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265A -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265A
KR20190048265A KR1020170143063A KR20170143063A KR20190048265A KR 20190048265 A KR20190048265 A KR 20190048265A KR 1020170143063 A KR1020170143063 A KR 1020170143063A KR 20170143063 A KR20170143063 A KR 20170143063A KR 20190048265 A KR20190048265 A KR 2019004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electrolyte
solid
amorphous
phase synthesis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진
박금재
박준우
이상민
이원재
하윤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43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8265A/ko
Publication of KR2019004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sulf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화리튬(lithium sulfide, Li2S), 요오드화리튬(lithium iodide, LiI) 및 오황화인(phosphorus pentasulfide, P2S5)으로 이루어진 고체전해질 원료를 혼합 및 밀링을 통해 비정질(glass)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단계와; 액상합성을 위해 상기 비정정질 고체전해질을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진공건조 및 열처리하여 유리결정질(glass-ceramic) 고체전해질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높은 전위안정성과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가지는 고체전해질을 액상합성법을 통해 합성하여 고체전해질과 전극활물질 사이의 계면접촉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계면상을 형성시켜 에너지밀도가 높고 사이클 성능이 우수한 전고체전지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 electrolyte for all solid-state batteries using liquid phase synthesis}
본 발명은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전위안정성과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가지는 고체전해질을 액상합성법을 통해 합성하여 고체전해질과 전극활물질 사이의 계면접촉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계면상을 형성시켜 에너지밀도가 높고 사이클 성능이 우수한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차전지는 주로 모바일기기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소형 분야에 적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그 연구방향이 중대형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며, 주로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또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등과 관련하여 고출력이 요구되는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리튬이차전지의 경우 소형과는 달리 온도, 충격 등과 같은 작동환경이 가혹할 뿐만 아니라 더욱 많은 전지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우수한 성능이나 적절한 가격과 함께 안전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현재 상용화된 대부분은 리튬이차전지는 리튬염을 유기용매에 녹인 유기액체 전해질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누액을 비롯하여 발화 및 폭발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안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고체전지(all-solid-state battery)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전고체전지는 불연성의 무기 고체전해질을 이용하는 전지로서 종래의 가연성 유기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열적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고체전지에 사용되는 고체전해질의 경우 종래에는 주로 고상합성법을 이용하여 분말을 합성하였다. 고상합성법으로는 고체전해질의 출발물질을 혼합하여 밀링(milling)을 실시한 후 고온 열처리를 통해 분말상의 고체전해질을 얻는다. 하지만 이와 같이 고상합성법으로 고체전해질을 합성할 경우 출발물질을 밀링을 실시한 후 합성하더라도 입자 사이즈가 기본적으로 크기 때문에 결과물질 분말의 입도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전고체전지에서는 전극활물질과 고체전해질 사이에 높은 계면저항으로 인해 리튬이온의 이동이 어려워져 전고체전지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에너지밀도의 전고체전지 제조를 위해서는 음극으로 리튬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고체전해질과 리튬금속 사이의 계면 부반응으로 인해 계면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우수한 전고체전지 특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5-010567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전위안정성과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가지는 고체전해질을 액상합성법을 통해 합성하여 고체전해질과 전극활물질 사이의 계면접촉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계면상을 형성시켜 에너지밀도가 높고 사이클 성능이 우수한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황화리튬(lithium sulfide, Li2S), 요오드화리튬(lithium iodide, LiI) 및 오황화인(phosphorus pentasulfide, P2S5)으로 이루어진 고체전해질 원료를 혼합 및 밀링을 통해 비정질(glass)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단계와; 액상합성을 위해 상기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진공건조 및 열처리하여 유리결정질(glass-ceramic) 고체전해질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리결정질 고체전해질은 LPSI(Li-P-S-I) 조성을 가지며, 상기 비정질 고체전해질은 상기 메탄올 또는 상기 에탄올 전체 100wt% 중 1 내지 10wt% 첨가하여 용해시키며, 상기 진공건조 및 열처리하는 단계를 통해 얻은 최종 유리결정질 고체전해질은 0.1 내지 5㎛ 사이즈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전위안정성과 우수한 이온전도도를 가지는 고체전해질을 액상합성법을 통해 합성하여 고체전해질과 전극활물질 사이의 계면접촉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계면상을 형성시켜 에너지밀도가 높고 사이클 성능이 우수한 전고체전지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체전해질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용매에 따른 비정질 고체전해질 용해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고체전해질 용해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고체전해질의 XRD 분석 그래프이고,
도 5는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를 나타낸 SEM 사진 및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고체전해질 원료를 혼합 및 밀링을 통해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제조한다(S1).
황화리튬(lithium sulfide, Li2S), 요오드화리튬(lithium iodide, LiI) 및 오황화인(phosphorus pentasulfide, P2S5)으로 이루어진 고체전해질 원료를 혼합 및 밀링을 통해 비정질(glass) 고체전해질을 제조한다. 요오드화리튬의 경우 요오드(I)를 포함하는 고체전해질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할로겐원소를 포함하는 고체전해질 중 부반응에 의해 중간계면상이 형성되더라도 우수한 계면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할로겐원소(Cl 또는 Br)를 포함하게 되면 부반응을 통해 중간계면상이 만들어질 경우 계면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고체전지의 성능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다른 할로겐 원소들에 비해 요오드를 포함하는 고체전해질의 경우 이온전도도가 높을 뿐 아니라 안정적인 계면이 형성되어 계면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고체전지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밀링(milling)은 어트리션밀(attrition mill) 또는 볼밀(ball mill)과 같은 습식 기계적 밀링을 통해 균일하게 혼합하여 황화물계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제조한다. 볼밀의 경우 1 내지 10mm의 입도를 가지는 지르코니아볼을 이용하여 혼합 과정을 이루게 된다.
액상합성을 위해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용해시킨다(S2).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메탄올(methanol) 또는 에탄올(ethanol)에 용해시키면 비정질과 결정질이 혼재된 유리결정질 고체전해질이 녹아 골고루 분산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만약 결정질 고체전해질일 경우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전량 녹지 않아 액상합성법을 이용하기 용이하지 않다.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용해할 경우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맑고 투명한 용액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비정질 고체전해질이 전량 용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DME(1,2-dimethoxyethane), THF(tetrahydrofuran), ACN(acetonitrile) 등과 같은 용매에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용해할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질 고체전해질이 녹지 않고 불균일 혼탁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비결정질 고체전해질을 용해하여야 한다.
비정질 고체전해질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전체 100wt% 중 1 내지 10wt% 첨가하여 용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wt% 미만일 경우 메탄올 또는 에탄올의 양이 낭비되며 이후에 건조시키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10wt%를 초과할 경우 비정질 고체전해질 일부가 용해되지 않아 균일한 분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액상합성법을 위해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용해시킬 경우 종래와 같이 고체상태의 고체전해질 원료를 밀링하여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것보다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입자 사이즈가 작아지고 더 균일하게 분산된 고체전해질을 얻을 수 있다. 특히 고체전해질 입자 사이즈가 작을수록 고체전해질과 전극활물질 간의 계면접촉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전고체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진공건조 및 열처리한다(S3).
S2 단계에서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용해된 상태의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진공건조를 통해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제거하고, 고온에서 열처리를 하여 최종적으로 유리결정질 고체전해질 분말을 얻게 된다. 여기서 유리결정질(glass-ceramic)은 비정질과 결정질의 두 가지 상을 동시에 가지는 구조를 의미한다. 유리결정질 고체전해질은 LPSI(Li-P-S-I) 조성을 가지게 되며, 예를 들어 Li7P2S8I 또는 Li6PS5I 등과 같이 고이온전도상의 조성을 지닌 유리결정질 고체전해질을 제조하게 된다. 용해된 상태의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진공건조 및 열처리를 하게 되면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 모두 제거됨과 동시에 고상합성법을 통해 얻는 고체전해질 입자 사이즈보다 작은 입자 사이즈를 가지는 유리결정질 고체전해질을 액상합성법을 통해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활물질의 표면을 고체전해질 균일용액으로 얇게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에 고상합성법을 통해 형성되는 유리결정질 고체전해질의 경우 평균 입자 사이즈가 10㎛ 정도로 나오는 데 비해, 본 발명과 같이 액상합성법을 통해 형성되는 유리결정질 고체전해질의 경우 입자 사이즈가 0.1 내지 5㎛로 나오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전고체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Li2S, P2S5, LiI의 몰 비율을 60 : 20 : 20이 되도록 Li2S 0.558g, P2S5 0.900g, LiI 0.542g을 넣고 헵탄 8g을 함께 채워넣은 후, 직경 5mm의 지르코니아볼(zirconia ball) 53g과 함께 500rpm으로 습식 볼밀링을 시행하여 비정질 고체전해질 분말이 분산된 헵탄 용액을 얻는다. 이때 습식 볼밀링은 30분 밀링과 30분 휴지를 한 사이클(cycle)로 하여 20사이클을 반복한다. 이러한 헵탄 용액을 20ml의 에탄올 용매와 혼합한 뒤 24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80℃에서 2시간 진공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250℃ 온도 및 아르곤(Ar)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여 유리결정질(glass-ceramic) LPSI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1>
Li2S, P2S5, LiI의 몰 비율을 60 : 20 : 20이 되도록 Li2S 0.558g, P2S5 0.900g, LiI 0.542g을 20ml의 에탄올 용매에 용해시킨 뒤, 24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80℃에서 2시간 진공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250℃ 온도 및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여 비정질(glass) LPSI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2>
Li2S, P2S5, LiI의 몰 비율을 60 : 20 : 20이 되도록 Li2S 0.558g, P2S5 0.900g, LiI 0.542g을 넣고 헵탄 8g을 함께 채워넣은 후, 직경 5mm의 지르코니아볼 53g과 함께 500rpm으로 습식 볼밀링을 시행하여 비정질 LPSI 분말을 얻는다. 이때 습식 볼밀링은 30분 밀링과 30분 휴지를 한 사이클로 하여 20사이클을 반복한다. 이러한 비정질 LPSI 분말을 250℃ 온도 및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여 유리결정질 LPSI 분말을 합성한 뒤, 20ml의 에탄올 용매에 용해시킨다. 이후에 LPSI 분말 및 에탄올 용매를 24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80℃에서 2시간 진공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250℃ 온도 및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재열처리하여 유리결정질(glass-ceramic) LPSI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3> : 고상합성법
Li2S, P2S5, LiI의 몰 비율을 60 : 20 : 20이 되도록 Li2S 0.558g, P2S5 0.900g, LiI 0.542g을 넣고 헵탄 8g을 함께 채워넣은 후, 직경 5mm의 지르코니아볼 53g과 함께 500rpm으로 습식 볼밀링을 시행하여 비정질 LPSI 분말을 얻는다. 이를 250℃ 온도 및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여 유리결정질(glass-ceramic) LPSI 분말을 얻었다.
도 3은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를 통해 얻어진 LPSI 원료물질 및 고체전해질을 에탄올에 각각 2wt%, 5wt%, 10wt%, 20wt% 양만큼 용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비교예 1은 LPSI 고체전해질의 원료물질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것이고, 실시예는 볼밀링으로 얻은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것으로 2 내지 10wt% 첨가될 경우에는 무리 없이 전량 용해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비해, 20wt%를 초과할 경우 용액이 혼탁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비교예 2의 경우 유리결정질 고체전해질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것으로서 2wt%를 넣더라도 용액이 혼탁하고 20wt%를 첨가할 경우 바닥에 유리결정질 LPSI가 가라앉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에탄올에 용해되기 전에 열처리한 후 유리결정질 상태가 된 LPSI는 용액합성법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은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를 통해 얻어진 LPSI 고체전해질의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서 고체전해질 자체의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셀(cell)은 비교예 및 실시예를 통해 얻어진 고체전해질 100mg을 직경 14mm로 제조한 후, 양측에 직경 13mm의 인듐(In)을 겹쳐서 쌓은 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비교예 2
온도 (℃) 25 55 25 55 25 55
이온전도도
(S/cm)
6.82×10-6 1.06×10-5 9.06×10-6 1.44×10-5 1.31×10-5 1.43×10-5
도 4는 XRD 분석을 나타낸 것으로, 아래에 표시된 reference 결정상인 Li6PS5I 및 Li7P2S8과 비교해보면 실시예 결정상은 상당부분 Li6PS5I와 유사하여 피크의 세기로 봤을 때 결정질과 비정질이 혼합된 유리결정질 고체전해질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은 결정상이 아예 관찰되지 않았고, 비교예 2의 경우에도 미확인 피크들이 일부 관찰되고 결정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비교예 1 및 비교예 2를 통해서는 유리결정질 LPSI 고체전해질이 제대로 합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a는 고상합성법을 이용한 비교예 3을 통해 얻어진 LPSI 고체전해질을 나타낸 SEM 사진 및 입자 사이즈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b는 액상합성법을 이용한 실시예를 통해 얻어진 LPSI 고체전해질을 나타낸 SEM 사진 및 입자 사이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와 같이 고상합성법을 이용할 경우 고체전해질의 사이즈가 평균적으로 9.5㎛가 나온 반면, 액상합성법을 이용할 경우 평균 4.0㎛의 입자 사이즈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액상합성법을 통해 더 작은 사이즈의 고체전해질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체전해질과 전극활물질 사이의 계면접촉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계면상을 형성시켜 에너지밀도가 높고 사이클 성능이 우수한 전고체전지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4)

  1.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화리튬(lithium sulfide, Li2S), 요오드화리튬(lithium iodide, LiI) 및 오황화인(phosphorus pentasulfide, P2S5)으로 이루어진 고체전해질 원료를 혼합 및 밀링을 통해 비정질(glass)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단계와;
    액상합성을 위해 상기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비정질 고체전해질을 진공건조 및 열처리하여 유리결정질(glss-ceramic) 고체전해질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결정질 고체전해질은 LPSI(Li-P-S-I) 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고체전해질은 상기 메탄올 또는 상기 에탄올 전체 100wt% 중 1 내지 10wt%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건조 및 열처리하는 단계를 통해 얻은 최종 유리결정질 고체전해질은 0.1 내지 5㎛ 사이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KR1020170143063A 2017-10-31 2017-10-31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KR20190048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063A KR20190048265A (ko) 2017-10-31 2017-10-31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063A KR20190048265A (ko) 2017-10-31 2017-10-31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265A true KR20190048265A (ko) 2019-05-09

Family

ID=6654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063A KR20190048265A (ko) 2017-10-31 2017-10-31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826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2459A (zh) * 2019-05-21 2019-08-09 哈尔滨工业大学无锡新材料研究院 一种新型硫化物固态电解质以及新型全固态锂硫电池的制备方法
KR20210136596A (ko) 2020-05-08 2021-11-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CN114256510A (zh) * 2020-09-23 2022-03-2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全固体电池的制造方法
KR20220082325A (ko) 2020-12-10 2022-06-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 상변이 마그네슘 고체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CN114256510B (zh) * 2020-09-23 2024-06-0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全固体电池的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670A (ko) 2014-03-10 2015-09-18 정세호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670A (ko) 2014-03-10 2015-09-18 정세호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2459A (zh) * 2019-05-21 2019-08-09 哈尔滨工业大学无锡新材料研究院 一种新型硫化物固态电解质以及新型全固态锂硫电池的制备方法
KR20210136596A (ko) 2020-05-08 2021-11-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CN114256510A (zh) * 2020-09-23 2022-03-2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全固体电池的制造方法
CN114256510B (zh) * 2020-09-23 2024-06-0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全固体电池的制造方法
KR20220082325A (ko) 2020-12-10 2022-06-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 상변이 마그네슘 고체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2051B1 (en) Method of preparing a solid electrolyte for all-solid battery having argyrodite-type crystal structure
JP5957144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硫化物系固体電解質
JP7129075B2 (ja) 大気安定性の高い無機硫化物固体電解質、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応用
WO2016063877A1 (ja) 全固体二次電池用の正極、その製造方法及び全固体二次電池
JP6564416B2 (ja) 広範囲な結晶化温度範囲で高イオン伝導度を有する硫化物系固体電解質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48265A (ko) 액상합성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방법
KR102072005B1 (ko) 불순물 함량이 감소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불순물 함량이 감소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KR102552153B1 (ko)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US2021004396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ulfide solid electrolyte and sulfide solid electrolyte manufactured thereby
JP2017033858A (ja) 固体電解質材料
Chen et al. Practical Application of All‐Solid‐State Lithium Batteries Based on High‐Voltage Cathodes: Challenges and Progress
CN111276734B (zh) 一种传导钾离子的固态电解质、制备方法及钾固态电池
KR20210054129A (ko) 안정성이 향상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KR101878342B1 (ko) 고체 전해질,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RU2558140C1 (ru) АНОДНЫЙ МАТЕРИАЛ ЛИТИЙ-ИОННОГО АККУМУЛЯТОРА НА ОСНОВЕ LiCrTiO4 СО СТРУКТУРОЙ ШПИНЕЛИ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JP7301005B2 (ja) 硫化物系固体電解質及び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6374741B2 (ja) 全固体二次電池用固体電解質、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全固体二次電池
KR101867555B1 (ko) 전극 활물질-고체 전해질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102180352B1 (ko) 황화물계 글래스 세라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고체전해질로 함유하는 전고체 이차전지
KR20190051519A (ko) 고체 전해질 재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102673003B1 (ko) 용해석출법에 의한 고이온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제조용 조성물
CN114497713B (zh) 一种含氟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396159B1 (ko)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20220120104A (ko) 불순물의 생성 없이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Ye et al. Evolution and function of residual solvent in polymer-Li2B12H12 composite solid electroly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