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031A - 인덕션 버너 냉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덕션 버너 냉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031A
KR20190054031A KR1020187028371A KR20187028371A KR20190054031A KR 20190054031 A KR20190054031 A KR 20190054031A KR 1020187028371 A KR1020187028371 A KR 1020187028371A KR 20187028371 A KR20187028371 A KR 20187028371A KR 20190054031 A KR20190054031 A KR 20190054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outlet
fans
interior spac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렌 에릭 벤그로프
조나단 에이. 젠킨스
Original Assignee
마이어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리미티드
조나단 에이. 젠킨스
다렌 에릭 벤그로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어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리미티드, 조나단 에이. 젠킨스, 다렌 에릭 벤그로프 filed Critical 마이어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2Cooling of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는 상단 플래튼 표면, 하단 벽, 및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측벽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내부 공간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측벽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흡입구, 및 측벽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또한 제1 부분으로부터 팬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제1 입구, 및 팬으로부터 제2 부분 안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출구를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팬들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팬들은 제1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흡입구를 통해 하우징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제2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출구를 통해 하우징 밖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더 구성된다.

Description

인덕션 버너 냉각 시스템 및 방법
본 개시는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을 위한 냉각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팬들을 포함하는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에 대한 냉각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디바이스는: 요리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대략적으로 원형 상단 플래튼 표면, 하단 벽 및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측벽을 갖는 대략적으로 원통형 하우징으로서, 내부 공간은 하나 이상의 배플들에 의해 분리되는 내부 공간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되; 내부 공간의 제2 부분은 내부 공간의 제1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플래튼 표면이 내부 공간의 제1 및 제2 부분들에 걸쳐 연장되고; 측벽은 내부 공간의 제1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내부 공간의 제2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원통형 하우징; 내부 공간의 제1 부분과 외부 환경 사이의 측벽의 제1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흡입구; 내부 공간의 제2 부분과 외부 환경 사이의 측벽의 제2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배출구; 내부 공간 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팬들로서,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은 내부 공간의 제1 부분에 위치되는 입구 및 내부 공간의 제2 부분에 위치되는 출구를 포함하되, 입구는 제1의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팬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출구는 제1의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팬 밖으로 공기를 배출하며, 하나 이상의 팬들은 제2의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흡입구를 통해 하우징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제3의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배출구를 통해 하우징 밖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더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팬들; 플래튼 표면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의 전원을 변조하기 위한 전자기기로서, 전자기기는 내부 공간의 제2 부분에 위치되고, 전자기기의 적어도 일부는 채널들을 정의하는 일련의 수직 핀들을 갖는 히트 싱크에 열적으로 연결되고, 채널들은 하나 이상의 팬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대략 평행하게 위치되며, 히트 싱크는 하나 이상의 팬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출구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디바이스는 무게가 15 파운드 미만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디바이스는: 요리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상단 플래튼 표면, 하단 벽, 및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측벽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내부 공간이 하나 이상의 배플들에 의해 분리되는 내부 공간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내부 공간의 제1 부분과 외부 환경 사이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흡입구; 내부 공간의 제2 부분과 외부 환경 사이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배출구; 내부 공간 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팬들로서,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은 내부 공간의 제1 부분에 위치되는 제1 입구 및 내부 공간의 제2 부분에 위치되는 제1 출구를 포함하되, 제1 입구는 내부 공간의 제1 부분으로부터 팬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제1 출구는 팬으로부터 내부 공간의 제2 부분 안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팬들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팬들은 제1의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흡입구를 통해 하우징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제2의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배출구를 통해 하우징 밖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더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팬들; 플래튼 표면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 및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의 전원을 변조하기 위한 전자기기로서, 전자기기는 내부 공간의 제2 부분에 위치되는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디바이스가 무게가 15 파운드 미만인 임의의 그러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디바이스가 무게가 5 파운드 미만인 임의의 그러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의 제1 입구가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팬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임의의 그러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의 제1 입구가 제3의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팬들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임의의 그러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이 내부 공간의 제1 부분에 위치되는 제2 입구를 더 포함하며, 제1 입구는 각각의 팬의 상단 벽 상에 위치되고 제1의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공기를 각각의 팬 안으로 흡입하고, 제2 입구는 각각의 팬의 하단 벽 상에 위치되고 제2의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공기를 각각의 팬 안으로 흡입하는 임의의 그러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의 제1 출구가 각각의 팬의 측벽 상에 위치되고 제3의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각각의 팬 밖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임의의 그러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전자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히트 싱크에 열적으로 연결되는 임의의 그러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히트 싱크가 채널들을 정의하는 일련의 수직 핀들을 가지며, 채널들이 하나 이상의 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대략 평행하게 위치되는 임의의 그러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히트 싱크가 하나 이상의 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출구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임의의 그러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우징이 대략적으로 원형,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대략적으로 타원형, 또는 대략적으로 사각형인 횡단면 형상을 갖는 임의의 그러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배출구가 흡입구의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의 측벽 상에 위치되는 임의의 그러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흡입구의 크기가 제1 입구 및 하나 이상의 팬들 중 각각의 팬의 임의의 다른 입구의 조합의 크기의 적어도 30%인 임의의 그러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흡입구의 크기가 제1 입구 및 하나 이상의 팬들 중 각각의 팬의 임의의 다른 입구의 조합의 크기의 적어도 45%인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할되는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하우징으로서, 제1 부분은 하우징의 측면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흡입구 개구들 및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의 제1 입구를 포함하고, 제2 부분은 하우징의 측벽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 개구들 및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의 제1 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를 냉각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방법은: 제1의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흡입구 개구부를 통해 제1 부분으로 기류를 흡입하는 단계; 제1의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각각의 제1 입구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 안으로 기류를 흡입하는 단계; 제2의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각각의 제1 출구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으로부터 제2 부분으로 기류를 배출하는 단계, 및 제2 부분으로 배출되는 기류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유도 코일을 변조하기 위한 전자기기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3의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배출구 개구들을 통해 제2 부분 밖으로 기류를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전자기기를 냉각시키는 단계가 전자기기의 일부에 열적으로 연결되는 히트 싱크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제2 부분 안으로 배출되는 기류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의의 그러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이 제2 입구를 더 포함하고, 방법이 제2의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각각의 제2 입구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 안으로 기류를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의의 그러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가 무게가 15 파운드 미만인 임의의 그러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가 무게가 5 파운드 미만인 임의의 그러한 방법이다.
본 개시 및 그것의 특징들 및 장점들의 보단 완전한 이해를 위해, 하기의 첨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지는 다음 설명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시스템을 갖는 일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시스템을 갖는 다른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도 3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시스템을 갖는 다른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도 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시스템을 갖는 다른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도 5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시스템을 갖는 일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상승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5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5의 라인 7-7을 따라 취해지는 도 5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횡단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라인 8-8을 따라 취해지는 도 5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횡단 상면도이고;
도 9a는 제어/전원 전자기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일 예시적 히트 싱크를 갖는 5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히트 싱크의 배면도의 개략도이고;
도 10a는 제어/전원 전자기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예시적 히트 싱크를 갖는 5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히트 싱크의 배면도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제어/전원 전자기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다른 예시적 히트 싱크를 갖는 5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예시적 추가 형상들을 예시하고;
도 15 내지 도 16은 원심 팬들을 갖는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을 예시하고;
도 17 내지 도 18은 하나 이상의 방사형 팬들을 갖는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을 예시하고;
도 19a는 일 예시적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상단 개략도를 예시하고;
도 19b는 도 19a의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내부 부분의 상단 개략도를 예시한다.
도 20a는 다른 예시적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상단 개략도를 예시하고;
도 20b는 도 20a의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내부 부분의 상단 개략도를 예시한다.
본 개시는 냉각 시스템들을 장착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개시는 또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 대한 냉각 시스템들의 다양한 실시예들뿐만 아니라,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을 냉각시키는 방법들을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도 1 내지 도 20b의 도면들에 제공되는 예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사한 번호들은 다양한 도면들의 유사한 및 대응하는 부분들에 대해 사용된다.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냉각 시스템은 흡입구를 통해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내부 공간을 통해 그리고 배출구 밖으로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부 공간 안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공기가 냉각 시스템의 팬의 입력으로 들어가기 전에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팬의 출력을 나가는 공기는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을 나가기 전에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냉각될 구성요소들의 표면들에 걸쳐 통과하는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 내에 공기의 흐름들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공기의 흐름들은 냉각될 구성요소들의 표면들에 걸쳐 우선적으로 통과하는 유로들을 따라 흐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냉각 시스템의 배출구 및 흡입구는 공기가 수평적으로 내부 공간 안과 밖으로 흐르도록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측면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임의의 구성요소는 냉각 시스템을 사용하여 냉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각될 구성요소들은 플래튼(platen) 표면, 유도 코일, 제어/전원 전자기기,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냉각될 구성요소들 또는 표면들에 걸쳐 우선적으로 통과하는(예를 들어, 냉각 기류에 신뢰성 있는 노출을 제공하는) 유로를 설정하는 능력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설계에 대해 증가된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것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이 전형적으로 내부 공간 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위치에 대한 냉각 및 설계 고려사항들을 위해 이용 가능한 공간을 제한하였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내부 공간을 통한 공기의 수평 흐름(하나 이상의 팬들에 의해 원조됨)을 제공하는 흡입구 및 배출구 구성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가 지지 표면에 더 가까이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에 대한 공간 요건들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그것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가 지지 표면과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하단 사이에 더 작은 안전 간극을 갖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는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낮출 수 있다. 측벽들에 위치되는 흡입구 및 배출구는 덜 제한된 기류의 가용성을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입구 및 배출구는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대향 측면들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로부터 이용 가능한 차가운 공기를 분리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는 원통형 바디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공간 요건들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400)을 갖는 일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화염 또는 전기 가열 요소로부터의 열전도 대신에, 자기 유도에 의해 요리 용기(예를 들어, 예컨대 요리 냄비)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인덕션 요리 및/또는 전통적인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을 냉각시키는 전통적인 방법들에 관한 추가적인 상세들은 다음 문헌들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그 각각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발명의 명칭이 "Cooking Appliance"인 미국 특허 번호 제8,003,924호; 발명의 명칭이 "Induction Heat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High Reliability and Advanced Performance Features"인 미국 특허 번호 제8,803,048호; 및 발명의 명칭이 "Induction Cook Top with Heat Management System"인 미국 특허 번호 제8,884,197호.
예시된 바와 같이,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하우징(200)에 장착되는 유도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유도 조립체(100)는 예를 들어, 교류 전류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자속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 코일(1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속은 예를 들어, 요리 용기를 반복적으로 자화할 수 있어서, 요리 용기의 저항 가열을 야기하는 와전류들을 생성한다.
하우징(200)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고, 사용자가 내부 구성요소들을 접촉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하기 위해 외부 하우징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0)은 보호 그레이트(grate)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하우징(200)은 상부 조립체(210)를 포함하고, 상부 조립체(210)는 플래튼 표면(211)을 포함하며, 그 예들이 도 5 내지 도 8에 예시된다. 플래튼 표면(211)은 요리 용기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에 의해 가열되는 동안에 요리 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플래튼 표면(211)은 단열 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플래튼 표면(211)을 냉각시킬 필요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우징(200)은 또한 하부 벽(220) 및 내부 공간(240)을 정의하는 측벽(230)을 포함한다.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240)은 유도 코일(110)에 대한 동작들 또는 전원을 변조하기 위한 제어/전원 전자기기(300)(예를 들어, 회로 기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전원 전자기기(300)는 전류를 유도 코일(110)에 제공하거나, 전류가 유도 코일(110)에 제공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들의 예들은 도 5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아래에 더 논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것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냉각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유도 코일(110), 플래튼 표면(211)을 포함하는 상부 조립체(210), 제어/전원 전자기기(300),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냉각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한 냉각을 제공하기 위해,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흡입구(456)와 배출구(458) 사이의 내부 공간(240)을 통해 공기의 스트림(또는 일반적으로 화살표들(600 및 601)에 의해 도시되는 기류들)을 흐르게 하도록 구성되는 냉각 시스템(400)을 포함한다.
흡입구(456)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450)을 포함한다. 특히, 흡입구(456)는 하우징(200) 외부의 환경과 내부 공간(240) 사이의 측벽(230)의 제1 부분(231)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451)을 포함한다. 흡입구(456)와 유사하게, 배출구(458)는 또한 하나 이상의 개구들(450)을 포함한다. 특히, 배출구(458)는 하우징(200) 외부의 환경과 내부 공간(240) 사이의 측벽(230)의 제2 부분(232)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45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입구(456)의 하나 이상의 개구들(451)은 배출구(458)의 하나 이상의 개구들(453)로부터 이격된다.
냉각 시스템(400)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내부 공간(240) 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팬들(470)을 더 포함한다. 팬들(470)은 기류가 팬(470) 안으로 흡입되는 입구(472) 및 기류가 팬(470)으로부터 배출되는 출구(474)를 가질 수 있다. 팬들(470)은 전형적으로 회전 블레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베인들, 임펠러들, 리브들, 또는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적합한 구조(들)일 수 있다. 블레이드들은 로터 또는 휠과 같은 회전가능 구조체 상에 위치되거나 이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블레이드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에 따라, 팬(47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만곡되는 방사형 블레이드들 또는 블레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팬들(470)은 축류 팬, 직교류 팬, 원심 팬, 방사형 팬, 다단 팬,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원심 팬에서, 예를 들어, 임펠러(또는 블레이드들)의 회전은 입구(472) 안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키며, 그 다음, 이는 하우징 내의 압력으로 변환된다. 그 다음, 팬(470)의 하우징 내의 공기는 유량(rate), 속도, 및 압력과 같은 유동 특성들을 갖는 출구(474)로부터 배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팬(470)은 송풍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팬들(470)은 입구(472) 또는 출구(474)의 위치, 크기, 배향, 또는 임의의 다른 파라미터를 수정하도록 구성되는 덕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열전대들은 온도들을 감시하고 하나 이상의 팬들(470)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팬들(470)은 회전가능 블레이드들(예를 들어, 도 8 참조)이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들(471)을 포함한다. 동작시, 하나 이상의 팬들(470)은 입구(472)에 및/또는 이에 인접하여 낮은 압력 환경을 생성하고 출구(474)에 및/또는 이에 인접하여 더 높은 압력 환경을 생성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팬들(470)은 흡입구(456) 안으로 그리고 흡입구(456)와 팬(470)의 입구(472) 사이의 내부 공간(240)을 통해 연장되는 유로를 따라 외부 기류(600)를 흡입한다. 출구(474)를 통해 팬(470)을 나간 후에, 기류(601)는 그것이 유로를 따라, 내부 공간(240)을 더 낮은 압력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하는 배출구(458)를 향해, 그리고 그 밖으로 흐를 수 있는 출구(474)에 인접한 내부 공간(240) 안으로 다시 흐른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냉각될 구성요소들 또는 구성요소 표면들은 흡입구(456)과 입구(472) 사이, 출구(474)와 배출구(458) 사이, 또는 둘 다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전원 전자기기(30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456)와 입구(472) 사이(도 1의 301에 의해 지시됨), 출구(474)와 배출구(458) 사이(도 1의 302에 의해 지시됨), 또는 둘 다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전원 전자기기(300)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내부 공간(240) 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냉각될 구성요소들 또는 구성요소 표면들은 내부 공간(240)을 통해 이동하는 기류들(600, 601)의 유로에 또는 이를 따라(예를 들어, 이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전원 전자기기(300)는 흡입구(456)와 입구(472) 사이의 기류(600)의 유로를 따라서, 출구(474)와 배출구(458) 사이의 기류(601)의 유로를 따라서, 또는 둘 다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또는 다른 예에서, 유도 코일(110)은 흡입구(456)와 입구(472) 사이의 기류(600)의 유로를 따라서, 출구(474)와 배출구(458) 사이의 기류(601)의 유로를 따라서, 또는 둘 다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예들 또는 다른 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플래튼 표면(211)은 흡입구(456)와 입구(472) 사이의 기류(600)의 유로를 따라서, 출구(474)와 배출구(458) 사이의 기류(601)의 유로를 따라서, 또는 둘 다에 위치될 수 있다.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흡입구(456)는 외부 기류(600)가 내부 공간(240) 안으로 흡입되고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 표면(들)(예를 들어, 110, 210, 300)에 인접한 유로를 따라 흐를 수 있도록 입구(472)에 대해 측벽(230)의 제1 부분(231)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입구(472)와 출구(474) 사이의 하나 이상의 유로들, 예컨대 직접 유로들 또는 하나 이상의 라우팅된 경로들은 유속 또는 유량과 같은 유동 특성들이 유로에 인접한 영역들보다 더 클 수 있는 기류들(600, 601)을 위한 바람직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될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은 기류들(600, 601)이 흡입구(456)와 입구(472) 사이 또는 출구(474)와 배출구(458) 사이에서 우선적으로 흐르는 바람직한 유로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그리고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냉각 시스템(400)은 내부 공간(240)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보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배플들(46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플(460)은 기류가 다른 영역으로 지향될 수 있도록, 한 위치에서 기류를 차단하는 임의의 구조체 또는 부재일 수 있다. 배플들(460)은 흡입구(456)와 입구(472) 사이, 출구(474)와 배출구(458) 사이,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 사이에서 기류들(600, 60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플들(460)은 기류들(600, 601)의 바람직한 경로가 플래튼 표면(211), 유도 코일(110), 제어/전원 전자기기(300),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냉각될 구성요소 주위로, 이를 따라, 또는 이를 향하여 라우팅되도록 유로들을 수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배플들(460)은 예를 들어, 팬(들)(470)에 의해 구동되는 차압을 설정하거나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240)을 추가로 분할하거나 구획화할 수 있다. 이러한 차압은 흡입구(456)에서 내부 공간(240)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가 내부 공간(240)을 통해 흐른 후에 배출구(458)에서 공기를 방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플들(460)은 또한 유로의 일부를 따라 난류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플들(460)은 냉각될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되거나 기류를 조절하거나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구조체들, 예컨대 벽들 또는 장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배플들(460)은 내부 공간(240)을 (본 명세서에서 구획들로서 언급될 수 있는) 부분들로 분리하기 위해 내부 공간(24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팬들(470)의 입구(472) 및 출구(474)는 배플들(460)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입구(472)는 제1 구획(241)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출구(474)는 제1 구획(241)에 인접한 제2 구획(24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기류(600)가 제1 구획(241)로부터 입구(472) 안으로 흡입되게 할 수 있고, 기류들(601)이 하나 이상의 팬들(470)의 동작에 의해 출구(474)로부터 제2 구획(242) 안으로 배출되게 추가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냉각 시스템(400) 및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10)을 냉각시키는 방법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내부 공간(240) 내에 하나 이상의 팬들(470)을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팬(470)의 동작은 공기가 팬(470)의 입구(472)에 도달하기 전에 내부 공간(240)의 제1 구획(241) 안으로 기류(600)를 흡입하여 그 안의 구성요소들을 냉각시키는 것이다. 냉각 시스템(400) 및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를 냉각시키는 방법은 기류(601)가 배출구(458)에서 내부 공간(240)을 나가기 전에 출구(474)로부터 (하나 이상의 배플들(460)에 의해 제1 구획(241)로부터 분리되는) 내부 공간(240)의 제2 구획(242) 안으로 기류(601)을 배출하여 그 안의 구성요소들을 추가로 냉각시키는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제1 구획(241)에만 팬들(470)을 위치시키고, 추가로 제2 구획(242)에만 전기 구성요소들(예컨대 제어/전원 전자기기(300))을 위치시키는 것은 가장 많은 열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들이 팬들의 출구들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음에 따라, 구성요소들의 더욱 효율적인 배치/냉각을 허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배플들(460)은 흡입구(456)와 배출구(458) 사이의 내부 공간(240) 내의 기류(600/601)을 제한하는 위치에서 내부 공간(24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배플들(460)은 팬(470)의 입구(472)와 출구(474) 사이의 팬(470) 주위의 내부 공간(240) 내의 기류(600/601)을 제한하는 위치에서 내부 공간(240) 내에 위치된다. 내부 공간(240)은 배플들(460)에 의해 분리되는 제1 구획(241) 및 제2 구획(242)을 포함한다. 제1 구획(241)은 측벽(230)의 제1 부분(231)을 따라 흡입구(456)를 통해 외부 환경과 유체 연통하고, 팬(470)을 통해 제2 구획(242)과 추가로 유체 연통한다. 제2 구획(242)은 팬(470)을 통해 제1 구획(241)과 유체 연통하고, 측벽(230)의 제2 부분(232)을 따라 배출구(458)를 통해 외부 환경과 추가로 유체 연통한다. 배플들(460)은 팬(470)을 통하는 것 외에, 내부 공간(240) 내의 제1 구획(241)과 제2 구획(242) 사이에서 기류를 제한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2개의 인접한 구획들(241, 242)은 구획들(241, 242) 사이에 위치되는 팬(470)의 입구(472) 및 출구(474)를 통해 유체 연통할 수 있지만, 기류들(600, 601)은 배플들(460)을 따라 내부 공간(240) 내의 구획들(241, 242) 사이에서 달리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팬(470)이 동작시, 유체 연통은 본질적으로 기류의 방향에 대해 입구(472)로부터 출구(474)로의 일방향 유체 연통일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팬(470)은 가역 팬(470)이며, 여기서 팬(470)을 반전시키는 것은 내부 공간(240)을 통해 기류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기류(601)는 (플래튼 표면(211)을 포함하는) 상부 조립체(210), 유도 코일(110), 제어/전원 전자기기(300),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넓은 영역의 흐름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출구들(474)로부터 광범위한 패턴으로 배출된다. 하우징(200)은 유량을 증가시키고 기류(601)가 배출구(458)를 나가기 전에 제2 구획(242) 내의 공기 이동을 촉진시키는 난류를 야기하는 경계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개된 바와 같이,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흡입구(456)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450)(예컨대 개구들(451))을 포함하고,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배출구(458)는 또한 하나 이상의 개구들(450)(예컨대 개구들(453))을 포함한다. 흡입구(456) 및/또는 배출구(458)의 개구들(450)은 임의의 수의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456) 및/또는 배출구(458)의 개구들(450)은 각각 단일의 개구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흡입구(456) 및/또는 배출구(458)의 개구들(450)은 각각 다수의 개구들(예를 들어, 한 세트의 개구들(451) 또는 한 세트의 개구들(453))일 수 있다. 흡입구(456) 및/또는 배출구(458)의 개구들(450)이 다수의 개구들인 실시예들에서, 개구들(450)은 2개 이상의 이격된 개구들 또는 2개 이상의 이격된 개구들의 세트들일 수 있다. 개구들(450)은 임의의 거리의 양만큼 인접한 개구(450)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수직적으로 및/또는 수평적으로 이격되는 것과 같이, 임의의 방향으로 추가로 이격될 수 있다. 개구들(450)(또는 개구들의 세트)은 임의의 크기, 형상, 위치, 및/또는 배향을 더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오목 슬랫들(slats)(또는 측벽(230)의 다른 부분들)은 인접 개구들(450)(또는 인접한 개구들(450)의 세트들)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구들(450)의 위치, 배향, 크기, 형상, 또는 갯수 중 하나 이상은 경로, 체적, 속도,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원하는 유동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개구들(450)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원하는 유동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예로서,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456)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451)(또는 개구들의 세트)은 측벽(230) 상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가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안으로 흡입되는 것을 야기한다. 대략적 수평 방향은 수직 성분보다 더 큰 수평 성분을 갖는 방향을 지칭한다. 이들 예들에서, 입구(472)는 팬(470)의 측벽 상에 위치되어, 기류가 또한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팬(470) 안으로 흡입되게 한다. 추가적으로, 배출구(458)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453)(또는 개구들의 세트)은 측벽(230) 상에 위치되어, 기류가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로부터 배출되게 한다. 이들 예들에서, 출구(472)는 또한 팬(470)의 다른 측벽 상에 위치되어, 기류가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팬(470)으로부터 배출되게 한다. 따라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를 통한 기류는 모두 대략적 수평 방향(또는 대략적 수평 방향들)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예로서, 흡입구(456) 및/또는 배출구(458)는 하부 벽(220)에 위치될 수 있어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안으로 흡입되고/되거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흡입/배출되게 한다. 대략적 수직 방향은 수평 성분보다 더 큰 수직 성분을 갖는 방향을 지칭한다.
제3 예로서, 흡입구(456) 또는 배출구(458)의 개구들(451, 453)(또는 개구들의 세트)은 흡입구(456)에서 제1 구획(241) 안으로 또는 출구(474)에서 제2 구획(242) 안으로 흡입되는 기류(600, 601)가 냉각될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표면을 따라 우선적으로 통과하도록 팬(470)의 대응하는 입구(472) 및 출구(474)에 대해 각각의 측벽 부분들(231 , 232)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개구들(451, 453)(또는 개구들의 세트)에 대해 선택되는 위치는 대응하는 입구(472) 또는 출구(474)에 대해 높이 및/또는 측면 거리에서 더 높거나, 더 낮거나, 실질적으로 등가일 수 있다. 따라서, 입구(472)로부터 오프셋되는 흡입구(456) 또는 배출구(458)로부터 오프셋되는 출구(474)는 수직 또는 수평 성분들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유로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구들(450)의 배향은 또한 하나 이상의 원하는 유동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입구(456) 및 배출구(458)의 개구들(450)은 수직, 수평과 같은 임의의 배향,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개구들(450)의 배향은 기류들(600, 601)의 교차 또는 합류 흐름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교차 또는 합류 흐름 패턴은 예를 들어, 동일한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들의 다수의 표면들을 냉각 기류들(600, 601)에 노출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구들(450)의 형상 또는 횡단면은 또한 하나 이상의 원하는 유동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해 치수화될 수 있다. 제1 예로서, 개구들(450) 중 하나 이상은 냉각될 구성요소의 표면을 따라 증가된 유량 및/또는 유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단면적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들(450)은 더 좁거나 집중된 개구들(또는 개구들의 세트)보다 더 넓은 유로들 또는 더 낮은 속도 흐름들을 제공하도록 형상화되는 넓은 또는 긴 개구들(또는 개구들의 세트들)일 수 있다. 개구들(450)(또는 개구들의 세트들)은 또한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기류들(600, 601) 내에 난류를 제공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제2 예로서, 흡입구(456)의 개구(451)(또는 개구들의 세트)는 기류(600)가 제1 구획(241) 안으로 흡입될 때, 기류(600)가 입구(472)을 향해 제1 구획(241) 내의 대응하는 길이를 따라 이동하도록 측벽(230)의 제1 부분(231)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개구(451)(또는 개구들의 세트)의 크기는 기류(600)의 유로를 수정하기 위해 (입구(472)와 비교하여) 더 작거나, 동일하거나, 더 큰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451)(또는 개구들의 세트)의 길이는 입구(472)의 길이보다 더 클 수 있어서, 기류(600)가 입구(472)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좁아지는(또는 집중되는) 유로를 따라 기류(600)가 이동하게 한다. 다른 예로서, 개구(451)(또는 개구들의 세트)의 길이는 입구(472)의 길이보다 더 작을 수 있어서, 기류(600)가 입구(472)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확장하는 유로를 따라 기류(600)가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453)(또는 개구들의 세트)는 기류(601)가 제2 구획(242) 안으로 이동할 때, 기류(601)가 배출구(458)에서 흐름의 폭을 획득하기 위해 배출구(458)를 향해 이동하도록 측벽(230)의 제2 부분(23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구(474)의 길이는 배출구(458)의 길이보다 더 작을 수 있어서, 기류(601)은 확장되는 유로를 따라 이동한다. 다른 예로서, 출구(474)의 길이는 배출구(458)의 길이보다 더 클 수 있어서, 기류(601)는 좁아지는 유로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출구(474)는 기류(601)의 수직 또는 수평 길이에 대해 집중된 또는 광범위한 배출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구들(450)의 수는 하나 이상의 원하는 유동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예로서, 흡입구(456)는 제1 구획(241) 안으로 흡입되는 기류(600)가 입구(472)를 향해 흐를 수 있는 다수의 유로들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다수의 개구들(451)(또는 다수의 개구들의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배출구(458)는 출구(474)에서 팬(470)을 나가는 기류(601)가 배출구(458)를 향해 흐를 수 있는 다수의 유로들을 제공하기 위해 이격되는 다수의 개구들(453)(또는 다수의 개구들의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구(456) 또는 배출구(458)는 냉각될 구성요소들의 표면들을 따라 통과하는, 원하는 유로들, 속도들, 볼륨들,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제공하기 위해 측벽(230)의 제1 부분(231) 또는 측벽(230)의 제2 부분(232)을 따라 이격되는 다수의 개구들(451, 45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구(456) 및/또는 배출구(458) 2개 이상의 이격된 개구들(451, 453)(또는 개구들의 세트들)은 제1 구획(241) 또는 제2 구획(242) 내에 교차 또는 합류 흐름 패턴을 생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456)의 2개의 이격된 개구들(451)(또는 개구들의 세트들)은 하나의 입구(472)로 병합하는 2개의 유로들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구(456)가 2개 이상의 이격된 개구들(451)(또는 개구들의 세트들)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서, 제1 개구(451)의 단면적(또는 한 세트의 제1 개구들의 결합된 단면적)은 측벽(230)의 제1 부분(231)을 따라 제1 개구(451)로부터 이격되는 제2 개구(451)의 단면적(또는 한 세트의 제2 개구들의 결합된 단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더 많은 기류(600)가 제2 개구(451)(또는 제2 개구들의 세트)와 입구(472) 사이의 유로를 따라서 흐르는 것보다 제1 개구(451)(또는 제1 개구들의 세트)와 입구(472) 사이의 유로를 따라 흐를 수 있다.
개구들(450)과 유사하게, 팬(들)(470)의 입구들(472) 또는 출구들(474)의 위치, 배향, 크기, 형상, 또는 수 중 하나 이상은 또한(또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원하는 유동 특성들, 예컨대 경로, 볼륨, 속도,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입구들(472) 또는 출구들(474)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원하는 유동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팬(들)(470)의 하나 이상의 입구들(472)은 (측벽과 대조적으로) 팬(470)의 상단 및/또는 하단 벽 상에 위치된다. 이것은 공기가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팬(470) 안으로 흡입되는 것을 야기한다. 이들 예들에서, 흡입구(456)는 측벽(230) 상에 위치되어, 기류가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안으로 흡입되게 하지만, 기류가 팬(470) 안으로 흡입될 때(또는 흡입되기 전에)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추가로 변하게 한다. 다른 예들에서, 흡입구(456)는 하부 벽(220)에 위치되어, 기류가 대략적 수직 방향들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및 팬(470) 둘 다 안으로 흡입되게 한다. 추가적으로, 팬(470)의 하나 이상의 출구들(474)은 팬(470)의 측벽 상의 위치에 위치되어, 기류가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팬(470)으로부터 배출되게 한다. 추가적으로, 팬(470)의 하나 이상의 출구들(474)은 팬(470)의 상단 및/또는 하단 벽 상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어서, 기류가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팬(470)으로부터 배출되게 한다.
제2 예로서, 입구(472) 또는 출구(474)는 흡입구(456)에서 제1 구획(241) 안으로 흡입되거나 출구(474)에서 제2 구획(242) 안으로 이동되는 기류들(600, 601)이 냉각될 구성요소의 표면을 따라 우선적으로 통과하도록 대응하는 흡입구(456) 또는 배출구(458)에 대한 높이에서 팬 하우징(471)(예컨대 팬 하우징(471)의 측벽 또는 상단/하단 벽)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입구(472) 또는 출구(474)에 대해 선택되는 위치는 대응하는 흡입구(456) 또는 배출구(458)를 형성하는 개구(451, 453)(또는 개구들의 세트)에 대해 높이에서 더 높거나, 더 낮거나, 실질적으로 등가일 수 있다. 다수의 입구들(472)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예를 들어, 도 4 참조), 입구들(472)은 수평적으로 또는 수직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흡입구(456) 또는 배출구(458)의 하나 이상의 개구들(450)의 배향에 대한 입구(472) 또는 출구(474)의 배향은 원하는 유동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또는 수평 배향된 입구들(472) 또는 출구들(474)은 기류들(600, 601)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입구들(472) 또는 출구들(474)은 수평 및 수직 사이의 각도에서 배향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구(472) 또는 출구(474)의 형상 또는 횡단면은 또한 하나 이상의 원하는 유동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해 치수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472) 또는 출구(474)는 냉각될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표면들을 따라 증가된/감소된 유량, 속도, 난류,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제공하도록 치수화되는 단면적들 및/또는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구(472) 또는 출구(474)의 감소된 횡단면 치수는 입구(472) 또는 출구(474)와 각각의 흡입구(456) 또는 배출구(458) 사이에 기류(600, 601)의 집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더욱 집중된 유로는 예를 들어, 유로를 따라 냉각될 원하는 구성요소 표면에 걸쳐 기류(600, 601)의 증가된 유속 또는 볼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입구(472) 또는 출구(474)의 증가된 횡단면 치수(예컨대 폭 또는 높이)는 더 넓은 또는 더 큰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더 넓은 또는 더 큰 유로는 기류들(600, 601)이 우선적으로 흐르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냉각 기류들(600, 601)에 노출될 수 있는 구성요소의 단면적을 잠재적으로 증가시키지만, 또한 특정 표면적을 따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 또는 볼륨을 잠재적으로 감소시킨다.
다른 예로서, 입구(472)는 제1 구획(241)의 수직 또는 수평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어서, 기류(600)가 흡입구(456)를 통해 제1 구획(241) 안으로 흡입될 때, 기류(600)는 입구(472)를 향해 내부 공간(240) 내의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유로를 따라 이동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입구(472)의 크기는 흡입구(456)보다 더 작거나, 동일하거나, 더 큰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456)의 길이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갖는 입구(472)는 그것이 더 큰 흡입구(456)로부터 입구(472)를 향해 흐름에 따라 기류(600)의 집중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흡입구(456)의 길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갖는 입구(472)는 그것이 입구(472)를 향해 흐름에 따라 기류(600)를 넓히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입구들(472) 또는 출구들(474)의 수는 또한 하나 이상의 원하는 유동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예로서, 일 실시예에서, 냉각 시스템(400)은 다수의 입구들(472)을 포함하며, 이는 제1 구획(241) 내에 다수의 유로들을 제공하기 위해 이격될 수 있다. 제1 입구(472)는 흡입구(456)와 더 큰 입구(472) 사이의 유로를 따라 구성요소 표면에 더 큰 유량을 제공하기 위해 제2 입구(472)보다 더 큰 단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출구(474)는 다수의 출구들(47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팬(470)을 나가는 기류(601)가 배출구(458)를 향해 흐를 수 있는 다수의 유로들을 제공하기 위해 이격될 수 있다.
제2 예로서, 입구(472)는 제1 구획(241) 내에 교차 또는 합류 흐름 패턴을 생성하도록 위치되는 2개의 이격된 입구들(472a, 472b)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이격된 입구들(472a, 472b)은 흡입구(456)로부터 별도의 유로들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단일의 개구(451), 2개 이상의 이격된 개구들(451), 또는 2개 이상의 이격된 개구들(451)의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시스템(400)을 갖는 다른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냉각 시스템(400)의 팬(470)은 팬(470)의 상단 벽 상에 위치되는 입구(472)를 포함한다. 기류(600)는 개구(451)(또는 개구들의 세트)를 통해 내부 공간(240)의 제1 구획(241) 안으로 흡입될 수 있고, 기류(600)는 냉각될 구성요소(예를 들어, 상부 조립체(210)의 플래튼 표면(211), 제어/전원 전자기기(300)/301), 또는 둘 다)의 표면을 따라 통과하는 유로를 따라 우선적으로 흐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도 코일(110)은 제1 구획(241) 내에 또는 그 내에 부분적으로 있을 수 있고, 냉각 시스템(400)은 냉각 기류(600)를 유도 코일(1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플래튼 표면(211), 제어/전원 전자기기(300), 또는 둘 다는 제2 구획(242)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있을 수 있고, 따라서, 냉각 시스템(400)은 냉각 기류들(600)을 제1 구획(241) 내의 그러한 구성요소들에 제공할 수 없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흡입구(456)의 개구(451)(또는 개구들의 세트)는 측벽(230)에 위치된다. 입구(472)는 개구(451)(또는 개구들의 세트)의 최상단 수직 위치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입구(472)의 위치는 상부 조립체(210) 및 제어/전원 전자기기(300)/301)에 근접하게 더 위치된다. 기류들(600)이 흡입구(456)와 입구(472) 사이에 흐를 때, 유로는 그곳을 따라 냉각 기류(600)를 제공하기 위해 상부 조립체(201)의 플래튼 표면(21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한다. 출구(474) 및 배출구(458)의 개구(453)(또는 개구들의 세트)는 각각 팬(470)의 측벽 및 측벽(230) 상에 위치되고 유사한 높이들에 위치된다. 기류(601)는 상부 조립체(210), 유도 코일(110), 및 제어/전원 전자기기(300)를 포함하는 넓은 영역의 흐름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출구(474)로부터 광범위한 패턴으로 배출된다. 하우징(200)은 기류(601)가 배출구(458)를 나가기 전에 유량을 증가시키고 제2 구획(242) 내의 공기 이동을 촉진시키는 난류를 야기하는 경계들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시스템(400)을 갖는 다른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냉각 시스템(400)의 하나 이상의 팬들(470)은 팬(470)의 상단 벽 상에 위치되는 상부 입구(472a) 및 팬(470)의 하단 벽 상에 위치되는 하부 입구(472b)를 포함한다. 팬들(470)은 또한 팬들(470)의 측벽 상에 위치되는 2개의 이격된 출구들(474a, 474b)을 포함한다. 배출구(458)는 2개의 이격된 개구들(453, 455)(또는 개구들의 세트들)을 포함한다. 흡입구(456)의 개구(451)(또는 개구들의 세트)는 상부 입구(472a)의 최상단 위치에 높이에서 대략 등가인(또는 더 높은) 위치에 수직 상향 연장되고, 하부 입구(472b)의 최하단 위치보다 높이에서 더 낮은 위치에 수직 하향 더 연장되는 수직 길이를 갖는다. 흡입구(456)를 통해 내부 공간(240)의 제1 구획(241)으로 들어가는 기류(600)는 입구들(472a, 472b) 중 하나를 향해 분할 유로를 따라 이동한다. 기류(600)의 분할은 수직 성분을 유로에 부여한다.
입구(472a)를 향해 이동하는 기류(600)는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팬(470) 안으로 흡입되기 전에, 상부 조립체(210)를 따라 흡입되거나 라우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류(600)의 이러한 부분은 상부 조립체(210)의 플래튼 표면(211)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플래튼 표면(211)은 제2 구획(242)에 또는 (그 위)와 같은, 다른 곳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도 코일(110)은 제1 구획(241) 내에 또는 그 내에 부분적으로 있을 수 있고 냉각 시스템(400)은 냉각 기류(600)를 유도 코일(1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플래튼 표면(211), 제어/전원 전자기기(300), 또는 둘 다는 제2 구획(242)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있을 수 있고 따라서 냉각 시스템(400)은 냉각 기류(600)를 제1 구획(241) 내의 그러한 구성요소들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팬들(470)을 나가는 기류(601)는 수평, 수직, 또는 둘 다의 구성요소들로 이격되는, 출구들(474a, 474b)로부터 배출된다. 기류(601)는 상부 조립체(210), 유도 코일(110), 및 제어/전원 전자기기(300)를 포함하는 넓은 영역의 흐름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두 출구들(474a, 474b)로부터 광범위한 패턴으로 배출된다. 하우징(200)은 기류(601)가 배출구(458)를 나가기 전에 유량을 증가시키고 제2 구획(242) 내의 공기 이동을 촉진시키는 난류를 야기하는 경계들을 형성할 수 있다. 기류(601)의 광범위한 패턴은 또한 두 기류들(601)이 배출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도 1 내지 도 4에 대해 상기 설명되는 특징들이 원하는 유동 특성들, 예컨대 유로, 볼륨, 속도,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달성하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본 개시를 판독시 이해할 것이다.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가 배플들(460)에 의해 분할되는 다수의 제1 구획들(241)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240)을 갖는 냉각 시스템(400)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더 이해될 것이다. 제1 구획들(241)은 하나 이상의 팬들(470)의 하나 이상의 입구들(472)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구획(241)은 내부 공간(240) 안으로 흡입구(456)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451)(또는 개구들의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구획(241)은 공기를 별개의 입구(472)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팬(470)에 대한 입구(472)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내부 공간(240) 내에 위치되는 다수의 팬들(470)을 갖는 냉각 시스템(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팬들(470)은 내부 공간(240)의 단일의 제1 구획(241)과 단일의 제2 구획(24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단일 팬(470)은 하나의 제1 구획(241)과 하나의 제2 구획(242)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팬들(470)은 내부 공간(240)의 다른 제1 구획(241)과 하나 이상의 제2 구획들(242)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단일 팬(470)이 사이에 제공되는 제2 구획(242)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팬(470)은 하나의 제1 구획(241)과 하나 이상의 제2 구획들(24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 팬(470)은 내부 공간(240)의 다수의 제1 구획들(241)과 단일의 제2 구획(24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냉각 시스템(400)을 갖는 일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다양한 도면들을 예시한다. 도 5 내지 도 11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된 냉각 시스템들(400) 중 임의의 것, 또는 임의의 다른 냉각 시스템(400)을 가질 수 있다.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임의의 유형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휴대용 요리 디바이스이다. 휴대용(또는 카운터 탑)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는 테이블 또는 카운터탑 사용을 위해 쉽게 운반가능하고 이동가능한 요리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그러한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무게가 약 15 ~ 25 파운드(33 ~ 55 Kg) 미만이고, 임의의 1차원에서 약 2 ~ 3 피트(60 ~ 90 cm)를 초과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테이블들의 상단 및 종래의 24인치 깊이(60 cm)의 부엌 카운터 탑들 상에 피팅되도록 1차원에서 폭이 약 18 ~ 22 인치(46 cm ~ 56 cm)보다 더 크게 초과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요리 용기를 지지하는 플래튼보다 훨씬 더 크지 않은 얇고 콤팩트한 디바이스들이다. 일부 예들에서,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이들 상기 참조된 치수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무게가 10파운드 미만(예컨대 5파운드 미만)이고, 16인치를 초과하지 않는 직경(예컨대 12.5인치 직경)을 갖고, 5인치를 초과하지 않는(예컨대 4인치,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인치 미만, 예컨대 2인치) 총 높이(아래에 논의되는 다리들을 포함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 내의 크기 및 중량을 갖는 것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요리 디바이스가 단일의 성인 크기의 사람에 의해 안전하게 들어 올려지고 운반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에 도시된 상승된 정면도 및 도 6에 도시된 분해도를 참조하면,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원통형 하우징(200)에 장착되는 유도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유도 조립체(100)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유도 코일(110) 및 지지부(102)를 포함한다. 하우징(200)은 상부 조립체(210), 하부 벽(220), 및 내부 공간(240)을 정의하는 측벽(230)을 포함한다. 측벽(230)은 또한 전원을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에 제공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오목한 외주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전원 케이블은 하우징(200)의 주변부에 대한 오목한 표면의 주위에 감겨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전원 케이블은 주택용 라인 전압 소켓들(예를 들어, 미국의 120 볼트의 교류(VAC), 유럽 및 다른 나라들의 220 VAC, 및 일본의 100 VAC)을 위해 일반적으로 구성되는 전원 코드 및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단일의 유도 조립체(100)/유도 코일(110)만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하나보다 많은 유도 조립체(100)/유도 코일(110)을 가질 수 있고, 유도 조립체들(100)/유도 코일들(110)이 서로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것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가 (예를 들어, 각각의 요리 용기가 그 자신의 유도 코일(110)에 의해 가열된 채) 동시에 하나보다 많은 요리 용기를 가열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가 휴대용 요리 디바이스인 경우, 그것은 일반적으로 요리 용기를 지지 및 가열하도록 의도되는 오버레잉 플래튼과 각각 연관되는, 2개보다 많은 인접한 유도 조립체들(100)/유도 코일들(110)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부 조립체(210)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원형 플래튼 표면(211), 절연 패드(212), 및 베젤(213)을 포함한다. 플래튼 표면(211)은 임의의 유형의 요리 용기에 피팅되도록 크기화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플래튼 표면(211)은 약 6 내지 14인치(15 ~ 36 cm)의 직경을 갖는 요리 용기에 피팅되도록 크기화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사용자에 의한 용이한 액세스 및 보기를 위해 정면을 향하도록 베젤(213)을 따라 위치된다. 다른 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플래튼(211)에 인접한, 디바이스의 측면 또는 상단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에 전원의 전달을 개시하기 위한 전원 버튼(501)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또한 디스플레이 터치 센서(502) 및 진행 버튼(503)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터치 센서(502) 및 진행 버튼(503)은 2016년 2월 25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Automated Cooking Control Via Enhanced Cooking Equipment"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6/0051078호; 발명의 명칭이 "Automated Cooking Control Via Enhanced Cooking Equipment"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5/434,695호; 발명의 명칭이 "Auxiliary Button for a Cooking System"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5/436,166호; 및 발명의 명칭이 "User Interface for a Cooking System"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5/435,879호에 기술되는 특징들(예컨대 전자 요리책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과 함께 동작할 수 있으며; 그 각각은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조로 통합된다.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가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사용자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를 제어하고/하거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전원/온도를 제어하고/하거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현재 전원/온도를 보고/보거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임의의 다른 특징,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보고/보거나 제어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들(223)은 하부 벽(220)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가 배치될 수 있는 표면 위에 하부 벽(220)을 위치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다. 레그들(223)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가 위치되는 카운터탑 또는 다른 표면으로부터의 안전한 거리에 (아래에서 논의되는) 흡입구(456) 및 배출구(458)를 위치시키도록 크기화된다. 장착부들(221)(도 6에 예시됨)은 제어/전원 전자기기(300)(인쇄 회로 보드(305) 및 커패시터들(306)과 같은 회로 구성요소들을 포함함)를 장착하기 위해 하부 벽(220)의 내부 표면을 따라 제공된다. 회로 보드(305)는 장착 포스트들(222)이 지지부(102)를 하우징(200)에 장착시키기 위해 하부 벽(220)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홀들(307)을 포함한다.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각각이 복수의 개구들(450)을 포함하는, 흡입구(456) 및 배출구(458)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400)을 장착한다. 흡입구(456)는 측벽(230)의 제1 부분(231)을 따라 위치되는 복수의 개구들(451)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부분(231)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전방 부분(예를 들어, 측벽(230)의 전방을 향하는 부분)을 따라 위치된다. 개구들(451)은 공기가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안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개구들(451)은 하우징(2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들(451)은 측벽(230)의 대략 35% 내지 대략 50%의 하우징(200)의 둘레 주위의 거리로 연장되고, 그러한 거리의 대략 50%를 점유한다. 거리의 나머지 대략 50%는 개구들(451) 사이에 연장되는 오목한 슬랫들(slats)(또는 측벽(230)의 다른 부분들)에 의해 점유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개구들(451)은 측벽(230)의 더 큰 또는 더 작은 거리 또는 부분을 점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흡입구(456)의 크기는 팬들(470) 안으로의 입구(들)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456)의 크기는 팬(470) 안으로의 입구(들)의 크기의 적어도 30%, 팬(470) 안으로의 입구(들)의 크기의 적어도 40%, 팬(470) 안으로의 입구(들)의 크기의 적어도 45%, 팬(470) 안으로의 입구(들)의 크기의 적어도 50%, 팬(470) 안으로의 입구(들)의 크기의 30% 내지 50%의 범위, 팬(470) 안으로의 입구(들)의 크기의 30% 내지 45%의 범위, 팬(470) 안으로의 입구(들)의 크기의 35% 내지 50%의 범위, 또는 팬(470) 안으로의 입구(들)의 크기의 40% 내지 50%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흡입구(456)의 크기는 팬(470) 안으로의 입구(들)의 크기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흡입구(456)의 크기는 (인접한 개구들(451)을 서로로부터 분리시키는 측벽(230)의 오목한 슬랫들 또는 다른 부분들이 아닌) 흡입구(456)의 개구들(451)만의 집합적 크기를 지칭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팬들(470) 안으로의 입구들의 크기는 (팬의 솔리드 허브가 더 적은) 특정 팬(470) 안으로의 모든 입구들에서의 개방 영역의 크기를 지칭할 수 있다.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배출구(458)는 도 6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둘레를 따라 함께 연장되는 2개의 이격된 개구들(450)의 세트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배출구(458)는 측벽(230)의 제 2부분(232)을 따라 위치되는 제1 세트의 복수의 개구들(453) 및 제2 세트의 복수의 개구들(455)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부분(232)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후면 부분(예를 들어, 측벽(230)의 후면 대향 부분)을 따라 위치된다. 일부 예들에서, 이것은 배출구(458) 및 흡입구(456)가 측벽(230)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2 세트들의 개구들(453, 455)은 공기가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밖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2 세트들의 개구들(453, 455)은 측벽(230)의 대략 20% 내지 35%의 하우징(200)의 둘레 주위의 거리로 함께 연장되고 그러한 거리의 대략 50%를 점유한다. 거리의 나머지의 대략 50%는 개구들(453, 455) 사이에서 연장되는 오목한 슬랫들(또는 측벽(230)의 다른 부분들)에 의해 점유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개구들(453, 455)은 측벽(230)의 더 큰 또는 더 작은 거리 또는 부분을 점유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배출구(458)는 단일 세트의 개구들(4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흡입구(456) 및 배출구(458)가 측벽(230)을 따라 위치되게 하는 것은 흡입구(456) 또는 배출구(458)가 하부 벽(220)을 따라 위치되는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향상된 냉각을 허용할 수 있다. 더욱이, 흡입구(456) 및 배출구(458)가 측벽(230)을 따라 위치되게 하는 것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감소된 높이를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것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예컨대 휴대용 또는 카운터탑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가 낮은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낮은 프로파일의 일 예로서, 카운터 위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총 높이는 약 4인치 미만,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3인치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낮은 프로파일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그들이 요리 용기 지지부가 인접한 부엌 카운터, 아일랜드, 또는 작업공간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내장형 기기와 더 유사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하기에 더 쉽고 더 편리하다.
도 7(도 5의 라인 7-7을 따라 취해지는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횡단 측면도를 도시함) 및 도 8(도 5의 라인 8-8을 따라 취해지는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횡단 상면도를 도시함)을 더 참조하면, 냉각 시스템(400)은 내부 공간(240) 내의 하우징(200)에 장착되는 2개의 팬들(470)을 포함한다. 2개의 팬들(470)이 예시되지만, 더 적은 또는 추가적인 팬들(470)이 냉각 시스템(400)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냉각 시스템(400)에 포함되는 팬들(470)의 수는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에 포함되는 버너들(예를 들어, 조립체(100)/유도 코일(110))의 수에 대응할 수 있으며, 각각의 버너는 개별 요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시스템(400)은 각각의 버너에 대해 3개 이상의 팬들(470), 각각의 버너에 대해 2개의 팬들(470), 각각의 버너에 대해 1개의 팬(470), 2개의 버너들에 대해 1개의 팬(470), 3개의 버너들에 대해 1개의 팬(470), 또는 4개 이상의 버너들에 대해 1개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팬(470)은 하우징(471), 2개의 입구들(472a, 472b), 및 출구(474)를 포함한다. 팬들(470)은 공기를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팬 안으로 흡입하는 입구들(472a, 472b), 및 공기를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팬 밖으로 방출하는 출구들(474)을 갖는 원심 팬들일 수 있다. 팬들(470)은 회전 축 주위에 및 이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수직 배향된 블레이드들(475)을 포함한다(한 세트의 블레이드들(475)만이 도 8에 도시됨). 블레이드들(475)은 방사형이거나, 전방 만곡형이거나, 후방 만곡형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들(475)는 전방으로 만곡된다. 배플들(460)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240)을 제1 구획(241) 및 제2 구획(242)로 분리하기 위해 하우징(200)에 위치된다. 냉각 시스템(400)은 외부 기류(600a, 600b)를 내부 공간(240)의 제1 구획(241) 안으로 흡입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기류들(600a, 600b)은 입구들(472a, 472b)을 향해 유로를 따라 흐른다. 동작시, 기류들(600a, 600b)은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내부 공간(240)의 제1 구획(241) 안으로 흡입되며, 여기서 기류들(600a, 600b)은 (팬(470)의 상단 상에 위치되는) 상부 입구(472a) 및 (팬(470)의 하단 상에 위치되는) 하부 입구(472b)에 팬(470)을 공급되는 경로들을 따라 분할된다. 각각의 기류(600a, 600b)는 대략적 수직 방향으로 입구(472) 안으로 흡입되고, 각각의 입구(472)에서 유로들의 대략적 수직 방향에 대략 수직인 대략적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류(601a, 601b)를 따라 출구(474)로부터 배출된다. 그러한 공기 이동의 일 예가 도 5에 개략적으로 예시된다.
상부 입구들(472a)은 흡입구(456)의 개구들(451)의 최상단 수직 위치와 대략 동일한(또는 그 위에 있는) 높이를 갖는 위치에 위치된다. 이것은 기류(600a)가 각각의 팬 하우징들(471)에 수직으로 및 그 주위로 연장되는 경로들을 따라 흐르게 하여 상부 입구(472)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흡입구(456)와 상부 입구들(472a) 사이에서 이동하는 기류들(600a)은 그곳을 따라 냉각 기류를 제공하기 위해 플래튼 표면(211)의 일부를 따라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래튼 표면(211)은 제1 구획(241)에 걸쳐 연장되지 않고, 따라서 기류(600a)는 냉각 기류를 플래튼 표면(211)에 제공할 수 없다. 제어/전원 전자기기(300)(인쇄 회로 보드(305) 및 커패시터들(306)과 같은 회로 구성요소들을 포함함)와 같은 전자기기들이 제2 구획(242)에 위치될 수 있고(예를 들어, 도 8 참조), 따라서 기류들(600a, 600b)은 냉각 기류를 전자기기들에 제공할 수 없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전원 전자기기(300)와 같은 전자기기들이 제1 구획(241)에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기류들(600a, 600b)은 냉각 기류를 전자기기들에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유도 코일(110)의 일부가 제1 구획(241) 내에 위치될 수 있고, 냉각 시스템(400)은 그곳을 따라 냉각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유도 코일(110)에 인접한 경로들을 따라 냉각 기류들(600a)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입구들(472b)은 흡입구(456)의 개구들(451)의 최하단 수직 위치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갖는 위치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하부 입구들(472b)은 하부 벽(220)과 흡입구(456)의 개구들(451)의 최하단 수직 위치 사이의 수직 거리의 대략 40%인 높이를 갖는 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나, 하부 입구들(472b)은 개구들(451) 및/또는 하부 벽(220)과 관련하여 임의의 다른 높이를 갖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기류들(600b)은 하부 벽(220)을 따라 흡입구(456)와 하부 입구들(472b)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로들을 따라 흐른다. 기류들(600b)은 또한 각각의 팬 하우징들(471) 주위에 그리고 하부 입구들(474b) 안으로 수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출구들(474)에서 배출되는 기류들(601)은 내부 공간(240)의 제2 구획(242) 안으로 대략적으로 수평으로 지향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출구들(474)은 출구들(474)의 폭보다 더 넓은 배출 경로들을 제공하기 위해 확장되거나 팽창되는 유로들을 따라 이동하는 기류들(601)을 제공하도록 치수화된다. 예를 들어, 출구들(474)은 배출구(458)(및/또는 배출구(458)의 2개의 세트들의 개구들(453, 455) 중 하나 이상)보다 수평 길이에서 더 작도록 치수화될 수 있어서, 기류들(601)의 유로들이 그들이 배출구(458)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수평으로 확장되게 한다. 이들 넓은 유로들은 제어/전원 전자기기(300)를 가로질러 냉각 기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류들(601)은 또한 제어/전원 전자기기(300)/302), 유도 코일(110), 상부 조립체(200)의 플래튼 표면(211),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의 표면들에 대한 기류들(601)의 근접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직으로 확장 또는 팽창되는 유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구들(474)은 배출구(458)(배출구(458)의 2개의 세트들의 개구들(453, 455) 중 하나 이상)보다 수직 길이에서 더 작도록 치수화될 수 있어서, 기류들(601)의 유로들이 그들이 배출구(458)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수직으로 확장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가적인 난류는 기류들(601)의 중첩 부분들을 따라 또는 배출구(458)에 인접한 측벽(230)의 부분들을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제2 구획(242) 내의 그러한 난류성 기류들은 또한 유도 코일(110), 상부 조립체(210)의 플래튼 표면(211), 또는 둘 다를 따라 추가적인 기류들(601)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류들(601)에 의해 냉각되는 제어/전원 전자기기(300)(예를 들어, 회로 보드)는 도 9a 내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히트 싱크들(308)에 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히트 싱크(308)는 열이 소산될 수 있도록, 제어/전원 전자기기(300)로부터의 열을 유체 매체(예컨대 기류들(601))로 전달하는 임의의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히트 싱크(308)는 최적 레벨(또는 그 근처)에서 제어/전원 전자기기(300)의 온도의 조절을 허용할 수 있다.
히트 싱크(308)는 열을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308)는 히트 싱크(308)의 베이스로부터(또는 제어/전원 전자기기(300) 자체로부터) 연장되는 일련의 핀들(310)을 가질 수 있다. 핀들(310)은 임의의 높이로 상향 연장될 수 있다. 상향 연장됨으로써, 연속적인 핀들(310)은 채널들(312)을 생성할 수 있다. 핀들(310)은 임의의 수의 채널들(312)을 생성할 수 있고, 채널들(312)은 임의의 크기 및/또는 형상(또는 다른 치수)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채널들(312)은 도 9a 내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류들(601)과 평행하게(또는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그러한 배향은 기류들(601)이 흐를 수 있는 히트 싱크(308)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기류들(601)에 의해 소산되는 열의 양을 증가시킨다. 다른 예들에서, 채널들(312)은 기류들(601)에 대해 임의의 다른 각도(수직 포함)에서 진행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히트 싱크(308)는 열을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싱크(308)는 알루미늄, 구리, 알루미늄 합금, 구리 합금, 다이아몬드, 복합 재료들, 열을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재료,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트 싱크(308)는 임의의 방식으로 제어/전원 전자기기(300)에 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 싱크(308)는 예를 들어, 에폭시, 와이어 형태 z-클립(들), 클립-온(들), 압축 스프링(들)을 갖는 푸시 핀(들), 압축 스프링(들)을 갖는 스탠드-오프(들),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제어/전원 전자기기(300)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히트 싱크(308)는 제어/전원 전자기기(3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캡슐화하는 케이싱일 수 있다.
팬들(470)의 출구들(474)은 히트 싱크(308)에 대해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 내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팬들(470)의 출구들(474)은 히트 싱크(308)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팬(470)의 출구(474)의 단부와 히트 싱크(308)의 시작 사이에 갭이 존재하지 않거나 (최소의 갭이)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것은 출구들(474)로부터 배출되는 기류들(601)이 출구(474)를 나간 후에 히트 싱크의 일부와 즉시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팬들(470)의 출구들(474)은 히트 싱크(308)에 인접하여 위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기류들(601)이 히트 싱크(308)의 일부와 접촉하기 전에 갭에 걸쳐 흐르게 할 수 있다. 출구들(474)과 히트 싱크(308) 사이의 갭은 임의의 크기, 예컨대 대략 0.5인치(예를 들어, 0.5인치 +/- 0.2인치), 대략 0.75인치, 대략 1인치, 대략 1.5인치, 대략 2인치, 또는 임의의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수의 팬들(470)은 기류들(601)을 히트 싱크(308) 상으로(또는 이를 통해) 배출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 도 9b, 및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팬들(470)이 히트 싱크(308) 상으로(또는 이를 통해) 기류들(601)을 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일의 팬(470)은 히트 싱크(308) 상으로(또는 이를 통해) 기류들(601)을 배출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0a 내지 도 10b에 예시되며, 이는 제1 히트 싱크(308a) 상으로(또는 이를 통해) 기류들(601)을 배출하는 제1 팬(470a), 및 제2 히트 싱크(308b) 상으로(또는 이를 통해) 기류들(601)을 배출하는 제2 팬(470b)을 예시한다. 다른 예로서, 단일의 팬(470)은 하나보다 많은 히트 싱크(308), 예컨대 2개의 히트 싱크들(308), 3개의 히트 싱크들(308), 4개의 히트 싱크들(308), 5개의 히트 싱크들(308), 또는 임의의 다른 수의 히트 싱크들(308) 상으로(또는 이들을 통해) 기류들(601)을 배출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3개의 팬들(470), 4개의 팬들(470), 5개의 팬들(470), 또는 임의의 수의 팬들(470)과 같은 2개보다 많은 팬들(470)은 단일 히트 싱크(308) 상으로(또는 이를 통해) 기류들(601)을 배출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팬(470)이 단일 히트 싱크(308) 상으로(또는 이를 통해) 기류들(601)을 배출하도록 위치되는 경우, 각각의 팬(470)의 출구(474)는 서로에 대해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구들(474)은 도 9a 내지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출구들(474)은 예를 들어, 서로로부터 대략 0.2인치(예를 들어, 0.2인치 +/- 0.19인치), 서로로부터 대략 0.3인치, 서로로부터 대략 0.4인치, 서로로부터 대략 0.5인치, 또는 서로로부터 0인치와 0.7인치 사이의 임의의 다른 거리에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출구들(474)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있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출구들(474)은 예를 들어, 서로로부터 대략 1인치(예를 들어, 1인치 +/- 0.2인치), 서로로부터 대략 1.5인치, 서로로부터 대략 2인치, 서로로부터 대략 3인치, 또는 0.7인치보다 더 큰 임의의 다른 거리에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수정들, 추가들, 또는 생략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 1 내지 도 11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및/또는 냉각 시스템(400)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수정들의 제1 예로서, 냉각 시스템(400)이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에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설명되었지만, 냉각 시스템(400)은 임의의 다른 요리 디바이스, 예컨대 열전도를 위해 화염을 사용하는 요리 디바이스 및/또는 열전도를 위해 전기 가열 요소 또는 임의의 다른 가열 요소를 사용하는 요리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수정들의 제2 예로서, 흡입구(456)가 측벽(230)의 전방 부분에 위치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배출구(458)가 측벽(230)의 후방 부분에 위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흡입구(456), 배출구(458), 및/또는 개구들(450)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임의의 위치(들)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냉각 시스템(400)은 흡입구(456)가 측벽(230)의 제1 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배출구(458)가 측벽(230)의 제2 측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포지셔닝은 내부 공간(240)을 통한 기류의 대부분이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전방 및 후방 방향에 대해 수평 및 측면으로 배향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구(456) 또는 그 하나 이상의 개구들(451)은 제1 구획(241) 내의 하부 벽(22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팬들(470)은 하부 벽(220) 아래로부터 수직으로 제1 구획(241) 안으로 기류(600)를 흡입하는 방사형 팬들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배출구(458) 또는 배출구(458)의 하나 이상의 개구들(450)은 제2 구획(242) 내의 하부 벽(22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수정들의 제3 예로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가 원형 또는 둥근 형상(또는 대략적으로 원형 또는 둥근 형상)을 갖는 횡단면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및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는 임의의 다른 형상, 예컨대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형상, 사각형 형상, 타원형 형상, 정다각형 형상, 불규칙 다각형 형상,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갖는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의 일 예로서, 도 12 내지 도 14는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인(예를 들어, 직사각형이지만 하나 이상의 만곡된 에지를 갖는) 횡단면을 갖는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10)을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456)는 측벽(230)의 만곡된 부분 상에 위치되는 반면, 배출구(458)는 측벽(230)의 나머지 측면들 각각의 전부 또는 일부 상에 위치된다. 그러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하나의 팬(470)(예컨대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원심 팬(470)), 2개의 팬들(470)(예컨대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은, 2개의 원심 팬들(470)), 또는 임의의 다른 수의 팬들(470)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도 12 내지 도 14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형상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가 하나보다 많은 버너(예를 들어, 조립체(100)/유도 코일(110)), 예컨대 2개의 버너들을 갖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한 수정들의 제4 예로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가 하나 이상의 원심 팬들(470)을 갖는 것으로서 도 9a 내지 도 11에서 상기 설명되었지만(그 추가 예들이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됨),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임의의 다른 유형들의 팬들(470), 예컨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하단을 통해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안으로 기류들을 흡입하는 하나 이상의 방사형 팬들, 또는 팬들(470)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의 일 예로서, 도 17은 제1 구획(241) 내에 위치되는 방사형 팬(470)을 갖는 일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를 예시하며, 여기서 방사형 팬(470)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하단을 통해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안으로 기류들을 흡입한다. 이것의 다른 예로서, 도 18은 제1 구획(241) 내에 위치되는 원심 팬(470), 및 제2 구획(242) 내에 위치되는 방사형 팬(470)을 갖는 일 예시적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를 예시하며, 여기서 방사형 팬(470)은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하단을 통해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안으로 기류들을 흡입한다.
그러한 수정들의 제5 예로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가 휴대용(또는 카운터탑)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로서 도 9a 내지 도 11에서 상기 설명되었지만, 일부 예들에서,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내장형 기기일 수 있다. 그러한 내장형 기기는 예를 들어, 2개의 카운터탑들 사이의 수평 갭에 위치되는 무거운 디바이스(예컨대 독립형 요리 오븐 및 스토브)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그러한 내장형 기기는 카운터탑과 동일한 높이(또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카운터탑 안으로 내려지는 디바이스(예컨대 스토브탑 또는 카운터탑 레인지) 일 수 있다. 그러한 내장형 기기는 플래튼 및 제어 또는 상태 표시기들 이외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카운터탑 아래에 장착되도록 의도된다. 이것은 냉각 시스템 및 전자 구성요소들이 카운터탑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카운터 탑 안으로 삽입됨으로써, 내장형 기기는 냉각 팬들을 포함하는, 전자 및 전기 구성요소들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원 코드 및 플러그가 사용될 수 있지만, 내장형 기기들은 종종 디바이스, 또는 카운터탑 아래의 벽의 접속 배선함에 하드웨어화된다.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예들이 도 19a 내지 도 20b에 예시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2개의 버너들(예를 들어, 조립체(100)/유도 코일(110))을 포함하지만, 임의의 다른 수의 버너들, 예컨대 하나의 버너, 2개의 버너들, 3개의 버너들, 4개의 버너들, 5개의 버너들, 6개의 버너들, 또는 임의의 다른 수의 버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각각의 버너에 대해 2개의 팬들(470) 및 2개의 히트 싱크들(308)을 포함하지만, 각각의 버너에 대해 임의의 수의 팬들(470) 및/또는 히트 싱크들(30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와 유사하게,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측벽(230)(및 상기 논의된 다양한 다른 하우징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하우징(200)은 (예를 들어, 독립형 기기의 경우)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또는 (예를 들어, 스토브 탑 레인지의 경우) 카운터탑 또는 테이블에 형성되는 전용 프레임 또는 개구부 안으로의 삽입을 위해 구성되는 케이스 또는 새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9a 내지 도 20b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10)이 본 명세서에서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예들로서 설명되었지만, 일부 예들에서, 도 19a 내지 도 20b의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10)은 휴대용(또는 카운터탑)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도 19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코너들 또는 그 부근의 위치에서 측벽(230)에 위치되는 흡입구들(456)을 포함할 수 있고,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길이의 중간 포인트 또는 그 부근의 위치에서 측벽(230)에 위치되는 배출구들(4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들(456)은 (예를 들어, 대략 수평인) 측면을 통해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안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배출구들(458)은 (예를 들어, 대략 수평인) 측면을 통해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로부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것은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아래의 공간(예컨대 디바이스 아래의 캐비닛들 내의 공간)을 최대화하도록,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가 낮은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들(456)을 통해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안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팬들(470)(예컨대 원심 팬들) 안으로 추가로 흡입되고, 제어/전원 전자기기(300)를 냉각시키기 위해 히트 싱크들(308) 위로(또는 이를 통해) 팬들(47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그 다음, 냉각 공기는 배출구들(458)을 통해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밖으로 배출되도록, 구조체(예컨대 리디렉터)에 의해 재지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그리고 도 20a 내지 도 2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는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제1 측면 상의 측벽(230)에 위치되는 흡입구들(456)을 포함할 수 있고,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대향 측면 상의 측벽(230)에 위치되는 배출구들(4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들(456)을 통해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안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팬들(470)(예컨대 원심 팬들) 안으로 추가로 흡입되고, 제어/전원 전자기기(300)를 냉각시키기 위해 히트 싱크들(308) 위로(또는 이를 통해) 팬들(47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냉각 공기는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의 대향 측면으로 흐를 수 있으며, 여기서 그것은 배출구들(458)을 통해 내장형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10) 밖으로 배출된다.
그러한 수정들의 제6 예로서, 도 1 내지 도 20b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관하여 상기 설명된 구성요소들 및/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것은 도 1 내지 도 20b의 다른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관하여 상기 설명된 구성요소들 및/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것에 추가되고/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되고/되거나, 이에 대해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문법적인 관사들 "하나(one)", "일(a)", "일(an)", 및 "상기(the)"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관사들은 관사의 문법적 대상 중 하나, 또는 하나보다 많은(즉, '적어도 하나")것을 지칭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의미하고, 따라서, 가능하게는, 하나보다 많은 구성요소가 고려되고 기술된 실시예의 응용에 고려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수 명사의 사용은 복수형을 포함하고, 복수 명사의 사용은 사용법의 문맥에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단수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문법적 결합어인 "및(and)" 및 "또는(or)"은 본 명세서에서 허용된 사용법에 따라 사용된다. 예를 들어, "x와 y"는 "x" 및 "y"를 지칭한다. 반면에, "x 또는 y"는 "x", "y" 또는 "x" 및 "y" 둘 다를 의미하는 반면, "x 또는 y 중 어느 하나"는 배타성을 나타낸다.
본 개시는 시스템들, 장치들, 및 그 방법들의 다양한 실시예들, 구성들, 및 배열들의 다양한 요소들, 특징들, 양태들, 및 이점들을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러한 구성들 및 그 배열들의 특정 설명들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더 명확한 이해와 관련되는 그들의 요소들, 특징들, 및 양태들만을 예시하기 위해 단순화된 반면, 다른 요소들, 특징들 및 양태들은 명료성 또는 간결성을 위해 제거하였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예", "구성", 또는 "배치"가 수반되는 "다양한", "어떤(certain)", "일부", "하나(one)" 또는 "일(an)"에 대한 임의의 언급은 일반적으로 예에서 설명되는 특정 요소, 특징, 또는 양태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예", "구성", 또는 "배치"가 수반되는 "다양한 ~에서(in certain)", "어떤 ~에서", "일부 ~에서", "하나의 ~에서" 또는 "일 ~에서"의 문구는 동일한 실시예를 반드시 나타낼 필요는 없다. 더욱이, "실시예", 예", "구성", 또는 "배치"가 수반되는 "그러한 일 ~에서(in one such)" 또는 "이러한 ~에서"의 문구는, 일반적으로 이전 실시예를 지칭하고 설명하지만, 해당 문구에 의해 소개된 실시예의 요소들, 특징들, 및 측면들이 이전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을 제안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며; 오히려, 해당 문구는 독자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요소들, 특징들 및 양태들을 이해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제공되고 당업자는 소개된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그러한 요소들, 특징들 및 양태들이 개시된 실시예들에 제공되는 요소들, 특징들, 및 양태들의 다른 다양한 조합들 및 서브-조합들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설명을 고려하여, 다양한 실시예들 및 다른 요소들, 특징들, 및 양태들의 다양한 조합들 또는 서브-조합들이 특정 구현예들 또는 응용들에서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다른 요소들, 특징들 및 양태들은 본 명세서의 설명을 고려할 때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고, 개시된 실시 형태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그러한 요소들, 특징들, 및 양태들이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들은 또한 하나 이상의 전자적 연결들을 위한 부품들(fittings)과 같은 연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요리 용기를 지지하기 위해 대략 원형의 상단 플래튼 표면, 하단 벽 및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측벽을 갖는 대략 원통형 하우징으로서, 상기 내부 공간은 하나 이상의 배플들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내부 공간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플래튼 표면이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측벽은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1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2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원통형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1 부분과 외부 환경 사이의 상기 측벽의 상기 제1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흡입구;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외부 환경 사이의 상기 측벽의 상기 제2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배출구;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팬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은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1 부분에 위치되는 입구 및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2 부분에 위치되는 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입구는 제1의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기 팬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출구는 제1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상기 팬 밖으로 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은 제2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제3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밖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상기 플래튼 표면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의 전원을 변조하기 위한 전자기기로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2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적어도 일부는 채널들을 정의하는 일련의 수직 핀들을 갖는 히트 싱크에 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채널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각각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공기와 대략 평행하게 위치되며,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각각의 출구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상기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무게가 15 파운드 미만인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2.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요리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상단 플래튼 표면, 하단 벽, 및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측벽을 갖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내부 공간이 하나 이상의 배플들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내부 공간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1 부분과 외부 환경 사이의 상기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흡입구;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외부 환경 사이의 상기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배출구;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팬들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은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1 부분에 위치되는 제1 입구 및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2 부분에 위치되는 제1 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입구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팬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1 출구는 상기 팬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2 부분 안으로 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은 제1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제2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밖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상기 플래튼 표면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의 전원을 변조하기 위한 전자기기로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2 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무게가 15 파운드 미만인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무게가 5 파운드 미만인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의 상기 제1 입구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기 팬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의 상기 제1 입구는 제3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상기 팬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은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제1 부분에 위치되는 제2 입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입구는 상기 각각의 팬의 상단 벽 상에 위치되고 제1의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팬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2 입구는 상기 각각의 팬의 하단 벽 상에 위치되고 제2의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팬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의 상기 제1 출구는 상기 각각의 팬의 측벽 상에 위치되고 제3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팬 밖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적어도 일부는 히트 싱크에 열적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채널들을 정의하는 일련의 수직 핀들을 가지며, 상기 채널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공기와 대략 평행하게 위치되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출구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대략 원형, 대략 직사각형, 대략 타원형, 또는 대략 사각형인 횡단면 형상을 갖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흡입구의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측벽 상에 위치되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크기는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중 각각의 팬의 임의의 다른 입구의 조합의 상기 크기의 적어도 30%인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크기는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중 각각의 팬의 임의의 다른 입구의 조합의 상기 크기의 적어도 45%인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
  16.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할되는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흡입구 개구들 및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의 제1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 개구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의 제1 출구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를 냉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입구 개구들을 통해 상기 제1 부분으로 기류를 흡입하는 단계;
    제1의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제1 입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 안으로 기류를 흡입하는 단계;
    제2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제1 출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 안으로 기류를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 배출되는 상기 기류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상기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의 유도 코일을 변조하기 위한 전자기기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3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구 개구들을 통해 상기 제2 부분 밖으로 기류를 추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를 냉각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자기기의 일부에 열적으로 연결되는 히트 싱크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상기 제2 부분 안으로 배출되는 상기 기류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은 제2 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2의 대략 수직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제2 입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팬들 각각 안으로 기류를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는 무게가 15 파운드 미만인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덕션 요리 디바이스는 무게가 5 파운드 미만인 방법.
KR1020187028371A 2016-03-01 2017-03-01 인덕션 버너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40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02128P 2016-03-01 2016-03-01
US62/302,128 2016-03-01
PCT/US2017/020171 WO2017151750A1 (en) 2016-03-01 2017-03-01 Induction burner cooling system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031A true KR20190054031A (ko) 2019-05-21

Family

ID=5972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371A KR20190054031A (ko) 2016-03-01 2017-03-01 인덕션 버너 냉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70257913A1 (ko)
EP (1) EP3424272A4 (ko)
JP (1) JP6743166B2 (ko)
KR (1) KR20190054031A (ko)
CN (1) CN109315025A (ko)
AU (1) AU2017227681B2 (ko)
CA (1) CA3016254A1 (ko)
SG (1) SG11201807266VA (ko)
WO (1) WO2017151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5470B2 (ja) * 2016-09-15 2020-1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CN116666814A (zh) * 2017-05-30 2023-08-29 奇跃公司 用于电子装置的具有风扇组件的电源组件
KR20230151562A (ko) 2017-07-28 2023-11-01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팬 조립체
WO2019053793A1 (ja) * 2017-09-13 2019-03-21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6906199B2 (ja) * 2018-02-28 2021-07-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EP3550934A1 (en) * 2018-04-03 2019-10-09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ES2732299A1 (es) * 2018-05-21 2019-11-21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Sistema de cocción.
US10948193B2 (en) * 2018-08-06 2021-03-1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Fan assembly for a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KR102659979B1 (ko) * 2018-11-08 2024-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WO2020257854A1 (en) * 2019-06-25 2020-12-30 Breville Pty Limited A sous vide appliance
JP7400606B2 (ja) * 2020-04-06 2023-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ー回路基板の冷却構造及び誘導加熱調理器
JP7380395B2 (ja) * 2020-04-06 2023-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ビルトイン式複合型加熱調理器及び厨房家具
US11871499B2 (en) 2020-11-05 2024-01-09 Whirlpool Corporation Induction cooking apparatus with heatsink and method of assembly
EP4044771A1 (en) * 2021-02-16 2022-08-1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CN113854874B (zh) * 2021-09-26 2022-09-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底座组件及食品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9291A (en) * 1980-12-26 1982-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JPH06267645A (ja) * 1993-03-10 1994-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JP2011003412A (ja) * 2009-06-18 2011-01-06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加熱調理器
CN201909358U (zh) * 2011-01-07 2011-07-27 黎结芝 散热效果良好的电磁炉
CN202813501U (zh) * 2011-12-26 2013-03-20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电磁炉散热结构
JP6083653B2 (ja) * 2013-01-21 2017-02-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203364195U (zh) * 2013-05-11 2013-12-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炉的散热结构和一种电磁炉
JP2015144056A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永泰産業 電磁調理器
JP5667316B1 (ja) * 2014-02-24 2015-02-1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磁調理器
CN103884029B (zh) * 2014-03-14 2016-03-30 黎结芝 一种新型的电磁炉
CN104197383A (zh) * 2014-09-22 2014-12-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1750A1 (en) 2017-09-08
AU2017227681A1 (en) 2018-09-13
CN109315025A (zh) 2019-02-05
JP2019512839A (ja) 2019-05-16
SG11201807266VA (en) 2018-09-27
JP6743166B2 (ja) 2020-08-19
EP3424272A1 (en) 2019-01-09
US20170257913A1 (en) 2017-09-07
EP3424272A4 (en) 2019-10-30
CA3016254A1 (en) 2017-09-08
AU2017227681B2 (en)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4031A (ko) 인덕션 버너 냉각 시스템 및 방법
JP6083653B2 (ja) 加熱調理器
JP4934364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205548371U (zh) 烹饪器具
JP5460783B2 (ja) 誘導加熱調理装置
KR102047289B1 (ko) 고효율 인덕션 레인지
JP4981111B2 (ja) 加熱調理器
JP2004311391A (ja) 電磁調理器
CN210930820U (zh) 双风扇散热锅体
JP5679934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4923961B2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この電磁誘導加熱調理器を設置した流し台
JP663347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420012B2 (ja) 加熱調理器
CN214125560U (zh) 烹饪设备
JP592511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035260B2 (ja) 組込み式加熱調理器
JP495896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4384099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295181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82994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4296280A (ja) 誘導加熱調理器
JP5029478B2 (ja) 組込み式加熱調理器
JP5677241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20160922A (ko) 전기 레인지
JP2009301772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