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539A -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튀김용 유지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튀김용 유지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539A
KR20190049539A KR1020180130117A KR20180130117A KR20190049539A KR 20190049539 A KR20190049539 A KR 20190049539A KR 1020180130117 A KR1020180130117 A KR 1020180130117A KR 20180130117 A KR20180130117 A KR 20180130117A KR 20190049539 A KR20190049539 A KR 20190049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icroemulsion
rosemary extract
weight
f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경
김윤식
Original Assignee
롯데푸드 주식회사
롯데지알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푸드 주식회사, 롯데지알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푸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4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5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튀김용 유지 조성물은 정제 대두유, 정제 채종유, 정제 팜유 또는 이의 혼합물 1000 중량부, 및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20 내지 0.7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튀김유지의 품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산가, 총 극성화합물, 색가 등이 개선 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튀김용 유지 및 조성물{OIL AND FAT COMPOSITION FOR AND OIL AND FAT FOR FRIED FOOD USING MICROEMULSION}
본 발명은 마이크로 에멀젼화된 항산화제를 식용 유지에 첨가하여 산화안정성이 개선된 튀김용 유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튀김용 유지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로즈마리 추출물을 마이크로 에멀젼화하여 제조함으로써 조성물로 포함시켰다. 본 발명은 튀김 유지의 품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산가, 색가 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튀김용 유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업적으로 튀김용 유지는 대두유, 카놀라유, 팜유 등 대부분 식물성 유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튀김 작업은 180℃ 이상의 고온 조건하에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식용 유지는 열로 인한 산화가 일어나게 되어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히 식용 유지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대두유의 경우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아 산화에 가장 취약한 문제를 갖고 있다.
튀김 작업으로 인해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할 경우 자동산화 외에 열에 의한 산화, 가수분해, 중합 등의 부가적 반응을 일으키게 되어 이미, 이취 발생, 착색, 산가 상승 등 튀김물의 품질을 급격하게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튀김용 유지의 열에 대한 안정성 확보는 산업에서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하여 고려된다.
유지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토코페롤, 로즈마리, 카테킨 등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카테킨, 로즈마리 등은 과량 사용했을시 유지 본연의 색상 및 풍미에 영향을 주고, 지용성인 식용 유지에 잘 용해 되지 않아 보관 유통시 침전 등의 문제점을 야기시키기도 한다.
식품업계에서는 식용 유지의 튀김시 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 할 수 있으면서도 유지 자체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은 새로운 물질을 찾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번호 10-02359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 에멀젼 기술을 기존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항산화제 중 항산화능은 우수하지만 용해성, 분산성 등의 유지 자체의 품질에 대한 영향 및 비용 등의 문제로 식용 유지와의 접목에 대해 어려움이 있던 로즈마리 추출물에 적용함으로써 튀김유지의 품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산가, 색가 등을 개선함으로써 산화안정성이 개선된 튀김용 유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유지 조성물은 정제 대두유, 채종유, 팜유 또는 이의 혼합물 1000 중량부, 및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20 내지 0.7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튀김용 유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 사이즈는 0.2 내지 0.6 μm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유지는 정제 대두유, 채종유, 팜유 또는 이의 혼합물 1000 중량부, 및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20 내지 0.7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튀김용 유지에 있어서, 상기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 사이즈는 0.2 내지 0.6 μm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유지 조성물은 산가, 색가의 상승을 억제하여 산화안정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튀김유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여 고온의 튀김 적성에 적합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유지 조성물은 정제 대두유, 채종유, 팜유 또는 이의 혼합물 1000 중량부, 및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20 내지 0.75 중량부를 포함한다. 정제 대두유, 채종유, 팜유는 탈검, 탈산, 탈색, 탈취 등의 일반적인 정제 과정을 통해 생산한 것일 수 있다.
로즈마리 추출물은 식물성유지의 산가, 색가의 증가를 억제한다.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은 식물성유지 1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0 내지 0.75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0.20 중량부 미만이거나, 0.75 중량부 초과이면, 산화안정성 지표 중 하나인 유도기(induction period)가 낮아 튀김 등의 산화를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다.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 사이즈는 0.2 내지 0.6 μm 인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즈마리 추출물은 입자 사이즈가 0.75 μm 이상으로,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산화안정성 지표 중 하나인 유도기(induction period)가 낮아 튀김 등의 산화를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은 입자 사이즈가 0.2 내지 0.6 μm 범위여서 튀김 등의 산화 억제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용 유지 조성물은 산가, 총 극성화합물, 색가의 억제율을 나타내는 산화안정성이 향상된 유지로서, 고온의 튀김 적성에 적합한 가열 조리용 유지 조성물로 유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유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유지 조성물과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유지 조성물에 따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유지는 정제 대두유, 채종유, 팜유 각각의 1000 중량부, 및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20 내지 0.75 중량부를 포함한다. 정제 대두유는 탈검, 탈산, 탈색, 탈취 등의 일반적인 정제 과정을 통해 생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정제 대두유, 채종유, 팜유는 각각 종자나 과육에서 채유된 반 건성유 또는 건성유로서, 식용에 적합하도록 탈검, 탈산, 탈색, 탈취 등의 정제 과정을 거친 것을 의미한다.
로즈마리 추출물은 대두유의 산가, 색가의 증가를 억제한다.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은 정제 대두유, 채종유, 팜유 1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0 내지 0.75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0.20 중량부 미만이거나, 0.75 중량부 초과이면, 산화안정성 지표 중 하나인 유도기(induction period)가 낮아 튀김 등의 산화를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즈마리 추출물을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것으로 포함하는바, 이는 로즈마리 추출물에 물, 유화제, 기능성 물질을 넣고 일정한 온도에서 반응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입자 사이즈가 작고 이연속성의 특성을 지녀 물 또는 기름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양친매성 물질이다.
마이크로 에멀젼은 식용 유지에 물, 유화제를 넣고 일정한 온도에서 반응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이는 입자 사이즈가 기존에 비해 작고 이연속성의 특성을 가져 양친성을 갖고 있어 물 또는 기름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특징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 에멀젼 유화 기술을 항산화제와 접목하여 유지와 항산화제의 계면장력을 낮춰 항산화제의 기름에 대한 용해도 향상, 안정성 향상, 적용성을 향상 함으로써 항산화제의 기능에 대한 효율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용 유지는 산가, 색가의 억제율을 나타내는 산화안정성이 향상된 유지로서, 고온의 튀김 적성에 적합한 가열 조리용 유지로 유용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60℃의 정제 대두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20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정제 대두유 10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20중량부 첨가). 상기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사이즈는 0.2 내지 0.6 μm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60℃의 정제 대두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50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정제 대두유 10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50중량부 첨가). 상기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사이즈는 0.2 내지 0.6 μm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60℃의 정제 대두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75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정제 대두유 10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75중량부 첨가). 상기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사이즈는 0.2 내지 0.6 μm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60℃의 정제 채종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20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정제 대두유 10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20중량부 첨가). 상기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사이즈는 0.2 내지 0.6 μm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
60℃의 정제 채종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50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정제 대두유 10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50중량부 첨가). 상기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사이즈는 0.2 내지 0.6 μm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6
60℃의 정제 채종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75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정제 대두유 10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75중량부 첨가). 상기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사이즈는 0.2 내지 0.6 μm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7
60℃의 정제 팜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20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정제 대두유 10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20중량부 첨가). 상기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사이즈는 0.2 내지 0.6 μm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8
60℃의 정제 팜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50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정제 대두유 10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50중량부 첨가). 상기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사이즈는 0.2 내지 0.6 μm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9
60℃의 정제 팜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75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정제 대두유 1000중량부에 대하여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75중량부 첨가). 상기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사이즈는 0.2 내지 0.6 μm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60℃의 정제 대두유 1kg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60℃의 정제 대두유 1kg에 로즈마리 추출물 0.20g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60℃의 정제 대두유 1kg에 대해 로즈마리 추출물 0.75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60℃의 정제 대두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10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60℃의 정제 대두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1.0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60℃의 정제 채종유 1kg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7
60℃의 정제 채종유 1kg에 로즈마리 추출물 0.20g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60℃의 정제 채종유 1kg에 대해 로즈마리 추출물 0.75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9
60℃의 정제 채종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10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60℃의 정제 채종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1.00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60℃의 정제 팜유 1kg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2
60℃의 정제 팜유 1kg에 로즈마리 추출물 0.20g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60℃의 정제 팜유 1kg에 대해 로즈마리 추출물 0.75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60℃의 정제 팜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10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5
60℃의 정제 팜유 1kg에 대해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1.00g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산화 안정성 테스트(AOM test)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유지를 테스트 튜브(test tube)에 3g 넣고 100℃ 에서 일정한 속도로 산소를 흘려주어 산화를 가속화함으로써 유지의 산화안정성을 측정하는 AOM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유도기
(h)
14.5 15.0 18.3 10.2 11.0 12.5 10.5 12.0
구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유도기
(h)
20.0 20.5 22.8 15.0 17.0 17.8 15.3 16.0
구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유도기
(h)
21.3 21.0 22.0 15.8 17.4 18.3 16.2 17.0
표 1의 결과를 보면, 정제 대두유에 동량 농도로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3 이 비교예 2 내지 3 에 비해 유도기(induction period)가 32 내지 46% 더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4와 5의 경우 무첨가한 비교예1 과 비교하여 유도기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정제 대두유 1000중량부 대비 0.10 중량부 이하 내지 1.00 중량부 이상 일 때에는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제 채종유에 동량 농도로 사용한 실시예 4 내지 6 이 비교예 7 내지 8에 비해 유도기(induction period)가 18 내지 34% 더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9 와 10의 경우 무첨가한 비교예6 과 비교하여 유도기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정제 채종유 1000중량부 대비 0.10 중량부 이하 내지 1.00 중량부 이상 일 때에는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제 팜유에 동량 농도로 사용한 실시예 7 내지 9 가 비교예 12 내지 13에 비해 유도기(induction period)가 20 내지 23% 더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4 와 15의 경우 무첨가한 비교예11 과 비교하여 유도기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정제 채종유 1000중량부 대비 0.10 중량부 이하 내지 1.00 중량부 이상 일 때에는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튀김 테스트
실시예 1 과 3, 실시예 4 와 6, 실시예 7 과 9, 비교예 1, 2, 3 과 비교예 6, 7, 8 과 비교예 11, 12, 13의 유지를 대상으로 튀김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3L 스테인리스 보틀에 2kg의 유지를 담고 180℃로 유지를 가열한 후 100g의 치킨 너겟을 넣어 5분 동안 튀김 작업을 진행하였다. 동일한 작업을 30회 반복하여 튀김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분석은 최종 30회 튀김테스트 완료 후 산가, 총 극성화합물 및 색가를 측정하여 유지의 산화 정도를 평가 하였다. 이 때 사용한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산가 및 색가는 비교예 1, 6, 11의 결과 값을 100으로 하였을 때 상대적인 값으로 표현하였다.
(1) 산가 측정
유지 1g에 포함된 유리지방산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수산화칼륨(KOH)의 mg수를 측정하였다.
(2) 색가 측정
Lovibond 색도계를 사용하여 0.5 인치(inch) 셀(cell)로 측정하였으며, 이 때 값은 R(red), Y(yellow)을 10R+Y로 표현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산가
(mgKOH/g)
83 75 100 98 95
색가
(Lovibond 0.5 inch cell, 10R+Y)
89 79 100 95 93
구분 실시예4 실시예6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산가(mgKOH/g) 82 70 98 95 95
색가(Lovibond 0.5 inch cell, 10R+Y) 87 72 95 92 92
구분 실시예7 실시예9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산가(mgKOH/g) 80 74 95 97 95
색가(Lovibond 0.5 inch cell, 10R+Y) 90 86 102 100 102
표 2의 결과를 보면, 정제 대두유에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일반 로즈마리 추출물을 동량 첨가한 비교예 2 내지 3의 유지에 비해 산가 및 총 극성화합물, 색가 모두 감소되는 효과를 보여 실험예 1과 동일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이 무첨가한 비교예 1보다 모든 항목에서 더 낮은 결과를 보여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함량이 0.20 내지 0.75 중량부 내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상화능이 더 상승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비교예 2 내지 3의 유지에 비해 산가는 약 15 내지 21%, 극성화합물의 경우 약 13 내지 20%, 색가의 경우 6 내지 15% 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찬가지로 정제 채종유에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사용한 실시예 4 내지 6의 경우 일반 로즈마리 추출물을 동량 첨가한 비교예 7 내지 8의 유지에 비해 산가 및 총 극성화합물, 색가 모두 감소되는 효과를 보여 실험예 1과 동일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이 무첨가한 비교예 1보다 모든 항목에서 더 낮은 결과를 보여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함량이 0.20 내지 0.75 중량부 내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상화능이 더 상승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내지 6의 경우 비교예 7 내지 8의 유지에 비해 산가는 약 14 내지 26%, 극성화합물의 경우 약 33 내지 41%, 색가의 경우 5 내지 21% 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정제 팜유에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사용한 실시예 7 내지 9의 경우 일반 로즈마리 추출물을 동량 첨가한 비교예 12 내지 13의 유지에 비해 산가 및 총 극성화합물, 색가 모두 감소되는 효과를 보여 실험예 1과 동일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이 무첨가한 비교예 1보다 모든 항목에서 더 낮은 결과를 보여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함량이 0.20 내지 0.75 중량부 내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상화능이 더 상승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내지 9의 경우 비교예 12 내지 13의 유지에 비해 산가는 약 18 내지 22%, 극성화합물의 경우 약 20 내지 35%, 색가의 경우 10 내지 15% 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2를 통해 식물성유지인 정제 대두유, 정제 채종유, 정제 팜유에 마이크로 에멀젼화한 로즈마리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튀김용 유지의 사용가능 기간을 보다 연장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laims (4)

  1. 정제 대두유, 정제 채종유, 정제 팜유 또는 이의 혼합물 1000 중량부; 및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20 내지 0.75 중량부;를 포함하는 튀김용 유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 사이즈는
    0.2 내지 0.6 μm 인 것인 튀김용 유지 조성물.
  3. 정제 대두유, 정제 채종유, 정제 팜유 또는 이의 혼합물 1000 중량부; 및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로즈마리 추출물 0.20 내지 0.75 중량부;를 포함하는 튀김용 유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즈마리 추출물의 입자 사이즈는
    0.2 내지 0.6 μm 인 것인 튀김용 유지.
KR1020180130117A 2017-10-31 2018-10-29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튀김용 유지 및 조성물 KR20190049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498 2017-10-31
KR20170143498 2017-10-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155A Division KR20190069375A (ko) 2017-10-31 2019-06-12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튀김용 유지 및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539A true KR20190049539A (ko) 2019-05-09

Family

ID=665457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117A KR20190049539A (ko) 2017-10-31 2018-10-29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튀김용 유지 및 조성물
KR1020190069155A KR20190069375A (ko) 2017-10-31 2019-06-12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튀김용 유지 및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155A KR20190069375A (ko) 2017-10-31 2019-06-12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튀김용 유지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495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932B1 (ko) * 2020-11-24 2021-09-02 (주)자연인 에프앤씨 산패 억제능이 향상된 유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르티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924B1 (ko) 1992-12-15 1999-12-15 손경식 튀김전용유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924B1 (ko) 1992-12-15 1999-12-15 손경식 튀김전용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375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55760B (zh) 油炸食物用油脂混合物
CN101854807B (zh) 制备具有良好热稳定性油炸用油脂组合物的方法
KR20140012141A (ko) 유지 조성물
Hwang et al. Feasibility of hemp seed oil oleogels structured with natural wax as solid fat replacement in margarine
TWI583310B (zh) 加熱烹飪用油脂組成物及其製造方法、以及加熱烹飪用油脂組成物用酸值上升抑制劑
TWI524851B (zh) 加熱烹飪用油脂組成物及其製造方法
Yang et al. A novel deodorization method of edible oil by using ethanol steam at low temperature
WO2015064569A1 (ja) 加熱調理用油脂
TW201511685A (zh) 加熱烹調用油脂組合物和該加熱烹調用油脂組合物的製造方法
KR20190069375A (ko)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튀김용 유지 및 조성물
JP4931095B1 (ja) 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N102461677A (zh) 一种提高长链多不饱和脂肪酸稳定性的组合物及其用途
KR101899365B1 (ko) 산화안정성이 개선된 튀김용 유지 조성물
TW201934735A (zh) 油炸調理食用油脂組成物之甲氧苯胺值上升及生育酚類減少的抑制方法
CN104593149A (zh) 含有芝麻酚和芝麻酚酯的油脂抗氧剂组合
Sánchez‐Muniz et al. A non‐extractable condensed‐tannins fiber reduces thermal oxidation in oils at frying temperature
JP5786215B1 (ja) 抗酸化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添加した油脂
EP2384645B1 (en) Process for preparing a frying oil
CN108236018B (zh) 一种煎炸用油脂专用的天然消泡剂复配混合物
JP5143067B2 (ja) 食用油脂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食用油脂
JP4612119B2 (ja) 乳化剤含有食用油脂組成物の工業的製造方法
WO2008046168A2 (en) Triglyceridic nature oil with improved nutritional properti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2008245637A (ja) 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
KR20090117928A (ko) 용기 내 유지 조성물
Permana et al. A review on the potential of natural antioxidant sources to improve oxidative stability in edible o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