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851A - 동결 보존 용기 - Google Patents

동결 보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851A
KR20190053851A KR1020197007270A KR20197007270A KR20190053851A KR 20190053851 A KR20190053851 A KR 20190053851A KR 1020197007270 A KR1020197007270 A KR 1020197007270A KR 20197007270 A KR20197007270 A KR 20197007270A KR 20190053851 A KR20190053851 A KR 20190053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storage container
cryopreservation
egg storage
spe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히데 코마츠
츠토무 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77 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77 케이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77 케이씨
Publication of KR2019005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63Non-refrigerated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or storing living parts whilst preserving, e.g. cool boxes, blood bags or "straws" for cryopreservation
    • A01N1/0268Carriers for immersion in cryogenic fluid, both for slow-freezing and vitrification, e.g. open or closed "straws" for embryos, oocytes or sem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42Apparatuses, i.e. devices used in the process of preservation of living parts, such as pumps, refrigeration devices or any other devices featuring moving parts and/or temperature controlling components
    • A01N1/0252Temperature controlling refrigerating apparatus, i.e. devices used to a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designated internal volume, e.g. refrigerators, freeze-drying apparatus or liquid nitrogen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17/425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B17/43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17/425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B17/435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embryo or ova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61D19/022Containers for animal semen, e.g. pouches or vials ; Methods or apparatus for treating or handling animal semen containers, e.g. filling or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61D19/022Containers for animal semen, e.g. pouches or vials ; Methods or apparatus for treating or handling animal semen containers, e.g. filling or closing
    • A61D19/024Tube-like containers, e.g.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4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tube or bottle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06Tubula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 A61J2200/44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means to protect itself against external heat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06K19/07786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HF type, such as a dipo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Abstract

치료 대상 검체가 바뀌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결 보존하는 수정란 등을 개체 관리하는 데 적합한 동결 보존 용기를 제공한다. 동결 보존용 탱크(61), 캐니스터(51), 케인(41), 난자 보존 용기(1), 정자 보존 용기(71, 81) 등의 동결 보존 용기에 IC 태그를 장착한다. 동결 보존 용기에, 추가로, 식별 코드를 부착해도 된다. 난자 보존 용기(11)는, 종래의 난자 보존 용기(1)의 막대 형상부(2)의 후단부로부터 IC 태그(12)를 끼워 넣은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IC 태그(12)는, 합성수지제의 얇은 파이프(14)에 인렛(15)을 내장한 구성으로 한다. 인렛(15)은, 양측으로부터 비(非)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고정 부재(18, 18)에 의해 고정된 것이어도 되고, 비도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20)에 의해 일체로 몰딩된 것이어도 된다.

Description

동결 보존 용기
[0001] 본 발명은, 환자의 정자, 난자, 수정란 등의 생식 세포 및 동물의 정자, 난자, 수정란 등의 생식 세포를 동결 보존하기 위해 사용하는 동결 보존 용기에 관한 것이다.
[0002] 최근, 불임 치료에 있어서, 체외수정, 현미수정(顯微受精) 등의 치료가 널리 행해지고 있다. 체외수정을 실시한 건수는, 2002년경부터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2013년의 실적으로는 약 37만건이었고, 2020년에는 70만건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0003] 체외수정에 관해서는, 치료 1 주기에 취급하는 난자의 수가 5~20개 정도인데, 여성의 난자와 남성의 정자를 채취하여, 처리, 수정, 배양, 보관, 융해 및 이식을 행한다. 이때, 각 환자의 난자, 정자를 올바르게 식별하여, 처리, 수정, 배양, 보관, 융해 및 이식을 해야만 하며, 물론, 혼동하여 바뀌는 등의 착오는 허용되지 않는다.
[0004] 최근, 수정란(배아(胚))을 동결 보존하는 기술이 진보하여, 신선 배아와 동등한 임신율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궁으로의 이식 시기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인정되어, 동결 배아를 사용한 체외수정의 비율이 대폭 증대되고 있다.
난자가 수정된 상태를 수정란이라고 부르는데, 이 수정란은, 분할하여 3일 후에는 6~9 세포기 배아가 되어, 자궁에 이식되게 된다. 나아가, 분할하여 배반포(胚盤胞)로 성숙할 때까지 배양을 진행시켜, 이식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식 준비가 갖추어진 상태의 배아를 동결 보존시켜 두는 것이, 현재의 체외수정 치료의 주류가 되고 있다.
[0005] 동결 보존 시에 있어서, 정자는, 검체(檢體) 튜브, 스트로우(straw) 등의 정자 보존 용기에 주입되며, 수정란은, 시트부를 갖는 크라이오톱(Cryotop)[KITAZATO CORPRATION의 등록상표], 루프부를 갖는 크라이오루프(Cryoloop) 등의 난자 보존 용기에 유지(保持)된다.
그리고, 정자 보존 용기, 난자 보존 용기를 케인(cane)에 복수 개 유지시키고, 이들 정자 보존 용기 등을 유지시킨 복수의 케인을 캐니스터(canister)에 유지시키며, 이들 복수의 캐니스터를 동결 보존용 탱크 내에 수납하여 보존하고 있다(특허문헌 1 또는 2를 참조).
여기서, 동결 보존용 탱크 내에는 액체 질소를 충전하고, 액상(液相) 또는 기상(氣相)의 분위기에서 대상물을 -196℃의 극(極)저온 하에서 동결 보존시키고 있다.
[0006] 종래에는, 장래에 체외수정을 실시하기 위해, 미(未)수정란을 동결 보존시키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지만, 최근 들어, 여러 가지 법제가 개정되어, 해당 목적으로의 미수정란의 동결 보존이 허용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혼 여성이 자신의 난자를 동결 보존시켜 두는 안건도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0007] 상기와 같은 동결 보존 시, 종래에는, 정자 보존 용기, 난자 보존 용기, 케인 등의 일단부 등에, 검체 번호, 환자 이름, 채취 일시 등의 정보 데이터를 사람의 손으로 필기하거나, 이들 정보 데이터를 기재한 라벨을 부착해 두고, 수정란 등을 취급하는 배아 배양사(培養士)가, 해당 용기, 기구의 필기 부위(個所) 또는 라벨을 눈으로 보고 확인함으로써, 어느 환자의 정자, 수정란인지를 식별하도록 되어 있었다.
[0008]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5-089396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6-067807호
[0009] 상기와 같이, 정자 보존 용기, 난자 보존 용기, 케인 등의 일단부 등에, 검체 번호, 환자 이름, 채취 일시 등의 정보 데이터를 사람의 손으로 필기하거나, 이들 정보 데이터를 기재한 라벨을 부착시켜 두는 방법에서는, 배아 배양사가 해당 용기, 기구의 필기 부위 또는 라벨을 눈으로 보고 확인하기 때문에, 오인이나, 기억 실수 등에 의해 검체 번호 등을 틀려, 치료 대상 검체를 혼동하여 바뀌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0010] 한편, 정자 보존 용기, 난자 보존 용기, 케인 등은 캐니스터에 복수 로 수납되고, 복수의 캐니스터는 액체 질소를 채운 동결 보존용 탱크 내에 수납되어, -196℃라는 환경하에서 보존된다. 따라서, 동결 보존용 탱크로부터 꺼내어졌을 때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급속히 냉각되어 결로되기 때문에, 해당 용기, 기구 또는 라벨에 서리 등이 부착되며, 이것을 벗겨내거나 융해시키지 않으면, 해당 용기, 기구 또는 라벨의 검체 번호 등을 확인할 수 없어, 배아 배양사가 확인하는 데 시간이 걸리거나, 오(誤)판별을 범할 위험성도 있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0011] 또한, 정자 보존 용기, 난자 보존 용기, 케인 등을 동결 보존용 탱크로부터 꺼내어, 배아 배양사가 해당 용기, 기구 또는 라벨의 검체 번호 등을 확인하는 데 시간이 걸리면, 그 동안은 정자나 수정란을 보존하는 용기 등이 상온 상태에 놓여지게 되므로,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변질되기 쉬워지고, 결국, 수정율이나 착상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0012] 나아가, 종래에는, 난자나 정자의 채취, 처리, 수정, 배양, 동결 보존, 융해, 이식 등의 작업을 배아 배양사가 행했을 때에는, 기록 용지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기록 화면에 기입하여 기록하였는데, 치료를 행하는 환자에게는 치료 상황이 명시되지 않으므로, 환자는 치료 도중의 경과를 알 수가 없었다.
[0013] 또한, 바코드를 인쇄한 라벨을 사용하여,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로 판독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도, 라벨에 서리가 부착되어 버리면, 바코드를 판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난자 보존 용기는 라벨을 붙이는 부분의 폭이 매우 좁아, 바코드를 확실히 판독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위치에 라벨을 주의 깊게 붙일 필요가 있어, 그 작업이 번거로웠다.
[001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치료 대상 검체가 바뀌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배아 배양사의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고, 수정율이나 착상율의 저하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환자가 치료 도중의 경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동결 보존하는 정자, 난자, 수정란 등의 생식 세포를 개체 관리하는 데 적합한 동결 보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15]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동결 보존 용기는, IC 태그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개체 식별 코드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IC 태그는, -196℃의 액체 질소 분위기 중에서 동작 가능한 동시에 장기 보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6]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동결 보존용 탱크, 캐니스터, 케인, 난자 보존 용기 또는 정자 보존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7]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난자 보존 용기이며, 종래의 난자 보존 용기의 막대 형상부의 후단부로부터 IC 태그를 끼워 넣은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종래의 난자 보존 용기의 막대 형상부의 후단부와 IC 태그를 나사결합 또는 걸림결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한, 종래의 난자 보존 용기에 IC 태그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0018] 상기 IC 태그는, 합성수지제의 얇은 파이프에 인렛(inlet)을 내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렛은, 양측으로부터 비(非)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것이어도 되고, 비도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몰딩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IC 태그는, 상기 얇은 파이프의 중간부의 내경(內徑)을 상기 난자 보존 용기의 막대 형상부의 외접원(外接圓)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한 것으로 해도 된다.
[0019] 상기 IC 태그는, 상기 얇은 파이프의 표면에, IC 태그에 기억된 개체 식별 코드에 링크된 ID를 인쇄하거나, 또는 ID가 인쇄된 라벨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자 보존 용기의 막대 형상부에 식별 코드를 인자(印字)하거나, 또는 식별 코드를 인자한 라벨을 부착해도 된다.
나아가, 상기 IC 태그는, 상기 얇은 파이프의 표면 또는 인렛의 표면에, 식별용의 색채를 착색해도 된다.
[0020] 상기 IC 태그는, 동결 보존할 대상물에 관한 정보 또는 그 정보에 링크된 ID를 기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데, 나아가, 착색한 색채 정보도 기록한 것이어도 된다.
[0021]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이며, 종래의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의 구성 요소인 외측의 솜마개(cotton plug) 속에 IC 태그를 포함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의 시일(seal)부의 외측에 IC 태그를 장전(裝塡)하고, 그 외측에 시일부를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IC 태그는, 기체(氣體)의 유통을 가능하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0022]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검체 튜브이며, 종래의 검체 튜브의 레그부(脚部)에 IC 태그를 장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검체 튜브의 레그부에 IC 태그를 내장한 것이어도 된다.
[0023]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케인이며, 종래의 케인의 걸림고정부에 IC 태그를 꽂아 넣어, 장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IC 태그는, 프레임 형상부를 형성한 태그 케이스에 플렉스 IC 태그를 끼움부착한 것이어도 된다.
[0024] 상기 IC 태그는, 그 표면에, 식별용의 색채를 착색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데, 그 표면에, IC 태그에 링크된 ID를 인쇄하거나, 또는 ID가 인쇄된 라벨을 부착해도 된다.
또한, 상기 IC 태그는, 착색한 색채 정보도 기록한 것이어도 된다.
[0025]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캐니스터이며, 종래의 캐니스터의 걸림고정부에 IC 태그를 매단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0026] 상기 IC 태그는, 동결 보존용 탱크 번호, 캐니스터 번호, 캐니스터의 상하 등의 정보를 기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0027] 상기 IC 태그는, 동결 보존 용기의 종별을 특정할 수 있는 종별 코드도 기록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위생상의 관점으로부터, 방사선, 오토클레이브(autoclave), 플라즈마, 가스 등에 의해 멸균된 것이 바람직하다.
[0028] 본 발명의 동결 보존 용기에 의하면, 배아 배양사는, 눈으로 보고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에 의해 ID 또는 정보를 판독하기 때문에, 인위적인 오인이나, 기억 실수 등에 의해 검체 번호 등을 틀려, 치료 대상 검체가 바뀌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0029] 또한, 정자 보존 용기, 난자 보존 용기, 케인 등을 동결 보존용 탱크로부터 꺼냈을 때, 공기 중의 수분이 급랭됨으로써 결로되어, 그 표면에 서리 등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서리 등을 없애지 않고도 ID 또는 검체 번호 등을 확인할 수 있어, 배아 배양사의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0030] 또한, 정자 보존 용기, 난자 보존 용기, 케인 등을 동결 보존용 탱크로부터 꺼내어, 배아 배양사가 ID 또는 검체 번호 등을 확인하기까지 시간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그 동안에 정자, 수정란 등이 변질될 일이 없어, 결국, 수정율이나 착상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0031] 난자, 정자의 채취, 처리, 수정, 배양, 동결 보존, 융해, 이식 등의 작업을 행했을 때, 퍼스널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에 기록해 두도록 하면, 환자는, 휴대용 전화기 등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여, 이들 정보 중으로부터 허가된 것을 적절히 확인할 수 있어, 치료의 신뢰성과 환자의 만족도 향상으로 이어진다.
[0032] 이에 따라, 배아 배양사의 처리 능력, 작업 능력이 명확해지고, 수정란의 개체 차(差)에 의한 배양액의 유효성이나, 배양 방법의 유효성도 판명되어, 불임 치료에 있어서의 임신율의 대폭적인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0033] 도 1은, 종래의 난자 보존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난자 보존 용기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분해도이다.
도 3은, IC 태그의 인렛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A)는 측면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인렛을 장전한 난자 보존 용기의 IC 태그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인렛을 장전한 난자 보존 용기의 IC 태그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IC 태그의 인렛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인렛을 장전한 난자 보존 용기의 IC 태그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난자 보존 용기의 IC 태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낸 인렛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정면도이고, (D)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나타낸 인렛을 장전하는 난자 보존 용기의 IC 태그를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나타낸 인렛을 장전한 난자 보존 용기의 IC 태그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나타낸 인렛을 장전한 난자 보존 용기의 IC 태그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나타낸 인렛을 장전한 난자 보존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3에 나타낸 인렛을 장전한 난자 보존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IC 태그를 구성하는 얇은 파이프를 성형하는 지그로서, (A)는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B)는 연결한 상태의 종(縱)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낸 IC 태그를 구성하는 얇은 파이프를 성형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나타낸 IC 태그를 구성하는 얇은 파이프를 성형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난자 보존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난자 보존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난자 보존 용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케인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케인에 장착하는 IC 태그로서, (A)는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B)는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나타낸 케인에 IC 태그를 장착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케인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캐니스터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동결 보존 탱크에 다수의 캐니스터를 삽입하여, 정자, 난자, 수정란 등을 동결 보존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검체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종래의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의 정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31은,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나타낸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에 부설(附設)하는 연장 안테나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A)는 사용 상태도이고, (B)는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나타낸 연장 안테나의 구성도이다.
도 34는, 도 31에 나타낸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에 부설하는 연장 안테나의 다른 실시형태의 사용 상태도이다.
[0034] 본 발명의 동결 보존 용기의 개발에 있어서는, 동결 보존되는 -196℃의 액체 질소 중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IC 태그를 개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항이었다.
일반적인 IC 태그에 있어서는, 보증되는 동작 가능 온도의 저온역(低溫域)은 -40℃ 정도까지이며, 실제로도, -80℃ 이하의 온도에서는 판독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체 질소 중에 보관되어 있는 대상물을 꺼내는 일 없이, 부착한 IC 태그를 읽는 능력이 필요하다.
[0035] IC 태그는, 리더의 안테나로부터 발신된 13.56MHz의 전자계(電磁界)를, 인렛의 코일과 IC 칩의 콘덴서로 구성한 13.56MHz의 공진 회로에 의해 수신하여, 내부의 전기 회로를 동작시키는 에너지로 하고 있다.
이 에너지가 IC 회로를 동작시키는 최소 동작 가능 전력을 상회(上廻)할 것이, IC 태그의 판독을 행하는 동작의 필요 조건이 된다.
그 결과, 예컨대, 리더 안테나를 IC 태그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상기 최소 에너지를 하회(下廻)한 장소에서는, IC 태그는 전혀 동작하지 않게 된다.
[0036] 여기서, 동조 회로(同調回路) IC 칩의 정전용량(capacitance)과 외부에 접속한 코일의 인덕턴스로 병렬 공진 회로를 형성하고 있는데, 그 공진 주파수는,
[0037] [수학식 1]
Figure pct00001
[0038]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IC 태그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는 직렬 공진 회로의 피크의 날카로움을 나타내는 값(Q [Quality Factor])은,
[0039] [수학식 2]
Figure pct00002
[0040] 로 나타낼 수 있다.
[0041] 이것은, 동조 회로 중의 직렬 저항(R)의 값을 작게 할수록, 그리고, 인덕턴스(L)의 값을 크게 할수록, Q의 값이 커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자속밀도인 장소에 IC 태그를 두더라도, 상기 Q의 값이 클수록 전송하는 에너지가 커져, 통신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이 때문에, 외형이 작은 IC 태그에서는, 가능한 한 안테나 코일의 선직경(線徑)을 굵게 하여 저항값을 낮추고, 또한 분포 용량을 줄이는 등의 대책을 행하여, 높은 Q 값을 얻을 필요가 있다.
[0042] 또한, 액체 질소의 유전율은 1.4이기 때문에, 코일의 선(線) 간의 정전용량이 공기 중보다 커진다. 이러한 변화를 작게 하기 위해, 코일의 주위를 유전율이 낮은 충전제(充塡劑)에 의해 충전하고, 액체 질소와의 거리를 떼어 놓는 것이 효과적이다.
IC 칩의 입력 단자 간의 정전용량은, 내부의 반도체 PN 구조에 의해 구성된다. 이 용량은 온도 특성이 있으며, 품종에 따라 특성이 다르지만, 온도를 낮추면 정전용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0043] 이러한, 몇 개의 파라미터가 조합되어, 액체 질소 중의 IC 태그의 공진 주파수는, 상온에 비해 0.1~0.3MHz 정도 높아진다. 상기 공진 주파수의 변화가 소형 IC 태그의 통신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대형 IC 태그에 비해 크기 때문에, 공진 주파수의 미세(微)조정이 필요해진다.
[0044] 또한, IC 칩의 온도를 -196℃까지 낮추면, IC 회로의 특성이 변화함으로써, 응답 파형이 둔화되어, 판독이 어려워진다.
나아가, 복수의 IC 태그가 있는 경우에는, 충돌 방지(anti-collision) 방식에 의해 신호의 충돌을 검지할 필요가 있는데, -196℃의 환경하라면 응답 파형이 무뎌져서, 판정이 어렵거나, 판독에 시간이 걸린다.
[0045] 이상과 같은 고찰에 근거하여, -196℃의 환경하에서도 동작 가능한 IC 태그를 개발함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점을 연구하였다.
1. 공진 주파수의 변화량을 보정하도록, 상온에서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였다.
2. 코일의 직류 저항값(R)을 낮추고, IC 태그의 Q값을 높이는 설계를 행하였다.
3. 액체 질소의 유전율이 1.4로 공기에 비해 크기 때문에, 코일의 선 간의 정전용량이 변화되어 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 IC 태그의 코일에 액체 질소가 직접 접하지 않는 구조로 하였다.
4. -196℃의 환경에서의 동작에 필요한 IC 칩의 파라미터를 규정하고, 그 파라미터에 적응하는 IC 칩의 선별을 행하도록 하였다.
[0046]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동결 보존 용기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0047] 동결 보존에 있어서 사용되는 장치, 기기, 기구는, 동결 보존용 탱크, 캐니스터, 케인, 검체 튜브,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 난자 보존 용기, 보호용 슬리브 등이다.
[0048] 종래의 난자 보존 용기(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기둥 형상의 막대 형상부(2), 합성수지제의 유지판(3)으로 구성되며, 막대 형상부(2)의 중간부에는, 플랜지부(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보호용 슬리브(5)는, 합성수지제의 얇은 파이프(6)로 이루어지며, 폐쇄단(閉鎖端)의 근방에 솜마개(7) 및 중추(重錘; 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판(3)의 선단부에 소량의 보존액과 함께 수정란을 올려놓고, 액체 질소로 동결한 후, 난자 보존 용기(1)에 보호용 슬리브(5)를 플랜지부(4)에 접촉할 때까지 밀어 넣고, 피복(被覆)한다.
[0049] 본 발명의 난자 보존 용기(1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자 보존 용기(1)의 막대 형상부(2)의 후단부로부터 IC 태그(12)를 끼워 넣는 동시에, IC 태그(12)와 플랜지부(4) 사이에 라벨(13)을 감은 것이다.
[0050] 본 발명의 IC 태그(12)는, 합성수지제의 얇은 파이프(14)와, 상기 얇은 파이프(14)에 내장한 인렛(15)으로 구성된다.
[0051] 인렛(15)으로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층으로 감은 코일(16)의 내측에 IC 칩(17)을 배치하여 원통 형상으로 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0052] 인렛(15)을 채용한 IC 태그(12)의 하나의 실시 양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얇은 파이프(14)와, 얇은 파이프(14)에 내장한 인렛(15)과, 인렛(15)을 양측으로부터 고정하는 고정 부재(18, 18)로 구성된다.
[0053] 고정 부재(18)는, 합성수지, 고무 등의 비도전성 재료를 성형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재료, 실리콘 고무, 테플론[CHEMOURS CORPRATION의 등록상표]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0054] 또한, IC 태그의 표면에는, IC 태그의 개체 번호(제조 시에 IC 칩에 기입되어 있는 개체 번호:UID) 자체, 혹은 개체 번호에 링크시킨 식별 코드를 인쇄하거나, 또는 개체 번호 혹은 식별 코드를 인쇄한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식별 코드는, IC 태그를 시스템에 등록할 때, 관련 정보로서 함께 기록한다.
[0055] 이에 따라, 고장 등으로 인해 IC 태그의 정보를 읽을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 IC 태그의 표면에 인쇄하거나, 또는 라벨에 인쇄한 식별 코드를 사용하여, IC 태그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IC 태그를 교환하는 경우에, 새로운 IC 태그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인계를 행함으로써, IC 태그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0056] 인렛(15)을 채용한 IC 태그(19)의 다른 실시형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얇은 파이프(14)와, 얇은 파이프(14)에 내장한 인렛(15)과, 인렛(15)을 포함하여 일체로 몰딩하는 합성수지(20)로 구성된다.
[0057] 인렛(15)을 일체로 몰딩한 것에는 통기(通氣) 구멍(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기 구멍(20a)으로부터 질소 가스(N2)를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합성수지(20)로서는, 비도전성 재료이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재료, 실리콘 고무, 테플론[CHEMOURS CORPRATION의 등록상표]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0058] 또한, 인렛(21)으로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층으로 감은 코일(22)의 내측에 IC 칩(23)을 배치하여 평판 형상으로 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권선 코일 타입의 인렛 외에, 코일 패턴을 형성한 기판을 복수 매 겹쳐, 다층 구조로 한 코일 기판에 IC 칩을 실장(實裝)한, 기판 타입 인렛을 채용할 수도 있다.
[0059] 인렛(21)을 채용한 IC 태그(22)의 하나의 실시 양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얇은 파이프(14)와, 얇은 파이프(14)에 내장한 인렛(21)과, 인렛(21)을 양측으로부터 고정하는 고정 부재(24, 24)로 구성된다.
[0060] 고정 부재(24)는, 합성수지, 고무 등의 비도전성 재료를 성형한 것이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재료, 실리콘 고무, 테플론[CHEMOURS CORPRATION의 등록상표]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0061] 또한, 얇은 파이프(14)의 측면에는 통기 구멍(14a)이 형성되어 있어, 이 통기 구멍(14a)으로부터 질소 가스(N2)를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얇은 파이프(14)의 측면에 통기 구멍(14a)을 형성하는 대신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부재(24)에 통기 구멍(24a) 또는 통기 홈(24b)을 형성하더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0062] 인렛(21)을 채용한 IC 태그(25)의 다른 실시형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얇은 파이프(14)와, 얇은 파이프(14)에 내장한 유지 부재(26)와, 유지 부재(26)에 유지시킨 인렛(21)으로 구성된다.
[0063] 유지 부재(26)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고, 축 방향으로 관통 구멍(26a)을 형성하는 동시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26b, 26b)을 형성한 것이다.
[0064]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렛(21)을 유지 부재(26)의 슬릿(26b, 26b)에 꽂아 넣어, 유지 부재(26)에 인렛(21)을 고정, 유지시킨다. 그리고, 인렛(21)을 유지한 유지 부재(26)를 얇은 파이프(14)에 삽입하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IC 태그(25)를 구성할 수 있다.
유지 부재(26)로서는, 합성수지, 고무 등의 비도전성 재료이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재료, 실리콘 고무, 테플론[CHEMOURS CORPRATION의 등록상표]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0065] 얇은 파이프(14)를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하면, 고정 부재(18)의 외경(外徑)을 얇은 파이프(14)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더라도,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부재(18)를 얇은 파이프(14)에 압입(壓入)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얇은 파이프(14)에 의한 고정 부재(18)의 체결력은 커서, 인렛(15)이 간단히 탈출하지 않게 된다.
또한, IC 태그의 얇은 파이프(14)의 내경을 난자 보존 용기(1)의 막대 형상부(2)의 후단부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제작하더라도,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얇은 파이프(14)를 확대 개방(擴開)시키면서 막대 형상부(2)에 장착할 수 있다.
[0066] 인렛(15)을 채용한 IC 태그(27)의 다른 실시형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얇은 파이프(28)와, 얇은 파이프(28)에 내장한 인렛(15)과, 인렛(15)을 양측으로부터 고정하는 고정 부재(18, 18)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얇은 파이프(28)의 개구부(28a) 및 폐쇄부(28c)의 내경을 난자 보존 용기(1)의 막대 형상부(2)의 외접원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하고, 중간부(28b)의 내경을 막대 형상부(2)의 외접원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하고 있다.
[0067] IC 태그(27)는 이러한 구성이기 때문에, IC 태그(27)를 난자 보존 용기(1)의 막대 형상부(2)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며, 나아가, 막대 형상부(2)에 밀어 넣음으로써, 중간부(28b)가 막대 형상부(2)를 단단히 조여, IC 태그(27)를 강고하게 막대 형상부(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난자 보존 용기(1)의 막대 형상부(2)는 사각기둥 형상을 나타내는데, IC 태그(27)의 얇은 파이프(28)를 밀어 넣으면, 얇은 파이프(28)는 사각기둥 형상의 단면(斷面)에 따르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이, 얇은 파이프(28)는 비교적 늘어나지 않는 재료로 제작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단면(斷面)이 원형 형상으로부터 사각형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에 의해, 막대 형상부(2)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원래대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힘이 체결력으로서 작용하여, IC 태그(27)를 확실하게 막대 형상부(2)에 고정시킨다.
[0068] 이러한 얇은 파이프(28)는, 도 15에 나타낸 성형 지그(201)를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얇은 파이프(28)의 재료로서, 열을 가하면 수축하는 성질을 갖는, 열수축성 재료를 사용한다.
성형 지그(201)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 본체(202)와 지그 헤드체(頭體; 203)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그 본체(202)의 선단 돌출부(202a)에 지그 헤드체(203)의 끼움결합 구멍부(203a)를 꽂아 넣어, 끼움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0069] 그리고, 지그 본체(202)의 중간 막대부(202b)의 외경을 난자 보존 용기(1)의 막대 형상부(2)의 외접원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하여, 기단(基端) 막대부(202c)의 외경을 난자 보존 용기(1)의 막대 형상부(2)의 외접원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하고 있다.
또한, 지그 헤드체(203)의 선단 막대부(203b)의 외경을 난자 보존 용기(1)의 막대 형상부(2)의 외접원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하고 있다.
[0070] 먼저,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 전의 외경이 난자 보존 용기(1)의 막대 형상부(2)의 외접원 직경과 대략 동일한 소재 파이프(29)를 지그 본체(202)의 기단 막대부(202c)까지 삽입하고, 이어서,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 헤드체(203)의 선단 막대부(203b)를 소재 파이프(29)의 일단 개구로부터 삽입하여, 끼움결합 구멍부(203a)를 선단 돌출부(202a)와 끼움결합시킨다.
[0071] 다음으로, 소재 파이프(29)에 소정 온도의 열을 가하면,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재 파이프(29)의 중간부(29a)가 수축하여, 성형 지그(201)의 형상에 따르듯이 성형된다. 이어서, 지그 본체(202)와 지그 헤드체(203)를 분리시키면,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부(28b)의 직경이 작은, 얇은 파이프(28)를 성형할 수 있다.
[0072] 난자 보존 용기(1)의 막대 형상부(2)의 후단부에 IC 태그(12)를 결합하는 방법으로서, 끼워 넣기 이외의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0073] 예컨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자 보존 용기(1)의 막대 형상부(2)의 후단부에 수(雄)나사부(2a)를 형성하고, IC 태그(12)의 얇은 파이프(14)의 개구부에 암(雌)나사부(14b)를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IC 태그(12)의 암나사부(14b)와 막대 형상부(2)의 수나사부(2a)를 나사결합시켜, IC 태그(12)를 회전시켜 체결하면, 용이하게 본 발명의 IC 태그(12)를 장착한 난자 보존 용기(31)를 구성할 수 있다.
[0074] 또한,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자 보존 용기(1)의 막대 형상부(2)의 후단부에 걸림결합 돌출부(2b)를 형성하고, IC 태그(12)의 얇은 파이프(14)의 개구부에 걸림결합 돌출부(14c)를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IC 태그(12)의 개구부를 막대 형상부(2)의 후단부에 삽입시키고, 걸림결합 돌출부(14c)를 걸림결합 돌출부(2b)를 넘어 밀어 넣으면, 용이하게 본 발명의 IC 태그(12)를 장착한 난자 보존 용기(32)를 구성할 수 있다.
[0075] 기타의 형태로서, IC 태그를 꽂아 넣는 것이 아니라, 난자 보존 용기에 포함시켜 일체의 구조로 할 수도 있다.
[0076] 종래의 케인(31)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대 형상부(32)와, 유지부(33)와, 파지부(把持部; 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지부(33)에 캡을 벗긴 검체 튜브(35)를 끼움부착하여, 유지시키고, 상기 검체 튜브(35) 내에 복수 개의 난자 보존 용기(1)를 꽂아 넣어 수납한다.
나아가, 난자 보존 용기(1), 검체 튜브(35)를 보호하기 위해, 케인(31)에 슬리브(36)를 피복한다.
또한, 막대 형상부(32)에는, 식별을 위한 색구분된 라벨을 부착하고, 라벨 표면에 필요한 정보를 손으로 기입하여 관리를 행하고 있었다.
[0077] 본 발명의 케인(41)은, 케인(31)의 파지부(34)에 IC 태그(42)를 꽂아, 장착한 것이다.
[0078] 본 발명의 IC 태그(42)는, 도 2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탄부(44)와 프레임 형상부(45)를 형성한 태그 케이스(43)와, 상기 태그 케이스(43)의 평탄부(44)에 끼움부착되는 플렉스 IC 태그(46)와, 태그 케이스(43)에 감아 부착한 라벨(47)로 구성된다.
[0079] 평탄부(44)에는 끼움부착 구멍(44a)이 형성(穿設)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부착 구멍(44a)에 플렉스 IC 태그(46)를 끼워 넣고, 그 양측으로부터 바인더(48, 48)를 도포하여, 매설된 끼움부착 구멍(44a)이 평탄부(44)의 다른 부분과 면일(面一, 단차가 없는)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0080] 또한, 도 2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그 케이스(43)의 프레임 형상부(45)에는 삽입홈부(4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홈부(45a)의 양측부에는 걸림결합 클로부(爪部; 45b, 4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홈부(45a) 및 걸림결합 클로부(45b, 45b)에 의해, 이른바 래치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0081]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IC 태그(42)의 프레임 형상부(45)의 삽입홈부(45a)에 케인(31)의 파지부(34)의 판 형상부(34a)를 삽입함으로써,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IC 태그(42)를 장착한 케인(41)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인(31)의 판 형상부(34a)를 IC 태그(42)의 삽입홈부(45a)에 삽입하고, 판 형상부(34a)를 걸림결합 클로부(45b, 45b)를 넘어 밀어 넣으면, 판 형상부(34a)가 걸림결합 클로부(45b, 45b)에 의해 끼움지지(래치)되므로, 판 형상부(34a)로부터 IC 태그(42)가 용이하게 탈락되는 일은 없다.
[0082] 상기와 같이, 케인(31)에 부착하는 IC 태그(42)의 표면에도, ID를 인쇄하거나, 또는 ID를 인쇄한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고장 등에 의해 IC 태그의 정보를 읽을 수 없게 된 경우나, IC 태그를 교환하는 경우에, IC 태그의 데이터의 복구나 인계가 가능하다.
[0083] 종래의 캐니스터(51)는, 원통부(51a)와, 막대 형상부(51b)와, 걸림고정부(51c)로 구성된다.
[0084] 본 발명의 캐니스터(56)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니스터(51)의 걸림고정부(51c)에 IC 태그(57)를 매달아 구성된다.
[0085]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니스터(56)의 원통부(51a) 내에 복수 개의 케인(41, 41, …)을 삽입하여,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고정부(51c)를 동결 보존용 탱크(61)의 내측 덮개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동결 보존용 탱크(61) 내에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0086] 여기서, IC 태그(57)에는, 동결 보존용 탱크 번호, 캐니스터 번호, 캐니스터의 상하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0087] 종래에, 정자를 동결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자 보존 용기로서는, 검체 튜브,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 등이 알려져 있다.
[0088] 종래의 검체 튜브(71)는, 튜브 본체(72)와, 튜브 본체(72)에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캡(73)으로 구성된다.
[0089] 본 발명의 검체 튜브(76)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 본체(72)의 레그부(72a)에 IC 태그(74)를 장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IC 태그(74)를 장착한 복수의 검체 튜브(71, 71, …)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인(41)에 끼워서 보관된다.
[0090] 종래의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81)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얇은 파이프(82)와, 상기 얇은 파이프(82)의 일단부에 장전되는 솜마개(83, 83)와, 상기 솜마개(83, 83)의 사이에 장전되는 흡수체(84)로 구성된다.
그리고, 얇은 파이프(82)의 B단(端)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면서 A단으로부터 정자를 주입하며, 액면이 85의 라인에 도달하였을 때 주입을 정지한다.
이후, 얇은 파이프(82)의 타단부를 열압착 또는 초음파 압착함으로써, 시일부(86)를 형성하여, 얇은 파이프(82)를 밀폐한다.
[0091] 본 발명의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91)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81)의 구성 요소인 외측의 솜마개(83) 속에 IC 태그(92)를 포함시킨 것이다.
IC 태그(92)를 포함시킴으로써, 통기를 저해하지 않도록 IC 태그(92)를 유지시키고 있다.
[0092] 또한,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81)의 시일부(86)의 외측에 IC 태그(92)를 장전하고, 그 외측을 열압착 또는 초음파 압착함으로써 시일부(87)를 형성하여,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93)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93)에 있어서, 기타의 구성은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9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0093] 또한, 위생상의 관점 등으로부터, 이상에서 설명한 IC 태그는, 방사선, 오토클레이브, 플라즈마, 가스 등에 의해 멸균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94] 보존실에 있어서는, 배아 배양사는, 작업 시에,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101)를 휴대하고 있다.
그리고, 수정란 또는 정자의 동결 보존을 개시할 때, 보존 상태를 확인할 때, 융해 작업을 행할 때, 동결 보존을 종료할 때 등에 있어서,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101)의 안테나부(101a)를 동결 보존 탱크(61), 캐니스터(56), 케인(41), 난자 보존 용기(11),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91)에 장착한 IC 태그(57, 42, 12, 92)에 근접시켜, IC 태그(57, 42, 12, 92) 내에 기억시킨 ID, 환자 정보, 보존 정보를 판독한다.
[0095] 여기서, 캐니스터(56), 케인(41)에 장착한 IC 태그(57, 42)는 비교적 외경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101)를 근접시킴으로써, 충분히 판독할 수 있지만, 난자 보존 용기(11),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91)에 장착한 IC 태그(12, 92)는 미소한 외경 사이즈이기 때문에,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101)를 접촉시키더라도, 조금 떨어지면 읽어내지 못할 우려가 있다.
[0096] 또한,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101)의 안테나부(101a)는, 그 배면(背面)측 또는 전면(前面)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테나부(101a)의 위치에 IC 태그(12, 92)를 합치시키도록 하여 판독할 필요가 있어, 판독 작업에 시간이 걸린다.
[0097] 따라서,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101)에 액체 질소 중에서도 동작 가능한 연장 안테나(111)를 부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연장 안테나(111)는,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부재(111a)와, 안테나 엘리먼트(111b)와, 접속 케이블(111c)과, 끼움지지 부재(111d)로 구성되어 있다.
[0098] 안테나 엘리먼트(111b)에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진 회로와 정합을 취하기 위한 정합 회로(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합 회로(121)는,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101)가 발신하는 13.56MHz의 고주파 전류를 효율적으로 판독하여, 안테나 엘리먼트(111b)로 인도하기 위해, 13.56MHz의 공진 회로와 연장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50Ω로 정합시키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0099] 또한,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101)에 부착하는 어댑터에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금구와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101)의 안테나(101a)에 대향(對向)하도록 배치한, 상호 전자(電磁) 유도에 의해 에너지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코일(122)이 배치되어 있다.
[0100] 유지 부재(111a)는, 그 선단부에 난자 보존 용기(11)의 IC 태그(12)를 끼움결합시켜 유지하는 끼움결합 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후단부에 핀셋(112) 등의 유지용구의 선단부를 끼움결합시켜 삽입하는 끼움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엘리먼트(111b)는, 유지 부재(111a)의 선단부의 내측에 끼움부착되어 있으며, 그 일단부로부터 접속 케이블(111c)이 연장되어 있다.
끼움지지 부재(111d)는, 그 후단부에 핀셋(112) 등의 유지용구의 선단부를 끼움결합시켜 삽입하는 끼움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0101] 도 3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부재(111a)의 끼움결합 구멍 및 끼움지지 부재(111d)의 끼움결합 구멍에, 핀셋(112)의 양(兩) 선단부를 끼워 넣고, 유지 부재(111a)의 끼움결합 홈에 난자 보존 용기(11)의 IC 태그(12)를 끼움결합시킨다.
그리고, 핀셋(112)의 선단부를 폐쇄시켜, 유지 부재(111a)와 끼움지지 부재(111d)에 의해 IC 태그(12)를 끼움지지하면, 안테나 엘리먼트(111b)는 IC 태그(12)로부터 전자(電磁)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 전자 에너지는 접속 케이블(111c)을 통해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101)의 안테나부(101a)로 전송되기 때문에,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101)에 의해, IC 태그(12)에 격납(格納)된 정보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0102] 케인(31)에 장착한 IC 태그(42)를 판독하기 위해서는,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101)에,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장 안테나(131)를 부설하도록 해도 된다.
연장 안테나(131)는,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엘리먼트(131a)와, 접속 케이블(131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안테나 엘리먼트(131a)는, -196℃에 견딜 수 있는 동시에, 충분한 강성(剛性)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케이블(131b)도, -196℃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0103] 상기 연장 안테나(131)에 의하면, 동결 보존용 탱크(61) 내에 걸림고정시킨 캐니스터(56) 내에 케인(41)을 유지한 상태에서도, 안테나 엘리먼트(131a)를 IC 태그(42)에 근접시킴으로써, IC 태그(42)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엘리먼트(131a)는, 소형일뿐만 아니라, 커버 등의 방해할 만한 것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복수의 케인(41)의 IC 태그(42)가 근접 배치되어 있더라도, 특정의 IC 태그(42)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다.
[0104]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시설 내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무실에 설치된 서버에 IC 태그에 격납된 정보가 기억되며, 서버에 액세스함으로써, 사무실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나, 진찰실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해 두면, 담당 사무원, 의사, 배아 배양사 등이 적절히, 환자 정보, 보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0105] 한편, 시설 내에서 설치 또는 사용하는 장치나 기기를,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에 접속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해 두면, 환자는, 자신이 보유하는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하여, 클라우드에 액세스함으로써, 자신의 환자 정보, 수정란의 배양 상황, 보존 정보 등을 취득할 수 있다.
[0106] 본 발명의 동결 보존 용기는, 정자 보존 용기, 난자 보존 용기, 케인, 캐니스터 등에 ID, 검체 번호, 환자 이름, 채취 일시, 용기의 종별 코드 등을 기억시킨 IC 태그를 장착하여, 배아 배양사가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에 의해 이들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인위적인 오인이나, 기억 실수 등에 의해 검체 번호 등을 틀려, 치료 대상 검체가 바뀌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정보를 IC 태그의 메모리에 기억하는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서, 필요한 정보를 서버에 보관하고, 그 정보와 IC 태그에 기억되어 있는 ID를 링크시키는 시스템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0107] 또한, 정자 보존 용기, 난자 보존 용기, 케인 등을 동결 보존용 탱크로부터 꺼냈을 때, 그 표면에 서리 등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식별 코드·IC 태그 판독 장치를 사용하여, 무선에 의해 정보를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서리 등을 없애지 않더라도 ID, 검체 번호 등을 확인할 수 있어, 배아 배양사의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켜, 인적(人的)인 작업 미스를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질소 중에 있어서도 판독이 가능한 IC 태그를 사용하므로, 정자 보존 용기, 난자 보존 용기, 케인 등을 동결 보존용 탱크로부터 꺼내는 일 없이, 대상물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0108] 또한, 정자 보존 용기, 난자 보존 용기, 케인 등을 동결 보존 탱크로부터 꺼내지 않고, 배아 배양사가 ID, 검체 번호 등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확인하기까지 시간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그 사이에 정자, 수정란 등이 변질되는 일은 거의 없고, 결국, 수정율, 착상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0109] 나아가, 난자, 정자의 채취, 처리, 수정, 배양, 동결 보존, 융해, 이식 등의 작업을 배아 배양사가 행하였을 때, 퍼스널 컴퓨터의 기록 화면에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에 기록함으로써, 환자는, 휴대용 전화기 등에 의해, 이들 정보를 적절히 확인할 수 있어, 치료의 신뢰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0110] 이상의 효과로서, 배아 배양사의 처리 능력, 작업 능력이 명확해지고, 수정란의 개체 차에 의한 배양액의 유효성이나, 배양 방법의 유효성도 판명되어, 이들을 개선함에 따라, 체외수정에 있어서의 임신율을 대폭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0111] 또한, 본 발명의 동결 보존 용기에 대해, 체외수정의 치료를 행하는 시설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인간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소, 말 등과 같은 동물의 정자, 난자, 수정란의 동결 보존, 융해를 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0112] 1 : 난자 보존 용기
2 : 막대 형상부
11 : 난자 보존 용기
12 : IC 태그
14 : 얇은 파이프
15 : 인렛
18 : 고정 부재
20 : 합성수지 재료
31 : 케인
34 : 파지부
41 : 케인
42 : IC 태그
43 : 태그 케이스
45a : 삽입홈부
45b : 걸림결합 클로부
47 : 라벨
46 : 플렉스 IC 태그
51 : 캐니스터
51c : 걸림고정부
56 : 캐니스터
57 : IC 태그
71 : 검체 튜브
72a : 레그부
74 : IC 태그
76 : 검체 튜브
81 :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
83 : 솜마개
86 : 시일부
87 : 시일부
91 :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
92 : IC 태그

Claims (30)

  1. IC 태그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개체 식별 코드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196℃의 액체 질소 분위기 중에서 동작 가능한 동시에 장기 보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동결 보존용 탱크, 캐니스터, 케인, 난자 보존 용기 또는 정자 보존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난자 보존 용기이며, 종래의 난자 보존 용기의 막대 형상부의 후단부로부터 IC 태그를 끼워 넣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난자 보존 용기이며, 종래의 난자 보존 용기의 막대 형상부의 후단부와 IC 태그를 나사결합 또는 걸림결합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난자 보존 용기이며, 종래의 난자 보존 용기에 IC 태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합성수지제의 얇은 파이프에 인렛(inlet)을 내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상기 얇은 파이프의 중간부의 내경(內徑)을 상기 난자 보존 용기의 막대 형상부의 외접원(外接圓)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상기 얇은 파이프의 표면에, IC 태그에 기억된 개체 식별 코드에 링크된 ID를 인쇄하거나, 또는 ID가 인쇄된 라벨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상기 난자 보존 용기의 막대 형상부에 식별 코드를 인자(印字)하거나, 또는 식별 코드를 인자한 라벨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상기 얇은 파이프의 표면 또는 인렛의 표면에, 식별용의 색채를 착색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13.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동결 보존할 대상물에 관한 정보 또는 그 정보에 링크된 ID를 기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착색한 색채 정보도 기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은, 양측으로부터 비(非)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은, 비도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몰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이며, 종래의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의 구성 요소인 외측의 솜마개(cotton plug) 속에 IC 태그를 포함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이며, 종래의 정자 보존용 스트로우의 시일(seal)부의 외측에 IC 태그를 장전(裝塡)하고, 그 외측에 시일부를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기체(氣體)의 유통을 가능하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검체 튜브이며, 종래의 검체 튜브의 레그부(脚部)에 IC 태그를 장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2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검체 튜브이며, 종래의 검체 튜브의 레그부에 IC 태그를 내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2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케인이며, 종래의 케인의 걸림고정부에 IC 태그를 꽂아 넣어, 장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프레임 형상부를 형성한 태그 케이스에 플렉스 IC 태그를 끼움부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그 표면에, 식별용의 색채를 착색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그 표면에, IC 태그에 링크된 ID를 인쇄하거나, 또는 ID가 인쇄된 라벨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착색한 색채 정보도 기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2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보존 용기는, 캐니스터이며, 종래의 캐니스터의 걸림고정부에 IC 태그를 매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동결 보존용 탱크 번호, 캐니스터 번호, 캐니스터의 상하 등의 정보를 기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동결 보존 용기의 종류를 특정할 수 있는 종별 코드도 기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C 태그는, 방사선, 오토클레이브(autoclave), 플라즈마, 가스 등에 의해 멸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 보존 용기.

KR1020197007270A 2016-09-13 2017-09-12 동결 보존 용기 KR201900538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9044A JP6954728B2 (ja) 2016-09-13 2016-09-13 凍結保存容器
JPJP-P-2016-179044 2016-09-13
PCT/JP2017/032944 WO2018051993A1 (ja) 2016-09-13 2017-09-12 凍結保存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851A true KR20190053851A (ko) 2019-05-20

Family

ID=6161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270A KR20190053851A (ko) 2016-09-13 2017-09-12 동결 보존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30810B2 (ko)
EP (1) EP3514732A4 (ko)
JP (1) JP6954728B2 (ko)
KR (1) KR20190053851A (ko)
CN (1) CN109937423A (ko)
TW (1) TWI795367B (ko)
WO (1) WO2018051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4728B2 (ja) 2016-09-13 2021-10-27 株式会社77Kc 凍結保存容器
US10973226B2 (en) 2018-10-05 2021-04-13 TMRW Life Sciences, Inc. Apparatus to preserve and identify biological samples at cryogenic conditions
US20220388005A1 (en) * 2019-11-15 2022-12-08 TMRW Life Sciences, Inc. Rfid enabled specimen holder
USD951481S1 (en) 2020-09-01 2022-05-10 TMRW Life Sciences, Inc. Cryogenic vial
USD963194S1 (en) 2020-12-09 2022-09-06 TMRW Life Sciences, Inc. Cryogenic vial carrier
KR102526634B1 (ko) 2021-12-30 2023-04-28 (주)웅진씽크빅 마커를 이용하여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9396A (ja) 2013-11-05 2015-05-11 大陽日酸株式会社 凍結保存装置
JP2016067807A (ja) 2014-10-01 2016-05-09 株式会社AnimoScience ストロー管、並びに精液又は受精卵の凍結保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7303A (en) * 1994-09-09 1998-07-07 Gay Freres, Vente Et Exportation S.A. Device for associating test tube samples with electronic labels for storage of identifying data
JP4043436B2 (ja) * 2003-12-25 2008-02-06 伊藤忠商事株式会社 封緘具付きicタグ
JP2007066011A (ja) * 2005-08-31 2007-03-15 Nippon Sheet Glass Co Ltd 電子タグおよびこの電子タグを用いた電子タグ付き細径管
US8220717B2 (en) * 2006-01-05 2012-07-17 Hitachi Chemical Co., Ltd. Tubular container enabling individual identification
JP4324181B2 (ja) * 2006-06-13 2009-09-02 株式会社北里サプライ 卵凍結保存用具
TWM439655U (en) * 2006-12-29 2012-10-21 Bionet Corp Multi-unit cell freezing preservation system with direct connection to sub-packaged sample
TW200827443A (en) * 2006-12-29 2008-07-01 Bionet Corp A multi unit cell freezing preservation system with direct connection to sub-packaged samples
US20100141384A1 (en) * 2008-12-04 2010-06-10 Yeh-Shun Chen Bottle cap having anti-counterfeit function and bottle using the same
US8872627B2 (en) * 2010-02-12 2014-10-28 Biotillion, Llc Tracking biological and other samples using RFID tags
US9289770B2 (en) * 2010-02-27 2016-03-22 Lear Lavi RFID—specimen transport puck process features and process method to efficiently wand, rack, transport, track specimens in the laboratory
CN102586104B (zh) * 2011-12-23 2013-09-25 北京瑞建天行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多用途细胞冷冻以及冻存后复苏容器
CN104487567B (zh) * 2012-06-07 2018-09-25 保信亚太生物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自体脂肪转移手术的组合物及方法
GB201211766D0 (en) * 2012-06-29 2012-08-15 Cryogatt Systems Ltd RFID tag for cryogenic straws
CN203366637U (zh) * 2013-01-16 2013-12-25 东莞市宏山自动识别技术有限公司 一种防拆卸的rfid电子铅封装置
GB201301188D0 (en) * 2013-01-23 2013-03-06 Cryogatt Systems Ltd RFID tag
GB201304369D0 (en) * 2013-03-08 2013-04-24 Cryogatt Systems Ltd Rfid caps and lids
JP2014212724A (ja) * 2013-04-25 2014-11-17 実行データサイエンス株式会社 収容容器及びサンプル管理方法
ES2809127T3 (es) * 2015-12-23 2021-03-03 Viking Genetics Fmba Sistema RFID para identificación de pajillas criogénicas
JP6954728B2 (ja) 2016-09-13 2021-10-27 株式会社77Kc 凍結保存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9396A (ja) 2013-11-05 2015-05-11 大陽日酸株式会社 凍結保存装置
JP2016067807A (ja) 2014-10-01 2016-05-09 株式会社AnimoScience ストロー管、並びに精液又は受精卵の凍結保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4732A1 (en) 2019-07-24
EP3514732A4 (en) 2020-08-12
US11930810B2 (en) 2024-03-19
CN109937423A (zh) 2019-06-25
WO2018051993A1 (ja) 2018-03-22
JP6954728B2 (ja) 2021-10-27
US20190297877A1 (en) 2019-10-03
TWI795367B (zh) 2023-03-11
JP2018042692A (ja) 2018-03-22
TW201823447A (zh) 201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3851A (ko) 동결 보존 용기
TWI756263B (zh) 個體管理系統
JP5278978B2 (ja) 動物の胚または卵子のガラス化保存用細管
US20180368394A1 (en) Semen/gamete and embryo storage receptacles with rfid data identification
CN106779387A (zh) 一种手术器械及其管理系统
CN114927178A (zh) 患者和生物样本识别和追踪的方法和系统
CN109258627A (zh) 一种可智能识别的冷冻载杆及使用方法
JP2013528783A (ja) 組織検体用メモリカセットのrfidタグ付着方法及びrfidタグが付着された組織検体用メモリカセット
US20240120040A1 (en) Handling and tracking of biological specimens for cryogenic storage
Roy et al. Chapter 20 gavi-automated vitrification instrument
JP2007066011A (ja) 電子タグおよびこの電子タグを用いた電子タグ付き細径管
US20160353730A1 (en) Containers for liquid nitrogen storage of semen straws
US20220388005A1 (en) Rfid enabled specimen holder
US20180086533A1 (en) Cryogenic storage receptacle for rfid data
KR101254950B1 (ko) 수정란 동결 보관 스트로우용 플러그
KR101093020B1 (ko) 세포 동결 관리장치
JP2504495Y2 (ja) ストロ―管凍結保存用キャニスタ―
JP2023088806A (ja) 凍結保存用具
US20240138821A1 (en) Slotted specimen holder, wireless transponder loading cartridge, wireless transponder dispenser and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