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068A - 팽이 완구 - Google Patents

팽이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068A
KR20190043068A KR1020180050532A KR20180050532A KR20190043068A KR 20190043068 A KR20190043068 A KR 20190043068A KR 1020180050532 A KR1020180050532 A KR 1020180050532A KR 20180050532 A KR20180050532 A KR 20180050532A KR 20190043068 A KR20190043068 A KR 20190043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ccessory part
top toy
accessory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무라키
다케아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19004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63H1/04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with string or band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6Diabolos or similar thrown and caught spinning tops; Throwing and catching devices therefor
    • A63B67/165Diabolos or similar thrown and caught spinning tops; Throwing and catching devices therefor the diabolo being able to rotate freely in one direction only, e.g. fitted with an over-running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6Spinning-top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6Belt or str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가능한 한 간이한 방법으로 팽이 완구의 회전 특성을 바꿀 수 있어, 다양한 공격의 베리에이션을 갖는 팽이 완구를 제공한다.
회전축(11)이 설치된 축부(10)와, 축부(10)에 설치되고,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속 부품(54, 57)과, 부속 부품(54, 57)을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이한 복수 위치에서 각각 거는 걸림 수단으로서의 오목부(516) 및 볼록부(534)를 구비하고, 오목부(516) 및 볼록부(534)에 의해 부속 부품(54, 57)을 걸리게 함으로써 부속 부품(54, 57)의 설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부속 부품(54, 57)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축부(10)의 접지 상태 또는 축부(10)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팽이 완구{SPINNING TOP TOY}
본 발명은, 팽이 완구에 관한 것이다.
팽이 완구를 사용한 배틀 게임으로서, 팽이 완구를 서로 충돌시켜, 그 충격력에 의해 상대방의 팽이 완구의 회전을 멈추거나, 상대방의 팽이 완구를 튕겨 나가게 하거나, 상대방의 팽이 완구를 분해시키거나 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등 참조).
이러한 팽이 완구는, 몸통체와 축부를 갖고, 축부에 대해 몸통체를 일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축부의 갈고리와 몸통체의 갈고리가 결합된다. 그리고, 자신의 팽이 완구가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 충돌한 경우에, 몸통체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한편, 축부가 회전을 계속함으로써 축부와 몸통체가 타 방향으로 상대 회전됨으로써, 축부의 갈고리와 몸통체의 갈고리의 결합이 해제되고, 축부와 몸통체가 빠져 팽이 완구가 분해된다.
이러한 팽이 완구에서는,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 등에 따라서 팽이 완구의 회전 특성을 바꿀 수 있도록 하여, 배틀 게임을 싫증 나지 않고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고안이 요망된다.
이 점,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부재를 조립하여 팽이 완구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그 조합 방식을 바꿈으로써 팽이 완구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팽이 완구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4938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팽이 완구에서는, 축부의 높이를 바꾸고 싶은 경우에, 나사 등에 의해 조립 고정되어 있는 부품을 매회 일일이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는 작업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작업은 유저에게 있어서 수고를 요하고, 손쉽게 팽이 완구의 개조를 행할 수 없는 동시에, 나사 등의 부품을 없애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가능한 한 간이한 방법으로 팽이 완구의 회전 특성을 바꿀 수 있어, 다양한 공격의 베리에이션을 갖는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수단은,
회전축이 설치된 축부와,
상기 축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속 부품과,
상기 부속 부품을 상기 회전축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이한 복수 위치에서 각각 거는 걸림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수단에 의해 상기 부속 부품을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상기 축부의 접지 상태 또는 상기 축부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은, 상기 축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수단은, 제1 수단 및 제2 수단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은, 상기 회전축이 상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고,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를 하방으로 돌출 가능함과 함께,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선단부를 주위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된 링형부를 갖고,
상기 링형부는, 상기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고 있는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의 상기 선단부의 출몰량을 조정하고, 상기 회전축의 상기 선단부의 출몰 정도에 따라서 접지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수단은, 제1 수단 및 제2 수단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은,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를 하방으로부터 피복하여 새로운 회전축을 구성하는 피복부를 갖고, 상기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상기 축부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수단은, 제1 수단 내지 제4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과 일체로 되어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부속 부품과 함께 조정 부재를 구성하는 보조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축부 또는 상기 조정 부재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오목부와, 상기 축부 또는 상기 조정 부재 중 다른 쪽에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와 끼워 맞춤 가능한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수단은, 제5 수단의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주위 방향을 따라, 상기 축선 방향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의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정 부재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와 선택적으로 끼워 맞춤 가능한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수단은, 제1 수단 내지 제6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은,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 가능한 회전 가능 상태와 상기 축부의 어느 하나의 걸림 수단에 대해 걸린 걸림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속 부품이 상기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수단에 의하면, 회전축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축의 접지 방법이나 팽이 완구의 무게 중심 위치 등을 간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팽이 완구의 회전 특성을 바꿀 수 있으므로, 하나의 팽이 완구에 의해 다양한 베리에이션이 있는 공격, 배틀을 즐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수단에 의하면, 부속 부품은, 축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 종류의 부속 부품을 준비하여, 유저가 원하는 회전 특성을 얻는 데 적합한 부속 부품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부속 부품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팽이 완구의 개조의 베리에이션을 증가시킬 수 있어, 변화가 풍부한 다채로운 공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팽이 완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와의 충돌 등에 의해 부속 부품이 파손되었을 때에는, 부속 부품만을 떼어내고 새것으로 교환하는 것도 가능해, 팽이 완구 본체를 오래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제3 수단에 의하면,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회전축의 선단부의 출몰량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의 적어도 선단부를 주위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된 링형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회전축의 선단부의 출몰 상태에 따라서, 회전축의 선단부만이 접지하는 경우, 회전축의 선단부와 링형부가 모두 접지하는 경우, 링형부만이 접지하는 경우라고 하는 복수의 접지 패턴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접지하는 부분이 바뀜으로써 접지 면적이 변화되기 때문에, 팽이 완구의 움직임을 변화시킬(작동 양태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팽이 완구의 회전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에 대해 다채로운 공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수단에 의하면, 부속 부품이 새로운 회전축을 구성하는 피복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축부의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축부의 높이를 바꿈으로써 팽이 완구의 무게 중심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어,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에 대해 다채로운 공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수단에 의하면,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걸림 수단은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볼록부이며, 부속 부품 또는 부속 부품과 일체로 되어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조 부품과, 축부 중 어느 한쪽에 오목부가 마련되고, 어느 다른 쪽에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와 볼록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간이하게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를 변화시켜 팽이 완구의 회전 특성을 바꿀 수 있어, 누구나 간이하게 베리에이션이 풍부한 배틀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제6 수단에 의하면, 축부에는, 회전축의 주위 방향을 따라, 축선 방향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고, 조정 부재 측에 어느 하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와 선택적으로 끼워 맞춤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정 부재를 회전축의 주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간이하게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누구나 간이하게 베리에이션 풍부한 배틀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제7 수단에 의하면, 부속 부품이 어느 하나의 걸림 수단에 대해 걸린 걸림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팽이 완구를 사용하여 게임을 행하고 있는 중에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가 어긋나거나, 걸림 상태가 해제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팽이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놀이 방식을 설명한 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분해 단면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축부의 축부 상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축부에 있어서의 부속 부품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d)는 (a) 내지 (c)에 도시한 부속 부품에 보조 부품을 조립한 조정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의 (a) 내지 (d)는 도 6의 (d)에 도시한 조정 부재를 단차 형성 부재에 걸리게 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c)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축부에 있어서의 부속 부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d)는 (a) 내지 (c)에 도시한 부속 부품에 보조 부품을 조립한 조정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의 (a) 내지 (d)는 도 8의 (d)에 도시한 조정 부재를 단차 형성 부재에 걸리게 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를 회전 구동시키는 런쳐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팽이 완구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팽이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놀이 방식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축부, 팽이 완구의 몸통체 및 성능 가변 링의 분해 단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하, 좌우 및 전후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는, 이른바 배틀 게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팽이 완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팽이 완구(1)는, 서로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으로 상대방의 팽이 완구(1)를 도 1의 우측과 같이 분해시켜 승리하는 배틀 게임에 사용할 수 있다.
이 팽이 완구(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구조를 구성하고 드라이버가 되는 축부(10)와,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레이어가 되는 성능 가변 링(30) 및 몸통체(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세부 구성》
1. 축부(10)에 대해
도 4의 (a)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부를 상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부를 하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의 (a),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10)는, 하단부에 회전축(11), 상하 방향 중간부에 플랜지(12), 상부에 원통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플랜지(12)와 원통부(13)는 일체로 형성되어 축부 상부를 구성하고, 이 플랜지(12) 및 원통부(13)에는 도시하지 않은 비스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12) 및 원통부(13)에 형성되어 있는 비스 구멍에 비스(10a)(도 4의 (a), 도 4의 (b) 참조)를 삽입함으로써 축부 하부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먼저, 축부 상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플랜지(12) 및 원통부(13)에는, 회전축(11)의 축선(축심)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구멍(14)(도 2 및 도 4의 (a)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13)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돌출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부(15)의 외면은 플랜지(12)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축부 상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13)의 내측에는 원기둥체(16)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원기둥체(16)의 상단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원통부(13)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 원기둥체(16)의 상단부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결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원기둥체(16)의 하단이며 회전축(11)의 축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구멍(16a)(도 4의 (b)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16a)은 후술하는 단차 형성 부재(51)의 원통부(51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축부 상부에 축부 하부가 조립되었을 때에 구멍(16a) 내에 원통부(514)가 삽입된다.
또한, 원기둥체(16)의 하단부이며 플랜지(12) 및 원통부(13)에 형성되어 있는 비스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구멍(16c)이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비스(10a)는, 후술하는 단차 형성 부재(51)의 관통 구멍(513) 및 구멍(16c)을 통해 비스 구멍에 삽입되어, 축부 하부를 축부 상부에 대해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축부(10)는 원통형의 압박 부재(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압박 부재(18)는, 원통부(13)의 내측에 원기둥체(16)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부재(18)의 외주 하단부에는 다리부(18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다리부(18c)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박 부재(18)는 스프링(20)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 압박 부재(18)는, 다리부(18c)가 구멍(14)의 상부 에지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보통 때에는, 압박 부재(18)의 상단부는 원통부(13)의 상단부보다 약간 높은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압박 부재(18)의 천장부의 상면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축부 하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축부 하부는, 회전축(11)(도 4의 (a), 도 4의 (b) 및 도 6의 (d) 참조)과, 단차 형성 부재(51)(도 4의 (a) 및 도 4의 (b) 참조)와, 조정 부재(52)(도 6의 (d)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11)에는, 그 축 중심에 축 본체부(111)가 설치되어 있고, 축 본체부(111)의 하측의 선단부는 축 끝부(112)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 끝부(112)가 뿔형으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예를 들어 도 4의 (b) 등 참조), 축 끝부(11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순한 봉형이나, 선단이 둥그스름하게 형성되어 있는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회전축(11)은, 축 끝부(112)에 가까운 축 본체부(111) 주위에 플랜지부(113)를 구비하고 있다.
축 본체부(111)의 외주에는, 가압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11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13)의 상측의 면에 축 본체부(111)의 축 주위를 따라 홈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110)의 일단부측은 이 홈부(114) 내에 배치되어 있다.
축 본체부(111)의 상부는, 후술하는 보조 부품(53)을 관통하여 단차 형성 부재(51)에 고정되어 있고, 가압 부재인 코일 스프링(110)은, 회전축(11)의 플랜지부(113)와 보조 부품(53)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보조 부품(53)을 단차 형성 부재(51)측으로 가압(압박)하고 있다.
단차 형성 부재(51)는,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부(511)와, 평판부(511)의 외주연을 따라 설치된 외측부(515)를 갖고 있다.
평판부(511)의 대략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517)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517)은, 회전축(11)의 축 본체부(111)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조 부품(53)을 관통한 축 본체부(111)의 상부가 관통 구멍(517)에 압입됨으로써, 회전축(11)이 단차 형성 부재(51)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1)의 축 본체부(111)를 단차 형성 부재(51)에 고정하는 방법은 압입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스나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도 되고, 접착 고정되어도 된다.
평판부(511)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517)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에는, 축부 상부의 돌출부(15)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부(51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12)에는, 축부 상부에 마련된 비스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비스(10a)를 삽입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513)이 형성되어 있다.
단차 형성 부재(51)를 포함하는 축부 하부는, 비스(10a)를 관통 구멍(513)으로부터 플랜지(12) 및 원통부(13)에 형성되어 있는 비스 구멍까지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축부 상부에 고정된다.
평판부(511)의 상면이며 관통 구멍(51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원통부(514)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5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축부 상부에 축부 하부가 조립되었을 때 원기둥체(16)의 구멍(16a) 내부에 끼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단차 형성 부재(51)의 외측부(515)는, 평판부(511)의 상하로 돌출되어 있고, 평판부(511) 중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후술하는 부속 부품(54)을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이한 복수 위치에서 각각 거는 걸림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걸림 수단은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가 상이한 복수의 오목부(516)(도 7에 있어서, 오목부(516a, 516b, 516c))이고, 복수의 오목부(516a, 516b, 516c)는, 회전축(11)의 축 주위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림 수단인 오목부(516)(오목부(516a, 516b, 516c))에는, 부속 부품(54)(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속 부품(54)과 일체로 되어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부속 부품(54)과 함께 조정 부재(52)를 구성하는 보조 부품(53)의 볼록부(534))이 걸리도록 되어 있고, 각 오목부(516)는, 볼록부(534)를 걸기 가능한 폭을 갖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볼록부(534)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2개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516a, 516b, 516c)는, 이 2개의 볼록부(534)에 대응하여,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516)(도 7에 있어서, 오목부(516a, 516b, 516c)) 중 어느 것에 보조 부품(53)의 볼록부(534)를 걸리게 함으로써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시 예에서는, 오목부(516a)가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가 가장 깊고, 오목부(516c)가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가 가장 얕고, 오목부(516b)는 오목부(516a)와 오목부(516c)의 중간적인 깊이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오목부(516)의 형상이나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 형성하는 수나 형성하는 위치 등은 일례이며,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보조 부품(53)의 볼록부(534)가 걸림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의 오목부가 몇 개(몇 단계)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정 부재(52)는, 부속 부품과, 이 부속 부품과 일체로 되어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보조 부품(5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속 부품은, 축부(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속 부품이 착탈 가능한 구성인 경우, 부속 부품은 복수 종류가 교환 가능하게 준비되어, 유저가 자유롭게 선택하여 축부(10)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부속 부품은, 축부(10)로부터 떼어내는 일 없이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축부(10)의 높이 방향의 설치 위치)를 간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축부(10)의 접지 상태나 축부(10)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간이하게 다채로운 개조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부속 부품을 착탈 가능하게 하고, 복수 종류 준비하여 적절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더욱 베리에이션 풍부한 개조를 팽이 완구(1)에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속 부품은, 축부(10)에 대해 착탈 가능하며, 도 6의 (a) 내지 도 6의 (d)에 도시한 부속 부품(54) 및 도 8의 (a) 내지 도 8의 (d)에 도시한 부속 부품(57)의 2종류가 교환 가능하게 준비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속 부품(54)과 부속 부품(57)은, 그 하단부의 구성만이 상이한 것이므로, 도 2, 도 3 및 도 4의 (a), 도 4의 (b)에 있어서는, 축부(10)에 부속 부품(54)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속 부품이 축부(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고, 또한 부속 부품이 착탈 가능한 경우에도, 복수 종류의 부속 부품이 교환 가능하게 준비되어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부속 부품으로서 부속 부품(54, 57) 중 어느 한쪽만이 준비되어 있고, 게임을 반복하는 중에 부속 부품(54, 57)이 파손되거나 한 경우에, 부속 부품(54, 57)을 떼어내고 동일한 종류의 새로운 부속 부품(54, 57)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속 부품(54)은, 회전축(11)이 상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고, 회전축(11)의 선단부인 축 끝부(112)를 하방으로 돌출 가능함과 함께, 회전축(11)의 적어도 축 끝부(112)를 주위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된 링형부(541)를 갖고 있다. 링형부(541)는,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회전축(11)을 둘러싸고 있는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회전축(11)의 축 끝부(112)의 출몰량을 조정하고, 회전축(11)의 축 끝부(112)의 출몰 정도에 따라서 접지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의 (a) 내지 도 6의 (d)를 참조하면서, 부속 부품(54)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의 (a)는 부속 부품을 비스듬히 측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부속 부품을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6의 (c)는 부속 부품을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의 (d)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 도시한 부속 부품에 보조 부품을 조립하여 구성된 조정 부재를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의 (a), 도 4의 (b) 및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속 부품(54)은 전체가 대략 사발 형상 또는 유발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회전축(11)이 상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고, 회전축(11)의 선단부인 축 끝부(112)를 하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속 부품(54)의 하단부에는, 회전축(11)의 적어도 선단부인 축 끝부(112)를 주위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된 링형부(5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링형부(541)의 중심에는 관통 구멍(542)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11)의 축 끝부(112)는, 이 관통 구멍(542)에 대해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11)의 플랜지부(113)의 외경은 관통 구멍(542)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회전축(11)은 플랜지부(113)가 관통 구멍(542)을 통과할 수 없고 링형부(541)의 내측에 걸림으로써, 부속 부품(54)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링형부(541)는,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회전축(11)을 둘러싸고 있는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회전축(11)의 축 끝부(112)의 출몰량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링형부(541)는, 회전축(11)의 축 끝부(112)의 출몰 정도에 따라서 접지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축(11)에 대한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가 올라감에 따라서, 회전축(11)의 축 끝부(112) 중 관통 구멍(542)으로부터의 돌출되는 부분이 많아진다(예를 들어, 도 7의 (a) 및 도 7의 (c) 참조). 반대로, 회전축(11)에 대한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가 내려감에 따라서, 링형부(541)가 회전축(11)을 둘러싸고 있는 위치가 서서히 하측(회전축(11)의 선단측)으로 내려가, 링형부(541)의 하단부가 회전축(11)의 축 끝부(112)와 동일하거나 이것보다 낮은 위치까지 내려가면(예를 들어, 도 7의 (d) 참조), 회전축(11)의 축 끝부(112)와 함께, 또는 회전축(11)의 축 끝부(112) 대신에 링형부(541)가 접지한다.
또한, 도 6의 (a) 등에서는, 링형부(541)가 축부(10)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측면에서 보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링형부(541)의 형상은 도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링형부(541)의 외측 형상을 바꿈으로써, 링형부(541)가 접지한 경우의 팽이 완구(1)의 동작 방식을 바꿀 수 있다.
부속 부품(54)의 저면에는, 링형부(541)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걸림 구멍(543)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구멍(543)은, 축부(10)를 조립하였을 때, 후술하는 보조 부품(53)의 걸림 다리부(533)가 삽입되어 걸리는 부분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부품(53)의 걸림 다리부(533)의 수 및 배치에 맞추어 링형부(541)로부터 대략 등거리의 전후 좌우에 거의 등간격으로 4개의 걸림 구멍(543)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 구멍(543)에는, 단차부(543a)가 형성되어 있어, 보조 부품(53)의 걸림 다리부(533)가 삽입되었을 때, 걸림 다리부(533) 선단에 설치된 갈고리(533a)가 단차부(543a)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보조 부품(53)의 걸림 다리부(533)가 걸림 구멍(543)에 삽입되고, 갈고리(533a)가 단차부(543a)에 걸림으로써, 부속 부품(54)과 보조 부품(53)이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조정 부재(52)를 구성한다.
또한, 걸림 구멍(543)의 형상이나 수, 설치되는 위치 등은, 보조 부품(53)의 걸림 다리부(533)에 대응하는 것이면 되고, 도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부속 부품(54)의 저면이며 걸림 구멍(543)이 마련되어 있는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는, 복수의 걸림 구멍(54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링형부(541)를 사이에 두고,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걸림 구멍(544)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갈고리나 지그 등을 걸림 구멍(544)에 삽입하여 부속 부품(54)을 하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부속 부품(54)과 보조 부품(53)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부속 부품(54)을 축부(10)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림 구멍(544)의 형상이나 수, 형성되는 위치 등은, 도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부속 부품(54)과 보조 부품(53)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여 부속 부품(54)을 떼어내는 방법은 여기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지그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속 부품(54)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보조 부품(53)의 오목부(535)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부(54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돌기부(545)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돌기부(545)의 형상이나 수, 설치되는 위치 등은, 도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8의 (a) 내지 도 8의 (d)를 참조하면서, 부속 부품(57)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8의 (d)에서는, 도 6의 (d)와 달리, 회전축(11)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8의 (a)는 부속 부품을 비스듬히 측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부속 부품을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8의 (c)는 부속 부품을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의 (d)는 도 8의 (a) 내지 도 8의 (c)에 도시한 부속 부품에 보조 부품을 조립하여 구성된 조정 부재를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속 부품(57)은, 부속 부품(54)과 마찬가지로 전체가 대략 사발 형상 또는 유발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회전축(11)이 상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속 부품(57)의 하단부에는, 부속 부품(54)과는 달리, 회전축(11)의 선단부인 축 끝부(112)를 하방으로부터 피복하여 새로운 회전축을 구성하는 피복부(571)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11)의 축 끝부(112)는 피복부(571)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피복부(571)의 내측은, 축 끝부(112)를 수납하는 오목부(572)(도 8의 (b) 참조)로 되어 있다.
부속 부품(57)은, 그 설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축부(10)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축(11)에 대한 부속 부품(57)의 설치 위치가 가장 높은 위치로 된 경우에는, 피복부(571)의 내측면(즉, 오목부(572)의 내면)은 회전축(11)의 축 끝부(112)에 접하거나 이것에 가까운 위치가 되고, 피복부(571)와 축 끝부(112)의 높이 위치는 거의 동일 정도로 되어 있다(예를 들어, 도 9의 (a) 참조). 이에 비해, 회전축(11)에 대한 부속 부품(57)의 설치 위치가 내려감에 따라서, 피복부(571)의 내측면(오목부(572)의 내면)이 회전축(11)의 축 끝부(112)보다 하방으로 이간되어 가서, 축부(10)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의 길이가 길어진다(예를 들어, 도 9의 (d) 참조). 이에 의해, 회전축(11)의 축 끝부(112)가 접지하는 경우보다, 부속 부품(57)의 피복부(571)의 외측면에서 접지하는 경우의 쪽이, 팽이 완구(1) 전체의 높이가 높아져, 팽이 완구(1)의 무게 중심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팽이 완구(1)의 동작 방식을 바꿀 수 있다.
또한, 도 8의 (a) 및 도 8의 (c) 등에서는, 피복부(571)가, 축부(10)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측면에서 보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피복부(571)의 형상은 도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복부(571)의 외측 형상을 바꿈으로써, 피복부(571)가 접지한 경우의 팽이 완구(1)의 동작 방법을 바꿀 수 있다.
또한, 부속 부품(57)의 그 밖의 구성은, 부속 부품(54)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보조 부품(53)은, 대략 원반 형상의 평판부(531)와, 이 평판부(531)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고 회전축(11)을 삽입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532)을 갖고, 회전축(11)의 축 본체부(111)의 상측을 관통 구멍(53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킴과 함께, 회전축(11)의 플랜지부(113)를 부속 부품(54)과의 사이에 끼워넣도록 부속 부품(54)의 상방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부품(53)은, 회전축(11)의 축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110)에 의해, 상방(즉, 축부 상부 및 이것에 고정되어 있는 단차 형성 부재(51))을 향해 가압(압박)되고 있다.
보조 부품(53)의 평판부(531)의 주위면이며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거의 대향하는 위치 2개소에는, 오목부(53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35)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속 부품(54)의 상면에 설치된 돌기부(545)가 오목부(535)에 끼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조 부품(53)과 부속 부품(54)이 회전 방향(회전축의 주위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오목부(535)의 형상이나 수, 형성되는 위치 등은, 부속 부품(54)의 돌기부(545)와 대응하는 것이면 되고, 도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조 부품(53)의 평판부(531)의 하측면에는, 하방을 향해 수직 설치 된 4개의 걸림 다리부(533)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 다리부(533)는, 전술한 부속 부품의 걸림 구멍(543)에 걸리도록 되어 있고, 걸림 구멍(543)에 따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걸림 다리부(533)는, 어느 정도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에는 축선(축심)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갈고리(533a)가 설치되어 있다.
조립 시에는, 걸림 다리부(533)가 부속 부품(54)의 걸림 구멍(543)에 삽입되고, 갈고리(533a)가 부속 부품(54)의 단차부(543a)에 걸림으로써, 걸림 다리부(533)가 4방향으로부터 부속 부품(54)을 감싸 지지한다. 이에 의해 부속 부품(54)과 보조 부품(53)이 결합되고, 일체로 되어 동작 가능해진다.
또한, 걸림 다리부(533)의 형상이나 수, 설치되는 위치 등은, 부속 부품(54)의 걸림 구멍(543)에 대응하는 것이면 되고, 도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조 부품(53)의 평판부(531)의 상측면에는, 축부(10)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 형성 부재(51))에 마련된 오목부(516)(오목부(516a, 516b, 516c))와 끼워 맞춤 가능한 걸림 수단으로서의 볼록부(534)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516)(오목부(516a, 516b, 516c))가,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볼록부(534)는 이 한 쌍의 오목부(516a, 516b, 516c)에 대응하여,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2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534)의 형상, 배치되는 수나 위치 등은, 오목부(516a, 516b, 516c)에 대응하는 것이면 되고, 도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목부(516)(오목부(516a, 516b, 516c))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둔 대향 위치에 한 쌍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오목부(516)(오목부(516a, 516b, 516c))가 단차 형성 부재(51)의 주위 방향의 1개소에만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볼록부(534)도 보조 부품(53)에 있어서의 주위 방향의 어느 1개소에 마련된다.
2. 성능 가변 링(30)에 대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성능 가변 링(30)으로서 플라이휠이 사용되고 있다. 이 성능 가변 링(30)은, 판상을 이루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성능 가변 링(30)의 저면에는 축부(10)의 플랜지(12)가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환상 단차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32)의 하측 부분에는, 축부(10)의 돌출부(15)를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각 돌출부(32)의 똑바로 외측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설편(34)이 형성되어 있다. 설편(34)은 돌출부(32)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성능 가변 링(30)으로서는, 플라이휠 대신에, 혹은 플라이휠과 일체적으로, 외주면에 돌출부가 있어 상대방의 팽이 완구(1)를 공격하기 쉽게 한 것이나, 외주면에 오목부가 있어 상대방의 팽이 완구(1)로부터의 공격을 받기 어려운 것이어도 된다.
3. 몸통체(40)에 대해
몸통체(40)는, 원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몸통체(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400)와, 상면에서 보아 기체(400)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기체(400) 상에 씌워진 투명 커버체(401)를 구비하고 있다.
몸통체(40)의 외주에는 요철(4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400)의 중앙에는 둥근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 커버체(401)는 둥근 구멍(41) 및 후술하는 호 형상 슬릿(46)을 제외한 부분에 씌워져 있다. 또한, 몸통체(40)의 하면에는, 성능 가변 링(30)의 돌출부(32)를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환상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오목부(42)를 구획 형성하는 내주벽(43a)의 내주면 하단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갈고리(결합부)(44)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주벽(43a)의 내주면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47)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주벽(43a)의 하단부면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요철이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돌조(21)에 맞물리는 기복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통체(40)의 환상 오목부(42)를 구획 형성하는 천장벽(43b)에는,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을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호 형상 슬릿(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호 형상 슬릿(46)의 길이는 설편(34)이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4. 식별용 부품(60)에 대해
식별용 부품(60)은 둥근 구멍(41)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식별용 부품(60)은 팽이 완구(1)의 식별이나 플레이어의 식별을 위해 사용된다.
이 식별을 위해,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이 식별용 부품(60)으로서 서로 상이한 모양 및/또는 색을 갖는 것이 준비되고, 그 중에서 플레이어가 선택한 하나의 식별용 부품(60)이 둥근 구멍(41)에 홈(60a) 및 돌기(47)를 이용하여 나사식으로 설치된다.
《조립 방법》
다음으로, 팽이 완구(1)의 조립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축부(10)의 조립은 이미 종료된 것으로 한다. 또한, 식별용 부품(60)의 둥근 구멍(41)에의 설치도 종료된 것으로 한다.
먼저, 축부(10)의 돌출부(15)를 하방으로부터 성능 가변 링(30)의 오목부(33)에 합치시키도록 하여,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을 끼워 맞춤 상태로 조립한다. 다음으로, 이 조립체를 몸통체(40)에 하방으로부터 근접시킨다. 이때, 상기 조립체의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을 몸통체(40)의 호 형상 슬릿(46)의 소정의 단부에 합치시킨다(도 3 참조). 이 상태는, 축부(10)의 갈고리(17)와 몸통체(40)의 갈고리(44)는 상하 방향으로 겹쳐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가 결합 해제 상태이다. 그 후, 상기 조립체의 축부(10)를 몸통체(40)측으로 압박한다. 그러면, 먼저, 성능 가변 링(30)이 몸통체(40)의 하면으로 압박 접촉된다. 또한, 스프링(20)이 수축하여, 축부(10)의 갈고리(17)가 몸통체(40)의 갈고리(44)보다 상방으로 상대적으로 밀어올려진다. 그리고, 축부(10)를 성능 가변 링(30)과 일체적으로 몸통체(40)에 대해 설편(34)이 상기 소정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까지 이동할 때까지 회전시킨다. 이 경우의 회전은, 몸통체(40) 및 성능 가변 링(30)과 축부(10)의 상대적인 회전이다. 그러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10)의 갈고리(17)와 몸통체(40)의 갈고리(44)가 상하로 겹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축부(10)로부터 손을 떼면, 스프링(20)의 가압력에 의해, 축부(10)의 갈고리(17)의 하면과 몸통체(40)의 갈고리(44)의 상면이 맞닿는다.
축부(10)의 갈고리(17)의 하면과 몸통체(40)의 갈고리(44)의 상면이 맞닿은 상태가 결합 상태이다. 이에 의해,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 및 몸통체(40)가 결합되어, 팽이 완구(1)가 조립된다.
《회전 특성의 변경 방법》
다음으로, 도 7의 (a) 내지 도 7의 (d)를 참조하면서, 부속 부품(54)이 축부(1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회전 특성의 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보조 부품(53)의 볼록부(534)가 어느 하나의 오목부(516)(예를 들어, 오목부(516a))에 걸려 있는 경우, 보조 부품(53)이 코일 스프링(11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고 있음으로써, 보통 때에 있어서 오목부(516)에 끼움 삽입된 채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516a)가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가 가장 깊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부품(53)의 볼록부(534)가 오목부(516a)에 걸린 상태에 있어서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가 가장 높아지고, 회전축(11)의 축 끝부(112)가 링형부(541)의 구멍(542)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량이 가장 많아진다.
이 경우, 팽이 완구(1)가 접지면에 대해 수직 또는 이것에 가까운 상태에서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회전축(11)의 축 끝부(112)만이 접지한다. 그리고, 팽이 완구(1)가 접지면에 대해 크게 기운 경우만 축 끝부(112)와 함께, 또는 축 끝부(112) 대신에 링형부(541)가 접지한다.
팽이 완구(1)의 회전 특성을 바꾸고 싶은 경우에는, 유저는,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 조정 부재(52)를 하방(도 7의 (b)에 있어서 백색 바탕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내린다. 그리고, 볼록부(534)가 오목부(516a)를 구성하는 돌출부(518(518a))를 타고 넘는 높이 위치까지 조정 부재(52)를 끌어 내린 상태에서, 조정 부재(52)를 축 주위(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의 (a) 내지 도 7의 (d)에 있어서 우측 방향)로 회전시킨다.
볼록부(534)가 오목부(516a)를 구성하는 돌출부(518(518a))를 타고 넘어, 이것과는 상이한 오목부(516)(예를 들어, 도 7의 (a) 내지 도 7의 (d)에 있어서 오목부(516a)의 우측 이웃에 배치된 오목부(516b))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조정 부재(52)를 회전시켜 유저가 조정 부재(52)로부터 손을 떼면,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부품(53)을 포함하는 조정 부재(52)는 코일 스프링(110)의 가압력(압박력)에 의해 위로 밀어올려져, 볼록부(534)가 오목부(516b)에 끼워진다.
오목부(516b)는, 오목부(516a)보다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가 얕기 때문에,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부품(53)의 볼록부(534)가 오목부(516b)에 걸린 상태에 있어서,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가 오목부(516b)가 얕아진 만큼 조금 내려가, 회전축(11)의 축 끝부(112)가 링형부(541)의 구멍(542)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량이 조금 적어진다.
이 경우, 팽이 완구(1)가 접지면에 대해 수직 또는 이것에 가까운 상태에서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회전축(11)의 축 끝부(112)만이 접지하지만, 팽이 완구(1)가 접지면에 대해 조금이라도 기울면 축 끝부(112)와 함께, 또는 축 끝부(112) 대신에 링형부(541)가 접지한다.
또한, 다시 유저가,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 조정 부재(52)를 하방(도 7의 (b)에 있어서 백색 바탕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내리고, 볼록부(534)가 오목부(516b)를 구성하는 돌출부(518(518b))를 타고 넘어, 이것과는 상이한 오목부(516)(예를 들어, 도 7의 (a) 내지 도 7의 (d)에 있어서 오목부(516b)의 우측 이웃에 배치된 오목부(516c))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조정 부재(52)를 축 주위(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의 (a) 내지 도 7의 (d)에 있어서 우측 방향)로 회전시키고, 유저가 조정 부재(52)로부터 손을 떼면,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부품(53)을 포함하는 조정 부재(52)는 코일 스프링(110)의 가압력(압박력)에 의해 위로 밀어올려져, 볼록부(534)가 오목부(516c)에 끼워진다.
오목부(516c)는, 오목부(516b)보다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가 더욱 얕아, 볼록부(534)가 오목부(516c)에 끼움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가, 오목부(516c)가 얕아진 만큼 조금 내려가, 회전축(11)의 축 끝부(112)가 링형부(541)의 구멍(542)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 팽이 완구(1)의 회전 각도에 관계없이, 링형부(541)만이 접지한다.
또한, 유저가 다시 오목부(516c) 이외의 오목부(516)에 볼록부(534)를 끼움 삽입하고 싶은 경우에는, 볼록부(534)가 오목부(516c)를 구성하는 돌출부(518(518c))를 타고 넘어 오목부(516c)의 우측 이웃에 배치된 오목부(516a)에 끼워지는 위치까지 조정 부재(52)를 회전시켜도 되고, 반대로 조정 부재(52)를 좌측으로 회전시켜, 볼록부(534)가 오목부(516b)를 구성하는 돌출부(518(518b))를 타고 넘어 오목부(516c)의 좌측 이웃에 배치된 오목부(516b)에 끼워지는 위치까지 복귀시켜도 된다.
팽이 완구(1)는, 접지 면적이 작은 축 끝부(112)가 접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안정적으로 회전하지만, 접지 면적이 큰 링형부(541)가 접지하면, 회전 각도가 불규칙하게 변화되거나, 팽이 완구(1)가 크게 이동하는 등, 움직임이 불규칙해져, 예상 밖의 공격 등을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에 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의 (a) 내지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 부재(52)의 볼록부(534)를 걸리게 하는 오목부(516)의 위치(종류)에 따라, 회전축(11)의 축 끝부(112)가 링형부(541)의 구멍(542)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부터 축 끝부(112)가 링형부(541)의 구멍(542)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상태까지의 3단계의 조정을 행할 수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조정 가능한 상태는 여기에 나타낸 3단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의 (d)에 도시한 오목부(516c)보다 더욱 얕은 오목부(516)를 형성하여, 링형부(541)의 하단부의 위치가, 회전축(11)의 축 끝부(112)의 위치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높이까지 부속 부재(54)의 설치 위치를 내릴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축부(10)의 높이를 변경하는(즉, 회전축(11)의 축 끝부(112)가 접지하는 경우보다 축부(10)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9의 (a) 내지 도 9의 (d)를 참조하면서, 부속 부품(57)이 축부(1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회전 특성의 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부속 부품(57)을 축부(10)에 설치한 경우에는,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가 가장 깊은 오목부(516a)에 보조 부품(53)의 볼록부(534)가 걸린 상태에 있어서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부속 부품(57)의 설치 위치가 가장 높아지고,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속 부품(57)의 피복부(571)의 하단부 내측에 회전축(11)의 축 끝부(112)가 맞닿은 상태로 되어, 팽이 완구(1)의 축부(10)의 길이가 가장 짧은 상태가 된다.
팽이 완구(1)의 회전 특성을 바꾸고 싶은 경우에는, 유저는,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 조정 부재(52)를 하방(도 9의 (b)에 있어서 백색 바탕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끌어 내린다. 그리고 볼록부(534)가 오목부(516a)를 구성하는 돌출부(518(518a))를 타고 넘는 높이 위치까지 조정 부재(52)를 끌어 내린 상태에서, 조정 부재(52)를 축 주위(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9의 (a) 내지 도 9의 (d)에 있어서 우측 방향)로 회전시킨다.
볼록부(534)가 오목부(516a)를 구성하는 돌출부(518(518a))를 타고 넘어, 이것과는 상이한 오목부(516)(예를 들어, 도 9의 (a) 내지 도 9의 (d)에 있어서 오목부(516a)의 우측 이웃에 배치된 오목부(516b))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조정 부재(52)를 회전시켜 유저가 조정 부재(52)로부터 손을 떼면,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부품(53)을 포함하는 조정 부재(52)는 코일 스프링(110)의 가압력(압박력)에 의해 위로 밀어올려져, 볼록부(534)가 오목부(516b)에 끼워진다.
오목부(516b)는, 오목부(516a)보다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가 얕기 때문에,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부품(53)의 볼록부(534)가 오목부(516b)에 걸린 상태에 있어서,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가 오목부(516b)가 얕아진 만큼 조금 내려가, 피복부(571)의 하단부의 위치가, 회전축(11)의 축 끝부(112)의 위치보다 조금 낮아진다.
이 경우, 팽이 완구(1)의 축부(10)의 길이가 길어져, 팽이 완구(1)의 회전 특성이 바뀐다.
그리고, 다시 마찬가지의 순서로 볼록부(534)를 오목부(516c)에 끼워 넣으면, 오목부(516c)는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가 가장 얕기 때문에, 도 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부품(53)의 볼록부(534)가 오목부(516c)에 걸린 상태에 있어서,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가, 오목부(516c)가 얕아진 만큼 조금 내려가, 피복부(571)의 하단부의 위치가 회전축(11)의 축 끝부(112)의 위치보다 조금 낮아진다.
이 경우, 팽이 완구(1)의 축부(10)의 길이가 더욱 길어진다.
팽이 완구(1)는, 축부(10)의 길이가 변화되면, 팽이 완구(1)의 무게 중심 위치도 변화되기 때문에, 회전 특성이 바뀌어, 예상 밖의 공격 등을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에 가할 수 있다.
《놀이 방식》
계속해서, 이 팽이 완구(1)를 사용한 놀이 방식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놀이 방식의 일례에서는, 팽이 완구(1)를 회전시켜, 상대방의 팽이 완구(1)와 대전을 행한다.
이 경우, 팽이 완구(1)의 회전력의 차지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런쳐(90)에 의해 행해진다. 이 런쳐(90)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원판을 구비하고, 그 원판을 도시하지 않은 태엽 스프링에 의해 한 회전 방향으로 가압함과 함께, 원판의 주위에 권회시킨 도시하지 않은 끈을 핸들(91)에 의해 당기면, 원판이 회전되어, 팽이 홀더(93)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팽이 홀더(93)의 회전은, 하방으로 돌출 설치된 포크(94)에 의해 팽이 완구(1)에 전달되어, 팽이 완구(1)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포크(94)는 몸통체(90)의 호 형상 슬릿(46)(도 3 참조)에 삽입된다. 그리고, 런쳐(90)의 핸들(91)을 끝까지 당기면, 원판, 나아가 팽이 홀더(93)의 회전이 정지하는 한편, 팽이 완구(1)는 관성력에 의해 더욱더 회전하므로, 포크(94)의 경사면(94a)을 따라 팽이 완구(1)가 팽이 홀더(93)로부터 빠진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부호 92는, 팽이 홀더(93)에 대해 출몰 가능한 로드이다. 이 로드(92)는, 팽이 홀더(93)에 팽이 완구(1)를 장착하였을 때에 팽이 완구(1)의 상면에 눌려 팽이 홀더(93)로 들어간다. 이 로드(92)는, 예를 들어 팽이 완구(1)의 착탈의 검출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사된 팽이 완구(1)는 소정의 필드에서 회전되고, 상대방의 팽이 완구(1)에 충돌하면,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나 마찰 등에 의해, 몸통체(40)에는,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그것에 의해, 몸통체(40)가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의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몸통체(40)의 기복부(45)에 돌조(21)가 맞물린다. 이 경우, 돌조(21)에는 스프링(20)의 가압력이 작용하므로,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 작용할 때마다, 몸통체(40)에 대해 축부(10)가 상대 회전하여 맞물림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걸림 해제 위치에 도달하면, 몸통체(40)의 갈고리(44)가 축부(10)의 갈고리(17)로부터 빠지기 때문에, 스프링(20)의 가압력에 의해 몸통체(40)가 축부(10)로부터 이격한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이 완구(1)는 분해된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팽이 완구(1)가, 축부(10)와, 축부(10)에 설치되고, 축부(10)의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속 부품(54)과, 부속 부품(54)을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이한 복수 위치에서 각각 거는 걸림 수단(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516)와 볼록부(534))을 구비하고 있고, 걸림 수단(오목부(516)와 볼록부(534))에 의해 부속 부품(54)을 걸리게 함으로써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팽이 완구(1)의 접지 부분의 구성을 용이하게 복수 단계에서 전환하여, 팽이 완구(1)의 무게 중심 위치나 회전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어, 하나의 팽이 완구(1)에 의해 다양한 베리에이션이 있는 공격, 배틀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속 부품(54)이 축부(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 종류의 부속 부품(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속 부품(54, 57))을 준비하여, 유저가 원하는 회전 특성을 얻는 데 적합한 부속 부품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이한 작용을 하는 부속 부품(예를 들어, 설치 위치에 따라서 축부(10)의 선단부의 접지 상태를 바꿀 수 있는 부속 부품(54)이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축부(10)의 높이(길이)를 바꿀 수 있는 부속 부품(57))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간이한 방법에 의해 하나의 팽이 완구(1)를 다양한 특색 있는 공격을 행할 수 있는 팽이 완구로 개조하는 것이 가능해, 개조의 베리에이션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에 대해 다채로운 공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팽이 완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부속 부품(54, 57)을 소모 부품으로서 단체로 준비함으로써, 예를 들어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와의 충돌 등에 의해 부속 부품(54, 57)이 파손되었을 때에는, 부속 부품(54, 57)만을 떼어내어 새것으로 교환하는 것도 가능해져, 팽이 완구(1) 본체를 오래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회전축(11)의 축 끝부(112)의 출몰량을 조정하고, 회전축의 선단부의 출몰 상태에 따라서, 회전축(11)의 축 끝부(112)만이 접지하는 경우, 회전축(11)의 축 끝부(112)와 링형부(541)가 모두 접지하는 경우, 링형부(541)만이 접지하는 경우라고 하는 복수의 접지 패턴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접지하는 부분이 바뀜으로써 접지 면적이 변화되기 때문에, 팽이 완구(1)의 회전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어,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에 대해 다채로운 공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속 부품(57)이 새로운 회전축을 구성하는 피복부(571)를 갖고 있으므로, 부속 부품(57)의 설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축부(10)의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축부(10)의 높이를 바꿈으로써 팽이 완구(1)의 무게 중심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어,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에 대해 다채로운 공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팽이 완구(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걸림 수단은 오목부(516)와 이 오목부(516)에 끼워 맞추어지는 볼록부(534)이다.
이에 의해, 오목부(516)와 볼록부(534)가 끼워 맞추어지는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간이하게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를 변화시켜 팽이 완구(1)의 회전 특성을 바꿀 수 있어, 누구나 간이하게 베리에이션 풍부한 배틀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오목부(516)와 볼록부(634)로 맞물려 걸리기 때문에, 팽이 완구(1)가 회전하거나, 상대의 팽이 완구와 격렬하게 서로 부딪치거나 한 경우라도 회전축(11)에 대한 부속 부품(54)의 축선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아, 유저가 게임 개시 전에 설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축부(10)측인 단차 형성 부재(51)에, 회전축(11)의 주위 방향을 따라, 축선 방향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의 오목부(516)가 마련되어 있고, 조정 부재(52)인 보조 부품(53)측에 어느 하나의 오목부(516)와 선택적으로 끼워 맞춤 가능한 볼록부(53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정 부재(52)를 회전축(11)의 주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간이하게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누구나 간이하게 베리에이션 풍부한 배틀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속 부품(54)의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110)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팽이 완구(1)를 사용하여 게임을 행하고 있는 중에 다른 팽이 완구와 격렬하게 서로 부딪치거나 한 경우라도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가 어긋나거나, 걸림 상태가 해제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수단이 단차 형성 부재(51)의 외측부(515)에 형성된 오목부(516)와 이것에 걸리는 보조 부품(53)의 볼록부(534)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걸림 수단은,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부속 부품(54)의 설치 위치를 변경 가능한 것이면 되고, 오목부(516) 및 볼록부(534)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축부(10)의 외주면과 부속 부품(54, 57)(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조정 부재(52))의 내주면에 서로 맞물리는 나선 형상의 나사를 형성하고, 축부(10)에 대해 부속 부품(54, 57)(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조정 부재(52))을 비틀어 넣어 나사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그 나사 장착 정도(즉, 비틀어 넣음량)에 따라 부속 부품(54, 57)을 포함하는 조정 부재(52)를 걸리게 하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걸림 위치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걸림 수단은 오목부가 아니라, 계단 형상으로 설치된 단차부 등, 단순히 부속 부품(54, 57)의 일부를 충돌시킴으로써 걸림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부(10)에 대해 부속 부품(54)을 포함하는 조정 부재(52)를 회전시킴으로써 볼록부(534)를 끼워 맞춤시키는 오목부(516)(걸림 수단)를 바꾸는 예를 나타냈지만, 걸림 수단을 전환하는 방법은 조정 부재(52)를 회전시키는 방법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걸림 수단은 축부(10)측에 형성된 오목부(516)와 부속 부품(54)을 포함하는 조정 부재(52)측에 형성된 볼록부(534)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와는 반대로 축부(10)측에 볼록부를 마련하고, 부속 부품(54)을 포함하는 조정 부재(52)측에 오목부를 마련해도 된다.
또한, 걸림 수단은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구성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오목부 또는 구멍부에 훅과 같은 것을 걺으로써 부속 부품(54, 57)을 포함하는 조정 부재(52)를 축부(10)에 거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축부(10)의 외주의 주위 방향으로 높이 방향의 위치가 상이한 돌기를 계단 형상으로 설치하여, 부속 부품(54, 57)을 포함하는 조정 부재(52)가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속 부품(54, 57) 외에 부속 부품(54, 57)과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보조 부품(53)을 설치하여, 부속 부품(54, 57) 및 보조 부품(53)으로 구성되는 조정 부재(52)를 축부(10)에 대해 걸리게 함으로써,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부속 부품(54, 57)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걸림 수단은, 단차 형성 부재(51)와 보조 부품(53)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보조 부품(53)을 설치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걸림 수단은 축부(10)측과, 회전축(11)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속 부품(54, 57) 등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부속 부품(54, 57)에 볼록부 등의 걸림 수단을 설치하여, 축부(10)의 걸림 수단(예를 들어, 오목부)에 걸리게 해도 된다.
1 : 팽이 완구
10 : 축부
51 : 단차 형성 부재
52 : 조정 부재
53 : 보조 부품
54 : 부속 부품
30 : 성능 가변 링
40 : 몸통체
90 : 런쳐
516 : 오목부(걸림 수단)
534 : 볼록부(걸림 수단)

Claims (7)

  1. 회전축이 설치된 축부와,
    상기 축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속 부품과,
    상기 부속 부품을 상기 회전축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이한 복수 위치에서 각각 거는 걸림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수단에 의해 상기 부속 부품을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상기 축부의 접지 상태 또는 상기 축부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은, 상기 축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은, 상기 회전축이 상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고,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를 하방으로 돌출 가능함과 함께,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선단부를 주위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된 링형부를 갖고,
    상기 링형부는, 상기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고 있는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의 상기 선단부의 출몰량을 조정하고, 상기 회전축의 상기 선단부의 출몰 정도에 따라서 접지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은,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를 하방으로부터 피복하여 새로운 회전축을 구성하는 피복부를 갖고, 상기 부속 부품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상기 축부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과 일체로 되어 상기 회전축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부속 부품과 함께 조정 부재를 구성하는 보조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축부 또는 상기 조정 부재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오목부와, 상기 축부 또는 상기 조정 부재 중 다른 쪽에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와 끼워 맞춤 가능한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주위 방향을 따라, 상기 축선 방향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의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정 부재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와 선택적으로 끼워 맞춤 가능한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은,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 가능한 회전 가능 상태와 상기 축부의 어느 하나의 걸림 수단에 대해 걸린 걸림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속 부품이 상기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KR1020180050532A 2017-10-17 2018-05-02 팽이 완구 KR201900430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1195 2017-10-17
JP2017201195A JP6618970B2 (ja) 2017-10-17 2017-10-17 コマ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068A true KR20190043068A (ko) 2019-04-25

Family

ID=6183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532A KR20190043068A (ko) 2017-10-17 2018-05-02 팽이 완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111352A1 (ko)
EP (1) EP3473314B1 (ko)
JP (1) JP6618970B2 (ko)
KR (1) KR20190043068A (ko)
CN (1) CN20827500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2088B1 (ja) * 2018-10-30 2020-01-1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及びコマ玩具セット
CN110975298B (zh) * 2019-10-14 2021-09-17 余陈昊 减压玩具陀螺
JP6845455B1 (ja) * 2020-07-14 2021-03-1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RU202139U1 (ru) * 2020-11-11 2021-02-03 Владимир Николаевич Ефременко Юла
JP7453950B2 (ja) * 2021-10-22 2024-03-2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及びコマ玩具セッ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384B2 (ja) 1997-05-20 2001-03-26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1256C (de) * 1934-01-18 Albert Friedrich Spielzeugkreisel, insbesondere sogenannter Tellerkreisel
JP3077133U (ja) * 2000-10-19 2001-05-11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
US6959629B2 (en) * 2003-08-15 2005-11-01 Chih-Ching Hsien Hand tool having a retractable handle structure
US20070021029A1 (en) * 2005-06-06 2007-01-25 Erich Weidetz Games with adjustable spinning tops
JP3142474U (ja) * 2008-04-04 2008-06-1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3149384U (ja) 2009-01-09 2009-03-26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US20140274493A1 (en) * 2013-03-15 2014-09-18 Tood A. Heussner Adjustable Moment of Inertia Bat
CN104174168B (zh) * 2014-08-16 2016-09-21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由组装的组合式玩具陀螺
JP6516587B2 (ja) * 2015-06-25 2019-05-2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5959773B1 (ja) * 2016-01-19 2016-08-0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5990354B1 (ja) * 2016-03-23 2016-09-1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111365B1 (ja) * 2016-07-12 2017-04-0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384B2 (ja) 1997-05-20 2001-03-26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72249A (ja) 2019-05-16
JP6618970B2 (ja) 2019-12-11
US20190111352A1 (en) 2019-04-18
EP3473314A1 (en) 2019-04-24
CN208275004U (zh) 2018-12-25
EP3473314B1 (en) 2019-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3068A (ko) 팽이 완구
JP5990354B1 (ja) コマ玩具
JP6431629B1 (ja) コマ玩具
US10695660B2 (en) Toy top
KR101579417B1 (ko) 코마 완구
KR102332707B1 (ko) 팽이 완구
EP3323480B1 (en) Toy top
JP5969151B1 (ja) コマ玩具
US20180311589A1 (en) Toy top
US10449438B2 (en) Toy top
KR20190043067A (ko) 완구의 부품 분리 구조
JP6236177B1 (ja) コマ玩具
JP6232153B1 (ja) コマ玩具
JP6644338B1 (ja) コマ玩具
JP2020137546A (ja) コマ玩具
JP6334757B1 (ja) コマ玩具
JP6346976B1 (ja) コマ玩具
KR20210006828A (ko) 팽이 완구
JP6250203B1 (ja) コマ玩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