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695A -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695A
KR20190054695A KR1020170151554A KR20170151554A KR20190054695A KR 20190054695 A KR20190054695 A KR 20190054695A KR 1020170151554 A KR1020170151554 A KR 1020170151554A KR 20170151554 A KR20170151554 A KR 20170151554A KR 20190054695 A KR20190054695 A KR 20190054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camellia
extract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325B1 (ko
Inventor
김윤태
김재구
임은영
심재원
김민정
이창호
조승목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1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325B1/ko
Priority to PCT/KR2018/012925 priority patent/WO2019098568A2/ko
Publication of KR2019005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 발생된 통증에 대해 완화 및 치료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통증이 발생하기 이전에 대상에 투여하면 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맥주사 또는 피부 도포 등의 방법이 아닌 경구 투여를 통해서도 현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Pain Comprising Camellia japonica L. Extracts}
본 발명은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는 동백나무과(Theaceae), 동백속(Camelliae)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주로 남해안과 도서 지역 등 일정한 지역에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특히 국내 동백의 분포는 온대 남부 해안 도서 지방인 전남 지역이 전국 식재 면적의 약 67%를 차지하고 있다(이숙영 등, 2005).
동백나무의 잎, 종자 및 꽃에 약효 성분으로 camellin, pipecolic acd, eugenol, camelliagenin A, B, tubakisaponin, triterpene, tannin, benzenoid, steroid, flavonoid, phenyl propanoid 등의 많은 화합물이 존재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Sakata et al., 1981; Fujita et al., 1973).
일본에서는 건조시킨 동백 꽃봉오리를 민간에서 토혈증(吐血症), 장풍하혈(腸風下血)의 지혈제로서 붉은 꽃을 분말로 해서 동뇨(童尿), 생강의 즙 및 술과 함께 복용하였으며(Itokawa et al., 1981), 항원충작용 및 진경작용, 치석형성 억제효과(Namda et al., 1984) 알콜 흡수억제(Yoshikawa et al., 1994), 피부 미백 작용(Mori, 1988)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항고요산혈증성 작용(Yoon IS et al, 2017), 파킨슨병의 설치류 모델에서 신경독성의 대한 보호작용(Yang JL. et al, 2016), 항산화 작용(Wang BQ, 2012) 등의 효능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통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식물-유래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고, 그 결과 동백나무 추출물이 통증을 완화,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동백나무 추출물은 동백나무의 용매 추출물 및 이의 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며, 동백나무 추출물은 통증에 대하여 완화,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통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식물-유래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고, 그 결과 동백나무 추출물이 통증을 완화,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는 차나무과에 속하며 활엽상록수로 교목성이며, 겨울부터 이른 봄까지 꽃이 피고 종실은 10월 말경에 수확되며, 한 개 과에 3-5개의 씨앗이 들어 있다. 잎이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잔톱니가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이 나고 뒷면은 황록색으로 털이 없고 두껍다. 원산지는 아시아 지방으로 약 200여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그 중 1종(Camellia japonica L.)이 자생 분포하고 있으며, 비교적 추운 곳에 분포하고 있는 동백종으로 유전자원 식물로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예로부터 동백나무는 주로 원예 자원으로 이용되어 왔고 주요 성분으로는 포화지방산(9.1-11.5%), 올레인산(85.6-89.4%), 리롤산(1.3-2.9%)등이며 올레인산이 많은 글리세라이드로 황색의 맑은 불건성유이며 응고점은 -25℃로 낮다. 또한, 동백나무 어린잎의 추출물은 천연 보존제로서 사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동백나무는 동백나무의 열매, 뿌리, 줄기 및 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백나무 잎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동백나무 추출물은 동백나무를 극성 용매,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극성 용매는 물, 알코올, 아세트산, DMFO(dimethylformamide),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동백나무 추출물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로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매는 10% 이상 내지 100% (v/v) 미만, 20% 이상 내지 100%(v/v) 미만, 30% 이상 내지 100%(v/v) 미만, 40% 이상 내지 100%(v/v) 미만, 50% 이상 내지 100%(v/v) 미만, 60% 이상 내지 100%(v/v) 미만, 또는 70% 이상 내지 100%(v/v) 미만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수용액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70%(v/v)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용매는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 헥산, 디에틸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동백나무 추출물은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동백나무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동백나무 추출물은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동백나무 잎 추출물이다.
상기‘추출물’은 용매 조추출물, 특정 용매 가용 추출물(용매 분획물) 및 용매 조추출물의 용매 분획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 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동백나무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수득한 분획도 본 발명의 동백나무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동백나무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농축물 및/또는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식물재료인 동백나무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동백나무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맥주사 또는 피부 도포 등의 방법이 아닌 경구 투여를 통해서도 현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에 잘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 발생된 통증에 대해 완화 및 치료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통증이 발생하기 이전에 대상에 투여하면 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용어 “통증(pain)”은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통각수용성 통증과 같은 급성 및 만성 통증, 예컨대 체성 통증(somatic pain) 및 내장성 통증(visceral pain); 염증성 통증, 기능장애 통증, 특발성 통증, 표면성 통증(superficial pain), 심부 통증(deep pain), 가려움, 신경병증성 통증, 예컨대, 중추발생성 통증(centrally generated pain) 및 말초발생성 통증(peripherally generated pain), 편두통 및 암 통증을 포함하는 모든 타입의 통증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 “통각수용성 통증(nociceptive pain)”은 신체 조직들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거나 또는 실제로 손상시키는 유해한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모든 통증을 포함하는데 사용되며, 벤 상처(cut), 타박상(bruise), 골절(bone fracture), 압궤손상(crush injury), 화상(burn) 및 이와 유사한 상처에 의한 통증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조직 손상에 대한 통증 수용체(통각수용기, nociceptors)는 대부분 피부, 근골격계 또는 내부장기(internal organs)에 위치하고 있다.
통각수용성 통증은 말초감각신경(peripheral sensory neurons)의 특이적 부분(specific subset), 즉 강렬한 또는 유해한 자극에 의해 통각수용기들의 활성화에 반응하여 일어난다. 통각수용성 통증은 일반적으로 민감하고, 자기제한적(self-limiting)이며 잠재적 또는 진행 중인 조직 손상의 경고로 작용함으로서 보호의 생물학적 기능을 제공한다.
통각수용성 통증은 전형적으로 국부에 매우 제한된다. 통각수용성 통증의 예들은, 외상성(traumatic) 또는 외과수술성(surgical) 통증, 분만 진통(labor pain), 염좌(sprains), 골절(bone fractures), 화상(burns), 충돌(bumps), 타박상(bruises), 주사(injections), 치과시술(dental procedures), 피부검사(skin biopsies) 및 폐색(obstructions)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 “체성 통증(somatic pain)”은 뼈, 관절, 근육, 피부 또는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에서 일어나는 통증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타입의 통증은 전형적으로 매우 국부적이다.
상기 용어 “내장성 통증(visceral pain)”은 본 명세서에서 호흡기(respiratory), 위장기관(gastrointestinal tract) 및 췌장(pancreas)과 같은 내장장기들, 요로(urinary tract) 및 생식기관(reproductive organs)에서 일어나는 통증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내장성 통증은 장기피막(organ capsule)의 종양 침범(tumor involvement)에 의해 유도되는 통증을 포함한다. 다른 타입의 내장성 통증은 전형적으로 유강장기(hollow viscus)의 폐색에 의해 유발되며, 간헐적 경련(intermittent cramping) 및 심한 국부 통증이 특징이다. 내장성 통증은 방광염(cystitis) 또는 역류성 식도염(reflux esophagitis)의 경우에서와 같이 염증과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염증성 통증”은 외상(trauma), 외과수술, 감염 및 자가면역 질환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활동성 염증(active inflammation)과 관련이 있는 통증을 포함한다.
염증성 통증은 수술 후(postoperative), 외상 후(post-traumatic) 통증, 관절염(류마티스성(rheumatoid) 또는 골관절염(osteoarthritis)) 통증, 및 축성 하부요통(axial low back pain)의 경우와 같이 관절(joints), 근육 및 힘줄(tendons)의 손상과 관련된 통증을 포함하는 조직 손상 또는 염증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통증이다.
상기 용어 “표면성 통증(superficial pain)”은 배근(dorsal root)의 신경이 분포된 피부 분절에 따라 느껴지는 통증을 말하며, 자극을 느낀 지점에서 통증을 느끼는 직접적인 통증이다.
상기 용어 “심부통증(deep pain)”은 심부 기관에서 유래되는 통증으로 조직의 성격에 따라 통증의 특징과 정도가 다르다. 통각이 특히 예민한 부분은 건(tendon), 심부근만, 인대, 관절, 골막, 혈관 및 신경이다. 일반적으로 심부통증은 감각이 둔하고 주위로 퍼지며 느껴지는 부위가 넓다. 심부나 내장 등의 통증은 그 기전이 복잡하여 표면성 통증보다 통증의 위치를 찾기 어렵고, 오심, 발한, 혈압 상승 등의 문제도 함께 나타난다.
상기 용어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은 본 명세서에서 말초 또는 중추신경계의 장애의 결과로 생기는 말초 또는 중추신경계에 의한 비정상적 과정(abnormal processing)의 감각 입력에서 비롯된 통증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통각수용성 통증과 대조적으로, 신경병증성 통증은 실제 “타는 듯한(burning),” “감전된 듯한(electric),” “얼얼하거나 저린(tingling),” 또는 “쿡쿡 쑤시는(shooting)” 것으로 묘사된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종종 만성 이질통(chronic allodynia)(가벼운 터치와 같은, 보통 통증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자극으로 인한 통증으로 정의된다) 및 감각과민(hyperalgesia)(정상적인 통증자극에 대한 높은 감수성으로 정의된다)에 의해 설명되며, 어떤 손상된 조직의 외관상 치료(apparent healing) 후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시술 통증(procedural pain)”은 내과, 치과 또는 외과 시술에서 일어나는 통증을 나타내며 상기 시술은 보통 예정되어 있거나 또는 급성 외상과 관련되어 있다.
상기 용어 “가려움(itch)”은 본 명세서에서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국부에 제한하여 일반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급성 간헐성 및 지속성의, 모든 타입의 가렵고 찌르는 듯한 감각들을 의미한다. 상기 가려움은 특발성, 알러지성, 대사성, 감염성, 약물-유도성, 간, 신장 질환에 기인하거나 또는 암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소양증(Pruritus)”은 중증 가려움증(severe itching)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의 동백나무 추출물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99.9 중량%, 0.1 내지 99.0 중량%, 0.1 내지 90.0 중량%, 0.1 내지 80.0 중량%, 0.1 내지 70.0 중량%, 0.1 내지 6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피부, 정맥, 근육,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고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또는 경피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의 비경구 제형 등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동백나무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연고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경피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제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인간에게 적용하는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standard pha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제학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동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전분 또는 락토오즈를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또는 단독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캡슐 형태로, 또는 맛을 내거나 색을 띠게 하는 화학 약품을 함유하는 엘릭시르 또는 현탁제 형태로 경구, 구강 내 또는 혀 밑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현탁제(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즈, 위텝솔과 같은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또는 행인유(apricot kernel oil)와 PEG-6 에스테르의 혼합물 또는 PEG-8과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과 같은 글리세라이드 혼합물)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 형태, 건강 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효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1일 투여량이 0.5 내지 1.0 g/kg, 0.6 내지 1.0 g/kg, 0.7 내지 1.0 g/kg, 0.8 내지 1.0 g/kg, 0.9 내지 1.0 g/kg, 바람직하게는 1.0 g/k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많거나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침출차, 건강 식품류 등의 각종 식품류 및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등의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동백나무 추출물의 함량은 식품의 형태, 소망하는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동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동백나무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 발생된 통증에 대해 완화 및 치료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통증이 발생하기 이전에 대상에 투여하면 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맥주사 또는 피부 도포 등의 방법이 아닌 경구 투여를 통해서도 현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동물에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다음, 발바닥 절개 수술을 실시하고 5시간 및 24시간 후 수술 부위의 통증 민감도를 기계적 이질통 평가(von frey filament test)를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n=10) vs.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n=8), ** p<0.01
도 2는 실험동물에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다음, 발바닥 절개 수술을 실시하고 6시간 및 24시간 후 22-27 kHz 음력대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횟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n=10) vs.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n=8), * p<0.05, ** p<0.01
도 3은 실험동물에 신경 분지 결찰 손상 수술을 실시하고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매일 경구 투여한 다음, 3일, 6일, 9일, 12일 및 15일 후 수술 부위의 통증 민감도를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n=10) vs.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n=8), * p<0.05, ** p<0.01, *** p<0.001
도 4는 실험동물에 CFA를 투여하여 염증성 통증을 유도하고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매일 경구 투여한 다음, 4시간, 6시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 후 수술 부위의 통증 민감도를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n=5) vs.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n=5), * p<0.05
도 5는 실험동물에 빈크리스틴(vincristine)를 투여하여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발하고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매일 경구 투여한 다음, 6일, 7일, 8일, 11일, 14일 및 17일 후 수술 부위의 통증 민감도를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n=5) vs.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n=5), * p<0.05, ** p<0.01
도 6은 실험동물에 파크리탁셀(paclitaxel)를 투여하여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발하고 7일째부터 13일째까지 매일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다음, 6일, 7일, 8일, 11일 및 13일 후 수술 부위의 통증 민감도를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n=5) vs.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n=5), * p<0.05, ** p<0.01
도 7은 실험동물에 STZ를 투여하여 당뇨 유도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도하고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매일 경구 투여한 다음, 0일 및 12일 후 수술 부위의 통증 민감도를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n=5) vs. 동백나무 잎 추출물 200 mg/kg (n=5), * p<0.05
도 8은 CCR2 발현 세포주에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 vs. 동백나무 잎 추출물 10 μg/ml, ** p<0.01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방법
1. 동백나무 잎 추출물 제조
동백나무 잎 시료를 열풍 건조하고 원물 100 g당 70 vol% 주정(grain alcohol)을 10배(v/v) 첨가하여 8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액 및 잔사 추출액을 합하여 여과 후 감압 농축하였다. 모든 추출물은 여과 및 감압농축을 거쳐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실험동물
Sprague-Dawley(SD) 랫트(200-250 g, 웅성), C57Bl/6 마우스(21-26 g, 웅성)는 (주) Samtako에서 분양받아 실험동물용 사육상자에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의 사육은 온도 22±1, 습도 55± 5%, 밤낮주기(12시간 낮/ 12 시간 밤), 조도 300 Lux의 조건하에 이루어졌으며, 사료 및 음수는 자유 급여하였다. 모든 동물들은 KFRI-IACUC(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실험동물 사용지침에 의해 관리되었다.
3. 시료조제 및 투여
실험동물에 대하여 체중을 측정하고 무작위적으로 실험군을 분리하였으며, 피모색소표시법을 이용하여 개체를 식별하였다.
동백나무 잎 70% 주정 추출물 시료는 2차 증류수에 적정 농도로 용해 및 현탁시켜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료는 랫트의 경우, 300 mg/kg/5 ml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으며, 마우스의 경우, 200 mg/kg/10 ml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동량의 2차 증류수를 경구투여하였다.
4. 통증 동물 모델 제작
4-1. 피부 절개 모델(skin incision model)
랫트 피부 절개 모델은 Brennan에 의해 제안되었다(Brennan, 1996). 일반적으로 수술 후 통증은 급성 통증의 한 형태로 생각되고 있으며, 랫트의 절개모델은 인간의 수술 후 통증 상태와 유사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랫트 피부 절개 모델을 제작하기 위해 먼저, 이소포란액으로 흡입 마취 장비를 사용하여 SD 웅성 랫트(200-250 g)를 전신 마취하고 왼쪽 발바닥을 10% 포비돈액으로 소독 후 발 뒤꿈치 끝부분 0.5 cm 떨어진 부분에서 시작하여 세로 방향으로 1 cm 길이의 피부와 근막을 11번 수술용 칼로 절개하였다. 절개한 부분의 발바닥 근육(족저근)을 포셉으로 들어올려 1 cm 길이를 분리하였다. 세로 방향의 양쪽 끝부분은 발바닥 근육이 떨어지지 않게 조심해서 들어올려 분리하고 절개된 부분을 부드럽게 압박하여 지혈하였다. 지혈된 절개 부위의 근막과 피부는 나일론 4-0 봉합사로 봉합 후 10% 포비돈액으로 소독하였다. 수술 후 감염 방지를 위해 항생제 연고를 도포하고, 사육 케이지에 옮겨 회복시켰다.
관찰기간 중 감염이 발생하거나, 봉합 부위가 터진 동물과 부종이 생긴 동물은 실험에서 제외시켰다.
4-2. 신경 분지 결찰 손상(Spared nerve injury, SNI)
신경 분지 결찰 손상 동물 모델은 Decosterd 및 Woolf에 의해 제안되었다(Decosterd & Woolf, 2000).
신경 분지 결찰 손상 동물 모델을 제작하기 위해 먼저, 이소포란액으로 흡입 마취 장비를 사용하여 SD 웅성 랫트(200-250 g)를 전신 마취하였다. 전신 마취 하에서 랫트의 좌측 넓적다리의 측면 피부를 면도하고 절개하여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을 분리한 후 좌골 신경의 세 말단분지를 노출시켰다. 좌골 신경은 비복신경(sural nerve), 총비골 신경(common peroneal neve), 경골 신경(tibial nerve)의 세 가닥의 신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비복 신경은 손상을 가하지 않고 온전히 유지해야 하는데 좌측 다리 기준에서 관찰 시 오른쪽으로 분기해 있으며, 가장 작은 신경이다. 총비골 신경, 경골 신경은 다리 방향으로 근육을 따라 분기해 있으며, 각각 분리하여, 나일론 4-0 봉합사를 이용하여 단단히 결찰한 후, 포셉과 가위를 이용하여 2-4 mm 길이를 절단하여 제거하였다. 신경 절단을 마무리한 후, 근육층을 봉합사로 봉합한 다음, 피부 절개 부위를 다시 봉합하여 실험동물을 사육 케이지로 옮겨 회복시켰다.
4-3. CFA(Complete Freund`s Adjuvant) 유발 염증성 통증 모델
CFA는 가열 처리에 의해 비활성화시킨 후 건조시킨 결핵균을 오일/살린(oil/saline)(1:1)에 0.5 mg/kg 농도로 유화시켜 만든 항원 용액이다. CFA 유발 염증성 통증모델은 Sotocinal의 방법을 인용하였다(D. De Rantere et. al., 2016). CFA 처리는 이소포란액으로 흡입 마취 장비를 사용하여 전신 마취 후 진행하였다. CFA(Sigma-Aldrich Korea) 용액에 생리식염수로 50% 희석한 후 랫트의 왼쪽 발바닥의 피부 6 mm 아래에 150 μl 피하주사하였다. 주사한 CFA 용액이 세어 나오지 않도록 눌러서 압박하고, 마취에서 깨어나면 사육 케이지로 옮겨 회복시켰다.
4-4. 화학요법 유도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CIPN)
항암제 빈크리스틴(vincristine), 파크리탁셀(paclitaxel)을 이용한 CIPN 유도방법은 Authier(Authier et al., 1999)과 Ghirardi(Ghirardi O et al., 2005)의 방법을 참고하여 실험하였다. 빈크리스틴 150 μg/kg, 파크리탁셀 2 mg/kg의 용량을 7일간 매일 1회 복강 내 주사하여 CIPN을 유발하였으며, von Frey test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4-5. 당뇨 유도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STZ)에 의해 유도된 당뇨 질환 동물 모델 제작은 Moura의 실험방법을 따라 진행하였다(Moura LI. et. al., 2014). 4시간 절식시킨 C57Bl/6 마우스에 STZ 구연산 나트륨 용액을 7.5 mg/ml로 만든 후, 50 mg/kg의 용량으로 5일 연속 복강 내 투여하여 유발시켰다. 당뇨 질환 동물 모델의 확인은 12시간 절식 후 공복 혈당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당뇨 질환 동물 모델의 평균 공복 혈당이 450 mg/dl으로 당뇨 유도를 하지 않은 마우스 평균 공복 혈당인 95 mg/dl 보다 확연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4-6. 칼슘 농도 측정(Calcium imaging)
CCR2(chemokine receptor type 2)를 발현하는 HEK 세포를 1×104/mL 농도로 블랙 96 웰 플레이트에 시딩하고,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HEPES 버퍼로 1회 세척 후, Fura-2 am 5 μM을 세포에 30분간 처리하였다. HEPES 버퍼로 3회 세척 후,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10 μg/ml 농도로 처리한 뒤 30분간 배양하였다. 96 웰 플레이트를 형광 현미경에 옮긴 후, 15초가 될 때 CCR2의 리간드인 MCP-1을 처리하고 2분 30초 동안 세포를 관측하였다. HEPES 버퍼가 들어있는 대조군에 MCP-1을 처리하였을 때 변화되는 비율값을 1로 설정하였다.
5. 평가 방법
5-1. 기계적 이질통 평가(von frey filament test)
동물 통증 모델 제작 후 기계적 이질통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Chaplan 등에 의해 기술되었다(Chaplan et. al, 1994). 랫트를 그물눈의 크기가 2×2 mm 인 철망 실험대 위에 설치된 아크릴 상자에 넣고 15분 이상 적응시킨 뒤, 쥐의 움직임 등이 조용해지면 연속된 굵기의 본 프레이 필라멘트(Stoelting, 미국)를 사용하여 통증 역치(g) 값을 평가하였다. 필라멘트를 좌측 환부 발바닥에 수직으로 접촉시키고 5-6초간 유지시켜 랫트가 신속한 회피반응을 보이거나 또는 hairs를 떼면서 즉시 움찔하거나 발바닥을 핥으면 양성반응을 보인 것으로 간주한다. 중앙부의 본 프레이 필라멘트부터 자극하여 양성반응을 보이면 약한 필라멘트로 자극하고, 양성반응이 없으면 강한 필라멘트로 자극하며 진행하였다. 양성 반응을 나타내는 최소의 자극 크기를 역치로 하며, 15 g 이상에서도 반응이 없을 때를 상한선으로 하여 더 이상 적용하지 않았다. CFA(Complete Freund`s Adjuvant) 유발 염증성 통증 모델과 화학요법 유도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에서는 실험동물의 뒷발바닥 중앙 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5-2. 초음파 발성음(ultrasound vocalization calls)
랫트는 통증, 고통, 위축, 스트레스 상태에 있을 때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그 초음파 범위는 22-27 KHz 로 보고되고 있다(Portfors, 2007). 수술 후 6시간, 24 시간의 통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10분 동안 USV 측정 시스템(Sonotrack®, ver 1.5.0, Metris, 네덜란드) 장비를 이용하여 통증을 느낄 때 랫트가 내는 초음파(22-27 KHz) 발성음을 측정하였다. 초음파를 측정할 수 있는 아크릴 상자에 랫트를 넣어두고 15분 동안 안정화시킨 후 10분 동안 초음파 측정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1. 수술 후 통증 동물모델에서 동백나무 잎 추출물의 통증 완화 효과 확인
피부 절개 수술 30분 전,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을 경구투여하고, 피부 절개 수술 5시간 후에 수술 부위의 통증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하였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통증 역치(g) 값이 0.700±0.068(g)인데 비하여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처리군은 2.175±0.425(g)로 통증을 느끼는 힘의 크기가 유의적(p<0.01)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술 후 1일(POD1) 통증 역치 결과는 대조군 0.680±0.090(g)인데 비하여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처리군은 2.825±0.688(g)로 통증을 느끼는 힘의 크기가 유의적(p<0.01)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2. 초음파 발성음 측정을 통한 동백나무 잎 추출물의 통증 완화 효과 확인
피부 절개 수술 30분 전,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을 경구투여하고, 피부 절개 수술 후 6시간, 24시간(POD1)의 시간대 별로 실험동물이 통증을 느낄 때 유발하는 초음파 음력대(22-27 kHz)를 측정 후, 그 횟수를 정량화하여 동백나무 잎 추출물의 통증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술 6시간 후, 초음파 발성음 측정값에서 대조군이 18.8±4.273(calls)인데 비하여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처리군은 5.125±1.231(calls)을 기록하여 유의적(p<0.01)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24 시간(POD1) 후 결과 역시 대조군이 20.1±5.786(calls)인데 비하여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처리군은 5.5±1.701(calls)을 기록하여 유의적(p<0.05)으로 22-27 kHz 초음파 측정 기록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3.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통한 동백나무 잎의 통증 완화 효과 확인
신경 분지 결찰 손상 수술 후 15일 동안 매일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을 경구 투여하고 통증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하였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술 후 3일, 6일, 9일, 12일, 15일에서 대조군의 통증 역치(g) 값이 0.975±0.179(g), 0.49±0.14(g), 0.415±0.118(g), 0.2±0.059(g), 0.138±0.015(g)인데 비하여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처리군은 4.0±0.436(g), 1.743±0.121(g), 1.629±0.182(g), 2.0±0.338(g), 1.371±0.211(g)로 통증을 느끼는 힘의 크기가 유의적(p<0.01)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동백나무 잎 추출물이 단기 통증 모델뿐만 아니라. 장기 통증 모델에서도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경 분지 결찰 손상 수술 전 두 군 간의 통증에 대한 베이스 라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실험군 사이의 수술 전 통증 역치(g) 값은 동일하였음을 확인하였다.
4. 염증성 통증 동물 모델에서 동백나무 잎의 통증 완화 효과 확인
CFA에 의한 염증성 통증 모델 유발 후 3일 동안 매일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를 경구투여하였으며, 유발 4시간, 6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 발바닥 통증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하였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통증 역치(g) 값이 7.2±1.02(g), 5.2±1.2(g), 3.6±1.13(g), 4.52±1.382(g), 6.2±1.744(g)인데 비하여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처리군은 12.6±1.503(g), 9.8±1.497(g), 6.8±0.8(g), 8.4±0.748(g), 12.2±1.715(g)로 통증을 느끼는 힘의 크기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동백나무 잎 추출물의 통증완화 효과는 염증성 통증 모델에서도 확인되었다. CFA에 의한 염증성 통증 모델 유발 전 두 군 간의 통증에 대한 베이스 라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실험군 사이의 수술 전 통증 역치(g) 값은 동일하였음을 확인하였다.
5. 항암제 유도 통증 동물 모델에서 동백나무 잎의 통증 완화 효과 확인
항암제 빈크리스틴 150 μg/kg를 투여하여 유발한 화학요법 유도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CIPN) 모델에 17일 동안 매일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경구투여 하였으며, 유발 7일째 von Frey filament test를 통하여 통증 유발 여부를 확인하였다. 17일째까지 von Frey filament test를 통하여 통증 완화 효과를 관찰하였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빈크리스틴 투여 마지막 날인 7일째 대조군의 통증 역치(g) 값이 4.5±1.258(g), 동백나무 잎 300 mg/kg 군은 5.85±1.938(g)으로 두 군간의 통증 역치값의 차이가 없이 잘 유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 후 11일째, 14일째, 17일째 대조군의 통증 역치(g) 값이 3.58±0.943(g), 4.0±0.816(g), 7.5±0.957(g)인데 비하여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처리군은 8.0±0.816(g), 10.75±1.493(g), 16.5±3.379(g)로 통증을 느끼는 힘의 크기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동백나무 잎 추출물의 통증 완화 효과는 화학요법 유도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CIPN) 모델에서도 확인되었다.
화학요법 유도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CIPN) 모델 유발 전 두 군 간의 통증에 대한 베이스 라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 두 실험군 사이의 수술 전 통증 역치(g) 값은 동일하였음을 확인하였다.
6. 항암제 투여에 의한 통증 동물모델에서 동백나무 잎의 통증 완화 효과 확인
항암제 파크리탁셀 2 mg/kg를 투여하여 유발한 화학요법 유도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CIPN) 모델은 유발 7일째 von Frey filament test를 통하여 통증유발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후 7일째부터 13일째까지 매일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를 경구투여하며 von Frey filament test를 통하여 통증 완화 효과를 관찰하였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파크리탁셀 투여 마지막 날인 7일째 대조군의 통증 역치(g) 값이 3.0±1.0(g), 동백나무 잎 300 mg/kg 군은 2.5±1.5(g)으로 두 군간의 통증 역치값의 차이가 없이 잘 유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 후 11일째, 13일째 대조군의 통증 역치(g) 값이 1.7±0.3(g), 1.2±0.2(g)인데 비하여 동백나무 잎 추출물 300 mg/kg 군은 7.0±1.0(g), 4.0±0.1(g)로 통증을 느끼는 힘의 크기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동백나무 잎 추출물의 통증 완화 효과는 화학요법 유도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CIPN) 모델에서도 확인되었다.
화학요법 유도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CIPN) 모델 유발 전 두 군간의 통증에 대한 베이스라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실험군 사이의 수술 전 통증 역치(g) 값은 동일하였음을 확인 하였다.
7. 당뇨병 유발 동물모델에서 동백나무 잎의 통증 완화 효과 확인
당뇨로 인한 통증이 유도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동백나무 잎 추출물 투여 전인 0일 von Frey filament test를 이용하여 평균 기계적 통증 역치값(Mechanical withdrawal threshold)을 측정하였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당뇨를 유도하지 않은 마우스의 평균값은 2.25±0.445(g)이었으며, 당뇨 유발 마우스의 평균 통증 역치값은 0.67±0.16(g)이었다. 당뇨 모델에서 통증 역치값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200 mg/kg 용량으로 12일 동안 매일 1회 투여하였으며, 12일 후에 통증 역치값이 2.26±0.554(g)으로 동백나무 잎 추출물 투여 전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 종료 후 평균 공복 혈당을 측정한 결과 440 mg/dl로 당뇨 질환이 모델이 계속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8. 세포 내 칼슘 농도 측정을 통한 동백나무의 CCR2 길항제 효능 확인
CCL2(C-C motif chemokine ligand 2)와 수용체인 CCR2는 다양한 종류의 통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통증 모델인 피부절개모델 유도 후에 생기는 mechanical hypersensitivity에 CCL2가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Abbadie C. et al. 2003).
신경 분지 결찰 손상 모델과 마찬가지로 신경 손상으로 통증을 유도한 좌골신경손상 모델에서도 통증이 유발되는데, 야생형(wildtype)과 다르게 CCR2를 녹아웃 시킨 마우스에서 통증이 감소하였다(Peters CM and Eisenach JC, 2010). 또한, CFA 유발 염증성 통증 모델에서도 CCR2 녹아웃 마우스에서 통증이 감소하였다(Peters CM and Eisenach JC, 2010).
화학요법 유도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에서 또한 CCL2/CCR2 신호전달을 억제하였을 때 통증이 완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Zhang H et al. 2013).
이와 같은 문헌을 통해서 CCR2 길항제가 다양한 종류의 통증 완화에 효능을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에서는 동백나무 추출물이 CCR2 길항제 역할을 통해 통증을 완화하는지 확인하였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CCR2 길항제(antagonist)인 INCB3344를 전처리 하였을 경우에 대조군 대비 칼슘 농도가 완전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백나무 잎 추출물 10 μg/ml을 전처리한 세포에서 대조군 대비 칼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동백나무 잎 추출물이 CCR2 길항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발명인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잎 추출물은 통증 동물 모델인 피부 절개 모델과 신경 분지 결찰 손상 모델, CFA 유발 염증성 통증 모델, 화학요법 유도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 당뇨 유도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에서 모두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세포 내 실험에서 CCR2 길항제 기능을 나타내는 칼슘 농도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증 예방, 완화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7)

  1.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나무는 동백나무 잎인 것인,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나무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의 조합의 용매 추출물인 것인,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체성 통증(somatic pain), 내장성 통증(visceral pain), 염증성 통증, 기능장애 통증, 특발성 통증, 신경병증성 통증, 표면성 통증(superficial pain), 심부 통증(deep pain), 가려움, 편두통 및 암 통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나무 추출물은 통증을 느끼는 힘의 역치 값을 증가시키는 것인,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6.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나무는 동백나무 잎인 것인,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70151554A 2017-11-14 2017-11-14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6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554A KR102106325B1 (ko) 2017-11-14 2017-11-14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18/012925 WO2019098568A2 (ko) 2017-11-14 2018-10-29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554A KR102106325B1 (ko) 2017-11-14 2017-11-14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695A true KR20190054695A (ko) 2019-05-22
KR102106325B1 KR102106325B1 (ko) 2020-05-06

Family

ID=66537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554A KR102106325B1 (ko) 2017-11-14 2017-11-14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6325B1 (ko)
WO (1) WO20190985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3851A (zh) * 2020-08-02 2023-09-19 许颢瀚 一种抑制神经元痛感配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071A (ko) * 2007-10-23 2009-04-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snare 복합체 형성을 억제하기위한 조성물
US20100055219A1 (en) * 2006-03-15 2010-03-04 Tropical Technology Center Ltd. Antiinflammatory agent
KR20140005552A (ko) * 2012-07-04 2014-01-15 배용태 동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또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40B1 (ko) * 2007-11-07 2009-08-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알레르기조성물
KR101326162B1 (ko) * 2009-10-01 2013-11-07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항염증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5219A1 (en) * 2006-03-15 2010-03-04 Tropical Technology Center Ltd. Antiinflammatory agent
KR20090041071A (ko) * 2007-10-23 2009-04-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snare 복합체 형성을 억제하기위한 조성물
KR20140005552A (ko) * 2012-07-04 2014-01-15 배용태 동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또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kanda MR 외. Involvement of MAPK/NF-κB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Camellia japonica mitigates inflammation and gastric ulcer. Biomed Pharmacother. 2017 Nov;95:1139-114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8568A2 (ko) 2019-05-23
KR102106325B1 (ko) 2020-05-06
WO2019098568A3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i et al. Invitro anti-inflammatory and anti-artheritic property of Rhizopora mucronata leaves
KR20110140015A (ko) 용안육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annelli et al. Widespread pain reliever profile of a flower extract of Tanacetum parthenium
KR101584279B1 (ko)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0485B1 (ko)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0840B1 (ko) 천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6325B1 (ko)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84410B1 (ko) 매실나무 추출물의 조성물 제조에서의 응용
KR101009904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598600B1 (ko) 천수근 및 가시오가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4043345A2 (en) Extract of trapa nata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70099105A (ko) 모과, 감초 및 두릅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3875B1 (ko)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18881B1 (ko) 면역증강, 염증치료 및 통증치료용 수지봉독과 이를 이용한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umar et al. The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mother of thousand (Kalanchoe pinnata)
KR101784591B1 (ko) 왕머루, 감초 및 독활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Ofoego et al. Ethanolic Seed Extract of Cucurbita Pepo (Pumpkin) Protects the Testis from Azadirachta Indica (Neem) Induced Damage
KR20200132261A (ko) 싸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40008975A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359760B1 (ko) 노루오줌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Rao et al. Hypolipidemic effect of dichloromethane as well as methanolic fruit and leaf extract of Ethiopian alligator pear (persea americana mill.) on tyloxapol-induced hyperlipidemic experimental rat
KR102296347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용 조성물
KR102207952B1 (ko) 실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치매, 뇌졸증 및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49783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억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50098370A (ko) 천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