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131A - 두경부암의 치료용 또는 예후 판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경부암의 치료용 또는 예후 판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131A
KR20190086131A KR1020180004288A KR20180004288A KR20190086131A KR 20190086131 A KR20190086131 A KR 20190086131A KR 1020180004288 A KR1020180004288 A KR 1020180004288A KR 20180004288 A KR20180004288 A KR 20180004288A KR 20190086131 A KR20190086131 A KR 2019008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b3
cancer
head
expression
neck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071B1 (ko
Inventor
구본석
정승남
장재원
류려화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4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0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ell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n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AMB3 억제제를 포함하는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발병 및 예후를 예측 또는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LAMB3 유전자 및 단백질이 두경부암 환자 조직 및 세포주들에서 과발현하고 있고, LAMB3의 억제가 두경부암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하며, LAMB3 저해와 두경부암 치료에 내성을 나타낸 시스플라틴을 병용 처리시 현저한 시너지적 효과를 나타냈고, LAMB3의 발현이 두경부암의 예후 판단에 특이적임을 확인하였으므로, LAMB3 억제제는 두경부암의 치료 및 예방, 및 진단 및 예후 판단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경부암의 치료용 또는 예후 판단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MENT AND PREDICTING PROGNOSIS OF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본 발명은 두경부암의 치료용 또는 예후 판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LAMB3 억제제를 포함하는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발병 및 예후를 예측 또는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은 세계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으며, 서구 사회에서는 심혈관 질환 다음으로 가장 일반적인 사망 원인이다. 특히, 인구의 고령화와 더불어 흡연 인구의 증가 및 대기 오염으로 인해 폐암이 증가하고 있으며, 식생활이 서구화되어 고지방식의 섭취가 일반화되고, 환경 오염 물질의 급격한 증가, 음주량의 증가 등으로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암의 조기 예방 및 치료를 가능하게하여 인간 건강의 증진, 건강한 삶의 질 향상 및 인류 보건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항암 물질의 창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암을 정복하기 위해 DNA 손상/복구의 기본적인 메커니즘, 아폽토시스, 종양형성, 및 분자 측면에서의 치료의 더 깊은 이해에 초점을 맞춘 혁신적인 암 연구가 강력하게 요구되며 (Varmus, 2006; Alberts, 2008, 2011), 이는 결국 암 요법에서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악성 종양은 대부분의 경우 하나의 장기 (폐, 간, 신장, 위, 대장, 직장 등)에서 발생한 후 처음 발생한 원발 부위인 장기로부터 다른 조직으로 퍼져 나가는데, 이렇게 원발 부위로부터 다른 조직으로 퍼져 나가는 것을 전이 (metastasis)라 한다. 전이는 악성 종양의 진행에 수반되는 현상으로, 악성 종양 세포가 증식하고 암이 진행함에 따라 전이에 필요한 새로운 유전 형질을 획득한 후 혈관과 림프선으로 침윤하고 혈액과 림프를 따라 순환하다가 다른 조직에 정착한 후 증식하게 된다. 최근 연구 결과에서 전이와 관련된 유전 형질들이 밝혀지고 있으며, 원발 조직의 유전자 검사를 통해 차후 타 장기로의 전이를 통한 재발 고위험군을 유추할 수 있다.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은 전세계적으로 매년 600,000명 정도 발생하는, 전체암 중에 6번째로 흔한 암으로 알려져 있다. 두경부란 뇌 아래에서 가슴 윗 부분 사이를 말하고, 두경부에는 비강, 혀, 입, 후두, 침샘 등 음식을 먹거나 목소리를 내는 등의 기능을 하는 기관이 많이 있으며 이런 기관에 생긴 암을 두경부암이라고 통틀어 말한다. 유전적인 요인과 흡연, 음주가 두경부암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두경부암은 타 장기의 암보다 안면과 목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치료상의 제약이 많고 진행 시 치명적이고 치료 후 기능상 외견상 장애가 많이 나타나는 곳이기도 하다. 발생되는 병의 병리적 기원도 다양하고 동일병리의 병이라고 하더라도 발생위치에 따라 전혀 다른 예후를 보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구의 노령화와 음주와 흡연이 증가하면서 두경부암의 발생률도 증가 추세여서, 전체 암의 4~5%를 차지하며, 통계적으로 볼 때 장기별 암발생기준으로 7위, 남자환자 기준으로 5위에 해당하는 비교적 흔한 암에 속한다. 두경부암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비강 및 부비동암, 구강암, 비인두암, 구인두암, 하인두암, 후두암, 경부 식도암, 침샘암, 타액선암, 악성 림프종, 악성 흑색종, 각종 연부조직 암 등이 있다. 두경부암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다른 장기에 이차암이 발병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것이다. 보고에 따라 다르지만 평생에 걸쳐 약 10~40%에서 두경부 외 다른 부위 폐, 위, 식도 등에 이차암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이차암의 발병률이 높은 이유는 두경부암과 폐암, 위암, 식도암이 발암 원인 인자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두경부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을 주로 사용한다. 이 중, 대표적인 두경부암 치료를 위한 항암제인 시스플라틴(cisplatin)은 뛰어난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스플라틴 내성을 가진 환자들 혹은 치료과정에서 내성을 가지게 되는 환자의 경우 내성극복을 위한 문제해결이 필요한 실정이며, 최근 두경부암의 치료분야의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치료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최근 30년 동안 두경부암의 생존율은 뚜렷한 향상을 보이지않고 있다.
한편,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기술은 질병치료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및 표적 검증에서 중요한 도구이다. 간섭 RNA(RNA interference, 이하 ‘RNAi’라고 한다)는 그 역할이 발견된 이후로, 다양한 종류의 포유동물세포(mammalian cell)에서 서열 특이적 mRNA에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Silence of the transcripts: RNA interference in medicine. J Mol Med (2005) 83: 764773). RNAi는 21-25개의 뉴클레오타이드 크기의 이중나선 구조를 가진 작은 간섭 리보핵산 짧은 간섭 RNA (small interfering RNA, 이하 ‘siRNA’라고 한다)이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전사체(mRNA transcript)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해당 전사체를 분해함으로써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현상이다. 세포 내에서는 RNA 이중가닥이 Dicer라는 엔도뉴클라아제(endonuclease)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21 내지 23개의 이중가닥(base pair,bp)의 siRNA로 변환되며, siRNA 는 RISC(RNA-induced silencing complex)에 결합하여 가이드(안티센스) 가닥이 타겟 mRNA를 인식하여 분해하는 과정을 통해 타겟 유전자의 발현을 서열 특이적으로 저해한다 (NUCLEIC-ACID THERAPEUTICS: BASIC PRINCIPLES AND RECENT APPLICATIONS.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2002. 1, 503-514). 베르트랑(Bertrand) 연구진에 따르면 동일한 타겟 유전자에 대한 siRNA가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Antisense oligonucleotide, ASO)에 비하여 생체 내/외(in vitro 및 in vivo)에서 mRNA 발현의 저해효과가 뛰어나고, 해당 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Comparison of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d siRNAs in cell culture and in vivo. Biochem. Biophys. Res.Commun. 2002. 296: 1000-1004). siRNA를 포함하는 RNAi 기술 기반 치료제 시장은 향후 세계 시장규모가 2020년경에 총 12조원 이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해당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대상이 획기적으로 확대되어 기존의 항체, 화합물 기반 의약품으로 치료하기 어려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유전자 치료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siRNA의 작용 기작은 타겟 mRNA와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서열 특이적으로 타겟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기 때문에, 기존의 항체 기반 의약품이나 화학물질(small molecule drug)이 특정한 단백질 표적에 최적화되기까지 오랜 동안의 개발 기간 및 개발 비용이 소요되는 것에 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대상이 획기적으로 확대될 수 있고, 개발 기간이 단축되면서, 의약화가 불가능한 표적 물질을 포함한 모든 단백질 표적에 대하여 최적화된 리드 화합물을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Progress Towards in Vivo Use of siRNAs. MOLECULAR THERAPY. 2006 13(4):664-670). 이에, 최근 이 리보핵산 매개 간섭현상이 기존의 화학 합성 의약 개발에서 발생되는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면서 전사체 수준에서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각종 질병 치료제, 특히 종양 치료제 개발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항암제 내성을 나타내는 두경부암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고, 이의 진단 및 예후를 예측하는데 주요한 증거가 될 수 있는 유전자를 발굴함으로써, 두경부암의 치료, 진단 및 예후 예측에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LAMB3(Laminin subunit beta-3) 억제제를 포함하는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AMB3 mRNA 또는 LAMB3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두경부암 환자의 예후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두경부암의 발병 및 예후를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LAMB3 유전자 및 단백질이 두경부암 환자 조직 및 세포주들에서 과발현하고 있고, LAMB3의 억제가 두경부암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하며, LAMB3 저해와 두경부암 치료에 내성을 나타낸 시스플라틴을 병용 처리시 현저한 시너지적 효과를 나타냈고, LAMB3의 발현이 두경부암의 예후 판단에 특이적임을 확인하였으므로, LAMB3는 두경부암의 치료 및 예방, 및 진단 및 예후 판단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두경부암 조직에서의 LAMB3의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A: 104개의 조직 시료에서의 LAMB3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 정도를 대표하는 사진;
a: 발현 없음;
b: 약한 발현;
c: 중간 발현;
d: 강한 발현; 및
B: 조직 시료의 웨스턴 블랏 분석 결과.
도 2는 두경부암 세포주에서의 LAMB3 발현 정도를 확인한 도이다:
A: 유전자 발현; 및
B: 단백질 발현.
도 3은 LAMB3 낙다운 두경부암 세포주의 이동 및 침윤을 확인한 도이다:
NCsiR: 대조군 siRNA로 트랜스펙션한 세포주;
LAMB3siR: LAMB3 siRNA로 트랜스펙션한 세포주;
A 및 C: SNU1041 세포주; 및
B 및 D: SNU1076 세포주.
도 4는 LAMB3의 낙다운에 의한 EMT-관련 및 전이-관련 단백질들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도이다.
도 5는 LAMB3의 억제가 시스플라틴에 의한 두경부암 세포주의 세포 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도이다:
NS: not significant;
*: P< 0.05;
**: P< 0.01; 및
***: P< 0.001.
도 6은 LAMB3 발현 수준과 두경부암 환자의 예후를 무병 생존율 (disease-free survival, DFS) 및 전체 생존율 (overall survival, OS)로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LAMB3(Laminin subunit beta-3) 억제제를 포함하는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LAMB3 억제제는 LAMB3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핵산, 펩타이드, 항체, 화합물, 바이러스 또는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일 수 있으며, LAMB3 mRNA의 발현을 억제하는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또는 LAMB3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LAMB3 mRNA의 발현을 억제하는 올리고 뉴클레오티드는 LAMB3 mRNA에 특이적인 siRNA, shRNA, microRNA, 안티센스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앱타머(aptamer), LNA(locked nucleic acid), PNA(peptide nucleic acid) 또는 모폴리노(morpholino)일 수 있으며,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siRNA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암은 대장암, 유방암, 자궁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전립선암, 뇌종양, 두경부암, 흑색종, 골수종, 백혈병, 림프종, 위암, 폐암, 췌장암, 비소세포성폐암, 간암, 식도암, 소장암, 항문부근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암, 신장세포암종, 신장골반암종, 골암, 피부암, 두부암, 경부암, 피부흑색종, 안구내흑색종,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육종, 요도암, 음경암,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종양, 다형성교모세포종 및 뇌하수체선종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두경부암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 구현예에서, LAMB3 억제제는 두경부암의 전이 및 침윤을 억제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두경부암은 비강암, 부비동암, 구강암, 비인두암, 구인두암, 하인두암, 후두암, 경부 식도암, 침샘암, 타액선암 및 설암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항암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암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암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상기 항암제는 소라페닙(Sorafenib), OKN-007, 제피티닙(Gefitinib), 독소루비신(doxorubicin),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빈크리스틴(vincristine), 탁솔(taxol), 시스플라틴(cisplatin), 이포스파마이드(Ifosfamide), 파클리탁셀(paclitaxel), , 토포테칸(topotecan), 도세탁셀(docetaxel), 5-플루오로우라실(5-FU), 글리벡(gleevec), 카보플라틴(carboplatin), 두아노루비신(daunorubicin), 발루비신(valrubicin), 플로타미드(flutamide), 젬시타빈(gemcitabi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두경부암이 내성을 나타내는 항암제는 시스플라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발현 억제"란 표적 유전자의 (mRNA로의) 발현 또는 (단백질로의) 번역 저하를 야기하는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이에 의해 표적 유전자 발현이 탐지 불가능해지거나 무의미한 수준으로 존재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siRNA(small interfering RNA)”란 특정 mRNA의 절단(cleavage)을 통하여 RNAi(RNA interference) 현상을 유도할 수 있는 짧은 이중사슬 RNA를 의미한다. 타겟 유전자의 mRNA와 상동인 서열을 가지는 센스 RNA 가닥과 이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안티센스 RNA 가닥으로 구성된다. siRNA는 타겟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유전자 넉다운(knock-down) 방법으로서 또는, 유전자치료(gene therapy)의 방법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란 LAMB3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암세포의 사멸 또는 암의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및 분무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여러 요소, 예를 들면 투여방법, 목적부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사용 시 투여량은 안전성 및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량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동물실험을 통해 결정한 유효량으로부터 인간에 사용되는 양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효한 양의 결정시 고려할 이러한 사항은, 예를 들면 Hardman and Limbird, ed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0th ed.(2001), Pergamon Press; 및 E.W. Martin ed.,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1990), Mack Publishing Co.에 기술되어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생물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 전달에 적합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 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이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8th, 1990)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 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0.0001 ~ 10 ㎎/㎖이며, 바람직하게는 0.0001 ~ 5 ㎎/㎖이며, 하루 일 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다양한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LAMB3 억제제를 함유하는 항암보조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LAMB3 억제제는 화학적 항암 약물(항암제) 등과 함께 투여함으로써, 종래의 항암제 저항성을 감소시켜 암의 재발을 막을 뿐만 아니라 암을 원천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한다. 병용 투여는 상기 항암제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LAMB3 mRNA 또는 LAMB3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두경부암 환자의 예후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LAMB3 mRNA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LAMB3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primer)쌍, 프로브(probe), 또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antisense nucleotide)이며, 상기 LAMB3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LAMB3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LAMB3 유전자의 mRNA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RT-PCR, 경쟁적 RT-PCR (Competitive RT-PCR), 실시간 RT-PCR (Real-tim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 (RNase protection assay, RPA), 노던 블랏팅 (Northern blotting), DNA 칩 등이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LAMB3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웨스턴블랏,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면역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Ouchterlony) 면역 확산법, 로케이트(rocket)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고정분석법 (Complement Fixation Assay), FACS, 단백질 칩(protein chip)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검출" 또는 "측정"은 검출 또는 측정된 대상의 농도를 정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LAMB3 mRNA 또는 LAMB3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란 LAMB3 mRNA 수준 또는 LAMB3 단백질 수준을 검출할 수 있는 분자를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LAMB3에 특이적인 항체,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말단 수산화기 (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핵산 서열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template)와 염기쌍 (base pair)를 형성할 수 있고 템플레이트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 (즉, DNA 폴리머레이트 또는 역전사효소)을 위한 시약 및 상이한 4가지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의 존재하에서 DNA 합성이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LAMB3 유전자의 센스 및 안티센스 프라이머를 이용해 PCR 증폭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의 생성 여부 및 그 수준의 측정을 통해 LAMB3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PCR 조건, 센스 및 안티센스 프라이머의 길이는 통상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을 기초로 변형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프로브"란 mRNA와 특이적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짧게는 수 염기 내지 길게는 수백 염기에 해당하는 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하며 라벨링 되어 있어서 특정 mRNA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브는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쇄 DNA(single stranded DNA) 프로브, 이중쇄 DNA(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LAMB3 유전자와 상보적인 프로브를 이용하여 혼성화를 실시하여, 혼성화 여부를 통해 LAMB3 유전자 발현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적당한 프로브의 선택 및 혼성화 조건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을 기초로 변형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포스포르아미다이트 고체 지지체 방법,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핵산 서열은 또한 당해 분야에 공지된 많은 수단을 이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틸화, 캡화, 천연 뉴클레오타이드 하나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및 뉴클레오타이드 간의 변형, 예를 들면,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 (예: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소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카바메이트 등) 또는 하전된 연결체 (예: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로의 변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체"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용어로서 항원성 부위에 대해서 지시되는 특이적인 단백질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항체는 본 발명의 마커인 LAMB3 유전자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의미하며, 상기 항체의 제조방법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는 상기 단백질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부분 펩티드도 포함된다. 본발명의 항체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폴리클로날 항체,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항원 결합성을 갖는 것이면 그것의 일부도 본 발명의 항체에 포함되고 모든 면역 글로불린 항체가 포함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항체에는 인간화 항체 등의 특수 항체도 포함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LAMB3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의 LAMB3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물학적 시료의 LAMB3 발현 수준이 정상 대조군의 LAMB3 발현 수준에 비해 증가된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경부암의 발병 및 예후를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LAMB3의 발현 수준의 측정은 LAMB3 유전자의 mRNA 양 또는 LAMB3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LAMB3 발현 수준이 정상 대조군의 LAMB3 발현 수준에 비해 높은 경우 환자의 무병 생존율 (disease-free survival, DFS) 또는 전체 생존율 (overall survival, OS)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는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뇌척수액, 뇨 또는 암 조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은 생물학적 시료에서 mRNA또는 단백질의 분리하는 공지의 공정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a) LAMB3를 발현하는 분리된 두경부암 세포에 암 치료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후보 물질이 처리된 분리된 두경부암 세포에서 LAMB3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측정된 LAMB3 발현 수준이 후보 물질이 처리되지 않은 분리된 두경부암 세포에 비해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후보 물질을 두경부암의 전이 억제용 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경부암의 전이 억제용 제제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경부암 환자 조직에서의 LAMB3 발현 확인
인간 두경부암 조직에서의 LAMB3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조직학적으로 두경부암(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으로 확인된 환자로부터 수득한 104개의 파라핀-고정한(paraffin-embedded samples) 검체들을 이용하여 IHC 염색하고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1999년 4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에서 이비인후과-두경부 수술(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을 받은 104명의 HNSCC 환자들 (병기에 따른 일차 및 경부 림프절 절제술)의 절제 조직 104개를 IHC 염색한 결과, 검체 104개 중 65개 (62.5%)에서 LAMB3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도 1A). LAMB3는 45개 (43.3%)의 검체에서 약하게 발현되고, 59개 (56.7%)의 검체에서 강하게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HNSCC 환자의 두경부암 조직과 정상 조직간의 LAMB3 발현량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직을 세포로 분쇄한 후, 세포들을 세포파쇄 버퍼 (150 mM NaCl, 1.0% nonidet-P 40 (NP40), 0.5% sodium deoxycholate, 0.1% sodium dodecyl sulfate, pH 8.0의 50 mM Tris 및 pH 7.4의 protease inhibitor cocktail (Roche Applied Science, Vienna, Austria) 포함)로 파쇄하였다. 상기 파쇄물을 시료로 하여 일반적인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 1차 항체로 항-LAMB3 및 항-β-actin (1:1000; Cell Signaling Technology Inc.)을, 2차 항체로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secondary antibodies (1:1,0000;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를 이용하였고, ECL(enhanced chemiluminescence)로 면역 반응 밴드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정상 조직에 비해 종양 조직에서 LAMB3의 단백질 발현량이 현저히 상향조절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B).
실시예 2. 두경부암 세포주에서의 LAMB3 발현 확인
HNSCC 세포주에서 LAMB3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두경부암 세포주 SNU1041 (하인두, hypopharynx), SNU-1076(후두, larynx) 및 FaDu (하인두, hypopharynx)를 이용하여 RT-PCR 및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두경부암 세포주로는 한국 세포주 은행 (서울, 한국)에서 구입한 SNU1041, SNU-1076 및 FaDu 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정상 상피 세포로는 J.H. Lee 교수님 (충남대, 대전, 한국)로부터 기증받은 일차 배양된 인간 섬유아세포 (fibroblasts)를 이용하였다. SNU1041, SNU1076 및 FaDu 세포주는 RPMI 1640 배지 (Gibco, Grand Island, NY, USA)로 배양하였으며, 일차 배양된 인간 섬유아세포 (hFB)는 high-glucose DMEM (Gibco, Grand Island, NY, USA)으로 배양하였다. 모든 세포 배양액에는 10% FBS 및 100U/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Gibco, Grand Island, NY, USA)를 첨가하였고, 세포주들을 5% CO2 및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HNSCC 세포주들 (FaDu, SNU1041 및 SNU1076)과 정상 섬유아세포주 (hFB)를 파쇄한 뒤, RT-PCR 분석을 위해 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이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다. 그 후, 하기 표 1의 LAMB3 및 GAPDH에 대한 프라이머 세트들을 이용하여 역전사 및 증폭하였다. PCR 산물은 2% 아가로스 젤에서 전기영동하고 EtBr로 밴드를 확인하였다. 또한, 각각의 세포주들에서의 LAMB3 단백질 발현 정도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5' ->3') 서열번호
LAMB3 forward CCA AGC CTG AGA CCT ACT GC 3
reverse AAG CTG GAA TCT CCT GTC CA 4
GAPDH forward ACC CAG AAG ACT GTG GAT GG 5
reverse TTC TAG ACG GCA GGT CAG GT 6
그 결과, 두경부암 세포주 FaDu, SNU1041 및 SNU1076 모두에서 정상 섬유아세포에 비해 LAMB3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이 모두 상향조절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2A 및 B).
실시예 3. LAMB3의 발현 억제가 두경부암에 미치는 영향 확인
3-1. LAMB3 발현 억제에 의한 HNSCC 세포의 이동 및 침윤 감소
LAMB3 발현 억제에 의한 HNSCC 세포주의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두경부암 세포주인 SNU1041 및 SNU1076 세포주에 LAMB3 siRNA를 처리하여 LAMB3를 낙다운하였다. 구체적으로, SNU1041 및 SNU1076 세포주를 각각 2×105 cells/well로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뒤, 60-70%의 컨플루언스가 되도록 배양하였다. 그 후, Lipofectamine RNAi MAX reagent (Invitrogen)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음성 대조군 siRNA 및 LAMB3에 대한 siRNA (표 2)를 48h 동안 트랜스펙션하였다.
siRNA 서열 (5' ->3') 서열번호
LAMB3 sense GUG UGU GCA AGG AGC AUG U (dTdT) 1
antisense ACA UGC UCC UUG CAC ACA C (dTdT) 2
세포의 침윤 분석을 위해 트랜스웰 멤브레인(transwell membranes)을 마트리젤로 37℃에서 6h 동안 코팅하였다. 그 후, LAMB3가 낙다운 된 상기 세포주 (음성 대조군은 NCsiR)들을 무혈청 배지에 옮긴 후, 이동 분석을 위해 트랜스웰 멤브레인의 상부 챔버에, 또는 침윤 분석을 위해 마트리젤로 코팅된 트랜스웰 멤브레인의 상부 챔버(upper chamber)에 각각 5×105 cells/100uL로 분주하고, 10% FBS를 함유하는 배지 700ul를 하부 챔버에 첨가하였다. 그 후, 5% CO2 및 37℃ 조건에서 48h 동안 인큐베이션한 뒤,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면봉으로 제거하고, 하부 챔버에 부착된 세포들 (침윤 세포들)을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 (200배)를 이용하여 4개의 대표 영역에서 계수하였다.
그 결과, LAMB3의 낙다운이 두경부암 세포주인 SNU1041 및 SNU1076의 이동과 침윤을 상당히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A 내지 D). 이를 통해, LAMB3가 두경부암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하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2. LAMB3 발현 억제에 의한 HNSCC 세포에서의 EMT관련 단백질 발현 촉진
LAMB3의 발현과 상피간엽이행(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EMT) 관련 단백질 및 전이 관련 단백질의 발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EMT 관련 단백질들인 Vimentin 및 E-cadherin (상피 및 중간엽 마커)과 slug (전이 관련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두경부암 세포주인 SNU1041 및 SNU1076 세포주에 LAMB3 siRNA를 처리하여 LAMB3를 상기 실시예3에서와 같이 낙다운한 뒤, 48시간 후에 Vimentin, E-cadherin 및 slug의 단백질 발현정도를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두 세포주 모두에서 LAMB3의 낙다운에 의해 E-cadherin의 발현은 증가하고, Vimentin및 slug의 발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4). 이를 통해, LAMB3는 EMT 활성화를 통해 HNSCC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LAMB3 억제에 의한 항암제의 세포독성 향상 효과
LAMB3 억제가 두경부암에 대한 항암제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두경부암 세포주 SNU1041 및 SNU1076에서 LAMB3를 낙다운한 뒤 시스플라틴(cisplatin)의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두경부암 세포주 SNU1041 및 SNU1076를 1×104 cells/well로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하루 뒤, 상기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음성대조군 또는 LAMB3 siRNA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다양한 농도의 (0, 5, 10, 30 및 50μM) 시스플라틴으로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Cell Proliferation Reagent WST-1(Roche Diagnostics Corporation, Indianapolis, IN, USA)으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시스플라틴에 의한 세포독성은 WST-1 포르마잔(formazan)은 ELISA 리더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정량하였다. 상기 실험은 독립적으로 세 번 반복되었다 (평균 ± S.D로 표시됨).
그 결과, 음성대조군 siRNA를 처리한 두경부암 세포주들은 시스플라틴에 대해 내성을 나타냈으나, siRNA로 LAMB3을 낙다운한 세포주들은 시스플라틴에 의한 세포사멸이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5).
실시예 5. LAMB3 발현과 HNSCC의 예후 분석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진 HNSCC의 생존율과 LAMB3 발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Kaplan-Meier 방법을 사용하여 무병 생존율 (disease-free survival, DFS) 및 전체 생존율 (overall survival, OS) 곡선을 계산한 뒤, log-rank 테스트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LAMB3 발현이 높은 환자는 LAMB3 발현이 낮은 환자보다 현저히 낮은 DFS 및 OS를 나타냈다 (각각 P <0.001) (도 6). 구체적으로, 5년 무병 생존율은 LAMB3 발현이 높은 환자에서 42.1%인 것에 반해, LAMB3 발현이 낮은 환자에서 88%로 나타났으며, 5년 전체 생존율은 LAMB3 발현이 높은 환자에서 45.7%인 반면, LAMB3 발현이 낮은 환자에서는 83.1%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LAMB3가 HNSCC의 공격성 및 예후 예측을 위한 잠재적인 분자 바이오마커임을 알 수 있다.
<110> The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AC) <120> COMPOSITION FOR TREATMENT AND PREDICTING PROGNOSIS OF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130> PN1711-435 <160> 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AMB3 siRNA (sense strand) <400> 1 gugugugcaa ggagcaugu 19 <210> 2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AMB3 siRNA (anti sense strand) <400> 2 acaugcuccu ugcacacac 19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AMB3 forward primer <400> 3 ccaagcctga gacctactgc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AMB3 reverse primer <400> 4 aagctggaat ctcctgtcca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primer <400> 5 acccagaaga ctgtggatgg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primer <400> 6 ttctagacgg caggtcaggt 20

Claims (12)

  1. LAMB3(Laminin subunit beta-3) 억제제를 포함하는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LAMB3 억제제는 LAMB3 mRNA의 발현을 억제하는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또는 LAMB3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하는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인,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LAMB3 mRNA의 발현을 억제하는 올리고 뉴클레오티드는 LAMB3 mRNA에 특이적인 안티센스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앱타머 (aptamer), shRNA 또는 siRNA인,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siRNA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두경부암은 비강암, 부비동암, 구강암, 비인두암, 구인두암, 하인두암, 후두암, 경부 식도암, 침샘암, 타액선암 및 설암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암제와 병용하여 투여되는,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소라페닙(Sorafenib), OKN-007, 제피티닙(Gefitinib), 독소루비신(doxorubicin),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빈크리스틴(vincristine), 탁솔(taxol), 시스플라틴(cisplatin), 이포스파마이드(Ifosfamide), 파클리탁셀(paclitaxel), , 토포테칸(topotecan), 도세탁셀(docetaxel), 5-플루오로우라실(5-FU), 글리벡(gleevec), 카보플라틴(carboplatin), 두아노루비신(daunorubicin), 발루비신(valrubicin), 플로타미드(flutamide), 젬시타빈(gemcitabi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LAMB3 mRNA 또는 LAMB3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두경부암 환자의 예후 진단용 조성물로서,
    LAMB3 mRNA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LAMB3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primer)쌍, 프로브(probe), 또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antisense nucleotide)이며,
    LAMB3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LAMB3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인, 두경부암 환자의 예후 진단용 조성물.
  9. (a)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LAMB3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의 LAMB3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물학적 시료의 LAMB3 발현 수준이 정상 대조군의 LAMB3 발현 수준에 비해 증가된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경부암의 발병 및 예후를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LAMB3의 발현 수준의 측정은 LAMB3 유전자의 mRNA 양 또는 LAMB3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여 확인하는, 두경부암의 발병 및 예후를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LAMB3 발현 수준이 정상 대조군의 LAMB3 발현 수준에 비해 높은 경우 환자의 무병 생존율 (disease-free survival, DFS) 또는 전체 생존율 (overall survival, OS)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두경부암의 발병 및 예후를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는 혈액, 혈장, 혈청, 또는 암 조직인, 두경부암의 발병 및 예후를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80004288A 2018-01-12 2018-01-12 두경부암의 치료용 또는 예후 판단용 조성물 KR10210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288A KR102101071B1 (ko) 2018-01-12 2018-01-12 두경부암의 치료용 또는 예후 판단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288A KR102101071B1 (ko) 2018-01-12 2018-01-12 두경부암의 치료용 또는 예후 판단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31A true KR20190086131A (ko) 2019-07-22
KR102101071B1 KR102101071B1 (ko) 2020-04-14

Family

ID=67469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288A KR102101071B1 (ko) 2018-01-12 2018-01-12 두경부암의 치료용 또는 예후 판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0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230A (ko) 2021-09-14 2023-03-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두경부암 치료를 위한 멜라토닌과 베르테포르핀의 병용 투여용 약학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akashi Kinoshita et al. Ocotarget, Vol.3(11), p. 1386-1400 (2012.11.7.공개) *
Vesna Todorovic et al. Melanoma Res., Vol. 21; p.196-205 (2010.3.9. 공개)* *
Y. Kita et al. EJSO, Vol. 35; p.52-58 (2008.3.10. 공개)* *
Yinghao Wang et al. OncoTargets and Therapy, Vol. 11; p.37-46 (2017.12.21. 공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071B1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16712B (zh) 癌促進因子表現抑制劑的有效成分之篩選用試藥及其篩選方法、癌之預防或治療劑的有效成分之篩選用試藥及其篩選方法、癌促進因子表現抑制劑及癌之預防或治療劑
KR102216590B1 (ko)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의 진단을 위한 조성물
EP2361317B1 (en) Use of eif3m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ncer
KR101657033B1 (ko) V-ATPase subunit V1E1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측정하여 식도암 환자의 생존율과 예후를 예측하는 방법
JP6005272B2 (ja) 胃癌診断及び治療のためのadcy3の用途
KR102101071B1 (ko) 두경부암의 치료용 또는 예후 판단용 조성물
KR101762250B1 (ko) 암의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lrig2의 용도
KR102055350B1 (ko) 대장암의 항암제 내성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888022B1 (ko) 담도암의 항암제 내성 진단용 신규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US10316319B2 (en) Composition for diagnosis of liver metastasis of colorectal cancer and the use thereof
US8486905B2 (en) Use of FLJ25416 gene
KR101764291B1 (ko) 신규한 암 진단용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항암제
KR102238258B1 (ko) 간암 진단을 위한 신규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KR101612356B1 (ko) Hoxb5의 유방암 진단 및 치료 용도
KR101115441B1 (ko) 대장암 진단용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2325972B1 (ko) 간암 치료 반응 예측용 spp1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115449B1 (ko) 대장암 진단용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2396763B1 (ko) 혈관내피세포 유래 cxcl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삼중음성유방암 치료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KR20230077936A (ko) 구강암의 시스플라틴 내성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US20230288399A1 (en) Method for screening colorectal cancer metastasis inhibitor
CA2773614A1 (en) Method of treating cancer by inhibiting trim59 expression or activity
WO202307012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mic60 depleted cancers and metastasis
KR20220099285A (ko) 암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키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암의 발생 여부를 측정하는 방법
KR101764970B1 (ko) Nupr1을 포함하는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된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진단 방법
KR101808658B1 (ko) 암 진단 키트 및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