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416A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416A
KR20190041416A KR1020180120283A KR20180120283A KR20190041416A KR 20190041416 A KR20190041416 A KR 20190041416A KR 1020180120283 A KR1020180120283 A KR 1020180120283A KR 20180120283 A KR20180120283 A KR 20180120283A KR 20190041416 A KR20190041416 A KR 20190041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rail
movable
do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호사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9004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y means of a cart or a vehicul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2Fire-dampers with provision for the removal of an obstacle, e.g. rails, conveyors, before closing th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warehouses, storage areas or other installations for storing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6Apparatus for sealing, encapsulating, glassing, decapsulating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removal of lid, do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2Heat or fir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pecial W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물품 반송 설비는, 물품 반송차와, 안내 레일과,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화 도어를 구비하고, 방화 도어는, 벽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구부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개구부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고, 안내 레일은, 방화 도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방화 도어에 지지된 가동 레일부와, 가동 레일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고정 레일부를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가동 레일부의 단부와 고정 레일부의 단부 중 어느 한쪽에 가동 안내부가 설치되고, 가동 안내부는, 방화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가동 레일부와 고정 레일부가 연속되는 안내 위치와, 방화 도어가 회동할 때 방화 도어 및 가동 레일부의 통과를 허용하는 퇴피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지나는 주행 경로(travelling path)를 따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article transport vehicle)와, 상기 물품 반송차를 주행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안내 레일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화 도어(fire door)를 포함하는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물품 반송 설비의 일례로서, 일본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평2―3751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비상 시에 통로를 폐쇄하는 방화 도어와, 물품 반송차의 주행 경로(travelling path)를 구성하는 안내 레일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는, 안내 레일의 일부에 가동(可動) 부분을 설치하고, 비상 시에 상기 가동 부분을 퇴피시키는 것에 의해, 방화 도어와 안내 레일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방화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장치에 더하여, 안내 레일의 가동 부분을 퇴피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물품 반송 설비의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평2―3751호 공보
그래서, 간단한 구조이며 방화 도어와 안내 레일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의 실현이 요구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품 반송 설비의 특징적 구성은,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지나는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와,
상기 물품 반송차를 주행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안내 레일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화 도어를 포함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벽체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안내 레일은, 상기 방화 도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방화 도어에 지지된 가동(可動) 레일부와 상기 벽체와의 위치 관계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주행 경로의 길이 방향인 경로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가동 레일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고정 레일부를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가동 레일부의 단부(端部)와 상기 고정 레일부의 단부 중 어느 한쪽인 대상 레일 단부에, 가동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 안내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동 레일부와 상기 고정 레일부가 연속되는 상태로 되는 안내 위치와, 상기 방화 도어가 회동할 때 상기 방화 도어 및 상기 가동 레일부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태로 되는 퇴피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방화 도어와 가동 레일부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방화 도어의 회동에 따라 가동 레일부도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방화 도어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변위할 때, 방화 도어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 안내 레일의 일부를 퇴피시키는 기구(機構)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며, 방화 도어와 안내 레일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방화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안내 위치에 있는 가동 안내부에 의해, 가동 레일부와 고정 레일부가 연이어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방화 도어가 회동할 때는, 가동 안내부가 퇴피 위치로 변위되므로, 방화 도어 및 가동 레일의 회동이 방해받지 않는다. 따라서, 가동 레일부와 고정 레일부와의 이음매를 물품 반송차가 통과할 때 있어서의 진동이나 충격의 발생을 적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화재 발생시 등에 있어서의 방화 도어의 회동을 적절히 행할 수 있는 구성이 실현된다.
도 1은 물품 반송차의 평면도
도 2는 물품 반송차의 측면도
도 3은 물품 반송차의 정면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주요부 측면도로서, 방화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주요부 측면도로서, 방화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개방 위치에 있는 방화 도어 및 그와 관련된 부분의 정면도
도 7은 개방 위치에 있는 방화 도어 및 그와 관련된 부분의 평면도
도 8은 폐쇄 위치에 있는 방화 도어 및 그와 관련된 부분의 정면도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주요부 측면도로서, 방화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주요부 측면도로서, 방화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제1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주행 경로(L)를 따라 주행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차(1)와, 물품 반송차(1)를 주행 경로(L)를 따라 안내하는 안내 레일(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경로(L)의 길이 방향을 「경로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경로 길이 방향은, 물품 반송차(1)의 전후 방향에 일치한다. 그리고, 물품 반송차(1)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본 상태에서, 물품 반송 설비의 좌우 방향이 정의된다. 또한, 연직(沿直) 방향은, 물품 반송 설비의 상하 방향에 일치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어떤 방향을 따르는」이란, 상기 방향에 평행한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방향에 대하여 약간(예를 들면, 10°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방향이나 치수 등에 관한 용어(「평행」, 「등간격(等間隔)」등)는, 오차(제조 상 또는 설치 상 허용될 수 있는 정도의 오차)에 의한 차이를 구비하는 상태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물품 반송차(1)는, 좌우 한 쌍의 안내 레일(2) 상을 주행하는 주행부(11), 안내 레일(2)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주행부(11)에 현수 지지된(suspended and supported) 차체 본체부(12), 및 주행부(11)와 차체 본체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차체 본체부(12)에는, 반송 대상의 물품을 현수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12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웨이퍼를 수용하는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를 반송 대상의 물품으로 하고 있다.
주행부(11)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방 주행부(11F)와 후방 주행부(11R)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차체 본체부(12)는, 전후 한 쌍의 연결부(13)의 각각에 세로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전방 주행부(11F) 및 후방 주행부(11R)의 각각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13)와 일체로 세로 축심 주위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후 한 쌍의 연결부(13)는, 좌우 한 쌍의 안내 레일(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 주행부(11F)에는, 전동식(電動式)의 구동 모터(14)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좌우 한 쌍의 주행륜(15)이, 좌우 한 쌍의 안내 레일(2)의 각각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주행면을 전동(轉動)하여 주행하는 상태로 장비되어 있다. 또한, 전방 주행부(11F)에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軸心; axis) 주위(상하 축심 주위)에서 자유 회전하는 좌우 한 쌍의 안내륜(guiding wheel)(16)이, 좌우 한 쌍의 안내 레일(2)에서의 내측면에 맞닿는 상태로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안내륜(16)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전방 주행부(11F)에 2조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주행부(11R)에는, 전방 주행부(11F)와 마찬가지로, 1조의 좌우 한 쌍의 주행륜(15)과 2조의 좌우 한 쌍의 안내륜(16)이 장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물품 반송차(1)에는, 좌우 한 쌍의 주행륜(15)이 구비되어 있고, 좌우 한 쌍의 안내 레일(2)의 각각이, 물품 반송차(1)의 주행륜(15)이 전동하는 주행면을 구비하고 있다.
차체 본체부(12)의 상면에는, 좌우 한 쌍의 안내 레일(2)의 각각에 따라 설치된 급전선(17)으로부터 비접촉으로 구동용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부(受電部)(18)가 구비되어 있다. 이 수전부(18)는, 전후 한 쌍의 연결부(1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좌우 한 쌍의 안내 레일(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물품 반송차(1)는, 전방 주행부(11F) 및 후방 주행부(11R)의 안내륜(16)이 좌우 한 쌍의 안내 레일(2)에 의해 안내되는 것에 의해, 좌우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면서, 전방 주행부(11F) 및 후방 주행부(11R)의 주행륜(15)이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안내 레일(2)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안내 레일(2)은, 경로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역 U자형으로 형성된 레일 연결 부재(21)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제1 레일 지지 부재(22)를 통하여 건물의 천정으로부터 현수된 천정 현수식(懸垂式)의 레일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은, 모두 청정실에 설정되어 있다.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과의 경계부에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구획하는 동시에 물품 반송차(1)의 주행 경로(L)에 대응하는 개구부(3a)가 형성된 벽체(3)와, 이 개구부(3a)를 개폐하는 방화 도어(4)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벽체(3)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에서의, 방화 도어(4) 및 그와 관련된 부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 도어(4)는, 벽체(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구부(3a)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개구부(3a)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 도어(4)는, 일정한 두께(폐쇄 위치에서의 경로 길이 방향의 길이)와, 좌우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판면(板面)이 수평면을 따르는 자세로 되는 위치가 개방 위치이며, 상기 판면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되는 위치가 폐쇄 위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 도어(4)는, 도어 회동축(回動軸)(4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어 회동축(4a)은, 경로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고, 또한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회동축(4a)은, 개구부(3a) 내로서 개구부(3a)의 상단부 근방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 도어(4)의 중심(重心)이 도어 회동축(4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고, 방화 도어(4)의 개방 위치에서의 중심의 위치가 방화 도어(4)의 폐쇄 위치에서의 중심의 위치보다 위쪽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방화 도어(4)는, 그 자중(自重)에 의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변위(變位)(회동)한다. 방화 도어(4)는, 평상시에는, 핀, 레버, 또는 래치 등의 가동식(可動式)의 록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개방 위치에 지지되고, 화재 등의 비상 시에는, 상기 록 기구에 의한 방화 도어(4)의 유지가 해제됨으로써, 방화 도어(4)의 자중에 의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 도어(4)는, 도어 회동축(4a)을 통하여, 벽체(3)에 고정된 프레임체(5)에 지지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체(5)는, 개구부(3a)의 외측 에지를 따라 형성되고, 벽체(3)의 개구부(3a) 측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3a)가 경로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체(5)는, 경로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체(5)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부(51)와, 상부 프레임부(52)와, 하부 프레임부(5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안내 레일(2) 등을 도시하지 않고 있고, 도 7 및 도 8도 마찬가지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세로 프레임부(51)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세로 프레임부(51)는, 평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하도록 개구된 각이 진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세로 프레임부(51)는, 서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좌측에 위치하는 세로 프레임부(51)가 좌측을 향하도록 개구된 각이 진 U자형으로 형성되고, 우측에 위치하는 세로 프레임부(51)가 우측을 향하도록 개구된 각이 진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부(51)의 개구는, 벽체(3)에 고정된 판형의 피복 부재(511)에 의해 덮혀져 있다. 세로 프레임부(51)의 바닥면[개구와는 반대측, 즉 방화 도어(4) 측의 면]에는, 도어 회동축(4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 부재(41)가 고정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세로 프레임부(51)의 바닥면에는, 도어 회동축(4a)을 삽통(揷通)하기 위한 관통공이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부(52)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부(51) 간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한 쌍의 세로 프레임부(51)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부(52)는, 측면에서 볼 때, 위쪽을 향하도록 개구된 각이 진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상부 프레임부(52)는, 그 개구가 벽체(3)에 의해 덮히도록, 벽체(3)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부(53)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부(51) 간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한 쌍의 세로 프레임부(51)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부(53)는, 측면에서 볼 때, 아래쪽을 향하도록 개구된 각이 진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하부 프레임부(53)는, 그 개구가 벽체(3)에 의해 덮히도록, 벽체(3)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체(5)에는, 맞닿음 부재(contact member)(6)가 고정되어 있다. 맞닿음 부재(6)는, 개구부(3a)의 외측 에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맞닿음 부재(6)는, 경로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체(5)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맞닿음 부재(6)는, 상측 맞닿음부(contact portion)(61)와, 하측 맞닿음부(62)를 구비하고 있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맞닿음부(61)와 하측 맞닿음부(62)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측 맞닿음부(61)는, 도어 회동축(4a)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 맞닿음부(62)는, 도어 회동축(4a)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 도 5 및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맞닿음부(61)와 하측 맞닿음부(62)는, 경로 길이 방향으로도 서로 이격되어 있다. 즉, 상측 맞닿음부(61) 및 하측 맞닿음부(62)는, 경로 길이 방향에 있어서, 폐쇄 위치에 있는 방화 도어(4)를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5 참조).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맞닿음부(61)는, 한 쌍의 상측 세로 연장부(611)와, 상측 가로 연장부(61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상측 세로 연장부(611)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상측 세로 연장부(611)는, 평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한 쌍의 상측 세로 연장부(611)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부(51)에서의, 상부 프레임부(52)보다 하측, 또한 개방 위치에 있는 방화 도어(4)(도 6 참조)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 가로 연장부(612)는, 한 쌍의 상측 세로 연장부(611) 간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한 쌍의 상측 세로 연장부(611)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측 가로 연장부(612)는, 프레임체(5)의 상부 프레임부(52)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 가로 연장부(612)는, 측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 맞닿음부(62)는, 한 쌍의 하측 세로 연장부(621)와, 하측 가로 연장부(62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하측 세로 연장부(621)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하측 세로 연장부(621)는, 평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한 쌍의 하측 세로 연장부(621)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부(51)에서의, 하부 프레임부(53)보다 상측, 또한 개방 위치에 있는 방화 도어(4)(도 6 참조)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하측 가로 연장부(622)는, 한 쌍의 하측 세로 연장부(621) 간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한 쌍의 하측 세로 연장부(621)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측 가로 연장부(622)는, 프레임체(5)의 하부 프레임부(53)에 고정되어 있다. 하측 가로 연장부(622)는, 측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맞닿음부(61)는, 경로 길이 방향에서 볼 때[지면(紙面)과 직교 방향에서 볼 때], 폐쇄 위치에 있는 방화 도어(4)에서의 도어 회동축(4a)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측 에지부와 중복된다. 그러므로, 상측 맞닿음부(61)는, 방화 도어(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방화 도어(4)의 한쪽의 판면[개방 위치에 있는 방화 도어(4)의 위쪽에 위치하는 판면]에서의 도어 회동축(4a)보다 위쪽의 부분에 맞닿는다. 한편, 하측 맞닿음부(62)는, 경로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폐쇄 위치에 있는 방화 도어(4)에서의 도어 회동축(4a)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측 에지부와 중복된다. 그러므로, 하측 맞닿음부(62)는, 방화 도어(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방화 도어(4)의 다른 쪽의 판면[개방 위치에 있는 방화 도어(4)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판면]에서의 도어 회동축(4a)보다 아래쪽의 부분에 맞닿는다.
여기서, 「중복되는」이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며, 2개의 부재의 배치에 관하여, 시선(視線) 방향에 평행한 가상(假想) 직선을 상기 가상 직선과 직교하는 각각의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에, 상기 가상 직선이 2개의 부재의 양쪽에 교차하는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가리킨다.
맞닿음 부재(6)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방화 도어(4)의 외측 에지부를 따라 상기 방화 도어(4)를 에워싸도록 맞닿음 부재(6)를 배치하고 있음에도 관계없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방화 도어(4)의 자중에 의한 변위(회동)가 맞닿음 부재(6)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맞닿음 부재(6)에는, 실링 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실링 부재(7)는, 폐쇄 위치에 있는 방화 도어(4)와 맞닿음 부재(6)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맞닿음 부재(6)에 장착되어 있다. 실링 부재(7)로서는, 실리콘 등의 내열성이 우수한 탄성체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링 부재(7)는, 상측 실링부(71)와, 하측 실링부(72)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실링부(71)는, 방화 도어(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측 맞닿음부(61)에서의 방화 도어(4)와 맞닿는 면에 장착되어 있다. 하측 실링부(72)는, 방화 도어(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하측 맞닿음부(62)에서의 방화 도어(4)와 맞닿는 면에 장착되어 있다. 실링 부재(7)는, 개구부(3a)의 외측 에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실링부(71)는, 상측 맞닿음부(61)에서의 방화 도어(4)와 맞닿는 면의 전역(全域)에 설치되고, 하측 실링부(72)는, 하측 맞닿음부(62)에서의 방화 도어(4)와 맞닿는 면의 전역에 설치되어 있다. 실링 부재(7)에 의해 개구부(3a)가 적절히 폐쇄되고, 방화 도어(4)에 의한 차연성(遮煙性) 및 차열성(遮熱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레일(2)은, 방화 도어(4)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방화 도어(4)에 지지된 가동 레일부(23)와, 벽체(3)와의 위치 관계가 고정된 상태로, 경로 길이 방향에서의 가동 레일부(23)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고정 레일부(2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각각의 안내 레일(2)은 좌우 대칭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쪽의 안내 레일(2)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다른 쪽의 안내 레일(2)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레일부(23)는, 복수의 제2 레일 지지 부재(231)를 통하여 방화 도어(4)에 지지되어 있다. 즉, 가동 레일부(23)는, 제1 레일 지지 부재(22)를 통하여 천정에 지지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가동 레일부(23)는, 방화 도어(4)의 회동에 따라 방화 도어(4)와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회동한다. 방화 도어(4)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동할 때, 가동 레일부(23)가 개구부(3a)를 통과 가능하도록, 가동 레일부(23)의 사이즈, 및 방화 도어(4)와 가동 레일부(23)와의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방화 도어(4)와 가동 레일부(23)와의 간격은, 제2 레일 지지 부재(231)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레일부(23)는, 방화 도어(4)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 도어(4)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가동 레일부(23)는, 방화 도어(4)로부터 현수(懸垂)되어 경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자세로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 도어(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는, 가동 레일부(23)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자세로 된다.
한 쌍의 고정 레일부(24)는, 서로 경로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이격되고, 서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위치를 맞추어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 레일부(24)끼리의 거리는, 방화 도어(4)가 회동할 때, 한 쌍의 고정 레일부(24)가 방화 도어(4) 및 가동 레일부(23)에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 레일부(24)는, 각각 제1 레일 지지 부재(22)를 통하여 천정에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 레일부(24)는, 방화 도어(4)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가동 레일부(23)와 함께 물품 반송차(1)의 주행 경로(L)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고정 레일부(24)에서의, 방화 도어(4)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가동 레일부(23)와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가동 안내부(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기 제2 실시형태와 같이, 가동 레일부(23)의 단부에 가동 안내부(8)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래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가동 레일부(23)의 단부와 고정 레일부(24)의 단부 중, 가동 안내부(8)가 설치되어 있는 쪽을 「대상 레일 단부」라고 하고, 가동 안내부(8)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쪽을 「비대상 레일 단부」라고 한다.
가동 안내부(8)는, 방화 도어(4)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가동 레일부(23)와 고정 레일부(24)가 연속되는 상태로 되는 「안내 위치」와, 방화 도어(4)가 회동할 때 방화 도어(4) 및 가동 레일부(23)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태로 되는 「퇴피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안내부(8)는, 도어 회동축(4a)에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 회동축(8a)을 중심으로 하여 대상 레일 단부[고정 레일부(24)의 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가동 안내부(8)는, 방화 도어(4)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안내 위치로 된다. 그러므로, 방화 도어(4)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가동 안내부(8)는, 가동 레일부(23) 및 고정 레일부(24)와 연속되고, 물품 반송차(1)가 가동 레일부(23)와 고정 레일부(24)에 걸쳐 주행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가동 안내부(8)는, 방화 도어(4)가 회동할 때는 퇴피 위치로 된다. 그러므로, 방화 도어(4)가 회동할 때는, 가동 안내부(8)가 방화 도어(4) 및 가동 레일부(23)에 간섭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대상 레일 단부인, 가동 레일부(23)의 양 단부에는, 각각 탑재부(9)가 설치되어 있다. 탑재부(9)는, 안내 위치에 있는 가동 안내부(8)의 단부가 탑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탑재부(9)는,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서, 대향하는 가동 안내부(8)에 접근하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동 안내부(8)의 단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르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위치에서는 가동 안내부(8)의 단부가 탑재부(9)에 탑재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방화 도어(4)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가동 안내부(8)는, 탑재부(9)에 의해 안내 위치에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탑재부(9) 및 가동 안내부(8)의 단부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내 위치에 있는 가동 안내부(8)의 단부가 탑재부(9)에 탑재되는 구성이면 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벽체(3)로부터 먼 쪽의 탑재부(9)를 제1 탑재부(91)라고 하고, 벽체(3)에 가까운 쪽의 탑재부(9)를 제2 탑재부(92)라고 한다. 또한, 제1 탑재부(91)에 대향하는 가동 안내부(8)를 제1 가동 안내부(81)라고 하고, 제2 탑재부(92)에 대향하는 가동 안내부(8)를 제2 가동 안내부(82)라고 한다. 또한, 제1 가동 안내부(81)의 안내부 회동축(8a)을 제1 안내부 회동축(81a)이라고 하고, 제2 가동 안내부(82)의 안내부 회동축(8a)을 제2 안내부 회동축(82a)이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 도어(4)가 회동할 때는, 제1 탑재부(91)가 아래쪽으로, 제2 탑재부(92)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가동 레일부(23)가 회동한다. 그에 따라 제1 탑재부(91)에 탑재되어 있었던 제1 가동 안내부(81)가, 그 자중에 의해, 제1 가동 안내부(81)의 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제1 안내부 회동축(81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퇴피 위치로 변위한다. 한편, 제2 탑재부(92)에 탑재되어 있었던 제2 가동 안내부(82)가, 위쪽으로 이동하는 제2 탑재부(92)에 가압되어, 제2 가동 안내부(82)의 단부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제2 안내부 회동축(82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퇴피 위치로 변위한다. 그러므로, 방화 도어(4)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동할 때, 제1 가동 안내부(81) 및 제2 가동 안내부(82)가 방화 도어(4) 및 가동 레일부(23)에 간섭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가동 안내부(82)의 단부가 위쪽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보조하도록, 제2 가동 안내부(82)의 자중보다 약한 가압력으로 제2 가동 안내부(82)의 단부를 위쪽을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 도어(4)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맞닿음 부재(6)를 설치할 수 없는 부분의 간극을 막는 한 쌍의 스페이서(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페이서(10)는, 경로 길이 방향에서의 상측 맞닿음부(61)로부터 하측 맞닿음부(62)까지의 범위와, 상하 방향에서의 상측 맞닿음부(61)로부터 하측 맞닿음부(62)까지의 범위가 중첩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도어 회동축(4a)에 따른 방향에서의 방화 도어(4)의 측면과 개구부(3a)의 내면[여기서는, 프레임체(5)의 내면]과의 간극을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10)는, 방화 도어(4)의 측면과 프레임체(5)의 세로 프레임부(51)와의 사이에 있어서, 도어 회동축(4a)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10)의 경로 길이 방향의 길이는, 경로 길이 방향에서의 상측 맞닿음부(61)와 하측 맞닿음부(62)와의 간격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스페이서(10)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경로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스페이서(10)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측 맞닿음부(61) 및 하측 맞닿음부(62)와 중복되도록, 상하 방향에서의 상측 맞닿음부(61)로부터 하측 맞닿음부(62)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스페이서(10)의 두께(좌우 방향의 길이)는, 방화 도어(4)의 측면과 세로 프레임부(51)의 바닥면[개구와는 반대측, 즉 방화 도어(4) 측의 면]과의 간격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도 7 참조). 그리고, 스페이서(10)는, 적어도, 경로 길이 방향에서의 상측 맞닿음부(61)로부터 하측 맞닿음부(62)까지의 범위와, 상하 방향에서의 상측 맞닿음부(61)로부터 하측 맞닿음부(62)까지의 범위가 중첩되는 부분의 간극을 막을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스페이서(10)가 상부 프레임부(52)로부터 하부 프레임부(53)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2. 제2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상 레일 단부 및 비대상 레일 단부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것과는 상이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레일부(23)의 단부가 대상 레일 단부이며, 고정 레일부(24)의 단부가 비대상 레일 단부이다. 즉, 가동 레일부(23)의 양 단부에 각각 가동 안내부(8)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특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하여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상 레일 단부인, 가동 레일부(23)의 양 단부에는, 각각 가동 안내부(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비대상 레일 단부인, 한 쌍의 고정 레일부(24)의 단부에는, 각각 탑재부(9)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 도어(4)가 회동할 때는, 제1 가동 안내부(81)가 아래쪽에, 제2 가동 안내부(82)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가동 레일부(23)가 회동한다. 이 때, 제1 가동 안내부(81)와 제1 탑재부(91)가 간섭하는 위치 관계에 있지만, 제1 가동 안내부(81)가 제1 탑재부(91)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하므로, 가동 레일부(23)의 회동에 영향은 없다. 제1 가동 안내부(81)가 제1 탑재부(91)에 간섭하는 위치를 지난 후에는, 제1 가동 안내부(81)는, 자중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된다.
한편, 제2 가동 안내부(82)는, 고정 레일부(24)는 간섭하지 않지만, 방화 도어(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천정(C)과 간섭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그러나, 본 구성에서는, 방화 도어(4)가 회동할 때의 관성력에 의해 제2 가동 안내부(82)의 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도 10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안내부 회동축(8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제2 가동 안내부(82)가 퇴피 위치로 변위한다. 이로써, 제2 가동 안내부(82)는, 천정(C)에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가동 안내부(8)의 단부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부 회동축(8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가동 안내부(8)가 퇴피 위치로 변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가동 안내부(8)에, 그 단부를 상시 위쪽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설치하고, 또한 방화 도어(4)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한 위쪽으로의 가압에 저항하도록 가동 안내부(8)를 안내 위치에 유지하고, 방화 도어(4)가 회동할 때는, 상기 유지를 해제하는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가동 안내부(81) 및 제2 가동 안내부(82)가 안내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까지 변위할 때의 이동 궤적이 방화 도어(4)에 간섭하지 않도록, 방화 도어(4)와 가동 레일부(23)와의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3. 그 외의 실시형태
(1)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고정 레일부(24)의 단부에, 각각 가동 안내부(8)가 설치된 구성(제1 실시형태)과, 가동 레일부(23)의 양 단부에, 각각 가동 안내부(8)가 설치된 구성(제2 실시형태)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한쪽의 고정 레일부(24)의 단부에 가동 안내부(8)가 설치되고, 또한 가동 레일부(23)에서의 가동 안내부(8)와 대향하지 않는 쪽의 단부에 가동 안내부(8)가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는, 한 쌍의 고정 레일부(24) 중 한쪽과 가동 레일부(23)와의 사이에만 가동 안내부(8)를 설치하고, 다른 쪽의 고정 레일부(24)와 가동 레일부(23)와의 사이에는 가동 안내부(8)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천정(C)이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 등, 제2 가동 안내부(82)에 상당하는 부분이 다른 부재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제2 가동 안내부(82)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도 9에서의 제2 가동 안내부(82)에 대응하는 부분까지를 일체적인 가동 레일부(2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경로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고, 또한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도어 회동축(4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방화 도어(4)가 설치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방화 도어가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방화 도어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안내부(8)가, 도어 회동축(4a)에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 회동축(8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동 안내부(8)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안내부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4)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비대상 레일 단부에 탑재부(9)가 설치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 안내부(8)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1)가 통과할 때의 하중(荷重; load)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대상 레일 단부에 탑재부(9)가 설치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바람직하다.
(5)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맞닿음부(61)와 하측 맞닿음부(62)를 구비하는 맞닿음 부재(6)가 설치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측 맞닿음부(61)와 하측 맞닿음부(62) 중 어느 한쪽만을 구비하는 맞닿음 부재(6)가 설치된 구성, 또는 맞닿음 부재(6)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6)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레일(2)이, 건물의 천정으로부터 현수된 천정 현수식의 레일인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안내 레일(2)이, 예를 들면, 지면에 설치된 레일로 되어 있어도 된다.
(7) 그리고,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각종 개변(改變; modification)을 행할 수 있다.
4.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반송 설비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 반송 설비는,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지나는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와,
상기 물품 반송차를 주행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안내 레일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화 도어를 포함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벽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안내 레일은, 상기 방화 도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방화 도어에 지지된 가동 레일부와, 상기 벽체와의 위치 관계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주행 경로의 길이 방향인 경로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가동 레일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고정 레일부를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가동 레일부의 단부와 상기 고정 레일부의 단부 중 어느 한쪽인 대상 레일 단부에, 가동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 안내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동 레일부와 상기 고정 레일부가 연속되는 상태로 되는 안내 위치와, 상기 방화 도어가 회동할 때 상기 방화 도어 및 상기 가동 레일부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태로 되는 퇴피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방화 도어와 가동 레일부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방화 도어의 회동에 따라 가동 레일부도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방화 도어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변위할 때, 방화 도어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 안내 레일의 일부를 퇴피시키는 기구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며, 방화 도어와 안내 레일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방화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안내 위치에 있는 가동 안내부에 의해, 가동 레일부와 고정 레일부가 연이어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방화 도어가 회동할 때는, 가동 안내부가 퇴피 위치로 변위되므로, 방화 도어 및 가동 레일의 회동이 방해받지 않는다. 따라서, 가동 레일부와 고정 레일부와의 이음매를 물품 반송차가 통과할 때에 있어서의 진동이나 충격의 발생을 적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화재 발생시 등에 있어서의 방화 도어의 회동을 적절히 행할 수 있는 구성이 실현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 안내부가 상기 안내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까지 변위할 때의 이동 궤적이 상기 방화 도어에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방화 도어와 상기 가동 레일부와의 간격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방화 도어와 가동 레일부와의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가동 안내부의 가동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방화 도어 및 가동 레일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 가동 안내부를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경로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고, 또한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도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방화 도어의 중심이 상기 도어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고, 상기 개방 위치에서의 상기 중심의 위치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의 상기 중심의 위치보다 위쪽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방화 도어의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변위가 상기 방화 도어의 자중에 의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방화 도어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한 구동력원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물품 반송 설비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안내부는, 상기 도어 회동축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대상 레일 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가동 레일부의 단부와 상기 고정 레일부의 단부 중 상기 가동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쪽인 비대상 레일 단부에, 탑재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 안내부의 단부는, 상기 안내 위치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에 탑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동 안내부의 단부가, 안내 위치에 있어서 탑재부에 탑재되어 지지된다. 그러므로, 방화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가동 안내부를 안내 위치에 계속 유지하기 위한 구동력원이나 가동식의 록 기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물품 반송 설비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의 외측 에지를 따라 형성된 맞닿음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맞닿음 부재는, 상기 도어 회동축보다 위쪽에 배치된 상측 맞닿음부와, 상기 도어 회동축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하측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맞닿음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방화 도어의 한쪽 면에 맞닿고, 상기 하측 맞닿음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방화 도어의 다른 쪽 면에 맞닿도록, 상기 경로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를 협지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방화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방화 도어의 한쪽 면에서의 도어 회동축보다 위쪽의 부분이 상측 맞닿음부와 맞닿고, 방화 도어의 다른 쪽 면에서의 도어 회동축보다 아래쪽의 부분이 하측 맞닿음부와 맞닿는 것으로 된다. 그러므로, 방화 도어가 양호한 정밀도로 폐쇄 위치에서 정지하고, 또한 방화 도어에 의해 개구부를 적절히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이 맞닿음 부재에 의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방화 도어의 자중에 의한 변위(회동)가 방해받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경로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상측 맞닿음부로부터 상기 하측 맞닿음부까지의 범위와,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상측 맞닿음부로부터 상기 하측 맞닿음부까지의 범위가 중첩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회동축을 따른 방향에서의 상기 방화 도어의 측면과 상기 개구부의 내면과의 간극을 막는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방화 도어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맞닿음 부재를 설치할 수 없는 부분의 간극이, 스페이서에 의해 막혀져 있다. 따라서, 방화 도어의 차연성 및 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레일은, 건물의 천정으로부터 현수된 천정 현수식의 레일이며,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천정을 따르는 자세로 되고,
상기 가동 레일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방화 도어로부터 현수된 상태로 되도록 상기 방화 도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안내 레일이 천정 현수식인 경우에 있어서,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의 방화 도어가 물품 반송차의 주행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방화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가동 레일을 적절한 위치에 현수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물품 반송 설비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지나는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와, 상기 물품 반송차를 주행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안내 레일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화 도어를 구비한 물품 반송 설비에 이용할 수 있다.
1: 물품 반송차
2: 안내 레일
23: 가동 레일부
24: 고정 레일부
3: 벽체
3a: 개구부
4: 방화 도어
4a: 도어 회동축
6: 맞닿음 부재
61: 상측 맞닿음부
62: 하측 맞닿음부
8: 가동 안내부
8a: 안내부 회동축
9: 탑재부
10: 스페이서

Claims (7)

  1.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지나는 주행 경로(travelling path)를 따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article transport vehicle);
    상기 물품 반송차를 주행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안내 레일;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화 도어(fire door);
    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벽체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안내 레일은, 상기 방화 도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방화 도어에 지지된 가동(可動) 레일부와, 상기 벽체와의 위치 관계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주행 경로의 길이 방향인 경로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가동 레일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고정 레일부를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가동 레일부의 단부(端部)와 상기 고정 레일부의 단부 중 어느 한쪽인 대상 레일 단부에, 가동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 안내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동 레일부와 상기 고정 레일부가 연속되는 상태로 되는 안내 위치와, 상기 방화 도어가 회동할 때 상기 방화 도어 및 상기 가동 레일부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태로 되는 퇴피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안내부가 상기 안내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까지 변위할 때의 이동 궤적이 상기 방화 도어에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방화 도어와 상기 가동 레일부와의 간격이 설정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경로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고, 또한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도어 회동축(回動軸)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방화 도어의 중심(重心)이 상기 도어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고, 상기 개방 위치에서의 상기 중심의 위치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의 상기 중심의 위치보다 위쪽으로 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안내부는, 상기 도어 회동축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대상 레일 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가동 레일부의 단부와 상기 고정 레일부의 단부 중 상기 가동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쪽인 비대상 레일 단부에 탑재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 안내부의 단부는, 상기 안내 위치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에 탑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외측 에지를 따라 형성된 맞닿음 부재(contact memb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맞닿음 부재는, 상기 도어 회동축보다 위쪽에 배치된 상측 맞닿음부(contact portion)와, 상기 도어 회동축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하측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맞닿음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방화 도어의 한쪽 면에 맞닿고, 상기 하측 맞닿음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방화 도어의 다른 쪽 면에 맞닿도록, 상기 경로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를 협지하여 배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경로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상측 맞닿음부로부터 상기 하측 맞닿음부까지의 범위와,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상측 맞닿음부로부터 상기 하측 맞닿음부까지의 범위가 중첩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회동축을 따른 방향에서의 상기 방화 도어의 측면과 상기 개구부의 내면과의 간극을 막는, 물품 반송 설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은, 건물의 천정으로부터 현수된(suspended) 천정 현수식의 레일이며,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천정을 따르는 자세로 되고,
    상기 가동 레일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방화 도어로부터 현수된 상태로 되도록 상기 방화 도어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KR1020180120283A 2017-10-12 2018-10-10 물품 반송 설비 KR201900414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8771A JP2019073350A (ja) 2017-10-12 2017-10-12 物品搬送設備
JPJP-P-2017-198771 2017-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416A true KR20190041416A (ko) 2019-04-22

Family

ID=6609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283A KR20190041416A (ko) 2017-10-12 2018-10-10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112131A1 (ko)
JP (1) JP2019073350A (ko)
KR (1) KR20190041416A (ko)
CN (1) CN109649975A (ko)
TW (1) TW2019223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6950A (ja) * 2017-04-11 2018-11-15 村田機械株式会社 走行車システム
JP6870542B2 (ja) * 2017-08-31 2021-05-12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CN111996846B (zh) * 2020-07-10 2022-03-01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快拆装装置、轨道及包括该轨道的系统
CN113616957A (zh) * 2021-08-10 2021-11-09 广东三水合肥工业大学研究院 一种用于地下顶管隧道的火情控制系统及方法
CN115477096B (zh) * 2022-09-26 2023-08-18 江西金辰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防火功能的智能镀锌板存放架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평2-3751호 공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73350A (ja) 2019-05-16
TW201922318A (zh) 2019-06-16
CN109649975A (zh) 2019-04-19
US20190112131A1 (en)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1416A (ko) 물품 반송 설비
US9045147B2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TWI674999B (zh) 物品搬送設備
CN111591695B (zh) 吊顶输送车
KR20190036489A (ko) 물품 반송 설비
US20210162843A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Opposite Sliding Doors from Swaying
RU2668781C1 (ru) Конструкция сдвижной двери
KR20140141827A (ko) 반송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반송시스템
WO2018088012A1 (ja) 物品搬送設備
KR20180131443A (ko) 슬라이딩식 방화 도어
TW201838897A (zh) 移行車系統
TW201838849A (zh) 物品搬送設備
JP2024040507A (ja) 連結機構を備えた搬送装置
JP2984359B2 (ja) 磁気浮上搬送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用搬送車
KR20170006347A (ko) 2축 휠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레일유도방식 운반차
TW202214468A (zh) 搬運台車以及搬運台車系統
KR101831172B1 (ko) 반송 시스템
JP3766546B2 (ja) 吊懸式間仕切装置
KR102233475B1 (ko) 슬라이드 처짐 방지용 지그를 구비한 oht
JP7371304B2 (ja) 扉開閉装置
JP7115234B2 (ja) 防火扉
JP7114692B2 (ja) 作業システム及び作業方法
JP6683140B2 (ja) 搬送設備
JPH1160150A (ja) 連結装置
JP2549156B2 (ja) 磁気浮上搬送装置における台車逸脱防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