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220B1 -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덕트 구조 - Google Patents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덕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220B1
KR102553220B1 KR1020220032377A KR20220032377A KR102553220B1 KR 102553220 B1 KR102553220 B1 KR 102553220B1 KR 1020220032377 A KR1020220032377 A KR 1020220032377A KR 20220032377 A KR20220032377 A KR 20220032377A KR 102553220 B1 KR102553220 B1 KR 102553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ath
inlet
partition wall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구
천승우
조동현
김하림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2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유닛에 적용되는 일체형 덕트 구조로서 오디오 덕트 경로와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제공하여 음파를 최적으로 튜닝할 수 있는 덕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제공하는 오디오 볼륨은 그 크기와 위치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덕트 구조{Integrated type duct structure of speaker unit}
본 발명은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덕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의 경우 구조에 따라 커널형의 폐쇄형과 오버이어(overear)형의 개방형이 있다. 종래에는 주로 개방형 이어폰을 이용하였으나, 2000년 중반 이후 커널형 이어폰이 보급되면서 현재 폐쇄형 이어폰이 보편화되었다. 커널형 이어폰의 경우 음악을 누설 없이 들을 수 있고 타인에게 소리가 전달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귀의 외이도를 완전히 막는 결과 착용감이 불편하고, 외부 소리를 거의 들을 수 없으며, 외이도에 형성된 고압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두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개방형 이어폰의 경우 귀의 외이도를 막지 않고 귓바퀴에 걸치는 유형이므로 착용감이 좋고 외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점에서 좋지만, 사용자가 듣는 음이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므로 예를 들어 많은 사람이 모인 공간에서 음을 크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최근 TWS등 고급 기기의 보급에 따라 이어폰의 종류에 관계없이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을 조절하고 튜닝하는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경우 후방 방사음의 제어를 위한 튜닝이 중요하다.
출원인은 특허 제10-2287937호에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진동판(100')과, 진동판(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음향코일(210'), 마그네틱(220') 및 요크(230')로 구성된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후방음의 전달을 위하여 도 10에 도시한 덕트프레임을 제안하였다.
덕트프레임은 하부프레임(400')과 상부프레임(500')으로 이루어진다. 하부프레임(400')의 하면에는 진동판(100')의 음이 유입되는 음유입부(320')가 형성되며, 음의 전달을 차단하는 격벽(340')에 튜닝구멍(350')이 형성된다. 상부프레임(500')은 하부프레임(400')을 덮으며, 설치패널(500a')은 조립형이고, 상면에 음방출부(330')가 형성된다. 메쉬(360')는 튜닝구멍(350')을 덮도록 장착된다.
음유입부(320')를 통해 전달된 음향은 두 경로로 나뉘어진다. 구체적으로, 덕트공간(310')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전달되는 오디오 덕트 경로를 따르는 것과, 반시계 방향으로 전달되어 튜닝구멍(350')의 메쉬(360')를 통과하는 오디오 메쉬 경로가 있다. 두 경로를 지난 음은 하나의 음방출부(330')에서 합류되어 외부로 방사된다.
그런데, 오디오 메쉬 경로를 통과하는 음은 이 경로를 이루는 길이, 체적과 단면적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는 오디오 메쉬 경로의 체적을 변화시켜 튜닝하는데 한계가 있고, 오디오 메쉬 체적의 범위를 규정하는 것이 어렵다. 또, 메쉬(360)'가 격벽(340')에 설치되는 결과 격벽(340')의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단점을 일거에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피커 유닛에 적용되는 일체형 덕트 구조로서 오디오 덕트 경로와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제공하여 음파를 최적으로 튜닝할 수 있는 덕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향기기에 결합되는 일체형 덕트 구조로서, 상기 덕트 구조는 음향기기를 둘러 형성된 튜브형의 관로를 제공하며, 음향기기의 진동판의 음이 전달되는 제1음유입부는 상기 관로에 형성되며, 상기 제1음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음은 소정의 제1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음방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고, 음향기기의 진동판의 음이 전달되는 제2음유입부는 상기 관로에 제1음유입부와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음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음은 제2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음방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고, 제1음유입부에 인접하여 제1경로와 반대쪽에는 음의 전달을 차단하는 제1격벽이 형성되고, 제1경로와 같은 방향을 따라 제1음유입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음방출부와 연통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제1격벽과 소정 간격을 두고 제1경로와 반대 방향의 소정 지점에는 제2격벽이 형성되고, 제2격벽과 소정 간격을 두고 제2경로가 형성되도록 통과벽이 형성되며, 통과벽에는 개구와, 개구를 덮는 메쉬가 설치되며, 상기 통과벽은 개구를 통하여 상기 음방출부와 연통하며, 제2격벽에서 시작하여 제2경로를 제공하도록 연장되며 통과벽에서 종결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볼륨(V)을 제공함으로써, 제2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음을 오디오볼륨(V)과 메쉬를 이용하여 튜닝 및 제어하는, 덕트 구조를 제공한다.
음방출부는 개방부와 통과벽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제1음유입부를 통과한 음은 상대적으로 긴 제1경로를 따라 제1방향으로 진행하여 개방부를 통해 음방출부로 들어오고, 제2음유입부를 통과한 음은 상대적으로 짧은 제2경로를 따라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진행하여 개구 및 메쉬를 통과하여 튜닝되고 음방출부로 들어오는 것에 의하여, 두 음이 음방출부에서 합류하여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제1경로는 180도 이상의 중심각을 가지는 원호를 따르는 경로이며 진동판의 진동음을 주로 전달하는 오디오 덕트 경로를 이루고, 제2경로는 90도 이하의 중심각을 가지는 원호를 따르는 경로이며, 메쉬와 오디오 볼륨(V)을 이용하여 진동판의 진동음의 튜닝 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이룰 수 있다.
제1경로와 제2경로의 중심각의 합은 적어도 18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기기에 결합되는 일체형 덕트 구조로서, 상기 덕트 구조는 음향기기를 둘러 형성된 튜브형의 관로를 제공하며, 음향기기의 진동판의 음이 전달되는 제1음유입부는 상기 관로에 형성되며, 상기 제1음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음은 소정의 제1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제1음방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고, 음향기기의 진동판의 음이 전달되는 제2음유입부는 상기 관로에 제1음유입부와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음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음은 제2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제2음방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고, 제1음유입부에 인접하여 제1경로와 반대쪽에는 음의 전달을 차단하는 제1격벽이 형성되고, 제1경로와 같은 방향을 따라 제1음유입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음방출부와 연통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제1격벽과 소정 간격을 두고 제1경로와 반대 방향의 소정 지점에는 제2격벽이 형성되고, 제2격벽과 소정 간격을 두고 제2경로를 제공하도록 제3격벽이 형성되며, 제2격벽에서 시작하여 제2경로를 제공하도록 연장되며 제3격벽에서 종결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볼륨(V)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음방출부는 오디오볼륨(V)의 경계 영역 또는 내부에 형성되며 제2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음이 외부로 방사되는 개구와, 개구를 덮는 메쉬를 포함함으로써, 제2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음을 오디오볼륨(V)과 메쉬를 이용하여 튜닝 및 제어하는, 덕트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오디오볼륨(V)은 제2격벽과 제3격벽에 의하여 규정되는 차폐 구조이며, 튜브형의 관로를 따라 제1음유입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음방출부는 오디오볼륨의 측면 또는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향기기는 마이크로스피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제공하는 오디오 볼륨과 진동음이 통과하는 메쉬를 이용하여 음향기기 진동음에서 전달되는 음을 저역대와 중역대 주파수 범위에 걸쳐 다양하고 최적으로 튜닝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디오 볼륨을 가변시켜 튜닝음의 전달 경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튜닝 작업을 유연하고 적용성 높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덕트 구조를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덕트 구조를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면에서 상부를 절단하여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체형 턱트 구조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를 도 3의 CC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주파수-음압 그래프를 참조로 본 발명의 덕트 구조의 효과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오디오 덕트 경로를 통과한 음과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통과한 음의 음방출부를 서로 달리 배치한 실시예의 도면;
도 7은 오디오 덕트 경로를 통과한 음과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통과한 음의 음방출부를 서로 달리 배치한 실시예의 다른 도면;
도 8은 덕트 구조의 관로를 따라 오디오볼륨(V)의 위치를 변경한 것을 보인 도면;
도 9는 선행기술의 덕트 프레임을 포함한 음향기기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덕트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마이크로스피커와 같은 음향기기에 일체로 장착되는 덕트 구조에 있으며, 음향기기의 드라이버나 하우징은 어느 것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음향기기의 예로 마이크로스피커를 전제로 설명하지만, 대형의 우퍼 스피커, 헤드셋 등 다른 음향기기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동일한 설명이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덕트 구조(1)를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덕트 구조(1)는 마이크로스피커의 요크(20)의 측면을 둘러 장착되는 환형 또는 고리형으로 제작되어 음향기기와 일체로 조립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요크(20)의 하면을 덮는 원형으로 제작하거나, 음향기기의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음유입부(20a)를 통하여 들어온 음은 제1경로(A)를 따라 전달되어 음방출부(3)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된다. 제2음유입부(20b)를 통하여 전달된 음은 제1경로(A)와 반대인 제2경로(B)를 따라 전달되어 통과벽(10c)의 개구(8)에 장착된 메쉬(4)를 통과하여 음방출부(3)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된다. 음방출부(3)에서는 상이한 두 경로를 통과한 음이 합류하여 외부로 방사된다.
제1경로(A)는 제2경로(B)보다 길고 예를 들어 180도 이상의 중심각을 가지는 원호를 이룰 수 있으며, 진동판의 진동음을 주로 전달하는 점에서 “오디오 덕트 경로”라고 할 수 있다. 제2경로(B)는 제1경로(A)보다 짧고 예를 들어 90도 이하의 중심각을 가지는 원호를 이룰 수 있으며, 메쉬(4)와 후술하는 오디오 볼륨(V)을 이용하여 진동판의 진동음의 튜닝 기능을 주로 하는 점에서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라고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덕트 구조(1)를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면에서 상부를 절단하여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두 도면을 같이 참조하면, 일체형 덕트 구조(1)에는 고리형 또는 도넛형의 튜브 경로(30)가 제공된다. 튜브 경로(30)의 상면은 음방출부(3)를 제외하고 모두 폐쇄된다.
덕트 구조(1)의 하면에는 진동음이 들어오는 제1음유입부(20a) 및 제2음유입부(20b)가 형성된다.
제1음유입부(20a)에 인접해서는 제1격벽(10a)이 형성되고, 제1격벽(10a)과 대향한 반대쪽, 즉 제1경로(A)를 따라 소정 지점에 개방부(202)가 형성된다. 제1격벽(10a)과 소정 간격을 두고 제1경로(A)와 반대 방향의 소정 지점에는 제2격벽(10b)이 형성된다. 제1격벽(10a)과 제2격벽(10b)이 이루는 공간은 두 격벽과 튜브 경로(30)의 상면에 의하여 폐쇄되며 진동음이 통과하지 않는다.
제2음유입부(20b)는 제2격벽(10b)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2격벽(10b)과 대향한 반대쪽, 즉 제2경로(B)를 따라 소정 지점에 통과벽(10c)이 형성된다. 통과벽(10c)에는 개구(8)가 형성되며, 메쉬(4)가 개구(8)를 덮고 있다.
개방부(202)와 통과벽(10c) 사이의 공간은 음방출부(3)로 이루어진다. 제1음유입부(20a)를 통과한 음은 상대적으로 긴 제1경로(A)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여 개방부(202)를 통해 음방출부(3)로 들어오고, 제2음유입부(20b)를 통과한 음은 상대적으로 짧은 제2경로(B)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여 개구(8) 및 메쉬(4)를 통과하여 음방출부(3)로 들어온다. 오디오 덕트 경로와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통과한 두 진동음은 음방출부(3)에서 합류하여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의 개방홀을 통하여 통하여 외부로 방사된다.
본 발명에서 적어도 제2경로(B), 즉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통과하는 진동음이 점유하는 공간은 “오디오 볼륨(V”으로 정의된다. 도 2 및 도 3에서 오디오 볼륨(V)은 제2격벽(10b)에서 시작하여 제2경로(B)를 따라 연장되어 통과벽(10c)에서 종결되는 공간으로 규정된다. 오디오볼륨(V)은 음향기기에서 리액턴스 기능을 하는 메쉬(4)와 더불어 음질의 튜닝에 중요한 인자가 된다. 오디오볼륨(V)의 크기는 경로의 길이, 음 통과 단면적, 진동음의 점유 체적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는 위와 같이, 오디오볼륨(V)을 명확히 규정할 수 있으므로, 오디오볼륨(V)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시켜 음질을 최적으로 튜닝 및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체형 턱트 구조(1)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를 도 3의 CC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일체형 턱트 구조(1)는 요크(20)의 측면을 둘러 결합된다. 통과벽(10c)의 개구(8)에 메쉬(4)가 설치된다. 마이크로스피커는 진동판(100)에서 센터돔과 엣지돔과의 경계면에 보이스코일(102)이 “장착되며, 마그넷(M)이 보이스 코일(102)이 이루는 공간 안쪽에 배치되는 내자형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그넷(M)이 외측에 배치되는 외자형 또는 내자형과 외자형의 하이브리드형에도 본 발명의 덕트 구조(1)는 적용될 수 있다.
도 5의 주파수-음압 그래프를 참조로 본 발명의 덕트 구조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경로(A)를 이루는 오디오 덕트 경로를 긴 관(튜브) 형상으로 배치하면, 긴 관로를 통과하는 음파가 서로 공명 현상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가장 큰 진동을 가져오는 공진점(F0)을 변화시킬 수 있다. 공진점(F0)의 변화로 초저역대의 음역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 유효 범위는 도 5의 “①” 영역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제2경로(B)를 이루는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에서는 오디오 볼륨(V)을 자유롭게 설계 및 배치하여 중역대의 음역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볼륨(V)과 메쉬(4)를 통과하여 튜닝된 음파의 눌리는 정도(damping degree)는 오디오볼륨(V)의 체적과 메쉬(4)의 밀도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눌리는 정도가 클수록 적색의 점선과 같이 중역대의 음압이 감소하며, 눌림이 작아질수록 녹색의 점선과 같이 중역대의 음압이 증가한다. 중역대의 음압을 조절할 수 있는 유효 영역을 “②”로 표시하였다.
다음,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앞서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오디오 덕트 경로를 통과한 음과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통과한 음의 음방출부(3)를 서로 달리 배치한 점이다.
도 6에서, 제1음유입부(20a)를 통하여 들어와 제1경로(A)를 통과한 음은 제1음방출부(3a)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된다. 그러나, 제2음유입부(20b)로 진입한 음은 제2격벽(10b) 뿐만 아니라 제3격벽(10d)에 의하여 차단된다. 제3격벽(10d)은 전술한 실시예의 통과벽(10c)에 대응하는 부재이지만, 개구가 없으며, 오디오볼륨(V)은 제2격벽(10b)과 제3격벽(10d)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된다.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통과할 음, 즉 제2음유입부(20b)를 통하여 들어온 음은 덕트 구조(1)의 상면에 형성된 제2음방출부(3b)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된다. 제2음방출부(3b)는 당연하지만 개구와 개구를 덮는 메쉬를 포함하며, 제1경로(A), 즉 오디오 덕트 경로를 통과한 음은 전달되지 않으므로, 음의 튜닝을 위한 고유의 구조와 형상을 가지도록 최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평면에서 보아, 제2음방출부(3b)는 오디오볼륨(V)의 영역 내 적절한 곳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제2음유입부(20b)와 바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은 다만 하나의 예를 제시한 것이다.
도 7은 제2음방출부(3b)가 덕트 구조(1)의 측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예이다. 제2음방출부(3b)의 설치 위치는 측면의 특정한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과 도 7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서 제2음방출부(3b)는 오디오볼륨(V)과 연통하는 구조라면, 오디오볼륨(V)의 경계영역 또는 그 내부 어디에도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경로(B)는 제1경로(A)와 반드시 정반대 방향을 이루는 것은 아니며 오디오 볼륨(V)의 내부에서 다양하고 적절하게 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앞서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덕트 구조(1)의 관로를 따라 오디오볼륨(V)의 위치를 변경한 점이다. 오디오볼륨(V)은 반시계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제1음유입부(20a)와 인접하고 있으며, 이 경우 제1경로(A)의 길이를 더 길게 하여 초저역대의 음역 확보 영역을 확장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경로(A)를 따르는 음과 제2경로(B)를 따르는 음의 음방출부를 달리하면서 오디보볼륨(V)의 위치도 변경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음을 튜닝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Claims (7)

  1. 음향기기에 결합되는 일체형 덕트 구조로서, 상기 덕트 구조는 음향기기를 둘러 형성된 튜브형의 관로를 제공하며,
    음향기기의 진동판의 음이 전달되는 제1음유입부는 상기 관로에 형성되며, 상기 제1음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음은 소정의 제1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음방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고,
    음향기기의 진동판의 음이 전달되는 제2음유입부는 상기 관로에 제1음유입부와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음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음은 제2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음방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고,
    제1음유입부에 인접하여 제1경로와 반대쪽에는 음의 전달을 차단하는 제1격벽이 형성되고, 제1경로와 같은 방향을 따라 제1음유입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음방출부와 연통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제1격벽과 소정 간격을 두고 제1경로와 반대 방향의 소정 지점에는 제2격벽이 형성되고, 제2격벽과 소정 간격을 두고 제2경로가 형성되도록 통과벽이 형성되며, 통과벽에는 개구와, 개구를 덮는 메쉬가 설치되며, 상기 통과벽은 개구를 통하여 상기 음방출부와 연통하며,
    제2격벽에서 시작하여 제2경로를 제공하도록 연장되며 통과벽에서 종결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볼륨(V)을 제공함으로써, 제2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음을 오디오볼륨(V)과 메쉬를 이용하여 튜닝 및 제어하는, 덕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음방출부는 개방부와 통과벽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제1음유입부를 통과한 음은 상대적으로 긴 제1경로를 따라 제1방향으로 진행하여 개방부를 통해 음방출부로 들어오고, 제2음유입부를 통과한 음은 상대적으로 짧은 제2경로를 따라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진행하여 개구 및 메쉬를 통과하여 튜닝되고 음방출부로 들어오는 것에 의하여, 두 음이 음방출부에서 합류하여 외부로 방사되는, 덕트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제1경로는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는 원호를 따르는 경로이며 진동판의 진동음을 주로 전달하는 오디오 덕트 경로를 이루고, 제2경로는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는 원호를 따르는 경로이며, 제1경로 및 제2경로의 중심각의 합은 180도 이상이며, 메쉬와 오디오 볼륨(V)을 이용하여 진동판의 진동음의 튜닝 기능을 수행하는, 덕트 구조.
  4. 음향기기에 결합되는 일체형 덕트 구조로서, 상기 덕트 구조는 음향기기를 둘러 형성된 튜브형의 관로를 제공하며,
    음향기기의 진동판의 음이 전달되는 제1음유입부는 상기 관로에 형성되며, 상기 제1음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음은 소정의 제1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제1음방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고,
    음향기기의 진동판의 음이 전달되는 제2음유입부는 상기 관로에 제1음유입부와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음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음은 제2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제2음방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고,
    제1음유입부에 인접하여 제1경로와 반대쪽에는 음의 전달을 차단하는 제1격벽이 형성되고, 제1경로와 같은 방향을 따라 제1음유입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음방출부와 연통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제1격벽과 소정 간격을 두고 제1경로와 반대 방향의 소정 지점에는 제2격벽이 형성되고, 제2격벽과 소정 간격을 두고 제2경로를 제공하도록 제3격벽이 형성되며,
    제2격벽에서 시작하여 제2경로를 제공하도록 연장되며 제3격벽에서 종결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볼륨(V)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음방출부는 오디오볼륨(V)의 경계 영역 또는 내부에 형성되며 제2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음이 외부로 방사되는 개구와, 개구를 덮는 메쉬를 포함함으로써, 제2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음을 오디오볼륨(V)과 메쉬를 이용하여 튜닝 및 제어하는, 덕트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볼륨(V)은 제2격벽과 제3격벽에 의하여 규정되는 차폐 구조이며, 튜브형의 관로를 따라 제1음유입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배치할 수 있는, 덕트 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음방출부는 오디오볼륨의 측면 또는 상면에 형성된, 덕트 구조.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기기는 마이크로스피커인, 덕트 구조.
KR1020220032377A 2022-03-15 2022-03-15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덕트 구조 KR102553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377A KR102553220B1 (ko) 2022-03-15 2022-03-15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덕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377A KR102553220B1 (ko) 2022-03-15 2022-03-15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덕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220B1 true KR102553220B1 (ko) 2023-07-07

Family

ID=8715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377A KR102553220B1 (ko) 2022-03-15 2022-03-15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덕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2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184A (ko) * 2013-05-20 2014-11-28 김흥배 마이크로 스피커
KR101956884B1 (ko) * 2018-03-15 2019-03-12 부전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피커 구조
KR102287937B1 (ko) * 2020-05-07 2021-08-09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어폰용 스피커유닛의 덕트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184A (ko) * 2013-05-20 2014-11-28 김흥배 마이크로 스피커
KR101956884B1 (ko) * 2018-03-15 2019-03-12 부전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피커 구조
KR102287937B1 (ko) * 2020-05-07 2021-08-09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어폰용 스피커유닛의 덕트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966B2 (en) Earphone having a controlled acoustic leak port
US10959005B2 (en) Headphone
US9510086B2 (en) Earphone having an acoustic tuning mechanism
US8139806B2 (en) Earphone for placement in an ear
CN215121124U (zh) 一种耳机用扬声器
KR102227138B1 (ko)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CN108989926B (zh) 用于耳机的、具有共鸣保护器的动态接收器
KR101644738B1 (ko)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KR102553220B1 (ko)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덕트 구조
KR102559769B1 (ko)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세트 덕트 구조
KR102538586B1 (ko) 스피커 유닛의 음향 제어 단일 덕트 구조
KR102053263B1 (ko)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이어폰
CN114846814A (zh) 具有声音后腔室通风口的耳机
AU2019284040B2 (en) An earphone having an acoustic tuning mechanism
CN210431809U (zh) 一种带内腔体异型结构的耳机
KR20240050956A (ko)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CN116055941A (zh) 音频输出模块和开放式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