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283A -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283A
KR20190051283A KR1020170146748A KR20170146748A KR20190051283A KR 20190051283 A KR20190051283 A KR 20190051283A KR 1020170146748 A KR1020170146748 A KR 1020170146748A KR 20170146748 A KR20170146748 A KR 20170146748A KR 20190051283 A KR20190051283 A KR 20190051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hopper
wall portion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967B1 (ko
Inventor
김용찬
우광선
김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46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9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65G21/2081Laterial guidance means for bulk material, e.g. sk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은 원료가 유입되는 상단유입부재, 원료를 하부에 위치하는 외부의 컨베이어유닛으로 배출하는 하단배출부재 및 상기 상단유입부재가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단배출부재가 하단에 구비되는 호퍼바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바디부재는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Hopper unit and material supplying apparatus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말 등의 원료를 공급하는 장치에서 호퍼(hopper)의 역할은 균일한 양을 일정한 시간에 공급하게 된다. 특히 제품을 열처리하는 공정이나 분말 등을 환원하는 공정에서는 일정한 양의 원료를 공급하는 것은 품질을 좌우하는 등으로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호퍼는 일반적으로 상부에서 원료를 보충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넓은 상부 구조를 가지고 하부로 가면서 점점 폭이 좁아지게 구성되었다. 또한, 이와 같이 좁아진 호퍼의 하부는 최종적으로 목표하는 면적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구조를 제공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외형은 원통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의 호퍼는 상용화된 연속 공정에 적용하기에는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배출되는 분말이 초반에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운데 부위가 아래로 먼저 깊게 파이는 형상을 형성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분말이 동시에 나오려다 좁은 공간에서 막혀 공급이 중단되는 브릿지(bridge) 현상이 좁은 입구 쪽에서 발생하여 분말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호퍼 외벽에 가벼운 충격을 가해주어, 간혹 일시적으로 브릿지 현상이 해소되기도 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분말이 다져져서 브릿지 현상을 가중시키는 악순환이 지속되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번호 제20-0376990호
본 발명은 원료 배출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분말의 배출시에 브릿지 현상 또는 배출 정체 영역이 형성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은 원료가 유입되는 상단유입부재, 원료를 하부에 위치하는 외부의 컨베이어유닛으로 배출하는 하단배출부재 및 상기 상단유입부재가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단배출부재가 하단에 구비되는 호퍼바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바디부재는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의 상기 호퍼바디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상단유입부재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상기 하단배출부재가 구비되는 랩핑벽부 및 상기 랩핑벽부에 연결되며, 상기 랩핑벽부와 협력하여 유입된 상기 원료를 감싸게 구비되고, 상기 랩핑벽부와 대면하는 간격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시키는 경사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의 상기 경사벽부는, 배출된 원료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이동 방향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의 상기 경사벽부는, 상기 랩핑벽부에 구비되는 양측 측벽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측벽판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랩핑벽부의 배후벽판과 대면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의 상기 경사벽부는, 배출되는 원료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단배출부재에 연계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과 대면하는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원료다짐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의 상기 경사벽부는, 상기 상단유입부재에 연계되어 상하 이동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판 및 수직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판이 상단부에 링크 결합되고, 수평이동하는 상기 원료다짐판이 하단부에 링크 결합되며, 상기 측벽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후벽판과 대면하는 각도가 조정되는 경사조절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의 상기 경사조절판은, 상기 측벽판과 접하는 측부에 사이드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은 상기 호퍼바디부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배출되는 원료의 두께를 조정하도록 상기 호퍼바디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료공급장치는 상기 호퍼유닛, 상기 호퍼유닛으로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저장소, 상기 호퍼유닛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유닛에서 배출되는 원료를 이동시키는 상기 컨베이어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에서 전달되는 원료를 환원시키는 환원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료공급장치의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호퍼유닛에서 전달한 원료를 상기 환원로로 이동시키는 밸트부재 및 상기 밸트부재의 측부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는 원료 배출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는 분말의 배출시에 브릿지 현상 또는 배출 정체 영역이 형성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생산성 향상은 물론 장비 유지, 보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는 배출되는 원료의 높이를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배출되는 원료의 양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어, 환원로 등에서의 원료 공급 정확도를 높여, 환원 품질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호퍼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호퍼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호퍼유닛에서 경사벽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료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퍼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s)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료(s) 배출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호퍼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s)공급장치가 분말의 배출시에 브릿지 현상 또는 배출 정체 영역이 형성되는 문제 등을 방지함에 의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호퍼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s)공급장치는 생산성 향상은 물론 장비 유지, 보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배출되는 분말이 초반에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운데 부위가 아래로 먼저 깊게 파이는 형상을 형성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분말이 동시에 나오려다 좁은 공간에서 막혀 공급이 중단되는 브릿지(bridge) 현상이 좁은 입구 쪽에서 발생하여 분말공급에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호퍼 외벽에 가벼운 충격을 가해주어, 간혹 일시적으로 브릿지 현상이 해소되기도 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분말이 다져져서 브릿지 현상을 가중시키는 악순환이 지속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또한, 앞선 브릿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호퍼를 단면적 변화 없이 폭이 일정한 직육면체 모양으로 제조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의 호퍼를 제작하게 되면 브릿지 현상은 줄일 수 있으나, 원료(s)가 측면으로 배출되어 먼저 들어온 원료(s)가 먼저 나가게 되어 호퍼 내부에 정체 영역(dead zone)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즉, 분말 등의 원료(s)가 측면으로 정체 영역을 형성함에 따라, 초기 장입된 원료(s)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호퍼 측면에 정체되고 이후 공급된 원료(s)는 공급 즉시 배출되므로, 불균일한 상태의 원료(s) 공급의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정체 영역의 형성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체 영역의 원료(s)가 딱딱하게 굳어져 호퍼 입구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호퍼유닛(10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즉 도 1은 호퍼유닛(100)에서 브릿지 현상 및 정체 영역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호퍼유닛(100)의 정면과 배면 부분을 일부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100)은 원료(s)가 유입되는 상단유입부재(110), 원료(s)를 하부에 위치하는 외부의 컨베이어유닛(300)으로 배출하는 하단배출부재(120) 및 상기 상단유입부재(110)가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단배출부재(120)가 하단에 구비되는 호퍼바디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바디부재(130)는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호퍼유닛(100)은 원료(s)의 배출시에 브릿지 현상 또는 정체 영역이 형성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단유입부재(110)는 원료저장소(200) 등의 외부로부터 원료(s)가 전달되어 유입되는 구성이고, 상기 하단배출부재(120)는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에 위치하는 원료(s)를 배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상단유입부재(110)는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의 하단부에 구비된 상기 하단배출부재(120)로 원료(s)를 전달하여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배출부재(120)의 하부에는 원료(s)를 이동시키는 외부의 컨베이어유닛(30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단유입부재(110)는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와 연계되기 위해서,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의 경사벽부(150)의 상하이동판(152)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수직 가이드홈(110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단배출부재(120)는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와 연계되기 위해서,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의 경사벽부(150)의 원료다짐판(151)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수평 가이드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유입부재(110)에는 상기 상하이동판(152)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판이동실린더(152a)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판이동실린더(152a)의 신축하는 일단부가 상기 상하이동판(152)에 결합됨으로서, 상기 상하이동판(152)을 상기 수직 가이드홈(110a)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게 구성된다.
상기 호퍼바디부재(130)는 상기 상단유입부재(110)가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하단배출부재(120)가 하단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원료저장소(200) 등에서 전달된 원료(s)를 외부의 컨베이어유닛(3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호퍼바디부재(130)는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원료(s)의 전달시에 브릿지 현상 또는 정체 영역이 형성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호퍼바디부재(130)는 랩핑벽부(140), 경사벽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100)은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배출되는 원료(s)의 두께를 조정하도록 상기 호퍼바디부재(1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에서 배출되는 원료(s)의 배출 두께를 조정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의 경사벽부(150)에 구비되는 원료다짐판(151)과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의 밸트부재(31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배출되는 원료(s)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160)가 상기 호퍼바디부재(130)를 상하로 이동하게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원료다짐판(151)도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원료다짐판(151)과 상기 밸트부재(31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160)는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의 랩핑벽부(140)와 결합되는 지지대(162) 및 상기 지지대(162)와 지면 사이를 연결하게 구비되며, 신축되는 바디이동실린더(16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이동실린더(161)가 상기 지지대(162)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대(162)와 결합된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의 랩핑벽부(140)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원료다짐판(151)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호퍼유닛(100)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100)의 상기 호퍼바디부재(130)는, 상단부에 상기 상단유입부재(110)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상기 하단배출부재(120)가 구비되는 랩핑벽부(140) 및 상기 랩핑벽부(140)에 연결되며, 상기 랩핑벽부(140)와 협력하여 유입된 상기 원료(s)를 감싸게 구비되고, 상기 랩핑벽부(140)와 대면하는 간격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시키는 경사벽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랩핑벽부(140)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상단유입부재(110), 하단배출부재(120)가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높이조절부재(160)와 연계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랩핑벽부(140)에 연계된 상기 경사벽부(150)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핑벽부는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후벽판(142)과,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판(141)이 결합된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후벽판(142) 양측의 측벽판(141)은 상기 경사벽부(150)의 경사조절판(153)과 밀착하게 구성되어 상기 경사조절판(153)과 협력하여 상기 원료(s)를 감싸게 구성된다.
특히, 상기 경사조절판(153)이 경사를 조정할 때, 상기 원료(s)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경사조절판(153)에 구비되는 사이드패킹(153a)과 밀착하게 구성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경사벽부(150)는 상기 호퍼바디부재(130)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경사벽부(150)는 상기 랩핑벽부(140)와 협력하여 상기 원료(s)를 감싸게 제공되면서도, 상기 램핑벽부와 대면하는 간격이 상단부보다 하단부가 더 크게 형성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경사벽부(150)는 원료다짐판(151), 상하이동판(152), 경사조절판(15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100)의 상기 경사벽부(150)는, 배출된 원료(s)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의 이동 방향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벽부(150)가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의 이동 방향의 전방에 구비됨으로써, 원료(s)의 배출시에,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원료(s)의 상측에 구비되는 원료(s)들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원료(s)가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의 이동에 연계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브릿지 현상 또는 정체 영역이 형성되는 문제를 더욱 잘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100)의 상기 경사벽부(150)는, 상기 랩핑벽부(140)에 구비되는 양측 측벽판(141)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측벽판(141)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랩핑벽부(140)의 배후벽판(142)과 대면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랩핑벽부(140)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의 3면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경사벽부(150)는 상기 랩핑벽부(140)의 양측 측벽판(14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의 나머지 1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호퍼유닛(100)에서 경사벽부(15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100)의 상기 경사벽부(150)는, 배출되는 원료(s)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단배출부재(120)에 연계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300)과 대면하는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원료다짐판(1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료다짐판(151)에 의해서,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에서 배출되는 원료(s)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원료다짐판(151)은 상기 컨베이어유닛(300)과 대면하게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유닛(300)과 수평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원료(s)가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에 의해서 이동될 때, 일정 영역에서는 두께를 일정하게 형성하게 다져지기 때문에, 배출되는 원료(s)의 두께를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원료다짐판(151)은 상기 경사조절판(153)과 연계되어 상기 경사조절판(153)이 위치된 각도를 조정할 때, 상기 원료다짐판(151)도 이에 따라 전후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원료다짐판(151)이 전후로 가이드되기 위해서, 상기 원료다짐판(151)은 상기 하단배출부재(120)에 형성된 수평 가이드홈(120a)에 끼워져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100)의 상기 경사벽부(150)는, 상기 상단유입부재(110)에 연계되어 상하 이동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판(152) 및 수직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판(152)이 상단부에 링크 결합되고, 수평이동하는 상기 원료다짐판(151)이 하단부에 링크 결합되며, 상기 측벽판(14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후벽판(142)과 대면하는 각도가 조정되는 경사조절판(1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조절판(153)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호퍼바디부재(130)의 상단부보다 하단부가 더 폭이 넓은 형태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이동판(152)은 상기 상단유입부재(110)에 형성된 수직 가이드홈(110a)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하이동판(152)은 상기 상단유입부재(110)에 결합된 판이동실린더(152a)의 신축하는 일단부에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판이동실린더(152a)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판(152)은 상하로 이동하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조절판(153)은 양측의 상기 측벽판(141) 사이에 구비되어, 경사지게 위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경사진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경사조절판(153)은 상단부는 상하 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판(152)에 링크 결합되고, 하단부는 전후 이동하는 상기 원료다짐판(151)에 링크 결합되어 제공된다.
즉, 상기 상하이동판(152)이 상기 판이동실린더(152a)의 신장에 의해서 아래로 이동되면, 상기 경사조절판(153)의 상단부도 아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경사조절판(153)의 하단부는 상기 원료다짐판(151)을 전방으로 밀어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조절판(153)은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에 인접하게 더 누워진 형태로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상하이동판(152)이 상기 판이동실린더(152a)의 수축에 의해서 위로 이동되면, 상기 경사조절판(153)의 상단부도 위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경사조절판(153)의 하단부는 상기 원료다짐판(151)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조절판(153)은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에서 멀어지게 일정 각도 세워진 형태로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조절판(153)은 상기 상하이동판(152)의 이동에 따라 위치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경사조절판(153)은 상기 측벽판(141)과 접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경사조절판(153)이 이동하며 위치변경되므로, 상기 측벽판(141)과 상기 경사조절판(153) 사이에서 원료(s)가 이탈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경사조절판(153)의 측부에는 사이드패킹(153a)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유닛(100)의 상기 경사조절판(153)은, 상기 측벽판(141)과 접하는 측부에 사이드패킹(153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료(s)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료(s)공급장치는 상기 호퍼유닛(100), 상기 호퍼유닛(100)으로 원료(s)를 공급하는 원료저장소(200), 상기 호퍼유닛(10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유닛(100)에서 배출되는 원료(s)를 이동시키는 상기 컨베이어유닛(300)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에서 전달되는 원료(s)를 환원시키는 환원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호퍼유닛(100)을 포함함으로서, 원료(s)를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으로 배출시에 브릿지 현상 또는 정체 영역이 형성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호퍼유닛(100)의 호퍼바디부재(130)가 상단부보다 하단부의 폭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원료(s)를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으로 배출시에 브릿지 현상 또는 정체 영역이 형성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원료저장소(200)는 상기 호퍼유닛(100)으로 원료(s)를 공급하는 구성이고,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은 상기 호퍼유닛(100)에서 배출된 원료(s)를 상기 환원로(400) 등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은 상기 원료(s)를 이동시킬 때, 원료(s)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실방지댐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료(s)공급장치의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은, 상기 호퍼유닛(100)에서 전달한 원료(s)를 상기 환원로(400)로 이동시키는 밸트부재(310) 및 상기 밸트부재(310)의 측부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댐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호퍼유닛(100)에서 배출된 원료(s)는 상기 밸트부재(310)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유실방지댐부재(320)가 상기 밸트부재(310)의 양측에 위치함으로써, 원료(s)가 상기 밸트부재(310)에서 이탈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환원로(400)는 상기 컨베이어유닛(300)에 의해서 전달되는 원료(s)를 환원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 상기 환원로(400)는 환원가스(g)가 유입 및 배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상기 환원로(400)에서 환원된 원료(s)는 상기 환원로(400)에서 배출되어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호퍼유닛 110: 상단유입부재
120: 하단배출부재 130: 호퍼바디부재
140: 랩핑벽부 141: 측벽판
142: 배후벽판 150: 경사벽부
151: 원료다짐판 152: 상하이동판
153: 경사조절판 160: 높이조절부재
161: 바디이동실린더 162: 지지대
200: 원료저장소 300: 컨베이어유닛
310: 밸트부재 320: 유실방지댐부재
400: 환원로

Claims (10)

  1. 원료가 유입되는 상단유입부재;
    원료를 하부에 위치하는 외부의 컨베이어유닛으로 배출하는 하단배출부재; 및
    상기 상단유입부재가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단배출부재가 하단에 구비되는 호퍼바디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바디부재는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는 호퍼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바디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상단유입부재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상기 하단배출부재가 구비되는 랩핑벽부; 및
    상기 랩핑벽부에 연결되며, 상기 랩핑벽부와 협력하여 유입된 상기 원료를 감싸게 구비되고, 상기 랩핑벽부와 대면하는 간격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시키는 경사벽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부는, 배출된 원료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이동 방향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부는, 상기 랩핑벽부에 구비되는 양측 측벽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측벽판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랩핑벽부의 배후벽판과 대면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부는,
    배출되는 원료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단배출부재에 연계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과 대면하는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원료다짐판;
    을 포함하는 호퍼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부는,
    상기 상단유입부재에 연계되어 상하 이동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판; 및
    수직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판이 상단부에 링크 결합되고, 수평이동하는 상기 원료다짐판이 하단부에 링크 결합되며, 상기 측벽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후벽판과 대면하는 각도가 조정되는 경사조절판;
    을 포함하는 호퍼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판은, 상기 측벽판과 접하는 측부에 사이드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바디부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배출되는 원료의 두께를 조정하도록 상기 호퍼바디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호퍼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호퍼유닛;
    상기 호퍼유닛으로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저장소;
    상기 호퍼유닛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유닛에서 배출되는 원료를 이동시키는 상기 컨베이어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에서 전달되는 원료를 환원시키는 환원로;
    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상기 호퍼유닛에서 전달한 원료를 상기 환원로로 이동시키는 밸트부재; 및
    상기 밸트부재의 측부에 구비되는 유실방지댐부재;
    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
KR1020170146748A 2017-11-06 2017-11-06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 KR101998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748A KR101998967B1 (ko) 2017-11-06 2017-11-06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748A KR101998967B1 (ko) 2017-11-06 2017-11-06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83A true KR20190051283A (ko) 2019-05-15
KR101998967B1 KR101998967B1 (ko) 2019-07-10

Family

ID=6657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748A KR101998967B1 (ko) 2017-11-06 2017-11-06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9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241Y2 (ja) * 1992-07-17 1998-06-1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流動床式焼却炉の給じん装置
JP3114922B2 (ja) * 1996-03-06 2000-12-04 株式会社栗本鐵工所 定量供給装置
KR200376990Y1 (ko) 2004-12-13 2005-03-14 금강와이어메쉬산업 주식회사 강섬유의 호퍼형 계량기
KR20110118207A (ko) * 2010-04-23 2011-10-31 한국기계연구원 분말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압연재 제조방법
KR20150145945A (ko) * 2014-06-20 2015-12-31 주식회사 포스코 록 호퍼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원료공급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241Y2 (ja) * 1992-07-17 1998-06-1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流動床式焼却炉の給じん装置
JP3114922B2 (ja) * 1996-03-06 2000-12-04 株式会社栗本鐵工所 定量供給装置
KR200376990Y1 (ko) 2004-12-13 2005-03-14 금강와이어메쉬산업 주식회사 강섬유의 호퍼형 계량기
KR20110118207A (ko) * 2010-04-23 2011-10-31 한국기계연구원 분말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압연재 제조방법
KR20150145945A (ko) * 2014-06-20 2015-12-31 주식회사 포스코 록 호퍼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원료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967B1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9711B1 (en) Powder application system
KR20130045375A (ko) 환원철 원료 공급 시스템
KR101998967B1 (ko)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
RU2518864C2 (ru) Литьевое сопло для горизонтальной ленточной литейной установки
KR20110054071A (ko) 소결기의 원료 장입 방법 및 장치
FI95546B (fi) Laite valun apuaineen jatkuvaksi syöttämiseksi sulan pinnalle tankovalukokillissa
CN101340991B (zh) 进料装置及其用法
US2272217A (en) Glass melting furnace
CA2303111C (en) Multichamber division type fluidized bed furnace
JP2007009051A (ja) コークスの製造方法及びコークス炉の操業方法
KR100668699B1 (ko) 소결광 배합원료 장입 장치
KR100664004B1 (ko) 회전 상로용 원료 공급 장치
US5134627A (en) Batch charger for glass furnace
KR101322062B1 (ko) 수용물 분산장치
CN208572898U (zh) 一种可调斜式喂料设备
CN112923724B (zh) 一种烧结布料松料系统
KR200254178Y1 (ko) 소결원료 호퍼내 원료의 장입장치
KR102224809B1 (ko) 소결용 분말 충진 시스템
CN202743891U (zh) 带式输送机物料对中调节装置
CN220392507U (zh) 一种单通道横向转运装置
CN217579025U (zh) 一种解决振动布料器布料均匀度及稳定入炉量的装置
CN105923423A (zh) 往复式三通卸料布料装置
CN211643519U (zh) 转弯式同步送料装置
JP2003106775A (ja) 回転炉床炉の原料装入装置
JP2005282915A (ja) 焼結原料の装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