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287A -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287A
KR20190047287A KR1020170140991A KR20170140991A KR20190047287A KR 20190047287 A KR20190047287 A KR 20190047287A KR 1020170140991 A KR1020170140991 A KR 1020170140991A KR 20170140991 A KR20170140991 A KR 20170140991A KR 20190047287 A KR20190047287 A KR 20190047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driver device
departure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140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7287A/ko
Priority to US16/172,151 priority patent/US20190129412A1/en
Publication of KR20190047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44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a computer generated represent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vehicle, e.g. virtual reality, ma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33
    • H04M1/72572
    • H04M1/725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소지하며 위치 파악이 가능한 운전자 디바이스; 차량에 설치되어 운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운전자 디바이스가 차량에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거나 일정 시간 이내에 차량에 도착하면, 차량을 주차위치로부터 자동 출차시키는 출차 지원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운전자가 차량을 직접 출차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출차를 기다릴 필요없이 바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PARKIG OUT ASSIST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차량에 근접하기 전에 자동 출차가 시행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운행되는 차량의 대수가 급격히 증감됨에 따라, 교통 체증, 주차 문제 등 다양한 사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대도시와 같이 한정된 지역에서는 차량이 증가할수록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은 줄어들 수 밖에 없는 형편이고, 이러한 주차공간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 한대를 주차하도록 구획해 놓은 주차공간이 점점 협소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주차된 차량 간의 간격이 좁을 수 밖에 없으며, 이 경우 운전자가 육안으로 주변 장애물을 확인하고 차량을 직접 운전하여 좁은 주차 공간에 주차하거나 출차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운전이 미숙한 초보자에게는 좁은 주차공간에 주차하는 것뿐만 아니라 출차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한편, 자동차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각종 편의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으며, 운전자의 주차를 보조하는 주차 보조 시스템과 함께 주차된 차량을 안전하게 출차하기 위한 출차 보조 시스템도 개발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차량을 출차할 수 있도록 하는 출차 보조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에 근접하기 전에 자동 출차가 시행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목적은, 운전자가 소지하며 위치 파악이 가능한 운전자 디바이스;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차량에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거나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에 도착하면, 상기 차량을 주차위치로부터 자동 출차시키는 출차 지원 장치;를 포함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운전자가 소지한 운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와 차량과의 거리 또는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차량에 도착하기 위해 소요되는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산출단계;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거나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에 도착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을 주차위치로부터 자동 출차시키는 출차단계;를 포함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량을 직접 출차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출차를 기다릴 필요가 없으므로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차 지원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출차 지원 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운전자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출차용 앱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출차 지원 시스템에서 원격 출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차 지원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출차 지원 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출차 지원 시스템에서 원격 출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차 지원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출차 지원 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본 출차 지원 시스템(1)은, 운전자가 소지하는 운전자 디바이스(10)와, 차량에 설치되며 운전자 디바이스(10)와 통신하여 운전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자동 출차를 수행하는 출차 지원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 디바이스(10)는, 운전자가 소지하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소형 통신기기가 될 수 있고, 운전자의 차량용 스마트키가 될 수도 있다.
도 1에 따르면, 제1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디바이스(10)는, 차량과의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통신부(20), 출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 운전자 디바이스(1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모듈(50), 출차용 앱을 제어하는 앱 제어부(40), 자동 출차에 관련되어 운전자 디바이스(10)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부(60), 출차가 가능함을 진동으로 표시하는 진동자(70), 출차가 가능함으로 소리로 표시하는 알람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디바이스(10)는 이미 디스플레이부(30)가 형성된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소형 통신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창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키가 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 통신부(20)는, 차량과의 통신을 지원하며, 운전자 디바이스(10)가 휴대폰이나 태블릿 PC인 경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운전자 디바이스(10)가 스마트키인 경우, 디바이스 통신부(2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고, RF 통신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0)는, LCD, LED, 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형성되며, 디바이스 제어부(6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출차용 앱을 비롯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운전자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GPS 모듈(50)은 GPS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운전자 디바이스(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GPS 모듈(50)에서 파악된 운전자 디바이스(10)의 위치 정보는 디바이스 제어부(60)로 제공될 수 있다.
앱 제어부(40)는 출차용 앱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거나,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내용에 따라 출차용 앱을 제어하고 선택된 내용을 저장하게 된다. 앱 제어부(40)는 디바이스 제어부(6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출차용 앱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고, 운전자가 출차용 앱을 통해 선택된 내용을 디바이스 제어부(60)로 전달할 수 있다.
출차용 앱이 활성화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출차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출차안내화면(11)이 표시될 수 있다. 출차안내화면(11)에는 '원격 출차가 가능합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원격 출차를 원하는 경우에 선택하는 확인 버튼과, 원격 출차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 선택하는 취소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운전자가 원격 출차의 수행을 원하는 경우,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출차 중입니다' 라는 메시지가 표시된 화면(12)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운전자가 원격 출차를 원하지 않는 경우, 취소 버튼을 선택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출차가 취소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된 화면(13)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출차용 앱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화면(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정화면(14)에는 출차 시기를 선택하는 메뉴와, 출차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출차 시기를 선택하는 메뉴는, 즉시 출차, 지연 출차, 도착 출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시 출차는, 운전자가 출차용 앱에서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즉각적으로 출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고, 지연 출차는 출차 시기를 지연할 수 있는 기능이고, 도착 출차는 운전자가 차량에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출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지연 출차를 선택하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또는 차량으로부터 운전자가 소정 이격 거리에 위치할 때 자동 출차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연 출차 메뉴를 선택하면 운전자가 직접 시간이나 이격 거리를 입력할 수도 있다.
출차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는, 주차방향 출차와 주차반대방향 출차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방향 출차의 경우는 차량이 주차위치에 진입한 방향으로 출차하는 경우로서, 주차장의 출구가 주차장의 입구와 동일 방향일 때 선택할 수 있다. 주차반대방향 출차의 경우는 차량이 주차위치에 진입한 반대 방향으로 출차하는 경우로서, 주차장의 출구가 주차장의 입구와 다른 방향이거나, 일방 통행일 때 선택할 수 있다. 운전자가 출차 방향을 선택하지 아니한 경우, 출차 방향은 주차방향 출차로 기본 셋팅되어 있다. 한편, 차량 모양의 그래픽에서 화살표 방향을 선택함으로써, 출차 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60)는, 디바이스 통신부(20)를 통해 차량에 설치된 출차 지원 장치(100)와 통신하며, GPS 모듈(50)로부터 감지된 운전자 디바이스(10)의 위치를 차량의 출차 지원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60)는 차량의 출차 지원 장치(100)로부터 차량과 운전자 간의 거리 및/또는 운전자가 차량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차량과 운전자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에 도달하거나 운전자가 차량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소요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운전자에게 출차가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 또는 소요시간은 운전자가 차량에 도착했을 때 차량의 출차가 완료될 수 있는 거리 또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운전자에게 출차가 가능함을 알리기 위해, 디바이스 제어부(60)는 앱 제어부(40)를 동작시켜 출차 앱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디바이스 제어부(60)는 스피커를 통해서 '원격 출차가 가능합니다'라는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경고음을 발생할 수도 있고, 진동자(70)를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60)는 운전자가 출차 앱을 통해 설정한 출차 시기와 출차 방향에 대한 옵션을 앱 제어부(40)로부터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정보를 차량의 출차 지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출차 지원 장치(100)는, 차량 통신부(110), 거리산출부(120), 운전자속도 산출부(130), 소요시간 산출부(140), 출차경로 생성부(150), 출차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출차 지원 장치(100)는, 차량에 설치된 차량측 GPS 모듈(600), 측면센서(700), 전방센서(800), 후방센서(9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으며, HMI(200), 조향 전자제어유닛(300), 제동 전자제어유닛(400), 엔진 전자제어유닛(5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차량 통신부(110)는 운전자 디바이스(10)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운전자 디바이스(10)의 통신방식에 따라, 이동통신망 또는 RF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거리산출부(120)는, 운전자 디바이스(10)와 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하며, 차량측 GPS 모듈(600)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차량 통신부(110)를 통해 운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운전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거리산출부(120)는, 운전자 디바이스(10)와의 통신이 시작되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마다 차량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운전자속도 산출부(130)는, 거리산출부(120)에서 산출된 차량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거리산출부(120)에서 거리를 산출하는 시간 간격과, 차량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 변화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소요시간 산출부(140)는, 운전자속도 산출부(130)에서 산출된 운전자의 속도와, 거리산출부(120)에서 산출된 운전자와 차량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차량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출차경로 생성부(150)는, 운전자 디바이스(10)를 통해 출차가 선택되면, 측면센서(700), 전방센서(800), 후방센서(900)로부터 센싱정보를 입력받아 출차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출차경로 생성부(150)는 운전자 디바이스(10)에서 선택된 출차 방향을 따라 출차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출차경로를 출차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출차경로 생성부(150)는 장애물 등에 의해 출차경로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선택된 출차 방향이 아닌 반대방향으로 출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출차 방향 및 출차 반대방향으로 모두 출차가 불가능한 경우, 출차경로 생성부(150)는 출차가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출차 제어부(160)로 전달하며, 출차 반대방향으로 출차가 가능한 경우, 출차경로 생성부(150)는 출차 반대방향으로 출차가 가능하다는 메시지와 함께 출차경로를 출차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출차 제어부(160)는, 운전자 디바이스(10)와의 통신을 통해 운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위치 정보를 제공받으면, 거리산출부(120), 운전자속도 산출부(130), 소요시간 산출부(140)를 동작시켜, 운전자 디바이스(10)와 차량과의 거리, 운전자가 차량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 등을 산출하도록 한다. 출차 제어부(160)는 운전자가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내에 존재하거나 미리 설정된 일정 소요시간내에 운전자가 차량에 도착한다고 판단되면, 출차경로 생성부(150)를 동작시켜 출차경로를 생성하도록 한다.
출차 제어부(160)는 출차가 가능한 경우, 운전자 디바이스(10)로 출차가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출차 제어부(160)는, 차량내의 HMI(200)(Hu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해 자동 출차가 수행된다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출차경로를 따라 차량이 출차되도록 조향 전자제어유닛(300), 제동 전자제어유닛(400), 엔진 전자제어유닛(5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출차 제어부(160)는 출차경로 생성부(150)에서 출차반대 방향으로 출차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출차반대 방향으로 출차가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운전자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출차 제어부(160)는, 운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출차 시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운전자가 출차 시기를 지연시킨 경우, 운전자가 선택한 시간이나 거리에 도달하면 출차가 시작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제1실시예의 출차 지원 시스템(1)에서 원격 출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차 지원 장치(100)의 출차 제어부(160)는 차량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운전자 디바이스(10)와 지속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운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운전자 디바이스(10)의 위치정보를 제공받는다(S400).
거리산출부(120)에서는 운전자 디바이스(10)의 위치정보와, GPS 모듈(60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 디바이스(10)와 차량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속도 산출부(130)에서는 운전자 속도를 산출하고, 소요시간 산출부(140)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에 도착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410).
출차 제어부(160)는 운전자 디바이스(10)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이하이거나, 운전자가 차량에 도착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일정 이하이면, 출차경로 생성부(150)를 동작시켜 출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가 선택한 출차 방향으로 출차경로를 생성하도록 한다(S420).
출차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출차 제어부(160)는 출차가 가능하다는 신호를 운전자 디바이스(10)로 전송하고(S430), 출차 방향이 운전자가 선택한 방향과 다른 방향인 경우, 출차 방향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 디바이스(10)로 전송한다.
운전자 디바이스(10)로 출차가 가능하다는 신호가 출차 지원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면, 앱 제어부(40)에서는 출차 앱을 활성화시키고(S440),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차안내화면(11)에 '원격 출차가 가능합니다'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운전자가 원격 출차를 선택하면(S450), 앱 제어부(4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출차 중입니다' 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앱 제어부(40)는 운전자가 원격 출차를 선택하였다는 정보와, 운전자가 미리 선택한 출차 방향과 출차 시기에 대한 정보를 디바이스 제어부(60)로 제공한다(S460).
디바이스 제어부(60)에서는 출차 확인, 출차 방향 및 출차 시기에 대한 정보를 출차 지원 장치(100)로 전송한다.
반면, 운전자가 원격 출차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 제어부(60)는 운전자가 원격 출차가 취소되었다는 정보를 출차 지원 장치(100)로 전송한다.
출차 지원 장치(100)의 출차 제어부(160)에서는 원격 출차의 선택이 확인되면, 차량내의 HMI(200)를 통해 자동 출차가 수행된다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출차경로를 따라 차량의 출차가 시작되도록 조향 전자제어유닛(300), 제동 전자제어유닛(400), 엔진 전자제어유닛(5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S470).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차 지원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의 출차 지원 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출차 지원 시스템(101)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운전자 디바이스(1000)와 출차 지원 장치(1100)를 포함하나, 본 실시예의 운전자 디바이스(1000)가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되지 아니한 차량용 스마트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운전자 디바이스(1000)는, 차량과의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통신부(1040), 출차가 가능함을 표시하는 출차 램프(1010), 진동자(1013), 알람부(1015), 출차를 선택하기 위한 출차 버튼(1020), 운전자 디바이스(1000)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1050), 자동 출차에 관련되어 운전자 디바이스(1000)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부(10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통신부(1040)는 원격에서 차량과의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RF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출차 램프(1010)는, 디바이스 제어부(1030)의 제어에 따라 턴온되어 점멸하거나 턴온 상태를 유지하며, 디바이스 제어부(1030)는 차량의 출차 지원 장치(1100)로부터 출차가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출차 램프(10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진동자(1013)는 디바이스 제어부(10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출차가 가능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진동자(1013)는 출차 램프(1010)와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알람부(1015)는 디바이스 제어부(10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출차가 가능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알람부(1015)는 출차 램프(1010)와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출차 버튼(1020)은, 운전자가 원격 출차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운전자가 출차 버튼(1020)을 선택하면, 디바이스 제어부(1030)는 출차 기능을 선택하였다는 신호를 출차 지원 장치(1100)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발생부(1050)는 운전자 디바이스(1000)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며, 신호발생부(1050)는 위치신호를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신호발생부(1050)는 위치신호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발생시키게 된다. 디바이스 제어부(1030)는 출차 지원 장치(1100)로부터 위치요청신호를 제공받으면, 신호발생부(1050)를 동작시킨다.
디바이스 제어부(1030)에서는 차량의 출차 지원 장치(1100)로부터 위치요청신호를 제공받으면, 신호발생부(1050)를 동작시켜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한편, 출차 램프(1010)를 턴온시킨다.
그런 다음, 운전자가 출차 버튼(1020)을 선택하면, 디바이스 제어부(1030)는 디바이스 통신부(1040)를 통해 출차가 선택되었다는 신호를 출차 지원 장치(1100)로 전송할 수 있다.
출차 지원 장치(1100)는, 차량 통신부(1110), 신호요청부(1120), 거리산출부(1130), 운전자속도 산출부(1140), 소요시간 산출부(1150), 출차경로 생성부(1160), 출차 제어부(1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출차 지원 장치(1100)는, 차량에 설치된 측면센서(1600), 전방센서(1700), 후방센서(1800) 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으며, HMI(1200), 조향 전자제어유닛(1300), 제동 전자제어유닛(1400), 엔진 전자제어유닛(15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차량 통신부(1110)는 디바이스 통신부(1040)와 통신을 지원하며, 디바이스 통신부(1040)와 동일한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신호요청부(1120)는 운전자 디바이스(10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신호를 요청하는 위치요청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신호요청부(1120)는 출차 제어부(117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복수회 위치요청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거리산출부(1130)는, 운전자 디바이스(1000)와 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하며, 신호요청부(1120)에서 위치요청신호를 발생시킨 시간과, 운전자 디바이스(1000)로부터의 위치신호를 수신한 시간 사이의 차이를 이용할 수 있다. 거리산출부(1130)는 위치요청신호와 위치신호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위치요청신호를 송신한 후 위치신호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 차이와, 위치요청신호 및 위치신호의 속도를 이용하면 운전자 디바이스(1000)와 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거리산출부(1130)는 위치요청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발생되면, 운전자 디바이스(1000)와 차량과의 거리를 복수회 산출할 수 있다.
운전자속도 산출부(1140)는, 거리산출부(1130)에서 산출된 차량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거리산출부(1130)에서 거리를 반복적으로 산출하면, 거리를 산출한 시간 간격과, 차량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 변화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소요시간 산출부(1150)는, 운전자속도 산출부(1140)에서 산출된 운전자의 속도와, 거리산출부(1130)에서 산출된 운전자와 차량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차량에 도착할 도착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출차경로 생성부(1160)는,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측면센서(1600), 전방센서(1700), 후방센서(1800)로부터 센싱정보를 입력받아 출차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출차경로 생성부(1160)는, 차량이 주차할 때 진입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출차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출차 제어부(1170)는, 운전자 디바이스(1000)가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신호요청부(1120)를 동작시켜 위치요청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위치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운전자 디바이스(1000)로부터 위치신호가 수신되면, 출차 제어부(1170)는 거리산출부(1130), 운전자속도 산출부(1140), 소요시간 산출부(1150)를 동작시켜 운전자 디바이스(1000)와의 거리와 운전자의 차량 도착시간이 산출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출차 제어부(1170)는 출차경로 생성부(1160)를 동작시켜 출차가 가능한지 여부와 출차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출차가 가능한 경우, 출차 제어부(1170)는 출차가 가능하다는 신호를 운전자 디바이스(1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출차 제어부(1170)는 출차가 가능하면, 차량내의 HMI(1200)를 통해 자동 출차가 수행된다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출차경로를 따라 차량이 출차되도록 조향 전자제어유닛(1300), 제동 전자제어유닛(1400), 엔진 전자제어유닛(15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운전자는 HMI(1200)를 통해 출차 방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출차 방향이 설정된 경우, 출차 제어부(1170)는 출차경로 생성부(1160)에서 운전자가 선택한 출차 방향으로 출차경로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HMI(1200)를 통해 출차 시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출차 시기가 설정된 경우, 출차 제어부(1170)는 출차 시기가 도래하면, 출차가 시작되도록 조향 전자제어유닛(1300), 제동 전자제어유닛(1400), 엔진 전자제어유닛(15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제2실시예의 출차 지원 시스템(101)에서 원격 출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차 지원 장치(1100)의 출차 제어부(1170)는 신호요청부(1120)를 동작시켜 일정 시간마다 운전자 디바이스(1000)로 위치요청신호를 송신한다(S700).
운전자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제어부(1030)는 위치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신호발생부(1050)를 동작시켜 위치신호를 생성하고(S710), 생성된 위치신호를 출차 지원 장치(1100)로 전송한다(S720).
출차 지원 장치(1100)의 거리산출부(1130), 운전자속도 산출부(1140), 소요시간 산출부(1150)에서는 위치요청신호와 위치신호간의 시간차와, 위치요청신호 및 위치신호의 속도를 이용하여 운전자 디바이스(1000)와 차량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를 기반으로 운전자 속도와, 운전자가 차량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한다(S730).
출차 제어부(1170)에서는 운전자 디바이스(1000)와 차량 간의 거리가 일정 이하이거나 운전자의 차량 도착 소요시간이 일정 이하인 경우, 출차경로 생성부(1160)를 동작시켜 출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출차가 가능하면 출차경로를 생성하도록 한다(S740). 이때, 출차경로 생성부(1160)는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출차 방향으로 출차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출차가 가능하면, 출차 제어부(1170)는 출차가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운전자 디바이스(1000)로 송신하고(S750), 운전자 디바이스(1000)의 디바이스 제어부(1030)에서는 출차 램프(1010)를 턴온시키거나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신호음을 발생시킨다(S760).
운전자가 출차 버튼(1020)을 선택하면(S770), 디바이스 제어부(1030)는 출차가 선택되었다는 신호를 출차 지원 장치(1100)로 전송한다(S780).
출차 지원 장치(1100)의 출차 제어부(1170)는 HMI(1200)를 통해 자동 출차가 수행된다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출차경로를 따라 차량의 출차가 시작되도록 조향 전자제어유닛(1300), 제동 전자제어유닛(1400), 엔진 전자제어유닛(15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S790).
한편, 출차 제어부(1170)는 운전자가 HMI(1200)를 통해 설정한 출차 시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출차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차 지원 시스템(1,101)에서는, 운전자 디바이스(10,1000)와 출차 지원 장치(100,1100)를 구비하고, 운전자가 차량에 도착하기 전에 차량이 출차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을 직접 출차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출차를 기다릴 필요없이 바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출차 지원 시스템 10 : 운전자 디바이스
20 : 디바이스 통신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앱 제어부 50 : GPS 모듈
60 : 디바이스 제어부 100 : 출차 지원 장치
110 : 차량 통신부 120 : 거리산출부
130 : 운전자속도 산출부 140 : 소요시간 산출부
150 : 출차경로 생성부 160 : 출차 제어부

Claims (16)

  1. 운전자가 소지하며 위치 파악이 가능한 운전자 디바이스;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차량에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거나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에 도착하면, 상기 차량을 주차위치로부터 자동 출차시키는 출차 지원 장치;를 포함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차 지원 장치는,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차량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차량의 출차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출차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차량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소요시간 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차 제어부는 상기 소요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정 이하이면 상기 차량을 출차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출차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출차경로를 생성하는 출차경로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차 제어부는 상기 출차경로 생성부에서 생성된 출차경로에 따라 출차가 수행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는,
    출차용 앱을 제어하는 앱 제어부,
    상기 출차용 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출차용 앱을 통한 선택과, 상기 출차 지원 장치와의 정보 교환에 따라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앱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출차 시기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와, 상기 차량의 출차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는 GPS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리산출부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GPS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의 위치정보와,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의 GPS 모듈에서 판단된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운전자로부터의 출차 지원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출차 버튼,
    상기 운전자에게 출차가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수단,
    상기 운전자가 상기 출차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출차 지원 장치로 상기 운전자의 출차 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차 지원 장치는,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요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위치요청신호에 대한 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리산출부는 상기 위치요청신호와 상기 위치신호의 속도와, 상기 위치요청신호의 송신 후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한 시간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
  10. 운전자가 소지한 운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와 차량과의 거리 또는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차량에 도착하기 위해 소요되는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산출단계;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거나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에 도착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을 주차위치로부터 자동 출차시키는 출차단계;를 포함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GPS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와, GPS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차량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의 위치와 상기 차량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요청신호를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위치요청신호에 대한 위치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위치요청신호와 상기 위치신호의 속도와, 상기 위치요청신호의 송신 후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한 시간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차량과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 간의 거리와,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의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차량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차단계는,
    상기 차량의 출차가 가능하면, 출차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단계;
    상기 운전자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출차가 선택되면, 상기 출차경로를 따라 상기 차량이 출차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출차시 출차경로의 출차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로생성단계는 상기 출차 방향에 따라 상기 출차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인 출차 지원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출차 시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차단계는, 상기 출차 시기에 따라 상기 차량이 출차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차 지원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70140991A 2017-10-27 2017-10-27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47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991A KR20190047287A (ko) 2017-10-27 2017-10-27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6/172,151 US20190129412A1 (en) 2017-10-27 2018-10-26 Parking-space-exit assi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991A KR20190047287A (ko) 2017-10-27 2017-10-27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287A true KR20190047287A (ko) 2019-05-08

Family

ID=6624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991A KR20190047287A (ko) 2017-10-27 2017-10-27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129412A1 (ko)
KR (1) KR201900472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082B1 (ko) * 2018-01-03 2022-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차 원격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46685B2 (en) * 2018-11-09 2022-05-31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Parking exit coordin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3938833B (zh) * 2021-10-15 2024-04-30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召唤方法、装置、车辆以及机器可读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5616B2 (en) * 2009-04-24 2012-02-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arage door alert employ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US8971924B2 (en) * 2011-05-23 2015-03-03 Apple Inc. Identifying and locating users on a mobile network
US9429943B2 (en) * 2012-03-05 2016-08-30 Florida A&M University Artificial intelligence valet systems and methods
CN108778855A (zh) * 2016-02-26 2018-11-09 胡夫·许尔斯贝克和福斯特有限及两合公司 激活车辆安全系统的至少一个安全功能的方法
KR102179124B1 (ko) * 2016-09-06 2020-11-16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출고 지원 방법 및 장치
US10317897B1 (en) * 2016-11-16 2019-06-11 Zoox, Inc. Wearable for autonomous vehicle interaction
CN106598045A (zh) * 2016-11-25 2017-04-2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召唤智能车辆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29412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90956B2 (en) Vehicle and program for vehicle
JP6102782B2 (ja) 駐車支援システム
US9789904B2 (en) Remote-controlled maneuvering of a motor vehicle with the aid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1393029B (zh) 车载导航装置以及使用其的导航系统
US10534363B2 (en) Autonomous driving device and autonomous driving method
JP7505927B2 (ja) 車載装置、及び制御方法
US201602400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vehicle driving in a parking lot
JP2017007399A (ja) 駐車支援装置及び方法
US20200166354A1 (en) Operation assistance device, on-vehicle device, operation assistance system, operation assistance method, and operation assistance program
JP2006302187A (ja) 自動駐車支援システム及び自動駐車支援装置
KR20190047287A (ko) 출차 지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8091779A (ja) 自動運転装置
JP2020123155A (ja) 運転支援装置
CN113393697B (zh) 停车信息管理服务器、停车辅助装置以及停车辅助系统
US20200049519A1 (en) Autonomous valet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EP3842321A1 (en) In-vehicle processing apparatus and in-vehicle processing system
CN114423656B (zh) 车辆远程控制方法及车辆远程控制装置
JP7271571B2 (ja) 駐車時の車両走行制御方法及び車両走行制御装置
US20220379879A1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assistance method
JP2020003933A (ja) 緊急車両通知装置、及び緊急車両通知装置の制御方法
JP7278760B2 (ja) 駐車時の車両走行制御方法及び車両走行制御装置
JP2005250666A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3848884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ble guidance for a user to a meeting point with a vehicle
JP4692233B2 (ja) 車両の並走経路報知装置および並走経路報知システム
JP2012068939A (ja) 駐車場案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