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287A - 유아용 패턴 학습 교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패턴 학습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287A
KR20190042287A KR1020170134038A KR20170134038A KR20190042287A KR 20190042287 A KR20190042287 A KR 20190042287A KR 1020170134038 A KR1020170134038 A KR 1020170134038A KR 20170134038 A KR20170134038 A KR 20170134038A KR 20190042287 A KR20190042287 A KR 20190042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le
slider
pattern
exampl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891B1 (ko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프뢰벨하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뢰벨하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뢰벨하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8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의 형상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유아(2 ∼ 5세 정도)들이 놀이를 통해 사물의 반복되는 형태를 숙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하는 유아용 패턴 교습 교구에 관한 것으로, 일정하게 반복되는 패턴이 그려진 여러 장의 예시 카드를 이용하여 패턴을 바꾸어 가면서 1개 또는 2개 정도의 패턴을 가려 유아들이 가려진 패턴을 찾는 놀이를 즐기면서 반복되는 패턴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용공간(11)을 갖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에 수용공간(11)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예시 패턴(41)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창(3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2가지 형상이 서로 통하여진 통공(33)이 창(32)의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 덮개(30)와, 상기 덮개(30)의 배면에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함체(10)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에는 통공(33)을 폐쇄하는 폐쇄부(51) 및 함체(10)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에는 통공(33)을 개방하는 개구부(52)가 형성되며, 일단에는 함체(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54)가 형성된 슬라이더(50)와, 상기 덮개(10)에 고정되어 슬라이더(5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60)와, 상기 슬라이더(50)의 외측으로 위치되게 덮개(30)에 부착되며 창(3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예시 패턴(41) 및 예시 패턴(41)과 동일하게 천공되어 예시 패턴(41)과 동일하게 통공(33)에 놓여진 은물(20a)(20b)은 통과시키고, 불일치하는 은물(20a)(20b)은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배출공(42)이 형성된 예시 카드(40)와, 상기 창(32)을 통해 표출되는 예시 패턴(41)을 가리는 가림부재(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패턴 학습 교구{Infant Pattern Learning Tool}
본 발명은 사물의 형상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유아(2 ∼ 5세 정도)들이 놀이를 통해 사물의 반복되는 형태를 숙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하는 유아용 패턴 교습 교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교육학적으로 조기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취학 전의 유아들에게 한글, 산수 등과 같은 기초적인 학습과목을 교습함에 있어서, 기존의 단순 암기식이나 주입식 교육방식으로 유아들을 교습할 경우에는 유아들은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므로 그 학습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
이에,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그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교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학습 교구는 유아의 놀이 도구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용도에 따라 조립교구, 인형, 음향교구, 게임교구, 수예교구, 모방교구, 동물교구, 운동교구, 학습교구, 과학교구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학습 교구는 대개 5세 이상의 어린이들이 갖고 놀면서 반복되는 학습에 따라 사고발달과 탐구력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인지발달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이해력, 창작성 및 응용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학습 교구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59693호(2014.11.03.등록)(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42783호(2015.08.03.등록)(이하 "선행문헌 2"라 함)가 알려져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59693호(2014.11.03.등록)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42783호(2015.08.03.등록)
그러나 이러한 선행문헌1, 2는 복잡한 블럭과는 달리 아주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원하는 모양대로 쌓는 놀이를 하면서 사고력 발달과 탐구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어느 정도 도움을 주지만, 나이가 어린 2 ∼ 5세 정도의 유아들이 놀이를 하면서 특정 패턴을 습득하는데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일정하게 반복되는 패턴이 그려진 여러 장의 예시 카드를 이용하여 패턴을 바꾸어 가면서 1개 또는 2개 정도의 패턴을 가려 유아들이 가려진 패턴을 찾는 놀이를 즐기면서 반복되는 패턴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에 수용공간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예시 패턴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창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2가지 형상이 서로 통하여진 통공이 창의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의 배면에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함체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에는 통공을 폐쇄하는 폐쇄부 및 함체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에는 통공을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폐쇄부 및 개구부의 상, 하부에 평행하게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함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덮개에 고정되어 슬라이더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으로 위치되게 덮개에 부착되며 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예시 패턴 및 예시 패턴과 동일하게 천공되어 예시 패턴과 동일하게 통공에 놓여진 은물은 통과시키고, 불일치하는 은물은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예시 카드와, 상기 창을 통해 표출되는 예시 패턴을 가리는 가림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패턴 학습 교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창을 통해 예시 패턴이 표출되는 예시 카드를 교체하여 반복되는 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려 이를 맞추는 놀이를 즐기면서 유아들에게 반복되는 패턴을 자연스럽게 습득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놀이를 즐기면서 반복되는 패턴을 맞추면 은물이 통공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떨어지고, 틀리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과정을 체험을 통해 알릴 수 있으므로 패턴의 인지 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함체로부터 덮개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예시 카드의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함체로부터 덮개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함체(10)에 은물(20a)(20b)이 담기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어 있고 함체(10)의 상부에는 함체(10)의 바닥판(12)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용공간(11)을 개폐하는 덮개(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30)에 중첩부(31)를 형성하여 상기 중첩부(31) 및 중첩부(31)가 위치하는 함체(10)에 자석(도시는 생략함)을 내장하면 덮개(30)가 닫힌 상태에서 자석에 의해 덮개(30)가 쉽게 열리지 않게 된다.
상기 덮개(30)의 상부에 후술하는 예시 카드(40)의 예시 패턴(41)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창(3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2가지 형상이 서로 통하여진 통공(33)이 창(32)의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통공(33)을 후술하는 슬라이더(50)의 폐쇄부(51)에 의해 가려지는 부위에만 형성하여도 되지만, 슬라이더(50)가 닫혔을 때 개구부(52)가 위치하는 지점에도 복수 개의 연습 통공(34)을 통공(33)과 나란히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슬라이더(50)의 폐쇄부(51)에 의해 가려진 통공(33)에 예시 패턴(41)과 동일한 형상의 은물(20a)(20b)을 놓기 전에 유아들이 연습 통공(34)을 통해 은물(20a)(20b)을 통과시키면서 예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덮개(30)의 배면에는 손잡이(54)를 갖는 슬라이더(50)가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슬라이더(50)에는 함체(10)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통공(33)을 폐쇄하는 폐쇄부(51)가 형성되어 있고 폐쇄부(51)의 일 측으로는 슬라이더(50)가 함체(10)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통공(33)을 동시에 개방하는 개구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폐쇄부(51) 및 개구부(52)의 상, 하부에는 평행하게 가이드공(5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50)의 가이드공(53)에는 4개의 가이드(60)가 끼워져 슬라이더(5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데, 상기 가이드공(53)의 양단에 가이드(60)가 선택적으로 위치함에 따라 통공(33)이 동시에 닫히거나, 열리게 된다.
상기 가이드(60)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슬라이더(50)의 외측으로는 예시 패턴(41)과 동일하게 배출공(42)이 천공된 예시 카드(40)가 부착되는데, 이러한 예시 카드(40)에는 도 5a 및 도 5b와 같이 각기 다른 다양한 형태의 예시 패턴(41) 및 배출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예시 카드(40)를 덮개(30)의 배면에 부착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덮개(30)의 배면 모서리부분에 대각선방향으로 지지 띠(35)를 고정하여 예시 카드(40)의 모서리를 끼우도록 되어 있으나,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탈, 부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은물(20a)(20b)을 막대 또는 원형으로 적용하였으나, 은물(20a)(20b)의 형상을 원형 대신 삼각, 사각, 다각형 등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창(32)을 통해 표출되는 예시 패턴(41)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가리는 가림부재(70)에 의해 유아들에게 가려진 예시 패턴과 동일한 형태의 은물(20a)(20b)을 통공(33)에 넣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교구를 이용하여 패턴놀이를 하지 전에 특정 예시 패턴(41)이 그려진 예시 카드(40)를 덮개(30)의 배면에 부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5b와 같은 예시 카드(40)를 덮개(30)의 배면 모서리에 고정된 지지 띠(35)에 끼워 부착한 상태에서 덮개(30)를 닫으면 창(32)을 통해 예시 패턴(41)이 표출됨과 동시에 각 배출공(42)이 각각의 통공(33)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덮개(30)의 배면에 예시 카드(40)를 부착하고 덮개(30)를 덮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더(50)가 함체(1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어 통공(33)이 폐쇄부(51)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도자(부모 또는 선생님)가 어느 하나의 예시 패턴(41)을 도 5b와 같이 가림부재(70)로 가리고 유아에게 예시 패턴(41)의 순서대로 은물(20a(20b)을 통공(33)에 넣도록 지시한다.
그러면 유아들은 가려지지 않은 예시 패턴(41)의 하부에 위치하는 통공(33)으로 예시 패턴(41)과 동일한 형상의 은물(20a)(20b)을 찾아 넣은 다음 가림부재(70)에 의해 가려진 예시 패턴과 동일한 형상의 은물을 나머지 예시 패턴의 순서대로 학습하면서 이를 찾아 가려진 예시 패턴(41)의 하부에 위치하는 통공(33)에 넣게 된다.
이와 같이 유아가 통공(33)의 내부에 은물(20a)(20b)을 전부 넣고 나면 유아가 보는 상태에서 슬라이더(50)의 손잡이(54)를 잡고 슬라이더(50)가 함체(10)의 외부로 최대한 인출되도록 잡아당긴다.
상기 슬라이더(50)가 함체(10)의 외부로 최대한 인출되어 은물(20a)(20b)이 넣어진 복수 개의 통공(33)에 슬라이더(50)의 개구부(52)가 위치하면 예시 카드(50)의 예시 패턴(41)과 일치되게 통공(33)에 넣어진 은물(20a)(20b)은 예시 카드(50)의 배출공(42)을 통과하여 함체(10)의 수용공간(11)에 담기지만, 통공(33)에 예시 패턴(41)과 틀리게 넣어진 은물(20a)(20b)은 예시 카드(40)의 배출공(42)을 통과하지 않게 되므로 통공(33)에 그대로 남게 된다.
만약, 가려진 예시 패턴(41)과 다른 은물(20a)(20b)을 통공(33)에 넣어 은물(20a)(20b)이 배출공(42)을 통과하지 않았다면 예시 패턴(41)을 가리고 있던 가림부재(70)를 제거함으로써, 유아에게 예시 패턴(41)과 통공(33)에 넣어진 은물(20a)(20b)의 형태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턴 습득의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예시 카드(40)를 교체하면서 유아가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놀이를 즐기면서 일정 패턴을 습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함체 11 : 수용공간
20a, 20b : 은물 30 : 덮개
32 : 창 33 : 통공
34 : 연습 통공 40 : 예시 카드
41 : 예시 패턴 42 : 배출공
50 : 슬라이더 51 : 폐쇄부
52 : 개구부 53 : 가이드공
54 : 손잡이 60 : 가이드
70 : 가림부재

Claims (2)

  1. 수용공간(11)을 갖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에 수용공간(11)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예시 패턴(41)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창(3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2가지 형상이 서로 통하여진 통공(33)이 창(32)의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 덮개(30)와, 상기 덮개(30)의 배면에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함체(10)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에는 통공(33)을 폐쇄하는 폐쇄부(51) 및 함체(10)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에는 통공(33)을 개방하는 개구부(52)가 형성되며, 일단에는 함체(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54)가 형성된 슬라이더(50)와, 상기 덮개(10)에 고정되어 슬라이더(5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60)와, 상기 슬라이더(50)의 외측으로 위치되게 덮개(30)에 부착되며 창(3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예시 패턴(41) 및 예시 패턴(41)과 동일하게 천공되어 예시 패턴(41)과 동일하게 통공(33)에 놓여진 은물(20a)(20b)은 통과시키고, 불일치하는 은물(20a)(20b)은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배출공(42)이 형성된 예시 카드(40)와, 상기 창(32)을 통해 표출되는 예시 패턴(41)을 가리는 가림부재(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패턴 학습 교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50)가 함체(10) 내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개구부(52)가 위치하는 덮개(30)에 복수 개의 연습 통공(34)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패턴 학습 교구.
KR1020170134038A 2017-10-16 2017-10-16 유아용 패턴 학습 교구 KR102007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038A KR102007891B1 (ko) 2017-10-16 2017-10-16 유아용 패턴 학습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038A KR102007891B1 (ko) 2017-10-16 2017-10-16 유아용 패턴 학습 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287A true KR20190042287A (ko) 2019-04-24
KR102007891B1 KR102007891B1 (ko) 2019-08-06

Family

ID=6628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038A KR102007891B1 (ko) 2017-10-16 2017-10-16 유아용 패턴 학습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8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911B1 (ko) * 1991-03-15 1995-05-15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모양을 분류하는 교육용 장난감
KR200307032Y1 (ko) * 2002-12-18 2003-03-11 주식회사 웅진닷컴 유아용 학습교구
KR20100005645A (ko) * 2008-07-07 2010-01-15 김수옥 언어 재활 교구
KR101361826B1 (ko) * 2012-09-28 2014-02-13 백남헌 구슬 퍼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911B1 (ko) * 1991-03-15 1995-05-15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모양을 분류하는 교육용 장난감
KR200307032Y1 (ko) * 2002-12-18 2003-03-11 주식회사 웅진닷컴 유아용 학습교구
KR20100005645A (ko) * 2008-07-07 2010-01-15 김수옥 언어 재활 교구
KR101361826B1 (ko) * 2012-09-28 2014-02-13 백남헌 구슬 퍼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891B1 (ko)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3357B2 (en) Intelligence toy used with graph cards
US7182342B1 (en) Math board game
US2961779A (en) Educational manipulative device and method of teaching
GB633951A (en) Educational toy and game
KR102019142B1 (ko) 감각 지각 훈련용 암맹 상자
KR20190042287A (ko) 유아용 패턴 학습 교구
US20210001208A1 (en) Method of playing sudoku using a magnetic sudoku board with color-coded magnets to provide visual assistance
JP6647501B1 (ja) 算数教育用器具
AU2019314570A1 (en) A hand implement for improving hand-eye coordination
US10105590B2 (en) Board logic game assembly and method
KR200465045Y1 (ko) 영어 학습 교구
CN205692438U (zh) 用于数字推理和记忆训练的数学教具
CN201955955U (zh) 一种幼儿数学学具
CN209612217U (zh) 一种儿童教育用记忆训练玩具
KR20180000257U (ko) 가르기/모으기 구슬상자를 사용한 덧셈, 뺄셈 교육용 학습교재
KR20130091312A (ko) 산수 교육용 교구
US10546513B1 (en) Arithmetic educational tool
US2871018A (en) Game device
US11250725B1 (en) Arithmetic educational tool
CN202961825U (zh) 中国童棋
KR200485714Y1 (ko)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KR102578158B1 (ko) 다면체 블록을 이용한 인지능력 향상 교구
CN210409476U (zh) 一种记忆棋玩具
WO2021052550A1 (en) A set of interactive educational games and methodology thereof (imo)
KR102610189B1 (ko) 자연 학습 교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