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956A -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 Google Patents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956A
KR20240050956A KR1020220146671A KR20220146671A KR20240050956A KR 20240050956 A KR20240050956 A KR 20240050956A KR 1020220146671 A KR1020220146671 A KR 1020220146671A KR 20220146671 A KR20220146671 A KR 20220146671A KR 20240050956 A KR20240050956 A KR 20240050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ound
tweeter
wa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ublication of KR2024005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9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8Structural combinations of loudspeakers with built-in power amplifiers, e.g. in the same acoustic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실시예는, 트위터 스피커, 우퍼 스피커, 트위터 스피커와 우퍼 스피커가 설치되는 프레임, 프레임에 결합되며 트위터 스피커와 우퍼 스피커의 음 방출구가 형성된 프로텍터 및 외관을 형성하며 음 방출구로 방출된 음향을 안내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이어폰 하우징을 구비하는 투웨이 스피커의 내에 설치되는 사운드 필터에 있어서, 프로텍터에 형성된 트위터 스피커 음 방출구를 감싸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트위터 스피커 튜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SOUND FILTER FOR TWITTER SPEAKER}
실시예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투웨이 스피커가 적용된 이어폰을 도시한 도면이다. 투웨이 스피커는 요크(3)를 공유하는 우퍼 스피커(1)와 트위터(2) 스피커가 프레임(10)에 설치된다. 투웨이 스피커는 이어폰 하우징(30) 내에 설치되며, 이어폰 하우징(30)은 투웨이 스피커의 설치공간 및 공명 공간(32)을 구비하며, 공명 공간(32)으로부터 음을 사용자의 외이도로 안내하는 음향 노즐(34)을 구비한다.
투웨이 스피커의 프레임(10)에는 프로텍터(20)가 결합되며, 프로텍터(20)에 형성된 우퍼 음향 방출구(22)와 트위터 음향 방출구(24)를 통해 음향이 방출되어, 하우징(30)의 음향 노즐(34)을 통해 사용자의 외이도로 안내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어폰은 스피커 전면의 공명 공간(32)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여, 이어폰에서 트위터 유닛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였다.
실시예는 이어폰이나 스피커에서 트위터 유닛의 성능을 최대화 하고 음역의 특정 구간을 공진 튜닝할 수 있는 사운드 필터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트위터 스피커, 우퍼 스피커, 트위터 스피커와 우퍼 스피커가 설치되는 프레임, 프레임에 결합되며 트위터 스피커와 우퍼 스피커의 음 방출구가 형성된 프로텍터 및 외관을 형성하며 음 방출구로 방출된 음향을 안내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이어폰 하우징을 구비하는 투웨이 스피커의 내에 설치되는 사운드 필터에 있어서, 프로텍터에 형성된 트위터 스피커 음 방출구를 감싸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트위터 스피커 튜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트위터 스피커 튜닝부 상방에 형성되며, 이어폰 하우징의 노즐 하부에 부착되며 노즐로 음향을 안내하는 홀을 구비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홀은 우퍼 스피커의 음향을 안내하는 제1 홀과 스피커 튜닝부를 거친 음향을 안내하는 제2 홀이 서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우퍼 스피커의 음향을 안내하는 제1 홀은 홀의 크기를 줄여 우퍼 음향을 튜닝하는 헬름홀츠 튜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는, 이어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는, 프로텍터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제공하는 사운드 필터는, 이어폰에 적용되어 트위터가 재생하는 고음역대에서 공진 튜닝을 할 수 있어, 고주파수에서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투웨이 스피커가 적용된 이어폰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가 설치된 이어폰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적용한 경우와 미적용한 경우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가 설치된 이어폰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적용하 경우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필터와 이어폰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필터와 프로텍터가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가 설치된 이어폰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어폰은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투웨이 스피커는 요크(3)를 공유하는 우퍼 스피커(1)와 트위터(2) 스피커가 프레임(10)에 설치된다. 투웨이 스피커는 이어폰 하우징(30) 내에 설치되며, 이어폰 하우징(30)은 투웨이 스피커의 설치공간 및 공명 공간(32)을 구비하며, 공명 공간(32)으로부터 음을 사용자의 외이도로 안내하는 음향 노즐(34)을 구비한다.
투웨이 스피커의 프레임(10)에는 프로텍터(20)가 결합되며, 프로텍터(20)에 형성된 우퍼 음향 방출구(22)와 트위터 음향 방출구(24)를 통해 음향이 방출되어, 하우징(30)의 음향 노즐(34)을 통해 사용자의 외이도로 안내된다.
이때, 프로텍터(20)와 음향 노즐(34) 사이에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100)가 설치된다.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100)는 프로텍터(20)에 형성된 트위터 스피커 음 방출구(24)를 감싸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트위터 스피커 튜닝부(110)를 구비한다. 이어폰 하우징(30) 내의 공명 공간(32)의 체적은 특정 주파수의 공진에 큰 영향을 준다. 공명 공간(32)의 체적이 클 경우 공진 주파수가 저역대로 내려오고, 공명 공간(34)의 체적이 작을 경우 공진 주파수가 고역대로 올라가게 된다. 그런데 우퍼 스피커(1)의 경우 공진 주파수가 저역인 것이 음압 향상에 유리하고, 트위터 스피커(2)는 공진 주파수가 고역인 것이 음압 향상에 유리하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트위터 스피커 튜닝부(110)가 공명 공간(32) 내의 체적을 별도로 분리하여, 트위터 스피커 튜닝부(110) 내부가 트위터 스피커(2)의 공명 공간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트위터 스피커 튜닝부(110) 내의 체적은 공명 공간(32) 전체의 체적에 비해 체적이 작기 때문에 트위터 스피커(2)의 특성 향상에 유리하다.
반면 공명 공간(32)에서 트위터 스피커 튜닝부(110)와 그 내부의 체적을 제외한 부분은 우퍼 스피커(1)의 공명 공간으로 활용되며 상대적으로 큰 체적을 가져 저역대 음역의 공진에 유리하다.
또한,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100)는, 트위터 스피커 튜닝부(110) 상방에 형성되며, 이어폰 하우징(30)의 음향 노즐(34) 하부에 부착되고 음향 노즐(34)로 음향을 방출하는 홀(122, 124)을 구비하는 가이드부(12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20)는 이어폰 하우징(30)의 음향 노즐(34) 하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100)를 설치할 가이드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120)에는 음향 노즐(34)로 음향을 방출하는 홀(122, 124)이 형성되는데, 홀(122, 124)은 우퍼 스피커(1) 음향을 안내하는 제1 홀(122)과 스피커 튜닝부를 거친 트위터 음향을 안내하는 제2 홀(124)이 서로 구획되어 있다.
도 4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적용한 경우와 미적용한 경우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래프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필터를 적용한 경우가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트위터 스피커에서 주로 재생하는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음압이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가 설치된 이어폰을 도시한 단면도,
제2 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100a)는 가이드부(120a)에 형성된 제1 홀(122a)에 홀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헬름홀츠 튜닝부(126a)가 구비되는 것이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100a)를 적용할 경우, 공명 공간(32) 내부에서 우퍼 스피커(1)를 위한 공명공간(WF)으로 활용되는 체적은 트위터 스피커(2)의 관점으로 볼 때, 헬름홀츠 공명기의 역할을 한다. 헬름홀츠 공명기는 특정 주파수에 피크 또는 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헬름홀츠 튜닝부(126a)를 형성하여 제1 홀(122a)의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헬름홀츠 공명기에 의해 발생하는 피크 또는 딥을 튜닝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를 적용하 경우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사운드 필터(100a)의 헬름홀츠 튜닝부(126a)의 유무에 따라 음향 특성의 튜닝 효과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필터와 이어폰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100b)는, 이어폰 하우징(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어폰 하우징(30)의 음향 노즐(34) 하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필터와 프로텍터가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100b)는 프로텍터(20)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100b)는 트위터 음향 방출구(24)를 감싸는 트위터 스피커 튜닝부에 해당하는 구성 요소만을 가진다.

Claims (6)

  1. 트위터 스피커, 우퍼 스피커, 트위터 스피커와 우퍼 스피커가 설치되는 프레임, 프레임에 결합되며 트위터 스피커와 우퍼 스피커의 음 방출구가 형성된 프로텍터 및 외관을 형성하며 음 방출구로 방출된 음향을 안내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이어폰 하우징을 구비하는 투웨이 스피커의 내에 설치되는 사운드 필터에 있어서,
    프로텍터에 형성된 트위터 스피커 음 방출구를 감싸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트위터 스피커 튜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트위터 스피커 튜닝부 상방에 형성되며, 이어폰 하우징의 노즐 하부에 부착되며 노즐로 음향을 안내하는 홀을 구비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홀은 우퍼 스피커의 음향을 안내하는 제1 홀과 스피커 튜닝부를 거친 음향을 안내하는 제2 홀이 서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4. 제3향에 있어서,
    우퍼 스피커의 음향을 안내하는 제1 홀은 홀의 크기를 줄여 우퍼 음향을 튜닝하는 헬름홀츠 튜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는, 이어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는, 프로텍터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KR1020220146671A 2022-10-12 2022-11-07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KR20240050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0429 2022-10-12
KR1020220130429 2022-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956A true KR20240050956A (ko) 2024-04-19

Family

ID=9088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671A KR20240050956A (ko) 2022-10-12 2022-11-07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09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005B2 (en) Headphone
US11750966B2 (en) Earphone having a controlled acoustic leak port
US9654865B2 (en) Earphone
TWI601429B (zh) 具有聲學調諧機制之耳機
JP3199236U (ja) 逆方向音波イヤホン
CN108882126B (zh) 扬声器箱
KR102287937B1 (ko) 이어폰용 스피커유닛의 덕트구조
KR102227138B1 (ko)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CN108989926B (zh) 用于耳机的、具有共鸣保护器的动态接收器
EP3652962B1 (en) Audio device
KR101451687B1 (ko) 코엑셜 효과의 2웨이 스피커
KR102266425B1 (ko) 사각 형상의 마이크로 스피커
US11696059B2 (en) Two-way receiver having front bass duct
US11064290B2 (en) Speaker apparatus
KR102205697B1 (ko)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US9628925B2 (en) Ear canal earpiece and earmold unit for an earpiece
KR20240050956A (ko)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CN214708012U (zh) 一种耳机
CN210518782U (zh) 一种新型耳机喇叭音腔共鸣结构
KR102053263B1 (ko)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이어폰
KR102559769B1 (ko)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세트 덕트 구조
KR102553220B1 (ko)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덕트 구조
RU2789115C1 (ru) Динамик и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11206480B2 (en) Open-air type earphone with bracket forming bass pipe
KR102662593B1 (ko) 사각 타입의 드라이버와 이를 구비한 스피커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