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207A - 분말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압연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말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압연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207A
KR20110118207A KR1020100037668A KR20100037668A KR20110118207A KR 20110118207 A KR20110118207 A KR 20110118207A KR 1020100037668 A KR1020100037668 A KR 1020100037668A KR 20100037668 A KR20100037668 A KR 20100037668A KR 20110118207 A KR20110118207 A KR 20110118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guide
hopper
rollers
separa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238B1 (ko
Inventor
홍재근
박노광
김정한
염종택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2010003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23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1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profiled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30B15/302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 B30B15/308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in a continuous manner, e.g. for roller presses, screw extrusion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말압연장치는, 다수 롤러에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말공급수단 일측에는, 상기 분말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기와, 상기 안내기로부터 제공받은 분말을 상기 다수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공급기와, 분말이 저장되는 호퍼를 승/하강하여 안내기와 호퍼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와, 상기 안내기에 진동을 제공하여 분말을 분산 및 이송하는 분산기와, 상기 다수 롤러 사이에 적재된 분말의 상면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로부터 높이정보를 제공받아 상면 높이가 설정높이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말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압연재 제조방법 {A powder 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inuous rolling materials of use it}
본 발명은 분말을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분말공급수단이 구비된 분말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압연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말압연 [粉末壓延, powder rolling] 은 금속분말(金屬粉末)에서 직접 판재(板材) 등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녹는점이 높고, 녹기 어려운 재료·합금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성이 나쁜 재료를 압연하는데도 적합하다.
분말압연은 압연 롤 사이에 금속분말을 넣고 압축하여 판재, 봉재 혹은 형재 등을 성형하게 되며, 융해법(融解法)에 비해 제조공정이 단축되고, 불순물이 섞이는 일이 적으며, 연속적인 생산이 가능하므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분말을 압연하여 판재를 성형하는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분말압연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말압연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과 같이,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6-157909호에 개시된 분말압연장치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2A, 2B)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롤(2A, 2B) 상측에는 분말공급기(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롤(2A, 2B) 사이에는 분말공급기(1)로부터 제공된 분말이 저장되는 분말저장부(3)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분말저장부(3)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한 쌍의 롤(2A, 2B)에 의해 압연된 분말은 압연재가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제조된 압연재는 두께 및 폭 방향으로 품질이 보증되지 못하므로, 치수검출기(7) 및 저항검출기(8)를 구비하여 압연재 밀도의 균일성 등을 검출하도록 하는 구성이 다수 구비된다.
즉, 종래의 압연장치로 분말을 압연하여 압연재를 제조시에는 분말의 공급량이 일정하지 않아 밀도의 변화가 극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 다양한 성형방법의 재료로서 사용되어지는 미세한 크기의 분말은 응집력이 발생하여 압연에 의해 제조된 압연재의 밀도 변화가 더욱 더 커지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압연공정을 이용한 미세분말의 압연판재 성형에서는 미세분말의 응집 문제를 해소해야만 하며, 압연판재의 밀도에 변수로 작용하는 다양한 조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 롤러 사이에 공급되는 분말의 응집을 최소화하고, 균일한 속도로 공급되도록 분말공급수단을 구비하여 연속압연재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분말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압연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 롤러 사이에 적재된 분말의 표면 높이 또는 감지기와 분말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고, 설정된 표면높이 또는 설정이격거리와 비교하여 분말의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분말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압연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말압연장치는, 다수 롤러에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말공급수단 일측에는, 상기 분말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기와, 상기 안내기로부터 제공받은 분말을 상기 다수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공급기와, 분말이 저장되는 호퍼를 승/하강하여 안내기와 호퍼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와, 상기 안내기에 진동을 제공하여 분말을 분산 및 이송하는 분산기와, 상기 다수 롤러 사이에 적재된 분말의 상면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로부터 높이정보를 제공받아 상면 높이가 설정높이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말압연장치는, 다수 롤러에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말공급수단 일측에는, 상기 분말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기와, 상기 안내기로부터 제공받은 분말을 상기 다수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공급기와, 분말이 저장되는 호퍼를 승/하강하여 안내기와 호퍼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와, 상기 안내기에 진동을 제공하여 분말을 분산 및 이송하는 분산기와, 상기 다수 롤러 사이에 적재된 분말의 상면까지의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로부터 거리정보를 제공받아 이격거리가 설정이격거리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와 안내기와 공급기는 다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산기는, 상기 안내기와 호퍼 및 공급기에 동시에 진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기는 폭조절이 가능하며, 일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안내기와 호퍼 사이의 이격 거리, 상기 분산기의 진동수 및 진동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분말압연장치를 이용한 연속압연재의 제조방법은, 다수 롤러가 구비되어 제공받은 분말을 압연하여 연속압연재를 성형하는 분말압연장치를 세팅하는 장치세팅단계와, 분말을 호퍼에 장입하는 분말준비단계와, 상기 분말을 호퍼로부터 낙하시켜 이송하는 분말이송단계와, 상기 분말을 다수 롤러 사이에 낙하시켜 공급하는 분말공급단계와, 상기 다수 롤러를 회전시켜 분말을 연속압연재로 성형하는 분말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세팅단계는, 상기 분말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기와 호퍼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기와, 상기 안내기 및 호퍼에 진동을 제공하여 분말을 분산 및 이송하기 위한 분산기와, 상기 안내기를 따라 이송된 분말의 낙하방향을 안내하는 공급기의 동작 및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말공급단계와 분말성형단계 사이에는, 다수 롤러 사이에 적재된 분말의 양에 따라 상기 호퍼와 안내기 사이의 이격거리, 상기 분산기의 진동수 및 진동크기를 제어하는 동작제어단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제어단계는, 상기 공급기 일측에 구비된 감지기로부터 적재된 분말의 표면까지의 측정거리와 설정이격거리를 비교하여 분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제어단계는, 상기 적재된 분말의 표면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기의 측정표면높이와 설정표면높이를 비교하여 분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말압연장치 일측에 분말공급수단을 구비하되 분말을 분산하기 위한 분산기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분말의 응집이 방지되어 연속압연재의 품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말의 낙하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급기와, 롤러 사이에 적재된 분말 상면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롤러 사이에 적재된 분말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불량율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분말압연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압연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분말압연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압연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압연장치를 이용한 연속압연재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말압연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압연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압연장치는 크게 다수 롤러(110)가 구비되어 공급받은 분말을 압연하여 연속압연재(도 3의 도면부호 S)를 성형하는 분말압연수단(100)과, 상기 분말압연수단(100)의 일측에서 분말을 공급하기 위한 분말공급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말압연수단(10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분말을 압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분말공급수단(200)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서, 한 쌍의 롤러(110) 사이에 분말을 공급하며, 롤러(110) 사이에 적재된 분말의 높이 또는 적재량의 변화에 따라 분말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말공급수단(200)은 다수의 롤러(110)에 분말을 공급시에 응집된 상태를 분산시켜 공급함으로써 연속압연재(S)가 고른 밀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분말공급수단(200)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압연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분말공급수단(200)은 분말압연수단(100)의 좌측 상부에 위치하며, 우측 방향으로 분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분말공급수단(200)의 우측단부는 한 쌍의 롤러(110) 사이에서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롤러(110) 사이에 분말이 낙하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말공급수단(200)의 상부에는 호퍼(210)가 구비된다. 상기 호퍼(210)는 비어있는 내부가 하방향을 통해 외부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분말이 저장되는 곳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내부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110) 내부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회전날개 등을 구비하여 분말의 공급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호퍼(210)의 하측에는 안내기(220)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기(220)는 호퍼(210) 내부에서 하측으로 낙하한 분말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안내기(220)의 길이방향 우측에는 상기 롤러(110)가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기(220)의 우측단부에는 공급기(23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기(230)는 안내기(220)의 상면을 따라 이송한 분말이 롤러(110) 사이에 낙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안내기(220)의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꺾어져 경사지게 고정된다.
상기 안내기(220)의 하측에는 분산기(240)가 구비된다. 상기 분산기(240)는 안내기(220)에 진동을 제공하여 안내기(220) 상면에 안착된 분말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과, 응집된 분말이 진동에 의해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산기(240)는 안내기(220)의 하면 일측과 접촉한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분산기(240) 하면에는 안내기(220)로 진동이 전해질 수 있도록 방진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분산기(240)의 좌측 상부에는 높이조절기(250)가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기(250)는 안내기(220)와 호퍼(2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호퍼(210)의 하부를 파지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여 호퍼(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기(250)에 의해 호퍼(210)와 안내기(220)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분말의 낙하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산기(240)는 안내기(220) 뿐만 아니라, 공급기(230) 및 호퍼(210)에도 진동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안내기(220)와 공급기(230)는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안내기(220)에 공급된 진동은 공급기(230)에도 전달되며, 상기 호퍼(210)에 제공되는 진동은 호퍼(210) 내부에 보관된 분말의 낙하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산기(240)의 하측에는 레일(260)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260)은 분말공급수단(200)이 분말압연수단(100)의 상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며 분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공급기(230)의 우측 하단에는 감지기(270)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기(270)는 하측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다수 롤러(110) 사이에 낙하하여 적재된 분말의 표면까지 이격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기(270)는 분산기(240) 또는 호퍼(110) 내부에 구비된 회전날개 등의 동작 상태와 연동하여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거리측정센서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감지기(270)는 공급기(230)의 우측 하단에서 하방향으로 분말의 표면까지 거리를 측정하게 되며, 이러한 측정이격거리는 제어기(280)에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280)는 설정된 이격거리와 측정된 이격거리(h)를 비교하여 분산기(240)의 진동수 및 진동크기를 제어하여 분말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기(280)는 감지기(270)로부터 측정거리 신호를 제공받아 공급기(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기(280)에는 이격거리가 설정되어 있고, 이러한 설정이격거리는 제어기(280)에 의해 측정거리(h)와 실시간으로 비교되며, 상기 측정거리(h)가 설정이격거리보다 커지는 경우 상기 제어기(280)는 분산기(240)의 진동수 및 진동크기를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기(280)는 감지기(270)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거리와 설정이격거리를 비교하여 높이조절기(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기(270) 및 제어기(280)의 연동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분말압연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감지기(270)는 별도의 프레임(f)에 고정되어 상기 롤러(110)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분말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기(270)는 적재된 분말의 설정높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롤러(110)의 길이 방향으로 분말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기(280)는 감지기(270)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연동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기(250) 및 분산기(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분말압연장치를 이용한 연속압연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분말압연장치를 이용한 연속압연재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연속압연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분말압연장치(100)를 세팅하는 장치세팅단계(S100)와, 분말을 호퍼(210)에 장입하는 분말준비단계(S200)와, 상기 분말을 호퍼(210)로부터 낙하시켜 이송하는 분말이송단계(S300)와, 상기 분말을 다수 롤러(110) 사이에 낙하시켜 공급하는 분말공급단계(S400)와, 상기 다수 롤러(110)를 회전시켜 분말을 연속압연재(S)로 성형하는 분말성형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치세팅단계(S100)는 분말압연장치의 모든 구성요소가 동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준비하는 과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호퍼(110) 내부에 구비된 회전날개의 회전속도, 상기 안내기(220)와 호퍼(210) 사이의 이격 거리, 상기 분산기(240)의 진동수 및 진동크기 등을 조절하는 과정이다.
상기 장치세팅단계(S100)가 완료되면, 상기 호퍼(210)에 분말을 장입하여 분말준비단계(S200)를 마치게 된다.
이후 상기 호퍼(210)의 하부를 개구하여 분말을 이송하는 분말이송단계(S300)가 실시된다. 상기 분말이송단계(S300)는 분산기(240)로부터 진동을 제공받은 안내기(220) 상면으로 분말을 이송하는 과정으로, 상기 안내기(220)를 따라 이송 방향이 안내된 분말은 분산된 상태로 공급기(230)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분산기(240)는 호퍼(210) 및 공급기(230)에도 진동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호퍼(210) 내부의 회전날개는 회전하는 상태여야 한다.
이후 상기 분말공급단계(S400)가 실시된다. 상기 분말공급단계(S400)는 공급기(230)를 따라 우측 하방향으로 안내된 후 낙하한 분말이 한 쌍의 롤러(110) 사이에 적재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상기 분말공급단계(S400) 중에는 동작제어단계(S500)가 실시된다.
상기 동작제어단계(S500)는 적재된 분말의 표면과 감지기(270) 사이의 거리(도 3의 도면부호 h)와 설정이격거리를 제어기(280)에서 비교하여 롤러(110) 내부의 회전날개 회전속도, 분산기(240)의 진동수 및 진동크기, 안내기(220)와 호퍼(210) 사이의 이격 거리 등을 조절하는 과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롤러(110) 사이의 분말 높이는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어야만 균일한 연속압연재(S)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상기 감지기(270)로부터 분말의 표면까지 거리를 설정이격거리 만큼 유지시키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기(270)는 분말의 표면까지 이격 거리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게 되고, 측정된 값을 제어기(280)로 제공하게 되며, 상기 제어기(280)는 측정된 이격 거리(h)와 설정이격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분산기(240)의 진동수 및 진동크기를 조절하거나, 안내기(220)와 호퍼(2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동작제어단계(S500)에서 감지기(270)가 도 4와 같이 실시된 경우에는, 상기 감지기(270)는 고정된 위치에서 분말의 적층 높이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기(270)는 근접센서 등이 적용되어 감지하는 방향의 간섭물, 즉 적층된 분말의 상단부가 감지되면 이러한 신호를 제어기(280)에 전송하고, 제어기(280)는 이러한 신호를 제공받아 분말의 공급량이 감소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후 상기 분말성형단계(S600)가 실시된다. 상기 분말성형단계(S600)는 한 쌍의 롤러(110)를 회전시켜 사이에 적재된 분말을 압연함으로써 연속압연재(S)를 제조하는 과정이다.
상기와 같은 다수 단계에 의해 연속압연재(S)의 제조가 완료되며, 상기 분말공급수단(200)의 작동에 의해 분말의 적재높이가 유지되어 제조된 연속압연재(S)는 고른 밀도를 갖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내기와 호퍼 및 공급기가 하나 씩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제조하고자 하는 연속압연재(S)의 폭에 따라 다수개로 구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100. 분말압연수단 110. 롤러
200. 분말공급수단 210. 호퍼
220. 안내기 230. 공급기
240. 분산기 250. 높이조절기
260. 레일 270. 감지기
280. 제어기 h . 측정이격거리
S . 연속압연재 S100. 장치세팅단계
S200. 분말준비단계 S300. 분말이송단계
S400. 분말공급단계 S500. 동작제어단계
S600. 분말성형단계

Claims (11)

  1. 다수 롤러에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말공급수단 일측에는,
    상기 분말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기와,
    상기 안내기로부터 제공받은 분말을 상기 다수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공급기와,
    분말이 저장되는 호퍼를 승/하강하여 안내기와 호퍼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와,
    상기 안내기에 진동을 제공하여 분말을 분산 및 이송하는 분산기와,
    상기 다수 롤러 사이에 적재된 분말의 상면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로부터 높이정보를 제공받아 상면 높이가 설정높이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압연장치.
  2. 다수 롤러에 분말을 공급하는 분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말공급수단 일측에는,
    상기 분말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기와,
    상기 안내기로부터 제공받은 분말을 상기 다수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공급기와,
    분말이 저장되는 호퍼를 승/하강하여 안내기와 호퍼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와,
    상기 안내기에 진동을 제공하여 분말을 분산 및 이송하는 분산기와,
    상기 다수 롤러 사이에 적재된 분말의 상면까지의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로부터 거리정보를 제공받아 이격거리가 설정이격거리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압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와 안내기와 공급기는 다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압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기는,
    상기 안내기와 호퍼 및 공급기에 동시에 진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압연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기는 폭조절이 가능하며, 일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압연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안내기와 호퍼 사이의 이격 거리, 상기 분산기의 진동수 및 진동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압연장치.
  7. 다수 롤러가 구비되어 제공받은 분말을 압연하여 연속압연재를 성형하는 분말압연장치를 세팅하는 장치세팅단계와,
    분말을 호퍼에 장입하는 분말준비단계와,
    상기 분말을 호퍼로부터 낙하시켜 이송하는 분말이송단계와,
    상기 분말을 다수 롤러 사이에 낙하시켜 공급하는 분말공급단계와,
    상기 다수 롤러를 회전시켜 분말을 연속압연재로 성형하는 분말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압연장치를 이용한 연속압연재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세팅단계는,
    상기 분말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기와 호퍼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기와, 상기 안내기 및 호퍼에 진동을 제공하여 분말을 분산 및 이송하기 위한 분산기와, 상기 안내기를 따라 이송된 분말의 낙하방향을 안내하는 공급기의 동작 및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압연장치를 이용한 연속압연재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공급단계와 분말성형단계 사이에는,
    다수 롤러 사이에 적재된 분말의 양에 따라 상기 호퍼와 안내기 사이의 이격거리, 상기 분산기의 진동수 및 진동크기를 제어하는 동작제어단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압연장치를 이용한 연속압연재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단계는,
    상기 공급기 일측에 구비된 감지기로부터 적재된 분말의 표면까지의 측정거리와 설정이격거리를 비교하여 분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압연장치를 이용한 연속압연재의 제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단계는,
    상기 적재된 분말의 표면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기의 측정표면높이와 설정표면높이를 비교하여 분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압연장치를 이용한 연속압연재의 제조방법.
KR20100037668A 2010-04-23 2010-04-23 분말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압연재 제조방법 KR10118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7668A KR101181238B1 (ko) 2010-04-23 2010-04-23 분말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압연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7668A KR101181238B1 (ko) 2010-04-23 2010-04-23 분말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압연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207A true KR20110118207A (ko) 2011-10-31
KR101181238B1 KR101181238B1 (ko) 2012-09-10

Family

ID=4503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7668A KR101181238B1 (ko) 2010-04-23 2010-04-23 분말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압연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2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283A (ko)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포스코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
KR20210063536A (ko) * 2019-11-23 2021-06-02 강신탁 자동 조미장치
KR102318083B1 (ko) * 2021-06-09 2021-10-27 청진리텍앤오가와 주식회사 칩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부산물을 탈산제용 브리켓으로 성형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4866B2 (ja) * 1998-09-02 2008-11-05 株式会社Ihi 粉末圧延機
JP4174872B2 (ja) 1998-09-28 2008-11-05 株式会社Ihi 粉末圧延機
JP4305976B2 (ja) 1998-09-28 2009-07-29 株式会社Ihi 粉末圧延装置
JP4206569B2 (ja) 1999-07-02 2009-01-14 株式会社Ihi 金属箔の製造方法及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283A (ko)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포스코 호퍼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장치
KR20210063536A (ko) * 2019-11-23 2021-06-02 강신탁 자동 조미장치
KR102318083B1 (ko) * 2021-06-09 2021-10-27 청진리텍앤오가와 주식회사 칩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부산물을 탈산제용 브리켓으로 성형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238B1 (ko) 201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238B1 (ko) 분말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압연재 제조방법
CN112839756B (zh) 具有可移动、可控的粉末分配的增材制造设备
KR101223114B1 (ko) 소결 원료 장입 분포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CA265712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red wire
CA2914769A1 (en) A method of compaction of a powder and a roller compaction device
WO2017167226A1 (zh) 一种称料装置和称料方法、冷压机
CN104325142B (zh) 连轧连烧粉末轧制装置
CN210150192U (zh) 一种滴灌带生产使用的原料输送设备
JP5929787B2 (ja) 塊成体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5139543A (ja) 定量輸送装置
CN108466708A (zh) 一种粉剂颗粒定量包装机
DE102023100772B3 (de) Anlage zur Herstellung eines mit einem Trockenfilm beschichteten Trägersubstrates
DE102023100769B3 (de) Vorrichtung zum Beschichten eines Trägersubstrates mit einem pulverförmigen Material
DE102023100771B3 (de) Vorrichtung zum Beschichten eines Trägersubstrates mit einem pulverförmigen Material
KR101534126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원료 장입 방법
CN217012727U (zh) 一种烟丝掺配装置
CN204220994U (zh) 粉末轧制装置
CN220062523U (zh) 一种回转窑均匀喂料装置
CN209721125U (zh) 一种泡棉环切机收卷装置
CN212681506U (zh) 一种涂覆式打印膜加工设备
DE10202212408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Dichte einer auf einer Mantelfläche einer Walze geförderten Materialschicht sowie Beschichtungsvorrichtung zum Beschichten eines Trägersubstrates mit einer Materialschicht
WO2023237238A1 (de) Vorrichtung zum beschichten eines trägersubstrates mit einem pulverförmigen material sowie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s produktstranges mit einem auf einem trägersubstrat aufgebrachten trockenfilm
CN113526067A (zh) 一种药芯焊丝加粉器
DE102022118688A1 (de) Vorrichtung zum Zuführen pulverförmigen Materials in einen Walzenspalt sowie Beschichtungs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JP2006071613A (ja) 計量器及び計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