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928A - 용기 내 유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용기 내 유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928A
KR20090117928A KR1020097018011A KR20097018011A KR20090117928A KR 20090117928 A KR20090117928 A KR 20090117928A KR 1020097018011 A KR1020097018011 A KR 1020097018011A KR 20097018011 A KR20097018011 A KR 20097018011A KR 20090117928 A KR20090117928 A KR 20090117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ass
container
palm olein
soybea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카메가이
하츠미 시마다
준이치 이쿠이나
Original Assignee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7212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11792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92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6Preservation of finish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대두유와 팜 올레인을 함유하는 유지 조성물을 용기에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로서, 대두유 100질량부에 대해서 팜 올레인의 비율이 33∼100질량부이고, 팜 올레인이 요오드가 65이상, 운점 5℃이하로서, 팜 올레인의 구성 지방산이 미리스틴산 0∼4질량%, 팔미트산 25∼38질량%, 스테아린산 0.5∼6질량%, 올레인산 40∼60질량%, 및 리놀산 8∼18질량%를 포함하며, 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광투과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이다. 이 용기 내 유지 조성물은, 통상의 진열 판매에서 조사되는 광 존재하 등에서 보존했을 때에 생기는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의 발생이 보다 적으며, 대두유를 높은 비율로 포함한다.
대두유, 팜 올레인, 구성 지방산, 유지 조성물, 광투과성 재료

Description

용기 내 유지 조성물{OIL AND FAT COMPOSITION IN CONTAINER}
본 발명은 식용 유지를 광투과성 용기에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장에서 유통되는 용기, 특히 개인 소비자의 구매에 제공되는, 형광등 등의 빛을 용이하게 투과하는 용기에 식용 유지를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용기 내 식용 유지에 관한 것이다.
2003년도 일본 식용 유지 수요는 채종유 84만톤, 대두유 72만톤이고, 그 뒤를 이어 팜유가 35만톤으로 되어 있다. 대두유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유지로서 3250만톤(2005년)이 생산되고 있다.
채종유는 가정용 샐러드유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대두와의 조합유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채종유의 담백한 풍미 특성과 안정성의 우수함을 살려 '카놀라'의 명칭으로 단독 상품이 유통되고 소비자에게 수용되면서 수요가 늘고 있다.
한편, 대두유는 '냄새가 역행하는(flavor reversion)' 깍지콩 냄새(이하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가 불쾌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 역행 냄새는 빛에 의해 발생한다고도 하여 리놀렌산설, 푸란산(furan acid)설 등 원인 물질이 추정되고 있으나, 아직 특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과제의 해결은 곤란하기 때문에, 용기가 투명하여 빛을 투과하는 경우, 대두유를 높은 비율로 포함하는 식용 유지는 상미(賞味)에 견딜 수 있는 품질을 보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이 하나의 원인이 되어, 대두유는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수요는 늘지 않고 있다.
상기 냄새 발생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통상 대두유나 대두유를 많이 포함하는 유지 조성물을 금속성의 차광 용기(예컨대 통조림캔, 원통캔)에 넣어 유통하고 있다. 그러나 차광 용기는 금속제의 것이면 매우 무거워서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용물이 보이지 않아서 잔량을 알 수 없는 등 편의성이 결여되거나, 내용물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안심감이 결여한 형태라는 문제도 있다. 특히 일반 가정용으로 이용하는 400∼1500mL 용기로서 금속제인 것에 대해서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통상 대두유는 샐러드유의 명칭으로 대두유와 채종유와의 혼합 유지로서 유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혼합 유지 중 대두유의 비율이 증가하면 상기 빛에 의한 냄새 발생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미 일반 가정용의 식용 유지의 포장체(예컨대 PET 용기)로 유통·판매한 경우, 빛에 의한 '냄새의 역행'이 생기기 때문에 샐러드유의 배합량이 조정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또한 산소 배리어성이 높은 용기에 넣은 식용 유지에 관한 기술도 제안되어 있으나(특허문헌 1, 2), 이 기술로는 빛에 의해 대두유 특유의 불쾌한 역행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전혀 개선되지 않는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29205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27505호 공보
비특허문헌 1: 유지, 1997년, 제50권, 제5호, P41∼50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통상의 진열 판매에서 조사(照射)되는 광 존재하에서 보존했을 때에 생기는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의 발생이 보다 적은, 대두유를 높은 비율로 포함하는 유지를 광투과성 용기에 충전한 용기 내 유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대두유에 대해서 특정 팜 올레인을 특정한 비율로 첨가한 유지 조성물을 광투과성 용기에 충전, 수용한 것이, 대두유와 다른 유지와의 유지 조성물을 광투과성 용기에 충전, 수용한 것에 비해, 광 존재하에서 보전했을 때에 생기는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의 발생이 적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대두유와 팜 올레인을 함유하는 유지 조성물을 용기에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로서,
대두유 100질량부에 대해서 팜 올레인의 비율이 33∼100질량부이고,
팜 올레인이 요오드가(價) 65이상, 운점(clouding point) 5℃이하로서, 팜 올레인의 구성 지방산이 미리스틴산 0∼4질량%, 팔미트산 25∼38질량%, 스테아린산 0.5∼6질량%, 올레인산 40∼60질량%, 및 리놀산 8∼18질량%를 포함하며,
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광투과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팜 올레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유에 빛이 조사됐을 때에 발생하는 역행 냄새의 발생 억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일부가 광투과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 내 대두유 중에 팜 올레인을 존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용기에 빛이 조사됐을 때에 대두유로부터 발생하는 역행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기 내 유지 조성물은, (a)대두유 단체(單體)(100%)를 광투과성 용기에 수용한 것이나, (b)대두유와 채종유를 중량비 40∼90:60∼10으로 함유하는 유지 조성물을 광투과성 용기에 수용한 것과 비교해서, 광 존재하에서 보존했을 때에 생기는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의 발생이 적다. 즉, 통상의 진열 판매에서 조사되는 광 존재하 등에서 보존했을 때에 생기는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의 발생이 보다 적기 때문에, 광투과성 용기에 수용해서 다량의 대두유를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두유 100질량부에 대해서 팜 올레인 33∼100질량부를 병용한다.
(대두유)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대두유'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대두유는 통상 대두에 용제 추출을 한 후, 탈검, 탈산, 탈색, 탈랍(필요에 따라), 탈취의 정제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정제방법으로서는 화학적 정제나 물리적 정제 등이 있는데, 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대두유 중의 지방산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교배로 리놀렌산 함량을 저하시킨 대두로부터 얻은 대두유(저리놀렌산 함유 대두유)를 이용할 수 있다.
대두유 중의 트랜스 지방산의 유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원료인 대두의 원산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미국산, 남미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팜 올레인)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팜 올레인'은 요오드가 65이상, 운점 5℃이하로서, 팜 올레인의 구성 지방산이 미리스틴산 0∼4질량%, 팔미트산 25∼38질량%, 스테아린산 0.5∼6질량%, 올레인산 40∼60질량%, 및 리놀산 8∼18질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중 요오드가가 67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이상이다. 한편, 8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점은 5℃∼-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팜 올레인의 구성 지방산은 미리스틴산 0∼3질량%, 팔리트산 26∼35질량%, 스테아린산 1.5∼4질량%, 올레인산 46∼56질량%, 및 리놀산 12∼16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팜 올레인의 구성 지방산의 미리스틴산 함량이 스테아린산 함량보다 적으면서 팔미트산 함량이 올레인산 함량보다도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미리스틴산 0.1∼2질량%, 팔미트산 26∼32질량%, 스테아린산 1.5∼3.4질량%, 올레인산 48∼56질량%, 및 리놀산 12∼16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리스틴산, 팔미트 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및 리놀산의 합계가 9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5질량% 이상, 95∼9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가는 예컨대, '사단법인 일본유화학회 기준유지분석시험법 2.3.4.1-1996' 등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운점은 예컨대, '사단법인 일본유화학회 기준유지분석시험법 2.2.7-1996' 등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조성은 '사단법인 일본유화학회 기준유지분석시험법 2.4.2.2-1996' 등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팜 올레인으로서는, 팜 올레인을 구성하는 트리아실글리세롤 중의 디포화모노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의 양이 35질량%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32∼15질량%, 32∼20질량%)이면서, 모노포화디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의 양이 50질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55∼75질량%, 55∼7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아가 트리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의 양은 5질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팜 올레인을 구성하는 트리아실글리세롤 중의 디포화모노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인 P2O(지방산으로서 팔미트산을 2개, 올레인산을 1개 갖는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양이 20질량%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15∼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팜 올레인을 구성하는 트리아실글리세롤 중의 모노포화디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인 PO2(지방산으로서 팔미트산을 1개, 올레인산을 2개 갖는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양이 30질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35∼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팜 올레인을 구성하는 트리아실글리세롤 중의 P2O의 양, PO2의 양, 디포화모 노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의 양, 모노포화디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 및, 트리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의 양은, 예컨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측정방법(JAOCS,vol70,11,1111-1114(1993)에 준함) 등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팜 올레인은 팜유로부터 분별해서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일 팜의 과방(果房;fruit cluster)을 증기로 처리한 후, 압착법에 의해 채유(採油)한다. 채유된 기름은 원심 분리를 행해 섬유나 협잡물을 제거해 건조한다. 그런 다음 탈검, 탈산, 탈색, 탈취의 정제를 거친다. 정제방법으로서는 화학적 정제나 물리적 정제 등이 있는데, 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팜유는 상온에서 반 고체상, 반 액체상이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분별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분별유로서 사용되는 일이 많다.
팜 올레인을 얻기 위한 팜유의 분별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은 냉각에 의한 자연 분별법을 이용하는데, 계면활성제나 용제에 의해 분별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팜 올레인은 팜유를 분별해서 얻어지는 중융점 부분 혹은 저융점 부분이다(고융점 부분은 일반적으로 팜 스테아린으로 불림). 이 분별은 2회 분별, 3회 분별이어도 되고, 복수회 분별 처리해서 얻어지는 저융점 부분이어도 된다.
(대두유와 팜 올레인의 질량부)
대두유 100질량부에 대해서 팜 올레인 33∼100질량부이고, 33∼82질량부가 바람직하며, 33∼67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33∼54질량부가 바람직하고, 특히 33∼43질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대두유 100질량부에 대해서 팜 올레인 40∼100질량부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유지 조성물 중 대두유의 함유량이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60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6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대두유 100질량부에 대해서 팜 올레인의 양이 33∼54질량부이면서, 유지 조성물 중 대두유의 함유량이 65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유지 조성물 중 대두유 함량과 팜 올레인 함량의 합을 100질량%로 했을 때, 그 중 대두유의 함량은 65∼75질량% 또는 70∼7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이 대두유와 팜 올레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로 나타냈을 때, 예컨대 일반적으로 대두유 100질량부에 대해서 팜 올레인 33질량부란, 대두유:팜 올레인=75:25(질량비, 이하 동일)이고, 대두유 100질량부에 대해서 팜 올레인 43질량부란 대두유:팜 올레인=70:30이며, 대두유 100질량부에 대해서 팜 올레인 54질량부란 대두유:팜 올레인=65:35이다. 또한 대두유 100질량부에 대해서 팜 올레인 100질량부란 대두유:팜 올레인=50:50을 의미한다.
(혼합)
대두유와 팜 올레인의 유지 조성물을 만드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양자를 혼합해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면 된다.
대량 생산하는 경우, 보다 쉽게 혼합할 목적으로, 팜 올레인이나 첨가제(유 화제)를 가열(예컨대 40℃)하고 나서 대두유에 첨가해 혼합 교반해도 된다.
(광투과성 용기)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용기는, 그 적어도 일부가 광투과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용기로서는, 차광 처리를 하지 않은 투명 용기 또는 반투명 용기, 즉 광투과성 용기를 들 수 있다. 이 중 투명 용기로서는, 예컨대 시판되고 있는 닛신 카놀라유 헬시라이트(닛신오일리오 그룹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의 용기를 들 수 있다. 또한 반투명 용기로서는, 예컨대 시판되고 있는 닛신 샐러드유(닛신오일리오 그룹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의 용기를 들 수 있다.
용기로서는, 점두(店頭)에 진열 판매되는 일반 가정용의 식용 유지용 용기, 예컨대 일반적으로 내용량이 200∼2000g인 플라스틱제 용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600∼1650g의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용기 내 유지 조성물의 유지 조성물 중에는 대두유 및 팜 올레인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을 정도로 기타 성분을 넣을 수 있다. 이들 성분은, 예컨대 일반적인 식용 유지에 이용되는 성분(식품 첨가물 등)이다.
이들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산화 방지제, 결정 조정제, 식감 개량제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컨대 토코페롤류, 플라본 유도체, 코지산(kojic acid), 몰식자산 유도체, 카테킨 및 그 에스테르, 푸키산(fukiic acid), 고시폴(gossypol), 세사몰(sesamol), 테르펜(terpene)류 등을 들 수 있다. 결정 조정제 로서는, 예컨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축합 리시놀레인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리드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향신료나 착색 성분 등도 첨가할 수 있다.
향신료로서는, 예컨대 캡사이신, 아네톨, 오이게놀, 시네올, 진게론 등을 들 수 있다. 착색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카로텐, 아스타잔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 내 유지 조성물은 장기간의 유통, 진열 판매 등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조도 1000Lux 이상(조명의 각도에 따라서는 400Lux 이상)의 광 존재하에서 진열 판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 내 유지 조성물은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예컨대 볶음 음식(야끼소바, 야채볶음 등), 튀김 음식(덴푸라, 고로케, 돈까스 등), 스프레이 용도(기름을 식재에 스프레이하여 오븐이나 전자렌지에서 가열함), 이형유(離型油), 마요네즈, 드레싱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게 어떠한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있어서, '%'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경우 질량%를 나타낸다. 또한 특별한 기재가 없는 경우 대두유는 닛신오일리오 그룹(주) 제품의 상품명 '닛신 대두 샐러드유', 채종유는 닛신오일리오 그룹(주) 제품의 상품명 '닛신 채종 샐러드유', 옥수수유는 닛신오일리오 그룹(주) 제품의 상품명 '닛신 옥수수유'를 이용했 다.
또한 사용한 팜 올레인 A 및 B는 하기의 특성을 갖는 것이다.
Figure 112009053000102-PCT00001
표 중 디포화모노불포화는 디포화모노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를, 모노포화디불포화는 모노포화디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를, 트리불포화는 트리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를 나타낸다. 또한 P2O는 지방산으로서 팔미트산을 2개, 올레인산을 1개 갖는 트리아실글리세롤을, PO2는 지방산으로서 팔미트산을 1개, 올레인산을 2개 갖는 트리아실글리세롤을 나타낸다.
표 중의 특성치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요오드가
'사단법인 일본유화학회 기준유지분석시험법 2.3.4.1-1996'의 방법에 준거해 행했다.
운점
'사단법인 일본유화학회 기준유지분석시험법 2.2.7-1996'의 방법에 준거해 행했다.
올레인의 구성 지방산
'사단법인 일본유화학회 기준유지분석시험법 2.4.2.2-1996'의 방법에 준거해 행했다.
디포화모노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측정방법(JAOCS,vol70,11,1111-1114(1993))에 준거해 행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는 HP6890(애질런트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제품)을 이용했다. 칼럼은 007-65HT(15m×0.25㎜I.D.×0.1㎛)(Quadrex사 제품)를 이용하고, 온도 조건은 350℃(1℃/min)∼360℃로 행했다. 분석 조건, 피크의 귀속은 JAOCS,vol70,11,1111-1114(1993)의 Fig.2를 참조했다. 조성비는 크로마토 위의 총면적을 100으로 하여 면적%로 표기했다.
상기 방법에 의해 P2O나 PO2의 양 등 지방산트리글리 조성을 측정하고 나서 각각에 해당하는 성분의 양의 합을 구함으로써, 디포화모노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 모노포화디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 및 트리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의 양을 산출했다.
(혼합 유지의 제조방법)
대두유를 일정량 측정하고 채종유, 옥수수유, 팜 올레인 중 어느 1종을 일정량 측정하여, 양자를 교반기에 넣고 충분히 혼합 교반했다.
이 혼합 유지에는 첨가제 등의 기타 성분을 넣지 않았기 때문에, '유지 조성 물 중의 대두유와 팜 올레인의 합의 비율(대두유와 팜 올레인의 합의 질량/유지 조성물의 질량)'은 100%이다.
(혼합 유지의 충전방법)
혼합 유지를 1000g용의 차광 처리를 하지 않은 투명 용기에, 1000g이 되도록 충전했다. 이 차광 처리를 하지 않은 투명 용기는 시판되고 있는 닛신 카놀라유 헬시라이트(닛신오일리오 그룹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와 동일한 것이다.
[실험예 1](대두유와 채종유의 혼합 유지 검토)
(실험방법)
표 1에 나타낸 비율로 대두유와 채종유의 혼합 유지를 만들어 이하의 방법으로 광 존재하에서 보존했을 때에 생기는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의 발생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의 평가방법)
혼합 유지가 들어간 차광 처리를 하지 않은 용기를, 조도 7000Lux로 24시간 빛에 노출했다. 그 혼합 유지를 100mL 비커에 50g 측정해 넣고 블록히터(block heater)로 기름 온도가 180℃가 될 때까지 가열했다. 냄새가 충분히 발생한 후 코를 가까이 대고 평가했다.
(평가방법)
심사원 20명을 이용해 대두유 100%(시험예 7)의 냄새에 대한 정도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기준에 의해 1∼5점 중 어느 하나로 판단했다. 20명 점수의 평균점보다 4.5 이상을 A, 4 이상을 B, 3 이상을 C, 2 이상을 D, 1 이상을 E로 했다.
이 평가에서 B 평가 이상인 경우,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가 개선된 것으로 평가한다.
[평가기준]
5점: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를 거의 느끼지 못함
4점: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를 조금 느끼지만 불쾌하지는 않음
3점: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를 느끼지만 불쾌하지는 않음
2점: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를 확실히 느끼고, 허용하기 어려움
1점: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가 강해서 허용할 수 없음
채종유의 지방산 조성, 트리아실글리세롤 조성의 일반적인 값을 이하에 나타낸다. 채종유나 옥수수유 등 통상의 액체상 기름의 운점은 -13∼-5℃이다.
Figure 112009053000102-PCT00002
표 중 디포화모노불포화는 디포화모노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를, 모노포화디불포화는 모노포화디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를 나타낸다. 또한 P2O는 지방산으로서 팔미트산을 2개, 올레인산을 1개 갖는 트리아실글리세롤, PO2는 지방산으로서 팔미 트산을 1개, 올레인산을 2개 갖는 트리아실글리세롤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53000102-PCT00003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종유를 60% 이상 배합했을 때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가 개선되었다. 한편, 대두유를 50% 이상 배합했을 때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가 개선되지 않았다.
이로써 대두유 50% 이상 포함한 것은, 차광 처리를 하지 않은 용기에 충전한 형태로 광 존재하에서 진열 판매하는 용도 등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대두유와 옥수수유의 혼합 유지 검토)
(실험방법)
표 2에 나타낸 기름의 종류 및 비율로 혼합 유지를 만들어 상기 '실험예 1의 평가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옥수수유의 지방산 조성, 트리아실글리세롤 조성의 일반적인 값을 이하에 나타낸다. 채종유나 옥수수유 등 통상의 액체상 기름의 운점은 -13∼-5℃이다.
Figure 112009053000102-PCT00004
표 중 디포화모노불포화는 디포화모노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를, 모노포화디불포화는 모노포화디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를 나타낸다. 또한 P2O는 지방산으로서 팔미트산을 2개, 올레인산을 1개 갖는 트리아실글리세롤, PO2는 지방산으로서 팔미트산을 1개, 올레인산을 2개 갖는 트리아실글리세롤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53000102-PCT00005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옥수수유를 50% 이상 배합시켜도 개선되지 않았다.
[실험예 3](대두유와 팜 올레인의 혼합 유지 검토)
(실험방법)
표 3에 나타낸 기름의 종류 및 비율로 혼합 유지를 만들어 광 존재하에서 보존했을 때 생기는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를 평가했다.
평가 1은 상기 '실험예 1의 평가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평가 2는 광 존재하에 보존하는 조건으로서 '조도 7000Lux로 24시간' 대신에 '조도 3000Lux로 24시간'으로 행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험예 1의 평가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평가 3은 광 존재하에 보존하는 조건으로서 '조도 7000Lux로 24시간' 대신에 '조도 1000Lux로 1주간'으로 행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험예 1의 평가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53000102-PCT00006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팜 올레인 A를 30% 이상 첨가했을 때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가 크게 개선되었다.
[실험예 4](대두유 75%와 팜 올레인 A 25%의 혼합 유지 검토)
실험예 3의 결과를 감안하여 대두유 75%, 팜 올레인 A 25%의 혼합 유지를 만들어 실험예 3과 동일한 시험, 평가 1, 평가 2를 행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53000102-PCT00007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팜 올레인 A를 25% 이상 첨가했을 때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가 개선되었다.
이로써 팜 올레인 A를 25% 이상(바람직하게는 30% 이상) 포함한 것은, 차광 처리를 하지 않은 용기에 충전한 형태로 광 존재하에서 진열 판매하는 용도 등에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실험예 5](팜 올레인 B, C를 이용한 검토)
(실험방법)
표 5에 나타낸 기름의 종류 및 비율로 혼합 유지를 만들어 상기 '실험예 1의 평가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가한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53000102-PCT00008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팜 올레인 B 또는 C를 30% 첨가했을 때 대두유 유래의 역행 냄새가 크게 개선된다.

Claims (13)

  1. 대두유와 팜 올레인을 함유하는 유지 조성물을 용기에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로서,
    대두유 100질량부에 대해서 팜 올레인의 비율이 33∼100질량부이고,
    팜 올레인이 요오드가(價) 65이상, 운점 5℃이하로서, 팜 올레인의 구성 지방산이 미리스틴산 0∼4질량%, 팔미트산 25∼38질량%, 스테아린산 0.5∼6질량%, 올레인산 40∼60질량%, 및 리놀산 8∼18질량%를 포함하며,
    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광투과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유지 조성물 중 대두유의 함유량이 50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대두유 100질량부에 대해서 팜 올레인의 양이 33∼54질량부이면서, 유지 조성물 중 대두유의 함유량이 65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조성물이 대두유와 팜 올레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팜 올레인의 요오드가가 8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팜 올레인의 구성 지방산의 미리스틴산 함량이 스테아린산 함량보다 적으면서, 팔미트산 함량이 올레인산 함량보다도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팜 올레인을 구성하는 트리아실글리세롤 중의 디포화모노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의 양이 35질량% 이하이면서, 모노포화디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의 양이 50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팜 올레인을 구성하는 트리아실글리세롤 중의 디포화모노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인 P2O(지방산으로서 팔미트산을 2개, 올레인산을 1개 갖는 트리아실글리세롤) 의 양이 2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팜 올레인을 구성하는 트리아실글리세롤 중의 모노포화디불포화지방산글리세리드인 PO2(지방산으로서 팔미트산을 1개, 올레인산을 2개 갖는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양이 30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가 차광 처리를 하지 않은 투명 용기 또는 반투명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존재하에서 진열 판매시키는 용도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 유지 조성물.
  12. 팜 올레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유에 빛이 조사됐을 때에 발생하는 역행 냄새의 발생 억제제.
  13. 적어도 일부가 광투과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 내 대두유 중에 팜 올레인을 존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용기에 빛이 조사됐을 때에 대두유로부 터 발생하는 역행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KR1020097018011A 2007-02-28 2008-02-26 용기 내 유지 조성물 KR200901179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49010 2007-02-28
JP2007049010 2007-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928A true KR20090117928A (ko) 2009-11-16

Family

ID=3972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011A KR20090117928A (ko) 2007-02-28 2008-02-26 용기 내 유지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074999A1 (ko)
EP (1) EP2127532A1 (ko)
JP (1) JP4290222B2 (ko)
KR (1) KR20090117928A (ko)
CN (1) CN101662943A (ko)
AU (1) AU2008220159A1 (ko)
CA (1) CA2679306A1 (ko)
TW (1) TW200845910A (ko)
WO (1) WO2008105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0551B2 (ja) * 2010-08-02 2017-02-15 株式会社明治 透明容器入り飲食品及びオフフレーバー抑制方法
WO2013114711A1 (ja) * 2012-01-31 2013-08-08 株式会社J-オイルミルズ 大豆油含有油脂組成物
US20140335260A1 (en) * 2013-05-13 2014-11-13 Adriana Fernanda Cruz Lipid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558A (ja) * 2000-02-10 2001-08-14 Fuji Oil Co Ltd 油脂組成物
JP2004292052A (ja) 2003-02-07 2004-10-21 Toyo Seikan Kaisha Ltd 食用油を透明なプラスチック容器に充填した包装体
MY134678A (en) * 2003-05-05 2007-12-31 Malaysian Palm Oil Board A process for obtaining an oil composition and the oil composition obtained therefrom
JP2005027505A (ja) 2003-07-07 2005-02-03 Toyo Seikan Kaisha Ltd 食用油を透明なプラスチック容器に充填した包装体
JP4526497B2 (ja) * 2006-03-03 2010-08-18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74999A1 (en) 2010-03-25
AU2008220159A1 (en) 2008-09-04
WO2008105399A1 (ja) 2008-09-04
EP2127532A1 (en) 2009-12-02
TW200845910A (en) 2008-12-01
CA2679306A1 (en) 2008-09-04
JPWO2008105399A1 (ja) 2010-06-03
CN101662943A (zh) 2010-03-03
JP4290222B2 (ja)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nstone Vegetable oils in food technology: composition, properties and uses
De Leonardis et al. Heat-oxidation stability of palm oil blended with extra virgin olive oil
JP5088347B2 (ja) 食感改良油脂組成物
O’Brien Cottonseed oil
JP5209148B1 (ja) 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30482A (ja) 再精製パーム軟質油並びに該再精製パーム軟質油を含有する食用油脂組成物及び飲食品
Eidhin et al. Oxidative stability of camelina oil in salad dressings, mayonnaises and during frying
TW200915994A (en) Edible oil and fat composition
JP4501035B2 (ja) 食用油脂組成物
JP5114151B2 (ja) 加熱調理用油脂組成物
KR20090117928A (ko) 용기 내 유지 조성물
JP6116248B2 (ja) 水産物加工食品用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水産物加工食品
JP6971541B2 (ja) マヨネーズ様食品
JP2008522594A (ja) フライ食品に適した食用油組成物
JP7034679B2 (ja) 油脂組成物
JP2009019196A (ja) 低温での結晶沈殿が抑制されたパームオレイン含有油脂組成物
JP7034680B2 (ja) 油脂組成物
KR20100075595A (ko) 식용 유지 조성물
JP7221354B2 (ja) 炒め調理用油脂組成物、炒め調理品、及び炒め調理品の製造方法
JP2024090799A (ja) 水産物加工食品用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水産物加工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