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608A -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608A
KR20190040608A KR1020170129831A KR20170129831A KR20190040608A KR 20190040608 A KR20190040608 A KR 20190040608A KR 1020170129831 A KR1020170129831 A KR 1020170129831A KR 20170129831 A KR20170129831 A KR 20170129831A KR 20190040608 A KR20190040608 A KR 20190040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speaker unit
sound
acoustic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327B1 (ko
Inventor
손성하
김종배
김성주
이경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9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327B1/ko
Priority to PCT/KR2018/010263 priority patent/WO2019074207A1/ko
Priority to US16/754,967 priority patent/US11064290B2/en
Publication of KR2019004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5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n acoustic labyrinth or a transmission line
    • H04R1/285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n acoustic labyrinth or a transmission lin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19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전(全) 대역 재생이 가능한 틈 방사(slit-firing)형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스피커 장치는,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후방음이 전방음과 섞이지 않도록 상기 후방음을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인클로저 및 상기 스피커 유닛을 커버하고, 상기 인클로저와 결합하여 상기 생성된 소리가 이동하는 음향 통로를 형성하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통로는, 상기 음향 통로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생성된 소리가 방사되는 방사부와, 상기 음향 통로의 타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장치{SPEAKER APPARATUS}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틈 방사(slit-firing) 방식의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스피커는, 전면 방사(front-firing), 측면 방사(side-firing), 하방 방사(down-firing) 및 후방 방사(back-firing) 중 하나 이상의 방사 방식을 갖는다.
후방 방사(back-firing) 방식은 스피커 유닛이 전자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어 음을 후방으로 방사하여 회절을 이용하여 음이 전면으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주로 저역을 재생하는 우퍼에 사용되고 있다. 중역과 고역은 주파수의 파장이 짧고 지향성을 가져 후방 방사 방식을 이용하면 음향 특성이 매우 저하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전자 장치의 두께가 슬림해지고, 베젤(bezel)이 좁아지는 추세이다. 전면 방사(front-firing) 방식은 전자 장치의 전면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차지하므로, 최근의 베젤리스(Bezel-less) 디자인 추세에 적합하지 않다.
측면 방사(side-firing) 및 하방 방사(down-firing)의 경우, 스피커 유닛이 측면 또는 하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스피커 유닛이 배치되면, 전자 장치의 슬림화로 인해 스피커 유닛의 크기를 줄일 필요가 있다. 다만, 스피커 유닛의 크기를 줄이면 작은 진동판 면적으로 인해 저역 재생을 할 수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닛(10)이 전자 장치(1)의 측면이나 하면을 향해 배치되지 않고, 전방을 향해 배치되는 틈 방사(slit-firing) 방식의 스피커가 제안되고 있다.
틈 방사(slit-firing) 방식의 스피커에 따르면, 재생음이 스피커 유닛 전방의 좁은 통로를 따라 이동한 후, 스피커 유닛의 측면 방향에 마련되는 슬릿(20)으로 방사된다. 기존의 틈 방사(slit-firing) 스피커는 재생음이 방사되는 1개의 슬릿(20)만을 포함하고, 슬릿(20)의 반대면은 막힌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슬릿에서는 음압(acoustic pressure)이 최대가 되고, 막힌 면에서는 음압(acoustic pressure)가 최소가 된다. 또한, 이러한 음압차에 의해 스피커 유닛의 너비 길이가 1/4 파장에 해당하는 주파수에서 공진이 발생하여 음향 성능에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2.5kHz 대역과 5.5kHz 대역에서 각각 큰 피크(peak)와 딥(dip)이 발생한다. 피크(peak)의 경우, 이퀄라이저 조절을 통해 보상이 가능하다. 하지만, 딥(dip)의 경우에는 보상이 불가하여 고역대 보강을 위해 별도의 트위터(tweeter)를 필요로 하고, 이는 비용 상승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음향 성능이 개선된 틈 방사(slit-firing)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피크(peak)와 딥(dip) 발생이 개선된 틈 방사(slit-firing)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별도의 트위터(tweeter) 유닛 없이도 전(全)대역 재생이 가능한 틈 방사(slit-firing)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생산 원가를 절감하여 수익성이 향상된 틈 방사(slit-firing)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스피커 장치는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후방음이 전방음과 섞이지 않도록 상기 후방음을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인클로저 및 상기 스피커 유닛을 커버하고, 상기 인클로저와 결합하여 상기 생성된 소리가 이동하는 음향 통로를 형성하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통로는, 상기 음향 통로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생성된 소리가 방사되는 방사부와, 상기 음향 통로의 타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부는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큰 슬릿(slit) 형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통로는, 상기 생성된 소리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 장치의 외부로 가이드하는 방사 통로와, 상기 음향 통로에서의 공진 발생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어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 통로는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상기 방사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어 통로는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통로의 길이는 상기 방사 통로의 길이의 2배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통로는 상기 방사 통로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갈수록 그 폭의 길이가 변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방사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인클로저의 길이 방향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스피커 유닛과 마주보는 일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면은, 상기 일면과 상기 스피커 유닛 사이의 거리가 변하지 않도록 상기 스피커 유닛의 형상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음향 통로는 전(全) 구간에서 그 폭이 일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음향 통로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반사판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홀(hole)로부터 상기 인클로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통로를 통해 방사된 소리의 음압(acoustic pressure)은, 상기 방사 통로를 통해 방사된 소리의 음압(acoustic pressure)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음향 통로는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생성된 소리가 상기 방사부를 통해 방사될 수 있도록 소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스피커 장치는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유닛과, 상기 스피커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양 측방에 마련되는 한 쌍의 차단벽을 포함하는 인클로저와, 상기 한 쌍의 차단벽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스피커 유닛을 커버하는 반사판 및 상기 한 쌍의 차단벽과 상기 반사판 및 상기 인클로저에 의해 형성되는 음향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통로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일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타단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음향 통로의 일단에는 상기 생성된 소리가 방사되는 슬릿(slit) 형상의 방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음향 통로는, 상기 생성된 소리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 장치의 외부로 가이드하는 방사 통로와, 상기 음향 통로에서의 공진 발생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어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 통로는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일단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어 통로는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타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일단은 상기 스피커 유닛과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차단벽과 상기 반사판은,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생성된 소리가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양단을 통해서만 방사되도록, 소리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통로를 통해 방사된 소리의 음압(acoustic pressure)은, 상기 방사 통로를 통해 방사된 소리의 음압(acoustic pressure)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어 통로는 상기 방사 통로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타단으로 갈수록 그 폭의 길이가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음향 성능이 개선된 틈 방사(slit-firing) 스피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피크(peak)와 딥(dip) 발생이 개선된 틈 방사(slit-firing) 스피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별도의 트위터(tweeter) 유닛 없이도 전(全)대역 재생이 가능한 틈 방사(slit-firing) 스피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생산 원가를 절감하여 수익성이 향상된 틈 방사(slit-firing) 스피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틈 방사 스피커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틈 방사 스피커의 주파수 대역별 음향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사시도로서, 반사판을 투명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와 종래의 틈 방사 스피커의 주파수 대역별 음향 신호의 세기를 나타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평면도로서, 반사판을 투명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평면도로서, 반사판을 투명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평면도로서, 반사판을 투명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평면도로서, 반사판을 투명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평면도로서, 반사판을 투명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사시도로서, 반사판을 투명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장치(100)는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유닛(110)과, 스피커 유닛(110)이 장착되고, 스피커 유닛(110)의 후방음이 전방음과 섞이지 않도록 후방음을 차단하는 인클로저(120)와, 스피커 유닛(110)을 커버하도록 인클로저(120)에 결합되는 반사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10)은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10)은 진동판을 포함하고, 음성 코일의 왕복 운동에 의해 진동판을 진동시켜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10)은 인클로저(120)에 장착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10)의 전면에서는 전방음이 발생되고, 스피커 유닛(110)의 후면에서는 후방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인클로저(120)는 서로 위상이 반대인 전방음과 후방음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음을 차단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10)이 장착된 인클로저(120)에는 반사판(130)이 결합될 수 있다. 반사판(130)은 스피커 유닛(11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사판(130)은 스피커 유닛(110)에서 생성된 소리를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판(130)은 스피커 유닛(110)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반사판(130)은 인클로저(120)와도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음향 통로(140)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스피커 장치(100)의 양 단에는 방사부(141)와 개구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음향 통로(140)의 양 단에는 방사부(141)와 개구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음향 통로(140)의 양단은 개방될 수 있다. 방사부(141)는 음향 통로(140)의 개방된 일단을 가리킬 수 있다. 개구부(142)는 음향 통로(140)의 개방된 타단을 가리킬 수 있다.
방사부(141)는 스피커 유닛(11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방사부(141)는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큰 슬릿(slit) 형상의 개구로 마련될 수 있다. 방사부(141)를 통해 스피커 유닛(110)에서 생성된 소리가 스피커 장치(100)의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방사부(141)를 통해 방사되는 소리는 스피커 유닛(110)의 주 재생음으로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스피커 장치(100)가 전자장치에 설치되는 경우, 방사부(141)는 전자장치의 상면, 하면 또는 양 측면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장치의 설계 사양에 따라 방사부(141)의 전방에 복수의 홀(hole)이 마련될 수 있다.
방사부(141)는 스피커 장치(100)의 일단에 배치되고, 개구부(142)는 스피커 장치(10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100)에서, 개구부(142)는 방사부(141)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개구부(142)는 방사부(141)와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구부(142)를 통해 스피커 유닛(110)에서 생성된 소리의 일부가 방사될 수 있다. 개구부(142)가 마련됨으로써,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피커 장치(100)는 종래의 틈 방사형 스피커와 달리 피크(peak)와 딥(dip)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인클로저(12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클로저(120)는 상부 하우징(121)과, 상부 하우징(121)과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1)은 차단부(123)와, 결합부(124)와, 통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통로부(125)는 음향 통로(14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통로부(125)는 직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24)는 통로부(125)의 양 측단에 마련되고, 통로부(125)보다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결합부(124)에는 반사판(130)이 결합될 수 있다.
차단부(123)는 결합부(124)의 양 측단에 마련되고, 결합부(124)보다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차단부(123) 사이에는 반사판(130)이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123)의 측면과 반사판(130)의 측면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24)의 상면으로부터 차단부(123)의 상면까지의 거리는 반사판(130)의 높이와 같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피커 장치(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향 통로(14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와 종래의 틈 방사 스피커의 주파수 대역별 음향 신호의 세기를 나타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통로(140)는 방사 통로(143)와 제어 통로(144)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 통로(143)는 스피커 유닛(110)의 일단으로부터 방사부(14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어 통로(144)는 스피커 유닛(110)의 일단으로부터 개구부(142)까지 연장될 수 있다.
방사 통로(143)는 스피커 유닛(110)에서 생성된 소리를 방사부(141)를 통해 방사시킬 수 있다. 방사 통로(143)의 길이가 길면, 고주파 대역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 유닛(110)은 방사 통로(143)의 길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방사부(141)와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방사 통로(143)는 스피커 유닛(110)에서 생성된 소리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스피커 유닛(110)에서 생성된 소리의 대부분은 방사 통로(143)를 통해 스피커 장치(100)의 외부로 방사된다. 반사판(130)은 소리를 반사시키도록 마련되고, 차단벽(123)과 통로부(125)도 소리를 통과시키지 않고 반사시키기 때문에, 스피커 유닛(110)에서 생성된 소리의 대부분은 방사 통로(143)를 지나 방사부(141)로 방사될 수 있다.
제어 통로(144)는 음향 통로(140)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진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 통로(144)의 끝단에는 개구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틈 방사형 스피커는 슬릿(20)의 타단이 막혀 있다. 즉, 종래의 틈 방사형 스피커는 제어 통로를 가지지 않고, 이로 인해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이 발생한다. 공진 발생으로 인해 상기 특정 주파수에서는 출력이 갑자기 커지는 피크(peak)가 발생하게 된다. 피크(peak)가 발생하면, 이로 인해 에너지의 불균형이 생겨 딥(dip)이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크(peak)는 신호처리로 보상이 가능하나, 딥(dip)은 보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트위터(tweeter)를 필요로 한다. 이는 틈 방사형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생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음향 통로(140)는 제어 통로(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통로(144)의 끝단에는 개구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개구부(142)가 마련되므로, 종래의 틈 방사형 스피커와는 달리, 음향 통로(140)의 타단이 개방되어 있다. 개구부(142)를 통해 소리가 방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특정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딥(dip)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에 5.5 kHz에서 발생하던 딥(dip)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제어 통로(144)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개구부(142)로 인해 딥(dip)의 발생은 방지할 수 있으나, 여전히 피크(peak)가 시프팅(shifting)하여 발생할 수 있다. 즉, 가청 범위 내에서 딥(dip)은 발생하지 않지만, 피크(peak)가 가청 범위 내의 다른 주파수에서 발생할 수 있다. 가청 범위 내에서 딥(dip)과 피크(peak)의 발생을 모두 방지하기 위해, 제어 통로(144)의 길이는 방사 통로(143)의 길이보다 2배 이상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어 통로(144)의 길이는 스피커 유닛(110)의 너비 길이의 2배 이상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의 너비 길이란, 음향 통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스피커 유닛의 길이를 가리킨다.
제어 통로(144)의 길이가 방사 통로(143)의 길이보다 2배 이상 길게 마련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청 범위 내에서 피크(peak)와 딥(dip)이 모두 발생하지 않는다. 음질 열화가 개선되어 별도의 트위터(tweeter) 없이도 중고주파 대역 재생이 가능하다. 즉, 전(全)대역 재생이 가능한 틈 방사형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덕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50)는 인클로저(120)의 일면에 형성되는 홀(126)로부터 인클로저(120)의 내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150)는 스피커 유닛(110)의 저주파 재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덕트(150)는 스피커 유닛(110)의 저대역 성능을 보강할 수 있다.
덕트(150)는 통로부(125)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반사판(130)과 마주보는 인클로저(12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덕트는 인클로저의 외부에 노출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150)는 반사판(130)에 의해 커버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덕트(150)는 음향 통로(140)의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댐핑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길이를 짧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평면도로서, 반사판을 투명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평면도로서, 반사판을 투명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음향 통로(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통로(140)는 전(全) 구간에서 그 폭이 일정하게 마련되고, 방사부(141)와 개구부(142)가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통로(140a)는 제어 통로(144)의 폭이 개구부(142)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통로(144)의 폭은 개구부(142)로 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제어 통로(144)는 일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제어 통로(144)는 곡선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 또는 구조의 제어 통로(144)를 통해 스피커 장치(100)의 음향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 통로(144)의 다양한 형상으로 인해 음향 성능의 미세한 차이는 발생할 수 있으나, 가청 범위 내에서의 피크(peak)와 딥(dip)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에는 변함이 없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음향 통로(140d)는 폭이 일정한 방사 통로와 개구부(142)로 갈수록 폭의 길이가 점차 작아지는 제어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개구부(142)를 통해 방출되는 음향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제어 통로를 통해 방사되는 음향 에너지를 전자장치 내부에서 소멸시키거나 방사부(141)를 통해 방사되는 소리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반사판은 스피커 유닛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과 반사판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스피커 유닛이 반사판을 향해 돌출된 영역에서는 반사판이 함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대로, 스피커 유닛이 인클로저를 향해 돌출된 영역에서는 반사판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역대의 음향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피커 장치 110 : 스피커 유닛
120 : 인클로저 130 : 반사판
140 : 음향 통로 141 : 방사부
142 : 개구부 143 : 방사 통로
144 : 제어 통로

Claims (20)

  1.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유닛;
    상기 스피커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후방음이 전방음과 섞이지 않도록 상기 후방음을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인클로저; 및
    상기 스피커 유닛을 커버하고, 상기 인클로저와 결합하여 상기 생성된 소리가 이동하는 음향 통로를 형성하는 반사판; 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통로는,
    상기 음향 통로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생성된 소리가 방사되는 방사부와,
    상기 음향 통로의 타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는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큰 슬릿(slit) 형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통로는,
    상기 생성된 소리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 장치의 외부로 가이드하는 방사 통로와,
    상기 음향 통로에서의 공진 발생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어 통로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통로는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상기 방사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어 통로는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스피커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통로의 길이는 상기 방사 통로의 길이의 2배 이상으로 마련되는 스피커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통로는 상기 방사 통로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갈수록 그 폭의 길이가 변하는 스피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방사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인클로저의 길이 방향 일단에 배치되는 스피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스피커 유닛과 마주보는 일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면은, 상기 일면과 상기 스피커 유닛 사이의 거리가 변하지 않도록 상기 스피커 유닛의 형상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스피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통로는 전(全) 구간에서 그 폭이 일정하게 마련되는 스피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통로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반사판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홀(hole)로부터 상기 인클로저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덕트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통로를 통해 방사된 소리의 음압(acoustic pressure)은, 상기 방사 통로를 통해 방사된 소리의 음압(acoustic pressure)보다 작은 스피커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통로는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생성된 소리가 상기 방사부를 통해 방사될 수 있도록 소리의 누출을 방지하는 스피커 장치.
  14.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유닛;
    상기 스피커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의 양 측방에 마련되는 한 쌍의 차단벽을 포함하는 인클로저;
    상기 한 쌍의 차단벽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스피커 유닛을 커버하는 반사판; 및
    상기 한 쌍의 차단벽과 상기 반사판 및 상기 인클로저에 의해 형성되는 음향 통로; 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통로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일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타단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마련되는 스피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통로의 일단에는 상기 생성된 소리가 방사되는 슬릿(slit) 형상의 방사부가 마련되는 스피커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통로는,
    상기 생성된 소리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 장치의 외부로 가이드하는 방사 통로와,
    상기 음향 통로에서의 공진 발생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어 통로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통로는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일단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어 통로는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타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일단은 상기 스피커 유닛과 인접한 스피커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과 상기 반사판은, 상기 스피커 유닛에서 생성된 소리가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양단을 통해서만 방사되도록, 소리의 누출을 차단하는 스피커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통로를 통해 방사된 소리의 음압(acoustic pressure)은, 상기 방사 통로를 통해 방사된 소리의 음압(acoustic pressure)보다 작은 스피커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통로는 상기 방사 통로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음향 통로의 개방된 타단으로 갈수록 그 폭의 길이가 변하는 스피커 장치.
KR1020170129831A 2017-10-11 2017-10-11 스피커 장치 KR102402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831A KR102402327B1 (ko) 2017-10-11 2017-10-11 스피커 장치
PCT/KR2018/010263 WO2019074207A1 (ko) 2017-10-11 2018-09-04 스피커 장치
US16/754,967 US11064290B2 (en) 2017-10-11 2018-09-04 Speake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831A KR102402327B1 (ko) 2017-10-11 2017-10-11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608A true KR20190040608A (ko) 2019-04-19
KR102402327B1 KR102402327B1 (ko) 2022-05-27

Family

ID=6610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831A KR102402327B1 (ko) 2017-10-11 2017-10-11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64290B2 (ko)
KR (1) KR102402327B1 (ko)
WO (1) WO201907420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682A1 (ko) * 2019-08-14 2021-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트랜스듀서 및 슬림 스피커를 구비한 전자기기
WO2021118066A1 (ko) * 2019-12-12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14682470A (zh) * 2020-12-31 2022-07-01 乐金显示有限公司 电子设备和振动产生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219A (en) * 1989-03-14 1990-12-18 Lin Kuang Yao Piezoelectric speakers
US5943430A (en) * 1992-12-25 1999-08-24 Kabushiki Kaisha Toshiba Television stereophonic audio system
JP2010245630A (ja) * 2009-04-01 2010-10-28 Minebea Co Ltd スピーカシステム
KR20150004643A (ko) * 2013-07-03 201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3032A (en) * 1979-05-18 1982-01-26 Invironments Inc. Folded horn loudspeaker system
US4790408A (en) * 1988-01-25 1988-12-13 Adair John F Coiled exponential bass/midrange horn loudspeakers
US6574344B1 (en) * 1998-02-26 2003-06-03 Soundtube Entertainment, Inc. Directional horn speaker system
US7433483B2 (en) * 2001-02-09 2008-10-07 Thx Ltd. Narrow profile speaker configurations and systems
JP4592788B2 (ja) * 2008-07-14 2010-12-08 有限会社サウンドデザイン・ジャパン 音響分配装置
KR101629822B1 (ko) * 2009-07-27 201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음 증폭용 엔클로저, 상기 엔클로저를 구비한 우퍼, 및 상기 우퍼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632299B1 (ko) * 2010-02-02 201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운드 플레이트 및 이를 채용한 전자 기기
US9307314B2 (en) * 2013-06-12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side acoustic emission type speaker device
KR102201870B1 (ko) * 2013-07-05 202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25105B1 (ko) * 2013-07-15 2015-06-03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음향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203840517U (zh) * 2014-04-30 2014-09-17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扬声器出声孔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219A (en) * 1989-03-14 1990-12-18 Lin Kuang Yao Piezoelectric speakers
US5943430A (en) * 1992-12-25 1999-08-24 Kabushiki Kaisha Toshiba Television stereophonic audio system
JP2010245630A (ja) * 2009-04-01 2010-10-28 Minebea Co Ltd スピーカシステム
KR20150004643A (ko) * 2013-07-03 201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682A1 (ko) * 2019-08-14 2021-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트랜스듀서 및 슬림 스피커를 구비한 전자기기
WO2021118066A1 (ko) * 2019-12-12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1979699B2 (en) 2019-12-12 2024-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aker device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CN114682470A (zh) * 2020-12-31 2022-07-01 乐金显示有限公司 电子设备和振动产生设备
US11645987B2 (en) 2020-12-31 2023-05-09 L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vibrating generating apparatus having rear vibration member
CN114682470B (zh) * 2020-12-31 2023-10-27 乐金显示有限公司 电子设备和振动产生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45062A1 (en) 2020-07-30
US11064290B2 (en) 2021-07-13
WO2019074207A1 (ko) 2019-04-18
KR102402327B1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71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158937B2 (en) Speaker module
US6356643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3449571B2 (ja) テレビジョンセットのスピーカシステム
US11064290B2 (en) Speaker apparatus
KR0126896B1 (ko) 스피커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텔레비젼수상기
KR102023189B1 (ko)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040252856A1 (en) Bass loudspeaker apparatus and multiway loudspeaker system having the same
KR101479823B1 (ko) 평면 확성기
US20240171903A1 (en) Playback Devices Having Waveguides
WO2023217150A1 (zh) 扬声器单元及扬声器模组
KR102450294B1 (ko) 일정한 폭의 빔폭을 가진 배열 가능한 라우드스피커
KR100520143B1 (ko) 정재파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스피커 조립체 및이를 구현하는 방법
US4437541A (en) Controlled dispersion speaker configuration
KR102110324B1 (ko) 음향 제어 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유닛
KR202100001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0046279A (ko) 다채널 헤드폰
EE200000570A (et) Telefon vahenditega madalas sagedusalas sageduskarakteristiku tõstmiseks
KR100656660B1 (ko) 듀얼 스피커 모듈의 구조
KR20200084514A (ko) 전자장치
WO2021237834A1 (zh) 发声器件
CN114615601B (zh) 出声系统
KR20090027795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240050956A (ko)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JPH05191758A (ja) 透過形ビデオプロジェクタにおけるスピー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