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354A - 차량 및 차량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354A
KR20190046354A KR1020170140053A KR20170140053A KR20190046354A KR 20190046354 A KR20190046354 A KR 20190046354A KR 1020170140053 A KR1020170140053 A KR 1020170140053A KR 20170140053 A KR20170140053 A KR 20170140053A KR 20190046354 A KR20190046354 A KR 20190046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smart card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514B1 (ko
Inventor
진규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0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514B1/ko
Priority to CN201711297030.3A priority patent/CN109703516B/zh
Priority to US15/835,677 priority patent/US10803686B2/en
Priority to DE102017222476.2A priority patent/DE102017222476A1/de
Publication of KR20190046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52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opening of different locks separate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53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anti-thef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54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starting i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centr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7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ca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신호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1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 카드로부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 및 제 2신호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차량 시스템은, 원격 조작 장치의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고장으로 인해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카드 등록 과정에서 고유 값을 사용하여 등록을 하므로, 제3자의 비정성적인 차량의 사용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 시스템{A vehicle and vehicle system}
본 발명은 차량 및 서버를 포함하고 있는 차량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현대 사회에서 자동차는 가장 보편적인 이동 수단으로서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과거보다 장거리의 이동이 용이하고, 생활이 편해지는 등 생활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핸즈프리 장치, GPS 수신기, 블루투스 장치 및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 등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자동차 관련 기술 분야들 중에서 전기전자 분야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과거에는 차량의 키를 이용하여 직접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고 차량의 시동을 켰지만, 최근에는 외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차량의 원격 조작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키 박스에 별도의 키를 삽입하거나, 작동을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말한다.
원격 조작 장치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원격 조작 장치와의 엘에프(Low Frequency; 블루투스) 통신 및 알에프(Radio Frequency;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별도의 키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도어를 열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후 시동 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도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격 조작 장치로는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 폰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포브(FOB) 등의 장치가 사용된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 조작 장치로 포괄적으로 설명하지만, 당연히 원격 조작 장치에는 포브 키와 스마트 키, 모바일 기기 등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격 조작 장치의 경우 차량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전원의 공급이 필요하므로, 원격 조작 장치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에는 차량의 출입시동 기능의 수행이 불가능함으로 사용자는 항상 원격 조작 장치의 전원 상태에 신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원격 조작 장치의 고장으로 인해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스마트 카드와 같은 보조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스마트 카드를 분실 또는 도난 당했을 경우, 스마트 카드를 습득하여 차량을 도난 하려는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신호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1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 카드로부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 및 제 2신호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트렁크 및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상기 스마트 카드에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상기 제1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후, 다른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신호는 다른 차량과 구별되는 상기 차량의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신호가 상기 제1신호루부터 유도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로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스마트 카드가 감지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 버튼, 도어, 핸들, 센터페시아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차량의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신호를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 및 상기 제1 신호를 기초로 제2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신호를 스마트 카드에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신호를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신호 및 제 2신호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트렁크 및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상기 스마트 카드에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시스템은 상기 제1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신호는 다른 차량과 구별되는 상기 차량의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신호가 상기 제1신호루부터 유도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로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복수 개의 제1신호를 수신한 경우,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2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제2신호를 서로 다른 복수개의 스마트 카드에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상기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카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후, 다른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원격 조작 장치의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고장으로 인해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카드 등록 과정에서 고유 값을 사용하여 등록을 하므로, 제3자의 비정성적인 차량의 사용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내부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 조작 장치 및 스마트 카드가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시스템(200)의 작동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카드 등록 과정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를 등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차량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및 도2를 통해 본 발명이 설치된 차량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외관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내부도이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12,13),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5L),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6), 사용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4L,14R)를 포함할 수 있다.
차륜(12,13)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12),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13)을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장치(미도시)는 차량(1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12) 또는 후륜(13)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15L, 15R)는 차량(10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사용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또한, 차량(100) 외부에는 도어(15L, 15R)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17L, 17R)가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17L)에는 블루투스(Low Frequency)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안테나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감지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 조작 장치(미도시)를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15L,15R)의 터치 감지부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1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미도시)와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100)의 도어 락이 해제되어 사용자의 손잡이(17L, 17R)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15L)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 뿐만 아니라, 차량(100) 내 탑승한 동승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유리(16)는 본체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4L, 14R)는 차량(10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4L)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4R)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사용자가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00)은 후면 또는 측면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100) 측면이나 후면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시보드(29)의 중앙 영역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에서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0)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부가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운전석(18L)와 조수석(18R) 사이에 죠그 셔틀(jog shuttle) 타입의 센터 입력부(33)가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센터 입력부(33)를 돌리거나 가압하거나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차량(1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5)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15)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스피커(15)가 운전석(18L) 자리와 조수석(18R) 자리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으로(15L, 15R)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운전석(18L) 쪽의 대시보드(26)에는 스티어링 휠(27)이 마련되며, 스티어링 휠(27)과 인접한 영역에 원격 조작 장치(미도시; 일 예로서, 포브(FOB)키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28)가 형성될 수 있다. 키 홈(28)에 차량(100)의 시동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는 원격 조작 장치(300)가 삽입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300)와 차량(100) 간의 인증이 완료되면 외부 단말기와 차량(10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29)에는 차량(100)의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시동 버튼(29)이 마련될 수 있고, 키 홈(28)에 원격 조작 장치(300)가 삽입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단말기(미도시)와 차량(100) 간의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의 시동 버튼(29) 가압에 의해 차량(100)의 시동이 턴온될 수 있다.
한편, 차량(100)에는 공조 장치가 구비되어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21)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통푸구(15)가 운전석(18L) 자리와 조수석(18R) 자리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으로(21L, 22R)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 및 차량(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조작 장치(200) 및 스마트 카드(300)의 일 예시도이다.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과 직접 접촉하거나,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3의 (a)에 개시된 일 예로,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에 연결되어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포브 키일 수 있다. 도 3에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원격 조작 장치(200)는 포브 키가 아니더라도 전술한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등 차량(100)을 제어하는 입력 기기이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가 원격 조작 장치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개시된 발명의 원격 조작 장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에는 원격 조작 장치(200)로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200)는 차량(100)과 함께 판매될 수 있으며, 차량(100)과의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200)와 차량(100)은 상호 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LF통신망 및 RF통신망을 통해 상호 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LF(Low Frequency)통신망은 차량(100)이 원격 조작 장치(200)를 탐색하는 데 필요한LF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저주파수 대역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20kHz 이상 150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통신망일 수 있다.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저주파수 대역으로 인한 특성 때문에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고주파수 대역을 갖는 RF통신망의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짧다. 예를 들어, LF신호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5m이고, RF신호 송수신 가능 거리는 약 100m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0)은 LF통신망을 통해 LF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차량(100)에 근접한 원격 조작 장치(200)를 탐색하고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차량(100)이 LF안테나(미도시)를 통해 LF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작 장치(200)는 각 LF안테나가 송신한 LF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통신망은 차량(100)이 LF신호를 수신한 원격 조작 장치(200)로부터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300MHz 이상 450MHz 이하의 UHF(Ultra High Frequency) 주파수 대역을 갖는 통신망일 수 있다. RF통신망을 통해 R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신호의 송수신 가능 거리는 저주파수 대역을 갖는 LF통신망 송수신 가능 거리에 비하여 길다.
도 3의 (b)는 스마트 카드(300)를 이용하여 차량(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존의 원격 조작 장치(200)의 경우 차량(10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전원의 공급이 필요하므로, 원격 조작 장치(100)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에는 원격 조작 장치(200)로 차량(100)으로의 출입 및 차량(100)의 시동 기능의 수행이 불가능한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원격 조작 장치(200)의 고장으로 인해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사용자가 차량(100)을 이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스마트 카드(300)를 보조 수단으로 사용하게 되면, 원격 조작 장치(400)의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라도, 스마트 카드(300)를 이용하여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발렛 주차가 필요한 경우 주차 요원에게 원격 조작 장치(400) 대신 스마트 카드(300)를 맡기면 되므로 사용자의 보안상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300)를 이용하여 차량(100)에 출입하거나 차량(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는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300)를 차량(100)의 도어(15)에 접촉시키거나 근처에 위치시킨 경우, 도어(15)에 장착된 센서(미도시)가 스마트 카드(30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스마트 카드(300)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카드(300)는 자체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자체 전원 공급 장치 없이 차량(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유도된 전력을 사용하여 차량(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드(300)는 사용자에게 차량(100)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구비하거나, 차량(100)의 소유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가 차량(100)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 카드(300)는 통상 1mm 이내로 두께가 매우 얇아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300)를 소지하는 중에 분실 및 도난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300)를 분실하거나 도난 당했을 경우 타인이 카드를 습득하여 차량을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또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 및 차량 시스템(200)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보다 사용자가 안전하게 스마트 카드(300)를 차량(100)에 등록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란 차량 시스템(200)의 개략적인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차량(100)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제1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0)
구체적으로, 고유 식별 정보는 차량(100)의 생산 과정에서 생성될 수 도 있으며, 고유 식별 정보는 차량(100)을 다른 차량들과 구별할 수 있는 고유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생성된 고유 식별 정보는 차량(100) 내부에 안전하게 저장될 수 있다.
그 후, 차량(100)는 생성된 제1신호로 서버(160)로 전송할 수 있다. (S20)
차량(100)으로부터 제1신호를 수신한 서버(160)는 제1신호를 기초로 제2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0)
구체적으로, 제2신호는 스마트 카드(300)를 발급하는데 필요한 디지털 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신호는 제1신호로부터 유도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제2신호와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제1신호는 서버(160)에 안전하게 저장될 수 있다.
생성된 제2신호는 스마트 카드(300)에 저장될 수 있다. (S40)
구체적으로, 스마트 카드(300)가 발급되는 경우에, 제 2신호가 스마트 카드(300)에 저장된 채로 발급될 수 있다. (S40)
그 후,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300)를 이용하여 차량(100)을 제어하려는 경우, 차량(100)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제2신호, 구체적으로 디지털 키를 포함하고 있는 제2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50)
그 후, 차량(100)은 차량(100)에 저장되어 있는 제1신호와 제2신호를 기초로 스마트카드(300)가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판단하고 제어할 권한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스마트 카드(300)를 차량(100)에 등록할 수 있다.(S60)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수신한 제2신호가 제1 신호를 기초로 생성되었는지 여부로 스마트 카드(300)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0 ~ S30 과정에서 생성한 고유 식별 값이 A이고, 서버에서 A로부터 유도되어 생성된 값이 B라고 하면, 차량(100)은 B를 해석하여 B가 A로부터 유도된 값인지 판단할 수 있다.
차량(100)이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수신한 B가 A로부터 유도된 값이면, 스마트 카드(100)는 사용자의 카드이므로, 스마트 카드(300)에 대한 정보를 차량(10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100)이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수신한 B가 A로부터 유도된 값이 아니면, 스마트 카드(100)는 사용자의 카드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110)가 마련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스마트 카드(300) 및 원격 조작 장치(200)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110), 서버(160)로 제1신호를 송신하고,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제2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20), 사용자 및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30) 및 차량(100)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0) 및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신호 및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수신한 제 2신호를 기초로 스마트 카드(300)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고 생체 정보가 감지된 경우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0)는 차량(100)에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스마트 카드(300) 및 원격 조절 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0)는 스마트 카드(300)가 감지된 경우 감지 결과를 통신부(120) 및 제어부(150)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10)에 의해 스마트 카드(300)가 감지된 경우에 한하여, 스마트 카드(300)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스마트 카드(300)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스마트 카드(300) 등록 절차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스마트 카드(300) 등록 절차를 안전하게 진행하기 위해 스마트 카드(300)의 등록 절차는 차량(100)의 원격 조작 장치(200)가 차량(100)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10)에 의해 원격 조작 장치(200)가 차량(100) 실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 카드(300)의 등록 절차는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10)의 센서는 차량(10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센터페시아에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34)가 마련되는 곳에 센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센터페시아 어느 곳이면 스마트 카드(300)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마트 카드(300)를 접촉할 수 있도록 시동 버튼(29) 또는 디스플레이(140)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동 버튼(29) 또는 디스플레이(140)에 스마트 카드(300)를 접촉하는 방법으로 스마트 카드의 등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는 차량 도어(15)의 손잡이(17)에 마련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감지부(110)의 센서가 마련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를 설명하였지만, 센서가 마련될 수 있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100) 내부 및 외부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50)가 생성한 차량(1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제1신호를 서버(160)로 송신할 수 있고, 감지부(110)에 의해 스마트 카드(300)가 감지된 경우,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제2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2신호를 제어부(150)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130)는 서버(160) 및 스마트 카드(300)와 여러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광대역(Ultra-Wide Band: UWB) 통신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서버(200)와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전술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3에서는 통신부(130)가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단일의 구성요소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미도시) 및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50)가 생성한 신호, 통신부(120)가 수신한 신호 및 스마트 카드(300)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제어부(150)가 생성한 차량(1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1신호, 통신부(120)가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수신한 제2신호 및 스마트 카드가 정상적인 절차를 통하여 차량(100)에 등록된 경우, 등록된 스마트 카드(300)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4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50)와 관련하여 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스마트 카드(300)의 등록 절차 및 스마트 카드(300)와 차량(100)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는 이를 표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디스플레이 패널은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140)가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경우, 디스플레이(14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스마트 카드(300)의 등록 절차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1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함과 동시에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제1신호와 통신부(120)에 의해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수신한 제2신호를 기초로 스마트 카드(300)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 2 신호가 제 1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경우, 스마트 카드(300)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신호는 다른 차량과 구별되는 상기 차량(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 신호는 서버(160)에서 제1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신호는 차량(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함과 동시에 제1신호로부터 유도되어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가 생성한 제1신호가 a신호를 포함하고 있고, 서버(160)에서 a로부터 유도되어 생성된 b 신호가 제2신호에 포함하고 있다면, 제어부(130)는 제2신호를 해석하여 제2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b가 신호 a로부터 유도된 값인지 판단할 수 있다.
신호 b가 a로부터 유도된 값이면, 스마트 카드(100)는 적법하게 발급된 사용자의 카드에 해당하므로, 제어부(120)는 스마트 카드(300)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스마트 카드(300)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100)이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수신한 신호 b가 신호 a로부터 유도된 신호가 아니면, 스마트 카드(100)는 사용자의 카드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제어부(130)는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스마트 카드(300)가 차량(100)을 제어할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차량(100)의 도어(15), 트렁크 및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스마트 카드(300)에게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카드(300)를 이용하여 차량(100)의 도어(15)를 열거나 잠글 수 있으며, 차량(100)의 전원을 온(ON) / 오프(OFF)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스마트 카드(300)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스마트 카드(300)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스마트 카드(300)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한 후, 사용자에 의해 다른 스마트 카드가 차량에 등록되는 경우, 차량(100)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300)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그러나, 삭제 여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차량(100)에 등록될 수 있는 스마트 카드(300)의 종류 및 개수는 제한이 없으며, 사용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스마트 카드(300)의 등록 절차를 안전하게 진행하기 위해 원격 조작 장치(200)가 차량(100)의 실내에만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 카드(300)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의 역할을 수행하는 인증 제어기(미도시)가 도난으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교체된 경우, 차량 도난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제어부(130)와 원격 조작 장치(200)는 상호 학습 과정을 거쳐 수행된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상호간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 제어기(미도시)만이 교체가 되었어도 인증 제어기는 원격 조작 장치(200)을 통신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스마트 카드(300)의 등록 절차 또한 수행될 수 없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차량(100)의 보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스마트 카드(300)의 인증 과정 및 등록 여부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HUD(Head Up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한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 따른 차량(1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카드(300) 등록 과정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은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S110)
제1신호는 다른 차량과 구별되는 상기 차량(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를 말하며, 차량 생산 과정에서 미리 설정되어 생성되거나, 스마트 카드(300)의 등록 절차를 진행하려는 경우 생성될 수 있다.
제 1 신호가 생성되었으면, 차량(100)은 제1신호를 서버(160)로 송신할 수 있다. (S120)
그리고 제1신호를 수신한 서버(160)는 제1신호를 기초로 스마트 카드(300)에 저장할 제2신호를 생성하고 서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신호는 차량(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함과 동시에 제1신호로부터 유도되어 생성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생성된 제2신호는 발급되는 스마트 카드(300)에 미리 저장되거나, 사용자의 업데이트를 통하여 스마트 카드(300)에 제2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차량(100)은 차량(10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카드를 감지할 수 있다. (S130)
스마트 카드(300)가 감지되었다는 것은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300)를 차량(100)에 등록을 하려는 것을 의미하므로, 스마트 카드(300)가 감지되었으면 스마트 카드의 등록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S140)
등록 절차를 실행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바와 같이 차량(100)은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스마트 카드(300)의 등록 과정과 관련된 화면(141a)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142) 형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음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등록 과정, 등록에 필요한 시간 등에 대한 정보도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S130 과정에서 만약 센서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300)를 감지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등록 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300)를 이용하여 차량(100)을 제어하려고 하는 경우이고 새로운 스마트 카드(300)를 등록하려는 것은 아니므로, 이 경우에는 등록 절차를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S130과정에서 스마트 카드(300)가 감지되었다 하더라도, 차량(100)의 원격 조작 장치(200)가 차량(100) 실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안정적인 스마트 카드(300)의 등록 절차를 위해 스마트 카드(300) 등록 절차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S140 과정에 의해 스마트 카드의 등록 절차가 실행되면, 차량(100)은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제2신호를 수신하고 제2신호가 제1신호를 기초로 생성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S150, S160)
구체적으로, S110과정에서 생성된 제1신호가 a신호를 포함하고 있고, 서버(160)에서 a로부터 유도되어 생성된 b 신호를 제2신호가 포함하고 있다면, 차량(100)은 제2신호를 해석하여 제2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b가 신호 a로부터 유도된 값인지 판단할 수 있다.
신호 b가 a로부터 유도된 값이면, 스마트 카드(100)는 적법하게 발급된 사용자의 카드에 해당하므로, 차량(100)은 스마트 카드(300)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스마트 카드(300)에 대한 정보를 차량(100)에 저장할 수 있다.(S170, S180)
그러나, 차량(100)이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수신한 신호 b가 신호 a로부터 유도된 신호가 아니면, 스마트 카드(100)는 사용자의 카드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차량(100)은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또한, 차량(100)은 스마트 카드(300)가 차량(100)을 제어할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차량(100)의 도어(15), 트렁크 및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스마트 카드(300)에게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카드(300)를 이용하여 차량(100)의 도어(15)를 열거나 잠글 수 있으며, 차량(100)의 전원을 온(ON) / 오프(OFF) 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를 등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300)가 차량에 등록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S210 부터 S250까지의 과정은 도 10에서 S110 부터 S160 과정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서버(160)에서 제1신호를 기초로 제2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하나의 스마트 카드(300)만이 발급되면 문제가 없겠으나,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300)가 발급되는 경우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3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스마트 카드(300)가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300)가 발급된 경우 분실로 인해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60)는 사용자가 복수 개의 카드를 발급하려고 하는 경우 제1신호를 기초로 제2신호를 생성하기는 하나, 제2신호들을 다른 제2신호들과 분별할 수 있는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으로 수신한 제1신호에 a 신호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서버(160)는 a 신호를 기초로 b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차량에 대한 다른 스마트 카드(300)의 발급 요청이 있는 경우, 차량(1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야 하므로, a 신호를 기초로 신호를 생성하나 b신호와 구별을 해야 하므로 b'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b와 b'신호는 a 신호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스마트 카드(300)를 차량에 등록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차량(100)은 b와 b'신호를 통하여 서로 다른 스마트 카드(300)임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S260 내지 S290 과정은 이러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과정이다.
차량(100)은 S250과정에 의해 제2신호가 제1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신호임을 판별된 경우, 제2신호가 기존에 등록된 스마트 카드(300)의 제2신호와 다른 종류의 신호인지 판별할 수 있다. (S260)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신호가 기존에 등록된 스마트 카드(300)의 제2신호와 다르다면, 사용자는 새로운 스마트 카드(300)를 등록하려고 하는 것이므로, 새로운 스마트 카드(300)를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한다. (S280, S290)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디스플레이(140)에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화면(141b)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스마트 카드(300)를 등록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스마트 키의 등록을 원하면 등록 아이콘(143a)을, 삭제를 원하면 삭제 아이콘(143b)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제1스마트 카드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스마트 키의 등록을 원하면 등록 아이콘(144a)을, 삭제를 원하면 삭제 아이콘(144b)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S260 과정에서 감지된 스마트 카드의 제2신호가 기존에 등록된 스마트 카드의 제2신호와 동일하다면, 새로운 스마트 카드를 등록하기 위한 절차는 아니므로 차량(100)은 스마트 카드(300)에게 차량(100)을 제어할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2에서 와 같이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300)가 등록된 경우 각자 고유 식별 번호를 다르게 사용하기 때문에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300) 중 일부를 분실하였어도, 분실된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만 삭제하면 분실된 스마트 카드(300)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으므로, 차량(100)의 보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 따른 차량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차량 시스템(200)은 스마트 카드(300) 및 원격 조작 장치(200)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110), 서버(160)로 제1신호를 송신하고,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제2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20), 사용자 및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30) 및 차량(100)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0) 및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신호 및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수신한 제 2신호를 기초로 스마트 카드(300)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150), 통신부(120)로부터 수신한 제1신호를 기초로 제2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신호를 스마트 카드(300)에 저장하는 서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 차량(100)의 구성 요소인 감지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디스플레이(140) 및 제어부(150)에 관한 내용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도 5에서 설명하지 않은 서버(160)에 대해서 설명한다.
서버(160)는 통신부(120)로부터 수신한 제1신호를 기초로 제2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통신부(120)로부터 수신한 제1신호가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는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300)를 발급하려고 하는 것이므로, 스마트 카드(30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제2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신호를 각각의 스마트 카드(30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신호가 a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서버(160)는 a 신호를 기초로 b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차량에 대한 다른 스마트 카드(300)의 발급 요청이 있는 경우, 제2신호에는 차량(1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야 하므로, a 신호를 기초로 생성되나 b신호와 구별될 수 있는 b'신호가 포함되어 생성될 수 있다.
b와 b'신호는 차량(100)의 고유 정보인 a 신호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300)는 차량에 등록될 수 있으며, 동시에 차량(100)은 b와 b'신호를 통하여 서로 다른 스마트 카드(300)임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20)로부터 수신한 제1신호와, 제1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제2신호는 서버(16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에서는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300)가 등록되는 절차를 중심으로 도시하였으나, 차량 시스템(100)의 동작 순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도 14를 참조하면, 차량은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제1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S310)
제1신호는 다른 차량과 구별되는 상기 차량(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를 말하며, 차량 생산 과정에서 미리 설정되어 생성되거나, 스마트 카드(300)의 등록 절차를 진행하려는 경우 생성될 수 있다.
제 1 신호가 생성되었으면, 차량(100)은 제1신호를 서버(160)로 송신할 수 있다. (S320)
제1신호를 수신한 서버(160)는 제1신호를 기초로 스마트 카드(300)에 저장할 제2신호를 생성하는데, 제2신호를 생성하는데 앞서, 제1신호(a)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신호(b)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330)
만약, 제1신호(a)를 기초로 생성된 제2신호(b)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스마트 카드(300)를 첫 번째로 등록하는 경우이므로, 서버(160)는 제2신호(b)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신호(a)를 기초로 생성된 제2신호(b)가 존재한다면, 기존에 발급된 스마트 카드가 존재하므로, 서버는 제1신호를 기초로 제2신호를 생성하나, b 신호와 구별하기 위해 b'를 포함하고 있는 제2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350)
제 1신호와 제2신호에 대한 설명은 앞서 자세히 설명하였는바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서버(160)에서 생성된 제2신호는 스마트 카드(300)에 미리 저장되거나, 사용자가 업데이트를 통하여 스마트 카드(300)에 제2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될 수 있다. 만약, 복수 개의 제2신호가 생성되었다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300)에 서로 다른 제2신호가 각각 저장될 수 있다. (S360)
그 후, 차량(100)은 차량(10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카드(300)를 감지하고, 스마트 카드(300)가 감지된 경우,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제2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370, S380)
그리고 차량은 제1신호와 제2신호를 기초로 스마트 카드의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등록이 된 경우 스마트 카드(300)에 대한 정보를 차량(100)에 저장할 수 있다. (S390)
S370 내지 S390 과정은 도 9 및 도 11에서 설명한 과정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일 실시예 따른 차량(100) 및 차량 시스템(200)에 대해 도면을 통해 알아보았다.
기존의 원격 조작 장치는 차량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전원 공급이 필요하므로, 원격 조작 장치의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고장으로 인해 원격 조작 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차량을 이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 및 차량 시스템(200)은 원격 조작 장치의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고장으로 인해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카드 등록 과정에서 고유 값을 사용하여 등록을 하므로, 제3자의 비정성적인 차량의 사용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지금까지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차량
110: 감지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60: 서버
200: 차량 시스템

Claims (20)

  1.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신호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1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제2 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 카드로부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 및 제 2신호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차량.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트렁크 및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상기 스마트 카드에게 부여하는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후, 다른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신호는,
    다른 차량과 구별되는 상기 차량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신호가 상기 제1신호루부터 유도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로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스마트 카드가 감지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 버튼, 도어, 핸들, 센터페시아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차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차량의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차량.
  11.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신호를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 및
    상기 제1 신호를 기초로 제2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신호를 스마트 카드에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신호를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신호 및 제 2신호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차량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차량 시스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트렁크 및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상기 스마트 카드에게 부여하는 차량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차량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신호는,
    다른 차량과 구별되는 상기 차량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신호가 상기 제1신호루부터 유도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로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차량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복수 개의 제1신호를 수신한 경우,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2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제2신호를 서로 다른 복수개의 스마트 카드에 각각 저장하는 차량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상기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카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후, 다른 스마트 카드가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는 차량 시스템.
KR1020170140053A 2017-10-26 2017-10-26 차량 및 차량 시스템 KR10244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53A KR102445514B1 (ko) 2017-10-26 2017-10-26 차량 및 차량 시스템
CN201711297030.3A CN109703516B (zh) 2017-10-26 2017-12-08 车辆及车辆系统
US15/835,677 US10803686B2 (en) 2017-10-26 2017-12-08 Vehicle and vehicle system
DE102017222476.2A DE102017222476A1 (de) 2017-10-26 2017-12-12 Fahrzeug und Fahrzeug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53A KR102445514B1 (ko) 2017-10-26 2017-10-26 차량 및 차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354A true KR20190046354A (ko) 2019-05-07
KR102445514B1 KR102445514B1 (ko) 2022-09-21

Family

ID=6613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053A KR102445514B1 (ko) 2017-10-26 2017-10-26 차량 및 차량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03686B2 (ko)
KR (1) KR102445514B1 (ko)
CN (1) CN109703516B (ko)
DE (1) DE102017222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9417B2 (en) * 2018-04-09 2020-09-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put signal management for vehicle park-assist
EP3594911B1 (en) * 2018-07-11 2023-04-19 Aptiv Technologies Limited Method for preventing security breaches of a passive remote keyless entry system
US11440301B2 (en) 2020-03-27 2022-09-13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Light permeable vehicle interior panel
DE102021108415A1 (de) 2021-04-01 2022-10-06 Christian Fisch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Elektromobils
DE102021109590A1 (de) * 2021-04-16 2022-10-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Vorrichtung, Computerprogramm,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zum Betreiben eines Fahrzeug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421A (ko) * 1997-03-05 1998-11-05 김광호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모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5704090A (zh) * 2014-11-25 2016-06-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授权系统和车辆授权方法
US20160203661A1 (en) * 2015-01-14 2016-07-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irtual keyfob for vehicle shari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6145B1 (en) * 1999-07-07 2003-10-2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sharing system and method with parking state detection
US6253980B1 (en) * 1999-07-07 2001-07-0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hared vehicle system and method with system for carrying a first vehicle with a second vehicle
WO2001061604A1 (en) * 2000-02-16 2001-08-23 Zipc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vehicle access
US7773972B2 (en) * 2002-05-15 2010-08-10 Socket Mobile, Inc. Functionality and policies based on wireless device dynamic associations
JP2004094913A (ja) * 2002-07-08 2004-03-25 Honda Motor Co Ltd 共有車両配車指示装置、及び車両予約制御装置
US7083090B2 (en) * 2002-08-09 2006-08-01 Patrick Zuili Remote portable and universal smartcard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device
EP1629624B1 (en) * 2003-05-30 2013-03-20 Privaris, Inc. An in-curcuit security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and use of sensitive data
JP4881095B2 (ja) * 2006-07-28 2012-02-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キーシステム
US8024092B2 (en) * 2007-03-16 2011-09-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hicle governance system
US9317018B2 (en) * 2010-03-02 2016-04-19 Gonow Technologies, Llc Portable e-wallet and universal card
US8805434B2 (en) * 2010-11-23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Access technique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467770B1 (en) * 2012-08-21 2013-06-18 Mourad Ben Ayed System for securing a mobile terminal
US20140064488A1 (en) * 2012-08-30 2014-03-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ne-Way Key Fob and Vehicle Pairing
DE102015216630A1 (de) * 2015-08-31 2017-03-02 Baimos Technologies Gmbh Indirekter Berechtigungstransport
CN106553617B (zh) * 2015-09-25 2019-10-22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共享方法及装置
US10521736B2 (en) * 2015-12-22 2019-12-31 GM Glbo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ide sharing accessory device and system
US10115016B2 (en) * 2017-01-05 2018-10-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to identify a vehicle and generate reservation
US11285915B2 (en) * 2017-08-09 2022-03-29 M2M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wireless mobile device as a smart ke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421A (ko) * 1997-03-05 1998-11-05 김광호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모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5704090A (zh) * 2014-11-25 2016-06-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授权系统和车辆授权方法
US20160203661A1 (en) * 2015-01-14 2016-07-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irtual keyfob for vehicle sh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03516A (zh) 2019-05-03
US10803686B2 (en) 2020-10-13
DE102017222476A1 (de) 2019-05-02
CN109703516B (zh) 2021-12-28
US20190130681A1 (en) 2019-05-02
KR102445514B1 (ko)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514B1 (ko) 차량 및 차량 시스템
JP6372688B2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
US9858735B2 (en) User proximity detection for activating vehicle convenience functions
KR102487151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744727B1 (ko) 스마트 키, 스마트 키의 제어 방법 및 스마트 키를 포함하는 차량
KR102491371B1 (ko) 원격 조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210027558A1 (en) Nfc activation of vehicle entry privacy mode
CN110154984B (zh) 车辆和其控制方法
KR102459537B1 (ko)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JP2007145199A (ja) 盗難防止装置および盗難防止システム
KR102597217B1 (ko) 원격 조작 장치,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10730155A (zh) 车辆及其控制方法
JP2007084068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20190046063A (ko) 사용자 인증 시스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서버
JP2009197508A (ja) 電子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KR102489959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6388254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10264224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14059683A (ja) 自動料金決済車載システム
KR102384151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15168387A (ja) 電子キー持ち出し警報システム及び電子キー持ち出し警報方法
KR20200005039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