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056A - 상용차의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공기 처리 유닛, 브레이크 장치 및 공기 처리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상용차의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공기 처리 유닛, 브레이크 장치 및 공기 처리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056A
KR20190047056A KR1020197010751A KR20197010751A KR20190047056A KR 20190047056 A KR20190047056 A KR 20190047056A KR 1020197010751 A KR1020197010751 A KR 1020197010751A KR 20197010751 A KR20197010751 A KR 20197010751A KR 20190047056 A KR20190047056 A KR 20190047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brake
pressur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124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라이눙
막스 미할스키
Original Assignee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47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02Air treatment devices
    • B60T17/004Draining and dr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3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pneumat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02Air treat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2Arrangements of pumps or compressor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60Y2400/3032Wheel 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의 브레이크 장치(100)를 위한 공기 처리 유닛(102)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처리 유닛(102)은 브레이크 장치(100)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122) 앞에 연결되며 휠 브레이크 실린더(122) 내의 제동 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120)에 공기 처리 유닛(102)을 공압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어 밸브 접속부(118),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설정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밸브(112) 및 공급 밸브(11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용차의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공기 처리 유닛, 브레이크 장치 및 공기 처리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상용차의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공기 처리 유닛, 브레이크 장치 및 공기 처리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용차는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 시 브레이크 장치의 자동 제어는 예를 들어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가진 리던던트 제어 전자장치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여기에 제안된 해결 방법에 의해 주청구항에 따른 상용차의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공기 처리 유닛, 브레이크 장치, 공기 처리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해당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안된다.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된 조치들에 의해 독립 청구항에 제시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와 개선이 가능하다.
상용차의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공기 처리 유닛이 제안되고, 이 경우 공기 처리 유닛은 하기 특징들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장치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 앞에 연결되며 휠 브레이크 실린더 내의 제동 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에 공기 처리 유닛을 공압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어 밸브 접속부;
제어 밸브 접속부에 설정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밸브; 및
공급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공기 처리 유닛이란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공기를 정화 또는 건조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어 공기 처리 유닛은 전자식 공기 처리 유닛(EAC)일 수 있다. 상용차란 예를 들어 화물차, 승합차, 견인차 또는 크레인 트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용차는 반- 또는 완전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상용차에 예를 들어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 또는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EBS)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 밸브란, 예를 들어 자기 밸브 형태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배기 밸브일 수 있다. 제어 밸브는, 예를 들어 휠 브레이크 실린더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급 밸브란 하나 이상의 밸브 유닛으로 이루어진 밸브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밸브는 적어도 2개의 자기 밸브 유닛을 포함하는 자기 밸브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공급 밸브는 추가로 설정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압력이란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 압력일 수 있거나 브레이크 장치의 밸브의 밸브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압력일 수도 있다. 릴레이 밸브는 공압 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제어 유입구에 있는 더 큰 유동 횡단면으로 거의 동일한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릴레이는 압력 레벨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이와 관련해서 휠 브레이크 실린더에서 필요로 하지만 자기 밸브에 의해 제공될 수 없는 더 큰 체적 유량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란 센서 신호를 처리하고 그것에 따라서 제어-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전기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해 형성 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소위 시스템-ASIC의 부분일 수 있고, 상기 부분은 제어부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다. 그러나 인터페이스가 고유의 집적 회로일 수 있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별 소자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형성 시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고, 상기 모듈은 예를 들어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마이크로컨트롤러 상에 제공된다.
여기에 제안된 해결 방법은, 브레이크 장치의 공기 처리 유닛을 이용해서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과 병행해서 브레이크 장치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 앞에 연결된 제어 밸브에 압력이 공급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 밸브 전방의 압력이 제어될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자율 주행과 관련하여,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 시에도 운전자 개입과 무관하게 능동적으로 제동을 걸 수 있는 리던던트 브레이크 시스템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력은 적재로 인한 수직력에 따라서 상용차의 차축들 사이에 최적으로 분배될 수 있고, 이로써 가급적 짧은 제동 거리가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상용차의 적어도 하나의 휠 회전 속도 센서에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할 수 있고, 휠 회전 속도 센서에 의해 생성된 휠 회전 속도 센서 신호를 이용해서 공급 밸브, 또는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제어 밸브를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휠 회전 속도 센서는 예를 들어 폴 휠 센서일 수 있다. 휠 회전 속도 센서 신호는 상용차의 개별 휠의 회전 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상용차의 개별 휠들의 목표한 제동은 공기 처리 유닛을 이용해서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제동 시 상용차의 휠들이 갑자기 멈추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휠 회전 속도 센서 신호를 이용해서, 상용차가 슬립 제한에 최적으로 조절되거나 (ABS-제동) 일방으로도 제동되도록 공급 밸브 또는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제어 밸브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방으로 제동에 의해, 운전자의 운전 불가능 상태 및/또는 전기 스티어링 장치의 고장 시 제동하면서 뿐만 아니라, 스티어링하면서도 차량을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스티어링 제동 기능이 공기 처리 유닛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공급 밸브는 자기 밸브 및 자기 밸브에 의해 공압식으로 제어 가능하며 설정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기 밸브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릴레이 밸브란 압력 유입구, 압력 배출구 및 제어 압력을 이용해서 압력 유입구와 압력 배출구 사이의 압력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입구를 포함하는 밸브일 수 있다.
이 경우 자기 밸브는 쌍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제어부의 전원 공급의 차단 시에도 밸브 접속부에 설정 압력이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뒤차축에서만 전기 파킹 브레이크의 스위칭 및 파킹 브레이크 실린더의 제어에도 적합할 수 있기 위해, 전자기 및 공압 밸브들의 그룹도 쌍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여기에 제안된 해결 방법의 실시예도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공기 처리 유닛은 공기 처리 유닛에 의해 처리된 공기를 브레이크 장치의 상용 브레이크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회로 및 제어 밸브 접속부에 분배 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라인으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셔틀 밸브 유입구와 제2 셔틀 밸브 유입구를 가진 셔틀 밸브에 의해 상용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공급 밸브는, 제2 셔틀 밸브 유입구에서 앞차축 밸브 모듈의 배출 제어 압력 및/또는 풋 브레이크 모듈의 배출 제어 압력을 중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급 밸브는 연결 라인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연결 라인은 브레이크 회로의 부분일 수 있다. 상용 브레이크란 상용차의 모든 휠에 작용하는 브레이크일 수 있다. 상용 브레이크는 예를 들어 트레일러 제어 모듈에 있는 2개의 제1 제어 접속부를 통해 트레일러 차량의 상용 브레이크에도 작용하고, 이 경우 상용차의 파킹 브레이크에 의해 트레일러를 제어하기 위한 제3 제어 접속부가 제공된다. 상용 브레이크는 예를 들어 상용차의 앞차축과 뒤차축을 위한 별도의 브레이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유닛은 처리된 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부 및 공기 유입부에 연결되며 브레이크 회로에 분배 유닛을 접속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가진 구성부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배 유닛은 복수의 브레이크 회로에, 예컨대 파킹- 또는 트레일러 브레이크 회로에 분배 유닛을 접속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어 밸브 접속부에 설정 압력의 확실한 공급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공기 처리 유닛의 공압 시스템에 공급 밸브의 비교적 간단한 통합이 가능해지고, 이는 공기 처리 유닛의 제조 비용을 낮춘다. 전자 공기 처리부에서 주로 제3 회로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회로는 한편으로는 록킹 브레이크에 및 다른 한편으로는 트레일러 제어 모듈의 공급부에 사용된다. 트레일러 제어 모듈의 공급부는 상용 브레이크의 이용을 위해서도 트레일러에 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용차의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에 대응해서 공급 밸브 또는,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제어 밸브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 시 브레이크 시스템의 충분한 제동 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여기에 제안된 해결 방법은 또한 하기 특징들을 갖는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공기 처리 유닛;
브레이크 장치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 앞에 연결되며 휠 브레이크 실린더 내의 제동 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 및
제1 셔틀 밸브 유입구, 제2 셔틀 밸브 유입구 및 셔틀 밸브 배출구를 가진 셔틀 밸브, 상기 제1 셔틀 밸브 유입구는 공기 처리 유닛의 제어 밸브 접속부에 연결되고, 제2 셔틀 밸브 유입구는 브레이크 장치의 상용 브레이크에 할당된 브레이크 회로에 연결되고, 셔틀 밸브 배출구는 제어 밸브에 연결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는, 제어 밸브에 공기 처리 유닛의 견고하고 저렴하며 간단한 접속의 장점을 제공한다. 셔틀 밸브에 의해 예를 들어, 셔틀 밸브 유입구들에 인가하는 압력들 중 각각 더 강한 압력이 제어 밸브로 전달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는 작동 압력 유입구, 작동 압력 배출구 및 설정 압력을 이용해서 작동 압력 유입구와 작동 압력 배출구 사이의 압력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입구를 가진 릴레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처리 유닛은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위한 작동 압력을 제공하는 릴레이 밸브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압력 유입구는 릴레이 밸브 접속부에 연결될 수 있고, 작동 압력 배출구는 제1 셔틀 밸브 유입구에 연결될 수 있고, 제어 유입구는 제어 밸브 접속부에 연결될 수 있다. 릴레이 밸브 접속부는 이하에 첨부된 도면들에서 적어도 공기 처리부 내에 있는, 예를 들어 2개의 상용 브레이크 회로 중 하나에 대한 배출구에 해당한다. 릴레이 밸브 접속부는 이로써 예를 들어 상용 브레이크 회로의 공급 배출구에 상응하고, 상기 브레이크 회로로부터 릴레이 밸브 유입구의 공급부를 향한 분기는 예를 들어 공기 처리부의 외부에서 이러한 브레이크 회로의 배관으로부터 추가 탭에 의해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는 작동 압력 유입구, 작동 압력 배출구, 및 셔틀 밸브 배출구에 제공된 압력을 이용해서 작동 압력 유입구와 작동 압력 배출구 사이의 압력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입구를 가진 릴레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처리 유닛은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위한 작동 압력을 제공하는 릴레이 밸브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압력 유입구는 릴레이 밸브 접속부에 연결될 수 있고, 작동 압력 배출구는 제어 밸브에 연결될 수 있고, 제어 유입구는 셔틀 밸브 배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셔틀 밸브를 이용한 릴레이 밸브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용 브레이크 장치의 최상의 조절 가능성이 구현되어야 하고, 즉 ABS-제어 밸브들 이전의 제동력이 여기에 제안된 해결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의 적재에 따라 완전히 자유롭게 각각의 축에 대해 조절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다른 해결 방법에 따라 앞차축과 뒤차축 사이의 제동력 비가 풋 브레이크 모듈의 미리 정해진 공압 특성곡선에 의해 고정적으로 미리 정해지므로, 제동력 비는 적재 차량(뒤차축에서 높은 하중, 뒤차축에서 높은 제동 압력)은 물론 빈 차량(뒤차축에서 낮은 하중 = 낮은 제동 압력)의 경우에 때로는 최적이 아닐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는, 축당 하나의 공급 밸브를 공기 처리 유닛에 의해 제어하도록 형성된 여기에 제시된 해결 방법의 실시예가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는, 필요한 체적 유량을 제공하기 위해 축당 하나의 릴레이 밸브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여기에 제안되는 해결 방법의 실시예가 또한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면에서 주로 이러한 2개의 릴레이 밸브가 도시되고, 한편으로는 전술한 앞차축을 위한 릴레이 밸브(134) 및 파킹 브레이크 실린더로 안내되는 뒤차축을 위한 제2 릴레이 밸브가 도시된다.
또한, 공급 밸브 및/또는 릴레이 밸브가 공기 처리 유닛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되지만, 공기 처리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여기에 제안된 해결 방법의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공급 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릴레이 밸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단 안정 또는 쌍 안정 상태에서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실시예도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압력으로 상용 브레이크 실린더의 제동을 수행하는 상용 브레이크와 달리, 파킹 브레이크는 일반적으로 역 압력비로 파킹 브레이크 실린더의 스프링 어큐물레이터를 무압으로 제동하고 주행 및 파킹 시 쌍 안정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파킹 브레이크는 주로 뒤차축에만 배치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앞차축에 록킹 브레이크 실린더를 가진 차량도 있다. 상용 브레이크와 파킹 브레이크의 2개의 제동 컨셉은 앞차축 및 뒤차축 모두에서 공기 처리부에 의해 실시되어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쌍 안정으로 구현된다.
제동이 단계적일 수 있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용 브레이크의 제어를 위해 적어도 2개의 전기 리던던트 시스템 또는 리던던트 시스템이 제공되는 여기에 제안된 해결 방법의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정상적인 경우에 공기 처리부에 의해 제어되는 기능적으로 완전한 전기 상용 브레이크가 고장인 경우에, 이론적으로 EBS-시스템도 백업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는, 운전자 요구와 무관하게 또는 운전자의 요구를 통제하여 상용 브레이크 기능의 단계적 제어를 실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처리 유닛은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판독된 센서 정보에 기반해서 상용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설정 압력을 계산하기 위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가 공기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처리 유닛은, 풋 브레이크 모듈에 의한 운전자 제동 요구에 따라서 상용 브레이크의 공압식 리던던트 제어를 추가로 수행하도록 형성된, 여기에 제안된 해결 방법의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여기에 제안된 해결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공기 처리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이 경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 밸브 접속부에 설정 압력이 공급되도록, 공급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또한, 반도체 메모리, 하드 디스크 메모리 또는 광학 메모리와 같은 기계 판독 가능 캐리어 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특히 프로그램 제품 또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또는 장치에서 실행될 때,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 구현 및/또는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되 고 이하의 기재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유닛을 가진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유닛을 가진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유닛을 가진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에 도시되며 유사하게 작용하는 부재들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이 경우 이러한 부재들의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 설명된 도 1 내지 도 3에서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한 라인들은 점선으로 표시되고, 공압 라인은 실선으로 표시되고, 전기 에너지의 송전을 위한 라인은 화살표 형의 라인으로 표시된다. 선택적인 연결부들은 부분적으로 파선으로 표시되고, 부분적으로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유닛(102)을 가진 상용차용 브레이크 장치(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공기 처리 유닛(102)은 압축기(104)에 연결되며 압축기(104)에 의해 제공된 압축 공기를 필터링하고 건조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106)를 포함한다. 필터 카트리지(106)는 공기 처리 유닛(102)의 하우징(108)에 배치되고, 필터 카트리지 라인(110)을 통해 하우징(108)에 공압식으로 연결된다. 하우징(108) 내에 공급 밸브(112)가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 따라 공급 밸브(112)는 분배 유닛(114)을 통해 필터 카트리지 라인(110)에 연결된다. 연결 라인(116)은 분배 유닛(114)을 하우징(108)의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연결한다. 이 경우 공급 밸브(112)는 연결 라인(116) 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기능을 위해 압력 탭이 분배 유닛(114) 전방에도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라, 공급 밸브를 위한 공급 압력이 안정한 것, 즉 압축기를 활성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0으로 떨어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로써 압력 탭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분배 유닛과 체크 밸브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라인(116)은 브레이크 장치(100)의 상용 브레이크에 할당된 브레이크 회로의 부분이다.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의해 공기 처리 유닛(102)은 예를 들어 2개의 제어 밸브(120)에 공압 연결되고, 상기 제어 밸브들은 상용차의 앞차축의 2개의 전방 휠 브레이크 실린더(122) 중 각각 하나의 앞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 밸브 접속부(118)는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상용차의 뒤차축 브레이크에 할당된 제어 밸브에 연결된다.
공급 밸브(112)는,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설정 압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하우징(108) 내에 배치된 제어부(124)는, 상응하는 제어 신호(126)의 출력에 의해 공급 밸브(112)를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제어 밸브들(120)은, 전방 휠 브레이크 실린더(122)에서 각각의 제동 압력을 변경하도록 형성된다. 공기 처리 유닛(102)에 의한 제어 밸브(120)의 제어는 예를 들어, 제동 시 휠의 정지가 저지되도록 또는 상용차가 일방으로 제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 따라 공급 밸브(112)는,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설정 압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설정 압력은 주변 압력과 작동 압력 사이에서 단계적으로 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압력은 부분적으로 자기 밸브로부터 직접 제공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는 공기량 증가 방식으로 릴레이 밸브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공급 밸브(112)는, 2개의 제어 밸브(120) 중 하나의 제어 밸브 앞에 연결된 밸브의 또는 브레이크 장치(100)의 밸브 모듈의, 예를 들어 릴레이 밸브의 공압 제어를 위해 제어 압력을 설정 압력으로서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이하에서 도 2를 참고로 설명된다.
상용차는 예를 들어 앞차축 및 뒤차축의 각각의 휠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4개의 선택적 휠 회전 속도 센서(128)를 갖는다. 휠 회전 속도 센서(128)는 휠의 각각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휠 회전 속도 센서 신호(130)를 제어부(124)에 전송하고, 이 경우 제어부(124)는, 휠 회전 속도 센서 신호(130)를 이용해서, 즉 휠들의 각각의 회전 속도에 의존해서 공급 밸브(112)를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24)는, 특히 상용차의 제동 시 전륜의 정지가 방지되도록 또는 상용차가 추가로 일방으로 제동되도록, 공급 밸브(112)에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2개의 제어 밸브(120)를 직접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휠 회전 속도 센서 신호(130)를 이용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공급 밸브(112)는 복수의 개별 밸브로, 여기에서 예를 들어 2개의 자기 밸브 유닛을 가진 자기 밸브(132)와 릴레이 밸브(134)로 이루어진 밸브 모듈로서 구현된다. 릴레이 밸브(134)는 작동 압력 유입구(1), 작동 압력 배출구(2) 및 작동 압력 유입구(1)와 작동 압력 배출구(2) 사이의 압력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입구(4)를 포함한다. 작동 압력 유입구(1)는 연결 라인(116)을 통해 분배 유닛(114)에 연결되므로, 작동 압력 유입구(1)에 작동 압력 형태의 설정 압력이 인가한다. 작동 압력 배출구(2)는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연결된다. 제어 유입구(4)는 자기 밸브 유닛(132)의 배출구(2)에 연결된다. 이러한 자기 밸브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2개의 자기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밸브들은 압력 유지, 압력 형성 및 압력 감소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러한 사실은 도면에서 명백함을 위해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는다. 자기 밸브 유닛(132)은, 설정 압력, 여기에서 작동 압력을 이용해서 제어 유입구(4)에 예를 들어 릴레이 밸브(134)의 개방을 위한 훨씬 낮은 제어 압력을 공급하여,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설정 압력이 인가하도록 형성된다. 자기 밸브(132)의 전기 제어는 제어부(124)에 의해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라 공급 유닛(112)은 쌍 안정으로 구현된다. 이로 인해, 전원 공급의 중단 시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설정 압력이 인가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쌍 안정 밸브는 예를 들어 최대 압력 또는 무압에서 쌍 안정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는 파킹 브레이크의 2개의 압력 상태의 무전류 유지를 위해 적합하다. 즉, 임의의 설정 압력은 무전류로 유지될 수 없다. 쌍 안정 밸브 유닛은 예를 들어 압력단 위치들 중 하나로 조절된다.
2개의 전방 휠 브레이크 실린더(122)는 앞차축 밸브 모듈(136)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100)의 풋 브레이크 모듈(138)에 연결된다. 2개의 제어 밸브(120)는 전방 휠 브레이크 실린더(122)와 앞차축 밸브 모듈(136) 사이에 배치된다. 2개의 제어 밸브(120)를 앞차축 밸브 모듈(136)에 연결하는 라인 섹션에 셔틀 밸브(140)가 배치되고, 상기 밸브는 제1 셔틀 밸브 유입구(142), 제2 셔틀 밸브 유입구(144) 및 셔틀 밸브 배출구(146)를 갖는다. 이 경우 제1 셔틀 밸브 유입구(142)는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연결되고, 제2 셔틀 밸브 유입구(144)는 앞차축 밸브 모듈(136)의 배출구에 및 브레이크 장치(100)의 상용 브레이크에 할당된 브레이크 회로에 연결되고, 셔틀 밸브 배출구(146)는 2개의 제어 밸브(120)에 연결된다. 셔틀 밸브(140)에 의해, 2개의 셔틀 밸브 유입구(142, 144)에 인가하는 압력들 중 더 큰 압력이 2개의 제어 밸브(120)에 각각 공급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브레이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상용차의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의 EBS-제어부(14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EBS-제어부(148)는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해, 예를 들어 휠 회전 속도 센서(128), 풋 브레이크 모듈(138) 및 앞차축 밸브 모듈(136)에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라 공기 처리 유닛(102)의 제어부(124)는,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 시 공급 밸브(112)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므로, 상용차의 앞차축에서 충분한 제동 성능이 계속 보장될 수 있다.
풋 브레이크 모듈(138)은 또한 뒤차축 밸브 모듈(150)에 의해 상용차의 뒤차축의 2개의 후방 휠 브레이크 실린더(15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앞차축과 달리 뒤차축 밸브 모듈(150)과 후방 휠 브레이크 실린더(152) 사이에 ABS-제어 밸브들이 배치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 따라 2개의 후방 휠 브레이크 실린더(152)는, 배기된 상태에서 상용차의 후륜을 스프링력에 의해 정지시키도록 형성된다. 후방 휠 브레이크 실린더(152)는 이로써 록킹 브레이크 또는 파킹 브레이크로서 작용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유닛(102)을 포함하는 상용차용 브레이크 장치(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브레이크 장치(100)는 도 1에 따라 전술한 브레이크 장치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도 1과 달리, 도 2의 브레이크 장치(100)는 앞차축- 및 뒤차축 밸브 모듈 없이 도시된다. 그 대신 풋 브레이크 모듈(138)은 2개의 후방 휠 브레이크 실린더(152) 앞에 연결된 2개의 추가 제어 밸브(200)에 의해 2개의 후방 휠 브레이크 실린더(152)에 연결된다. 또한, 앞차축의 2개의 제어 밸브(120)와 마찬가지로 뒤차축의 2개의 추가 제어 밸브(200)는 ABS-압력 제어 밸브로서 작용한다. 4개의 제어 밸브(120, 200)의 전기 제어는 정상적인 경우에 ABS-제어부(202)에 의해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4개의 제어 밸브(120, 200)는 ABS-제어부(202)의 고장 시 공기 처리 유닛(102)의 제어부(12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파킹 브레이크의 스위칭 가능한 릴레이 밸브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뒤차축에도 릴레이 밸브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뒤차축에서 앞차축과 유사하게 제어 밸브 전방의 압력이 추가 밸브(144)에 의해 뒤차축의 상용 브레이크 실린더를 위한 중복 압력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최대 팽창 단계).
도 1과의 추가 차이점은, 릴레이 밸브(134)는 여기에서 하우징(108)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 경우 작동 압력 유입구(1)는 분배 유닛(114)에 접속된, 하우징(108)의 릴레이 밸브 접속부(204)에 연결되고, 따라서 작동 압력 유입구(1)에 릴레이 밸브 접속부(204)를 통해 작동 압력이 공급된다. 작동 압력 배출구(2)는 제1 셔틀 밸브 유입구(142)에 연결되는 한편, 제어 유입구(4)는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연결된다. 제1 셔틀 밸브 유입구(122)는 이로써 릴레이 밸브(134)에 의해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연결된다. 하우징(108) 내부에 있는 자기 밸브(132)의 배출구(2)도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연결되고, 제어 밸브 접속부(118)를 통해 릴레이 밸브(134)의 공압식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제어 압력을 설정 압력으로서 제어 유입구(4)에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제2 셔틀 밸브 유입구(144)는 풋 브레이크 모듈(138) 및 브레이크 장치(100)의 상용 브레이크 회로에 연결된다. 셔틀 밸브 배출구(14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차축의 2개의 제어 밸브(120)에 연결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유닛(102)을 가진 상용차용 브레이크 장치(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브레이크 장치(100)는 대부분 도 2에 따라 전술한 브레이크 장치에 부합하고, 릴레이 밸브(134)가 도 2에서처럼 제어 밸브 접속부(118)와 셔틀 밸브(140) 사이에 배치되는 대신 여기에서는 셔틀 밸브(140)와 2개의 제어 밸브(120) 사이에 배치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경우 제1 셔틀 밸브 유입구(14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직접 연결되는 한편, 제2 셔틀 밸브 유입구(144)는 풋 브레이크 모듈(138)에 접속된다. 릴레이 밸브(134)의 제어 유입구(4)는 셔틀 밸브 배출구(146)에 연결된다. 릴레이 밸브(134)의 공압식 제어는 이로써 셔틀 밸브(140)에 의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작동 압력 유입구(1)는 릴레이 밸브 접속부(204)에 연결되고, 작동 압력 배출구(2)는 2개의 제어 밸브(120)에 연결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4),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전술한 제어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제어부(124)는 제어 신호(126)의 생성을 위한 생성 유닛(41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24)는 휠 회전 속도 센서 신호(130)의 판독을 위한 그리고 생성 유닛(410)에 휠 회전 속도 센서 신호(130)를 전달하기 위한 판독 유닛(42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생성 유닛(410)은, 휠 회전 속도 센서 신호(130)를 이용해서 제어 신호(126)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5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500)은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따라 전술한 제어부와 관련해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500)은 공기 처리 유닛의 공급 밸브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 단계(51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여기에 제안된 해결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다시 한번 요약된다.
브레이크 장치(100)의 설정 압력은 일반적으로 풋 브레이크 모듈(138)을 통해 앞차축과 뒤차축의 2개의 브레이크 회로에 전달된다. 앞차축과 뒤차축의 압력비는 공압식으로 풋 브레이크 모듈(138)에 의해 결정된다. 즉, 특정 상황에서 2개의 축이 동시에 슬립에 대해 최적으로 조절될 수 없다. ABS-경우라도 2개의 축 중 하나에서, 앞에서 간단하게 제어 밸브라고도 하는, ABS-압력 제어 밸브 상류의 예비 압력은 다음으로 높을 수 있다.
여기에 제안된 해결 방법에 의해, 자율 주행 중에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 시 공기 처리 유닛(102)에 의해 제공된 설정 압력을 ABS-압력 제어 밸브들 전방의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과 병행해서 각각의 축에 대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차축에 최적의 제동력 분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적재에 기인하는 수직력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는, 축으로 제동력의 최적의 분포 및 가급적 짧은 제동 거리가 보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24)는,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과 병행해서, 휠 회전 속도 센서 신호(130), 즉 폴 휠 신호를 판독하도록 형성된다. 휠 슬립의 정보에 의해 제어부(124)는 적어도 각각의 축에 대해 마찰 계수가 더 낮은 휠의 최대로 허용된 슬립을 적용하고, 이는 안티 록 브레이크 시스템과 유사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ABS-압력 제어 밸브는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 시 제어를 위해 제어부(124)에 전기 접속된다. 이로 인해, 개별 휠마다 슬립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특히 마찰 조건이 비대칭으로 변하는 경우 제동 거리를 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기 처리 유닛(102)은 이로 인해, 스티어링 된 축의 일방 제동에 의해 스티어링 제동을 수행하는 가능성이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라 공급 밸브(112)는 적어도 2개의 자기 밸브를 가진 자기 밸브 유닛(132)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 밸브들은 추가로 공기 처리 유닛(102)에 통합되고, 제어 공기를 릴레이 밸브(134)를 이용해서 공기량 증가 방식으로 하이 셀렉트 밸브에 의해 ABS-압력 제어 밸브 전방의 라인 분기 내로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밸브(134)는 공기 처리 유닛(102)에 통합되거나 공기 처리 유닛(102) 외부에 배치된다.
안티 록 시스템의 경우, 공기 처리 유닛(102)이 안티 슬립 조절 중에 정상적으로 구동 휠에 안티 슬립 조절 밸브들을 통해 공급 압력을 전달할 수 있으면, (동일한 기능을 갖는 비례 밸브 또는 차압 밸브와 대등하게) 공기 처리 유닛(102)의 이러한 확장에 의해 안티 슬립 조절 밸브는 절약될 수 있다.
상용차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기능적 확장은 예를 들어, 앞차축의 제어를 위한 공급 밸브(112)를 쌍 안정으로 구현하여, 점화 장치의 스위치 오프 또는 정전 후에도 앞차축에서 제동 압력이 유지되는 것에 있다. 이는 비상 상황에서, 뒤차축이 낮은 레벨에서만 정지하면, 차량을 정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공기 처리 유닛(102)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100)의 제어는 실시예에 따라 상용차의 하나 이상의 축에서 구현된다. 이 경우, 뒤차축에 2채널 압력 조절 모듈 대신 뒤에 접속된 ABS-압력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단일 채널 압력 조절 모듈이 설치되어,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 시 뒤차축에서도 공기 처리 유닛(102)에 의해 측면별 브레이크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록킹 브레이크 실린더가 장착된 상용차의 차축으로 제어의 확장 시 록킹 브레이크에 의한 여기에 도시된, 뒤차축의 제동 제어는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록킹 브레이크는 자율 주행을 위한 중복 기능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설계할 치수 및 견고성과 관련해서, 제어 전류만이 선택 하이 밸브를 통해 안내되는 경우에만 바람직하다.
실시예가 제1 특징과 제2 특징 사이에 "및/또는" 논리 결합을 포함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는 제1 특징과 제2 특징 모두 및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특징만 또는 제2 특징만을 갖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1 : 작동 압력 유입구 2 : 작동 압력 배출구
4 : 제어 유입구 100 : 브레이크 장치
102 : 공기 처리 유닛 104 : 압축기
106 : 필터 카트리지 108 : 하우징
110 : 필터 카트리지 라인 112 : 공급 밸브
114 : 분배 유닛 116 : 연결 라인
118 : 제어 밸브 접속부 120 : 제어 밸브
122 : 전방 휠 브레이크 실린더 124 : 제어부
126 : 제어 신호 128 : 휠 회전 속도 센서
130 : 휠 회전 속도 센서 신호 132 : 자기 밸브
134 : 릴레이 밸브 136 : 앞차축 밸브 모듈
138 : 풋 브레이크 모듈 140 : 셔틀 밸브
142 : 제1 셔틀 밸브 유입구 144 : 제2 셔틀 밸브 유입구
146 : 셔틀 밸브 배출구 148 : EBS-제어부
150 : 뒤차축 밸브 모듈 152 : 후방 휠 브레이크 실린더
200 : 추가 제어 밸브 202 : ABS 제어부
204 : 릴레이 밸브 접속부 410 : 생성 유닛
420 : 판독 유닛
500 : 공기 처리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510 : 생성하는 단계

Claims (19)

  1. 상용차의 브레이크 장치(100)를 위한 공기 처리 유닛(102)으로서, 상기 공기 처리 유닛(102)은 하기 특징들을 포함하는 것인 공기 처리 유닛:
    - 상기 브레이크 장치(100)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122) 앞에 연결되며 상기 휠 브레이크 실린더(122) 내의 제동 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120)에 상기 공기 처리 유닛(102)을 공압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어 밸브 접속부(118);
    - 상기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설정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밸브(112); 및
    - 상기 공급 밸브(11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4)는 상용차의 적어도 하나의 휠 회전 속도 센서(128)에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하고, 상기 휠 회전 속도 센서(128)에 의해 생성된 휠 회전 속도 센서 신호(130)를 이용해서 상기 공급 밸브(112) 및/또는 상기 제어 밸브(120)를 제어하도록, 특히 상용차가 일방으로 제동되게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공기 처리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유닛(102)에 의해 처리된 공기를 상기 브레이크 장치(100)의 상용 브레이크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회로 및 상기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분배 유닛(114)을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라인(116)으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 유닛(114)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밸브(112)는 상기 연결 라인(116) 내에 배치되고, 특히 상기 연결 라인(116)은 브레이크 회로의 부분이고, 특히 제1 셔틀 밸브 유입구(142)와 제2 셔틀 밸브 유입구(144)를 가진 셔틀 밸브(140)에 의해 상용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공급 밸브(112)는, 상기 제2 셔틀 밸브 유입구(144)에서 앞차축- 또는 뒤차축 밸브 모듈(136)의 배출 제어 압력 및/또는 풋 브레이크 모듈(138)의 배출 제어 압력을 중첩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공기 처리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4)는, 상용차의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에 대응해서 상기 공급 밸브(112) 및/또는 상기 제어 밸브(120)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공기 처리 유닛.
  5. 브레이크 장치(100)로서 하기 특징들,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기 처리 유닛(102);
    - 상기 브레이크 장치(100)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122) 앞에 연결되며 상기 휠 브레이크 실린더(122) 내의 제동 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120); 및
    - 제1 셔틀 밸브 유입구(142), 제2 셔틀 밸브 유입구(144) 및 셔틀 밸브 배출구(146)를 가진 셔틀 밸브(1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셔틀 밸브 유입구(142)는 상기 공기 처리 유닛(102)의 상기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셔틀 밸브 유입구(144)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100)의 상용 브레이크에 할당된 브레이크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셔틀 밸브 배출구(146)는 상기 제어 밸브(120)에 연결되는 것인 브레이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작동 압력 유입구(1), 작동 압력 배출구(2), 및 설정 압력을 이용해서 상기 작동 압력 유입구(1)와 상기 작동 압력 배출구(2) 사이의 압력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입구(4)를 가진 릴레이 밸브(134)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처리 유닛(102)은 상기 브레이크 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작동 압력을 제공하는 릴레이 밸브 접속부(204)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압력 유입구(1)는 상기 릴레이 밸브 접속부(204)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 압력 배출구(2)는 상기 제1 셔틀 밸브 유입구(142)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입구(4)는 상기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연결되는 것인 브레이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작동 압력 유입구(1), 작동 압력 배출구(2), 및 상기 셔틀 밸브 배출구(146)에 제공된 압력을 이용해서 상기 작동 압력 유입구(1)와 상기 작동 압력 배출구(2) 사이의 압력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입구(4)를 가진 릴레이 밸브(134)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처리 유닛(102)은 상기 브레이크 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작동 압력을 제공하는 릴레이 밸브 접속부(204)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압력 유입구(1)는 상기 릴레이 밸브 접속부(204)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 압력 배출구(2)는 상기 제어 밸브(12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입구(4)는 상기 셔틀 밸브 배출구(146)에 연결되는 것인 브레이크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당 하나의 공급 밸브(112)를 상기 공기 처리 유닛(102)에 의해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브레이크 장치.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요한 체적 유량을 제공하기 위해 축당 하나의 릴레이 밸브(134)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브레이크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112) 및/또는 상기 릴레이 밸브(134)는 상기 공기 처리 유닛(102)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되지만, 상기 공기 처리 유닛(1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인 브레이크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들(112)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상기 릴레이 밸브들(134) 중 적어도 하나는, 쌍 안정 상태에서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브레이크 장치.
  1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동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인 브레이크 장치.
  13.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용 브레이크의 제어를 위해 적어도 2개의 전기 리던던트 시스템이 제공되는 것인 브레이크 장치.
  14. 제5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100)는, 운전자 요구와 무관하게 또는 운전자의 요구를 통제하여 상용 브레이크 기능의 단계적 제어를 실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브레이크 장치.
  15. 제5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유닛(102)은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판독된 센서 정보에 기반해서 상용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설정 압력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브레이크 장치.
  16. 제5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유닛(102)은, 풋 브레이크 모듈(138)에 의한 운전자 제동 요구에 따라서 상용 브레이크의 공압식 리던던트 제어를 추가로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브레이크 장치.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기 처리 유닛(102)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500)으로서, 상기 방법(500)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제어 밸브 접속부(118)에 설정 압력이 공급되도록 공급 밸브(11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126)를 생성하는 단계(510).
  18. 제17항에 따른 방법(500)을 실행 및/또는 제어하도록 형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19. 제18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97010751A 2016-09-21 2017-08-24 상용차의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공기 처리 유닛, 브레이크 장치 및 공기 처리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KR102207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7837.3 2016-09-21
DE102016117837.3A DE102016117837A1 (de) 2016-09-21 2016-09-21 Luftaufbereitungseinheit für eine Bremsanlage eines Nutzfahrzeugs, Brem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uftaufbereitungseinheit
PCT/EP2017/071273 WO2018054644A1 (de) 2016-09-21 2017-08-24 Luftaufbereitungseinheit für eine bremsanlage eines nutzfahrzeugs, brem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uftaufbereitungs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056A true KR20190047056A (ko) 2019-05-07
KR102207124B1 KR102207124B1 (ko) 2021-01-22

Family

ID=5971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751A KR102207124B1 (ko) 2016-09-21 2017-08-24 상용차의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공기 처리 유닛, 브레이크 장치 및 공기 처리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90217842A1 (ko)
EP (1) EP3515777B1 (ko)
JP (1) JP6851484B2 (ko)
KR (1) KR102207124B1 (ko)
CN (1) CN109996710B (ko)
BR (1) BR112019005056B1 (ko)
DE (1) DE102016117837A1 (ko)
RU (1) RU2730741C1 (ko)
WO (1) WO20180546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2193A1 (de) * 2018-09-12 2020-03-12 Wabco Gmbh Relaisventilmodul zur Verwendung als Achsmodulator und Anhängersteuermodul
DE102019118895A1 (de) 2019-07-12 2021-01-14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Parkbremseinrichtung für ein Nutzfahrzeug
DE102019118896A1 (de) * 2019-07-12 2021-01-14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Parkbremseinrichtung
US11972943B2 (en) 2019-09-20 2024-04-30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dielectric material
US11427175B2 (en) 2019-12-16 2022-08-30 Waymo Llc Vehicle braking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1394A1 (de) * 2005-06-08 2006-12-1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5895A1 (de) * 1995-04-29 1996-10-31 Bosch Gmbh Robert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für Fahrzeug-Druckluftanlagen sowie Verfahren zum Steuern der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DE10207803B4 (de) * 2002-02-25 2008-11-2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Druckregler einer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e Bremsanlage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m Befüllen einer Kraftfahrzeug-Bremsanlage mit Druckluft
DE10314642B3 (de) 2003-04-01 2004-11-04 Haldex Brake Products Gmbh Druckluftaufbereitungsgerät
DE10357255A1 (de) * 2003-12-08 2005-07-14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Luftaufbereit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einflussen eines Reifendrucks bei einem Nutzkraftfahrzeug
DE102010009035A1 (de) * 2010-02-24 2011-08-25 WABCO GmbH, 30453 Druckluftaufbereit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JP5832391B2 (ja) * 2012-08-08 2015-12-16 三菱電機株式会社 列車ブレーキ制御装置
DE102013006860A1 (de) 2013-04-19 2014-10-2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Pneumatisches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1394A1 (de) * 2005-06-08 2006-12-1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5777A1 (de) 2019-07-31
WO2018054644A1 (de) 2018-03-29
BR112019005056B1 (pt) 2023-11-14
JP6851484B2 (ja) 2021-03-31
EP3515777B1 (de) 2020-08-19
BR112019005056A2 (pt) 2019-06-18
CN109996710B (zh) 2022-03-22
JP2019529246A (ja) 2019-10-17
US20190217842A1 (en) 2019-07-18
KR102207124B1 (ko) 2021-01-22
CN109996710A (zh) 2019-07-09
RU2730741C1 (ru) 2020-08-25
DE102016117837A1 (de)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124B1 (ko) 상용차의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공기 처리 유닛, 브레이크 장치 및 공기 처리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US11052892B2 (en) Electronically controllable pneumatic brake system in a utility vehicle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a pneumatic brake system
JP6810805B2 (ja) 商用車における電子制御可能な空気圧式ブレーキシステムならびに商用車において空気圧式ブレーキシステムを電子制御する方法
JP6847232B2 (ja) 商用車のブレーキ装置のための空気処理ユニットおよび空気処理ユニットを作動させる方法
US10654458B2 (en) Electronic brake system for a compressed air braking system of a utility vehicle
US10207694B2 (en) Parking brake system
KR20160108349A (ko) 차량들용의 브레이크 시스템
CN107848515B (zh) 用于混合制动促动器的abs策略
JP2009518238A (ja) 電空制動制御装置
US8359146B2 (en) Single channel roll stability system
US9802593B2 (en) Multi-pressure valve controller and method for a vehicle braking system
EP2750949A1 (en) Vehicle braking system
CN113518738B (zh) 用于商用车的电动气动制动系统
US92488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braking
CN108016419B (zh) 能够电子滑动调节的制动设备
CN112055675B (zh) 重型车辆冗余制动系统
US7938411B2 (en) Axle air dump for multiple axle vehicles
JP2004504987A (ja) 圧縮空気作動式ブレーキ装置を備えた自動車用の安定化装置
CN112896121B (zh) 一种制动系统及制动方法
CN117162990A (zh) 挂车制动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