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978B1 -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 Google Patents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978B1
KR101805978B1 KR1020150078628A KR20150078628A KR101805978B1 KR 101805978 B1 KR101805978 B1 KR 101805978B1 KR 1020150078628 A KR1020150078628 A KR 1020150078628A KR 20150078628 A KR20150078628 A KR 20150078628A KR 101805978 B1 KR101805978 B1 KR 101805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roove
filter
connection
wrinkl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639A (ko
Inventor
이충중
Original Assignee
이충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중 filed Critical 이충중
Priority to KR1020150078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978B1/ko
Priority to PCT/KR2015/007136 priority patent/WO2016195155A1/ko
Publication of KR20160142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은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에 결합되는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탄성에 의해 여과재의 팽창과 수축, 여과재의 진동, 투과되는 압축공기의 힘으로 탈진하므로 낮은 탈진 압력에도 습한 분진, 점성이 강한 분진, 덩어리 분진도 용이하게 분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Pleated Filter Bag for Dust Collector with Filter Bag Spring Band}
본 발명은 필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에 결합되는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탄성에 의해 여과재의 팽창과 수축, 여과재의 진동, 투과되는 압축공기의 힘으로 탈진하므로 낮은 탈진 압력에도 습한 분진, 점성이 강한 분진도 용이하게 분리하는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에 관한 것이다.
집진장치는 일종의 공기 정화 장치로서, 분진 등을 포함하는 가스를 필터링한 후, 실내로 다시 유입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집진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흡기실, 배기실, 흡기구, 배기부, 필터, 압축공기 공급관, 분사 노즐 등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내의 흡기실과 배기실은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다.
흡기구를 통하여 흡기실로 유입된 가스는 필터에 의해 분진 등이 걸려진 후 배기실로 이동된다. 배기실로 이동된 가스는 배기부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된다.
집진장치에는 복수개의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집진 필터는 가온 가스에 견딜 수 있게 내열성을 갖출 필요가 있고, 필터링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능한 한 표면적을 넓게 형성시키고 있다. 넓은 표면적을 갖는 필터로 카트리지 필터가 있다.
종래의 카트리지 필터는 다수의 골이 형성되도록 접철되어 주름지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카트리지 필터백과, 카트리지 필터백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캡과 하부캡 및 카트리지 필터백의 내측에 망 구조의 지지틀이 설치된다.
상부캡, 하부캡 및 지지틀은 통상적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제조된다.
도 1은 종래의 카트리지 필터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트리지 필터백(10)은 카트리지 필터(11), 직물밴드(12), 상부프레임(13) 및 하부프레임(14)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필터(11)에는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복수개의 절곡산들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직물밴드(12)가 카트리지 필터백(11)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있다. 직물밴드(12)는 카트리지 필터(11)의 외형을 유지하고, 아울러 고압의 압축 가스가 카트리지 필터(11)에 가해질 때 카트리지 필터(11)의 변형을 억제한다.
상단캡(13)과 하단캡(14)은 카트리지 필터(1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카트리지 필터(110)를 지지 고정한다.
상단캡(13)과 하단캡(14)의 내부에는 접착제(미도시)가 도포되고, 카트리지 필터(11)의 양단부는 상단캡(13)과 하단캡(14)의 각 내부로 삽입되면, 접착제에 의해 카트리지 필터(11)과 상단캡(13)과 하단캡(14)이 접착된다.
집진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분진은 카트리지 필터(11)을 통과하여 필터(11)의 표면에 쌓이면서 분진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분진층이 두꺼워지면 카트리지 필터(11)의 통기성이 떨어지고, 집진장치의 차압이 상승한다.
이때 집진장치에 달려 있는 에어 헤더의 다이아그램 밸브가 0.1초간 순간적으로 열려 다량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펄스 제트 클리닝(Pulse Jet Cleaning)을 수행한다.
펄스 제트 클리닝의 수행시 압축공기는 충격기류를 발생하여 카트리지 필터(11)의 절곡 부분에 힘을 전달하여 진동에 의해 탈진이 되고 확장된 카트리지 필터(11)의 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과 동시에 기공에 막힌 미세 분진을 필터(11)의 외부로 밀어낸다.
미세 분진은 카트리지 필터(11)의 여과재 내부에 침투하여 막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미세 분진으로 카트리지 필터(11)의 막힘 현상이 발생된 후, 펄스 제트 클리닝이 수행되면 충격기류가 고정식 직물밴드(12)와 절곡산에 집중되어 직물밴드(12)의 파손과 카트리지 필터(11)의 손상으로 이어져 집진장치의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
종래의 고정식 직물밴드(12)는 탈진 시 카트리지 필터(11)의 진동과 투과되는 압축공기만으로 탈진을 수행하므로 탈진 압력이 약하여 습한 분진, 점성이 높은 분진에 탈진 효율을 떨어뜨린다.
종래의 카트리지 필터(11)는 굵고 덩어리진 분진이 탈진되지 못하며, 미세한 분진만 분리가 되어 재비산으로 인한 차압 상승의 원인이 된다.
종래의 카트리지 필터(11)는 고압의 압축공기가 카트리지 필터(11)에 가해질 때 직물밴드(12)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공기의 힘에 의해 카트리지 필터(11)을 파손시키거나 직물밴드(12)를 파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에 결합되는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탄성에 의해 여과재의 팽창과 수축, 여과재의 진동, 투과되는 압축공기의 힘으로 탈진하므로 낮은 탈진 압력에도 습한 분진, 점성이 강한 분진도 용이하게 분리하는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은,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갖는 일정한 길이의 주름필터;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의 일정 지점의 산부와 골부에 대응 결합되는 일정 두께와 길이의 연결지그; 및
연결지그의 일측면과 연결지그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연결지그의 일측면에 코일스프링의 일측 끝단인 제1 최외각 선재가 결합되고, 연결지그를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의 일정 지점의 산부와 골부에 결합한 후, 제1 최외각 선재로부터 연장된 코일스프링의 선재가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와 골부에 끼워지면서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며, 연결지그의 타측면에 연결스프링의 제2 최외각 선재가 결합된다.
삭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은,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갖는 일정한 길이의 주름필터;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와 골부에 끼워지면서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는 코일 스프링; 및
코일스프링의 일측 끝단인 제1 최외각 선재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와, 코일스프링의 타측 끝단인 제2 최외각 선재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가 탈부착하기 위한 연결구가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각각 형성되고, 코일스프링을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와 골부에 끼워지면서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를 감싼 후, 제1 연결부재의 연결구와 제2 연결부재의 연결구를 결합하면서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와 골부에 끼워진다.
삭제
삭제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에 의해서 탈진 주기가 길어지고 탈진 압력이 낮게 조절할 수 있어 필터백의 수명 연장 및 집진기의 운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탄성에 의해 여과재의 팽창과 수축, 여과재의 진동, 투과되는 압축공기의 힘으로 탈진하므로 낮은 탈진 압력에도 습한 분진, 점성이 강한 분진, 덩어리 분진도 용이하게 분리하고 탈진 성능의 향상과 집진기의 운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트리지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집진기용 주름필터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100)은 다수의 골이 형성되도록 접철되어 주름지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주름필터(110)와, 주름필터(1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단캡(112)과 하단캡(114) 및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를 포함한다.
주름필터(110)는 판상의 필터체를 길이 방향으로 산부와 골부를 이루는 구조로 주름 형태로 접어서 형성된다.
주름필터(110)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나일론, 데프론, 폴리이미드 등 어떠한 재질도 가능하며, 카트리지 필터, 일반용 필터, 일반용이나 고온용 등 판상의 필터체를 산부와 골부를 이루는 구조로 주름 형태로 만들 수 있는 필터이면 어떠한 종류도 가능하다.
주름필터(110)는 고온(180 내지 260℃) 또는 상온(120℃ 이하)에서 니들 펀칭(Neddle Punching) 방식으로 제조된 부직포 또는 특수한 제법으로 제조된 유리섬유 부직포를 사용한다.
부직포는 단섬유 또는 장섬유를 이용하여 습식공법(wet-laid), 스폰본드(spandbond), 스판레이스(spanlace), 또는 카렌다본드(calender bond), 니들펀칭(needle punching) 등의 제조공법으로 섬유를 서로 엉키게 만든 형태로 특히 상온용으로는 폴리에스테르(PET), 아크릴(acrylic), 폴리프로필렌(PP), 고온용으로는 유리섬유(glass fiber), PA(Poly Amide), PI(Poly Imide), PAI(Poly Amide Imide), PPS(Poly Phenylene Sulfide), PSA(Poly Sulfon Amid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단캡(112)과 하단캡(114)은 주름필터(110)의 양단부와 결합되어 주름필터(110)를 지지 고정한다.
상단캡(112)에는 중앙에 가스가 이동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단캡(112)은 원통 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단캡(114)은 일측이 밀폐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의 전체 공간에 접착제(미도시)가 도포된다.
하단캡(114)은 내측으로 일정 두께의 실리콘 고정부재를 삽입한다.
실리콘 고정부재(115)는 주름필터(110)의 하부면이 접촉하는 부분으로 주름필터(110)의 하부 끝단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방사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홈(116)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각각의 홈(116)에 주름필터(110)의 하부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단캡(112)과 하단캡(114)은 내열성 소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0.1~0.5 mm 두께의 스틸강판(SUS 또는 아연 도금 강판)은 고온 집진에 적합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주름필터(110)를 상단캡(112)과 하단캡(114)에 고정할 때 쓰는 접착제(미도시)는 내열성과 강도가 우수한 에폭시 몰타르, 즉 에폭시 수지와 돌가루를 반죽 형태로 섞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에 페놀, 폴리이미드 등의 내열성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상단캡(112)과 하단캡(114)에 결합된 주름필터백(100)을 150~200℃의 고온 챔버에서 30~60분 동안 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접착제의 접착 성능과 내구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는 종래의 고정식 직물밴드(12)가 아니라 환형으로 만들 수 있는 일정 탄성을 갖는 코일스프링(210)과, 코일스프링(210)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에 결합되는 연결지그(300)를 포함한다.
코일스프링(210)은 동일한 선경을 가지는 선재(212)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나선형으로 감아 형성한다.
연결지그(300)는 일정 두께의 금속, 합성수지 재질, 플라스틱 중 하나의 재질로 제조된 몸체(302)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지그(300)는 주름필터(110)의 부직포접합부(111)의 산부(111a)와 골부(111b, 111c)에 삽입되고, 연결지그(300)의 일측에 코일스프링(210)의 일측 끝단인 제1 최외각 선재(213)를 결합하며, 연결지그(300)의 타측에 코일스프링(210)의 타측 끝단인 제2 최외각 선재(214)를 결합하여 코일스프링(210)을 환형이 되도록 한다.
주름필터(110)는 다수의 골이 형성되도록 부직포가 절곡되어 주름지게 형성되고 부직포의 양단부를 원통 형상으로 만든다.
부직포접합부(111)는 부직포의 양단부를 원통 형상으로 접합할 때 부직포 양단부의 접합 부위를 나타내고 필터 기능을 못하는 길이 방향의 필터백이다.
코일스프링(210)은 주름필터(110)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110a)와 골부(110b)에 끼워지면서 주름필터(110)의 바깥쪽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된다.
몸체(302)는 주름필터(110)의 산부(110a)가 삽입되도록 끼움홈(304)이 형성되며, 끼움홈(304)이 형성되도록 끼움홈(304)의 양측에 제1 연결판(310)과 제2 연결판(320)을 형성한다.
끼움홈(304)은 주름필터(110)의 산부가 삽입되도록 연결지그(300)의 일측면의 일측 끝단이 개방된 개방 단부와, 개방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내측으로 뚫려 있으며 타측 끝단이 폐쇄되어 있다.
끼움홈(304)은 주름필터(110)의 산부(110a)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개방 단부의 폭이 넓고 개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 형태의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된다.
제1 연결판(310)과 제2 연결판(320)은 주름필터(110)의 산부(110a)의 양측에 형성된 제1 골부(110b)와 제2 골부(110c)에 끼워져 결합된다.
제1 연결판(310)과 제2 연결판(320)은 주름필터(110)의 제1 골부(111b)와 제2 골부(111c)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주름필터(110)의 골부(110b)에 끼워지는 방향에서 골부(110b)에 먼저 삽입되는 제1 면(311), 제3 면(321)을 좁게 하고 제1 면(311)과 제3 면(321)과 반대 방향의 타면인 제2 면(313)과 제4 면(323)을 넓게 하여 'Δ' 형태의 산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1 연결판(310)의 제1 면(311)의 일측에는 코일스프링(210)의 제1 최외각 선재(213)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관통구멍(312)이 뚫려 있다.
제1 연결판(310)의 제2 면(313)의 일측에는 코일스프링(210)의 제1 최외각 선재(213)의 일부분이 제2 면(313)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절곡면(315)을 타고 들어와 삽입되도록 제1 연결판홈(31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판홈(314)은 제2 면(313)의 일측면의 일측 끝단이 개방된 개방 단부와, 개방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내측으로 뚫려 있으며 타측 끝단이 폐쇄된 형태이며, 제1 최외각 선재(213)의 일부분이 삽입된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홈의 형태가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파져 있다.
제1 절곡면(315)은 제1 연결판홈(314)과 동일선 상에 위치한 제1 연결판(310)의 제2 면(313)의 외측면을 완만한 곡선 형태나 경사지게 깎여진 곡선면이며, 제1 최외각 선재(213)의 일부분이 제1 연결판홈(314)에 쉽게 밀어 넣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제2 연결판(320)의 제3 면(321)의 일측에는 코일스프링(210)의 제2 최외각 선재(214)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체결홈(322)이 뚫려 있다. 체결홈(322)은 제3면(321)의 일측면의 일측 끝단이 개방된 개방 단부와, 개방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내측으로 뚫려 있으며 타측 끝단이 폐쇄된 형태이다.
제2 연결판(320)의 제4 면(323)의 일측에는 코일스프링(210)의 제2 최외각 선재(214)의 일부분이 제4 면(323)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 절곡면(325)을 타고 들어와 삽입되도록 제4 면(323)의 일측면의 일측 끝단이 개방된 개방 단부와, 개방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내측으로 뚫려 있으며 타측 끝단이 폐쇄된 제2 연결판홈(32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판홈(324)은 제2 면(333)의 일측면의 일측 끝단이 개방된 개방 단부와, 개방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내측으로 뚫려 있으며 타측 끝단이 폐쇄된 형태이며, 제2 최외각 선재(214)의 일부분이 삽입된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홈의 형태가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파져 있다.
제2 절곡면(325)은 제2 연결판홈(324)과 동일선 상에 위치한 제2 연결판(320)의 제4 면(323)의 외측면을 완만한 곡선 형태나 경사지게 깎여진 곡선면이며, 제2 최외각 선재(214)의 일부분이 제2 연결판홈(324)에 쉽게 밀어 넣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은 주름필터(110)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110a)와 골부(110b)에 끼워지면서 주름필터(110)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주름필터(110)의 바깥쪽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 설치된다.
기존의 섬유 재질의 고정식 직물밴드(12)는 탈진 시 충격 기류의 힘에 의해 파손되는 위험이 있었다.
집진기용 주름필터백(100)은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에 의해서 코일스프링(210)의 탄성으로 탈진 시에도 정확하게 여과재의 산 간격이 유지되고 탈진 시 충격 기류의 힘이 여과재에 고르게 전달되기 때문에 분진이 골에 누적되지 않고 탈착이 잘 되며, 필터 수명이 연장된다.
집진기용 주름필터백(100)은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에 의해서 탈진 시 순간적으로 여과재와 같이 팽창과 수축을 하므로 여과재 표면 및 골에 부착된 분진이 팽창 시 덩어리로 탈착이 되고 여과재가 수축을 하면 관성의 법칙에 의해 분진이 집진기의 호퍼로 떨어진다.
집진기용 주름필터백(100)은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에 의해서 탈진 시 분진이 덩어리로 여과재에서 분리가 되므로 재비산이 되지 않아 집진기의 차압 상승 및 막힘 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집진기용 주름필터백(100)은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에 의해서 탈진 주기가 길어지고 탈진 압력이 낮게 조절할 수 있어 주름필터백(100)의 수명 연장 및 집진기의 운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집진기용 주름필터백(100)은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의 탄성에 의해 여과재의 팽창과 수축, 여과재의 진동, 투과되는 압축공기의 힘으로 탈진하므로 낮은 탈진 압력에도 습한 분진, 점성이 강한 분진, 덩어리 분진도 용이하게 분리하고 탈진 성능의 향상과 집진기의 운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제1 실시예의 연결지그(300)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몸체(302)와, 끼움홈(304), 제1 관통구멍(312)과, 제1 절곡면(315), 제1 연결판홈(314)이 형성된 제1 연결판(310)과, 체결홈(322), 제2 절곡면(325), 제2 관통구멍(324a)이 형성된 제2 연결판(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관통구멍(324a)은 제2 연결판(320)의 제4 면(323) 일측이 코일스프링(210)의 제2 최외각 선재(214)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상하로 뚫려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제1 연결판(310)과 제2 연결판(320)이 산 모양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끼움홈(304), 관통구멍(312), 제1 연결판홈(314)이 형성된 제1 연결판(310)과, 체결홈(322), 제2 연결판홈(324)이 형성된 제2 연결판(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몸체(302)와, 끼움홈(304), 제1 관통구멍(312)과, 스프링홈(314a)이 형성된 제1 연결판(310)과, 체결홈(322), 제2 관통구멍(324a)이 형성된 제2 연결판(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프링홈(314a)은 제1 연결판(310)의 제2 면(313) 일측이 코일스프링(210)의 제1 최외각 선재(213)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상하로 뚫려 있다.
제2 관통구멍(324a)은 제2 연결판(320)의 제4 면(323) 일측이 코일스프링(210)의 제2 최외각 선재(214)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상하로 뚫려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제1, 2 실시예의 연결지그(300)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몸체(302)와, 끼움홈(304), 제1 체결홈(312a)과, 제1 절곡면(315), 제1 연결판홈(314)이 형성된 제1 연결판(310)과, 제2 체결홈(322), 제2 절곡면(325), 제2 연결판홈(324)이 형성된 제2 연결판(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체결홈(312a)은 코일스프링(210)의 제1 최외각 선재(213)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제1 연결판(310)의 제1 면(311)의 일측면의 일측 끝단이 개방된 개방 단부와, 개방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내측으로 뚫려 있으며 타측 끝단이 폐쇄된 형태이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도 8의 (a)의 연결지그(300)에서 제1 체결홈(312a), 제1 연결판홈(314), 제2 체결홈(322), 제2 연결판홈(324)을 스프링체결홈(326)으로 대체하면 동일한 부재가 된다.
스프링체결홈(326)은 일측면의 일측 끝단이 개방된 개방 단부의 폭이 넓고, 개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태의 제1 홈(327)과, 제1 홈(327)과 연통된 제2 홈(328)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체결홈(326)은 제1 홈(327)에서 개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제2 홈(328)에서 다시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프링체결홈(326)의 구조는 코일스프링(210)의 제1 최외각 선재(213)나 제2 최외각 선재(214)가 용이하게 삽입된 후, 분리할 때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제1 연결판(310)과 제2 연결판(320)이 산 모양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끼움홈(304), 제1 연결판(310), 제2 연결판(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연결판(310)과 제2 연결판(320)은 주름필터(110)의 산부에 끼워지는 방향과 직각 방향을 이루도록 제1 연결판(310)의 측면 일측과 제2 연결판(320)의 측면 일측에 홈을 파서 스프링체결홈(326a, 326b, 326c, 326d)을 형성된다. 여기서, 스프링체결홈(326)은 도 8의 (b)에서 스프링체결홈(326)과 동일한 구조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4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제1, 2, 3 실시예의 연결지그(300)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4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코일스프링(210)의 제1 최외각 선재(213)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310a)와, 코일스프링(210)의 제2 최외각 선재(214)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320a)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재(310a) 제2 연결부재(320a)가 탈부착하기 위한 연결구(330, 340)가 제1 연결부재(310a)와 제2 연결부재(320a)에 각각 형성된다.
제1 연결부재(310a)의 일측에는 연결구 홈(331)이 형성되고, 연결구 홈(331)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부(332)와 걸림부(332)에 연결된 스프링(333)이 구비된 제1 연결구(330)를 포함한다.
제2 연결부재(320a)의 일측에는 돌출부(341)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부(341)의 일측에 돌출부수용홈(342)이 형성된 제2 연결구(340)를 포함한다.
제2 연결구(340)의 돌출부(341)가 연결구 홈(331)으로 삽입되고 돌출부(341)가 걸림부(332)에 충돌하여 걸림부(341)가 스프링(333)의 탄성으로 눌려지며, 눌려진 걸림부(332)가 돌출부수용홈(342)에 삽입되어 걸리면 제1 연결구(330)와 제2 연결구(340)가 결합된다.
제4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제1, 2, 3 실시예의 연결지그(300)와 다르게 코일스프링(210)의 제1 최외각 선재(213)와 코일스프링(210)의 제2 최외각 선재(214)에 각각 제1 연결부재(310a)와 제2 연결부재(320a)가 형성되며 제1 연결부재(310a)와 제2 연결부재(320a)가 탈부착된다.
제4 실시예는 코일스프링(210)을 주름필터(110)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111a)와 골부(111b, 111c)에 끼워지면서 주름필터(110)의 바깥쪽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싼 후, 제1 연결부재(310a)의 제1 연결구(330)와 제2 연결부재(320a)의 제2 연결구(340)를 결합하면서 주름필터(110)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와 골부에 끼워지게 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310a)와 제2 연결부재(320a)는 도 8의 (c)의 연결지그(300)의 형태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310a)와 제2 연결부재(320a)는 제1, 2 ,3 실시예의 연결지그(300)의 형태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5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제1, 2, 3, 4 실시예의 연결지그(300)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제1 연결판(310)과 제2 연결판(320)의 내측 일면에 주름필터(110)의 산부에 끼워지는 방향과 직각 방향을 이루도록 홈을 파서 끼움홈(304)과 연통되도록 체결홈(350)을 형성한다.
도 10의 (b), (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2, 3, 4 실시예의 연결지그(300)에 비교하여 몸체(302)의 크기가 다르며, 제1 체결홈(312a), 체결홈(322)의 홈 형태가 다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6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제1, 2, 3, 4 실시예의 연결지그(300)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의 끼움홈(304)의 형태는 제1 연결판(310)과 제2 연결판(320)의 내측면이 직선 형태가 아닌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제6 실시예의 끼움홈(304)은 곡선 형태로 홈을 파서 형성된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의 끼움홈(304)의 형태는 주름필터(110)의 산부(111a)가 결합되는 입구 부분의 일측이 곡선 형태로 완만하게 형성되고 타측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입구 부분의 개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일정한 폭으로 파져 있는 홈이다.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의 끼움홈(304)의 형태는 주름필터(110)의 산부(111a)가 결합되는 입구 부분의 일측이 곡선 형태로 완만하게 형성되고 타측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직선 형태의 면에 주름필터(110)의 산부에 끼워지는 방향과 직각 방향을 이루도록 홈을 파서 끼움홈(304)과 연통되도록 체결홈(35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의 연결지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의 연결지그(300)는 일정 두께와 길이의 지그몸체(360)와 지그몸체(360)에 일정 간격마다 지그홈(363)이 복수개 형성되어 주름필터(110)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110a)와 골부(110b)에 끼워진다.
지그몸체(360)는 지그홈(363)이 형성되지 않은 반대면 중에서 양쪽 끝단 부분에 각각 스프링체결홈(361, 362)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210)의 제1 최외각 선재(213)는 스프링체결홈(361)과 지그홈(363)에 결합되고, 코일스프링(210)의 제2 최외각 선재(214)는 스프링체결홈(362)과 지그홈(363)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집진기용 주름필터백(100)의 제조 방법은 고온(180 내지 260℃) 또는 상온(120℃ 이하)에서 니들 펀칭(Neddle Punching) 방식으로 제조된 부직포 또는 특수한 제법으로 제조된 유리섬유 부직포를 내열성 수지에 함침 가공하여 저온 건조 후에 절곡 및 경화시켜 제조된다.
먼저, 1000 Deniar 굵기, 10×10 mesh의 유리섬유 직물을 준비하고, 니들펀칭(Needle Punching)시 직물에 손상을 줄이기 위해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수용액(고용분 60 중량% 내외)을 무게비 10 - 50 %로 물에 희석한 후 그 용액에 유리섬유 직물을 함침시켜 건조하고, 300 - 350 ℃의 온도에서 열처리 한다. 이는 PTFE가 유리섬유 직물에 코팅되어 니들 펀칭시 PTFE가 윤활작용을 하기 때문에 섬유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단섬유 굵기가 직경 10 ㎛ 내외인 미세한 섬유로 이루어진 1000 Deniar 굵기의 Multi Filament를 30 - 60mm의 길이로 Cutting하여 개섬(Opening), 정섬(Carding)을 하여 일정한 두께와 폭의 Web을 성형기로 성형한 후 PTFF로 코팅된 유리섬유 직물에 200 내지 300 g/m2의 중량으로 니들 펀칭하여 유리섬유 직물과 합지된 유리섬유 부직포를 만든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온 또는 고온에서 니들 펀칭 공법으로 제조된 부직포 및 유리섬유 부직포를 내열성 수지 수용액에 함침 가공한다.
함침 가공은 부직포에 내열성을 증가시키고, 필터섬유의 윤활성을 향상시켜 섬유 상호간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감소시키며, 또한 절곡성능 및 탈진 성능을 올려 주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기로는 내열성수지 수용액은 페놀수지 수용액과 PTFE 수용액의 혼합액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페놀수지 수용액 10 ~ 40 중량%와, PTFE 수용액 60 ~ 90 중량%인 것이 내열성 증가, 필터섬유의 윤활성, 절곡성능 및 탈진성능 측면에서 좋다. 구체적인 일예로 시판되고 있는 60% 페놀수지 수용액 또는 58 % PTFE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내열성 수지 수용액의 함량은 당업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바람직하기로는 함침되는 부직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8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후공정 및 제조된 주름필터의 내구성, 내열성 등에 있어서 더욱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내열성 수지 수용액에 함침된 후, 부직포를 저온 건조 단계를 거친다. 이러한 과정은 부직포 내의 내열성 수지 수용액 중 액체 성분을 제거하며, 절곡에 적합한 정도의 뻣뻣함을 갖게 한다.
부직포가 너무 뻣뻣하면, 절곡 과정에서 섬유가 손상되어 인장 강도가 낮아지고, 그 결과 주름필터(110)의 수명이 짧아진다. 저온 건조의 온도는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생산성을 고려하면 50 ~ 80℃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 건조된 부직포는 절곡기를 이용하여 절곡된다. 여기서, 부직포를 절곡하기 전에, 50 ~ 100℃로 예열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는데, 이 과정은 부직포를 절곡에 적합한 정도의 뻣뻣함을 가지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절곡 및 경화는 프리 및 포스트 히터가 설치된 나이프 타입의 절곡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절곡기에서 프리히터(Pre-heater)는 절곡 전의 예열 공정을 수행하며, 포스트히터(Postheater)는 절곡 후의 경화 공정을 수행한다.
절곡된 부직포는 경화 단계를 거쳐, 상온 및 고온에서의 집진기용 주름필터(110)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은 집진기용 주름필터(110)의 바깥쪽 둘레에 연결지그(300)와 코일스프링(210)을 구비한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를 하나 이상을 끼워 결합하여 최종 제품이 완성된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를 집진기용 주름필터(110)에 결합하는 모습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집진기용 주름필터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필터(110)의 부직포접합부(111)의 산부에 연결지그(300)의 끼움홈(304)을 끼우고, 부직포접합부(111)의 골부(111b, 111c)에 제1 연결판(310)과 제2 연결판(320)을 삽입한다.
제1 연결판(310)은 코일스프링(210)의 제1 최외각 선재(213)의 일부분이 제1 연결판(310)의 관통구멍(312)과 제1 연결판홈(314)에 체결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제1 최외각 선재(213)로부터 연장된 코일스프링(210)의 선재를 주름필터(110)의 골부(110b)와 산부(110a)에 하나씩 끼워가면서 주름필터(110)의 바깥쪽 둘레를 감아서 결합한다.
작업자는 코일스프링(210)의 제2 최외각 선재(214)를 제2 연결판(320)의 체결홈(322)과 제2 연결판홈(324)에 체결한다.
집진기용 주름필터백(100)은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를 주름필터(110)의 3군데 지점에 위의 같은 방법으로 체결하여 최종 완성된다.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는 주름필터(110)의 바깥쪽 둘레에 3개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2개 등 필요에 따라 설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 기재된 직물밴드(12)가 카트리지 필터백(11)의 외주면에 6군데 결합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는 집진기용 주름필터(110)의 외주면에 1개 내지 3개 정도 결합된다.
이렇게 완성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100)은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200)가 주름필터(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최종 제품으로 출시된다.
전술한 관통구멍(312), 제1 관통구멍(312), 제1 체결홈(312a)은 제1 구멍으로 나타내고, 제1 연결판홈(314), 스프링홈(314a)는 제2 구멍으로 나타내고, 체결홈(322), 제2 체결홈(322)은 제3 구멍으로 나타내며, 제2 연결판홈(324), 제2 관통구멍(324a)은 제4 구멍으로 명칭 기재를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110: 주름필터
110a: 산부 110b: 골부
111: 부직포접합부 111a: 산부
111b: 골부 111c: 골부
112: 상단캡 114: 하단캡
115: 실리콘 고정부재 116: 홈
200: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 210: 코일스프링
212: 선재 213: 제1 최외각 선재
214: 제2 최외각 선재 300: 연결지그
302: 몸체 304: 끼움홈
310: 제1 연결판 310a: 제1 연결부재
311: 제1 면 312: 관통구멍
313: 제2 면 314: 제1 연결판홈
315: 제1 절곡면 320: 제2 연결판
320a: 제2 연결부재 321: 제3 면
323: 제4 면 324: 제2 연결판홈
325: 제2 절곡면 326: 스프링체결홈
327: 제1 홈 328: 제2 홈
330: 제1 연결구 331: 연결구 홈
332: 걸림부 333: 스프링
340: 제2 연결부재 341: 돌출부
342: 돌출부수용홈

Claims (14)

  1. 집진기용 주름필터백에 있어서,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갖는 일정한 길이의 주름필터;
    상기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의 일정 지점의 산부와 골부에 대응 결합되는 일정 두께와 길이의 연결지그; 및
    상기 연결지그의 일측면과 상기 연결지그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지그의 일측면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 끝단인 제1 최외각 선재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지그를 상기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의 일정 지점의 산부와 골부에 결합한 후, 상기 제1 최외각 선재로부터 연장된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재가 상기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와 골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며, 상기 연결지그의 타측면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제2 최외각 선재가 결합되는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그의 일측면에는 2개의 지점에 구멍이 각각 뚫려 있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제1 최외각 선재의 일측과 타측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연결지그의 타측면에는 2개의 지점에 구멍이 각각 뚫려 있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제2 최외각 선재의 일측과 타측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그는 상기 주름필터의 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지그의 일측면의 일측 끝단이 개방된 개방 단부와, 개방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내측으로 뚫려 있고 타측 끝단이 폐쇄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끼움홈의 양측에 제1 연결판과 제2 연결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판은 상기 주름필터의 골부에 끼워지는 방향에서 골부에 먼저 삽입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의 타면인 제2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의 일측에 상기 제1 최외각 선재의 제1 부분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제2 면의 일측면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최외각 선재의 제2 부분을 밀어 넣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면의 일측면의 일측 끝단이 개방되어 일정 길이만큼 뚫려 있는 제1 연결판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판은 상기 주름필터의 골부에 끼워지는 방향에서 골부에 먼저 삽입되는 제3 면과, 상기 제3 면과 반대 방향의 타면인 제4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면의 일측에 상기 제2 최외각 선재의 제1 부분을 밀어 넣어 삽입되도록 상기 제3 면의 일측면의 일측 끝단이 개방되어 일정 길이만큼 뚫려 있는 체결홈과, 상기 제4 면의 일측면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 최외각 선재의 제2 부분을 밀어 넣어 삽입되도록 상기 제4 면의 일측면의 일측 끝단이 개방되어 일정 길이만큼 뚫려 있는 제2 연결판홈이 형성되는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그는 상기 주름필터의 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지그의 일측면의 일측 끝단이 개방된 개방 단부와, 개방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내측으로 뚫려 있고 타측 끝단이 폐쇄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끼움홈의 양측에 제1 연결판과 제2 연결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판은 상기 주름필터의 골부에 끼워지는 방향에서 골부에 먼저 삽입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의 타면인 제2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의 일측에 상기 제1 최외각 선재의 제1 부분이 삽입되는 제1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의 일측에 상기 제1 최외각 선재의 제2 부분이 삽입되는 제2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판은 상기 주름필터의 골부에 끼워지는 방향에서 골부에 먼저 삽입되는 제3 면과, 상기 제3 면과 반대 방향의 타면인 제4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면의 일측에 상기 제2 최외각 선재의 제1 부분이 삽입되는 제3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4 면의 일측에 상기 제2 최외각 선재의 제2 부분이 삽입되는 제4 구멍이 형성되는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의 형태는 상기 제1 면의 일측과 상기 제2 면의 일측이 상하로 뚫려 있는 관통구멍이며, 상기 제3 구멍과 상기 제4 구멍의 형태는 상기 제3 면의 일측과 상기 제4 면의 일측이 상하로 뚫려 있는 관통구멍인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의 형태는 상기 제1 면의 일측면의 끝단과 상기 제2 면의 일측면의 끝단이 개방되어 일정 길이만큼 뚫려 있는 홈이고, 상기 제3 구멍과 상기 제4 구멍의 형태는 상기 제3 면의 일측면의 끝단과 상기 제4 면의 일측면의 끝단이 개방되어 일정 길이만큼 뚫려 있는 홈인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 상기 제2 구멍, 상기 제3 구멍 및 상기 제4 구멍의 형태는 일측이 상하로 뚫려 있는 관통구멍과, 일측면의 끝단이 개방되어 일정 길이만큼 뚫려 있는 홈이 조합된 형태인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주름필터의 산부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개방 단부의 폭이 넓고 개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 형태의 테이퍼진 형태이고,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은 상기 주름필터의 골부에 끼워지는 방향에서 골부에 먼저 삽입되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을 좁게 하고 상기 제1 면, 상기 제3 면과 반대 방향의 타면인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4 면을 넓게 하여 산 모양으로 형성되는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판의 제2 면과 상기 제2 연결판의 제4 면은 상기 제1 연결판홈과, 상기 제2 연결판홈과 동일선 상에 위치한 외측면이 완만한 곡선 형태나 경사지게 깎여진 곡선면으로 형성하는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판홈, 상기 제2 연결판홈은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파져 있는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주름필터의 골부에 끼워지는 방향과 직각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제1 연결판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3 구멍과 상기 제4 구멍은 상기 주름필터의 골부에 끼워지는 방향과 직각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제2 연결판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3 구멍은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의 내측 일면에 상기 주름필터의 골부에 끼워지는 방향과 직각 방향을 이루도록 홈을 파서 상기 끼움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13.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의 형태는 상기 주름필터의 산부가 결합되는 입구 부분이 일측이 곡선 형태로 완만하게 형성되고 타측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14. 삭제
KR1020150078628A 2015-06-03 2015-06-03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KR101805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28A KR101805978B1 (ko) 2015-06-03 2015-06-03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PCT/KR2015/007136 WO2016195155A1 (ko) 2015-06-03 2015-07-09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28A KR101805978B1 (ko) 2015-06-03 2015-06-03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639A KR20160142639A (ko) 2016-12-13
KR101805978B1 true KR101805978B1 (ko) 2018-01-10

Family

ID=5744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628A KR101805978B1 (ko) 2015-06-03 2015-06-03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5978B1 (ko)
WO (1) WO2016195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373B1 (ko) * 2017-11-16 2019-07-09 주식회사 이피아이티 집진기용 필터 백
CN108465304B (zh) * 2018-03-26 2021-04-02 新昌县集禾汇线束有限公司 一种新型高效除尘器
KR102117149B1 (ko) * 2018-05-18 2020-06-01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
CN109529427A (zh) * 2019-01-17 2019-03-29 上海上阳流体科技有限公司 一种过滤系统中滤布的锁紧装置
CN111686529A (zh) * 2020-06-26 2020-09-22 陈辉辉 一种用于锅炉尾气的除尘装置
CN112704973B (zh) * 2020-12-23 2022-04-19 江苏庞浙伟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除尘袋
CN114887438B (zh) * 2022-05-09 2023-07-07 东营市西水集团热电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清洁高效的火力热电的煤粉除尘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81Y1 (ko) * 2008-10-16 2009-07-30 (주)신화이엔피 집진기용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505B1 (ko) * 2007-06-29 2009-09-24 김미숙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KR101012188B1 (ko) * 2008-05-21 2011-02-08 그린컨기술주식회사 집진기용 필터
KR101228882B1 (ko) * 2010-06-07 2013-02-01 이충중 카트리지 필터
KR20140089083A (ko) * 2013-01-04 2014-07-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필터 엘리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81Y1 (ko) * 2008-10-16 2009-07-30 (주)신화이엔피 집진기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639A (ko) 2016-12-13
WO2016195155A1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978B1 (ko)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KR101823731B1 (ko) 하이브리드 주름필터백
KR101762546B1 (ko) 대형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KR101841814B1 (ko) 소각 가능한 필터 구조체 및 제조 방법
US7985275B2 (en) Filter media and devices for high temperature filtration and methods
US5084178A (en) Corrugated filter arrangement with support layer and flow channels
US8034146B2 (en) Filter element,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JPH04250804A (ja) フィルタ
US20070137157A1 (en) Filter
KR100678338B1 (ko) 공기 정화용 필터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67884A (ko) 공기 정화용 필터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4384644B2 (ja) 成形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EP3368185B1 (en) Thermally bonded multi-layer felt filtration media
KR101725798B1 (ko) 대형 카트리지 필터 및 제조 방법
JPH0634885B2 (ja) フィルタ装置
CN108290095B (zh) 过滤材料和由此制造的过滤元件
KR101228882B1 (ko) 카트리지 필터
KR20080098770A (ko) 성형 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5727879B2 (ja) 交換型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H0639113U (ja) バグフィルター用濾布
EP3878537A1 (en) Filter material for automatic transmission oil filter
JP3201914U (ja) 産業用集塵機のカートリッジ型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JP4627447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
KR100438332B1 (ko) 자동차 유입공기 정화용 에어 레이드 여재 및 그 제조방법
JP2021007929A (ja) 多層複合化濾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