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980A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980A
KR20190044980A KR1020170137677A KR20170137677A KR20190044980A KR 20190044980 A KR20190044980 A KR 20190044980A KR 1020170137677 A KR1020170137677 A KR 1020170137677A KR 20170137677 A KR20170137677 A KR 20170137677A KR 20190044980 A KR20190044980 A KR 20190044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rojections
coil component
electrode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494B1 (ko
Inventor
이환수
송성민
조윤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494B1/ko
Priority to US16/017,015 priority patent/US11017926B2/en
Priority to CN201811182529.4A priority patent/CN109698061B/zh
Publication of KR20190044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6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with special arrangement or spacing of turns of the winding(s), e.g. to produce desired self-reso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양 단부에 인출부를 포함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을 봉합하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인출부와 연결되는 외부전극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코일의 상면, 하면, 및 측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코일의 외부면은 표면적 확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 부품 {COIL COMPONENT}
본 개시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SRF (Self Resonant Frequency) 를 제어할 수 있는 파워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의 응용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전력 증폭기의 효율성 향상은 중요한 이슈이다. 그 중심에서 능동 전압 제어를 이용한 Envelope Tracking (ET) 기술이 있고, 이를 이용하여 에너지 낭비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고자 ET 출력단의 파워 인덕터의 경우,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임피던스 값이 주요한 성능지수가 되고 있다. 파워 인덕터의 경우, 전자 기기에서 요구되는 전류값이 증가하면서 DC bias 특성 (Isat) 이 우수한 메탈계 파워 인덕터의 채용이 확대된다.
일반적으로, 소자나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에서 요구하는 Self Resonant Frequency (이하, SRF) 및 임피던스를 변동시키기 위하여 인덕터 재료 혹은 전극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인덕터가 소형화됨에 따라 SRF 및 임피던스의 튜닝이 용이하지 않고, 재료 및 전극 형상을 변경할 때, 제품 신뢰성, 실장시 고착강도 등을 함께 고려해야되는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일본 특허공보 제5084459호
본 개시는 파워 인덕터와 비드 (bead) 의 기능을 일체화한 파워 인덕터로서, SRF 를 제어할 수 있는 파워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양 단부에 인출부를 포함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을 봉합하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인출부와 연결되는 외부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의 상면, 하면, 및 최외측 코일 패턴의 측면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코일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표면적 확대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효과는 고전류 (Isat) 대응에 용이하고, SRF 가 제어되며, SRF 부근에서는 높은 임피던스 (Z) 를 가지는 파워 인덕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1 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 의 코일을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3 은 도1 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4 는 도3 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5 는 도3 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6 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7 은 도6 의 코일을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8 은 도6 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9 는 도6 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10 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1 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2 는 도11 의 코일을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설명하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도1 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2 는 도1 의 코일 부품 중 코일을 상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3 은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 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 (100) 은 바디 (1) 및 상기 바디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는 외부전극 (2) 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 (1) 는 코일 부품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는데, 상기 바디 (1) 는 두께(T)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고, 길이(L)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단면 및 제2 단면을 포함하고, 폭(W)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디 (1) 의 외부면에 배치되는 외부전극 (2) 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외부전극 (21) 과 제2 외부전극 (22) 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전극은 알파벳 C 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되고 있으나,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L자형 전극 혹은 하면전극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외부전극 (2) 은 코일과 외부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야 하므로,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전극은, 예를 들어, 메탈-에폭시 포함층, Ni 포함층, 및 Sn 포함층의 복수 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 (1) 의 외관을 결정하는 자성 물질 (11) 은 코일을 봉합하는데, 고투자율의 자성 물질을 활용하여 코일 부품의 인덕턴스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성 물질의 유전율을 제어하여 SRF 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자성 물질 내 포함되는 자성 입자는 조분과 미분이 함께 일정비율로 섞여 있을 수 있고, 입자의 사이즈를 차별화함으로써 바이모달 (Bi-modal) 혹은 트리모달 (Tri-modal) 의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성 물질 (11) 은 에폭시 기반의 폴리머를 매트릭스로 하여, Fe-Cr-Si 기반의 비정질 자성 입자가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입자의 평균 입자는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1㎛ 이상 3㎛이하 수준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바디 (1) 의 외부면은 선택적으로 표면 절연 (미도시) 될 수 있는데, PMIC 동작시 고주파대역 (통상적으로, 1MHz ~ SRF 구간) 의 AC Leakage 를 줄이기 위해 표면 절연을 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 때, 표면 절연은 에폭시계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표면 절연의 두께는 절연 신뢰성을 위해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의 상기 자성 물질에 의해 코일 (12) 은 전체적으로 스파이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 (12) 은 양 단부에 외부전극과 코일을 연결하는 인출부 (12a, 12b) 를 포함하는데, 상기 인출부는 제1 외부전극과 연결되는 제1 인출부 (12a) 와 제2 외부전극과 연결되는 제2 인출부 (12b) 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 (12) 은 지지 부재 (14) 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절연 특성을 가지면서, 상기 코일을 지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재질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CL (Copper Clad Laminate) 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일 (12) 의 표면은 절연재 (13) 에 의해 감싸지는데, 상기 코일의 표면 중 상기 제1 및 제2 외부전극과 접촉되는 제1 및 제2 인출부의 측면에는 절연재가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절연재 (13) 를 형성하는 방식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화학기상증착 (CVD) 이나 스퍼터링 방식, 절연 시트를 라미네이션하는 방식 등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기상증착을 사용하는 경우, 절연 특성 및 가공 특성이 우수한 절연 물질로서 페릴렌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 물질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처럼, 절연재를 형성하는 방식에 따라 당업자가 절연재의 재질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절연재 (13)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절연재의 두께에 따라 전기적 특성 값이 변화하기 때문에 당업자가 요구되는 코일 부품의 스펙값을 고려하여, 절연재의 두께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절연재의 두께를 증가하면 Ls (인덕턴스) 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SRF 는 Ls 가 감소하는 비율보다 큰 비율로 증가한다. 이를 근거로, 상기 절연재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SRF 값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하기의 표 1 을 참고할 때, 절연 두께를 변경함에 따라 특정 주파수의 임피던스 값도 변경되기 때문에, 절연 두께를 적절히 설정하여야 SRF 특성, 임피던스 값, Ls 값을 최적화할 수 있다. 하기 표1 의 코일 부품의 기종은 2016 사이즈 (길이 X 폭: 2.0mm X 1.6mm) 두께 0.8㎛, 1.0μH 인 경우이다.
절연
두께
[㎛]
Z[Ω]@50MHz Z[Ω]@100MHz Z[Ω]@130MHz
Min Max Avg Std Min Max Avg Std Min Max Avg Std
3 618 723 661 27.59 429 495 449 19.68 269 301 279 9.37
6 479 523 498 14.84 721 848 805 39.24 388 433 418 13.34
9 376 418 403 12.82 1284 1675 1373 115.85 607 761 639 46.20
12 365 389 378 8.78 1638 1748 1698 32.56 750 811 787 16.11
상기 표 1 을 참고할 때, 절연재의 절연 두께가 12㎛ 일 때, 임피던스 스펙값 (300Ω이상@50MHz , 1500Ω이상@100MHz)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기초로, 코일의 표면 상의 절연재의 두께를 12㎛ 로 할 때 요구되는 SRF 값도 충족하는지를 고려한 후, 이를 만족할 경우, 절연재의 두께를 12㎛ 로 설정하면 되는 것이다.
도1 내지 도3 을 참조하면, 코일 (12) 의 상면 상에는 복수의 돌기 (3) 가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 (3) 는 코일의 상면의 표면적을 증가하는 기능을 하는 표면적 확대부이다. 여기서, 표면적 확대부란, 코일의 외부면과 그 위에 접하는 절연재가 접촉하는 표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상기 복수의 돌기 (3) 는 바디의 L-W면을 기준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전체적으로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원기둥의 높이나 원형의 단면의 단면적 등 복수의 돌기의 사이즈나 개수는 당업자가 요구되는 SRF 값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충분하다.
상기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방식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화학적 에칭 또는 기계적 에칭 등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화학적 에칭의 경우, 표면에 조도를 위한 CZ 처리를 복수 횟수 반복한 것일 수 있으며, 기계적 에칭의 경우, 샌드 블래스트 (Sand Blast) 공법을 적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기는 코일의 재질과 동종의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코일과는 상이한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가 코일의 재질과 동종의 재질로 구성될 때, 예를 들어, 에칭 방식을 적용하면 간단한데, 미리 마련해둔 코일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복수의 돌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복수의 돌기가 코일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때, 코일을 형성한 후, 추가적으로 노광 및 현상을 적용하여 패터닝을 한 후, 도금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코일의 표면적을 확장시키는 기능 뿐 아니라, 코일 상의 절연재와 코일 사이의 앵커 효과를 통해 결합을 강화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다.
한편, 도1 내지 도3 에는 코일의 상면 상에만 복수의 돌기가 배치되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상기 복수의 돌기의 위치는 코일의 외부면 중 상면 또는 측면 (최외측 코일 패턴의 측면) 이 제한없이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코일의 외부면 중 인접하는 코일 패턴 사이의 공간에 복수의 돌기를 배치시키는 것을 배재하지는 않지만, 물리적으로 어려울 수 있는데, 코일 부품이 소형화됨에 따라 코일 패턴 사이의 공간도 상당히 좁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복수의 돌기의 형상, 사이즈, 내지 배열을 제어함으로써 코일 부품의 SRF 값의 위치를 튜닝할 수 있기 때문에, SRF 값의 위치를 자유롭게 저주파 혹은 고주파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복수의 돌기가 서로 연결되어 코일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부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당업자가 코일 표면과 그 위의 절연재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코일 표면으로부터 돌출부를 형성한 모든 변형예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 도4 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 (100) 에 대한 제1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 (101) 의 평면도이다. 제1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 (101) 은 도1 내지 도3 을 통해 설명한 코일 부품 (100) 과 대비하여 돌기의 형상이 상이할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코일 부품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시하며,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4 를 참고하면, 코일 부품 (101) 의 코일 (12) 의 상면 상에는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인 복수의 돌기 (31) 가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의 구체적인 단면 형상, 두께 내지 단면적의 사이즈, 복수의 돌기 간의 배열 간격 등은 당업자가 요구되는 특성값, 예를 들어, SRF 값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5 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 (100) 에 대한 제2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 (102) 의 단면도이다. 제2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 (102) 은 도1 내지 도3 을 통해 설명한 코일 부품 (100) 과 대비하여 돌기의 형상이 상이할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코일 부품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시하며,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5 를 참고하면, 복수의 돌기 (32) 는 침상형 돌기인데, 여기서, 침상형이란, 하면에 비하여 상면의 단면적이 작은 형상을 모두 포함하며, 최상부가 뾰족한 형상을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곡선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복수의 돌기 (32) 는 CZ 처리를 복수회 반복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 내지 도5 에서 설명한 코일 부품에 따를 경우, 코일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복수의 돌기를 배치함으로써, 코일 부품의 SRF 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고주파 영역의 활용에 적합한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도6 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 (200) 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7 은 도6 의 코일을 상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6 및 도7 을 참조하면, 코일 부품 (200) 은 바디 (210) 및 상기 바디 (210) 의 외부면 상에 제1 및 제2 외부전극 (221, 222) 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 (210) 는 코일 (212) 및 상기 코일을 봉합하는 자성물질 (211) 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 (212) 의 상면 상에는 표면적 확대부로서 코일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오목부 (230) 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 (230) 는 코일 표면을 감싸서 자성 물질과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재 (213) 와 코일 표면 간의 접촉 면적을 확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코일 표면과 절연재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는 경우에 SRF 값을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홈을 통해 상기 접촉면적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목부 (230) 내에는 절연재 (213) 가 충진되는 대신 별도의 유전체 물질이 충진될 수도 있으며, 유전체 물질이 오목부 내를 충진하고, 그 위로는 절연재가 배치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 (230) 는 코일이 권취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데, 그 형성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코일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추가적으로 드라이필름을 라미네이션하고 노광 및 현상을 통해 코일의 형상에 대응하는 패턴을 패터닝한 후, 그 패턴 내에 도금 공정을 실시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또는 코일의 표면 상에 레이져 가공을 적용하여 코일의 권취 방향을 따라 코일의 표면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도6 및 도7 에서는 상기 코일의 상면에만 오목부가 형성된 것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코일의 외부면 중 상면 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오목부가 형성되는 길이 내지 오목부의 폭과 깊이의 사이즈도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8 은 코일 부품 (200) 에 대한 제1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 (201) 의 상면도이다. 도8 의 코일 부품 (201) 은 도6 및 도7 을 통해 설명한 코일 부품 (200) 과 대비하여 오목부의 연장 방식이 상이할 뿐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중복되는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8 을 참고하면, 코일 부품 (201) 에서 코일의 상면 상에는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코일의 권취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부 (231) 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 (231) 는 도7 에 도시된 코일 부품 (200) 의 코일의 상면에 배치된 오목부 (230) 에 비하여 그 위에 배치되는 절연재와의 접촉 면적이 더 크기 때문에 SRF 를 증가시킬 수 있는 범위가 더 넓다. 오목부 (231) 의 구불구불한 정도를 조절하거나, 오목부의 길이 내지 오목부의 깊이를 제어함으로써 SRF 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가 있다.
도9 는 코일 부품 (200) 에 대한 제2 변형예에 따른 코일 부품 (202) 의 상면도이다. 도9 의 코일 부품 (202) 은 도6 및 도7 을 통해 설명한 코일 부품 (200) 과 대비하여 오목부의 갯수만 상이할 뿐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중복되는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9 를 참조하면, 코일 부품 (202) 의 코일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오목부 (232) 는 코일의 권취방향과 수직한 방향 (V) 을 따라 복수 열로 구성된다. 오목부 (232) 는 최내측 코일 패턴과 인접한 제1 오목부 (232a) 및 최외측 코일 패턴과 인접한 제2 오목부 (232b) 를 포함한다. 오목부를 복수 열로 구성할 때, 코일 내 코일 패턴의 선폭이 넓은 것이 유리한 것은 물론이며, 이는, 특히 고주파에 유리한 코일 부품을 위해 코일 패턴의 선폭을 넓게 한 코일 부품에 적용하기 용이한 것을 의미한다.
도10 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 (300) 의 사시도인데, 제3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 (300) 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 (100) 과 대비하여 코일의 인출부로 복수의 돌기 (330) 를 이동시켰다는 점만 상이할 뿐 실질적으로 중복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코일의 외부면 중 인출부는 외부전극과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접촉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코일 본체에 비하여 선폭을 크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인출부 표면은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가지므로, 상기 인출부의 표면 상에 복수의 돌기를 추가하는 공정은 보다 용이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기 (330) 를 인출부 상에 형성할 경우, 코일 형성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부효과로서 인출부의 과도금이 발생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인출부의 선폭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경우, 인출부에 도금 성장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 경우, 도금 산포 불량을 발생할 수 있는데, 복수의 돌기를 형성할 때, 형성된 코일을 제거하는 에칭 등의 방식을 적용하면 도금 산포 불량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 도11 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 (400) 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12 는 도11 의 코일 부품의 코일을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11 및 도12 를 참고하면, 코일 부품 (400) 은 도1 의 코일 부품 (100) 에 추가로 더미 전극 (440) 을 더 포함한다. 상기 더미 전극 (440) 은 코일 (412) 과는 전기적으로 및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으나, 외부전극 (421, 422) 과는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미 전극의 일 모서리와 외부전극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외부전극이 바디로부터 단락되는 위험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더미 전극은 외부전극과 접촉하는 구성이므로, 외부전극의 최내측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접촉성 강화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더미 전극은 코일의 표면적 확대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상기 더미 전극의 표면을 감싸도록 유전체층을 더 배치할 경우, 코일 부품의 SRF 를 더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전체층 뿐만 아니라 코일을 감싸는 절연재를 상기 더미 전극의 표면 상에 적용하여도 코일 부품의 SRF 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더미 전극 (440) 은 제1 외부전극과 연결되는 제1 더미 전극 (441) 및 제2 외부전극과 연결되는 제2 더미 전극 (442) 의 모두를 포함하도록 표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및 제2 더미 전극 (441, 442) 중 하나 만을 포함하여도 충분하다.
전술한 코일 부품은 원하는 SRF 값을 가질 수 있도록 코일의 표면 상에 표면적 확장부를 포함하며, 특히, 고주파 파워 인덕터에서 고주파 특성을 개선하는데 유리하다.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일 예"라는 표현은 서로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을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시된 일 예들은 다른 일례의 특징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일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일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일례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일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때,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100: 코일 부품
1: 바디
2: 외부전극
21, 22: 제1 및 제2 외부전극
11: 자성 물질
12: 코일
13: 절연재
3: 돌기

Claims (16)

  1. 양 단부에 인출부를 포함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을 봉합하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인출부와 연결되는 외부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상면, 하면 및 측면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코일의 외부면은 표면적 확대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외부면 중 상기 외부전극과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외부면은 절연재에 의해 감싸지는, 코일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적 확대부는 상기 코일의 인출부 상에 배치되는, 코일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적 확대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동일한 외형을 가지고, 상기 동일한 외형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는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코일 부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면으로 갈수록 좁은 단면적을 가지는 외형을 가지는, 코일 부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코일과 동종의 재질로 구성되는, 코일 부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코일과 상이한 재질로 구성되는, 코일 부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적 확대부는 상기 코일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코일을 권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코일 부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연장되는, 코일 부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코일의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코일 부품.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코일이 권취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열로 구성되는, 코일 부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물질은 금속 및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더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전극은 상기 코일로부터 물리적으로 이격되며, 상기 더미 전극의 일부는 상기 바디의 외부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외부전극과 접촉하는, 코일 부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전극의 표면 상의 적어도 일부는 절연재에 의해 감싸지는, 코일 부품.

KR1020170137677A 2017-10-23 2017-10-23 코일 부품 KR102016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677A KR102016494B1 (ko) 2017-10-23 2017-10-23 코일 부품
US16/017,015 US11017926B2 (en) 2017-10-23 2018-06-25 Coil component
CN201811182529.4A CN109698061B (zh) 2017-10-23 2018-10-11 线圈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677A KR102016494B1 (ko) 2017-10-23 2017-10-23 코일 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980A true KR20190044980A (ko) 2019-05-02
KR102016494B1 KR102016494B1 (ko) 2019-09-02

Family

ID=6617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677A KR102016494B1 (ko) 2017-10-23 2017-10-23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17926B2 (ko)
KR (1) KR102016494B1 (ko)
CN (1) CN1096980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248B1 (ko) * 2019-09-25 2020-12-15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JP7081575B2 (ja) * 2019-09-30 2022-06-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KR20220006200A (ko) * 2020-07-08 2022-01-17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20220029210A (ko) * 2020-09-01 2022-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4459A (ko) 1973-11-30 1975-07-08
KR20140005088A (ko) * 2012-07-04 2014-01-14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코일 부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11693A (ko) * 2012-07-18 2014-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 인덕터용 자성체 모듈, 파워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3876B1 (ko) * 2013-08-14 2015-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9163A (ko) * 2014-01-27 2015-08-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0783A (ja) 2006-06-30 2008-01-17 Tdk Corp 薄膜デバイス
JP5084459B2 (ja) 2007-11-15 2012-11-28 太陽誘電株式会社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45126A (ja) 2008-08-11 2010-02-25 Tdk Corp コイル、変圧素子、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3180919B (zh) 2010-10-21 2016-05-18 Tdk株式会社 线圈部件及其制造方法
DE102010054665B3 (de) 2010-12-15 2012-02-02 Abb Technology Ag Speichermodul für einen hydraulischen Federspeicherantrieb
JP5610081B2 (ja) * 2011-10-13 2014-10-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761248B2 (ja) 2013-04-11 2015-08-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JP6293365B2 (ja) * 2015-03-31 2018-03-1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粗化処理銅箔、キャリア付銅箔、銅張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4459A (ko) 1973-11-30 1975-07-08
KR20140005088A (ko) * 2012-07-04 2014-01-14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코일 부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11693A (ko) * 2012-07-18 2014-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 인덕터용 자성체 모듈, 파워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3876B1 (ko) * 2013-08-14 2015-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9163A (ko) * 2014-01-27 2015-08-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98061A (zh) 2019-04-30
CN109698061B (zh) 2022-02-15
KR102016494B1 (ko) 2019-09-02
US11017926B2 (en) 2021-05-25
US20190122795A1 (en)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4980A (ko) 코일 부품
KR101474166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8334746B2 (en) Electronic component
US8878339B2 (en) Chip-component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1983150B1 (ko)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US9251943B2 (en) Multilayer type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39879B1 (ko) 칩 전자부품
KR100686711B1 (ko) 표면실장형 파워 인덕터
KR101963290B1 (ko) 코일 부품
JP2012064683A (ja) 積層型コイル
US6992556B2 (en) Inductor par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50009391A (ko) 칩 전자부품
KR101994731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WO2012144103A1 (ja) 積層型インダクタ素子及び製造方法
US9041506B2 (en) Multilayer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653203B2 (en) Multilayer inductor
US20130069757A1 (en) Multilayered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13359B1 (ko) 인덕터
JP2006140431A (ja) 配線パタ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33617B1 (ko) 메탈 코아 권선형 인덕터
KR101963263B1 (ko) 칩 전자부품
JP6083143B2 (ja) チップインダクタ内蔵配線基板
JP2006310844A (ja) 積層型電子部品
KR20170032017A (ko) 적층 인덕터
JP2016213437A (ja) コイル内蔵素子、コイルアンテナ、電子機器およびコイル内蔵素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