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184A -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184A
KR20190041184A KR1020170132353A KR20170132353A KR20190041184A KR 20190041184 A KR20190041184 A KR 20190041184A KR 1020170132353 A KR1020170132353 A KR 1020170132353A KR 20170132353 A KR20170132353 A KR 20170132353A KR 20190041184 A KR20190041184 A KR 20190041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ain body
tray
packing guide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옥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2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1184A/ko
Publication of KR20190041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184A/ko
Priority to KR1020230059082A priority patent/KR102614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delicate optical, measuring, calculating or control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H01M2/10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킹 가이드를 비접착식으로 메인 바디에 고정하여, 재활용이 용이한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전자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제 1,2 수납부와, 상기 제 1,2 수납부를 분리하는 격벽을 갖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제 1,2 수납부에 위치한 패킹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제1격벽, 제2격벽 및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2 수납부를 연결하는 분리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격벽 또는 제2격벽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패킹 가이드를 상기 제 1,2 수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Tray for accommodating electronics}
본 발명은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포장 방법은 플라스틱의 트레이에 패킹 가이드를 깔고 상기 패킹 가이드 위에 이차 전지를 삽입한 후, 상기 트레이를 다단 적재하여 박스로 포장한다. 여기서, 패킹 가이드는 트레이의 진동에 의한 이차 전지의 외관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패킹 가이드는 트레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 부재를 통해서 트레이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 부재에 의해 부품 단가 상승 및 패키징 공정이 늘어나고, 트레이와 패킹 가이드의 분리가 어려우므로 트레이의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패킹 가이드를 비접착식으로 트레이의 메인 바디에 고정하여, 패키징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트레이의 재활용이 용이한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는 전자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제 1,2 수납부와, 상기 제 1,2 수납부를 분리하는 격벽을 갖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제 1,2 수납부에 위치한 패킹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제1격벽, 제2격벽 및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2 수납부를 연결하는 분리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격벽 또는 제2격벽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패킹 가이드를 상기 제 1,2 수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격벽에서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에 번갈아가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1행에 위치한 제 1 수납부와 2행에 위치한 제 2 수납부를 구분하는 격벽에서는 제1격벽에 형성되고, 2행에 위치한 제 2 수납부와 3행에 위치한 제 3 수납부를 구분하는 격벽에서는 제2격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격벽 또는 제2격벽의 내측으로 들어간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분리홈과 연결되어, 상기 분리홈의 하부 너비를 넓혀줄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적층되는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를 지지하는 홈 형태의 지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 가이드는 상기 분리홈을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수납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는 복수의 수납부를 분리하는 격벽에 격벽의 너비를 줄이는 형태의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 패킹 가이드를 메인 바디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패키징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메인 바디를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에 이차 전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이차 전지의 다양한 제조 공정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이차 전지가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는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에 이차 전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100)는 전자제품이 수납되는 메인 바디(110)와, 상기 메인 바디(110)에 안착되며 메인 바디(110)와 전자제품 사이에 위치하는 패킹 가이드(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제품은 이차 전지, 디스플레이 패널, 휴대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제품은 제조가 완료된 후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100)에 복수개가 수납되고, 상기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100)를 적층하여 박스에 패키징한 후 출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100)에 이차 전지(10)가 수납된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 바디(110)는 대략 사각형태의 플라스틱 기판으로,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테두리부(120)와 상기 테두리부(120)의 내측에 위치하며 복수의 전자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수납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바디(110)는 예를 들면, P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납부(130)는 전자제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테두리부(120)의 상면으로부터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130)의 형태는 수납하는 전자제품의 형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의 형태가 사각형이면 이를 수납하는 수납부(130)도 사각형의 홈으로 형성되고, 전자제품의 형태가 원형이면 이를 수납하는 수납부(130)도 원형의 홈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납부(130)는 수납하는 전자제품의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1에서 수납부(130)는 2열 3행으로 총6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수납부(13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보다 많거나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100)는 이웃하는 수납부(130)를 서로 격리시키기 위한 복수의 격벽(140, 150)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140, 150)은 상기 수납부(130)가 배열된 열을 구분하기 위한 중심 격벽(140)과, 수납부(130)가 배열된 행을 구분하기 위한 보조 격벽(150)을 포함한다. 상기 중심 격벽(140)은 상기 테두리부(120)의 일단에서 타단을 연결하며, 1열에 위치한 수납부(130)와 2열에 위치한 수납부(130)를 서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1열에 위치한 수납부를 제 1 수납부로, 2열에 위치한 수납부를 제 2 수납부로, 3열에 위치한 수납부를 제 3 수납부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격벽(150)은 복수개가 상기 중심 격벽(14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각 행에 위치한 수납부(130)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보조 격벽(150)은 상기 중심 격벽(14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지 형태이다. 또한, 상기 보조 격벽(150)의 두께는 상기 중심 격벽(1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상기 보조 격벽(150)의 수는 상기 수납부(130)의 행의 수보다 하나 적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30)가 3행으로 형성되면, 이를 분리하는 보조 격벽(150)은 2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격벽(150)은 일측에 위치한 제1격벽(151), 타측에 위치한 제2격벽(152) 및 상기 제1격벽(151)과 제2격벽(152) 사이에 위치한 분리홈(153)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보조 격벽(150)은 분리홈(153)에 의해 제1격벽(151)과 제2격벽(152)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홈(153)은 상기 보조 격벽(150)의 대략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130)에 수납된 전자제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기 테두리부(120)에도 상기 분리홈(153)의 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홈(121)이 형성되어, 각 열에서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자제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보조 격벽(150)에는 패킹 가이드(16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154)가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54)는 상기 메인 바디(110)에 안착되는 패킹 가이드(16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54)는 제1격벽(151) 또는 제2격벽(15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154)는 제1격벽(151)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54)는 제1격벽(151)에서 제2격벽(152)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며, 분리홈(153)과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154)는 제1격벽(151)에서 하부로 갈수록 제1격벽(151)의 너비가 줄어드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격벽(151)의 하부를 깍는 것을 언더컷(undercut)이라고 한다. 또한, 분리홈(153)에서 제1격벽(151)과 연결된 부분은 상기 고정부(154)에 의해 하부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패킹 가이드(160)는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부(154)에 의해 메인 바디(110)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바디(1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100)는 보조 격벽(150)에 언더컷 형태의 고정부(154)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 패킹 가이드(160)를 메인 바디(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패키징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메인 바디(110)의 재활용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154)는 이웃하는 보조 격벽(150)과 위치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행에 위치한 수납부(130)와 2행에 위치한 수납부(130)를 구분하는 보조 격벽(150)에서 제1격벽(151)에 고정부(154)가 형성되면, 2행에 위치한 수납부(130)와 3행에 위치한 수납부(130)를 구분하는 보조 격벽(150)에는 제2격벽(152)에 고정부(154)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154)는 복수의 보조 격벽(150)에서 제1격벽(151), 제2격벽(152), 제1격벽(151), 제2격벽(152)에 번갈아가며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부(154)는 복수의 보조 격벽(150)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한다. 이와 같이, 보조 격벽(150)에서 고정부(154)를 일측에만 형성하는 것은 메인 바디(110)를 사출 성형기에서 취출할 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다시 말해, 언더컷 형태의 고정부(154)가 보조 격벽(150)에 많이 형성되면 사출 성형기에서 메인 바디(110)를 취출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최소한의 고정부(154)를 형성하기 위해 보조 격벽(150)에서 일측에만 형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고정부(154)를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시킴으로써, 패킹 가이드(160)를 메인 바디(11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100)는 복수개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적재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격벽(150)에는 이와 같이 적층되는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10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55)가 더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55)는 상기 고정부(154)의 상부에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55)는 상기 고정부(154)와 동일하게 복수의 보조 격벽(150)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한다. 상기 지지부(155)에는 인접한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100)에 형성된 분리홈(153)의 바닥면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155)에는 인접한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100)에 형성된 고정부(154)와 연결되는 분리홈(153)의 바닥면이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55)는 복수개의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100)가 적층될 때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100)가 평평하게 적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킹 가이드(160)는 상기 수납부(130)에 안착되며, 메인 바디(110)와 전자제품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패킹 가이드(160)는 각 열에 있는 복수의 수납부(130)에 한꺼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패킹 가이드는 수납부(130)와 분리홈(153)에 걸쳐서 안착된다. 이때, 상기 패킹 가이드(160)는 상기 분리홈(153)과 연결된 고정부(154)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킹 가이드(160)는 메인 바디(110)에 전자제품을 수납할 때 메인 바디(1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패킹 가이드(160)는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 메인 바디(1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재활용이 용이하다. 상기 패킹 가이드(160)는 예를 들면, PE-Foam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패킹 가이드(160)는 수납부(130)와 전자제품 사이에 위치하고, 메인 바디(110)에 가해지는 진동, 충격 등을 흡수하여 전자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패킹 가이드(160)는 상기 메인 바디(110)와 전자제품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전자제품이 메인 바디(11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전자제품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싱예에 따른 고정부(254)는 제1격벽(151) 또는 제2격벽(15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254)는 제1격벽(151)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254)는 제1격벽(151)에서 제2격벽(152)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며, 분리홈(153)과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254)는 상기 제1격벽(151)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1격벽(151)의 내측으로 들어간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54)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254)에 의해 분리홈(153)에서 제1격벽(151)과 연결된 부분은 하부의 너비가 상부보다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패킹 가이드(160)는 홈으로 형성된 고정부(254)에 끼워져 메인 바디(110)에 고정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54)도 복수의 보조 격벽(150)에서 제1격벽(151), 제2격벽(152), 제1격벽(151), 제2격벽(152)에 번갈아가며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부(254)는 복수의 보조 격벽(150)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110: 메인 바디
120: 테두리부 130: 수납부
140: 중심 격벽 150: 보조 격벽
151: 제1격벽 152: 제2격벽
153: 분리홈 154,254: 고정부
155: 지지부 160: 패킹 가이드

Claims (8)

  1. 전자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제 1,2 수납부와, 상기 제 1,2 수납부를 분리하는 격벽을 갖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제 1,2 수납부에 위치한 패킹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제1격벽, 제2격벽 및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2 수납부를 연결하는 분리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격벽 또는 제2격벽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패킹 가이드를 상기 제 1,2 수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격벽에서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에 번갈아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1행에 위치한 제 1 수납부와 2행에 위치한 제 2 수납부를 구분하는 격벽에서는 제1격벽에 형성되고, 2행에 위치한 제 2 수납부와 3행에 위치한 제 3 수납부를 구분하는 격벽에서는 제2격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격벽 또는 제2격벽의 내측으로 들어간 홈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분리홈과 연결되어, 상기 분리홈의 하부 너비를 넓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적층되는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를 지지하는 홈 형태의 지지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가이드는 상기 분리홈을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수납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KR1020170132353A 2017-10-12 2017-10-12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KR20190041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353A KR20190041184A (ko) 2017-10-12 2017-10-12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KR1020230059082A KR102614983B1 (ko) 2017-10-12 2023-05-08 수납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353A KR20190041184A (ko) 2017-10-12 2017-10-12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082A Division KR102614983B1 (ko) 2017-10-12 2023-05-08 수납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184A true KR20190041184A (ko) 2019-04-22

Family

ID=662828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353A KR20190041184A (ko) 2017-10-12 2017-10-12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KR1020230059082A KR102614983B1 (ko) 2017-10-12 2023-05-08 수납용 트레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082A KR102614983B1 (ko) 2017-10-12 2023-05-08 수납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41184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486A (en) * 1997-01-07 1998-08-11 Fluoroware, Inc. Integrated circuit tray with self aligning pocket
JP2001301835A (ja) * 2000-04-25 2001-10-31 Kashiwagi Mold:Kk 収容ケース
JP4555127B2 (ja) * 2005-03-07 2010-09-29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部品包装用トレ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80901B1 (ko) * 2008-10-27 2015-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소자 적재용 트레이
WO2012029217A1 (ja) * 2010-08-30 2012-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包装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185A (ko) 2023-05-22
KR102614983B1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793B2 (en) Packaging structure and packaging method for display panel
JP2006273333A (ja) 梱包用トレー
JP5983988B2 (ja) 輸送用トレイ、それを用いた輸送資材及び輸送方法
US20230017541A1 (en) Produce trays and related methods
US20150125728A1 (en) Packing tray
JP5649923B2 (ja) 板状体の搬送用容器
JP2011140339A (ja) 部品包装用トレイ
KR102356344B1 (ko) 판형 부품용 트레이
JP2011016555A (ja) 包装用支持枠
KR200476256Y1 (ko) 판상체 반송 용기
KR101934963B1 (ko) 판형 부품용 트레이
JP2008100693A (ja) 収納トレイ
KR102614983B1 (ko) 수납용 트레이
KR101060503B1 (ko) 전자 부품 수납용 트레이
KR101426898B1 (ko) 표시패널 운반용 트레이조립체
WO2018199026A1 (ja) 包装トレイ
KR20190050056A (ko) 이차 전지 포장용 트레이
JP5357261B2 (ja) 収納トレイ
JP2011162236A (ja) 1つの隅部に突起を有する板状体のための搬送容器
JP2011162235A (ja) 板状体搬送用ボックス
CN106169438B (zh) 半导体芯片托盘
JP4485963B2 (ja) 板状物収納容器
JP3187875U (ja) 梱包材
KR200408227Y1 (ko) 국수 포장용 상자 어셈블리
CN210883099U (zh) 一种一字型显示屏运输托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