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462A - 워셔액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워셔액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462A
KR20190052462A KR1020170148168A KR20170148168A KR20190052462A KR 20190052462 A KR20190052462 A KR 20190052462A KR 1020170148168 A KR1020170148168 A KR 1020170148168A KR 20170148168 A KR20170148168 A KR 20170148168A KR 20190052462 A KR20190052462 A KR 20190052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unit
head
pressing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205B1 (ko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48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2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셔액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카울탑커버에 설치되는 워셔액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카울탑커버에 형성된 장착부 내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의 상단에 지지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호스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분사노즐을 상기 장착부에 구속시키기 위해 상기 헤드부의 하면 전방측과 후방측에 형성되는 제1후크부 및 제2후크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절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절개부를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제1절개부 사이에는 상기 제1후크부를 후진시키는 제1누름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절개부 사이에는 상기 제2후크부를 전진시키는 제2누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누름부와 상기 제2누름부를 내측으로 눌러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후크부와 상기 제2후크부가 오므라져 상기 분사노즐이 상기 장착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카울탑커버를 탈거할 필요없이 카울탑커버의 외측에서 분리 가능한 워셔액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워셔액 분사노즐{WASHER LIQUID INJECTION NOZZLE}
본 발명은 카울탑커버를 탈거할 필요없이 카울탑커버의 외측에서 분리 가능한 워셔액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카울탑커버 또는 보닛에는 전면유리를 세정하기 위한 워셔액 분사노즐이 설치된다.
이러한 워셔액 분사노즐은 워셔액 탱크로부터 연결된 호스를 통해 워셔액을 공급받아 전면유리에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워셔액 분사노즐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5627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의 워셔액 분사노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직하방으로 연장형성된 몸체부(14)와, 상기 몸체부(14)의 직하단부에서 직경이 축소되면서 연장된 호스연결부(16)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4)의 전후면에 결합부(14a)가 사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되어 보닛이나 카울탑커버에 삽입되어 장착될 경우 상기 결합부(14a)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이 장착위치에 고정되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워셔액 분사노즐은 수리 또는 교체 등을 위해 카울탑커버로부터 분리해야 할 경우 카울탑커버의 내측(하부측)에서 결합부(후크 등) 자체를 눌러서 분리해야 하는 구조이므로 분사노즐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카울탑커버를 차량에서 탈거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562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카울탑커버를 탈거할 필요없이 카울탑커버의 외측에서 분리 가능한 워셔액 분사노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워셔액 분사노즐은, 차량의 카울탑커버에 설치되는 워셔액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카울탑커버에 형성된 장착부 내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의 상단에 지지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호스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분사노즐을 상기 장착부에 구속시키기 위해 상기 헤드부의 하면 전방측과 후방측에 형성되는 제1후크부 및 제2후크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절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절개부를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제1절개부 사이에는 상기 제1후크부를 후진시키는 제1누름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절개부 사이에는 상기 제2후크부를 전진시키는 제2누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누름부와 상기 제2누름부를 내측으로 눌러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후크부와 상기 제2후크부가 오므라져 상기 분사노즐이 상기 장착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후크부는 상기 제1누름부의 하면 후방측 단부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후크부는 상기 제2누름부의 하면 전방측 단부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제1절개부는 상기 헤드부의 전면 및 하면에 걸쳐 절개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헤드부의 후면 및 하면에 걸쳐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워셔액 분사노즐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워셔액 분사노즐은 헤드부의 전방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절개부 사이의 제1누름부를 눌러 가압하는 힘과 헤드부의 후방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절개부 사이의 제2누름부를 눌러 가압하는 힘을 제1후크부 및 제2후크부에 집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제1후크부 및 제2후크부의 탄성변형을 유발하여 카울탑커버를 탈거할 필요없이 카울탑커버의 외측에서 손쉽게 분리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워셔액 분사노즐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분사노즐이 카울탑커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분사노즐을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분사노즐을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저면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기재된 전후좌우상하의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방향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분사노즐이 카울탑커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분사노즐을 도시한 정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분사노즐을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분사노즐(100)은, 카울탑커버(10)에 형성된 장착부(11) 내에 삽입되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장착부(11)의 상단에 지지되는 헤드부(120)와, 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호스(200)가 연결되는 연결부(130)와, 분사노즐(100)을 장착부(11)에 구속시키기 위해 헤드부(120)의 하면 전방측과 후방측에 형성되는 제1후크부(140) 및 제2후크부(150)와, 헤드부(12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절개부(122a)와 헤드부(12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절개부(123a)를 포함하되, 한 쌍의 제1절개부(122a) 사이에는 제1후크부(140)를 후진시키는 제1누름부(122)가 형성되고, 한 쌍의 제2절개부(123a) 사이에는 제2후크부(150)를 전진시키는 제2누름부(123)가 형성되어 제1누름부(122)와 제2누름부(123)를 내측으로 눌러 가압함으로써 제1후크부(140)와 제2후크부(150)가 오므라져 분사노즐(100)이 장착부(11)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사노즐(100)이 설치되는 카울탑커버(10)는 차량의 보닛(후드) 및 전면유리 사이에 설치되어 카울의 상부를 덮는 커버로써,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우천 시 전면유리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통과시켜 카울탑커버(10)의 아래쪽에 있는 배수구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카울탑커버(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각각 분사노즐(100)이 설치되며, 분사노즐(100)은 카울탑커버(1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11)에 장착되어 설치된다.
장착부(11)는 관상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카울탑커버(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장착부(11)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장착홀(11a)이 형성되고, 장착홀(11a)을 통해 분사노즐(100)이 장착부(11) 내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착부(11)의 상단에는 전둘레에 걸쳐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11b)이 형성되어 후술할 제1후크부(140) 및 제2후크부(150)가 걸림턱(11b)에 걸림으로써 분사노즐(100)이 장착부(11)에 구속되어진다.
분사노즐(100)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부(110), 헤드부(120), 연결부(130), 제1후크부(140) 및 제2후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분사노즐(100)의 중앙부를 이루는 부분으로써 장착홀(11a)을 통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장착부(11) 내에 삽입된다.
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원형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된다.
한편, 몸체부(110)의 상부에는 헤드부(120)가 형성된다.
헤드부(120)는 하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상면, 좌측면, 우측면, 전면 및 후면이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형성된다.
헤드부(120)의 하단 테두리는 몸체부(110)의 상단 테두리보다 외측으로 더 튀어나오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걸림턱(11b)의 내측 테두리보다 외측으로 더 튀어나오도록 형성된다.
헤드부(120)는 분사노즐(100)의 상부를 이루는 부분으로써 몸체부(110)가 장착부(11) 내에 삽입되면 장착부(11)의 상단에 지지되어진다.
헤드부(120)의 후방측 중앙에는 전면유리(미도시)에 워셔액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121)가 형성된다.
분사구(121)는 헤드부(120)의 후면 중앙에 형성되어 전면유리(미도시) 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120)의 내부에는 몸체부(110)에 형성된 유로와 분사구(121)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다
한편, 몸체부(110)의 하부에는 연결부(130)가 형성된다.
연결부(130)는 전체적으로 몸체부(110)보다 직경이 작은 원형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부(110)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연결부(130)는 상부와 하부가 상협하광의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중앙부가 원통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부(130)는 분사노즐(100)의 하부를 이루는 부분으로써 하단부가 워셔액 탱크(미도시)에 일단이 연결된 호스(200)의 타단 내부에 끼워져 호스(200)와 고정된다.
연결부(130)의 내부에는 몸체부(110)에 형성된 유로와 호스(200)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되어 워셔액이 분사구(121)를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워셔액 탱크(미도시), 호스(200), 연결부(130)의 유로, 몸체부(110)의 유로, 헤드부(120)의 유로 및 분사구(121)는 서로 연통되어 워셔액 탱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워셔액이 호스(200), 연결부(130)의 유로, 몸체부(110)의 유로 및 헤드부(120)의 유로를 거쳐 분사구(121)를 통해 전면유리(미도시)에 분사되는 것이다.
한편, 헤드부(120)에는 분사노즐(100)을 장착부(11)에 구속시키기 위한 제1후크부(140) 및 제2후크부(150)가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제1후크부(140)는 헤드부(120)의 하면 전방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후크부(150)는 헤드부(120)의 하면 후방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후크부(140)와 제2후크부(150)는 몸체부(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헤드부(120)의 하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몸체부(110)의 외주면과 각각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후크부(14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1판부(141) 및 제1걸림돌기(142)로 이루어진다.
제1판부(141)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헤드부(120)의 하면 전방측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제1판부(141)의 후면은 몸체부(11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제1누름부(122)를 내측으로 가압할 경우 제1후크부(140)가 상단부를 축으로 몸체부(110)측으로 오무라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제1판부(141)에는 제1걸림돌기(142)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걸림돌기(142)는 제1판부(141)의 전면 하부에서 전방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걸림돌기(142)의 전방측 단부는 걸림턱(11b)의 전방 내측 단부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걸림돌기(142)의 상면은 제1상부경사면(142a)으로 이루어지고, 제1걸림돌기(142)의 하면은 제1하부경사면(142b)으로 이루어진다.
제1상부경사면(142a)은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1하부경사면(142b)은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2후크부(15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2판부(151) 및 제2걸림돌기(152)로 이루어진다.
제2판부(151)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헤드부(120)의 하면 후방측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제2판부(151)의 전면은 몸체부(11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제2누름부(123)를 내측으로 가압할 경우 제2후크부(150)가 상단부를 축으로 몸체부(110)측으로 오무라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제2판부(151)에는 제2걸림돌기(152)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걸림돌기(152)는 제2판부(151)의 후면 하부에서 후방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2걸림돌기(152)의 후방측 단부는 걸림턱(11b)의 후방 내측 단부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걸림돌기(152)의 상면은 제2상부경사면(152a)으로 이루어지고, 제2걸림돌기(152)의 하면은 제2하부경사면(152b)으로 이루어진다.
제2상부경사면(152a)은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2하부경사면(152b)은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분사노즐(100)의 장착을 위해 몸체부(11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장착홀(11a)에 삽입시킬 경우, 제1후크부(140)는 제1하부경사면(142b)이 걸림턱(11b)을 타고 넘어간 후, 제1걸림돌기(142)의 전방측 단부가 걸림턱(11b)을 타고 넘어가게 되고, 이후 제1상부경사면(142a)이 걸림턱(11b)을 타고 넘어가게 되는 형태로 탄성변형하여 장착홀(11a)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제2후크부(150)는 제2하부경사면(152b)이 걸림턱(11b)을 타고 넘어간 후, 제2걸림돌기(152)의 후방측 단부가 걸림턱(11b)을 타고 넘어가게 되고, 이후 제2상부경사면(152a)이 걸림턱(11b)을 타고 넘어가게 되는 형태로 탄성변형하여 장착홀(11a)에 삽입된다.
즉, 제1후크부(140)와 제2후크부(150)는 몸체부(110)측으로 탄성변형하여 장착홀(11a)에 삽입되고, 헤드부(120)의 하면이 장착부(11)의 상면에 지지되면 탄성변형된 제1후크부(140)와 제2후크부(150)가 원상복원되는 것이다.
이때, 걸림턱(11b)은 헤드부(120)의 하면과 제1걸림돌기(142) 사이에 끼워지는 동시에, 헤드부(120)의 하면과 제2걸림돌기(152)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제1걸림돌기(142)와 제2걸림돌기(152)가 걸림턱(11b)의 하면에 걸림으로써 분사노즐(100)은 장착부(11) 내에 구속되는 것이다.
헤드부(120)의 하면에는 제1후크부(140)의 후면과 몸체부(110)의 전면 사이 공간과 연통되는 제1홈(124)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후술할 제1누름부(122)에 의해 제1후크부(140)가 용이하게 오므라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홈(124)의 상부 바닥과 제2홈(125)의 상부 바닥은 헤드부(120)의 하면 보다 높게 위치한다.
또한, 헤드부(120)의 하면에는 제2후크부(150)의 전면과 몸체부(110)의 후면 사이 공간과 연통되는 제2홈(125)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후술할 제2누름부(123)에 의해 제2후크부(150)가 용이하게 오므라지게 할 수 있다.
제1홈(124)과 제2홈(125)은 몸체부(110)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형성된다.
한편, 헤드부(120)의 전방측 단부에는 한 쌍의 제1절개부(122a)가 형성되고, 헤드부(120)의 후방측 단부에는 한 쌍의 제2절개부(123a)가 형성된다.
제1절개부(122a)는 헤드부(120)의 전면 및 하면에 걸쳐서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할 제1누름부(122)에 내측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질 때 그 힘이 후방 하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제2절개부(123a)는 헤드부(120)의 후면 및 하면에 걸쳐서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할 제2누름부(123)에 내측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질 때 그 힘이 전방 하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유는 제1누름부(122) 및 제2누름부(123)를 내측으로 누를 경우, 제1후크부(140)의 하단부 및 제2후크부(150)의 하단부가 용이하게 오므라지게 하기 위함이다.
제1절개부(122a)는 전방측과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과 좌측과 우측과 후방측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2절개부(123a)는 후방측과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과 좌측과 우측과 전방측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1절개부(122a)는 헤드부(120)의 전면 하부 중앙을 기준으로 전면 하부 좌측과 전면 하부 우측에 각각 한 개씩 평행하게 형성되어 한 쌍을 이루고, 제2절개부(123a)는 헤드부(120)의 후면 하부 중앙을 기준으로 후면 하부 좌측과 후면 하부 우측에 각각 한 개씩 평행하게 형성되어 한 쌍을 이룬다.
한 쌍의 제1절개부(122a)와 한 쌍의 제2절개부(123a)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2절개부(123a)는 분사구(121)의 하부에 위치한다.
한 쌍의 제1절개부(122a)와 한 쌍의 제2절개부(123a)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한 쌍의 제1절개부(122a) 사이 후단 하측에는 제1후크부(140)가 위치하고, 한 쌍의 제2절개부(123a) 사이 전단 하측에는 제2후크부(150)가 위치한다.
한 쌍의 제1절개부(122a)는 그 사이에 형성된 후술할 제1누름부(122)를 눌러 가압할 때, 제1누름부(122)에 가해지는 힘이 제1후크부(140)측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후방 하측으로 가해지도록 하여 제1후크부(140)의 하단부, 즉 제1걸림돌기(142)측이 쉽게 오므라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한 쌍의 제2절개부(123a)는 그 사이에 형성된 후술할 제2누름부(123)를 눌러 가압할 때, 제2누름부(123)에 가해지는 힘이 제2후크부(150)측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전방 하측으로 가해지도록 하여 제2후크부(150)의 하단부, 즉 제2걸림돌기(152)측이 쉽게 오므라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한 쌍의 제1절개부(122a) 사이의 헤드부(120)에는 제1누름부(122)가 형성되고, 한 쌍의 제2절개부(123a) 사이의 헤드부(120)에는 제2누름부(123)가 형성된다.
제1누름부(122)는 내측으로 누르는 힘에 의한 탄성변형을 통해 제1후크부(140)을 후진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제2누름부(123)은 내측으로 누르는 힘에 의한 탄성변형을 통해 제2후크부(150)을 전진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제1누름부(122)는 한 쌍의 제1절개부(122a) 사이의 헤드부(120) 전방 중앙부이고, 제2누름부(123)는 한 쌍의 제2절개부(123a) 사이의 헤드부(120) 후방 중앙부이다.
제1누름부(122)는 한 쌍의 이격된 제1절개부(122a) 사이에 형성되어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눌러짐에 따라 제1후크부(140)와 함께 탄성변형되고, 제2누름부(150)는 한 쌍의 이격된 제2절개부(123a) 사이에 형성되어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눌러짐에 따라 제2후크부(150)와 함께 탄성변형된다.
제1누름부(122)의 하면 후단에는 전술한 제1후크부(140)가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2누름부(123)의 하면 전단에는 전술한 제2후크부(150)가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누름부(122) 및 제2누름부(123)를 각각 내측으로 눌러(몸체부 측으로 눌러) 가압하면 바로 접해 있는 제1후크부(140) 및 제2후크부(150)에 힘을 집중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탄성변형을 통해 제1후크부(140) 및 제2후크부(150)를 오므라지게 할 수 있으므로 카울탑커버(10)를 탈거할 필요없이 카울탑커버(10)의 외측에서 분사노즐(10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카울탑커버 11 : 장착부
11a : 장착홀 11b : 걸림턱
100 : 분사노즐 110 : 몸체부
120 : 헤드부 121 : 분사구
122 : 제1누름부 122a : 제1절개부
123 : 제2누름부 123a : 제2절개부
124 : 제1홈 125 : 제2홈
130 : 연결부 140 : 제1후크부
141 : 제1판부 142 : 제1걸림돌기
142a : 제1상부경사면 142b : 하부경사면
150 : 제2후크부 151 : 제2판부
152 : 제2걸림돌기 152a : 제2상부경사면
152b : 제2하부경사면 200 : 호스

Claims (3)

  1. 차량의 카울탑커버에 설치되는 워셔액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카울탑커버에 형성된 장착부 내에 삽입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의 상단에 지지되는 헤드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호스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분사노즐을 상기 장착부에 구속시키기 위해 상기 헤드부의 하면 전방측과 후방측에 형성되는 제1후크부 및 제2후크부;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절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절개부;를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제1절개부 사이에는 상기 제1후크부를 후진시키는 제1누름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절개부 사이에는 상기 제2후크부를 전진시키는 제2누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누름부와 상기 제2누름부를 내측으로 눌러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후크부와 상기 제2후크부가 오므라져 상기 분사노즐이 상기 장착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액 분사노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부는 상기 제1누름부의 하면 후방측 단부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후크부는 상기 제2누름부의 하면 전방측 단부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워셔액 분사노즐.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1절개부는 상기 헤드부의 전면 및 하면에 걸쳐 절개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헤드부의 후면 및 하면에 걸쳐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액 분사노즐.
KR1020170148168A 2017-11-08 2017-11-08 워셔액 분사노즐 KR102007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168A KR102007205B1 (ko) 2017-11-08 2017-11-08 워셔액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168A KR102007205B1 (ko) 2017-11-08 2017-11-08 워셔액 분사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462A true KR20190052462A (ko) 2019-05-16
KR102007205B1 KR102007205B1 (ko) 2019-08-05

Family

ID=6667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168A KR102007205B1 (ko) 2017-11-08 2017-11-08 워셔액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321A1 (ko) 2019-05-03 2020-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627A (ko) 2004-11-18 2006-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워셔노즐
JP2010151179A (ja) * 2008-12-24 2010-07-08 Daiwa Kasei Kogyo Kk 車両用クッションクリップ
KR101108493B1 (ko) * 2007-10-17 2012-01-31 아 레이몽 에 씨에 에스쎄에스 유리판 습윤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627A (ko) 2004-11-18 2006-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워셔노즐
KR101108493B1 (ko) * 2007-10-17 2012-01-31 아 레이몽 에 씨에 에스쎄에스 유리판 습윤화 장치
JP2010151179A (ja) * 2008-12-24 2010-07-08 Daiwa Kasei Kogyo Kk 車両用クッションクリ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321A1 (ko) 2019-05-03 2020-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205B1 (ko) 201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3335C (zh) 前照灯清洁器
JP4641180B2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
US11479212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of the flat blade type
KR20140004626A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JP2008094242A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における取付構造
KR20190052462A (ko) 워셔액 분사노즐
KR20160096554A (ko) 차량의 윈도우 와이퍼용 노즐
CN106347315A (zh) 擦拭器系统擦拭器臂的清洁装置、擦拭器臂和擦拭器系统
JP4598034B2 (ja) ウォッシャノズルの取付構造
JP6441156B2 (ja) ワイパ装置
JP2008155662A (ja) ウォッシャノズル取付構造
US11932208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of the flat blade type
KR20100015107A (ko) 워셔액호스 연결용 커넥터
KR20090059410A (ko) 헤드램프 세척장치
JP4988024B2 (ja) ウォッシャノズル取付構造
KR102310968B1 (ko) 와이퍼 암 선단부에 설치되는 워셔액 분사 노즐 장치
JP4648200B2 (ja) ウォッシャノズル取付構造
US9908512B2 (en) Vehicle and a flush mount washer assembly
JP2006264514A (ja) ウオッシャノズル
JP6313655B2 (ja) ノズル付ワイパアーム及び車両用ワイパ装置
JP6104086B2 (ja) ウォッシャノズル
JP2016097969A (ja) 自動車の窓ガラスを払拭するシステムのワイパーアーム用の洗浄液を側方に噴出するための装置
KR100892274B1 (ko) 워셔노즐 조립구조
JP6096032B2 (ja) 車輌用洗浄装置
US20220118949A1 (en) Vehicle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