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214A -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 Google Patents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214A
KR20190054214A KR1020170150225A KR20170150225A KR20190054214A KR 20190054214 A KR20190054214 A KR 20190054214A KR 1020170150225 A KR1020170150225 A KR 1020170150225A KR 20170150225 A KR20170150225 A KR 20170150225A KR 20190054214 A KR20190054214 A KR 20190054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aterial
container
liquid
discharge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5746B1 (ko
Inventor
김대근
Original Assignee
김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근 filed Critical 김대근
Priority to KR102017015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7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8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adapted to discharge d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65D47/203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the element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which causes the deformation, e.g. screw cap closing container sl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는, 내부에 액상물을 수용하고 일단이 개방되어 외압에 의해 용적이 줄어들면 액상물을 방출하는 원통형의 액상물 용기부와, 중심축에 액상물 통로가 형성되고 액상물 용기부의 일단에 밀착 결합되어 액상물을 토출하되 탄력적인 연성 재질과 횡단면의 내외주가 타원인 형태로 인하여 역류방지 압력 밸브의 역할을 하는 토출부와, 가요성과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액상물 용기부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어 외압으로 용적이 수축되면 내부 공기의 압력으로 액상물 용기부를 압착하는 원통형의 가압부, 및 토출부가 결합된 액상물 용기부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토출부를 보호하는 마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Liquid container with functions for discharging contents and preventing contamination}
본 발명은 액상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물을 수용 보관하면서 필요시 액상 내용물을 적량 토출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여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상물의 단속적인 토출과 내부에 수용된 액상물의 오염방지 기능이 필요한 용기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액상 안약을 눈에 점적하는 점안액 용기가 있다.
통상의 점안액 용기는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되고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연질의 벽체를 가진 원통형 수용체 내부에 약액이 수용되며, 점안 시 외부 압축으로 수용체가 변형되어 내부에 양압이 발생하면 수용체 일단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하여 약액이 토출되고, 외부 압력이 해제되어 수용체가 탄성으로 회복되면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여 외부 공기가 토출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에는 박테리아 등 각종 세균류가 포함될 수 있고, 내부 약액이 유입된 외부 유입 공기와 접촉함으로서 발생하는 오염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그리하여 통상의 점안 약액에는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같은 살균 목적의 계면활성제가 소량 포함되어 사용되는데, 계면활성제는 박테리아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죽게 함으로써 살균제로 작용한다.
동물세포막은 박테리아의 세포막보다 두꺼워 계면활성제로 파괴되지는 않지만 미세한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러한 세포 손상이 약액의 흡수를 촉진하는 긍정적 효과도 있기는 하지만 투약시 따끔거리는 통감을 주고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누적되는 신체 손상의 부작용이 우려되었다.
결국 상기 공기 접촉의 오염 문제와 살균 첨가제의 부작용을 해결하는 방안은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었는데, 하나는 일회용 용기의 사용이다.
일회용 점안액 용기에 관한 선행기술의 사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9759호(발명의 명칭 : "일회용 가요성 컨테이너", 국제출원일 : 1997. 11. 25., 등록일 : 2005. 05. 06.)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6933호(고안의 명칭 : "일회용 점안액 용기세트", 출원일 : 2006. 05. 24., 등록일 : 20006. 09. 13.)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일회용 점안액 용기는 그 편의성으로 인해 일부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약액 대비 용기의 제조 비용이 너무 크고 과대한 폐기물을 발생시켜 환경오염을 초래하며, 특히 작은 용기의 표면에 내용물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표시하기 어려워 항상 의료사고의 잠재적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 공기 접촉의 오염 문제와 살균 첨가제의 부작용을 해결하는 또 다른 방안은 수용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거나 외부 공기의 유입 자체를 차단하는 점안액 용기이다.
수용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오염원을 제거하는 점안액 용기의 사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4391호(발명의 명칭 : "항균 보호기능을 포함하는, 액체를 한방울씩 배출하기 위한 포장 용기", 국제출원일 : 2009. 07. 31., 등록일 : 2016. 04. 15.)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2033호(발명의 명칭 : "배출 헤드를 갖는 액체 저장용 병", 국제출원일 : 2011. 02. 03., 등록일 : 2016. 11. 28.)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1087호(발명의 명칭 : "점적으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헤드", 국제출원일 2011. 07. 28., 등록일 : 2017.10.23.)가 있는데, 모두 액체와 공기의 유출입 경로상을 가로질러 박테리아가 통과할 수 없는 0.1㎛ 내지 0.2㎛ 크기의 구멍을 갖는 항균 필터막을 설치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액체와 공기의 유출입 경로상에 항균 필터막을 설치하는 구성은 필터막의 형상을 유지하는 가운데 액체와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필터막 전후의 구성이 상당히 복잡할 뿐더러 사용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필터막이 손상되어 필터링 기능을 상실할 잠재적 위험이 있고, 필터막과 토출구 사이의 잔류 약액은 필터막의 보호범위 밖에 있으면서 외부 공기와 접촉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상기 등록특허 제10-1614391호는 필터막과 방출구 사이의 부재에 살균제가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고, 상기 등록특허 제10-1791087호는 토출구와 인접한 노즐 부분에 유체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스토퍼 밸브를 설치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는데, 두 가지 경우 모두 필터막과 토출구 사이에 잔류하는 약액이 유입 공기와 접촉하는 것은 그대로이며, 살균제가 포함된 부재를 사용하는 것은 살균 성분을 배제하고자 하는 당초의 목적과도 상충된다.
외부 공기의 유입 자체를 차단하는 점안액 용기의 사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4388호(발명의 명칭 :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출원일 : 2012. 06. 13., 등록일 : 2012. 08. 0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3252호(발명의 명칭 :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출원일 : 2013. 03. 08., 등록일 : 2014. 08. 2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6393호(발명의 명칭 :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출원일 : 2013. 05. 31., 등록일 : 2014. 07. 29.),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5854호(발명의 명칭 :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출원일 : 2013. 08. 09., 등록일 : 2014. 06. 30.)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약액 수용체는 몸체(내피)와 보호체(외피)로 구성되고, 보호체에 통공이 형성되어 몸체와 보호체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며, 약액 토출부 노즐의 통공에는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개폐구가 설치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4건의 기술 구성의 경우에 약액의 점안을 위하여 상기 보호체와 몸체를 압축하면 양압에 의해 약액이 토출되고 압축을 해제하여 음압이 발생하더라도 개폐구의 역류방지 기능에 의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겠으나, 몸체(내피)가 외압에 의한 압축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에 관한 기술적 구성이 없고, 용기를 보관하는 통상압의 상태에서는 개폐구의 역류방지 기능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공기의 몸체 내부 유입이 차단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수용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함과 동시에 토출부에서의 외부 공기 유입도 차단하는 점안액 용기의 사례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8487호(발명의 명칭 : "점안 용기", 국제출원일 2010. 05. 21., 등록일 2016. 01. 19.)는 약액 토출부의 중심축 부분을 약액의 유출 통로로 하고 외곽 부분을 공기의 유입 통로로 구분하면서 약액 통로와 공기 통로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의 역류방지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토출부에서 약액이 역류하거나 공기 통로에 약액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구성은 용기 내부의 약액과 정화되지 않은 외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한다는 당초의 목적으로 이론적으로 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매우 복잡하고 정밀성을 요하는 기계적 구성을 포함하고 있어 점안액 용기에 적합한 크기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제조상의 어려움과 고비용으로 인해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토출구 주변에 잔류하는 약액이 외부 공기와 접촉하여 오염될 수 있다는 점도 문제로 남아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4391호 B1, 2016.04.21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2033호 B1, 2016.11.28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1087호 B1, 2017.10.27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4388호 B1, 2012.08.09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3252호 B1, 2014.08.27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6393호 B1, 2014.07.29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5854호 B1, 2014.06.30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8487호 B1, 2016.01.19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공지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약액 점안 등에 사용되는 액상물 토출 용기에 있어, 액상물 용기 내부로 외부 공기 등 오염원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도 단순하고 실용적인 구조의 용기에 관한 기술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액상물을 수용하고 일단이 개방되어 외압에 의해 용적이 줄어들면 액상물을 방출하는 원통형의 액상물 용기부와, 중심축에 액상물 통로가 형성되고 액상물 용기부의 일단에 밀착 결합되어 액상물을 토출하되 탄력적인 연성 재질과 횡단면의 내외주가 타원인 형태로 인하여 역류방지 압력 밸브의 역할을 하는 토출부와, 가요성과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액상물 용기부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어 외압으로 용적이 수축되면 내부 공기의 압력으로 액상물 용기부를 압착하는 원통형의 가압부, 및 토출부가 결합된 액상물 용기부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토출부를 보호하는 마개부로 구성된다.
상기 액상물 용기부는 일단에 토출부가 결합하는 토출부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완전히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부 결합부를 둘러싼 외측에 마개부가 착탈 결합하는 마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용기부 본체와, 상기 용기부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용기부 본체의 중심 축선을 따라 활주 이동하도록 설치된 가스켓, 및 중앙이 열려 있는 원판으로 형성되며 주변부가 상기 용기부 본체의 완전히 개방된 일단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결합되는 환상의 리브 캡으로 구성된다.
상기 토출부는 액상물 용기부 본체의 토출부 결합부에 밀착 결합되어 액상물의 유출이 시작되는 본체 결합부와, 본체 결합부에 이어 액상물의 유출을 유도하되 횡단면의 내외주가 타원으로 형성되며 본체 결합부에서 멀어질수록 이심률이 증가하여 내주면이 서로 근접하는 형태가 됨으로써 역류방지 압력 밸브의 기능을 하는 노즐부, 및 노즐부의 선단에 내주면이 1자형의 간극으로 형성되어 액상물을 방출하는 토출구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는 원통형의 가압부 통체의 개방된 일단에 형성된 용기부 결합부가 액상물 용기부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 통체의 가압 지점의 중앙에 위치하여 사용시 가압부를 압착하면 폐색되고 압착이 해제되면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통공이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부는 원통형 부재의 저면에 형성되어 마개부가 액상물 용기부 본체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토출부의 토출구에 이격 없이 밀착되는 토출구 접촉부와, 토출구 접촉부 주위에 설치되어 흡습제를 수용하고 다수의 개방공을 통하여 마개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흡습제 수용부, 및 상기 원통형 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액상물 용기부 본체와 착탈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구성에 의한 액상물 토출 용기를 사용하여 안약 점적 등에 이용하는 경우에 용기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살균성분을 첨가하거나 일회용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액상물의 오염으로 인한 부작용을 근원적으로 방지하는 가운데 반복적인 액상물 점적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여타 공지기술에 비하여 단순한 기술 구성으로 인하여 용기 제조 비용의 절감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 용기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실시예의 토출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토출부의 외부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정의나 부가 조건이 없는 한 다음의 용어와 정의가 적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인 "액상물"은 상온에서 고체나 기체가 아닌 물질을 말하며, 혼합물의 경우 용질에 관계 없이 용매를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인 "용기"는 재질과 형태에 관계 없이 액상물을 수용하여 보관하고 필요시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인 "타원"은 두 정점에서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곡선은 물론 이러한 곡선과 유사한 형태의 곡선을 포함하며, "단축"은 타원의 두 정점을 연결하는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으로서 타원 내부로 한정된 선분을 말하고, "장축"은 타원의 두 정점을 지나면서 타원 내부로 한정된 선분을 말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인 "이심율(eccentricity)"은 타원이 원형에서 멀어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1 - 단축²/장축²)의 제곱근으로 계산되며,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갖는데, 원은 0이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 용기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 용기는, 내부에 액상물을 수용하고 일단이 개방되어 외압에 의해 용적이 줄어들면 액상물을 방출하는 원통형의 액상물 용기부(1)와, 중심축에 액상물 통로가 형성되고 액상물 용기부(1)의 일단에 밀착 결합되어 액상물을 토출하되 탄력적인 연성 재질과 횡단면의 내외주가 타원인 형태로 인하여 역류방지 압력 밸브의 역할을 하는 토출부(2)와, 가요성과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액상물 용기부(1)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어 외압으로 용적이 수축되면 내부 공기의 압력으로 액상물 용기부(1)를 압착하는 원통형의 가압부(3), 및 토출부(2)가 결합된 액상물 용기부(1)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토출부(2)를 보호하는 마개부(4)로 구성된다.
상기 액상물 용기부(1)는 일단에 토출부(2)가 결합하는 토출부 결합부(111)가 형성되고 타단은 완전히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부 결합부(111)를 둘러싼 외측에 마개부(4)가 착탈 결합하는 마개 결합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용기부 본체(11)와, 상기 용기부 본체(11)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용기부 본체(11)의 중심 축선을 따라 활주 이동하도록 설치된 가스켓(12), 및 중앙이 열려 있는 원판으로 형성되며 주변부가 상기 용기부 본체(11)의 완전히 개방된 일단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결합되는 환상의 리브 캡(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부 본체(11)와 가스켓(12)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약액 등의 액상물이 수용되며, 가스켓(12)이 용기부 본체(11)의 중심 축선을 따라 토출부(2) 방향으로 이동하면 액상물이 토출부(2)를 경유하여 방출된다.
상기 리브캡은 원통형인 상기 용기부 본체(11)의 완전히 개방된 단부의 형태(원형)가 압착되는 가압부(3)의 외압이 전이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용기부 본체(11)의 가스켓(12)과 리브 캡(13)으로 둘러싸인 공간과 가압부(3) 간에 공기가 자유롭게 유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리브 캡(13)의 중앙에는 구멍이 뚤려 있다.
상기 토출부(2)는 중심축에 액상물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탄력적인 연성 재질의 일체형 부재이며, 액상물 용기부 본체(11)의 토출부 결합부(111)에 밀착 결합되어 액상물의 유출이 시작되는 본체 결합부(21)와, 본체 결합부(21)에 이어 액상물의 유출을 유도하되 횡단면의 내외주가 타원으로 형성되며 본체 결합부(21)에서 멀어질수록 이심률이 증가하여 내주면이 서로 근접하는 형태가 됨으로써 역류방지 압력 밸브의 기능을 하는 노즐부(22), 및 노즐부(22)의 선단에 내주면이 1자형의 간극으로 형성되어 액상물을 방출하는 토출구(23)로 구성된다.
상기 토출부(2)는 액상물의 유출 통로로 기능하지만, 용기가 액상물의 보관이나 토출에 사용될 경우에는 액상물이 항상 토출부(2)의 내부 공간에 충진된 상태에 있게 되며, 따라서 액상물 용기부 본체(11)와 가스켓(12) 및 토출부(2)로 둘러싸인 공간 전체가 액상물을 수용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2)와 액상물 용기부(1)의 가스켓(12)은 부틸 고무, 부타디엔 고무, 실리콘 고무 등 고무 탄성을 갖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는 가요성과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원통형 부재이며, 원통형의 가압부 통체(31)의 개방된 일단에 형성된 용기부 결합부(311)가 액상물 용기부 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 통체(31)의 가압 지점의 중앙에 위치하여 사용시 가압부를 압착하면 폐색되고 압착이 해제되면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통공(312)이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3)는 액상물 용기부(1)에 결합하되, 토출부(2)와 반대편에 위치하여 기능한다.
상기 가압부 통체(31)의 용기부 결합부(311)는 액상물 용기부 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리브 캡(13)에 인접하여 결합되며, 용기부 결합부(311)와 리브 캡(13)이 인접하게 되면 액상물 용기부 본체(11)의 측면이 외부에 드러나므로, 액상물 용기부 본체(11)가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액상물 용기부(1)에 수용된 액상물의 상태와 잔량을 외부에서 명확히 관측할 수 있다.
상기 통공(312)은 사용 시 가압 지점에 포함되어 폐색되어야 하므로, 가압부 통체(31)의 바닥면으로부터 가압부(3) 내부 공간의 중심점에 대응하는 높이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며,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통공(312)을 가압 지점의 중심으로 명확히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부(4)는 원통형 부재의 저면에 형성되어 마개부가 액상물 용기부 본체(11)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토출부(2)의 토출구(23)에 이격 없이 밀착되는 토출구 접촉부(41)와, 토출구 접촉부(41) 주위에 설치되어 흡습제를 수용하고 다수의 개방공을 통하여 마개부(4)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흡습제 수용부(42), 및 상기 원통형 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액상물 용기부 본체(11)와 착탈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43)로 구성된다.
상기 토출구 접촉부(41)는 마개부(4) 중심의 평판으로 된 부분이며, 마개부(4)가 액상물 용기부 본체(11)와 완전히 결합되면 토출부(2)의 토출구(23)와 밀착되어 토출구(23)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습제 수용부(42)는 실리카 겔이나 알루미나 겔 등의 흡습제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액상물 토출 과정에서 토출구(23)로부터 유출되어 토출구(23) 주변과 노즐부(22) 외측면에 부착되어 잔류하는 액상물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토출부(2) 외측면을 포함하는 마개부(4) 내부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착탈 결합부(43)는 액상물 용기부 본체(11)의 마개 결합부(112)와 대응하는 형태로서 다양한 착탈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나사 결합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도 3는 도 1의 실시예의 토출부(2)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상기 토출부(2)의 외부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D), 정면도(E), 측면도(F) 및 사시도(G)이다.
토출부(2)의 본체 결합부(21) 단면의 내외주는 원형이 보통이지만 반드시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부 본체(11)의 토출부 결합부(111)와 정합하는 형태이면 타원형 등이 될 수도 있다.
노즐부(22)는 본체 결합부(21)에서 토출구(23)로 이어지는 토출부(2)의 중심 부분이며, 노즐부(22) 단면의 내외주는 전체적으로 타원의 형태이지만 토출구(23) 쪽으로 갈수록 이심률이 증가하여 단축이 짧아지므로 내주면이 서로 근접하게 되고, 토출구(23)를 포함하여 토출구(23)에 인접하는 노즐부(22) 단면의 내주면은 서로 밀착되어 1자형의 간극 형태가 된다.
여기서 본체 결합부(21)와 노즐부(22) 및 토출구(23) 단면의 내주와 외주의 이심률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극단적으로 내주의 이심률이 토출구(23) 쪽으로 갈수록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외주의 이심률이 0으로서 원형을 유지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특성과 작용 효과는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토출부(2)가 탄력적인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노즐부(22) 내주면이 근접하는 형태가 됨으로써, 액상물 용기부(1) 내부에 형성된 양압이 증가하면 액상물을 수용하고 있는 액상물 용기부(1)와 토출부(2) 내부의 모든 벽면에 미치는 압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연성 재질의 노즐부(22) 단면의 내외주 단축이 커짐으로써 유출 통로의 단면적이 확대될 수 있으며, 양압이 크지 않아 노즐부(22)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노즐부(22)와 토출구(23)의 간극을 통하여 액상물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데는 지장이 없다.
그러나, 액상물 용기부(1)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면 액상물이 수용된 액상물 용기부(1)와 토출부(2) 내부의 모든 벽면에 미치는 압력이 감소하여 음의 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연성 재질의 노즐부(22) 단면의 내외주 단축이 줄어들어 노즐부(22) 단면의 내주면이 서로 협착함으로써 유체의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액상물 용기부(1)의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면 액상물이 토출부(2)의 내부 경로를 따라 토출구(23)로부터 방출되지만, 액상물 용기부(1)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더라도 토출구(23)를 포함하는 노즐부(22)가 폐색되기 때문에 외부 공기나 유출된 액상물이 토출부(2)나 액상물 용기부(1)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액상물 용기부(1)에 수용된 액상물의 토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통상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가압부 통체(31)를 압착하게 되는데, 이 때 가압 지점의 중심에 위치한 통공(312)이 폐색되며, 통공(312)이 폐색된 상태에서 가압부 통체(31)가 외부 압력으로 수축 변형되면 가압부(3) 내부에 양압이 생성되고 액상물 용기부(1)의 가스켓(12)을 토출부(2) 방향으로 밀어내며, 가스켓(12)이 액상물 용기부 본체(11)의 중심 축선을 따라 토출부(2) 방향으로 활주 이동하게 되면 액상물 용기부(1) 내부에 양압이 생성되고 액상물이 토출부(2)의 토출구(23)를 통하여 방출됨으로써 양압 상태가 해소된다.
가압부(3)에 가해지는 외압을 해제하면 가압부 통체(31)는 탄성에 의하여 복원되고 가압부 통체(31) 내부에는 음압이 생성되는데, 생성된 음압에 의해 통공(312)을 통하여 공기가 통체(31)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음압은 해소된다.
그렇지만, 외압이 충분히 해소되어 통공(312)의 폐색이 해제될 때까지는 가압부 통체(31) 내부에 생성된 음압이 가스켓(12)을 통하여 액상물 용기부(1) 내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액상물 용기부(1) 내부에 생성된 음압은 토출부(2)에도 미치지만, 이 경우 노즐부(22)가 역류방지 밸브로 작용하여 폐색되므로 외부 공기나 유출된 액상물의 유입은 일어나지 않는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6의 실시예의 경우 가압부 통체(31)가 액상물 용기부 본체(11)를 감싸는 외피 형태로 되어 있으며, 액상물 용기부(1)에서 토출부(2)가 결합되는 단부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스켓(12)의 토출부(2) 방향면도 동일한 원뿔 형태로 대응하고 있으며, 토출부(2)의 길이가 실시예 1의 경우에 비해 짧다.
또한, 가스켓(12)은 엘라스토머 재질의 용기부 본체 밀착부(122)가 경성 재질의 지지 프레임(121)을 환형으로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액상물 용기부 본체(11)의 토출부 결합부(111)의 토출부(2) 결합면과 가압부 통체(31)가 결합하는 외주면, 및 리브 캡(13)이 결합하는 외주면에 각기 환상의 돌부(113, 114, 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토출부(2)의 본체 결합부(21)의 외주면과 가압부(3)의 용기부 결합부(311)의 내주면, 및 리브 캡(13)의 내주면에는 각기 환상의 홈부(113, 114, 1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부와 홈부가 대응하여 결합됨으로써, 액상물 용기부 본체(11)와 토출부(2), 가압부 통체(31), 및 리브 캡(13)의 결합상태가 더욱 견고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개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에 의해서도 실시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라 하겠다.
1 : 액상물 용기부 11 : 용기부 본체
111 : 토출부 결합부 112 : 마개 결합부
12 : 가스켓 13 : 리브 캡
2 : 토출부 21 : 본체 결합부
22 : 노즐부 23 : 토출구
3 : 가압부 31 : 가압부 통체
311 : 용기부 결합부 312 : 통공
4 : 마개부 41 : 토출구 접촉부
42 : 흡습제 수용부 43 : 착탈 결합부

Claims (5)

  1. 내부에 수용된 액상물의 보관과 토출에 이용되는 액상물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액상물을 수용하고 일단이 개방되어 외압에 의해 용적이 줄어들면 액상물을 방출하는 원통형의 액상물 용기부와, 중심축에 액상물 통로가 형성되고 액상물 용기부의 일단에 밀착 결합되어 액상물을 토출하되 탄력적인 연성 재질과 횡단면의 내외주가 타원인 형태로 인하여 역류방지 압력 밸브의 역할을 하는 토출부와, 가요성과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액상물 용기부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어 외압으로 용적이 수축되면 내부 공기의 압력으로 액상물 용기부를 압착하는 원통형의 가압부, 및 토출부가 결합된 액상물 용기부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토출부를 보호하는 마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 용기부는, 일단에 토출부가 결합하는 토출부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완전히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부 결합부를 둘러싼 외측에 마개부가 착탈 결합하는 마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용기부 본체와, 상기 용기부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용기부 본체의 중심 축선을 따라 활주 이동하도록 설치된 가스켓, 및 중앙이 열려 있는 원판으로 형성되며 주변부가 상기 용기부 본체의 완전히 개방된 일단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결합되는 환상의 리브 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액상물 용기부 본체의 토출부 결합부에 밀착 결합되어 액상물의 유출이 시작되는 본체 결합부와, 본체 결합부에 이어 액상물의 유출을 유도하되 횡단면의 내외주가 타원으로 형성되며 본체 결합부에서 멀어질수록 이심률이 증가하여 내주면이 서로 근접하는 형태가 됨으로써 역류방지 압력 밸브의 기능을 하는 노즐부, 및 노즐부의 선단에 내주면이 1자형의 간극으로 형성되어 액상물을 방출하는 토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원통형의 가압부 통체의 개방된 일단에 형성된 용기부 결합부가 액상물 용기부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 통체의 가압 지점의 중앙에 위치하여 사용시 가압부를 압착하면 폐색되고 압착이 해제되면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통공이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원통형 부재의 저면에 형성되어 마개부가 액상물 용기부 본체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토출부의 토출구에 이격 없이 밀착되는 토출구 접촉부와, 토출구 접촉부 주위에 설치되어 흡습제를 수용하고 다수의 개방공을 통하여 마개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흡습제 수용부, 및 상기 원통형 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액상물 용기부 본체와 착탈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KR1020170150225A 2017-11-13 2017-11-13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KR101985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225A KR101985746B1 (ko) 2017-11-13 2017-11-13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225A KR101985746B1 (ko) 2017-11-13 2017-11-13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214A true KR20190054214A (ko) 2019-05-22
KR101985746B1 KR101985746B1 (ko) 2019-06-05

Family

ID=6667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225A KR101985746B1 (ko) 2017-11-13 2017-11-13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746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950Y1 (ko) * 2000-08-24 2001-02-15 홍석기 식약품용기의 제습통 결합구조
KR20100121317A (ko) * 2009-05-08 2010-11-17 주식회사 예찬 공기 펌프식 작동구를 갖는 용기
KR101174388B1 (ko) 2012-06-13 2012-08-16 김기덕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JP2013193740A (ja) * 2012-03-15 2013-09-30 Kikkoman Corp 逆止弁
KR101415854B1 (ko) 2013-08-09 2014-07-09 김기덕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1426393B1 (ko) 2013-05-31 2014-08-05 김기덕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1433252B1 (ko) 2013-03-08 2014-10-01 김기덕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1588487B1 (ko) 2009-05-22 2016-01-25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점안 용기
KR101614391B1 (ko) 2008-07-31 2016-04-21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항균 보호기능을 포함하는, 액체를 한방울씩 배출하기 위한 포장 용기
KR101682033B1 (ko) 2010-02-04 2016-12-02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배출 헤드를 갖는 액체 저장용 병
KR101791087B1 (ko) 2010-07-30 2017-10-27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점적으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헤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950Y1 (ko) * 2000-08-24 2001-02-15 홍석기 식약품용기의 제습통 결합구조
KR101614391B1 (ko) 2008-07-31 2016-04-21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항균 보호기능을 포함하는, 액체를 한방울씩 배출하기 위한 포장 용기
KR20100121317A (ko) * 2009-05-08 2010-11-17 주식회사 예찬 공기 펌프식 작동구를 갖는 용기
KR101588487B1 (ko) 2009-05-22 2016-01-25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점안 용기
KR101682033B1 (ko) 2010-02-04 2016-12-02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배출 헤드를 갖는 액체 저장용 병
KR101791087B1 (ko) 2010-07-30 2017-10-27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점적으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헤드
JP2013193740A (ja) * 2012-03-15 2013-09-30 Kikkoman Corp 逆止弁
KR101174388B1 (ko) 2012-06-13 2012-08-16 김기덕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1433252B1 (ko) 2013-03-08 2014-10-01 김기덕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1426393B1 (ko) 2013-05-31 2014-08-05 김기덕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1415854B1 (ko) 2013-08-09 2014-07-09 김기덕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746B1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5445B2 (ja) 吐出容器および点眼容器
JP5531013B2 (ja) 点眼容器
US4533068A (en) Sterile solution delivery and venting devices
JP6483131B2 (ja) ディスペンサーのための保護キャップ、及び医薬液体及び/又は化粧品液体を放出するための放出装置
FI92036B (fi) Puhdistettavaa nestettä varten tarkoitettu pakkaus
KR102197420B1 (ko)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JP7169974B2 (ja) コンテナ内に収容される液体の試料を収集するためのデバイス、関連のコンテナ、及びこのコンテナの使用
KR101985746B1 (ko) 토출 및 오염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 용기
JP2004166978A (ja) 薬液容器
US5460299A (en) Dispenser for dispensing a liquid container in a plastic bag and a plastic bag for use in the dispenser
JPS59150514A (ja) 手持ち型液体濾過分配装置
CN110946624A (zh) 一种用于可释放地存储物质的容器系统及方法
JP2004051170A (ja) 薬液容器
JPH0361461B2 (ko)
JPS62125804A (ja) 簡易液体浄化装置
JPH063808Y2 (ja) 点眼用二次汚染防止キャップ
JPH0246900Y2 (ko)
JP4371773B2 (ja) 汚染防止キャップ
JPH0215550Y2 (ko)
KR200209211Y1 (ko) 맹독성 약제 포장용기의 공기유입장치
JPS5878661A (ja) 無菌溶液放出及び通気装置
CA1195300A (en) Sterile solution delivery and venting devices
WO2004039305A1 (ja) 汚染防止キャップ
JP2004026309A (ja) 汚染防止キャップ
JPH08243149A (ja) フィルタ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