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364A -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364A
KR20190051364A KR1020170146909A KR20170146909A KR20190051364A KR 20190051364 A KR20190051364 A KR 20190051364A KR 1020170146909 A KR1020170146909 A KR 1020170146909A KR 20170146909 A KR20170146909 A KR 20170146909A KR 20190051364 A KR20190051364 A KR 20190051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cancer
gene
expression
leu
metastatic br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재
안유정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6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1364A/ko
Publication of KR20190051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15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breas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0596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G01N2333/70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CD97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조성물, 전이성 유방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전이성 유방암의 진단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신규한 바이오마커로 CD97을 도출하였고, 그 유효성 및 CD97에 의해 조절되는 상피간엽이행 및 혈관신생 유도에 대한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모두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마커는 전이성 유방암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Biomarker for diagnosis of metastatic breast cancer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CD97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조성물, 전이성 유방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유방암이란 유방의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말한다. 유방암의 원인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지만, 여성 호르몬, 가족력, 과거력, 출산력, 식생활 습관 등의 다양한 인자들이 거론되고 있다. 유방암의 5년 생존율은, 100%인 0기 암에 비해 4기일 경우 20% 미만으로 알려져 있다. 저출산, 짧은 수유기간, 이른 초경, 늦은 폐경 등 생리적으로 왕성한 신체적 변화를 겪는 시기의 여성들에서는 여성호르몬의 자극을 받는 횟수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유선조직의 민감도 증가, 식생활의 서구화, 생활환경의 오염 등의 이유로 최근 유방암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방암의 발생빈도 및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의 증가는 현재의 서구화 실태로 보아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질성을 가지는 유방암 세포들은 다양한 바이오마커의 발현양상에 따라 서브타입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약물 치료뿐만 아니라 방사선 치료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서브타입은 에스트로겐수용체 (ER), 프로게스테론수용체 (PR) 및 인간상피성장인자 수용체(HER2)의 발현 유무에 따라 나누어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3가지의 호르몬 수용체를 가진 유형(ER+,PR+,HER2+)을 내강형(luminal type)이라고 하며 그 수용체를 타겟으로 하는 약물치료가 효과적으로 진행되어지고 있지만, 3가지 수용체에 대해 음성을 보인 조직 (ER-,PR-,HER2-) 즉, 기저형 (basal type) 유방암 조직은 약물 치료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강형과 비교하였을 때 침투능이 높고 전이가 잘 일어남으로써 좋지 않은 예후를 보여주고 있다.
초기 유방암의 경우 5년 생존 예후가 일반적으로 60%를 넘지만, 진전된 유방암의 경우 이 수치는 40-60%로 떨어진다. 전이성 유방암의 경우 5년 생존율은 일반적으로 15% 내외에 불과하다. 유방암에 있어서 가장 흔한 원격 전이 부위는 폐, 간, 뼈, 림프절, 피부 및 중추신경계(뇌)를 포함한다. 일단 전이성 유방암으로 진단되면, 환자들은 평균 18 내지 24 개월 정도 살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전이성 유방암의 치료는 거의 불가능하며, 이 질환에 대한 치료 방식은 본질적으로 통증을 완화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전이성 유방암의 진단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고,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한국공개특허 10-2017-0097370 등),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본 발명자들은 악성화 유방암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유전자 마커를 발굴하기 위해 연구노력한 결과, 전이성 유방암에서 CD97(Cluster of differentiation 97)이 특이적으로 높게 발현하고, CD97이 상피간엽이행과 혈관신생 유도의 조절을 통한 침윤능 및 전이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하였는바,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CD97(Cluster of differentiation 97)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전이성 유방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CD97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또는 전이성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CD97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CD97 유전자의 mRNA 또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센스 및 안티센스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자 유래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CD97 유전자의 mRNA 또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mRNA의 발현수준은 나노스트링 엔카운터 분석(NanoString nCounter analysis), 중합효소연쇄반응(PCR),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RNase 보호 분석법(RNase protection assay; RPA),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및 노던 블롯팅(northern blott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단백질 발현수준은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ting), 방사선면역분석법(radioimmunoassay; RIA),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효소면역분석법(ELISA), 면역침강법(immunoprecipitation), 유세포분석법(flow cytometry), 면역형광염색법(immunofluorescence), 오우크테로니(ouchterlon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및 단백질 칩(protein chi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D97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전이성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억제제는 siRNA(small interfering RNA), shRNA(short hairpin RNA), miRNA(micro RNA), 리보자임(ribozyme), DNAzyme, PNA(peptide nucleic acids),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펩타이드, 항체, 및 압타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유방암 세포의 이동(migration) 및 침습(invasion)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VEGFA, 안지오포이에틴2(Angiopoietin2) 또는 FGF2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전이성 유방암의 진단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신규한 바이오마커로 CD97을 도출하였고, 그 유효성 및 CD97에 의해 조절되는 상피간엽이행 및 혈관신생 유도에 대한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모두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마커는 전이성 유방암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a는, 유방암 유형별 CD97의 발현량을 GOBO database system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유방암 환자 조직을 등급별로 나눈 후, 등급별 CD97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c는, 다양한 유방암 세포에서의 CD97 발현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CD97 발현에 따른 전이능 조절을 확인하기 위하여 MDAMB-231 세포를 폐로 전이시킨 LM1 세포에 CD97 유전자를 억제시킨 cell line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상기 도 2a에 의해 제조된 cell line을 fatpad에 주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상기 도 2b의 과정을 실시하여 원발종양과 전이가 일어난 폐 조직을 얻은 후, 암세포가 폐로의 기관 전이능력을 foci 개수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d는, 상기 도 2b의 과정을 실시하여 원발종양과 전이가 일어난 폐 조직을 얻은 후, 암세포가 폐로의 기관 전이능력을 H&E 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e는, 상기 도 2b의 과정을 통해 얻은 원발종양 조직에서 상피간엽이행과 신생혈관유도의 표지인자 및 조절인자를 Primary tumor 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기저형 유방암 세포인 MDAMB-231과 Hs578T에 siRNA를 사용하여 CD97을 억제한 후, boyden chamber assay을 통해 침투능과 이동능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기저형 유방암 세포인 MDAMB-231과 Hs578T에 siRNA를 사용하여 CD97을 억제한 후, Western blot을 통해 EMT 표지인자 및 조절인자의 발현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내강형 유방암 세포인 MCF7에 CD97을 과발현 시킨 후, boyden chamber assay을 통해 침투능과 이동능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d는, 내강형 유방암 세포인 MCF7에 CD97을 과발현 시킨 후, Western blot을 통해 EMT 표지인자 및 조절인자의 발현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CD97 발현을 억제시킨 MDAMB-231 세포와 HUVEC 세포를 함께 배양한 후 tube formation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CD97을 과발현시킨 내강형 MCF7 세포와 HUVEC 세포를 함께 배양한 후 tube formation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CD97 발현을 억제시킨 MDAMB-231 세포에서 PCR을 통해 신생혈관생성을 유도한다고 알려진 인자인 VEGFA, Angiopoietin2, FGF2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d는, CD97을 과발현시킨 내강형 MCF7 세포에서 PCR을 통해 신생혈관생성을 유도한다고 알려진 인자인 VEGFA, Angiopoietin2, FGF2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기저형인 MDAMB-231 세포에 CD97 발현을 억제시키고, Western blot을 통해 암세포 악성화를 유도하는 인자들을 스크리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기저형인 MDAMB-231 세포에 CD97 발현을 억제시키고, PCR을 통하여 HIF1a mRNA 수준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c는, CD97 발현을 억제시킨 MDAMB-231 세포를 주입한 마우스에서 얻은 primary tumor 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IHC) 실험을 통하여 Src의 활성 및 HIF1a의 발현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d는, 내강형인 MCF7 세포에 CD97을 과발현 시키고, Western blot을 통해 암세포 악성화를 유도하는 인자들을 스크리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전이성 유방암의 진단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CD97의 신규 용도를 규명하였는바,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CD97(Cluster of differentiation 97)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CD97(Cluster of differentiation 97) 유전자의 mRNA 또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D97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염기서열의 상동체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과 각각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D97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서열과 실질적인 동일성 (substantial identity)을 나타내는 서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의 실질적인 동일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서열과 임의의 다른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얼라인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라인된 서열을 분석한 경우에, 최소 80%의 상동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91%, 92%, 93%, 94%, 95%의 상동성, 가장 바람직하게는 96%, 97%, 98%, 99%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서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질병인 "전이성 유방암"은 최소한 하나의 원발성 유방 종양에서 유래된 변형된, 즉 암성 세포가 그 원발성 종양에서 분리되어 원발성 종양과 떨어진 위치(이하 "원격 부위"라 한다)에서 암으로 계속 성장하는 질병을 말한다. 상기 원격 부위는 예를 들면 원발성 종양이 위치된 동일한 유방(동측 유방; ipsilateral breast) 또는 다른 유방(반대측 유방; contralateral breast) 내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원격 부위는 하나 이상의 림프절 내일 수 있으며, 이들은 이동성이거나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원발성 종양에 대해 동측이거나 반대측일 수 있으며, 쇄골위이거나 겨드랑이 등에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진단(diagnosis)"이란 넓은 의미로는 환자의 병의 실태를 모든 면에 걸쳐서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판단의 내용은 병명, 병인, 병형, 경중, 병상의 상세한 양태, 및 합병증의 유무 등이다. 본 발명에서 진단은 전이성 유방암의 발병 여부 및 진행단계 수준 등을 판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mRNA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센스 및 안티센스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라이머"란 DNA 합성의 기시점이 되는 짧은 유전자 서열로써, 진단, DNA 시퀀싱 등에 이용할 목적으로 합성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 상기 프라이머들은 통상적으로 15 내지 30 염기쌍의 길이로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공지된 방법으로 메틸화, 캡화 등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로브"란 효소 화학적인 분리정제 또는 합성과정을 거쳐 제작된 수 염기 내지 수백 염기길이의 mRNA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핵산을 의미한다. 방사성 동위원소나 효소 등을 표지하여 mRNA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공지된 방법으로 디자인하고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체"는 면역학적으로 특정 항원과 반응성을 갖는 면역글로불린 분자를 포함하며, 단클론(monoclonal) 항체 및 다클론(polyclonal) 항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항체는 키메라성 항체(예를 들면, 인간화 뮤린 항체) 및 이종결합항체(예를 들면, 양특이성 항체)와 같은 유전공학에 의해 생산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측용 키트는 분석 방법에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성분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로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키트는 PCR을 수행하기 위해,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로부터 유래된 게놈 DNA, 본 발명의 마커 유전자에 대해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 적당량의 DNA 중합 효소, dNTP 혼합물, PCR 완충용액 및 물을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다. 상기 PCR 완충용액은 KCl, Tris-HCl 및 MgCl2를 함유할 수 있다. 이외에 PCR 산물의 증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전기영동 수행에 필요한 구성 성분들이 본 발명의 키트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RT-PCR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다. RT-PCR 키트는 마커 유전자에 대한 특이적인 각각의 프라이머 쌍 외에도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 데옥시뉴클레오티드(dNTPs), Taq-폴리머레이즈 및 역전사 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RNase 억제제, DEPC-수(DEPC-water),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량 대조군으로 사용되는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DNA 칩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다. DNA 칩 키트는,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가 프로브로 부착되어 있는 기판을 포함하고, 기판은 정량구조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본 발명의 마커 유전자가 고정화되어 있는 기판을 갖는 마이크로어레이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ELISA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일 수 있다. ELISA 키트는 마커 단백질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한다. 상기 ELISA 키트는 "항원-항체 복합체"를 형성한 항체를 검출할 수 있는 시약, 예를 들면 표지된 2차 항체, 발색단(chromopores), 효소, 및 그의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량 대조군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원-항체 복합체"란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과 이에 특이적인 항체의 결합물을 의미한다. 항원-항체 복합체의 형성량은 검출 라벨(detection label)의 시그널의 크기를 통해서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 라벨은 효소, 형광물, 리간드, 발광물, 미세입자(microparticle), 레독스 분자 및 방사선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피검자 유래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CD97 유전자의 mRNA 또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전이성 유방암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은 진단을 위한 예비적 단계로써 전이성 유방암의 진단을 위하여 필요한 객관적인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의사의 임상학적 판단 또는 소견은 제외된다.
상기 피검체 유래의 생물학적 시료는 조직, 세포, 전혈, 혈액, 타액, 객담, 뇌척수액 및 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mRNA의 발현수준은 나노스트링 엔카운터 분석(NanoString nCounter analysis), 중합효소연쇄반응(PCR),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RNase 보호 분석법(RNase protection assay; RPA),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및 노던 블롯팅(northern blott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을 통해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백질 발현수준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ting), 방사선면역분석법(radioimmunoassay; RIA),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효소면역분석법(ELISA), 면역침강법(immunoprecipitation), 유세포분석법(flow cytometry), 면역형광염색법(immunofluorescence), 오우크테로니(ouchterlon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및 단백질 칩(protein chi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을 통해 측정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구체적인 실시예을 통해 전이성 유방암을 진단 및 치료하기 위한 신규한 표적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CD97의 용도를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방암 유형별 CD97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기저형 조직에서 CD97의 발현 수준이 유의하게 높으며, 유방암이 악성화 될수록 CD97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이능이 좋은 유방암세포인 MDA-MB231 세포를 폐로 전이시킨 LM1 세포를 대조군인 control과 비교군인 CD97의 발현을 억제시킨 cell line을 만들어 쥐의 fat pad에 주입 후 30일 뒤에 해부하여 원발종양과 전이가 일어난 폐 조직을 얻고, foci 개수 확인, H&E 염색을 통해 폐로의 기관 전이능력을 확인한 결과, CD97 발현을 억제한 군에서 전이가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CD97과 상피간엽이행(EMT) 조절과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CD97 발현을 억제한 군에서 상피간엽이행 표지인자인 Vimentin과 Fibronectin, 상피간엽이행 조절인자인 Zeb1이 감소되며, 반대로 CD97을 과발현한 군에서는 침투능과 이동능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EMT 표지인자(Vimentin, Fibronectin) 및 조절인자(Zeb1)의 발현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CD97과 혈관신생 유도 조절과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CD97 발현을 억제한 군에서 신생혈관생성을 유도한다고 알려진 인자들 중 VEGFA, Angiopoietin2, FGF2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며, 반대로 CD97을 과발현한 군에서는 VEGFA, Angiopoietin2, FGF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CD97이 어떤 하위 신호를 조절하여 상피간엽이행과 신생혈관생성을 유도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암세포 악성화를 유도하는 인자들을 스크리닝 해 본 결과, Src의 활성 및 HIF1a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상피간엽이행과 신생혈관생성을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들을 통해 CD97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이 전이성 유방암의 진단을 위한 분자 마커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D97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은 혈관신생 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전이성 유방암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CD97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CD97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혈관신생(angiogenesis)"이란 기존 혈관의 내피세포가 세포외 기질을 분해하고, 이동, 분열, 및 분화하여 새로운 모세혈관을 형성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는 림프관신생(lymphangiogenesis)과는 구별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전이성 유방암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전이성 유방암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는 siRNA(small interfering RNA), shRNA(short hairpin RNA), miRNA(micro RNA), 리보자임(ribozyme), DNAzyme, PNA(peptide nucleic acids),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펩타이드, 항체, 및 압타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CD97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 또는 진단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진단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 당 0.001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CD97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면 혈관신생이 억제되므로, 미지의 물질들 중에서 CD97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을 선택함으로써 혈관신생 억제제를 선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in vitro 상에서 세포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세포의 CD97의 발현 또는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후보물질 비처리군에 비해 CD97의 발현 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혈관신생 억제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CD97의 발현 또는 활성이 억제되면 혈관신생이 억제되고, 이를 통해 전이성 유방암의 침투능 및 이동능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미지의 물질들 중에서 CD97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을 선택함으로써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를 선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in vitro 상에서 세포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세포의 CD97의 발현 또는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후보물질 비처리군에 비해 CD97의 발현 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세포는 유방 조직 유래 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후보물질은 화합물, 미생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 천연물 추출물, 핵산, 및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방암 유형별 CD97 발현 확인
먼저, GOBO database system을 통해 유방암 유형별 CD97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방암 환자 조직에서 nomal-like, 내강형, HER2 양성형 조직에 비해 기저형 조직에서 CD97의 발현 수준이 유의하게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유방암 환자 조직을 등급별로 나눈 후, 등급별 CD97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방암이 악성화 될수록 CD97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다양한 유방암 세포에 CD97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강형의 세포나 HER2 양성형의 세포들 보다 기저형의 세포들에서 CD97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높아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CD97 발현 억제에 따른 유방암 세포의 전이능 억제 확인(in vivo )
CD97 발현에 따른 전이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동물실험을 진행하였다.
MDAMB-231 세포를 폐로 전이시킨 LM1 세포에 shRNA를 사용하여 CD97 유전자를 억제시킨 cell line 만든 후(도 2a), 이를 쥐의 fat pad 에 주입하였다(도 2b). 이때, 사용한 shRNA의 구체적인 서열정보는 하기와 같다:
shCD97 : CCGGCGATCCTTATGGCTCATTATGCTCGAGCATAATGAGCCATAAGGATCGTTTTTG (서열번호 3)
30일 후 해부하여 원발종양과 전이가 일어난 폐 조직을 얻은 후, 암세포가 폐로의 기관 전이능력을 foci 개수 및 헤마토실린과 에오신 염색법(Haematoxylin and Eosin staining)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c 및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할 때, CD97 발현을 억제한 군에서 전이가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Primary tumor 염색을 통하여 전이를 일으킨다고 알려진 대표적인 기작 중에 상피간엽이행과 신생혈관유도의 표지인자 및 조절인자를 확인해본 결과, 도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할 때, CD97 발현을 억제한 군에서 상피간엽이행과 신생혈관유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CD97 발현 조절에 따른 상피간엽이행 ( EMT ) 조절 효과 확인
CD97 발현 조절에 따라 상피간엽이행이 조절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기저형 세포주인 MDAMB-231과 Hs578T 세포를 이용하였다.
먼저, MDAMB-231과 Hs578t에 siRNA를 사용하여 CD97 발현을 억제한 후, boyden chamber assay을 통해 침투능과 이동능 변화를 확인한 결과,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할 때, CD97 발현을 억제한 군에서 침투능과 이동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사용한 siRNA의 구체적인 서열정보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서열정보
si-CD97#1 sense 5' GAUCCUUAUGGCUCAUUAUUU 3'(서열번호 4)
anti sense 5' AUAAUGAGCCAUAAGGAUCUU 3' (서열번호 5)
si-CD97#2 sense 5' CGUCUUUCUCGCAUUCUGUUU 3' (서열번호 6)
anti sense 5' ACAGAAUGCGAGAAAGACGUU 3' (서열번호 7)
si-CD97#3 sense 5' CAAACCUUGAAGAUAUCAUUU 3' (서열번호 8)
anti sense 5' AUGAUAUCUUCAAGGUUUGUU 3' (서열번호 9)
다음으로, Western blot을 통해서 상피간엽이행(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표지인자 및 조절인자의 발현변화를 확인한 결과, 도 3b에 나타내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할 때, CD97 발현을 억제한 군에서 상피간엽이행 표지인자인 Vimentin과 Fibronectin, 상피간엽이행 조절인자인 Zeb1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기저형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CD97의 발현이 낮은 MCF7 세포에 CD97을 과발현시킨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침투능과 이동능 변화 및 EMT 표지인자/조절인자의 발현변화를 확인한 결과, 도 3c 및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할 때, CD97을 과발현한 군에서 침투능과 이동능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EMT 표지인자(Vimentin, Fibronectin) 및 조절인자(Zeb1)의 발현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CD97 발현 조절에 따른 신생혈관형성 유도 조절 효과 확인
CD97 발현 조절에 따라 혈관신생의 유도가 조절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제대 정맥의 내피로부터 유래된 세포인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 cell)을 이용하였다.
먼저, CD97 발현을 억제시킨 MDAMB-231 세포와 HUVEC 세포를 함께 배양한 후, tube formation 형성을 확인한 결과,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MDAMB-231 세포와 함께 배양한 HUVEC 세포)과 비교할 때, CD97 발현을 억제시킨 MDAMB-231 세포와 함께 배양한 HUVEC 세포의 경우 tube formation 능력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CD97을 과발현시킨 내강형 MCF7 세포와 HUVEC 세포를 함께 배양한 후, tube formation 형성을 확인한 결과,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MCF7 세포와 함께 배양한 HUVEC 세포)과 비교할 때, CD97을 과발현시킨 MCF7 세포와 함께 배양한 HUVEC 세포의 경우 tube formation 능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유방암 세포(MDAMB-231, MCF7)에서 CD97이 어떠한 조절인자들을 통해 HUVEC 세포의 tube formation을 조절 하는지 PCR을 통해 확인해 본 결과, 도 4c 및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형인 MDAMB-231 세포에 CD97 발현을 억제시키는 경우에는 신생혈관생성을 유도한다고 알려진 인자들 중 VEGFA, Angiopoietin2, FGF2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도 4c). 반대로 내강형인 MCF7 세포에 CD97을 과발현시키는 경우에는 VEGFA, Angiopoietin2, FGF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CD97의 상피간엽이행 및 혈관신생 조절에 대한 하위 신호전달 기전 확인
CD97이 어떤 하위 신호를 조절하여 상피간엽이행과 신생혈관생성을 유도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기저형인 MDAMB-231 세포에 CD97 발현을 억제시키고, Western blot을 통해 암세포 악성화를 유도하는 인자들을 스크리닝한 결과,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할 때, CD97 발현을 억제시킨 경우 Src의 활성 및 HIF1a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기저형인 MDAMB-231 세포에 CD97 발현을 억제시키고, PCR을 통하여 HIF1a mRNA 수준을 확인한 결과,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할 때, CD97 발현을 억제시킨 경우 HIF1a mRNA 수준이 거의 변화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오차범위 안에 들어감). 따라서 CD97은 HIF1a 의 mRNA 발현이 아닌, 단백질 수준에서 stability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CD97 발현을 억제시킨 MDAMB-231 세포를 주입한 마우스에서 얻은 primary tumor 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IHC) 실험을 통하여 Src의 활성 및 HIF1a의 발현을 비교한 결과,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CD97을 억제시킨 세포를 주입해준 마우스에서 src 활성 및 HIF1a의 발현이 감소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기저형과 비교할 때, 내강형인 MCF7 세포에 CD97을 과발현 시키고, 상기와 동일하게 Western blot을 실시한 결과, 도 5d에 나타내 바와 같이, CD97을 과발현 시키는 경우 Src의 활성 및 HIF1a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120> Biomarker for diagnosis of metastatic breast cancer and uses thereof <130> PD17-109 <160> 9 <170> KoPatentIn 3.0 <210> 1 <211> 3500 <212> DNA <213> CD97 <400> 1 caccttcccc tcagagcagc cagccccaac acagaggcca aagggttcgt cagagccaca 60 tggtggaaac tctagcagag ggtttttgaa agcaggttgc acttcattct tactgagtgc 120 acgtgtgtgt gtgtgtgtgt gtgtgtgtgt gtgtgtgtgt gtatgcagcg cccctgggtc 180 tgtgttttta ttgcactttc ctgctggctt ccagctgcac cgccagttcc ggggagggcc 240 ctgggccagc ggctgtccgc cccccctcct tcataaagtc ctggcctcgg gacagcctgc 300 acagctgcct agcctgtgga gacgggacag ccctgtccca ctcactcttt cccctgccgc 360 tcctgccggc agctccaacc atgggaggcc gcgtctttct cgcattctgt gtctggctga 420 ctctgccggg agctgaaacc caggactcca ggggctgtgc ccggtggtgc cctcagaact 480 cctcgtgtgt caatgccacc gcctgtcgct gcaatccagg gttcagctct ttttctgaga 540 tcatcaccac cccgacggag acttgtgacg acatcaacga gtgtgcaaca ccgtcgaaag 600 tgtcatgcgg aaaattctcg gactgctgga acacagaggg gagctacgac tgcgtgtgca 660 gcccgggata tgagcctgtt tctggggcaa aaacattcaa gaatgagagc gagaacacct 720 gtcaagatgt ggacgaatgt cagcagaacc caaggctctg taaaagctac ggcacctgcg 780 tcaacaccct tggcagctat acctgccagt gcctgcctgg cttcaagttc atacctgagg 840 atccgaaggt ctgcacagat gtgaatgaat gcacctccgg acaaaacccg tgccacagct 900 ccacccactg cctcaacaac gtgggcagct atcagtgccg ctgccgcccg ggctggcaac 960 cgattccggg gtcccccaat ggcccaaaca ataccgtctg tgaagatgtg gacgagtgca 1020 gctccgggca gcatcagtgt gacagctcca ccgtctgctt caacaccgtg ggttcataca 1080 gctgccgctg ccgcccaggc tggaagccca gacacggaat cccgaataac caaaaggaca 1140 ctgtctgtga agatatgact ttctccacct ggaccccgcc ccctggagtc cacagccaga 1200 cgctttcccg attcttcgac aaagtccagg acctgggcag agactccaag acaagctcag 1260 ccgaggtcac catccagaat gtcatcaaat tggtggatga actgatggaa gctcctggag 1320 acgtagaggc cctggcgcca cctgtccggc acctcatagc cacccagctg ctctcaaacc 1380 ttgaagatat catgaggatc ctggccaaga gcctgcctaa aggccccttc acctacattt 1440 ccccttcgaa cacagagctg accctgatga tccaggagcg gggggacaag aacgtcacta 1500 tgggtcagag cagcgcacgc atgaagctga attgggctgt ggcagctgga gccgaggatc 1560 caggccccgc cgtggcgggc atcctctcca tccagaacat gacgacattg ctggccaatg 1620 cctccttgaa cctgcattcc aagaagcaag ccgaactgga ggagatatat gaaagcagca 1680 tccgtggtgt ccaactcaga cgcctctctg ccgtcaactc catctttctg agccacaaca 1740 acaccaagga actcaactcc cccatccttt tcgccttctc ccaccttgag tcctccgatg 1800 gggaggcggg aagagaccct cctgccaagg acgtgatgcc tgggccacgg caggagctgc 1860 tctgtgcctt ctggaagagt gacagcgaca ggggagggca ctgggccacc gagggctgcc 1920 aggtgctggg cagcaagaac ggcagcacca cctgccaatg cagccacctg agcagctttg 1980 cgatccttat ggctcattat gacgtggagg actggaagct gaccctgatc accagggtgg 2040 gactggcgct gtcactcttc tgcctgctgc tgtgcatcct cactttcctg ctggtgcggc 2100 ccatccaggg ctcgcgcacc accatacacc tgcacctctg catctgcctc ttcgtgggct 2160 ccaccatctt cctggccggc atcgagaacg aaggcggcca ggtggggctg cgctgccgcc 2220 tggtggccgg gctgctgcac tactgtttcc tggccgcctt ctgctggatg agcctcgaag 2280 gcctggagct ctactttctt gtggtgcgcg tgttccaagg ccagggcctg agtacgcgct 2340 ggctctgcct gatcggctat ggcgtgcccc tgctcatcgt gggcgtctcg gctgccatct 2400 acagcaaggg ctacggccgc cccagatact gctggttgga ctttgagcag ggcttcctct 2460 ggagcttctt gggacctgtg accttcatca ttttgtgcaa tgctgtcatt ttcgtgacta 2520 ccgtctggaa gctcactcag aagttttctg aaatcaatcc agacatgaag aaattaaaga 2580 aggcgagggc gctgaccatc acggccatcg cgcagctctt cctgttgggc tgcacctggg 2640 tctttggcct gttcatcttc gacgatcgga gcttggtgct gacctatgtg tttaccatcc 2700 tcaactgcct gcagggcgcc ttcctctacc tgctgcactg cctgctcaac aagaaggttc 2760 gggaagaata ccggaagtgg gcctgcctag ttgctggggg gagcaagtac tcagaattca 2820 cctccaccac gtctggcact ggccacaatc agacccgggc cctcagggca tcagagtccg 2880 gcatatgaag gcgcatggtt ctggacggcc cagcagctcc tgtggccaca gcagctttgt 2940 acacgaagac catccatcct cccttcgtcc accactctac tccctccacc ctccctccct 3000 gatcccgtgt gccaccagga gggagtggca gctatagtct ggcaccaaag tccaggacac 3060 ccagtggggt ggagtcggag ccactggtcc tgctgctggc tgcctctctg ctccaccttg 3120 tgacccaggg tggggacagg ggctggccca gggctgcaat gcagcatgtt gccctggcac 3180 ctgtggccag tactcgggac agactaaggg cgcttgtccc atcctggact tttcctctca 3240 tgtctttgct gcagaactga agagactagg cgctggggct cagcttccct cttaagctaa 3300 gactgatgtc agaggcccca tggcgaggcc ccttggggcc actgcctgag gctcacggta 3360 cagaggcctg ccctgcctgg ccgggcagga ggttctcact gttgtgaagg ttgtagacgt 3420 tgtgtaatgt gtttttatct gttaaaattt ttcagtgttg acacttaaaa ttaaacacat 3480 gcatacagaa gaaaaaaaaa 3500 <210> 2 <211> 835 <212> PRT <213> CD97 <400> 2 Met Gly Gly Arg Val Phe Leu Ala Phe Cys Val Trp Leu Thr Leu Pro 1 5 10 15 Gly Ala Glu Thr Gln Asp Ser Arg Gly Cys Ala Arg Trp Cys Pro Gln 20 25 30 Asn Ser Ser Cys Val Asn Ala Thr Ala Cys Arg Cys Asn Pro Gly Phe 35 40 45 Ser Ser Phe Ser Glu Ile Ile Thr Thr Pro Thr Glu Thr Cys Asp Asp 50 55 60 Ile Asn Glu Cys Ala Thr Pro Ser Lys Val Ser Cys Gly Lys Phe Ser 65 70 75 80 Asp Cys Trp Asn Thr Glu Gly Ser Tyr Asp Cys Val Cys Ser Pro Gly 85 90 95 Tyr Glu Pro Val Ser Gly Ala Lys Thr Phe Lys Asn Glu Ser Glu Asn 100 105 110 Thr Cys Gln Asp Val Asp Glu Cys Gln Gln Asn Pro Arg Leu Cys Lys 115 120 125 Ser Tyr Gly Thr Cys Val Asn Thr Leu Gly Ser Tyr Thr Cys Gln Cys 130 135 140 Leu Pro Gly Phe Lys Phe Ile Pro Glu Asp Pro Lys Val Cys Thr Asp 145 150 155 160 Val Asn Glu Cys Thr Ser Gly Gln Asn Pro Cys His Ser Ser Thr His 165 170 175 Cys Leu Asn Asn Val Gly Ser Tyr Gln Cys Arg Cys Arg Pro Gly Trp 180 185 190 Gln Pro Ile Pro Gly Ser Pro Asn Gly Pro Asn Asn Thr Val Cys Glu 195 200 205 Asp Val Asp Glu Cys Ser Ser Gly Gln His Gln Cys Asp Ser Ser Thr 210 215 220 Val Cys Phe Asn Thr Val Gly Ser Tyr Ser Cys Arg Cys Arg Pro Gly 225 230 235 240 Trp Lys Pro Arg His Gly Ile Pro Asn Asn Gln Lys Asp Thr Val Cys 245 250 255 Glu Asp Met Thr Phe Ser Thr Trp Thr Pro Pro Pro Gly Val His Ser 260 265 270 Gln Thr Leu Ser Arg Phe Phe Asp Lys Val Gln Asp Leu Gly Arg Asp 275 280 285 Ser Lys Thr Ser Ser Ala Glu Val Thr Ile Gln Asn Val Ile Lys Leu 290 295 300 Val Asp Glu Leu Met Glu Ala Pro Gly Asp Val Glu Ala Leu Ala Pro 305 310 315 320 Pro Val Arg His Leu Ile Ala Thr Gln Leu Leu Ser Asn Leu Glu Asp 325 330 335 Ile Met Arg Ile Leu Ala Lys Ser Leu Pro Lys Gly Pro Phe Thr Tyr 340 345 350 Ile Ser Pro Ser Asn Thr Glu Leu Thr Leu Met Ile Gln Glu Arg Gly 355 360 365 Asp Lys Asn Val Thr Met Gly Gln Ser Ser Ala Arg Met Lys Leu Asn 370 375 380 Trp Ala Val Ala Ala Gly Ala Glu Asp Pro Gly Pro Ala Val Ala Gly 385 390 395 400 Ile Leu Ser Ile Gln Asn Met Thr Thr Leu Leu Ala Asn Ala Ser Leu 405 410 415 Asn Leu His Ser Lys Lys Gln Ala Glu Leu Glu Glu Ile Tyr Glu Ser 420 425 430 Ser Ile Arg Gly Val Gln Leu Arg Arg Leu Ser Ala Val Asn Ser Ile 435 440 445 Phe Leu Ser His Asn Asn Thr Lys Glu Leu Asn Ser Pro Ile Leu Phe 450 455 460 Ala Phe Ser His Leu Glu Ser Ser Asp Gly Glu Ala Gly Arg Asp Pro 465 470 475 480 Pro Ala Lys Asp Val Met Pro Gly Pro Arg Gln Glu Leu Leu Cys Ala 485 490 495 Phe Trp Lys Ser Asp Ser Asp Arg Gly Gly His Trp Ala Thr Glu Gly 500 505 510 Cys Gln Val Leu Gly Ser Lys Asn Gly Ser Thr Thr Cys Gln Cys Ser 515 520 525 His Leu Ser Ser Phe Ala Ile Leu Met Ala His Tyr Asp Val Glu Asp 530 535 540 Trp Lys Leu Thr Leu Ile Thr Arg Val Gly Leu Ala Leu Ser Leu Phe 545 550 555 560 Cys Leu Leu Leu Cys Ile Leu Thr Phe Leu Leu Val Arg Pro Ile Gln 565 570 575 Gly Ser Arg Thr Thr Ile His Leu His Leu Cys Ile Cys Leu Phe Val 580 585 590 Gly Ser Thr Ile Phe Leu Ala Gly Ile Glu Asn Glu Gly Gly Gln Val 595 600 605 Gly Leu Arg Cys Arg Leu Val Ala Gly Leu Leu His Tyr Cys Phe Leu 610 615 620 Ala Ala Phe Cys Trp Met Ser Leu Glu Gly Leu Glu Leu Tyr Phe Leu 625 630 635 640 Val Val Arg Val Phe Gln Gly Gln Gly Leu Ser Thr Arg Trp Leu Cys 645 650 655 Leu Ile Gly Tyr Gly Val Pro Leu Leu Ile Val Gly Val Ser Ala Ala 660 665 670 Ile Tyr Ser Lys Gly Tyr Gly Arg Pro Arg Tyr Cys Trp Leu Asp Phe 675 680 685 Glu Gln Gly Phe Leu Trp Ser Phe Leu Gly Pro Val Thr Phe Ile Ile 690 695 700 Leu Cys Asn Ala Val Ile Phe Val Thr Thr Val Trp Lys Leu Thr Gln 705 710 715 720 Lys Phe Ser Glu Ile Asn Pro Asp Met Lys Lys Leu Lys Lys Ala Arg 725 730 735 Ala Leu Thr Ile Thr Ala Ile Ala Gln Leu Phe Leu Leu Gly Cys Thr 740 745 750 Trp Val Phe Gly Leu Phe Ile Phe Asp Asp Arg Ser Leu Val Leu Thr 755 760 765 Tyr Val Phe Thr Ile Leu Asn Cys Leu Gln Gly Ala Phe Leu Tyr Leu 770 775 780 Leu His Cys Leu Leu Asn Lys Lys Val Arg Glu Glu Tyr Arg Lys Trp 785 790 795 800 Ala Cys Leu Val Ala Gly Gly Ser Lys Tyr Ser Glu Phe Thr Ser Thr 805 810 815 Thr Ser Gly Thr Gly His Asn Gln Thr Arg Ala Leu Arg Ala Ser Glu 820 825 830 Ser Gly Ile 835 <210> 3 <211> 58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hCD97 <400> 3 ccggcgatcc ttatggctca ttatgctcga gcataatgag ccataaggat cgtttttg 58 <210> 4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CD97#1 sense <400> 4 gauccuuaug gcucauuauu u 21 <210> 5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CD97#1 antisense <400> 5 auaaugagcc auaaggaucu u 21 <210> 6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CD97#2 sense <400> 6 cgucuuucuc gcauucuguu u 21 <210> 7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CD97#2 antisense <400> 7 acagaaugcg agaaagacgu u 21 <210> 8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CD97#3 sense <400> 8 caaaccuuga agauaucauu u 21 <210> 9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CD97#3 antisense <400> 9 augauaucuu caagguuugu u 21

Claims (13)

  1. CD97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조성물.
  2. CD97 유전자의 mRNA 또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센스 및 안티센스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2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키트.
  6. 피검자 유래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CD97 유전자의 mRNA 또는 상기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RNA의 발현수준은 나노스트링 엔카운터 분석(NanoString nCounter analysis), 중합효소연쇄반응(PCR),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RNase 보호 분석법(RNase protection assay; RPA),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및 노던 블롯팅(northern blott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을 통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발현수준은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ting), 방사선면역분석법(radioimmunoassay; RIA),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효소면역분석법(ELISA), 면역침강법(immunoprecipitation), 유세포분석법(flow cytometry), 면역형광염색법(immunofluorescence), 오우크테로니(ouchterlon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및 단백질 칩(protein chi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을 통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방법.
  9. CD97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10. CD97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이성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제는 siRNA(small interfering RNA), shRNA(short hairpin RNA), miRNA(micro RNA), 리보자임(ribozyme), DNAzyme, PNA(peptide nucleic acids),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펩타이드, 항체, 및 압타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VEGFA, 안지오포이에틴2(Angiopoietin2) 또는 FGF2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방암 세포의 이동(migration) 및 침습(invasion)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170146909A 2017-11-06 2017-11-06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 KR20190051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909A KR20190051364A (ko) 2017-11-06 2017-11-06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909A KR20190051364A (ko) 2017-11-06 2017-11-06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364A true KR20190051364A (ko) 2019-05-15

Family

ID=66579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909A KR20190051364A (ko) 2017-11-06 2017-11-06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13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189B1 (ko) 2021-04-08 2022-02-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마크로파지 타겟팅용 나노플랫폼 및 전이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87797A (ko) 2021-12-10 2023-06-19 강소인 휴대용 뇌 활성 학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189B1 (ko) 2021-04-08 2022-02-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마크로파지 타겟팅용 나노플랫폼 및 전이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87797A (ko) 2021-12-10 2023-06-19 강소인 휴대용 뇌 활성 학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24491B (zh) 用于癌症转移的诊断和治疗的方法
US20060068411A1 (en) Cancer specific gene MH15
EP2126566B1 (en) Metastasis specific splice variants of mena and uses thereof in diagnosis, prognosis and treatment of tumors
KR102216590B1 (ko)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의 진단을 위한 조성물
CN109709335B (zh) 热休克蛋白hspa4在肿瘤转移预测、预后评估和治疗中的应用
JPWO2007018309A1 (ja) Rbパスウェイ上の分子を指標とする化合物の評価方法及び分子診断方法
KR101875935B1 (ko) Her2 저해제 내성 바이오마커
KR20190051364A (ko) 전이성 유방암 진단용 마커 및 이의 용도
US20020137064A1 (en) Id-1 and Id-2 genes and products as diagnostic and prognostic markers and therapeutic targets for treatment of breast cancer and other types of carcinoma
KR101903838B1 (ko) 유방암 관련 stk32c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2237463B1 (ko) 암 진단 또는 치료 표적으로서 lypd1의 용도
US20230087196A1 (en) Application of circIKBKB Inhibitors and Test Reagents thereof in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Kits for Breast Cancer Bone Metastasis
WO2011129427A1 (ja) 癌の診断剤および治療剤
EP2773961B1 (en) Adam22 for use as a prognostic variable, and target for therapy, of a metastatic breast cancer disease
EP3460476B1 (en) Biomarker composition comprising lrp-1 as active ingredient, for diagnosis of radiation-resistant cancer or prediction of radiation therapy prognosis
KR102028703B1 (ko) 유방암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바이오 마커
US20230288399A1 (en) Method for screening colorectal cancer metastasis inhibitor
KR101926841B1 (ko) Srf-yap 및 yap 시그니쳐를 이용한 줄기세포특성을 보이는 기저양 유방암 및 삼중 음성 유방암 진단 및 치료방법
KR101872624B1 (ko) Alk 표적 치료제에 대한 폐암의 치료 반응성을 예측하는 방법
EP3715475A2 (en) Biomarker composition for diagnosing radiation-resistant cancer or for predicting prognosis of radiation therapy containing pmvk as active ingredient
KR102549771B1 (ko) 대장암 전이 억제제 스크리닝 방법
KR102434324B1 (ko) 전이성 유방암 진단 또는 예후 예측용 마커 및 이의 용도
WO2014017106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RAC Mutan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00022187A (ko) Nono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KR20190086131A (ko) 두경부암의 치료용 또는 예후 판단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