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168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168A
KR20210129168A KR1020217030320A KR20217030320A KR20210129168A KR 20210129168 A KR20210129168 A KR 20210129168A KR 1020217030320 A KR1020217030320 A KR 1020217030320A KR 20217030320 A KR20217030320 A KR 20217030320A KR 20210129168 A KR20210129168 A KR 20210129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hip
hull
connection box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노리 다케무라
히데아키 가네코
마사유키 가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9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선박 (1) 은, 선체 (2) 와, 복수층의 갑판 (10) 과, 주기와, 연료 탱크 (20) 와, 탱크 접속 박스부 (30) 를 구비한다. 선체 (2) 는, 선 폭 방향 양측에 현측을 갖는다. 복수층의 갑판 (10) 은, 선체 (2) 내에 배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주기는, 선체 (2) 내에 설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 (20) 는, 주기에 공급하는 연료를 저류한다. 탱크 접속 박스부 (30) 는, 적어도 연료 탱크 (20) 의 일부를 수용한다. 탱크 접속 박스부 (30) 는, 중공 상자 형상이다. 탱크 접속 박스부 (30) 는, 적어도 일부가 선체 (2) 측에 설치된 판상의 선체 부재 (31s)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선박
이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9년 3월 28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9-062591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페리, RORO (Roll-on/Roll-off) 선, PCTC (Pure Car & Truck Carrier) 선, 여객선 등의 선박은, 주기나 보조기를 구동하기 위한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선박의 상갑판 상에, LNG (Liquefied Natural Gas) 연료 탱크를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원통 형상을 이룬 LNG 연료 탱크를, 선체 내에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6002813호 일본 특허 제6143407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선체의 상방부에 LNG 연료 탱크나 탱크 덮개 등의 중량물을 배치하게 되어, 선박의 무게 중심이 상승함으로써 불안정해진다. 선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선저부에 해수 밸러스트를 탑재할 필요가 생겨, 결과적으로 배의 전체 중량 (배수량) 이 증가하여 추진을 위해서 보다 많은 연료가 필요하게 된다.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LNG 연료 탱크를 선체 내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것과 같은 문제는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LNG 연료 탱크 등의 액화 가스 연료를 선체 내에 저류하는 연료 탱크에는, 연료 탱크에 접속되는 배관이나 밸브 등이 수용되는 탱크 커넥션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탱크 커넥션 스페이스는, 가스의 누설시에 확산을 방지할 목적으로 중공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방폭 사양으로 되어 있다. 연료 탱크와, 이와 같은 탱크 커넥션 스페이스를 선체 내에 구비하면, 그 만큼, 선체 내의 적하 스페이스나, 객실 등을 형성할 스페이스가 작아진다.
이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선체 내의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고, 적하 스페이스나 객실 등을 형성할 스페이스를 증대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이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선체와, 주기와, 연료 탱크와, 탱크 접속 박스부를 구비한다. 상기 선체는, 배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층의 갑판을 갖는다. 상기 주기는, 상기 선체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선체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주기에 공급하는 액화 가스 연료 또는 가스 연료를 저류한다. 상기 탱크 접속 박스부는, 적어도 상기 연료 탱크의 일부를 수용한다. 상기 탱크 접속 박스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체측에 설치된 판상의 선체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탱크 접속 박스부의 적어도 일부를, 선체를 구성하는 선체 부재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탱크 접속 박스부의 적어도 일부를 선체와 일체화할 수 있다. 이로써, 탱크 접속 박스부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적어도 된다. 따라서, 선체 내의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고, 적하 스페이스나 객실 등을 형성할 스페이스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에 관련된 상기 연료 탱크는, 탱크 본체와, 탱크 돌출부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탱크 돌출부는, 상기 탱크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탱크 접속 박스부는, 상기 선체 부재와, 위벽 부재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선체 부재는, 상기 탱크 돌출부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공을 가지고 있다. 상기 위벽 부재는, 상기 선체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탱크 본체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위벽 부재는, 상기 삽입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선체 부재로부터 상기 반대측으로 돌출된 상기 탱크 돌출부를 둘러싸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선체 부재에 형성된 삽입 통과공을 통과하여 선체 부재의 반대측으로 돌출된 탱크 돌출부는, 위벽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로써, 탱크 본체는, 선체 부재의 제 1 측에 설치되고, 탱크 접속 박스부는, 선체 부재의 제 2 측 (반대측) 에 설치된다. 따라서, 선체 부재의 제 2 측에는, 탱크 돌출부를 둘러싸는 탱크 접속 박스부만이 설치되기 때문에, 선체 부재의 제 2 측에 있어서의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탱크 접속 박스부의 레이아웃이, 탱크 본체 등에 의해 제한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선체 부재의 제 2 측에 있어서의 탱크 접속 박스부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선체 부재의 제 1 측에는, 탱크 본체만을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선체 부재의 제 1 측에서 탱크 접속 박스부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한, 선체 부재의 제 1 측에서, 탱크 접속 박스부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고려하지 않고, 탱크 본체의 직경 치수를 최대한으로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만큼, 탱크 본체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선체 부재의 제 1 측에 있어서의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관련된 상기 탱크 접속 박스부를 형성하는 선체 부재는, 상기 갑판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탱크 본체는, 상기 갑판의 하측의 계층에 배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탱크 돌출부는, 상기 삽입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 통과공을 가진 상기 갑판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갑판의 상방에 탱크 돌출부를 돌출시킴으로써, 갑판의 상측의 계층에는, 탱크 접속 박스부만을 설치하면 된다. 또한, 갑판의 하측의 계층에는, 탱크 본체만을 설치하면 된다. 따라서, 갑판의 상측의 계층, 및 하측의 계층의 각각에 있어서,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3 양태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선박은, 플랜지부와, 탱크 커버부와, 시일 부재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탱크 커버부는, 상기 탱크 접속 박스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탱크 커버부 사이를 막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연료 탱크가 설치된 공간과, 탱크 접속 박스부 내의 공간을 구획하여,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선박에 의하면, 선체 내의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고, 적하 스페이스나 객실 등을 형성할 스페이스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선박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 의 A-A 화살표로부터 본 평단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선박에 설치한 연료 탱크 및 탱크 접속 박스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선박에 설치한 연료 탱크 및 탱크 접속 박스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상기 선박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 은,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 은, 상기 선박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선박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 의 A-A 화살표로부터 본 평단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선박에 설치한 연료 탱크 및 탱크 접속 박스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선박에 설치한 연료 탱크 및 탱크 접속 박스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선박 (1) 은, 예를 들어, 차량을 운반 가능한 차량 운반선이다. 선박 (1) 은, 선체 (2) 와, 주기 (8) 와, 연료 탱크 (20) 와, 탱크 접속 박스부 (30) 를 구비하고 있다.
선체 (2) 는, 현측 (3A, 3B) 과, 선저 (4) 와, 복수층의 갑판 (10) 을 가지고 있다. 현측 (3A, 3B) 은, 선 폭 방향 (Dw) 양측의 좌우 현측을 각각 형성하는 1 쌍의 선측 외판으로 이루어진다. 선저 (4) 는, 이들 현측 (3A, 3B) 을 접속하는 선저 외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1 쌍의 현측 (3A, 3B) 및 선저 (4) 의 단면 형상은,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2) 는, 차량을 선체 (2) 내에 승선 (롤 온) 또는 하선 (롤 오프) 시키기 위해서, 쇼어 램프 (7) 를 구비하고 있다. 쇼어 램프 (7) 는, 예를 들어, 선미 (2b) 등에 설치되어 있다. 쇼어 램프 (7) 는, 선체 (2) 의 외측을 향하여 기도 (起倒)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차량은, 쇼어 램프 (7) 를 선체 (2) 의 외측으로 넘어뜨려 전개한 상태에서, 쇼어 램프 (7) 상을 주행하여, 승선 및 하선한다.
복수층의 갑판 (10) 은, 선체 (2) 내에 배 높이 방향 (Dh) 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복수층의 갑판 (10) 의 하나로서, 건현 갑판 (11) 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갑판 (10) 으로서, 건현 갑판 (11) 의 상방, 및 하방에, 복수층의 갑판 (12, 13, 14, 15, 16, 17)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층의 갑판 (10) 중, 차량을 적재하는 차량 갑판으로서 사용되는 갑판 (10) 에는, 배 높이 방향 (Dh) 으로 이웃하는 갑판 (10) 의 사이를 차량이 이동하기 위한 램프 웨이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선체 (2) 는, 건현 갑판 (11) 의 하방에, 선저 (4) 와 함께 2 중 바닥을 구성하는 저부 갑판 (18) 을 구비하고 있다.
주기 (8) 는, 선체 (2) 내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기 (8) 는, 선체 (2) 내부에 형성된 기관실 (S1) 에 설치되어 있다. 선체 (2) 의 선미 (2b) 측의 저부에는, 프로펠러 (5) 와, 키 (6) 가 설치되어 있다. 프로펠러 (5) 는, 선체 (2) 내에 설치된 주기 (8) 에 의해 구동되고, 선박 (1) 을 추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키 (6) 는, 프로펠러 (5) 의 후방에 설치되고, 선체 (2) 의 진행 방향을 제어한다.
연료 탱크 (20) 는, 주기 (8) 에 공급하는 연료를 저류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 (20) 는, 저부 갑판 (18)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선 폭 방향 (Dw) 으로 간격을 두고 2 개의 연료 탱크 (20) 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2 참조).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2 개의 연료 탱크 (20) 는, 동일 형상이며, 선 폭 방향 (Dw) 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연료 탱크 (20) 는, 탱크 본체 (21) 와, 탱크 돌출부 (22) 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주기 (8) 의 연료는, LNG (Liquefied Natural Gas) 나 LPG (Liquefied Petroleum Gas) 등의 액화 가스이며, 연료 탱크 (20) 는, 이른바 압력 용기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탱크 본체 (21) 는, 선수미 방향 (Da) 으로 연장되는 원통상을 이루고 있다. 탱크 본체 (21) 는, 저부 갑판 (18) 상에 형성된 탱크실 (S2) 에 수용되어 있다. 탱크실 (S2) 은, 선 폭 방향 (Dw) 으로 연장되는 가로 배치 격벽인 격벽 (19A) 에 의해, 선미 (2b) 측의 기관실 (S1) 과 가로막혀 있다. 또한, 탱크실 (S2) 은, 선 폭 방향 (Dw) 으로 연장되는 가로 배치 격벽인 격벽 (19B) 에 의해, 선수 (2a) 측의 화물실 (S3) 과 가로막혀 있다. 이 실시형태의 탱크실 (S2) 은, 화물실 (S3) 의 복수 계층에 걸친 높이를 가지고 있다. 즉, 화물실 (S3) 에서는, 탱크실 (S2) 의 상측에 위치하는 갑판 (15) (이하, 이 갑판 (15) 을 상측 갑판 (15) 이라고 칭한다) 의 하방에, 복수의 갑판 (16, 17) 이 배치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 돌출부 (22) 는, 탱크 본체 (21) 의 외주면 (외면) 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탱크 돌출부 (22) 는, 탱크 본체 (21) 로부터 선체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탱크 돌출부 (22) 는, 통상부 (22a) 와, 돔부 (22b) 를 가지고 있다. 통상부 (22a) 는, 탱크 본체 (21) 의 상면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상을 이루고 있다. 돔부 (22b) 는, 통상부 (22a) 의 상측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돔부 (22b) 는, 상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반구상을 이루고 있다. 돔부 (22b) 는, 통상부 (22a) 의 상방을 막도록 형성되어 있다.
탱크실 (S2) 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갑판 (15) 은, 배 높이 방향 (Dh) 으로 관통하는 삽입 통과공 (34) 을 구비하고 있다. 탱크 돌출부 (22) 는, 상측 갑판 (15) 의 삽입 통과공 (34) 을 통과하여, 상측 갑판 (15) 의 바로 위의 계층 (S4) 으로 돌출되어 있다. 요컨대, 탱크 돌출부 (22) 는, 상측 갑판 (15)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탱크 접속 박스부 (30) 는, 탱크 본체 (21) 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갑판 (15) 상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 접속 박스부 (30) 는, 탱크 본체 (21) 가 설치된 탱크실 (S2) 의 상측의 계층 (S4) 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 접속 박스부 (30) 는, 중공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탱크 접속 박스부 (30) 는, 선 폭 방향 (Dw) 으로 장축 방향을 갖는 평면에서 보아 장방 형상을 이루고 있다. 탱크 접속 박스부 (30) 는, 상측 갑판 (15)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탱크 돌출부 (22) 를 둘러싸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선 폭 방향 (Dw) 으로 나열된 2 개의 연료 탱크 (20) 의 탱크 돌출부 (22) 를 하나의 탱크 접속 박스부 (30) 에 의해 둘러싸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 접속 박스부 (30) 는, 저판부 (31) 와, 측판부 (32) 와, 천판부 (33) 를 가지고 있다. 상측 갑판 (15) 보다 상측의 계층 (S4) 에 있어서, 이 탱크 접속 박스부 (30) 는, 기밀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계층 (S4) 에 있어서, 탱크 접속 박스부 (30) 의 내부 공간과, 탱크 접속 박스부 (30) 보다 외측의 공간 사이에서는, 기체가 유통하지 않도록 밀폐되어 있다.
저판부 (31) 는, 선체 (2) 를 구성하는 상측 갑판 (15)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상측 갑판 (15) 의 일부는, 탱크 접속 박스부 (30) 의 저판부 (31) 를 겸하고 있다. 상측 갑판 (15) 은, 선체 (2) 를 구성하는 판상의 선체 부재 (31s) 이다.
측판부 (32) 는, 상측 갑판 (15) (다시 말하면, 저판부 (3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측판부 (32) 는, 평면에서 보아, 2 개의 연료 탱크 (20) 의 탱크 돌출부 (22) 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측판부 (32) 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아 장방 형상을 이루고 있다. 측판부 (32) 는, 2 개의 탱크 돌출부 (22) 에 대하여, 선수미 방향 (Da) 및 선 폭 방향 (Dw) 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측판부 (32) 는, 상측 갑판 (15) 과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위벽 부재 (32p)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천판부 (33) 는, 측판부 (32) 의 상방을 막도록 형성되어 있다. 천판부 (33) 는, 선체 (2) 를 구성하는 건현 갑판 (11)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건현 갑판 (11) 의 일부는, 탱크 접속 박스부 (30) 의 천판부 (33) 를 겸하고 있다. 건현 갑판 (11) 는, 선체 (2) 를 구성하는 판상의 선체 부재 (33s) 이다.
이와 같이, 탱크 접속 박스부 (30) 는, 선체 부재 (31s) 와, 위벽 부재 (32p) 와, 선체 부재 (33s) 를 구비하고 있다. 선체 부재 (31s) 는, 탱크 돌출부 (22) 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공 (34) 을 가지고 있다. 위벽 부재 (32p) 는, 탱크 본체 (21) 에 대하여, 선체 부재 (31s) 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 (상측) 에 배치되어 있다. 위벽 부재 (32p) 는, 삽입 통과공 (34) 을 통과하여 선체 부재 (31s) 로부터 반대측으로 돌출된 탱크 돌출부 (22) 를 둘러싸고 있다.
탱크 접속 박스부 (30) 는, 연료 탱크 (20) 의 일부인 탱크 돌출부 (22) 와, 연료 탱크 (20) 에 접속되는 배관 (도시 생략) 이나 밸브 (도시 생략) 를 수용하고 있다.
탱크 접속 박스부 (30) 내에 수용된 연료 탱크 (20) 의 탱크 돌출부 (22) 에는, 탱크측 플랜지 부재 (플랜지부) (25) 가 형성되어 있다. 탱크측 플랜지 부재 (25) 는, 연료 탱크 (20) 의 탱크 돌출부 (22) 의 외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부 (22a)) 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탱크 돌출부 (22) 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탱크측 플랜지 부재 (25) 는, 상측 갑판 (15) 의 상방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한편으로, 상측 갑판 (15) 상에는, 탱크 커버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부 (35) 는, 연료 탱크 (20) 의 탱크 돌출부 (22) 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부 (35) 는, 탱크 돌출부 (22) 의 외주면에 대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탱크 커버부 (35) 는, 삽입 통과공 (34) 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부 (35) 는, 상측 갑판 (15) 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상을 이루고 있다. 탱크 커버부 (35) 의 상단에는, 수평 방향 양측으로 확대되는 상단 플랜지 (35a)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부 (35) 의 상단 플랜지 (35a) 는, 탱크측 플랜지 부재 (25) 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탱크 커버부 (35) 의 상단 플랜지 (35a) 와, 탱크측 플랜지 부재 (25) 는, 배 높이 방향 (Dh) 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시일 부재 (40) 는, 탱크측 플랜지 부재 (25) 와 탱크 커버부 (35) 의 사이를 막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 (40) 는, 고무계 재료 등, 기밀성, 및 탄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 (40) 는, 연료 탱크 (20) 의 탱크 돌출부 (22) 와 탱크 접속 박스부 (30) 사이에 있어서의 기밀성을 확보한다. 시일 부재 (40) 는, 추가로, 선체 (2) 와 연료 탱크 (20) 의 열 팽창 계수의 차이 등에 의해, 탱크 돌출부 (22) 와 탱크 접속 박스부 (30) 의 상대 변위가 생겼을 경우에도, 탄성 변형하여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의 선박 (1) 에 의하면, 탱크 접속 박스부 (30) 의 적어도 일부인 저판부 (31) 를, 선체 (2) 를 구성하는 선체 부재 (31s) 인 상측 갑판 (15) 에 의해 형성하였다. 이로써, 탱크 접속 박스부 (30) 의 적어도 일부를 선체 (2) 와 일체화된 상측 갑판 (15) 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선체 (2) 내의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고, 적하 스페이스나 객실 등을 형성할 스페이스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선박 (1) 이 차량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차량 갑판에 있어서의 차량의 적재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해진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탱크 (20) 가, 통상의 탱크 본체 (21) 와, 탱크 돌출부 (22) 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또한, 탱크 접속 박스부 (30) 를 형성하는 위벽 부재 (32p, 33p) 는, 탱크 본체 (21) 에 대하여 선체 부재 (31s) 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하였다. 또한, 위벽 부재 (32p, 33p) 는, 삽입 통과공 (34) 을 통과하여 선체 부재 (31s) 로부터 반대측으로 돌출된 탱크 돌출부 (22) 를 둘러싸도록 하였다.
이로써, 탱크 본체 (21) 를, 선체 부재 (31s) 인 상측 갑판 (15) 의 하측 (제 1 측) 에 배치하고, 탱크 접속 박스부 (30) 를, 상측 갑판 (15) 의 상측 (제 2 측) 에 배치할 수 있다. 상측 갑판 (15) 의 상측에는, 탱크 돌출부 (22) 를 둘러싸는 탱크 접속 박스부 (30) 만이 설치되기 때문에, 상측 갑판 (15) 의 상측의 계층 (S4) 에 있어서의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탱크 접속 박스부 (30) 의 레이아웃이, 탱크 본체 (21) 에 의해 제한되는 경우가 없다. 그 때문에, 선체 부재 (31s) 의 상측에 있어서의 탱크 접속 박스부 (30) 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도 높아진다. 이로써, 상측 갑판 (15) 의 상측의 계층 (S4) 에 있어서, 적하 스페이스 등을 형성할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선체 부재 (31s) 의 하측에는, 탱크 본체 (21) 만을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탱크실 (S2) 에 탱크 접속 박스부 (30) 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탱크 본체 (21) 의 직경 치수를, 탱크실 (S2) 의 배 높이 방향 (Dh) 의 실내 치수에 따라 최대한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탱크 용량 일정의 경우에는, 탱크 본체 (21) 의 직경 치수를 최대한으로 크게 하는 만큼, 탱크 본체 (21) 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선체 부재 (31s) 인 상측 갑판 (15) 의 하측의 탱크실 (S2) 의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본체 (21) 는, 상측 갑판 (15) 의 하측의 계층의 탱크실 (S2) 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탱크 돌출부 (22) 는, 삽입 통과공 (34) 을 통과하여 상측 갑판 (15)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측 갑판 (15) 의 상측의 계층 (S4) 에는, 탱크 본체 (21) 를 설치하지 않고, 탱크 돌출부 (22) 를 둘러싸는 탱크 접속 박스부 (30) 만을 설치하면 된다. 또한, 상측 갑판 (15) 의 하측의 계층인 탱크실 (S2) 에는, 탱크 본체 (21) 만을 설치하면 된다. 그 결과, 상측 갑판 (15) 의 상측의 계층 (S4), 및 하측의 계층의 각각에 있어서,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탱크측 플랜지 부재 (25) 와 탱크 커버부 (35) 사이를 막도록 시일 부재 (40)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측 갑판 (15) 의 하측의 탱크실 (S2) 과 상측 갑판 (15) 의 상측의 계층 (S4) 의 탱크 접속 박스부 (30) 내의 공간을 구획하여,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선체 (2) 와 연료 탱크 (20) 의 열 팽창 계수의 차이 등에 의해 탱크 돌출부 (22) 와 탱크 접속 박스부 (30) 가 상대 변위했을 경우에도, 시일 부재 (40) 가 탄성 변형하여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도 5 는, 상기 선박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갑판 (15) 의 상측의 계층 (S4) 에는, 예를 들어, 배관 구획 (S6), 관련 기기실 (S7) 등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배관 구획 (S6) 은, 배 높이 방향 (Dh) 으로 연장되고, 선상으로부터 연료 탱크 (20) 내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배관이 수용되어 있다. 관련 기기실 (S7) 에는, 연료 탱크 (20) 에 부수하여 설치되는 각종 기기 등이 수용되어 있다. 이들 배관 구획 (S6), 관련 기기실 (S7) 은, 탱크 접속 박스부 (30) 의 주위에 배치되고, 탱크 접속 박스부 (30) 에 인접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접속 박스부 (30) 의 선 폭 방향 (Dw) 의 제 1 측에 배관 구획실 (S6) 이 배치되고, 탱크 접속 박스부 (30) 의 선 폭 방향 (Dw) 의 제 2 측에 관련 기기실 (S7) 이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측 갑판 (15) 의 상측의 계층 (S4) 에서, 탱크 접속 박스부 (30) 의 주위의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이 발명에 관련된 선박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함과 함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은,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3 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도 2 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 (1B) 은, 연료 탱크 (50) 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 탱크 (50) 는, 선체 (2) 내의 저부 갑판 (18) 상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 (50) 는, 주기 (8) (도 1 참조) 에 공급하는 연료를 저류하고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 (50) 는, 제 1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 (20) 와 마찬가지로, 2 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 2 개의 연료 탱크 (50) 는, 선 폭 방향 (Dw) 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2 개의 연료 탱크 (50) 는, 동일 형상이며, 선 폭 방향 (Dw) 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 (50) 는, 선수미 방향 (Da) 으로 연장되는 원통상을 이루고 있다. 연료 탱크 (50) 는, 저부 갑판 (18) 상에 형성된 탱크실 (S2) 에 수용되어 있다. 탱크실 (S2) 은, 격벽 (19A) 에 의해, 선미 (2b) 측의 기관실 (S1) 과 가로막혀 있다. 또한, 탱크실 (S2) 은, 격벽 (19B) 에 의해, 선수 (2a) 측의 화물실 (S3) 과 가로막혀 있다.
탱크 접속 박스부 (60) 는, 연료 탱크 (50) 와 동일한 탱크실 (S2) 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 접속 박스부 (60) 는, 중공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접속 박스부 (60) 는, 선 폭 방향 (Dw) 으로 장축 방향을 갖는 평면에서 보아 장방 형상을 이루고 있다. 탱크 접속 박스부 (60) 는, 선수미 방향 (Da) 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 (50) 의 선미 (2b) 에 가까운 측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탱크 접속 박스부 (60) 는, 연료 탱크 (50) 의 선미 (2b) 측의 탱크 단부 (52) 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탱크 접속 박스부 (60) 는, 선 폭 방향 (Dw) 으로 나열된 2 개의 연료 탱크 (50) 의 탱크 단부 (52) 를 둘러싸고 있다.
탱크 접속 박스부 (60) 는, 저판부 (61) 와, 단판부 (62) 와, 측판부 (63) 와, 천판부 (64) 를 가지고 있다.
저판부 (61) 는, 저부 갑판 (18)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저부 갑판 (18) 은, 선체 (2) 를 구성하는 판상의 선체 부재 (61s) 이다.
단판부 (62) 는, 저부 갑판 (18) 상에 형성되어 있다. 단판부 (62) 는, 탱크 단부 (52) 에 대하여, 선미 (2b) 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판부 (62) 는, 격벽 (19A)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격벽 (19A) 은, 선체 (2) 를 구성하는 판상의 선체 부재 (62s) 이다.
측판부 (63) 는, 2 개의 연료 탱크 (50) 의 선 폭 방향 (Dw)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측판부 (63) 는, 단판부 (62) 로부터 선수 (2a) 측을 향해 연장되고, 탱크 단부 (52) 의 선 폭 방향 (Dw)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천판부 (64) 는, 상측 갑판 (15)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측 갑판 (15) 은, 선체 (2) 를 구성하는 판상의 선체 부재 (64s) 이다.
이와 같이, 탱크 접속 박스부 (60) 의 일부는, 선체 부재 (61s, 62s, 64s)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탱크 접속 박스부 (60) 는, 연료 탱크 (50) 의 일부인 탱크 단부 (52) 와, 연료 탱크 (50) 에 접속되는 배관 (도시 생략) 이나 밸브 (도시 생략) 를 수용하고 있다.
탱크 접속 박스부 (60) 내에 있어서, 연료 탱크 (50) 의 탱크 단부 (52) 에는, 탱크측 플랜지 부재 (플랜지부) (55) 가 형성되어 있다. 탱크측 플랜지 부재 (55) 는, 연료 탱크 (50) 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탱크측 플랜지 부재 (55) 는, 연료 탱크 (50) 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으로, 탱크 접속 박스부 (60) 의 내면에는, 탱크 커버부 (65) 가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부 (65) 는, 연료 탱크 (50) 의 탱크 단부 (52) 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부 (65) 는, 탱크 단부 (52) 의 외주면에 대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부 (65) 는, 저부 갑판 (18), 측판부 (63), 및 상측 갑판 (15) 으로부터, 탱크 단부 (52) 의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탱크 커버부 (65) 는, 탱크측 플랜지 부재 (55)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시일 부재 (70) 는, 탱크측 플랜지 부재 (55) 와 탱크 커버부 (65) 의 사이를 막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 (70) 는, 고무계 재료 등, 기밀성, 및 탄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 (70) 는, 연료 탱크 (50) 의 탱크 단부 (52) 가 수용된 탱크 접속 박스부 (60) 의 내외에 있어서의 기밀성을 확보한다. 또한, 시일 부재 (70) 는, 제 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 (40) 와 마찬가지로, 선체 (2) 와 연료 탱크 (50) 의 열 팽창 계수의 차이 등에 의해, 탱크 단부 (52) 와 탱크 접속 박스부 (30) 의 상대 변위가 생겼을 경우에도, 탄성 변형되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의 선박 (1B) 에 의하면, 탱크 접속 박스부 (60) 의 일부를 구성하는 저판부 (61), 단판부 (62), 천판부 (64) 를, 선체 (2) 측에 형성된 판상의 선체 부재 (61s, 62s, 64s) 인 저부 갑판 (18), 격벽 (19A), 및 상측 갑판 (15) 에 의해 형성하였다. 또한, 연료 탱크 (50) 의 탱크 단부 (52) 는, 탱크 접속 박스부 (6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로써, 탱크 접속 박스부 (60) 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적어도 된다. 그 결과, 선체 (2) 내의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고, 적하 스페이스나 객실 등을 형성할 스페이스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변형예)
또한, 이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한 것을 포함한다. 즉,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성 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선박 (1, 1B) 의 선체 (2) 내에 있어서의 갑판 (10) 의 계층 수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연료 탱크 (20, 50) 의 설치 수, 형상, 구조 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연료 탱크 (50) 가 동일 형상인 경우를 일례로 하여 설명했지만, 동일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탱크 (50) 를 저부 갑판 (18) 상에 배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저부 갑판 (18) 은, 저부 갑판 (18) 보다 위의 계층의 갑판 (10) 상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탱크 (20, 50) 가 선수미 방향 (Da) 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연료 탱크 (20, 50) 는, 선 폭 방향 (Dw) 으로 연장되도록 해도 된다.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탱크 (20, 50) 에 저류되는 연료가 액체인 액화 가스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연료 탱크 (20, 50) 에 저류되는 연료는, 액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천연 가스나 석유 가스 등의 기체 상태의 연료여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연료 탱크 (50) 가 동일한 수밀 구획 (탱크실) (S2) 에 배치되는 경우를 일례로 하여 설명했지만, 2 개의 연료 탱크 (50) 는, 각각 상이한 이웃하는 수밀 구획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시 말하면, 2 개의 연료 탱크 (50) 사이에는, 세로 통과 격벽이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탱크실 (S2) 의 선 폭 방향 (Dw) 의 측벽을 현측 (3A, 3B) 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탱크실 (S2) 의 선 폭 방향 (Dw) 의 측벽은, 현측 (3A, 3B) 에 한정되지 않는다. 탱크실 (S2) 의 선 폭 방향 (Dw) 의 측벽으로서, 현측 (3A, 3B) 보다 선 폭 방향 (Dw) 내측으로 세로 통과 격벽을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탱크실 (S2) 의 선 폭 방향 (Dw) 의 치수는, 예를 들어, 연료 탱크 (50) 의 배치 스페이스의 크기에 따른 크기로 해도 된다.
또한, 선박 (1) 의 선종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페리, RORO 선 (Roll-on/Roll-off 선), PCTC (Pure Car & Truck Carrier), 여객선 등, 여러 가지 선종을 채용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기 선박에 의하면, 선체 내의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고, 적하 스페이스나 객실 등을 형성할 스페이스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1, 1B ; 선박
2 ; 선체
2a ; 선수
2b ; 선미
3A, 3B ; 현측
4 ; 선저
5 ; 프로펠러
6 ; 키
7 ; 쇼어 램프
8 ; 주기
10 ; 갑판
11 ; 건현 갑판
12, 13, 14, 16, 17 ; 갑판
15 ; 상측 갑판 (갑판)
18 ; 저부 갑판
19A, 19B ; 격벽
20, 50 ; 연료 탱크
21 ; 탱크 본체
22 ; 탱크 돌출부
22a ; 통상부
22b ; 돔부
25, 55 ; 탱크측 플랜지 부재 (플랜지부)
30, 60 ; 탱크 접속 박스부
31, 61 ; 저판부
31s, 33s, 61s, 62s, 64s ; 선체 부재
32, 63 ; 측판부
32p ; 위벽 부재
33, 64 ; 천판부
34 ; 삽입 통과공
35, 65 ; 탱크 커버부
35a ; 상단 플랜지
40, 70 ; 시일 부재
52 ; 탱크 단부
62 ; 단판부
S1 ; 기관실
S2 ; 탱크실
S3 ; 화물실
S4 ; 계층
S6 ; 배관 구획
S7 ; 관련 기기실

Claims (4)

  1. 배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층의 갑판을 갖는 선체와,
    상기 선체 내에 설치된 주기와,
    상기 선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주기에 공급하는 액화 가스 연료 또는 가스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 탱크와,
    적어도 상기 연료 탱크의 일부를 수용하는 탱크 접속 박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 접속 박스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선체를 구성하는 선체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탱크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 접속 박스부는,
    상기 탱크 돌출부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공을 가진 상기 선체 부재와,
    상기 선체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탱크 본체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선체 부재로부터 상기 반대측으로 돌출된 상기 탱크 돌출부를 둘러싸는 위벽 부재를 구비하는, 선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접속 박스부를 형성하는 선체 부재는, 상기 갑판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 본체는, 상기 갑판의 하측의 계층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 돌출부는, 상기 삽입 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 통과공을 가진 상기 갑판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선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탱크 접속 박스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탱크 커버부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탱크 커버부 사이를 막도록 형성된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선박.
KR1020217030320A 2019-03-28 2020-02-18 선박 KR202101291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2591 2019-03-28
JP2019062591A JP2020158068A (ja) 2019-03-28 2019-03-28 船舶
PCT/JP2020/006152 WO2020195340A1 (ja) 2019-03-28 2020-02-18 船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168A true KR20210129168A (ko) 2021-10-27

Family

ID=7261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320A KR20210129168A (ko) 2019-03-28 2020-02-18 선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158068A (ko)
KR (1) KR20210129168A (ko)
CN (1) CN113613993A (ko)
WO (1) WO2020195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2400A1 (fr) * 2021-04-30 2022-11-04 Gaztransport Et Technigaz Navire roulier comprenant une cuve pour le stockage de gaz liquéfié
JP2024090910A (ja) * 2022-12-23 2024-07-04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3407B2 (ko) 1979-10-19 1986-09-27 Denki Kagaku Kogyo Kk
JPH062813A (ja) 1992-06-19 1994-01-11 Ebara Corp 熱回収燃焼設備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8295U (ja) * 1984-08-13 1986-03-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深冷船のタンク取り付け構造
JPS6212593U (ko) * 1985-07-09 1987-01-26
KR20100099907A (ko) * 2009-03-04 2010-09-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탱크돔 보호용 이중상갑판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DE102010007328A1 (de) * 2010-02-08 2011-08-11 Meyer Werft GmbH, 26871 Seeschiff, insbesondere gasbetriebenes Seeschiff
JP5670225B2 (ja) * 2011-03-03 2015-02-1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タンクドームフランジ部の構造
KR101918906B1 (ko) * 2015-09-28 2018-11-14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해양 선박의 연료 탱크 배열체
KR20170138282A (ko) * 2016-06-07 2017-12-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KR102170039B1 (ko) * 2017-07-25 2020-10-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3407B2 (ko) 1979-10-19 1986-09-27 Denki Kagaku Kogyo Kk
JPH062813A (ja) 1992-06-19 1994-01-11 Ebara Corp 熱回収燃焼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13993A (zh) 2021-11-05
WO2020195340A1 (ja) 2020-10-01
JP2020158068A (ja)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5118B2 (ja) 船舶、洋上浮体式設備、及び液化天然ガス貯蔵方法
KR101949215B1 (ko) 액화가스 저장설비를 구비한 부체 구조물 및 그 설계 방법
CN110099842B (zh) 气体燃料推进集装箱运输船
JP5646853B2 (ja) 船舶
WO2013024661A1 (ja) タンク支持構造及び浮体構造物
CN114212188B (zh) 气体燃料推进集装箱运输船
KR20210129168A (ko) 선박
JP4550842B2 (ja) 液体貨物輸送船の貨物倉構造
JP6917159B2 (ja) 船舶
JP7446928B2 (ja) 液化ガス運搬船
KR20210093751A (ko) 액화 가스 연료선
JP5688343B2 (ja) 燃料タンク支持構造及び浮体構造物
JP7460695B2 (ja) 船舶
US9132892B2 (en) Floating vessel with tunnel
JP6554126B2 (ja) 自動車運搬船のガス燃料独立タンク設置構造
KR20190054545A (ko)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
JP4558759B2 (ja) 液体化学薬品輸送船の貨物槽構造
CN113135261A (zh) 液化气体燃料船
KR102456766B1 (ko) 선박
US10081412B2 (en) Floating vessel with tank trough deck
JP2005219559A (ja) 貨物船
WO2023199859A1 (ja) 船舶
WO2022045095A1 (ja) タンクドーム構造及び船舶
WO2023199864A1 (ja) 船舶
CN110546062B (zh) 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