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557A - 압전 음향 모듈 및 oled 표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압전 음향 모듈 및 oled 표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557A
KR20190044557A KR1020180125509A KR20180125509A KR20190044557A KR 20190044557 A KR20190044557 A KR 20190044557A KR 1020180125509 A KR1020180125509 A KR 1020180125509A KR 20180125509 A KR20180125509 A KR 20180125509A KR 20190044557 A KR20190044557 A KR 20190044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ezoelectric
elastic plate
main surface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아키 이케자와
오사무 야마자키
미츠하루 지바
요시유키 아베
마사후미 가츠노
카츠노리 구마사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킨
Publication of KR2019004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01L27/32
    • H01L51/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사이즈를 억제하고, 저배화 및 저비용화할 수 있음과 함께, 주파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전 음향 모듈 및 OLED 표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은 사각형 형상의 주면을 가지는 탄성판(10)과, 주면의 장변 방향에서의 탄성판(10)의 한쪽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1의 지지부(21)와, 장변 방향에서의 탄성판(10)의 다른쪽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의 지지부(22)와, 탄성판(10)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에 고정된 평판 형상의 압전 소자(40)와, 진동이 전파되는 피진동체(90)에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30)를 구비하고, 고정부(30)는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전 음향 모듈 및 OLED 표시 디바이스{Piezoelectric acoustic module and OL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압전 음향 모듈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착된 케이스 등의 피진동체에 진동을 전파시켜서, 스피커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압전 음향 모듈 및 OLED 표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음향 장치 등의 스피커로서,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압전 진동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압전 소자가 탑재된 진동판을, 케이스 등의 지지부에 고정시키고, 음을 발생시키는 압전 진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558577호 및 일본 특허공보 제5409925호와 같은 구성의 압전 진동 장치는 압전 소자를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진동판 및 지지부에 진동을 가하여, 소정의 주파수 특성을 가진 진동을 전파시키고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558577호 및 일본 특허공보 제5409925호에 기재된 것 바와 같은 종래의 압전 진동 장치에서는 진동판 및 지지부의 사이즈 또는 형상을 조정하는 것으로써, 주파수 특성을 조정한다. 이 경우에는 특정의 주파수 특성으로 조정할 때, 압전 진동 장치의 사이즈가 커짐과 함께, 생산 비용이 증대될 우려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사이즈를 억제하고, 저배화(低背化)·저비용화할 수 있음과 함께, 주파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전 음향 모듈 및 OLED 표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압전 음향 모듈은 사각형 형상의 주면을 가지는 탄성판과, 상기 주면의 장변 방향에서의 상기 탄성판의 한쪽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1의 지지부와, 상기 장변 방향에서의 상기 탄성판의 다른쪽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의 지지부와, 상기 탄성판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에 고정된 평판 형상의 압전 소자와, 진동이 전파되는 피진동체에 상기 제1의 지지부 및 상기 제2의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공공 또는 공간을 포함하는 다공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발포 기재의 층 및 스펀지를 포함하는 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진동체와 상기 제1의 지지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피진동체에 상기 제1의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제1의 고정부와, 상기 피진동체와 상기 제2의 지지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의 고정부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피진동체에 상기 제2의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제2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의 고정부 및 제2의 고정부는 PET를 포함하는 기재의 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의 고정부 및 제2의 고정부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의 고정부 및 제2의 고정부는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의 고정부와 상기 피진동체의 사이에서 상기 제2의 고정부와 상기 피진동체의 사이에 걸쳐서, 일체적으로 상기 피진동체 상에 마련된 제3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의 고정부는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의 고정부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의 지지부 및 상기 제2의 지지부는 상기 주면의 단변 방향에서의 상기 탄성판의 길이보다 긴 상기 단변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판의 상기 장변 방향에 평행한 한쪽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한 제1의 연결부와, 상기 탄성판의 상기 장변 방향에 평행한 다른쪽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한 제2의 연결부와, 상기 제1의 연결부와 접속한 제1의 추와, 상기 제2의 연결부와 접속한 제2의 추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판의 상기 한쪽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의 연결부에 측면이 접속되고, 사각형 형상의 주면을 가지는 제1의 부탄성판과, 상기 탄성판의 상기 다른쪽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의 연결부에 측면이 접속되고, 사각형 형상의 주면을 가지는 제2의 부탄성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추는 상기 제1의 부탄성판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의 추는 상기 제2의 부탄성판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의 부탄성판에서의 상기 제1의 연결부가 접속된 측면의 반대측의 측면에 접속되고, 상기 제1의 추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한 제1의 리브부와, 상기 제2의 부탄성판에서의 상기 제2의 연결부가 접속된 측면의 반대측의 측면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추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한 제2의 리브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판의 다른쪽의 주면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고정부와 상기 제2의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진동체에 상기 탄성판을 고정하는 제4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의 고정부는 상기 장변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4의 고정부의 사이의 간격을 변경하는 것으로써, 음향 특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OLED 표시 디바이스는 상기 압전 음향 모듈과, 상기 피진동체로서 OLED를 포함하는 OELD 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OELD 패널은 유리 패널, 상기 OLED, 보호 테이프 및 구리박이 적층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ELD 패널은 유리 패널, 상기 OLED, 유리 패널, 테이프 및 보호 시트가 적층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즈를 억제하고, 저배화·저비용화할 수 있음과 함께, 주파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전 음향 모듈 및 OLED 표시 디바이스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장점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닌, 예로서 부수되는 도면의 참조와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는 것에 의해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A0)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A1)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A2 ~ A4)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0)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1)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2)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3)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4)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4)의 구성을 예시한 상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4)의 구성을 예시한 하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4)의 구성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피진동체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의 다른 예에 관한 피진동체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A0 ~ A4)에 대해서,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15는 실시형태 2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B2 ~ B4)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B0 ~ B4)에 대해서,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17은 실시형태 3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C2 ~ C4)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3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C0 ~ C4)에 대해서,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19는 실시형태 3의 변형예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C2b ~ C4b)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4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D2 ~ D4)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4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D0 ~ D4)에 대해서,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22는 압전 음향 모듈(0)에 대해서, 고정부를 변경한 경우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23은 압전 음향 모듈(1)에 대해서, 고정부를 변경한 경우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24는 압전 음향 모듈(2)에 대해서, 고정부를 변경한 경우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25는 압전 음향 모듈(3)에 대해서, 고정부를 변경한 경우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26은 압전 음향 모듈(4)에 대해서, 고정부를 변경한 경우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27은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에 있어서의 압전 음향 모듈(B4)과 압전 음향 모듈(D4)의 비교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28은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에 있어서의 압전 음향 모듈(C4)과 압전 음향 모듈(C4b)의 비교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29는 실시형태 1 ~ 4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a는 실시형태 5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E1)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30b는 실시형태 5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E2)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30c는 실시형태 5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E3)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실시형태 5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E1 ~ E3)에 대해서,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A0)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A1)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A2 ~ A4)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압전 음향 모듈(A0 ~ A4)의 고정부(30)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0 ~ 4)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압전 음향 모듈의 부호 A, B, C 및 D는 실시형태 1, 2, 3 및 4의 고정부(30)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압전 음향 모듈의 부호 0, 1, 2, 3 및 4는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에 대응시키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압전 음향 모듈(A1)은, 실시형태 1의 고정부(30)를 가지는 압전 음향 모듈(1)이며, 도 5에 나타낸 구성의 압전 음향 모듈(1)의 고정부(30)가, 실시형태 1의 고정부(30)를 가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1에서는 압전 음향 모듈은 A0 ~ A4이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0)은 압전 소자(40)와 고정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3, 및, 도 5 ~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1 ~ A4)은 탄성판(10)과,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와, 고정부(30)와, 압전 소자(40)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압전 음향 모듈(A1 ~ A4)을 설명한다.
(압전 음향 모듈(A1 ~ A4))
도 2 및 도 3, 및,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1 ~ A4)에 있어서, 탄성판(10)은 사각형 형상의 주면(主面)을 가지고 있다. 탄성판(10)은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 판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사각형 형상은, 엄밀하게 사각형뿐만이 아니라, 모따기에 의한 모서리부의 라운드 및 성형상 불가피한 치수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탄성판(10)은 한쪽의 주면(10a) 및 다른쪽의 주면(10b)을 가지고 있다. 다른쪽의 주면(10b)은 한쪽의 주면(10a)의 반대측의 면이다. 탄성판(10)은 장변 방향에 평행한 한쪽의 측면(10c) 및 다른쪽의 측면(10d)을 가지고 있다. 다른쪽의 측면(10d)은 한쪽의 측면(10c)의 반대측의 면이다.
여기서, 압전 음향 모듈(A1 ~ A4)을 설명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XYZ 직교 좌표축을 도입한다. 탄성판(10)의 장변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한다. 탄성판(10)의 단변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한다. 탄성판(10)의 두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한다. 예를 들면, +Z축 방향을 상방으로 한다. 한쪽의 주면(10a)은 +Z축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한, XYZ 직교 좌표축은 압전 음향 모듈(A1 ~ A4) 등을 설명하기 위한 편의적인 것이며, 압전 음향 모듈(A1 ~ A4) 등을 사용할 때에, 탄성판(10)의 한쪽의 주면(10a)이, +Z축 방향 및 상방을 향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판(10)은, 예를 들면 SUS 등의 금속판이다. 또한, 탄성판(10)은 휘는 재료이면, 금속판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전 음향 모듈(A1 ~ A4)에 있어서의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는 주면(10a)의 장변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판(10)의 한쪽의 단부 및 다른쪽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1의 지지부(21)는 탄성판(10)의 -X축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X축 방향측의 단부를 지지한다. 제2의 지지부(22)는 탄성판(10)의 +X축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X축 방향측의 단부를 지지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1)에 있어서,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의 Y축 방향의 길이는 탄성판(10)의 Y축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이것에 비해서,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2 ~ A4)에 있어서, 제1의 지지부(21)의 Y축 방향의 길이는 탄성판(10)의 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즉, 제1의 지지부(21)는 주면(10a)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판(10)의 길이보다 긴, 단변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제1의 지지부(21)의 -Y축 방향측의 단부는 탄성판(10)의 한쪽의 측면(10c)보다 -Y축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의 지지부(21)의 +Y축 방향측의 단부는 탄성판(10)의 다른쪽의 측면(10d)보다 +Y축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의 지지부(22)의 Y축 방향의 길이는 탄성판(10)의 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즉, 제2의 지지부(22)는 주면(10a)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판(10)의 길이보다 긴, 단변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제2의 지지부(22)의 -Y축 방향측의 단부는 탄성판(10)의 한쪽의 측면(10c)보다 -Y축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2의 지지부(22)의 +Y축 방향측의 단부는 탄성판(10)의 다른쪽의 측면(10d)보다 +Y축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판(10),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를 합한 형상은 Z축 방향에서 보아, H자 형상이다.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는, 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형의 주면을 가지는 판 형상이라도 좋다. 제1의 지지부(21)는 한쪽의 주면(21a) 및 다른쪽의 주면(21b)을 가져도 좋다. 제2의 지지부(22)는 한쪽의 주면(22a) 및 다른쪽의 주면(22b)을 가져도 좋다. 한쪽의 주면(21a) 및 주면(22a)는 탄성판(10)의 한쪽의 주면(10a)과 마찬가지로, +Z축 방향을 향하고 있다.
압전 음향 모듈(A1 ~ A4)에 있어서,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는 탄성판(1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는 탄성판(10)과 동일한 판으로부터 일체 성형되어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1)에 있어서, 고정부(30)는 진동이 전파되는 피진동체(90)에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 및 탄성판(10)을 고정시키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2 ~ A4)에 있어서, 고정부(30)는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를 포함하고 있다. 제1의 고정부(31)는 진동이 전파되는 피진동체(90)와 제1의 지지부(21)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고정부(31)는 피진동체(90)에 제1의 지지부(21)를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제1의 고정부(31)는 제1의 지지부(21)의 다른쪽의 주면(21b)에 마련되어 있다.
제2의 고정부(32)는 진동이 전파되는 피진동체(90)와 제2의 지지부(22)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2의 고정부(32)는 제1의 고정부(31)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의 고정부(32)는 피진동체(90)에 제2의 지지부(22)를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제2의 고정부(32)는 제2의 지지부(22)의 다른쪽의 주면(22b)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2 ~ A4)에 있어서,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를 포함하는 고정부(30)는 피진동체에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를 고정시킨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30)는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압전 음향 모듈(A1)의 고정부(30), 및, 압전 음향 모듈(A2 ~ A4)의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는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하는 기재(基材)의 층(35)을 가지고 있다. 고정부(30),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는 PET계 기재를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라도 좋다. PET계 기재를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는 PET를 포함하는 기재의 층(35)의 양면에 점착제(36)가 마련되어 있다. PET를 포함하는 기재의 층(35)에 있어서의 점착제(36)가 마련된 한쪽의 면을 제 1 지지부(21)에 접착시킨다. PET를 포함하는 기재의 층(35)에 있어서의 점착제(36)가 마련된 다른쪽의 면을 피진동체(90)에 접착시킨다. 이것에 의해, 압전 음향 모듈(A1 ~ A4)을 피진동체(90)에 고정할 수 있다.
압전 소자(40)는 평판의 형상을 하고 있다. 압전 소자(40)는 탄성판(10)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10a)에 고정되어 있다. 압전 소자(40)는 탄성판(10)의 한쪽의 주면(10a) 및 다른쪽의 주면(10b)의 양면에 고정되어도 좋다. 압전 소자(40)의 상면에는 압전 소자(40)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배선(41)이 접속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3)의 탄성판(10)의 장변 방향의 길이, 즉, X축 방향의 길이는 압전 음향 모듈(A2)의 탄성판(10)의 장변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져 있다. 압전 음향 모듈(A2 및 A3)의 그 외의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4)의 구성을 예시한 상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4)의 구성을 예시한 하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4)의 구성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A4)은 탄성판(10)과,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와,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와, 압전 소자(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압전 음향 모듈(A4)은 제1의 연결부(51) 및 제2의 연결부(52)와, 제1의 부탄성판(61) 및 제2의 부탄성판(62)과, 제1의 리브부(71) 및 제2의 리브부(72)와, 제1의 추(81) 및 제2의 추(82)를 구비하고 있다.
제1의 연결부(51)는 탄성판(10)의 한쪽의 측면(10c)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2의 연결부(52)는 탄성판(10)의 다른쪽의 측면(10d)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의 연결부(51) 및 제2의 연결부(52)는 한쪽의 측면(10c) 및 다른쪽의 측면(10d)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의 연결부(51) 및 제2의 연결부(52)는 탄성판(10)의 장변 방향을 축으로 한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탄성판(10)은 압전 소자(40)의 휨 진동에 의해 굴곡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의 연결부(51) 및 제2의 연결부(52)는 탄성판(10)의 진폭이 최대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좋다.
제1의 연결부(51) 및 제2의 연결부(52)는 탄성판(1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제1의 연결부(51) 및 제2의 연결부(52)는 탄성판(10)과 동일한 판으로부터 일체 성형되어도 좋다.
제1의 연결부(51) 및 제2의 연결부(52)는,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형의 주면을 가지는 판 형상이다. 제1의 연결부(51)는 한쪽의 주면(51a) 및 다른쪽의 주면(51b)을 가지고 있다. 제2의 연결부(52)는 한쪽의 주면(52a) 및 다른쪽의 주면(52b)을 가지고 있다. 한쪽의 주면(51a) 및 한쪽의 주면(52a)은 탄성판(10)의 한쪽의 주면(10a)과 마찬가지로, +Z축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1의 부탄성판(61)은 사각형 형상의 주면을 가지고 있다. 제1의 부탄성판(61)은 한쪽의 주면(61a) 및 다른쪽의 주면(61b)을 가지고 있다. 제2의 부탄성판(62)은 사각형 형상의 주면을 가지고 있다. 제2의 부탄성판(62)은 한쪽의 주면(62a) 및 다른쪽의 주면(62b)을 가지고 있다. 한쪽의 주면(61a) 및 한쪽의 주면(62a)은 탄성판(10)의 한쪽의 주면(10a)과 마찬가지로, +Z축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1의 부탄성판(61)은 탄성판(10)의 한쪽의 측면(10c)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부탄성판(61)의 측면은 제1의 연결부(51)에 접속되어 있다. 제2의 부탄성판(62)은 탄성판(10)의 다른쪽의 측면(10d)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의 부탄성판(62)의 측면은 제2의 연결부(52)에 접속되어 있다.
제1의 부탄성판(61) 및 제2의 부탄성판(62)은 탄성판(1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제1의 부탄성판(61) 및 제2의 부탄성판(62)은 탄성판(10), 제1의 연결부(51) 및 제2의 연결부(52)와 동일한 판으로부터 일체 성형되어도 좋다.
제1의 리브부(71)는 제1의 부탄성판(61)에 있어서의 제1의 연결부(51)가 접속된 측면의 반대측의 측면에 접속되어 있다. 제1의 리브부(71)는,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형의 판 형상이다. 제1의 리브부(71)의 주면은 Y축 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부탄성판(61) 및 제1의 리브부(71)에 있어서의 X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은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의 리브부(72)는 제2의 부탄성판(62)에 있어서의 제2의 연결부(52)가 접속된 측면의 반대측의 측면에 접속되어 있다. 제2의 리브부(72)는,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형의 판 형상이다. 제2의 리브부(72)의 주면은 Y축 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부탄성판(62) 및 제2의 리브부(72)에 있어서의 X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은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의 리브부(71) 및 제2의 리브부(72)는 탄성판(1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제1의 리브부(71) 및 제2의 리브부(72)는 탄성판(10), 제1의 연결부(51) 및 제2의 연결부(52), 및, 제1의 부탄성판(61) 및 제2의 부탄성판(62)과 동일한 판으로부터 일체 성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금속판의 제1의 부탄성판(61)의 부분과 제1의 리브부(71)의 부분의 경계를 90° 접어 구부리는 것으로, 제1의 리브부(71)가 형성된다. 제2의 리브부(72)도 마찬가지이다.
제1의 추(81)는 제1의 연결부(51)와 접속되어 있다. 제1의 추(81)는,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연장된 각봉(角棒) 형상이다. 제1의 추(81)는 제1의 부탄성판(61)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61a)에 고정되어 있다. 제1의 리브부(71)는 제1의 추(81)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고 있다. 제2의 추(82)는 제2의 연결부(52)와 접속되어 있다. 제2의 추(82)는,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연장된 각봉 형상이다. 제2의 추(82)는 제2의 부탄성판(62)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62a)에 고정되어 있다. 제2의 리브부(72)는 제2의 추(82)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고 있다.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의 Y축 방향의 길이는 제1의 리브부(71)의 외측의 면으로부터, 제2의 리브부(72)의 외측의 면까지의 Y축 방향의 길이 이하로 해도 좋다. 즉,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의 길이는 제1의 리브부(71)의 제1의 추(81)와 대향한 면의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제2의 리브부(72)의 제2의 추(82)와 대향한 면의 반대측의 면까지의 단변 방향의 길이 이하로 해도 좋다.
또한, 압전 음향 모듈(4)의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의 Y축 방향의 길이는 탄성판(10)의 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으로 하고, 그리고, 압전 음향 모듈(4)은 제1의 연결부(51) 및 제2의 연결부(52)와, 제1의 부탄성판(61) 및 제2의 부탄성판(62)과, 제1의 리브부(71) 및 제2의 리브부(72)와, 제1의 추(81) 및 제2의 추(82)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압전 음향 모듈(1)과 같이,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의 Y축 방향의 길이가, 탄성판(10)의 Y축 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경우, 또는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의 Y축 방향의 길이가, 탄성판(10)의 Y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 제1의 연결부(51) 및 제2의 연결부(52)와, 제1의 추(81) 및 제2의 추(82)를 구비해도 좋고, 또한 제1의 부탄성판(61) 및 제2의 부탄성판(62)과, 제1의 리브부(71) 및 제2의 리브부(72)를 구비해도 좋다.
(압전 음향 모듈(A0))
다음에, 압전 음향 모듈(A0)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0)에 있어서, 고정부(30)는 압전 소자(40)의 한쪽의 주면과 피진동체(90)의 사이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진동체(90)에 압전 소자(40)를 고정시키고 있다. 압전 음향 모듈(A0)의 고정부(30)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압전 음향 모듈(A0)의 고정부(30)는 PET를 포함하는 기재의 층(35)을 가지고 있다. 고정부(30)는 PET계 기재를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라도 좋다. PET를 포함하는 기재의 층(35)에 있어서의 점착제(36)가 마련된 한쪽의 면을 압전 소자(40)에 접착시킨다. PET를 포함하는 기재의 층(35)에 있어서의 점착제(36)가 마련된 다른쪽의 면을 피진동체(90)에 접착시킨다. 이것에 의해, 압전 음향 모듈(A0)을 피진동체(90)에 고정할 수 있다.
(피진동체로서의 OLED 패널)
다음에, 피진동체로서의 OLED 패널을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피진동체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진동체(90)는 OLED(91)를 가지고 있다. 또한, 피진동체(90)는 유리 패널(92), 보호 테이프(93), 구리박(94)도 가지고 있다. OLED(91)는 한쪽의 주면(91a) 및 다른쪽의 주면(91b)을 가지는 판 형상이다. OLED(91)의 한쪽의 주면(91a)에는 보호 테이프(93)를 통하여 구리박(94)이 적층되어 있다. 즉, OLED(91)와 구리박(94)의 사이에 보호 테이프(93)가 사이에 끼워져 있다. OLED(91)의 다른쪽의 주면(91b)에는 유리 패널(92)이 적층되어 있다. 따라서, 피진동체(90)로서의 OLED 패널은 +Z축 방향으로 순서대로, 유리 패널(92), OLED(91), 보호 테이프(93), 구리박(94)이 적층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압전 음향 모듈(A0 ~ A5)의 어느 하나와, 피진동체(90)로서 OLED를 포함하는 OLED 패널을 구비하는 것으로써, OLED 표시 디바이스로 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형태의 다른 예에 관한 피진동체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진동체(190)는 OLED(91)를 가지고 있다. 피진동체(190)는 또한, 유리 패널(92), 테이프(95), 보호 시트(96)를 포함하고 있다. OLED(91)는 한쪽의 주면(91a) 및 다른쪽의 주면(91b)을 가지는 판 형상이다. OLED(91)의 한쪽의 주면(91a) 및 다른쪽의 주면(91b)에는 유리 패널(92)이 적층되어 있다. 즉, OLED(91)는 유리 패널(92)에 끼워져 있다. OLED(91)의 한쪽의 주면(91a)측에는 유리 패널(92)을 통하여 테이프(95) 및 보호 시트(96)가 적층되어 있다. 따라서, 피진동체(190)로서의 OLED 패널은 +Z축 방향으로 순서대로, 유리 패널(92), OLED(91), 유리 패널(92), 테이프(95), 보호 시트(96)가 적층되어 있다.
다음에, 압전 음향 모듈(A0 ~ A4)의 동작을 설명한다.
압전 소자(40)에 배선(41)을 통하여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압전 소자(40)가 신축되어 휜다. 탄성판(10)이 마련되어 있으면, 압전 소자(40)는 탄성판(10)과 함께 굴곡 진동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면, 탄성판(10)의 진동은 장변 방향의 양단부측에 힘을 릴리프시키기 위하여 작용하고,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에 고정되어 있는 피진동체의 진동이 커진다. 이것에 의해, 압전 음향 모듈(A0 ~ A4)은 압전 소자(40)의 굴곡 진동을 피진동체(90)에 전파시킨다.
압전 음향 모듈(A4)의 경우에는 상기의 동작에 더하여, 압전 소자(40)의 굴곡 진동의 힘이 제1의 연결부(51) 및 제2의 연결부(52)를 통하여, 제1의 추(81) 및 제2의 추(82)에 전파되어, 제1의 추(81) 및 제2의 추(82)를 진동시키려고 한다.
제1의 추(81) 및 제2의 추(82)의 진동의 관성력에 의해서, 제1의 연결부(51) 및 제2의 연결부(52)가 형성된 탄성판(10)의 중앙부는 고정되어 있도록 작용한다. 이 때문에, 탄성판(10)의 진동은 장변 방향의 양단부측에 힘을 릴리프시키기 위하여 작용하고,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에 고정되어 있는 피진동체의 진동이 커진다. 이와 같이 하여, 압전 음향 모듈(A4)은 압전 소자(40)의 굴곡 진동을 피진동체(90)에 전파시킨다.
도 1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A0 ~ A4)에 대해서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이라고도 한다)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압전 음향 모듈(A0 ~ A4)의 음압 레벨은 100Hz에서 제 1 공진 주파수가 될 때까지는 다소 변동이 수반되지만, 대략의 경향으로서 주파수가 커질수록 음압 레벨이 커진다. 제 1 공진 주파수에 있어서, 음압 레벨은 하나의 피크를 형성한다. 제 1 공진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에 있어서, 여러개의 피크를 형성한다. 제 1 공진 주파수를, 이하에서는 단순히 공진 주파수라고도 한다.
광범위의 주파수에 있어서 큰 음압 레벨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광범위의 주파수에 있어서, 음압 레벨의 목표치보다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주파수에서 음압 레벨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범위의 주파수에 걸쳐서 음압 레벨에 산 및 골과 같이 큰 변화가 없고, 플랫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4)의 음압 레벨은 3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압전 음향 모듈(A3)의 음압 레벨은 35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압전 음향 모듈(A2)의 음압 레벨은 4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압전 음향 모듈(A1)의 음압 레벨은 45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압전 음향 모듈(A0)의 음압 레벨은 5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도 14에 있어서는 압전 음향 모듈(A4)은 광범위에 걸쳐서 음압 레벨이 가장 플랫하고,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압전 음향 모듈(A4)은 300[Hz] 이상의 저주파수 영역에 있어서도 음압 레벨을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바람직한 것은 압전 음향 모듈(A3)이다. 그리고 바람직한 순으로, 압전 음향 모듈(A2, A1, A0)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실시형태 2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2는 실시형태 1과 비교해서, 고정부(30)의 구성이 다르다. 우선, 압전 음향 모듈(B2 ~ B4)을 설명한다. 그 후, 압전 음향 모듈(B0 및 B1)을 설명한다. 도 15는 실시형태 2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B2 ~ B4)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B2 ~ B4)의 고정부(30)는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는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37)을 가지고 있다.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는 폴리올레핀계 발포 기재를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라도 좋다. 폴리올레핀계 발포 기재를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37)의 양면에 점착제(36)가 마련되어 있다.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37)에 있어서의 점착제(36)가 마련된 한쪽의 면을 제 1 지지부(21)에 접착시킨다.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37)에 있어서의 점착제(36)가 마련된 다른쪽의 면을 피진동체(90)에 접착시킨다. 이것에 의해, 압전 음향 모듈(B2 ~ B4)을 피진동체에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압전 음향 모듈(B0 및 B1)을 설명한다. 압전 음향 모듈(B0 및 B1)의 고정부(30)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37)을 가지고, 층(37)의 양면에 점착제(36)가 마련되어 있다. 압전 음향 모듈(B0)에 있어서, 고정부(30)는 압전 소자(40)의 피진동체(90)측의 주면에 걸쳐서, 일체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압전 음향 모듈(B1)에 있어서는 탄성판(10)의 다른쪽의 주면(10b) 및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의 다른쪽의 주면(21b, 22b)에 걸쳐서, 일체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압전 음향 모듈(B0 ~ B4)의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B0 ~ B4)에 대해서,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B4)의 음압 레벨은 2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압전 음향 모듈(B3)의 음압 레벨은 25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또한, 압전 음향 모듈(B3)의 음압 레벨은 800[Hz] 근방 및 8000[Hz] 근방에서 목표치보다 작아지는 골의 부분을 가지고 있다. 압전 음향 모듈(B2)의 음압 레벨은 4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압전 음향 모듈(B1)의 음압 레벨은 7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압전 음향 모듈(B0)의 음압 레벨은 9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도 16에 있어서는 압전 음향 모듈(B4)은 광범위에 걸쳐서 음압 레벨이 가장 플랫하고,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압전 음향 모듈(B4)은 200[Hz] 이상의 저주파수 영역에 있어서도 음압 레벨을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바람직한 것은 압전 음향 모듈(B3)이다. 그리고 바람직한 순으로, 압전 음향 모듈(B2, B1, B0)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에, 실시형태 3을 설명한다. 실시형태 3은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와 비교해서, 고정부(30)의 구성이 다르다. 우선, 압전 음향 모듈(C2 ~ C4)을 설명한다. 그 후, 압전 음향 모듈(C0 및 C1)을 설명한다. 도 17은 실시형태 3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C2 ~ C4)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C2 ~ C4)의 고정부(30)는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는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PE(Polyethylen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38)을 가지고 있다.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는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38)의 양면에 양면 테이프(39)가 마련되어 있다.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38)에 있어서의 양면 테이프(39)가 마련된 한쪽의 면을 제 1 지지부(21)에 접착시킨다.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38)에 있어서의 양면 테이프(39)가 마련된 다른쪽의 면을 피진동체(90)에 접착시킨다. 이것에 의해, 압전 음향 모듈(C2 ~ C4)을 피진동체에 고정할 수 있다.
압전 음향 모듈(C0 및 C1)의 고정부(30)는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38)을 가지고, 층(38)의 양면에 양면 테이프(39)가 마련되어 있다. 압전 음향 모듈(C0)에 있어서는 고정부(30)는 압전 소자(40)의 다른쪽의 주면에 일체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압전 음향 모듈(C1)에 있어서는 탄성판(10)의 다른쪽의 주면(10b) 및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의 다른쪽의 주면(21b, 22b)에 일체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압전 음향 모듈(C0 ~ C4)의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 및 2와 마찬가지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3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C0 ~ C4)에 대해서,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C4)의 음압 레벨은 2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커져 있다. 압전 음향 모듈(C3)의 음압 레벨은 3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커져 있다. 또한, 압전 음향 모듈(C3)은 800[Hz] 근방에서 목표치보다 작아지는 골의 부분을 가지고 있다. 압전 음향 모듈(C2)의 음압 레벨은 4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커져 있다. 압전 음향 모듈(C1)의 음압 레벨은 7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커져 있다. 압전 음향 모듈(C0)의 음압 레벨은 9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커져 있다.
도 18에 있어서는 압전 음향 모듈(C4)은 광범위에 걸쳐서 음압 레벨이 가장 플랫하고, 가장 바람직하다. 게다가 압전 음향 모듈(C4)은 200[Hz] 이상의 저주파수 영역에 있어서도 음압 레벨을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바람직한 것은 압전 음향 모듈(C3)이다. 그리고 바람직한 순으로, 압전 음향 모듈(C2, C1, C0)로 되어 있다.
(변형예)
다음에, 실시형태 3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3의 변형예는 실시형태 1 ~ 3과 비교해서, 고정부(30)의 구성이 다르다. 도 19는 실시형태 3의 변형예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C2b ~ C4b)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C2b ~ C4b)의 고정부(30)는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에 더하여, 제3의 고정부(33)를 포함하고 있다.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는 양면 테이프(39)이다. 제3의 고정부(33)는 제1의 고정부(31)와 피진동체(90)의 사이에서 제2의 고정부(32)와 피진동체(90)의 사이에 걸쳐서, 일체적으로 피진동체(90) 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3의 고정부(33)는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38)을 가지고 있다. 제3의 고정부(33)는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38) 및 양면 테이프(39)를 포함하고 있다.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38)에 있어서의 피진동체(90)측의 면에 양면 테이프(39)가 마련되어 있다.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38)에 있어서의 양면 테이프가 마련된 면을 피진동체(90)에 접착시킨다.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의 양면 테이프(39)는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를 피진동체(90) 상의 제3의 고정부(33)에 접착시킨다. 이것에 의해, 압전 음향 모듈(C2 ~ C4)을 피진동체(90)에 고정할 수 있다.
압전 음향 모듈(C0b 및 C1b)의 고정부(30)는 상술의 실시형태 3의 압전 음향 모듈(C0 및 C1)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압전 음향 모듈(C0b ~ C4b)의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 ~ 3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 4)
다음에, 실시형태 4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4는 실시형태 1 ~ 3과 비교해서, 고정부(30)의 구성이 다르다. 도 20은 실시형태 4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D2 ~ D4)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D2 ~ D4)의 고정부(30)는 제1의 고정부(31), 제2의 고정부(32), 및, 제3의 고정부(33)를 포함하고 있다.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는 양면 테이프(39)이다. 제3의 고정부(33)는 제1의 고정부(31)와 피진동체(90)의 사이에서 제2의 고정부(32)와 피진동체(90)의 사이에 걸쳐서, 일체적으로 피진동체(90) 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3의 고정부(33)는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37)을 가지고 있다. 제3의 고정부(33)는 폴리올레핀계 발포 기재를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라도 좋다. 폴리올레핀계 발포 기재를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37)의 양면에 점착제(36)가 마련된 양면 테이프이다.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37)에 있어서의 점착제(36)가 마련된 한쪽의 면을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에 접착시킨다.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기재의 층(37)에 있어서의 점착제(36)가 마련된 다른쪽의 면을 피진동체(90)에 접착시킨다. 이것에 의해, 압전 음향 모듈(D2 ~ D4)을 피진동체(90)에 고정할 수 있다.
압전 음향 모듈(D0 및 D1)의 고정부(30)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기재의 층(37)을 가지고, 층(37)의 양면에 점착제(36)가 마련되어 있다. 압전 음향 모듈(D0)에 있어서는 고정부(30)는 압전 소자(40)의 다른쪽의 주면에 일체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압전 음향 모듈(D1)에 있어서는 탄성판(10)의 다른쪽의 주면(10b) 및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의 다른쪽의 주면(21b, 22b)에 일체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압전 음향 모듈(D0 ~ D4)의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 ~ 3과 마찬가지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4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D0 ~ D4)에 대해서,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D4)의 음압 레벨은 2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압전 음향 모듈(D3)의 음압 레벨은 3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또한, 압전 음향 모듈(D3)은 800[Hz] 근방에서 목표치보다 작아지는 골의 부분을 가지고 있다. 압전 음향 모듈(D2)는 4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압전 음향 모듈(D1)은 7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압전 음향 모듈(D0)는 10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도 21에 있어서는 압전 음향 모듈(D4)은 광범위에 걸쳐서 음압 레벨이 가장 플랫하고,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압전 음향 모듈(D4)은 200[Hz] 이상의 저주파수 영역에 있어서도 음압 레벨을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바람직한 것은 압전 음향 모듈(D3)이다. 그리고 바람직한 순으로, 압전 음향 모듈(D2, D1, D0)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 1 ~ 4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구성의 고정부(30)에 있어서, 압전 음향 모듈마다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설명했다. 다음에, 동일한 압전 음향 모듈에 있어서, 고정부(30)마다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22는 압전 음향 모듈(0)에 대해서, 고정부(30)의 구성을 변경한 경우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0, B0, C0 및 D0)의 음압 레벨은 500[Hz] 이상, 900[Hz] 이상, 900[Hz] 이상 및 10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이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0)은 고정부(30)를 변화시켜도, 저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을 크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광범위에 걸쳐서, 음압 레벨이 산 및 골과 같은 변화를 가지고 있다.
도 23은 압전 음향 모듈(1)에 대해서, 고정부(30)의 구성을 변경한 경우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1, B1, C1 및 D1)의 음압 레벨은 450[Hz] 이상, 700[Hz] 이상, 700[Hz] 이상 및 7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이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1)은 저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음압 레벨을 크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도 24는 압전 음향 모듈(2)에 대해서, 고정부(30)의 구성을 변경했을 경우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2, B2, C2 및 D2)의 음압 레벨은 400[Hz] 이상, 400[Hz] 이상, 400[Hz] 이상 및 4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따라서, 압전 음향 모듈(2)는 저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음압 레벨을 크게 하는 것이 곤란하지만, 산 및 골과 같은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5는 압전 음향 모듈(3)에 대해서, 고정부(30)의 구성을 변경했을 경우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3, B3, C3 및 D3)의 음압 레벨은 350[Hz] 이상, 250[Hz] 이상, 300[Hz] 이상 및 3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따라서, 압전 음향 모듈(3)은 저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음압 레벨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 800[Hz] 근방에서 목표치보다 작아지는 골의 부분을 가지고 있다.
도 26은 압전 음향 모듈(4)에 대해서, 고정부(30)의 구성을 변경했을 경우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A4, B4, C4 및 D4)의 음압 레벨은 300[Hz] 이상, 200[Hz] 이상, 200[Hz] 이상 및 200[Hz] 이상으로 목표치보다 크다. 따라서, 압전 음향 모듈(4)은 저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음압 레벨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전 음향 모듈(4)은 광범위에 걸쳐서 음압 레벨이 가장 플랫하고, 양호한 주파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 27은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에 있어서의 압전 음향 모듈(B4)과 압전 음향 모듈(D4)의 비교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만의 압전 음향 모듈(B4)에 대해서, 제1의 고정부(31), 제2의 고정부(32) 및 제3의 고정부(33)를 가지는 압전 음향 모듈(D4)의 경우에는 고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골과 같이 음압 레벨이 감소한다. 압전 음향 모듈(D4)과 같이, 탄성판(10)과 피진동체(90)의 사이의 전체면에 고정부(30)가 있으면, 고음역의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 현상은 고정부(30)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37)을 가지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38)을 가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28은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에 있어서의 압전 음향 모듈(C4)과 압전 음향 모듈(C4b)의 비교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만의 압전 음향 모듈(C4)에 비해서, 제1의 고정부(31), 제2의 고정부(32) 및 제3의 고정부(33)를 가지는 압전 음향 모듈(C4b)의 경우에는, 고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골과 같이 음압 레벨이 감소한다. 압전 음향 모듈(C4b)과 같이, 탄성판(10)과 피진동체(90)의 사이의 전체면에 고정부(30)가 있으면, 고음역의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도 29는 실시형태 1 ~ 4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의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축에 압전 음향 모듈의 구성, 세로축에 고정부(30)의 구성을 배열하고, 목표치가 되는 주파수를 비교한다.
압전 음향 모듈의 구성에서 비교하면, 적어도 탄성판(10)의 양단에서 고정한 단순보의 구성이 바람직하다(압전 음향 모듈(2 ~ 4)). 또한, 탄성판의 형상은 H형이 바람직하다(압전 음향 모듈(2 ~ 4)). 따라서, 압전 음향 모듈의 구성에서 보면, 압전 음향 모듈(4)은 저주파 영역의 음압 레벨을 크게 할 수 있다.
고정부(30)의 구성에서 비교하면, PET를 포함하는 기재의 층(35)에 비해,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37) 또는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38)을 가지는 고정부(30)가 바람직하다. 즉, 탄성판(10)으로부터 OLED 패널까지의 사이의 고정부(30)가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가지고 있고, 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발포 기재의 층 및 스펀지를 포함하는 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공공 또는 공간을 포함하는 다공질 형상이라도 좋고, 공기를 포함하는 다공질 형상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공공, 공간 또는 공기를 포함하는 층을 가지는 고정부(30)에 의해, 피진동체(90)에 고정되면 저주파수 영역의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전 음향 모듈(4)의 경우에는 발포 기재의 층 및 스펀지를 포함하는 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는 것으로, 200[Hz] 이상의 저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을 목표치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 1 ~ 4의 효과를 설명한다.
압전 음향 모듈의 고정부(30)는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음압 레벨과 주파수의 관계의 그래프가 나타내도록,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재질을 조정하는 것으로써, 음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판(10), 피진동체(90) 등의 사이즈 및 형상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음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즈를 억제하고, 저배화 및 저비용화할 수 있다.
특히, 고정부(30)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공기를 포함하는 다공질 형상이면, 저주파수 영역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발포 기재의 층 및 스펀지를 포함하는 층이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면, 저주파수 영역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는 기재를 가지지 않는 층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고정부(30)로서 고정부(30)의 고정면에 대해서 평행(면내(面內)) 방향의 점착력과 수직 방향의 점착력이 다른 재질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으로써, 진동의 전파를 조정할 수 있고, 음향 특성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고정부(30)가,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를 포함하고, 탄성판(10)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순보의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써, 주파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는 제3의 고정부(33)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고주파수 영역의 음압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부(30)는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만으로 하는 것으로써, 제3의 고정부(33)를 포함하는 경우보다, 고주파수 영역의 음압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30)의 구성에 의해서, 주파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제1의 지지부(21) 및 제2의 지지부(22)는 탄성판(10)의 주면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판(10)의 길이보다 긴, 단변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피진동체(90)에의 접착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압전 음향 모듈(1)의 장착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X축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압전 음향 모듈(1)의 사이즈를 유지할 수 있고, 압전 음향 모듈(1)을 소형화할 수 있다.
압전 음향 모듈(4)은 제1의 추(81) 및 제2의 추(82)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의 추(81) 및 제2의 추(82)의 진동의 관성력에 의해서, 피진동체(90)의 진동을 크게 할 수 있고,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피진동체(90)로서 OLED 패널을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액정 패널의 경우에는 많은 층이 형성되고, 강성이 커져 있다. 이 때문에, 저음역의 음향 특성이 저하된다. 한편, 피진동체(90)로서 OLED를 이용하면, 자발광이므로 층도 적고, 저배화(低背化)할 수 있다. 또한, 액정에 비해 강성이 작고, 저음역의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5)
다음에, 실시형태 5를 설명한다. 도 30a 내지 도 30c는 실시형태 5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30a 내지 도 3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E1 ~ E3)은 탄성판(10), 제1의 지지부(21), 제2의 지지부(22), 압전 소자(40) 및 고정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압전 음향 모듈(E1 ~ E3)에 있어서는 고정부(30)는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부(30)는, 예를 들면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가지고 있다.
도 30b 및 도 3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음향 모듈(E2 및 E3)에 있어서는 고정부(30)는 탄성판(10)의 다른쪽의 주면(10b)에 있어서, 제1의 고정부(31)와 제2의 고정부(32)의 사이에 배치되어 피진동체(90)에 탄성판(10)을 고정하는 제4의 고정부(34)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제4의 고정부(34)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가져도 좋다.
또한, 도 3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의 고정부(34)는 탄성판(10)의 장변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복수의 제4의 고정부(34)의 사이의 간격을 변경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음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1은 실시형태 5에 관한 압전 음향 모듈(E1 ~ E3)에 대해서, 음압 레벨 및 주파수의 관계를 예시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의 고정부(34)의 개수를 많게 하는 것으로써, 고주파수측의 낮아짐을 억제하고, 음압의 특성을 플랫하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5의 압전 음향 모듈(E1 ~ E3)에 의하면, 제4의 고정부(34)의 사이의 간격, 및, 제4의 고정부(34)와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와의 사이의 간격을 변경하는 것으로써, 음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4의 고정부(34)를 배치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음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판(10)의 제 1 공진 진동의 노드가 되는 위치, 또는 제 2 공진 진동의 노드가 되는 위치에 제4의 고정부(34)를 배치하는 것으로써, 음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제4의 고정부는 제1의 고정부(31) 및 제2의 고정부(32)의 재질과 동일한 것을 사용해도 좋고, 다른 것을 사용해도 좋다. 소망의 주파수 특성이 얻어지도록, 조합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정부(30)의 구성은 실시형태 1 ~ 4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가지지 않아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형태에 입각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원 특허 청구의 범위의 청구항의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라면 할 수 있는 각종 변형, 수정, 조합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실시형태 1 ~ 5의 각 구성을 적절히 조합해도 좋다.
예를 들면, 고정부(30)의 하나 또는 일부는 저반발재를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의 고정부(33)는 저반발재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도 30b 및 도 3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의 고정부(34)는 저반발재를 포함해도 좋다. 저반발재는, 예를 들면 붕소(B)를 포함하는 붕소재이다. 제3의 고정부(33) 및 제4의 고정부(34)가 저반발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낙하 내성을 큰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50[g]의 케이스에 압전 음향 모듈을 붙이고, 낙하시켰을 경우에, 제 1 고정부(31) 및 제 2 고정부(32)만의 경우에는 1.2[m]에서 낙하시키면 압전 소자의 장변 방향의 중앙 부분이 깨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3 고정부(33) 또는 제4 고정부(34)에 붕소 SR-S-40P, T 0.4[mm]를 부가한 경우에는, 1.8[m]에서의 낙하에서도 파손이 생기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의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에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여러가지로 변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모든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이러한 개량은 이하의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8)

  1. 사각형 형상의 주면(主面)을 가지는 탄성판과,
    상기 주면의 장변 방향에서의 상기 탄성판의 한쪽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1의 지지부와,
    상기 장변 방향에서의 상기 탄성판의 다른쪽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의 지지부와,
    상기 탄성판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에 고정된 평판 형상의 압전 소자와,
    진동이 전파되는 피진동체에 상기 제1의 지지부 및 상기 제2의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공공(空孔) 또는 공간을 포함하는 다공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발포 기재의 층 및 스펀지를 포함하는 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진동체와 상기 제1의 지지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피진동체에 상기 제1의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제1의 고정부와,
    상기 피진동체와 상기 제2의 지지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의 고정부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피진동체에 상기 제2의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제2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고정부 및 제2의 고정부는 PET를 포함하는 기재의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고정부 및 제2의 고정부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고정부 및 제2의 고정부는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의 고정부와 상기 피진동체의 사이에서 상기 제2의 고정부와 상기 피진동체의 사이에 걸쳐서, 일체적으로 상기 피진동체 상에 마련된 제3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고정부는 PE를 포함하는 스펀지의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고정부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발포 기재의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지지부 및 상기 제2의 지지부는,
    상기 주면의 단변 방향에서의 상기 탄성판의 길이보다 긴 상기 단변 방향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의 상기 장변 방향에 평행한 한쪽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한 제1의 연결부와,
    상기 탄성판의 상기 장변 방향에 평행한 다른쪽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한 제2의 연결부와,
    상기 제1의 연결부와 접속한 제1의 추와,
    상기 제2의 연결부와 접속한 제2의 추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의 상기 한쪽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의 연결부에 측면이 접속되고, 사각형 형상의 주면을 갖는 제1의 부탄성판과,
    상기 탄성판의 상기 다른쪽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의 연결부에 측면이 접속되고, 사각형 형상의 주면을 갖는 제2의 부탄성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추는 상기 제1의 부탄성판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의 추는 상기 제2의 부탄성판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의 부탄성판에서의 상기 제1의 연결부가 접속된 측면의 반대측의 측면에 접속되고, 상기 제1의 추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한 제1의 리브부와,
    상기 제2의 부탄성판에서의 상기 제2의 연결부가 접속된 측면의 반대측의 측면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추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한 제2의 리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판의 다른쪽의 주면에서, 상기 제1의 고정부와, 상기 제2의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진동체에 상기 탄성판을 고정하는 제4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고정부는 상기 장변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4의 고정부의 사이의 간격을 변경하는 것으로써, 음향 특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음향 모듈.
  16. 제 1 항에 기재된 압전 음향 모듈과,
    상기 피진동체로서 OLED를 포함하는 OELD 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OELD 패널은 유리 패널, 상기 OLED, 보호 테이프 및 구리박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디바이스.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OELD 패널은 유리 패널, 상기 OLED, 유리 패널, 테이프 및 보호 시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표시 디바이스.
KR1020180125509A 2017-10-20 2018-10-19 압전 음향 모듈 및 oled 표시 디바이스 KR201900445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3354 2017-10-20
JP2017203354A JP6884086B2 (ja) 2017-10-20 2017-10-20 圧電音響モジュール及びoled表示デバイ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557A true KR20190044557A (ko) 2019-04-30

Family

ID=6622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509A KR20190044557A (ko) 2017-10-20 2018-10-19 압전 음향 모듈 및 oled 표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84086B2 (ko)
KR (1) KR20190044557A (ko)
CN (1) CN1096989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9135B2 (ja) * 2019-08-29 2023-05-08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振動出力装置
JP7415400B2 (ja) * 2019-09-30 2024-01-17 Tdk株式会社 音響デバイス及びスピー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4327A (ja) * 2002-09-06 2004-04-02 Hosiden Corp 圧電スピーカ用アクチュエータ
JP2004350156A (ja) * 2003-05-23 2004-12-09 Alps Electric Co Ltd 発音機能を有する表示装置
JP4701054B2 (ja) * 2005-09-27 2011-06-15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圧電発音体
JP2008252878A (ja) * 2007-03-05 2008-10-16 Authentic Ltd 電子機器用撓み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
JP2011053582A (ja) * 2009-09-04 2011-03-17 Seiko Epson Corp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2212555A (ja) * 2011-03-31 2012-11-01 Panasonic Corp 発光装置
KR101514358B1 (ko) * 2011-10-03 2015-04-22 쿄세라 코포레이션 압전 진동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
JP6017828B2 (ja) * 2012-05-02 2016-11-0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204384B1 (ko) * 2013-09-16 2021-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247556B2 (ja) * 2014-02-07 2017-12-13 株式会社トーキン 圧電振動ユニットおよび圧電スピーカ
KR102229137B1 (ko) *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205320287U (zh) * 2015-07-17 2016-06-15 闳晖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薄型压电扬声器
KR101877503B1 (ko) * 2015-12-24 2018-07-11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206402446U (zh) * 2017-01-20 2017-08-11 苏州攀特电陶科技股份有限公司 压电式屏幕发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84086B2 (ja) 2021-06-09
CN109698995A (zh) 2019-04-30
CN109698995B (zh) 2021-06-11
JP2019080099A (ja)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2573B (zh) 平板扬声器和显示装置
US11310576B2 (en) Display apparatus
US9743166B2 (en) Device generating sound
US9161134B2 (en) Acoustic generator, acoustic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324786B2 (en) Piezoelectric actuator module
JPWO2011121985A1 (ja) 圧電型音響変換器
US201002468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excitation and/or damping and/or detection or structural oscillations of a plate-shaped device using a piezoelectric strip device
KR20190044557A (ko) 압전 음향 모듈 및 oled 표시 디바이스
US20230217189A1 (en) Sound apparatus
WO2012144571A1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及び、圧電アクチュエータを搭載した電子機器
WO2017029800A1 (ja) 入力装置
KR102358969B1 (ko) 패널 스피커
JP2023007454A (ja) 振動装置とそれを含む装置および運送装置
JP2020141276A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スピーカ装置
JP6884067B2 (ja) 圧電音響モジュール及びoled表示デバイス
CN111405439A (zh) 扬声器
US20190012030A1 (en) Input apparatus and input system
JP7446842B2 (ja) 電子装置
KR20190018251A (ko) 압전 소자, 이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 액츄에이터, 및 이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모듈
KR102634911B1 (ko) 압전 소자, 이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 액츄에이터, 및 이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모듈
KR20210018112A (ko) 압전 스피커
JP2020137064A (ja) スピーカ装置
KR20240107621A (ko) 장치
KR20240079674A (ko) 장치
JP2023108700A (ja) パネルスピ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