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545A -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 - Google Patents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545A
KR20190054545A KR1020170151225A KR20170151225A KR20190054545A KR 20190054545 A KR20190054545 A KR 20190054545A KR 1020170151225 A KR1020170151225 A KR 1020170151225A KR 20170151225 A KR20170151225 A KR 20170151225A KR 20190054545 A KR20190054545 A KR 20190054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rotrusion
support
hull
pi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370B1 (ko
Inventor
김태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1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3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2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large sea-borne storag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70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8Supporting f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지지구조는,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탱크;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되며 상기 탱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탱크에서 상기 선체를 향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선체에서 상기 탱크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각각 관통하여 연결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Tank support structure and ship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체에 설치된 엔진(engine)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추진기와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프로펠러(propeller)를 포함하며, 엔진의 동력에 기초하여 프로펠러가 회전되어 발생되는 추진력으로 운항된다.
여기서, 해상으로 액체 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선박들이 제작되며, 예를 들면 LNG(liquefied natural gas), LPG(liquefied petroleum gas), 원유(crude oil) 등의 액체 화물을 옮기기 위하여 각각의 화물 특징에 따라 선체가 제작되고, 이러한 선체에 화물을 저온 또는 고압 등으로 밀폐, 보온 되도록 하기 위하여 특수한 형태의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적용되고 있다.
특히, LPG 운반선은 독립형 화물창을 탑재하기 위해 선체와 탱크에 다수의 지지구조와 구조적 보강이 필요하다. 그런데 현재의 지지구조는 vertical support, anti-rolling chock, anti-pitching chock, anti-floating chock 등 각 방향 성분의 하중과 거동을 제어하기 위한 지지부가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에 대한 다수의 보강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Anti-floating chock는 일상적인 운항 조건이 아닌 침수가 발생하는 사고상태를 가정하여 구비되어 있는 장치로, 침수조건은 탱크에 적용되는 모든 하중조건 중 유일하게 선저로부터 상부 방향인 수직 상방(+ z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기 보강되어 있는 선저 구조와 탱크 하부 구조 외에도 선체와 탱크 모두 anti-floating chock가 설치되는 상부의 구조보강이 필요하며, 이때 탱크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에 대한 보강 취약시 좌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구조 경량화에 한계가 있으므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지지구조의 기능을 통합하여, 탱크를 지지하는 지지구조의 단순화로 보강 물량을 절감할 수 있는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지지구조는,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탱크;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되며 상기 탱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탱크에서 상기 선체를 향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선체에서 상기 탱크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각각 관통하여 연결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상기 탱크 지지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일부 영역이 간섭되게 마련되어, 서로 간섭되는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구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관통홀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거나 상기 핀부재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핀부재는,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은, 독립형 탱크의 지지구조와 회전 운동(anti-rolling/anti-pitching)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기능을 통합할 수 있어, 구조가 단순화됨으로써 선박의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건조시간의 단축 및 전체 하중을 감소시켜 화물 운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nti-floating 구조가 기 보강되어 있는 선저부를 활용하고, 부력을 받는 탱크를 위에서 누르는 형태가 아닌 하부에서 잡아주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압축하중을 인장하중으로 변경, 좌굴에 대한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지지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지지구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지지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탱크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탱크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탱크 지지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탱크 지지구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탱크 지지구조의 와이어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탱크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은, 선체(11)와 탱크 지지구조(100)를 포함하고, 탱크 지지구조(100)는 탱크(11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박(10)은 LNG 운반선, 컨테이너선 등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마련하는 선박이라면 어떤 형태라도 무방하나, 이하에서는 선박(10)이 LNG 운반선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선체(11) 내부에는 엔진룸(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고, 엔진룸 내부에는 프로펠러(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동력장치는 연료를 소비하는 수여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수여처는 연료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장비로서, 보일러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엔진(도시하지 않음)(추진용 엔진, 가스연료 발전기용 엔진 등)이나 보일러 등은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으며, 연료를 공급받기 위해 공급라인(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고, 공급라인 상에는 펌프(도시하지 않음)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이하에서 설명되는 탱크(110)는 화물이 저장되는 구성으로 마련되어,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탱크와 구분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서, 엔진이나 탱크에 공급 또는 저장되는 연료인 액화가스는 LNG 또는 LPG, 에틸렌,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증발가스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증발가스는 기체 상태의 증발가스뿐만 아니라 액화된 증발가스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탱크(110)는 선체(11)의 내부에 마련되는 독립형 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탱크(110)는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 되는지에 따라 독립형(Independent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특히, 독립형 저장탱크는 MOSS형과 SPB형으로 나눠질 수 있고, 본 실시예의 탱크(110)는 독립형 탱크 중 SPB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20)는 선체(11)에 마련되며 탱크(11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독립형으로 이루어지는 탱크(110)는, 구조상 선체(11) 바닥에 얹혀 질 수 있도록 지지되기 위한 지지구조가 요구되어, 탱크(11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지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지지부(120)는 종래의 복잡한 구조에 대비하여 단순하게 이루어져 조립이 용이해짐으로써 인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종래에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지지구조가 요구되던 것과 달리, 기능이 통합된 지지부(120)를 이룸으로써 보강 물량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120)는 탱크(110)의 하부만 아니라 탱크(110)의 상부에 마련되어, 탱크(110)와 선체(11)를 연결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지부(120)는 탱크(11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도 부유방지를 이룰 뿐만 아니라, 지지부(120)가 탱크(110)의 상하부에 마련되는 경우 롤링과 피칭을 방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20)는, 제1 돌출부(121), 제2 돌출부(122) 및 핀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에 따라 지지부(120)의 배치 관계가 선박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20)는 탱크(11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 및 편의를 위해 지지부(120)가 탱크(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에 기술되는 상하 위치는 탱크(110)와 선체(11)에 마련되는 구성의 배치 관계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제1 돌출부(121)는 탱크(110)에서 선체(11)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돌출부(122)는 선체(11)에서 탱크(1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121)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 돌출부(121)와 제2 돌출부(122)는 상하가 서로 대칭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12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판 형태를 이루고, 제2 돌출부(122)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판 형태를 이루어, 제1 돌출부(121)와 제2 돌출부(122) 각각이 연결된 지점이 제1 돌출부(121)와 제2 돌출부(122)가 서로 마주하는 영역에 대비하여 확장된 형태를 일룰 수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돌출부(121)와 제2 돌출부(122) 각각은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1 돌출부(121)와 제2 돌출부(122) 중 어느 하나는 쌍으로 마련되어, 쌍으로 마련되는 구조물 사이에 다른 하나가 삽입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121)와 제2 돌출부(122)는 일부 영역이 간섭되게 마련되어, 서로 간섭되는 영역에 핀부재(123)가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1221)이 형성됨으로써, 제1 돌출부(121)와 제2 돌출부(122)는 핀부재(123)에 의해 구속되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핀부재(123)는 제1 돌출부(121)와 제2 돌출부(122)를 각각 관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제1 돌출부(121)는 제2 돌출부(122)에 구속되고, 제2 돌출부(122)는 제1 돌출부(121)에 구속됨으로써, 제1 돌출부(121)에 연결된 탱크(110)는 Anti-floating system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탱크의 부유가 방지되는 Anti-floating system은, 이미 강건한 구조의 탱크(110) 하부와, 선체(11)의 선저부를 활용하는 것이므로, 종래의 Anti-floating chock를 설치하기 위한 선체(11) 및 탱크(110) 상부의 추가적인 보강을 이룰 필요가 없어, 선박(10)의 보강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으므로, 보강 구조로 인한 선박(10)의 하중 절감으로 화물 적재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구조 보강을 이루기 위한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인력이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핀부재(123)는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 일례로 중심부에는 강철봉이 마련되되 강철봉의 둘레면에 고무, 실리콘, 나무 등의 재질이 코팅 또는 커버된 형태를 이루거나, 단순히 목재만으로 이루어져, 핀부재(123)가 직접 맞닿는 제1 돌출부(121)와 제2 돌출부(122) 사이의 열전도가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핀부재(123)가 접촉되는 제1 돌출부(121)와 제2 돌출부(122)의 면적은 핀부재(123)의 둘레면 중 관통홀(1221)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한정되어, 열전도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탱크(110)와 선체(11) 사이의 단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탱크(110)의 하부에는 공지된 별도의 단열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단열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핀부재(123)는 선체(11)와 탱크(110) 사이의 열전달을 최소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핀부재(123)의 직경과 관통홀(1221) 직경에 유격이 마련되어 침수상황 외의 거동은 제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핀부재(123)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봉 또는 넓적한 바(모서리가 둥글게 이루어질 수 있음) 등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어, 탱크(110)의 지지구조 설계에 따라 특정한 방향의 자유도를 풀어줌으로써 열 수축 등으로 인한 탱크(110)의 변형에 대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부(12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탱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지지부(120)에 의해 탱크(110)가 선체(11)에 지지되는 구조로 마련되고, 지지부(120)는 선체(11)의 흔들림에 따라 탱크(110)의 이동을 허용하되, 일단이 고정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20)는 복수의 지지부(120) 중 어느 하나가 고정형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고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극저온의 연료가 충진/배출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탱크(110)가 수축/팽창하더라도 이동 가능한 지지부(120)에 의해 즉 관통홀(1221) 내에서 핀부재(123)가 슬라이딩 가능하여 탱크(110)의 수축/팽창에 연동하여 핀부재(123)가 이동함으로써 지지부(120)와 탱크(110)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핀부재(123)는 탱크(110)의 자유도 설계에 따라, 단순 회전형, 슬라이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단순 회전형의 핀부재(123)는 관통홀(1221)의 둘레면에 장착을 이루되 슬라이딩은 방지된 상태에서 아이들 회전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형의 핀부재(123)는 관통홀(1221) 내에서 핀부재(123)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관통홀(1221)의 직경은 핀부재(123)보가 폭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어 핀부재(123)의 슬라이딩을 허용할 수 있다.
아울러, 핀부재(123)는 단순 회전형, 슬라이딩형에 관계없이 절단면이 원형, 타원형, 다면체 등 다양한 변형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핀부재(123)의 단순 회전형과 슬라이딩형은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탱크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탱크 지지구조에 설치된 와이어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선박(10)은, 탱크(110)와 탱크 지지구조(200)를 포함할 수 있고, 탱크 지지구조(200)는 돌출부(220), 서포트(230), 초크부(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탱크 지지구조(200)가 앞서 설명한 지지부(120)와 개별로 구비되거나 함께 구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탱크 지지구조(200)가 일 실시예의 탱크 지지구조(100)와 조합되는 경우, 일 실시예의 지지부(120)는 본 실시예의 초크부(15)로 대체되거나, 또는 지지부(200)와 초크부(15)가 서로 번갈아 가며 배치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물론 공지된 구성 및 메카니즘이 서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탱크 지지구조(200)의 돌출부(220)는 탱크(110)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탱크(110)의 하부에서 선체(11) 측으로 돌출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바(bar)를 갖는 형태일 수 있고,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 일례로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20)는, 제1 돌부(221) 및 제2 돌부(22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돌부(221)는 제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centerline BHD(bulkhead)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돌부(222)는 제1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마련되는 제2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swash BHD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220)는 제1 돌부(221)와 제2 돌부(222)에 의해 연속된 십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어 구조보강이 용이하고, 벌크헤드(bulkhead)가 자중 및 화물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추가적인 보강구조를 최소화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돌부(221)와 제2 돌부(222)의 연속적인 구조는, 선박(10)이 대형 구조물인 점을 감안하여,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복수의 나무 블록이 서로 단순히 맞닿거나 볼트/접착제 등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제조 방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뿐만 아니라, 탱크(110)의 하부에서 십자 형태로 이루어진 돌출부(220)는 서포트(230)에 의해 구속되어 예를 들어 제1 돌부(221)와 제2 돌부(222) 각각에 의해 롤링 초크와 피칭 초크 기능을 이룰 수도 있으므로, 돌출부(220)에 의한 보강 범위를 최소화하여, 탱크(110) 하부에서 돌출부(220)가 마련되지 않는 공간에 상술한 지지부(120)나 초크부(15)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Flooding condition은 draught level의 정수압만을 견디면 되므로, 돌출부(220)/서포트(230)를 설치하고 남게 되는 탱크(110) 하부의 공간만을 활용하여 초크부(15)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돌출부(220)는 초크부(15)에 의해 상호 보완될 수 있어, 탱크(110)의 하부 전면에 초크부(15)를 구비할 필요없이, 탱크(110)의 각 모서리와 외곽에 인접한 영역에 한정함으로써, 탱크(110)와 선체(11) 사이의 구조물을 최소화하여 선박(10)의 전체 하중과 구조물을 단순화할 수 있다.
게다가, 돌출부(220)는 탱크(110)의 하면에 단순히 배치된 형태로 서포트(23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는데, 탱크(110)가 돌출부(220)에 연동되도록 돌출부(220)의 둘레면에는 별도의 상부 유니트(220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유니트(2201)는 탱크(110)에 돌출부(220)가 구속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부 유니트(2201)는 돌출부(220)의 둘레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상부 유니트(2201)와 돌출부(220)가 결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상부 유니트(2201)가 탱크(110)에 연결되되, 상부 유니트(2201)가 돌출부(220)와는 연결을 이루지 않아, 침수시 탱크(110)가 돌출부(220)에 관계없이 부유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유니트(2201)와 돌출부(220)를 결합하기 위한 작업공수가 감소될 수 있다.
다만, 침수로 인해 탱크(110)가 부유시 선체(11)의 내부 상면에 탱크(110)가 충돌되지 않도록 즉 탱크(110)의 anti-floating을 위해 앞서 언급한 지지부(120)가 마련되어 부유가 방지될 수 있다.
또는, 상부 유니트(2201)와 서포트(230) 각각에 와이어(2202)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고, 체결홈에 와이어(2202)가 연결되어 탱크(110)의 부유에 따라 구부러짐이 가능한 와이어(2202)를 통해 탱크(110)의 부유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2202)는 인장력이 강하고 열전도가 낮은 소재 일례로 카본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로프로 마련될 수 있다.
서포트(230)는 선체(11)에서 돌출부(220)에 대응되는 부분에 마련되며 돌출부(220)가 안착되도록 하여, 돌출부(220)를 구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230)는, 선체(11)에서 탱크(110)의 하면과 마주한 수평면인 탱크탑(tank top)에 함몰부(231)가 형성되어 돌출부(220)를 지지할 수 있어, 탱크탑에 십자 형태로 오목하게 마련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탑의 구조물 변경 없이 서포트(230)가 형성될 수도 있어, 서포트(230)는 선체(11)에서 탱크(110)의 하면과 마주한 수평면인 탱크탑에서 별도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 역시 돌출부(220)가 삽입되도록 함몰부(231)가 서포트(23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서포트(230)는 돌출부(220)의 구속을 위해 돌출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간섭하는 함몰부(231)가 형성되는 다양한 변형예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돌출부(220)의 수평 절단면에 대응되는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230)는 돌출부(22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고,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일반적인 탱크탑을 이루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초크부(15)는 선체(11)의 내부에서 돌출부(220)와 이격되어 탱크(110)를 구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크부(15)는, 롤링 방지와 피칭 방지를 위해 서로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초크부(15)는 공지된 메카니즘이 적용될 수 있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부(120)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탱크(110)의 지지 구조가 단순화되어 선박(10)의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공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선박(10) 전체 하중이 경량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선박 11: 선체
15: 초크부 100, 200: 탱크 지지구조
110: 탱크 120: 지지부
121: 제1 돌출부 122: 제2 돌출부
1221: 관통홀 123: 핀부재
220: 돌출부 2201: 상부 유니트
2202: 와이어 221: 제1 돌부
222: 제2 돌부 230: 서포트
231: 함몰부

Claims (5)

  1.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탱크;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되며 상기 탱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탱크에서 상기 선체를 향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선체에서 상기 탱크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각각 관통하여 연결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일부 영역이 간섭되게 마련되어, 서로 간섭되는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지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관통홀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거나 상기 핀부재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지지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지지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탱크 지지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70151225A 2017-11-14 2017-11-14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 KR102277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225A KR102277370B1 (ko) 2017-11-14 2017-11-14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225A KR102277370B1 (ko) 2017-11-14 2017-11-14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545A true KR20190054545A (ko) 2019-05-22
KR102277370B1 KR102277370B1 (ko) 2021-07-15

Family

ID=6668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225A KR102277370B1 (ko) 2017-11-14 2017-11-14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341B1 (ko) 2022-11-25 2024-04-18 주식회사 래티스테크놀로지 탱크지지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436A (ko) * 2007-03-16 2010-02-10 내셔널 스틸 앤드 쉽빌딩 컴퍼니 세미 멤브레인 탱크 벽을 위한 범용 지지 장치
KR20140067860A (ko) * 2012-11-27 2014-06-0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내 독립형 화물창의 하중 분산 방법 및 이를 위한 호퍼 지지 수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436A (ko) * 2007-03-16 2010-02-10 내셔널 스틸 앤드 쉽빌딩 컴퍼니 세미 멤브레인 탱크 벽을 위한 범용 지지 장치
KR20140067860A (ko) * 2012-11-27 2014-06-0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내 독립형 화물창의 하중 분산 방법 및 이를 위한 호퍼 지지 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370B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281B1 (ko) Lng 연료 추진 시스템의 탑재가 가능한 컨테이너 운반선
JP5785118B2 (ja) 船舶、洋上浮体式設備、及び液化天然ガス貯蔵方法
CN108820148B (zh) 半潜平台及其下浮体
JP5732347B2 (ja) タンク支持構造及び浮体構造物
CN102066190A (zh) 在货船内支承货舱的系统和方法
KR20190054545A (ko)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
KR102006691B1 (ko) 독립형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44838A (ko) 종방향 스와시 격벽이 구비된 독립 액체 탱크 구조
CN108657371B (zh) 一种船舶艏部结构及其设计方法
KR20190054548A (ko)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
KR101686907B1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JP4020898B2 (ja) 船舶の独立タンク支持構造
KR102640037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273923B1 (ko) Lng 저장탱크 조립체
CN115848570A (zh) 海上漂浮式光伏系统、光伏漂浮装置和浮运系统及浮运方法
US20150158557A1 (en) Floating vessel with tunnel
JP5010570B2 (ja) 船体の耐氷補強構造
KR20210129168A (ko) 선박
KR20170097916A (ko) 선박
KR102255245B1 (ko) 선박
KR101454346B1 (ko) 해양 구조물의 상부갑판 구조물
KR102061930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210089847A (ko) 가스연료 추진 선박
KR20150053016A (ko) 선박
KR102123724B1 (ko) 펌프타워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