에 내장된 상기 탄성 지지링(152)은 와이어링 혹은 고무링으로 구성하여 탄성력을 갖게 한 것에 의해, 상기 벤츄리관(110)의 외주면으로 탄성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상부 제1밀폐부(153)또한 상기 벤츄리관(110)의 외주면으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면 밀폐력을 유지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주름여재(140)와 상기 상,하부 다중 밀폐부(140,160)를 구성하는 원단은 천연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테프론 (PTF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메타아마이드(m-Aramid)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중 둘 이상을 혼합하여 부직포로 만든 것이다. 이외에 부직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주름여재(140)를 왜곡됨이 없도록 원통형 상태를 유지하게 작용하는 상기 리테이너(130)는 골조형 리테이너 혹은 타공형 리테이너로 구성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름여재(140)의 탈진시 압축 공기의 흐름에 저항력을 주지 않는 골조형으로 구성하여 상기 주름여재(140)의 탈진 효율을 약화 시키는 일이 없게 하였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주름여재(140)에는, 상기 주름여재(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주름여재의 주름의 찌그러짐 없이 원래의 주름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고정력을 발휘하는 다수개의 고정밴드(170)를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의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밴드(170)를 상기 주름여재(140)의 산부분 하나하나와 고주파 용착부(172)를 형성하도록 초음파 용착하였다. 상기 고정밴드(170)와 상기 주름여재(140)의 산부분 하나 하나씩과의 초음파 용착은, 집진기에 설치하여 작동시 진동 등의 격심한 외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도 상기 고정밴드(170)의 초음파 용착부(172)가 상기 주름여재(140)의 이탈이나 유동 없이 상기 주름여재(140)의 주름을 견실하게 고정하는 압박력을 발휘하여, 주름여재(140)의 주름부의 찌그러짐(歪曲)이나 어느 한쪽으로 쏠리게 되는 등의 변형이 없는 일정한 접촉 면적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주름여재(140)로 하여금 고효율의 집진력을 발휘하게 하는 이익을 부여한다.
상기 고정밴드의 재질 또한 상기 주름여재(140) 및 상기 상,하부 다중 밀폐부(140,160)를 구성하는 원단과 동일 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고정밴드와 상기 주름여재(140) 상호간의 초음파 용착에 의한 안정적인 화학적 결합으로 보다 견실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170)는 상기 주름여재(140)의 길이 및 직경 변화에 따라 임의 갯수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미 설명 부호인 도면 부호 10은 집진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도면 표시와 같이, 본 실시예의 주름형 필터(100a)는 상부 다중 밀폐부(140)의 탄성력을 갖게 한 탄성 지지링(152a)을, 상기 일 실시예의 와이어링 혹은 고무링으로 구성하는 것과는 달리, 탄성력을 갖는 원단을 적어도 2번이상 다중으로 겹쳐지게 접어 링형태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주름형 필터(100a)의 탄성 지지링(152a)은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은 벤츄리관(110)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고정 기능과 아울러 집진기(10)에 장착시 원단을 다중으로 겹쳐지게 하여 만든 탄성지지링(152a)으로 하여금 집진기(10)장착부와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안정적으로 위치되는 쿳션 기능을 한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100)( 혹은 100a)는, 종래(특허문헌 포함)의 주름형 필터에서 가장 취약 부분인 벤츄리관(110) 과 하부 마감캡(120)의 결합부에서 상기 벤츄리관(110)의 흡입구(112)측으로 흡입되는 배기가스, 미세 분진 등의 이물질이 누출됨으로 인한 주름여재(140)의 집진력이 약화되는 것을,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100)에서 주름여재(140)의 벤츄리관(110)과의 결합부는 상부 다중 밀폐부(140)의 상부 제1밀폐부(153), 상부 제2밀폐부(154), 및 상부 제3밀폐부(155)에 의해 다중으로 밀폐하여 개스 및 분진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차단 하였고, 또한 상기 주름여재(140)의 하부 마감캡(120)과의 결합부는 하부 제1밀폐부(163), 하부 제2밀폐부(164), 하부 제3밀폐부(166), 및 하부 제4밀폐부(165)에 의해 다중으로 차단하여 개스 및 분진등의 누출을 차단 하게 한 작용으로, 필터 측으로 흡입되는 배출가스 혹은 미세분진 등이 주름 여재의 리테이너의 벤츄리관 및 하부 마감캡과의 결합부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없이 주름여재(140)만을 통과하면서 집진될 수 있게 하는 집진 효율을 향상시킨 이익을 부여한다.
한편, 본 발명은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100)와 리테이너의 일체형 구조는, 종래 특허문헌1의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와 리테이너를 분리형으로 인한 필터를 집진기에 먼저 장착한 후 리테이너를 필터에 결합하는 것과는 달리,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에 리테이너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 그대로를 집진기에 장착하는 것이므로, 그만 큼 장착 작업 시간과 작업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경제적인 이익도 부여한다.
본 발명은 집진기에 적용시 주름 여재를 통한 집진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유용성을 제공한다.
10 : 집진기
100 :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110 : 벤츄리관
120 : 하부 마감캡
130 : 리테이너
140 : 주름여재
150 : 상부 다중 밀폐부
151-1, 151-2 : 봉제선
152, 152a : 탄성 지지링
153 ~ 155 : 상부 제 1 내지 제 3 밀폐부
160 : 하부 다중 밀폐부
163 ~ 166 : 하부 제 1 내지 제 4 밀폐부
161-1, 161-2, 161-3 : 봉제선
170 : 고정밴드
172 : 초음파 용착부

Claims (6)

  1. 상부의 벤츄리관과 하부 마감캡을 구비한 골조형 혹은 타공형 리테이너의 외주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 주름여재 ;
    상기 주름여재의 상측으로부터 원통형상을 이루며 봉제되어 상기 벤츄리관의 전 외주부에 다중으로 결합하여 상기 벤츄리관 측으로 흡입되는 배기가스, 미세 분진 등의 이물질이 상기 벤츄리관과의 결합부위로 누출됨이 없도록 밀폐하고, 상단에는 상기 벤츄리관의 상단 외측주면에 탄성적으로 결합 고정되는 지지링이 설치된 상부 다중 밀폐부 ; 및
    상기 주름여재의 하측에 원통형상을 이루며 봉제되어 상기 하부 마감캡의 외부 전 둘레와 하단부를 다중으로 밀폐하여 상기 벤츄리관 측으로 흡입되는 배기가스, 미세 분진 등의 이물질이 상기 하부 마감캡과의 결합부위로 누출됨이 없도록 밀폐하는 하부 다중 밀폐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다중 밀폐부는, 2중으로 겹쳐지게 한 원단을 상기 주름여재의 상단 외부 전 둘레부분을 원통형을 이루며 감싸게 위치하여 상기 주름여재와 일체로 봉제되고 상단 주연(周緣)부에는 상기 지지링이 내장된 상부 제1밀폐부와 한겹의 원단을 상기 상부 제1밀폐부와 상기 주름여재의 사이에서 상기 주름여재를 밀착되게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상부 제1밀폐부 및 상기 주름여재와 일체로 봉제한 상부 제2밀폐부와 한겹의 원단으로 상기 주름여재의 상부 내측 주면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주름여재에 일체로 봉제됨에 의해 상기 벤츄리관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는 상태로 위치하게 한 상부 제3밀폐부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 다중 밀폐부는 2중으로 겹쳐지게 한 원단을 상기 하부 마감캡의 둘레와 상기 주름여재의 하측 외부의 전둘레 부분을 원통형을 이루며 감싸게 위치하여 상기 주름여재와 일체로 봉제한 하부 제1밀폐부와 한겹의 원단을 상기 하부 제1밀폐부와 상기 주름여재 사이에서 상기 주름여재를 밀착되게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여 상기 하부 제1밀폐부 및 상기 주름여재와 일체로 봉제한 하부 제2밀폐부와 2중으로 겹쳐지게 한 원단을 상기 하부 마감캡의 저부 및 상기 하부 제1밀폐부의 하측 개방부를 폐쇄하게 위치하여 상기 하부 제1밀폐부와 일체로 봉제한 하부 제3밀폐부와 한겹의 원단을 상기 주름여재의 하측 내주면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주름여재에 봉제함에 의해 상기 하부 마감캡의 외주면에 밀착 상태로 위치하게 한 하부 제4밀폐부로 구성 한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은 원단으로 감싸지게 설치된 와이어링, 고무링, 및 탄성력을 갖는 원단을 적어도 2번이상 다중으로 겹쳐지게 접어 링형태로 구성한 것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천연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테프론,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메타아마이드 중 어느 하나 혹은 둘이상을 혼합하여 만든 부직포임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여재의 주름을 찌그러짐 없게 압박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밴드의 상기 주름 여재의 산부분과의 접촉부위 마다 초음파 용착한 초음파 용착부에 의하여 상기 주름여재에 일체로 용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KR1020200035539A 2020-03-24 2020-03-24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KR102290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39A KR102290622B1 (ko) 2020-03-24 2020-03-24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39A KR102290622B1 (ko) 2020-03-24 2020-03-24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622B1 true KR102290622B1 (ko) 2021-08-18

Family

ID=7746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539A KR102290622B1 (ko) 2020-03-24 2020-03-24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6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550A (ko) 2003-03-22 2004-10-06 (주)비엔에프 집진기용 필터백
KR20100007485U (ko) 2009-01-14 2010-07-22 (주)신화이엔피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
KR20110011672U (ko) * 2010-06-11 2011-12-19 에이에프티주식회사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KR101423665B1 (ko) 2012-09-12 2014-07-31 (주)영우그린텍 여과재의 교체가 가능한 주름형 필터
KR20170000498A (ko) * 2015-06-24 2017-01-03 (주)에어릭스 벤츄리관을 구비한 필터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550A (ko) 2003-03-22 2004-10-06 (주)비엔에프 집진기용 필터백
KR20100007485U (ko) 2009-01-14 2010-07-22 (주)신화이엔피 집진기 필터용 여과포의 간격유지구
KR20110011672U (ko) * 2010-06-11 2011-12-19 에이에프티주식회사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KR101423665B1 (ko) 2012-09-12 2014-07-31 (주)영우그린텍 여과재의 교체가 가능한 주름형 필터
KR20170000498A (ko) * 2015-06-24 2017-01-03 (주)에어릭스 벤츄리관을 구비한 필터카트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3588B2 (en) High efficiency, low restriction, cost effective filter
US7828870B1 (en) Filter assembly with cost effective seal
JP6429381B2 (ja) エア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エアフィルタ
CN108348830B (zh) 过滤器元件和过滤器装置
JP2018507095A (ja) エア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および空気清浄装置アセンブリ
JP2008518757A (ja) 安全フィルタエレメント
US7438736B1 (en) Filter bag structure
US7678170B2 (en) Filter system
KR102290622B1 (ko) 집진기용 주름형 필터
GB2280388A (en) Vacuum cleaner filter
EP3517197B1 (en) Filter for a vacuum cleaner having pleated and nonpleated filter areas
KR20130094435A (ko) 교체가 용이한 집진기용 필터백
KR100568974B1 (ko) 집진기용 필터백
CN110072605A (zh) 四面体过滤器介质
US7611559B2 (en) Filter element
KR102041713B1 (ko) 집진장치용 필터 백 및 그 제조방법
KR200488097Y1 (ko) 산업 연소 가스용 집진 필터백
JP3127986B2 (ja) エアークリーナ用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2004003418A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フィルタ
USRE32851E (en) Fluid filter
JPH0824546A (ja) フィルタ及び流体濾過器
US4615803A (en) Fluid filter
KR20170071035A (ko) 집진기용 이중 필터백
KR102625004B1 (ko)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KR102625003B1 (ko) 백필터 집진기의 여과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