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149B1 -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149B1
KR102117149B1 KR1020180056895A KR20180056895A KR102117149B1 KR 102117149 B1 KR102117149 B1 KR 102117149B1 KR 1020180056895 A KR1020180056895 A KR 1020180056895A KR 20180056895 A KR20180056895 A KR 20180056895A KR 102117149 B1 KR102117149 B1 KR 10211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il spring
fitting protrusion
fitting
wrinkl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907A (ko
Inventor
신대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Priority to KR102018005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149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2Pleated filters
    • B01D2201/127Pleated filters with means for keeping the spacing between the plea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가 개시된다. 유체주름필터는, 바깥쪽 둘레에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갖도록 접철된 일정한 길이의 유체주름필터; 및 상기 유체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감아서 결합시키는 형태 유지 장치를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형태 유지 장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끝단을 결합하는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유체주름필터의 산부와 골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수단에 의해 유체주름필터의 산부와 골부의 간격을 견고하고 일정하게 유지시켜 유체주름필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Pleated Filter and Shape retain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각수중에 혼입된 미세물질을 걸러내는 유체주름필터의 산부와 골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유체주름필터의 길이가 길어져도 유체주름필터의 산부와 골부의 간격을 견고하고 일정하게 유지시켜 유체주름필터의 변형을 방지하는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동합금(銅合金)과 같은 전도성이 좋은 재료를 전극(Wire )으로 열처리한 금속 등의 난삭 재료(공작물)를 초정밀 가공하는 방전기의 냉각 수 중에 혼입된 미세한 이물질을 걸러내어 물과 기름을 재사용하기 위하여 유체주름필터를 사용하고 있다.
방전기에는 복수개의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는 필터링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능한 한 표면적을 넓게 형성시키고 있다. 넓은 표면적을 갖는 필터로 유체주름필터가 있다.
일반적인 유체주름필터는 제조 과정 또는 사용과정에서 복수개의 산부의 간격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유체주름필터의 산부 간의 간격이 일부에서 넓어져 유체주름필터의 고유 장점이 상실될 수 있고, 인접하는 산부들이 붙게 되어 필터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유체주름필터는 제조 과정에서 직물밴드에 의해 필터의 산부와 산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며, 유체주름필터가 변형되어도 복원되는 것이 어렵다.
심지어 이러한 유체주름필터가 변형된 채로 방전기가 가동되는 경우 변형될 때 발생될 수 있는 파공홀로 인한 방전기 또는 방전기의 핵심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주름필터의 산부와 골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수단에 의해 유체주름필터의 산부와 골부의 간격을 견고하고 일정하게 유지시켜 유체주름필터의 변형을 방지하는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유체주름필터는,
바깥쪽 둘레에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갖도록 접철된 일정한 길이의 유체주름필터 및
상기 유체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감아서 결합시키는 형태 유지 장치를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형태 유지 장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끝단을 결합하는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형태 유지 장치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끝단을 결합하는 결합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장치는,
판형태의 제1 면, 판형태의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을 연결하는 제3면을 가지고, 상기 제1 면, 제3 면, 제2 면이 디긋자 형태로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유체주름필터의 산부가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끼워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제1 면과 제2 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을 끼우기 위한 끼움 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끼움 돌기부는,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에 상기 산부가 끼워지는 입구 부분에 형성되는 제1 끼움 돌기 및 제2 끼움 돌기와,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이 제3 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3 끼움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끼움 돌기 내지 제3 끼움 돌기는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의 일정부분이 절개된 후 돌출되고, 굽어진 형태로서 상기 코일 스프링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끼움 돌기 내지 제3 끼움 돌기 위치는 동일한 원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의 제1면 및 제2면 내측에는 상기 산부가 끼워진 후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돌기는 제1 면 및 제2 면의 일정부분이 절개된 후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산부의 끼움은 상기 산부가 빠져나가는 것은 어려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체주름필터의 산부와 골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수단에 의해 유체주름필터의 산부와 골부의 간격을 견고하고 일정하게 유지시켜 유체주름필터의 변형을 방지하는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름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름필터의 형태유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름필터의 형태유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름필터의 형태유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름필터의 형태유지 장치가 필터의 산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름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름필터의 형태유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름필터의 형태유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름필터의 형태유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름필터의 형태유지 장치가 필터의 산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름필터는,
바깥쪽 둘레에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갖도록 접철된 일정한 길이의 유체주름필터(200); 및
길이 방향의 링 형상의 띠로 상기 유체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감아서 결합시키는 형태 유지 장치(100)를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형태 유지 장치(100)는 코일 스프링(101)과, 상기 코일 스프링(101)의 양끝단을 결합하는 결합 장치(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태 유지 장치(1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코일 스프링(101)과,
상기 코일 스프링(101)의 양끝단을 결합하는 결합 장치(11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장치(110)는,
판형태의 제1 면(115), 판형태의 제2 면(116), 상기 제1 면과 제2 면(116)을 연결하는 제3면(117)을 가지고, 상기 제1 면(115), 제3 면(117), 제2 면(116)이 디긋자 형태로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유체주름필터의 산부가 상기 제1 면(115)과 제2 면(116) 사이에 끼워지는 본체부(118);
상기 본체부(118)의 제1 면(115)과 제2 면(116)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을 끼우기 위한 끼움 돌기부(111, 112, 113)를 포함한다.
상기 끼움 돌기부(111, 112, 113)는,
상기 제1 면(115) 및 제2 면(116)에 상기 산부가 끼워지는 입구 부분에 형성되는 제1 끼움 돌기(111) 및 제2 끼움 돌기(112)와,
상기 제1 면(115) 및 제2 면(116)이 제3 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3 끼움 돌기(11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끼움 돌기 내지 제3 끼움 돌기(111, 112, 113)는 상기 제1 면(115) 및 제2 면(116)의 일정부분이 절개된 후 돌출되고, 굽어진 형태로서 상기 코일 스프링(101)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끼움 돌기 내지 제3 끼움 돌기(111, 112, 113)의 위치는 동일한 원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18)의 제1 면(115) 및 제2 면(116) 내측에는 상기 산부(210a)가 끼워진 후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돌기(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돌기(114)는 제1 면(115) 및 제2 면(116)의 일정부분이 절개된 후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므로 상기 산부(210a)의 끼움은 쉬우나 상기 산부(210a)가 빠져나가는 것은 어렵게 된다.
유체주름필터(200)은 다수의 골이 형성되도록 접철되어 주름지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판상의 필터체를 길이 방향으로 산부(210a)와 골부(210b)를 이루는 구조로 접어서 형성된다.
유체주름필터(200)은 주름형 형상으로 다양한 냉각수 필터링에 사용되는 필터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유체주름필터(200)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코일스프링(101)을 장착하고, 유체주름필터(200)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210a)와 골부(210b)에 결합장치(110)를 끼워서 결합한다.
코일스프링(101)은 유체주름필터(200)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210a)와 골부(210b)에 끼워지면서 유체주름필터(200)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코일스프링(101)은 유체주름필터(200)의 바깥쪽 둘레에 감아서 장착할 때 유체주름필터(200)의 산부(210a)와 골부(210b)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한다.
유체주름필터(200)의 산부(210a)와 골부(210b)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 이유는 유체주름필터(210)의 산부(210a) 간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간격이 지나치게 좁아지거나 들러붙게 되면 최종 필터 제품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코일 스프링(101)은 스프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공지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상단캡과 하단캡이 유체주름필터(2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유체주름필터(200)을 지지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주름필터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체주름필터(200)은 다수의 골이 형성되도록 접철되어 주름지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판상의 필터체를 길이 방향으로 산부(210a)와 골부(210b)를 이루는 구조로 접어서 형성된다.
이러한 유체주름필터(200)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형태유지장치(100)를 결합한다.
여기서, 유체주름필터(200)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210a)와 골부(210b)에 코일스프링(101)을 장착하되, 결합장치(110)를 끼워서 코일스프링(101)을 연결한다. 특히, 코일스프링(101)은 유체주름필터(200)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210a)와 골부(210b)에 끼워지면서 유체주름필터(200)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일 스프링(101)의 한쪽 끝을 도 2와 같이, 상기 본체부(118)의 제1면(115)의 끼움 돌기부(111, 112, 113)에 끼우는데, 제3 끼움 돌기(113)가 제일 많이 구부러진 상태이므로 제3 끼움 돌기(113)에 가장 먼저 끼우는 편이 유리하다.
특히, 제3 끼움 돌기(113)는 제일 많이 구부러져 있으므로 끼워진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01)이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유체주름필터(200)의 바깥쪽 둘레의 산부(210a)와 골부(210b)에 코일스프링(101)을 장착한다.
그리고 나서, 코일 스프링(101)의 다른쪽 끝부분을 도 2와 같이 상기 본체부(118)의 제2면(116)의 끼움 돌기부(111, 112, 113)에 끼우는데, 제3 끼움 돌기(113)가 제일 많이 구부러진 상태이므로 제3 끼움 돌기(113)에 가장 먼저 끼우는 편이 유리하다.
그러면, 도 1과 같은 상태의 유체주름필터가 완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체주름필터(200)의 산부(210a)와 골부(210b)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수단에 의해 유체주름필터(200)의 산부(210a)와 골부(210b)의 간격을 견고하고 일정하게 유지시켜 유체주름필터(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1: 코일스프링 110: 형태유지장치
111: 제1 끼움 돌기 112: 제2 끼움돌기
113: 제3 끼움돌기 114: 고정돌기
115: 제1 면 116: 제2 면
117: 제3 면 200: 유체주름필터
210a: 산부 210b: 골부

Claims (7)

  1. 바깥쪽 둘레에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갖도록 접철된 일정한 길이의 유체주름필터; 및
    상기 유체주름필터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감아서 결합시키는 형태 유지 장치를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형태 유지 장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끝단을 결합하는 결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형태 유지 장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끝단을 결합하는 결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장치는,
    판형태의 제1 면, 판형태의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을 연결하는 제3면을 가지고, 상기 제1 면, 제3 면, 제2 면이 디긋자 형태로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유체주름필터의 산부가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끼워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제1 면과 제2 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을 끼우기 위한 끼움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 돌기부는,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에 상기 산부가 끼워지는 입구 부분에 형성되는 제1 끼움 돌기 및 제2 끼움 돌기와,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이 제3 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3 끼움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끼움 돌기 내지 제3 끼움 돌기는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의 일정부분이 절개된 후 돌출되고, 굽어진 형태로서 상기 코일 스프링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끼움 돌기 내지 제3 끼움 돌기의 위치는 동일한 원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의 제1면 및 제2면 내측에는 상기 산부가 끼워진 후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의 일정부분이 절개된 후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므로 상기 산부의 끼움은 쉬우나 상기 산부가 빠져나가는 것은 어려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주름필터.
  2. 삭제
  3.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끝단을 결합하는 결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장치는,
    판형태의 제1 면, 판형태의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을 연결하는 제3면을 가지고, 상기 제1 면, 제3 면, 제2 면이 디긋자 형태로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유체주름필터의 산부가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끼워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제1 면과 제2 면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을 끼우기 위한 끼움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 돌기부는,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에 상기 산부가 끼워지는 입구 부분에 형성되는 제1 끼움 돌기 및 제2 끼움 돌기와,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이 제3 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3 끼움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끼움 돌기 내지 제3 끼움 돌기는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의 일정부분이 절개된 후 돌출되고, 굽어진 형태로서 상기 코일 스프링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끼움 돌기 내지 제3 끼움 돌기의 위치는 동일한 원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의 제1면 및 제2면 내측에는 상기 산부가 끼워진 후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의 일정부분이 절개된 후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므로 상기 산부의 끼움은 쉬우나 상기 산부가 빠져나가는 것은 어려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유지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56895A 2018-05-18 2018-05-18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 KR10211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95A KR102117149B1 (ko) 2018-05-18 2018-05-18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95A KR102117149B1 (ko) 2018-05-18 2018-05-18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907A KR20190131907A (ko) 2019-11-27
KR102117149B1 true KR102117149B1 (ko) 2020-06-01

Family

ID=6872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895A KR102117149B1 (ko) 2018-05-18 2018-05-18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1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9978A (ja) * 2009-04-30 2010-11-18 Shinko Sangyo Kk バグ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934U (ko) * 1997-05-30 1998-12-05 양재신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하부마운트
KR101805978B1 (ko) * 2015-06-03 2018-01-10 이충중 필터백용 스프링 밴드를 구비한 집진기용 주름필터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9978A (ja) * 2009-04-30 2010-11-18 Shinko Sangyo Kk バグ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907A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2282B2 (en) Filter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2117149B1 (ko) 유체주름필터 및 이의 형태유지장치
KR101951465B1 (ko) 집진기용 필터백 조립체
EP0995475A1 (en) Filter element
CN109794111A (zh) 用于集尘器的过滤袋
JPH0450804B2 (ko)
JPH02225897A (ja) 弾性により伸張可能な環状ストラップ
HU218437B (hu) Szorítóbilincs
US3199275A (en) Conical filter
EP0203921A1 (en) FIXING FLANGE FOR PIPE.
JP2000500385A (ja) 逆流可能な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逆流方法
KR20160137823A (ko) 철재 코일 포장용 내주링의 제조방법
KR100431158B1 (ko) 포움으로 감긴 스웝
US4634076A (en) Bobbin and method of winding said bobbin
KR20180005885A (ko) 필터카트리지의 여과포 압박밴드
JP4039690B2 (ja) ろう接材料スリーブ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6054977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装着治具
CN105407999A (zh) 带、具有该带的过滤器、用于制造该带的方法和装置
WO2002009910A1 (en) Abrasive pad
US2987191A (en) Strainer or filter drums
KR20180005886A (ko) 필터카트리지의 여과포 지지용 메탈망
JP4135825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2648672B2 (ja) 電解コンデンサ用タブの表面処理法
KR100405199B1 (ko) 산업용 카트리지 필터
US4066555A (en) Rotary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