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017A - 적층 인덕터 - Google Patents

적층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017A
KR20170032017A KR1020150129742A KR20150129742A KR20170032017A KR 20170032017 A KR20170032017 A KR 20170032017A KR 1020150129742 A KR1020150129742 A KR 1020150129742A KR 20150129742 A KR20150129742 A KR 20150129742A KR 20170032017 A KR20170032017 A KR 20170032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ortion
coil
disposed
inductanc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2017A/ko
Publication of KR2017003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2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out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인덕터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 영역 중 상기 커버부의 표면과 이격된 일 영역에 배치된 비자성체층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적층 인덕터의 인덕턴스 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DC 바이어스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 인덕터{MULTILAYERED INDUCTOR}
본 개시는 적층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적층 인덕터는 도체패턴이 형성된 복수의 자성체 층을 적층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도체패턴은 각 자성체 층에 형성된 도전성 비아에 의해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적층방향에 따라 중첩되면서 나선구조를 갖는 코일을 이룬다. 또한, 상기 코일의 양단은 적층체의 외부면에 인출되어 외부단자와 접속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적층 인덕터는 코일이 자성체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자기 누설이 게 발생하게 되며, 적층 칩 구조를 가지므로 소형화와 박형화에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적층 인덕터는 DC 바이어스(bias) 특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자성체의 자기포화에 의하여 급격한 인덕턴스(inductance) 저하(DC 중첩 특성 저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급격한 인덕턴스 저하를 방지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도체패턴이 형성되는 일부 층을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비자성체층으로 대체하거나, 도체패턴이 형성되는 일부 층에서 일부영역을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비자성체 물질로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안에 따르면, 이종인 비자성체 재료의 선택으로 사용되는 재료가 증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는 공정상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도체패턴이 형성되는 일부 층에서 일부 영역을 대체할 경우에는 시트 제조공정이 상당히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인덕턴스 특성을 조정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인덕턴스 특성 및 DC 바이어스 특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적층 인덕터를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한편, 비자성체층을 도체 패턴이 형성되는 일부 층에 대체할 경우 인덕턴스 특성을 조정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본 개시의 여러 목적 중 하나는 인덕턴스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DC 바이어스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적층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를 통하여 제안하는 여러 해결 수단 중 하는 적층 인덕터의 커버부의 내부 영역 중 커버부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일 영역에 배치된 비자성체를 포함하여, 인덕턴스 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DC 바이어스 특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인덕터는 인덕턴스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DC 바이어스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인덕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인덕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인덕터의 본체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인덕터의 비자성체층 위치에 따른 인덕턴스의 변화 거동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의한 코일 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인덕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인덕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인덕터의 본체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인덕터(100)는 코일부(A), 상기 코일부(A)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커버부(C) 및 상기 커버부(C)의 내부 영역 중 상기 커버부(C)의 표면과 이격된 일 영역에 배치된 비자성체층(114)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적층 인덕터(100)는 복수의 자성체 층(111)이 적층된 구조를 구비하며, 코일부(A) 및 상기 코일부(A)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커버부(C)를 포함하는 본체(11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C)는 상기 커버부(C)의 내부 영역 중 표면과 이격된 일 영역에 배치된 비자성체층(114)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자성체 층(111)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층(111)은 소성 후에 경계를 거의 확인할 수 없을 만큼 일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0)의 형상, 치수 및 자성체 층의 적층 수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110)는 코일부(A) 및 커버부(C)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부(C)는 상기 자성체 층(111) 상에 코일(112)을 형성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112)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은(Ag) 또는 구리(Cu)와 같은 도전성 재료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일(112)은 인접하는 상부 및 하부의 코일(112)과 도전성 비아(미도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C)는 상기 코일부(A)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C)는 상기 코일부(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부(C)는 상기 자성체 층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페이스트를 일정 두께로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의 양 단면에 외부전극(115a, 115b)이 배치된다.
상기 외부전극(115a, 115b)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은(Ag) 또는 구리(Cu)와 같은 도전성 재료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외부전극(115a, 115b)의 표면에 필요 시 니켈(Ni) 또는 주성(Sn)을 도금 처리하여 도금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인덕터에서는 코일이 외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코일을 중심으로 자기장이 형성되는데, 층층이 형성되어 있는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중첩되어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자기장의 자속은 상기 코일의 중심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러한 자기장은 자성체의 자기 포화에 의하여 급격한 인덕턴스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급격한 인덕턴스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비자성체층(114)을 상기 커버부(C)의 내부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비자성체층(114)이 자기 포화를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자기 포화로 인한 인덕턴스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즉, 비자성체층(114)에 의하여 적층형 전자부품(100)의 인덕턴스 특성이 변화할 수 있다.
종래에는 비자성체층을 코일부의 내부 영역에 배치하여 적층 인덕터의 인덕턴스 특성을 구현하였다.
인덕터에서 코일부 내부의 비자성체층의 역할이 작을수록 인덕턴스 특성이 높아질 수 있는데, 인덕턴스 특성을 구현하는 범위를 증가시키는 방안으로 코일부 내부에 비자성체를 배치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인덕턴스 특성은 상기 비자성체의 위치에 따라 구현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자성체층(114)은 상기 커버부(C)의 표면과 상기 커버부(C)의 두께의 25%이상의 거리로 이격된 일 영역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코일부(A)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어, 적층 인덕터의 인덕턴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DC 바이어스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C)의 표면과 상기 커버부(C)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두께(C)의 25%의 거리로 이격된 영역 사이를 갭(gap) 영역(G)이라고 할 때, 상기 비자성체층(114)은 상기 커버부(C)의 내부 영역 중 상기 갭 영역(G)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자성체층(114)은 상기 코일부(A)와 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부(C)의 두께가 200μm인 경우, 상기 비자성체층(114)은 상기 커버부(C)의 표면으로부터 50μm 이상 이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자성체층(114)이 상기 코일부(A)의 외부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C)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배치되면, 인덕턴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DC 바이어스 특성 또한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비자성체층(114)은 상기 커버부(C)의 표면과 상기 커버부(C)의 두께의 25% 내의 거리로 이격된 영역에 배치될 경우, 즉, 상기 비자성체층(114)이 갭 영역(G)의 내부에 배치될 경우, 저전류대 인덕턴스 변화 거동이 기존 적층 인덕터가 가질 수 있는 인덕턴스 거동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기 포화 저하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상기 비자성체층(114)은 상기 본체(110)의 양 단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비자성체층(114)은 상기 본체(110)의 양단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외부전극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C) 내부에 배치된 상기 비자성체층(114)은 상기 커버부(C)의 표면보다 코일부(A)에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자성체층(114)은 상기 커버부(C)의 내부 영역에서 상기 코일부(A)에 더 인접할수록 인덕턴스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적층 인덕터의 구현 가능한 인덕턴스의 상한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하기 표 1은 비자성체층이 커버부의 표면과 이격된 거리를 나타낸 표이며,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 인덕터의 비자성체층 위치에 따른 인덕턴스의 변화 거동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구분 커버부의 두께
(μm)
비자성체층이 커버부의 표면과 이격된 거리
(μm)
비자성체층이 커버부의 표면과 이격된 거리 대비 커버부의 두께비
(%)
커버부에서 코일부와 접하는 면과 비자성체층 간의 거리
(μm)
비교예 1 200 25 12.5 175
실시예 1 200 50 25 150
실시예 2 200 75 37.5 125
실시예 3 200 100 50 100
실시예 4 200 150 75 50
*: 비교예
본 개시의 비교예 및 실시예의 적층 인덕터의 커버부의 두께는 200μm이며, 상기 커버부의 표면과 상기 커버부의 두께의 12.5%, 25%, 37.5%, 50% 및 75%의 거리(25, 50, 75, 100, 150μm)로 이격된 영역에 비자성체를 배치하였다.
상기 비자성체를 포함하는 적층 인덕터에 전류를 인가하여 인덕턴스의 변화 거동을 측정하였다.
적층 인덕터에서 DC 바이어스 특성의 경우, 적층 인덕터에 전류 인가시 인덕턴스의 변화율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인덕턴스의 변화율 그래프를 봤을 때, 초기 전류값에서 변화율의 곡선이 완만한 형태를 유지하며, 특정 전류값에 도달하면 변화율의 곡선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4에서 비자성체층이 커버부의 표면과 이격된 거리가 클수록 인덕턴스의 변화율 그래프가 완만한 형상을 가지며, 특정 전류값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즉 비자성체층이 커버부의 표면과 커버부의 두께의 12.5% 거리로 이격된 경우, 초기 전류값 인가시 인덕턴스 변화율 곡선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DC 바이어스 특성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인덕턴스 특성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적층 인덕터는 커버부의 표면과 커버부의 두께의 25%이상 거리로 이격된 일 영역에 배치된 비자성체층을 포함함으로써, DC 바이어스 특성 및 인덕턴스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적층 인덕터
110: 본체
111: 자성체 층
112: 코일
114: 비자성체층
115a, 115b: 제1 및 제2 외부 전극
C: 커버부
A: 코일부
G: 갭(gap) 영역

Claims (10)

  1.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 영역 중 상기 커버부의 표면과 이격된 일 영역에 배치된 비자성체층;을 포함하는 적층 인덕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체층은 상기 커버부의 표면과 상기 커버부의 두께의 25%이상의 거리로 이격된 일 영역에 배치된 적층 인덕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체층은 상기 코일부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적층 인덕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체층은 상기 코일부와 접하는 적층 인덕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코일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적층 인덕터.
  6. 복수의 자성체 층이 적층된 구조를 구비하며,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내부 영역 중 표면과 이격된 일 영역에 배치된 비자성체층을 포함하는 적층 인덕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체층은 상기 커버부의 표면과 상기 커버부의 두께의 25%이상의 거리로 이격된 일 영역에 배치된 적층 인덕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체층은 상기 코일부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적층 인덕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체층은 상기 본체의 양 단면으로 노출되는 적층 인덕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코일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적층 인덕터.
KR1020150129742A 2015-09-14 2015-09-14 적층 인덕터 KR20170032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742A KR20170032017A (ko) 2015-09-14 2015-09-14 적층 인덕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742A KR20170032017A (ko) 2015-09-14 2015-09-14 적층 인덕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017A true KR20170032017A (ko) 2017-03-22

Family

ID=5849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742A KR20170032017A (ko) 2015-09-14 2015-09-14 적층 인덕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20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987A (ko) 2021-10-07 2023-04-14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987A (ko) 2021-10-07 2023-04-14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184B1 (ko)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9251943B2 (en) Multilayer type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78334B2 (en) Magnetic module for power inductor, power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83150B1 (ko)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7811B1 (ko)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539879B1 (ko) 칩 전자부품
KR102632343B1 (ko) 인덕터 어레이 부품 및 그의 실장 기판
KR20170032057A (ko) 적층 전자부품
KR20170053913A (ko)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US20140022042A1 (en) Chip device, multi-layered chip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832554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2056A (ko)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983149B1 (ko)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WO2012144103A1 (ja) 積層型インダクタ素子及び製造方法
KR20150114799A (ko) 적층 어레이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532148B1 (ko) 적층형 인덕터
KR20150089279A (ko) 칩형 코일 부품
KR20160008318A (ko) 칩형 코일 부품
JP5617614B2 (ja) コイル内蔵基板
KR20150089211A (ko) 칩형 코일 부품
KR20170032017A (ko) 적층 인덕터
KR101994724B1 (ko)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5949A (ko)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4461A (ko) 적층형 비드 및 그 실장 기판
KR20160098132A (ko) 적층형 전자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