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471A - 차량 서브구조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차량 서브구조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471A
KR20190043471A KR1020180122267A KR20180122267A KR20190043471A KR 20190043471 A KR20190043471 A KR 20190043471A KR 1020180122267 A KR1020180122267 A KR 1020180122267A KR 20180122267 A KR20180122267 A KR 20180122267A KR 20190043471 A KR20190043471 A KR 20190043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duct system
headlamp
vehic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244B1 (ko
Inventor
야스민 오스테르탁
에르빈 괴체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4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2Forced cooling
    • F21S45/43Forced cooling us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5/00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78Features relating to cooling
    • F16D65/84Features relating to cooling for disc brakes
    • F16D65/847Features relating to cooling for disc brakes with open cooling system, e.g. cooled by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 공기류를 안내하기 위한, 유입구(13)를 가진 공기덕트 시스템(3)을 구비한 냉각 장치(2)를 포함하는 차량 서브구조(1)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기덕트 시스템(3)에 의해 냉각 공기류가 적어도 하나의 헤드램프 장치(4) 및 적어도 하나의 제동 장치(5)에 공급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이들의 폐열이 상기 냉각 공기류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서브구조 및 자동차{VEHICLE SUBSTRUCTURE AND MOTOR VEHICLE}
본 발명은, 냉각 공기류를 안내하는 기능을 하고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덕트 시스템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장치를 갖는 차량 서브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작동하는 동안에, 통상적으로 특정 부품들의 온도 상승이 나타난다. 이들 부품의 최적 기능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냉각 또는 열 방출이 종종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냉각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급적 설치공간 및 중량에 대한 부담이 적어야 한다. 게다가, 특히 차량의 전력화(electrification)와 관련하여, 냉각이 차량의 전체 에너지 관리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냉각을 위해, 예를 들면 복잡하고 고가이며 파손되기 쉬운 냉각팬과 같은 추가 부품이 종종 설치된다. 설치공간 설계는 대부분 양식적인 변경(stylistic changes)에 의해서만 수정되어야 하거나, 다른 측면에서의 악화가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필요한 부품의 수 또는 이들 부품의 배선에 따라 중량 또는 전체 차량 중량도 의례 증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자동차의 부품들을 냉각하기 위한, 복잡하지 않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냉각은 가능한 적은 설치공간을 요구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양식적 변경 없이 실현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저에너지 냉각이 가능해야 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구성들 및 청구항 15의 자동차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항들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총괄적인 설명 및 실시예들의 설명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서브구조는 특히 승용차용이다. 차량 서브구조는 냉각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덕트 시스템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덕트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공기덕트 시스템을 사용하여 냉각 공기류가 적어도 하나의 헤드램프 장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 장치에 공급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헤드램프 장치 또는 상기 제동 장치의 폐열이 상기 냉각공기 흐름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두드러진 장점 중 하나는, 헤드램프 장치 또는 제동 장치가 상기 공기덕트 시스템에 의해 냉각공기 흐름을 통해 냉각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 결과, 매우 간단하고 경제적인 동시에 아주 효율적인 냉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을 통해, 공간 절약형 냉각 및 총 에너지 관리에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는 냉각이 제공된다. 이는 특히 전기차용 차량 서브구조에서 유리하다.
공기덕트 시스템이 냉각 공기류를 헤드램프 장치로 안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헤드램프 장치에서는 종종 성능 및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고온이 발생한다. 이는 특히 최신의 그리고 그에 따른 고성능 헤드램프 장치에서 유리하다.
제동 장치에 냉각공기 흐름을 공급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동 장치의 수명이 간단하게 에너지 소모 없이 연장될 수 있다. 헤드램프 장치와 제동 장치를 위한 공통 공기덕트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매우 적은 부품 및 매우 적은 설치 공간을 사용하여 상기 장치들의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는 추가 장점이 달성된다.
특히 유입구는 차량 프런트의 영역에 배치된다. 특히, 차량 서브구조는 차량 프런트의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덕트 시스템용 유입구를 포함한다. 유입구는 특히 헤드램프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케이싱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냉각 공기류를 헤드램프 장치와 제동 장치에 공급하기 위하여 특히 공통 공기덕트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입구가 헤드램프 장치의 정면을 기준으로 뒤로 후퇴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유입구는 외부케이싱 부재의 정면을 기준으로 뒤로 후퇴되어 배치된다. 이는 유입구가 식별할 수 없게 또는 직접 들여다볼 수 없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해 준다.
특히, 유입구는 헤드램프 장치의 정면과 외부케이싱 부재의 정면 사이에 연장되는 평면을 기준으로 뒤로 후퇴되어 배치된다. 유입구는 특히 X-축 또는 차량 길이축을 따라 뒤로 후퇴되어 있다.
유입구는 뒤로 후퇴되지 않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유입구는 헤드램프 장치의 정면 또는 외부케이싱 부재의 정면과 동일한 하나의 평면 내에 놓일 수 있다. 유입구가 헤드램프 장치 및/또는 외부케이싱 부재의 전방에 놓일 수도 있다.
헤드램프 장치의 프런트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캔틸레버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부유식 헤드램프의 효과를 가져온다. 예를 들면, 스포티한 경량의 전체 구조가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거나 또는 강조될 수 있다. 캔틸레버식의 프런트 섹션 외부에서는 헤드램프가 특히,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케이싱 부재로 둘러싸인다. 프런트 섹션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투명 커버와, 예컨대 램프 유리 또는 렌즈를 포함한다.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의 구역에서, 헤드램프는 특히 외부케이싱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특히, 외부케이싱 부재는 헤드램프 장치의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에 비해 뒤로 후퇴되어 배치된다. 예를 들면, 외부케이싱 부재는 프런트 섹션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거나, 그리고/또는 부분적으로 각이 지게 형성된다.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은 특히 헤드램프와 마주하는 외부케이싱 부재의 단부를 넘어서 연장된다. 특히, 외부케이싱 부재는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의 영역에서 프런트 섹션의 주 평면 뒤로 연장된다.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은 헤드램프 장치의 하측 및/또는 상측, 및/또는 상측과 하측 사이에 연장되는 헤드램프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캔틸레버식의 프런트 섹션의 일면 배치, 또는 양면 배치, 또는 다면 배치가 가능하다.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은 헤드램프 장치의 둘레를 에워싸며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유입구는 캔틸레버 프런트 섹션을 기준으로 뒤로 후퇴되어 배치된다. 유입구가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유입구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장착과 동시에, 유입구에서의 매우 유리한 헤드 윈드(headwind) 흐름을 제공한다. 특히, 유입구는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의 후방에, 그리고/또는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 내에 배치된다. 유입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유입구는 특히 헤드램프 장치의 위 및/또는 아래 및/또는 좌측 및/또는 우측에 배치된다. 유입구는 헤드램프 장치의 일 측에, 또는 양 측에, 또는 여러 측에, 또는 헤드램프 장치를 에워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입구는 헤드램프 장치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헤드램프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공기덕트 시스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헤드램프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장치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공기덕트 시스템은 하우징 장치에, 그리고/또는 작동 중에 가열된 헤드램프 장치의 또 다른 부품에 열전도 방식으로 연결된다.
공기덕트 시스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휠 하우징 쉘 장치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동 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매우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성을 제공한다. 공기덕트 시스템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동 장치를 따라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기덕트 시스템은 냉각 공기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헤드램프 장치의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 장치로 안내한다. 발광다이오드 장치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파워 일렉트로닉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일렉트로닉스를 포함한다. 헤드 램프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가스 방전 램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 램프 및/또는 또 다른 적합한 조명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헤드램프 부품에서는 작동 중에 매우 높은 온도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공기덕트 시스템이, 헤드램프 장치의 작동 중에 가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부품을 따라 냉각 공기류를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광다이오드 장치를 구비한 헤드램프의 경우, 그리고 특히 예를 들면 매트릭스 빔과 같은 매우 강도 높은 작동 상태들에서는, 제어 장치 및 여타의 전기 부품들에서 높은 온도 부하가 발생한다. 부하는 예를 들면 축열, 대류 및 복사와 관련된다. 이로써 전체 모듈의 성능과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관련하여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공기덕트 시스템은 냉각 공기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헤드램프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챔버로 안내한다. 특히, 헤드램프의 플러싱(flushing)이 제공된다. 그래서, 뿌옇게 되거나 어둡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특히, 공기덕트 시스템은 상기 내부 챔버로 통하는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를 포함한다. 공기덕트 시스템은 상기 내부 챔버로부터 공기를 부분적으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공기덕트 시스템이 제동 장치 및/또는 휠 하우징 쉘 장치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갖는다. 따라서, 냉각 공기는 제동 장치로부터신뢰성 있고 간단한 방식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배출구는 특히 하나 이상의 디스크 브레이크의 영역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디스크의 영역에 배치된다. 공기덕트 시스템은 또한 헤드램프 장치의 영역에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공기덕트 시스템은, 냉각 공기류를 원하는 대로 브레이크 디스크에 안내하기에 적합하며, 그렇게 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공기덕트 시스템은 냉각 공기류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디스크로부터 열을 방출하고, 이를 통해 브레이크 디스크를 냉각하기에 적합하며, 그렇게 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공기덕트 시스템은 목표한 공기공급을 위해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한다. 그럼으로써 제동 장치가 매우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배출구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슬롯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핀(fin)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가이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가 노즐 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기덕트 시스템은 서로 유동 연결된 2개 이상의 채널 요소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공기덕트 시스템은 적어도 두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공기덕트 시스템의 특히 간단하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공기덕트 시스템은 복수의 부품으로 또는 단일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요소는 유입구를 포함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요소는 제동 장치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한다. 제1 채널 요소는 특히 공급 공기 채널로서 형성된다. 제2 채널 요소는 특히 배기공기 채널(배기 덕트)로서 형성된다.
특히, 제1 채널 요소와 제2 채널 요소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분리점이 배치된다. 이 분리점에서 상기 두 채널 요소가 특히 해체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채널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연결 및/또는 래칭(latching) 연결 및/또는 플랜지 연결 및/또는 또 다른 적합한 연결 유형으로 연결된다. 채널 요소가 서로 영구적으로 고정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채널 요소가 그의 둘레에 걸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채널 요소는 절반 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조립된 상태에서는 채널 요소의 개방 영역이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를 위해 채널 요소의 벽의 적어도 일부가 헤드램프 장치 및/또는 휠 하우징 쉘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제1 채널 요소는 바람직하게 헤드램프 장치상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고정된다. 제2 채널 요소는 바람직하게 휠 하우징 쉘 장치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고정된다. 이는 채널 요소들의 콤팩트하고 신뢰성 있는 고정을 제공한다. 제1 채널 요소는 특히 하우징 장치에, 그리고/또는 헤드램프 장치의 헤드램프 리셉터클에 고정된다. 제2 채널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동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채널 요소를 별도의 적절한 지지구조체 및 예를 들어 차체 부재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서는, 제1 채널 요소 및/또는 제2 채널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래칭 연결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매우 신속하고 신뢰성이 높은 설치를 제공한다. 특히, 제1 및 제2 채널 요소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래칭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적절한 조립 연결수단도 가능하다.
제1 및/또는 제2 채널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헤드램프 장치 및/또는 휠 하우징 쉘 장치 및/또는 제동 장치에 통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채널 요소는 부분적으로 헤드램프 장치의 하우징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히, 제2 채널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휠 하우징 쉘 장치에 통합된다.
제1 채널 요소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래칭 연결수단을 통해 헤드램프 장치 및 특히 프런트 헤드램프의 하우징 장치에 래칭되거나 클립 고정된다. 이 경우, 제1 채널 요소는 특히 절반 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헤드램프 장치에 클립 고정된 부분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2 채널 요소는 특히 휠 하우징 쉘 장치에 래칭되거나 클립 고정된다.
출원인은, 적어도 하나의 헤드램프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런트 섹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캔틸레버식으로 형성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 서브구조를 청구할 권리를 갖는다. 이 경우, 흡입구는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에 비해 뒤로 후퇴되어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는 차량 컨셉에 있어서 양식적인 변경 없이 구현될 수 있는, 냉각 공기류를 사용한 냉각을 제공한다. 흡입구는 특히 눈에 잘 띄지 않게 장착된다.
이러한 차량 서브구조는 바람직하게 앞서 기술한 차량 서브구조처럼 개선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특히 승용차이며, 바람직하게는 전기차이다. 이 경우, 자동차는 전술한 것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서브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차는 특히 간단하고 효과적인 냉각을 제공하며, 특히 유리한 에너지 관리를 제공한다.
헤드램프 장치는 특히, 로우 빔 및/또는 하이 빔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헤드램프 또는 프런트 헤드램프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헤드램프로서 형성된다. 또 다른 유형의 헤드램프도 가능하다. 헤드램프 장치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장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램프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 서브구조는 특히 전기차 및/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용으로 제공된다. 상기 차량 서브구조는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승용차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서브구조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외부케이싱 부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휠 하우징 쉘 장치를 포함한다. 외부케이싱 부재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트림 부품을 포함하거나, 그러한 트림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외부케이싱 부재는 또 다른 차체 부재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냉각 공기류는 바람직하게는 수동(passive) 공기류에 의해 제공되며, 특히 헤드 윈드에 의해 제공된다. 특히 냉각 공기류는 작동에 기인한 열의 열방출을 가능케 한다.
공기덕트 시스템은, 특히 프런트 액슬의 차륜용 제동 장치를 냉각시키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리어 액슬의 차륜용 제동 장치를 냉각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공기덕트 시스템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한다. 유입구 및/또는 배출구는 특히 각각의 채널 단부에 배치된다. 공기덕트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또는 복수의 바이패스를 가질 수 있다. 바이패스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유입구 및/또는 추가 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에 명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서브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차량 서브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절개된 부분투명도이다.
도 3은 차량 서브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차량 서브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자동차의 매우 개략적인 도해 및 라인 A-A에 따른 단면도로 나타낸 자동차 서브구조의 세부도이다.
도 6은 차량 서브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전방부의 매우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은 승용차(101)로서 형성된 자동차(100)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서브구조(1)를 보여준다. 승용차(101)는 예를 들면 전기차이거나,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된다.
자동차(100)는 여기서 부분적으로 위로부터 비스듬하게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어서, 차량 프런트(11)의 좌측 영역을 특히 잘 확인할 수 있다.
차량 서브구조는 냉각 공기류로 차량 부품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2)를 포함한다. 이 목적으로, 냉각 장치(2)는 차량 프런트(11)의 구역에 유입구(13)가 배치된 공기덕트 시스템(3)를 갖는다. 공기덕트 시스템(3)의, 유입구(13)에 인접한 부분은 여기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게 차량(100)의 내부에 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케이싱 부재(6)의 뒤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헤드램프 장치(4)의 구역에서 유입구(13)의 세 가지 가능한 배치가 표시되어 있다. 특히, 단 하나의 유입구(13)가 제공되어 있다. 즉, 유입구(13)는 예를 들면 헤드램프 장치(4) 아래 또는 위에, 또는 헤드램프의 측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두 개 또는 세 개 또는 더 많은 유입구(13)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입구(13)의 배치를 위해, 각각의 외부케이싱 부재(6)는 상응하게 리세스가 형성되거나(recessed) 또는 재성형된다.
여기서는 헤드램프 장치(4)가 프런트 헤드램프(64)로서 형성되어 있다.
냉각 장치(2)는, 헤드램프 장치(4)와; 여기서는 보이지 않게 프런트 휠(35) 뒤에 배치된 제동 장치(5);를 냉각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공기덕트 시스템은 냉각 공기류를 헤드램프 장치(4)와 제동 장치(5)로 안내한다. 그래서 이들 요소의 폐열이 냉각 공기류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공기덕트 시스템(3)은 유입구(13)로부터,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프런트 헤드램프(64)의 하우징 장치(34)를 따라 연장된다. 공기덕트 시스템(3)은 프런트 헤드램프(64)의 발광다이오드 장치(44)를 따라서도 연장될 수 있다.
프런트 헤드램프(64)로부터, 공기덕트 시스템(3)이 더 연장되어,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휠 하우징 쉘 장치(7)를 따라 제동 장치(5)의 근처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유입구(13)는 바람직하게, 헤드램프 장치(4)의 정면(14)을 기준으로 그리고 차량 정면(11)의 구역에 배치된 외부케이싱 부재(6)를 기준으로 뒤로 후퇴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는 유입구(13)가 특히 눈에 보이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게 해 준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서브구조(1)의 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차량 서브구조(1)는 실질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여기서 공기덕트 시스템(3)은 서로 유체 연통되는 두 개의 채널 요소(8, 9)를 포함한다. 유입구(13)는 제1 채널 요소(8)에 할당된다. 제1 채널 요소(8)는 여기서 헤드램프 장치(4)의 하우징 장치(34)를 따라 연장된다. 배출구(23)는 제2 채널 요소(9)에 할당된다. 따라서, 제1 채널 요소(8)는 특히 공급공기 덕트를 형성하고, 제2 채널 요소(9)는 특히 배기공기 덕트를 형성한다.
제1 채널 요소(8)는 유입구(13)로부터 휠 하우징 쉘 장치(7)에 배치된 분리점(33)까지 연장된다. 분리점(33)은 제1 채널 요소(8)를 제2 채널 요소(9)에 연결한다. 제2 채널 요소(9)는 분리점(33)으로부터, 제동 장치(5)의 구역에 있는 배출구(23)까지 연장된다.
배출구(23)는 제동 장치(5)의 구역에 위치된다. 제동 장치(5)는 여기서 브레이크 디스크(15) 및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캘리퍼(25)를 포함한다. 공기덕트 시스템(3)은, 냉각 공기류가 목표한 대로 브레이크 디스크(15)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배출구(23)는 여기서 복수의 핀(fin, 43) 또는 슬롯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공기 분배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핀(43)의 흐름 최적화된 배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1 채널 요소 및 제2 채널 요소(8, 9)의 고정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래칭 연결수단(10)에 의해 이루어진다. 래칭 연결수단(10)은 도면에 아주 개략적으로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 요소(8)는 헤드램프 장치(4)에, 그리고 예를 들어 하우징 장치(34) 및/또는 헤드램프 리셉터클에 래칭되거나 클립 고정된다. 제2 채널 요소(9)는 예를 들면 휠 하우징 쉘 장치(7)에 래칭되거나 클립 고정된다.
제1 채널 요소(8)는 여기서 하우징 장치(34) 내에 통합될 수도 있다. 제2 채널 요소(9)도 휠 하우징 쉘 장치(7)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통합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두 채널 요소(8, 9)의 경로를 매우 잘 확인할 수 있다. 분리점(33)이 여기서는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분리점(33)은 또 다른 적절한 위치에도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예에서는, 유입구(13)가 헤드램프 장치(4) 아래에 배치된다. 유입구(13)는 또한 외부케이싱 부재(6)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유입구(13)는, 여기서 디스크(74)에 의해 제공되는 정면(14)에 비해 뒤로 후퇴되어 배치된다. 디스크(74)는 프런트 헤드램프(64)의 정면(14)을 덮으며, 예를 들면 렌즈이다. 또한, 유입구(13)는 외부케이싱 부재(6)의 정면(16)에 비해 뒤로 후퇴되어 배치된다. 이 정면들(14, 16)에 대하여 뒤로 후퇴됨으로써, 유입구(13)의 시각적으로 눈에 띄지 않는 배치가 달성된다.
헤드램프(4)는 여기서 발광다이오드 장치(44)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냉각 기류는 발광다이오드 장치(44)를 냉각하거나 프런트 헤드램프(64)의 내부 챔버(54)를 플러싱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장치(44) 및/또는 내부 챔버(54)를 연결하기 위하여, 공기덕트 시스템(3)은 예를 들면 추가 배출구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헤드램프 장치(4) 아래에 유입구(13)가 배치된 모습을 매우 잘 확인할 수 있다. 유입구(13)는 또한 액상 냉각제용 냉각기(102)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라인 A-A를 따라 절단된 자동차(100)의 단면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여기서, 휠 하우징 쉘 장치(7)의 구역에서의 공기덕트 시스템(3)의 배치를 매우 잘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헤드램프 장치(4)의 프런트 섹션(24)이 캔틸레버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 서브구조(1)를 보여준다. 여기서는 공기덕트 시스템(3)의 유입구(13)가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2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유입구(13)는 헤드램프 장치(4)의 정면(14) 및 외부케이싱 부재(6)의 정면(16)에 대하여 오프셋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헤드램프 장치(4)의 상부면이 추가 외부케이싱 부재(6)에 접해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케이싱 부재(6)의 정면(16)은 헤드램프 장치(4)의 정면(14)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서 연장된다. 여기서는 켄틸레버식 프런트 섹션(24)에서 외부케이싱 부재(6)가 꺾이고, 그럼으로써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24)이 헤드램프 장치(4)와 대면하는 외부케이싱 부재(6)의 단부를 넘어서 돌출한다.
그래서 총체적으로 부유 헤드램프의 효과가 달성된다. 이로 인해 유입구(13)는 특히 눈에 띄지 않는 동시에 유체공학적으로 유리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프런트 헤드램프(64)의 하우징 장치(34)에서 부유램프의 양식적인 특징(stylistic features)에 의해 유입구(13)를 갖는 공기덕트 시스템(3)이 가능하게 되지만, 유입구는 직접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점이 확인되지는 않는다.
공기덕트 시스템(3)은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를 가질 수 있다. 바이패스들은 예를 들면, 헤드램프 장치(4) 또는 제동 장치(5)의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 부품들의 이상적인 흐름 및 열분산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유입구(13)에 직접 놓여 있지 않은 부품들도 냉각된다. 또한, 바이스패들은 헤드램프 장치(4)의 내부 챔버(54)의 플러싱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헤드램프 장치(4) 및 묘듈식 프런트 헤드램프(64)를 위한 현저히 개선된 에너지 관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래칭 연결과 같은 저가의 고정 개념과 결합하여, 하우징 장치(34) 및 휠 하우징 쉘 장치(7)와 같은 기존 부품들의 기능 확장을 가능케 한다. 이로써, 조립시간의 증가 없이도 냉각 장치(2)를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중량 최적화 또는 중량 감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과열이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른 품질 및 내구성의 보장이 달성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브레이크 환기 또는 브레이크 냉각의 현저한 최적화를 제공한다.
1 차량 서브구조
2 냉각 장치
3 공기덕트 시스템
4 헤드램프 장치
5 제동 장치
6 외부케이싱 부재
7 휠 하우징 쉘 장치
8 채널 요소
9 채널 요소
10 래칭 연결수단
11 차량 정면
13 유입구
14 정면
15 브레이크 디스크
16 정면
23 배출구
24 프런트 섹션
25 브레이크 갤리퍼
33 분리점
34 하우징 장치
35 프런트 휠
43 핀
44 발광다이오드 장치
54 내부 챔버
64 프런트 헤드램프
74 디스크
100 자동차
101 승용차
102 냉각기

Claims (15)

  1. 냉각 공기류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13)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덕트 시스템(3)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장치(2)를 포함하는, 특히 승용차(101)의 차량 서브구조(1)에 있어서,
    공기덕트 시스템(3)에 의해 상기 냉각 공기류가 적어도 하나의 헤드램프 장치(4) 및 적어도 하나의 제동 장치(5)에 공급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이들의 폐열이 상기 냉각 공기류에 의해 방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브구조(1).
  2. 제1항에 있어서, 유입구(13)는 헤드램프 장치(4)의 정면(14) 및/또는 외부케이싱 부재(6)의 정면(16)을 기준으로 뒤로 후퇴되어 배치되는, 차량 서브구조(1).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램프 장치(4)의 프런트 섹션(2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캔틸레버식으로 형성되는, 차량 서브구조(1).
  4. 제3항에 있어서, 유입구(13)는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24)을 기준으로 뒤로 후퇴되어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캔틸레버식 프런트 섹션(24)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차량 서브구조(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구(13)는 헤드램프 장치(4)의 위 및/또는 아래 및/또는 좌측 및/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차량 서브구조(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덕트 시스템(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헤드램프 장치(4)의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장치(34)를 따라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휠 하우징 쉘 장치(7)를 따라 연장되는, 차량 서브구조(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덕트 시스템(3)은 상기 냉각 공기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헤드램프 장치(4)의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장치(44)로 안내하는, 차량 서브구조(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덕트 시스템(3)은 상기 냉각 공기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헤드램프 장치(4)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챔버(54)로 안내하는, 차량 서브구조(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덕트 시스템(3)은 제동 장치(5) 및/또는 휠 하우징 쉘 장치(7)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23)를 갖는, 차량 서브구조(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동 장치(5)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디스크(15)를 가지며, 공기덕트 시스템(3)은 상기 냉각 공기류를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15)로 안내하기에 적합하고 그렇게 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서브구조(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덕트 시스템(3)은 서로 유동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채널 요소(8, 9)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채널 요소(8)는 유입구(13)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채널 요소(9)는 제동 장치(5)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23)를 포함하는, 차량 서브구조(1).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채널 요소(8)는 헤드램프 장치(4)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제2 채널 요소(9)는 휠 하우징 쉘 장치(7)에 배치되는, 바람직하게는 고정되는, 차량 서브구조(1).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제1 채널 요소(8) 및/또는 제2 채널 요소(9)가 적어도 하나의 래칭 연결수단(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차량 서브구조(1).
  14. 제1항의 전제부 및/또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서브구조로서, 적어도 하나의 헤드램프 장치(4)의 적어도 하나의 프런트 섹션(24)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캔틸레버식으로 형성되고, 유입구(13)가 상기 캔틸레버식으로 형성된 프런트 섹션(24)을 기준으로 뒤로 후퇴되어 배치되며, 그리고/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캔틸레버식으로 형성된 프런트 섹션(24)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차량 서브구조(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서브구조(1)를 포함하는 자동차(100), 특히 승용차(101).
KR1020180122267A 2017-10-18 2018-10-15 차량 서브구조 및 자동차 KR102162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4227.9A DE102017124227B4 (de) 2017-10-18 2017-10-18 Fahrzeugteilstruktur und Kraftfahrzeug
DE102017124227.9 2017-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471A true KR20190043471A (ko) 2019-04-26
KR102162244B1 KR102162244B1 (ko) 2020-10-06

Family

ID=6591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267A KR102162244B1 (ko) 2017-10-18 2018-10-15 차량 서브구조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2162244B1 (ko)
CN (1) CN109677370B (ko)
DE (1) DE102017124227B4 (ko)
FR (1) FR3072350B1 (ko)
RU (1) RU2706627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8943A1 (de) 2022-11-02 2024-05-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4123A (ja) * 2000-10-17 2002-04-26 Denso Corp 車両用前照灯
JP2007128728A (ja) * 2005-11-02 2007-05-24 Stanley Electric Co Ltd Ledランプ
JP2016531400A (ja) * 2013-08-23 2016-10-06 ツィツァラ リヒトシステム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自動車のヘッドライト、特にレーザーヘッドライト、のための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4300B4 (de) * 1998-03-31 2008-09-25 Bernhard Weber Scheinwerfer oder Leuchte
JP4265560B2 (ja) * 2005-03-31 2009-05-20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DE102008028790A1 (de) * 2008-06-17 2009-12-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ühl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RU2429147C1 (ru) * 2010-02-18 2011-09-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энергет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КГЭУ) Фар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8371732B2 (en) 2010-10-14 2013-02-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ular duct with integrated lighting
JP5990410B2 (ja) * 2012-06-11 2016-09-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移動体用灯具
DE102012109951A1 (de) * 2012-10-18 2014-04-2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alteteil für Karosserieanbauteile im Kraftfahrzeugbereich sowie eine Halteanordnung mit einem derartigen Halteteil
JP2014125013A (ja) * 2012-12-25 2014-07-07 Fuji Heavy Ind Ltd 車両ホイールハウスの整流装置
FR3022878B1 (fr) * 2014-06-27 2018-04-13 Compagnie Plastic Omnium Fac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avec entree d'air centrale et sorties latera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4123A (ja) * 2000-10-17 2002-04-26 Denso Corp 車両用前照灯
JP2007128728A (ja) * 2005-11-02 2007-05-24 Stanley Electric Co Ltd Ledランプ
JP2016531400A (ja) * 2013-08-23 2016-10-06 ツィツァラ リヒトシステム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自動車のヘッドライト、特にレーザーヘッドライト、のための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72350A1 (fr) 2019-04-19
CN109677370A (zh) 2019-04-26
DE102017124227B4 (de) 2019-09-05
RU2706627C1 (ru) 2019-11-19
DE102017124227A1 (de) 2019-04-18
CN109677370B (zh) 2021-11-30
FR3072350B1 (fr) 2022-03-25
KR102162244B1 (ko) 202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9913B2 (ja) ハウジングとヒートシンクとを一体化したヘッドランプ組立体
US7329033B2 (en) Convectively cooled headlamp assembly
US8147109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of vehicle lamp and interposing element thereof
CN101956965B (zh) 具有冷却装置的前照灯
US8317380B2 (en) Heat-dissipating apparatus for vehicle lamp
JP5888077B2 (ja) 車両用のヘッドランプ
JP2008226843A (ja) 熱交換器を備えた外壁を有する、自動車用の照明またはシグナル装置
CN107631277B (zh) 用于车灯组件的一体成形的散热器和灯壳体
CN108116514A (zh) 气流管理盖
US20060272800A1 (en) Radiator fan shroud with flow directing ports
JP2016531400A (ja) 自動車のヘッドライト、特にレーザーヘッドライト、のための冷却装置
JP4915928B2 (ja) 車両用前照灯
US20170222286A1 (en) Motor Vehicle with a Cooled Unit Area Arranged Inside the Motor Vehicle Body
KR20190043471A (ko) 차량 서브구조 및 자동차
CN112930443B (zh) 用于机动车辆的风扇设施
EP2602538B1 (en) Lighting unit mounting for a vehicle
KR101217222B1 (ko) 차량용 헤드램프
US10634308B2 (en)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112339554B (zh) 一种驱动轴系统
JP4455123B2 (ja) 車両用前照灯冷却装置
US10974587B2 (en) Cooling system for vehicles
KR20130028424A (ko) 차량용 캐리어
CN219312505U (zh) 车辆的冷却系统与车辆
JP4825730B2 (ja) 車両用灯火器の冷却装置
JP2017191638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