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738B1 -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 Google Patents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738B1
KR101644738B1 KR1020150021539A KR20150021539A KR101644738B1 KR 101644738 B1 KR101644738 B1 KR 101644738B1 KR 1020150021539 A KR1020150021539 A KR 1020150021539A KR 20150021539 A KR20150021539 A KR 20150021539A KR 101644738 B1 KR101644738 B1 KR 101644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arphone
stopper member
shap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현
박민구
이승철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스토퍼 부재와 이어폰 케이스 사이에 외부와 연결되는 음향배출통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백챔버 내의 음압을 외부로 배출시켜서 저압 특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어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의 크기와 형태를 바꿈으로써 백 볼륨과 음향 출력 통로의 크기와 형태를 조절하여 이어폰의 음향 필드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Ear-phone}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스토퍼 부재와 이어폰 케이스 사이에 외부와 연결되는 음향배출통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백챔버 내의 음압을 외부로 배출시켜서 저압 특성을 좋게 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ear-phone)은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전기음향 변환기능을 가지는 스피커의 일종으로서 크기가 작아서 귀속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어폰의 스피커유닛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경우, 스피커유닛의 전방으로 공기(음파)가 진동하여 귀의 고막을 진동함으로써 소리를 듣게 된다. 이 경우, 스피커유닛의 후방으로도 공기의 진동(음파)이 진행한다. 따라서 이어폰은 후방 음의 처리 방법에 따라서 밀폐형과 개방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이어폰은 스피커유닛를 내장한 케이스의 형태에 따라 밀폐형과 개방형으로 나누어진다. 밀폐형(closed air type)은 케이스가 외부로부터 밀폐된 것을 말하며 개방형(opened air type)은 케이스의 뒤쪽 가장자리에 작은 구멍(백홀(back hole)이라 함)을 설치하여 케이스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한 것을 말한다.
개방형 이어폰에 있어서, 백홀의 크기에 따라 음향 신호의 중역과 고역 사이에서 공진이 발생되고, 이 공진에 의해 중역과 고역 사이에서 음압의 피크가 발생하여 이어폰의 주파수 특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음향 덕트를 구비하는 개방형 이어폰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음향 덕트를 구비하는 개방형 이어폰은 미합중국 공개특허 US 4,742,887호에 개시된다.
도 5는 종래의 개방형 이어폰의 일 예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영구 자석, 보이스 코일, 진동판으로 구성되는 스피커유닛(102)과 이를 내장하는 이어폰 케이스(104)로 구성된다. 이어폰 케이스(104)의 뒤쪽 가장 자리에는 부직포 등의 통기 저항체가 붙여진 백홀(106)이 설치되며, 케이스의 일 측으로 연장된 음향 덕트(108)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이어폰 케이스(104)의 일부를 연장하여 음향 덕트(108)를 설치함으로써 스피커유닛(102)의 컴플라이언스 및 등가 질량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음향 덕트(108)는 진동계에 대하여 등가 질량을 부가하는 역할을 하므로 진동계의 공진 주파수는 음향 덕트에 의한 등가 질량만큼 낮아지게 된다. 즉, 진동계의 컴플라이언스나 등가 질량에 관계없이 진동계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음향 덕트(108)에 의해 이어폰의 저역 특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어폰의 저역 특성은 기본적으로 음향 덕트(108)의 등가 질량 및 진동계의 공진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지만, 이외에도 이어폰과 귀와의 결합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즉, 이어폰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가 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누설되는 정도에 따라 저역 특성이 달라진다. 누설이 많을 경우 음향 신호의 저역 성분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다른 귀 구조에 따라 누설의 정도가 다른 것도 이어폰의 저역 특성을 결정하는 한 요소가 된다.
그리고 음향 덕트(108)에는 스피커유닛(102)과 결합하여 외부의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설치된다. 그런데 케이블의 단선은 이어폰의 가장 큰 파손의 원인 중의 하나이다. 케이블의 단선은 주로 케이블을 당길 때 스피커유닛(102)의 접속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발생한다.
(0001) 한국등록특허공보 10-0694160 (2007.03.12.공고) (0002) 한국등록특허공보 10-0882328 (2009.02.11. 공고) (0033)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5-0000906 (2015.01.05 공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이어폰 케이스의 내부에 케이블의 이탈 및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설치된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스토퍼부재를 이어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하되, 케이블 스토퍼부재의 외주 면과 이어폰 케이스의 내측 면 사이에 백챔버의 음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음향배출통로가 형성되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 케이스의 변경 없이 케이블 스토퍼부재의 크기와 형태를 변경시켜 음향배출통로의 크기와 형태를 바꿔줌으로써 균일한 음향 성능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은,
일정한 크기의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이어폰 케이스와;
상기 이어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을 재생하는 스피커유닛과;
상기 스피커유닛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유닛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폰 케이스는, 하나 이상의 출력개구가 구비된 전방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음향 덕트가 형성된 튜브부분이 일체로 형성된 후방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음향 덕트와 연결되는 스토퍼설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설치부에 케이블 스토퍼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면,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의 외주 면과 상기 스토퍼설치부의 내측면 사이에 다수의 음향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설치부는 원통이나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는 다각형이나 다각 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스토퍼설치부에 케이블 스토퍼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면,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의 외주 면과 상기 스토퍼설치부의 내측면 사이에 삼각 형상을 갖는 다수의 음향배출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음향배출통로의 크기와 형태는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의 형태에 따라서 변경된다.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는 상기 스토퍼설치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진 스토퍼 본체와, 상기 스토퍼 본체의 가운데에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과, 상기 케이블의 외주 면에 고정되어 있는 클램프가 안착 되도록 상기 스토퍼 본체의 선단에 형성된 안착 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는 상기 스토퍼설치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케이블이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고정된 스토퍼 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어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유닛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전방챔버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백챔버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 케이스에는 상기 스피커유닛의 전면에서 생성된 음을 외이도로 배출하기 위한 제1 출력개구와, 상기 외이도 및 전방챔버 내의 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출력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백챔버의 크기와 형태는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변경된다.
상기 튜브부분에는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백홀이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음향 덕트를 연통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토퍼가 구비된 이어폰은 이어폰 케이스의 내부에 케이블의 이탈 및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스토퍼부재를 설치하여 케이블이 빠지거나 단선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스토퍼부재의 외주 면과 이어폰 케이스의 내측 면 사이에 백챔버의 음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음향배출통로를 형성하여 이어폰유닛의 후방에서 방사되는 후방 음이 원활하게 배출하여 우수한 저음 특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 케이스의 변경 없이 케이블 스토퍼부재의 크기와 형태를 변경시켜 음향배출통로의 크기와 형태를 바꿔줌으로써 균일한 음향 성능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단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배출통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1)(이하,'이어폰'이라 한다.)은, 일정한 크기의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이어폰 케이스(10)와, 상기 이어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을 재생하는 스피커유닛(20)과, 상기 이어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피커유닛(20)에 접속되는 케이블(40)을 고정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이어폰 케이스(10)는, 하나 이상의 출력개구(15)(16)가 구비된 전방 케이스(11)와, 상기 케이블(40)이 관통하는 음향 덕트(19)가 형성된 튜브부분(17)이 일체로 형성된 후방 케이스(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후방 케이스(12)에는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가 삽입되어 고정디는 스토퍼설치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설치부(18)는 대략 원통이나 원뿔 형으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단축과 장축을 갖는 원통이나 원뿔 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향 덕트(19)와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는, 상기 케이블 케이스(10)의 스토퍼설치부(18)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는 스토퍼설치부(18)에 삽입되는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진 스토퍼 본체(31)와, 상기 스토퍼 본체(31)의 가운데에 케이블(4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32)과, 상기 케이블(40)의 외주 면에 고정되어 있는 클램프(41)가 안착 되도록 상기 스토퍼 본체(31)의 선단에 형성된 안착 홈(3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클램프(41)는 케이블(40)의 외주 면에 감아서 고정하는 금속 띠나 플라스틱 띠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케이스(10)의 내부에 케이블 스토퍼부재(30)를 설치하면 스피커유닛(20)에 연결된 케이블(40)이 빠지거나 단선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와 상기 이어폰 케이스(1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음향배출통로(17)가 형성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음향배출통로(17)는 케이블 스토퍼부재(30)의 외주 면과 상기 이어폰 케이스(10)의 내 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는 육각 기둥 형상이나 육각 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를 원통이나 원뿔 형상의 스토퍼설치부(18)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의 모서리와 모서리 사이에 대략 삼각 형상의 음향배출통로(17)가 다수 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 케이스(10) 내부에는 스피커유닛(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이어폰 케이스(10)의 내부는 상기 스피커유닛(20)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전방챔버(23)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백챔버(25)가 형성된다. 상기 스피커유닛(20)에서 생성되는 전방 음을 전방챔버(23)를 통해서 출력개구(15)(16)로 배출되고, 상기 스피커유닛(20)에서 발생 되는 후방 음은 백챔버(25)와 음향배출통로(18)를 통해서 상기 음향 덕트(19)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은, 케이블(40)이 빠지거나 단선 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30)를 이어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하되, 상기 이어폰 케이스(10)에 케이블 스토퍼부재(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원통형이나 원뿔 형의 스토퍼설치부(18)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는 다각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의 외주 면과 이어폰 케이스(10)의 내측 면 사이에 대략 삼각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음향배출통로(18)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은 하이브리드(hybrid)형 이다. 즉, 본 발명의 이어폰(1)은 귓바퀴에 걸치는 이어폰(intra-concha earphone)과 귓구멍에 꽂는 이어폰(intracanal earphone)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이어폰 케이스(10)는, 귓바퀴에 걸치는 이어폰처럼 귓바퀴 내에 놓이는 본체 부분(13)과, 귓구멍에 꽂는 이어폰과 유사한 외이도로 연장하는 팁 부분(1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 케이스(10)는, 팀 부분(15)을 포함하는 전방 케이스(11)와 튜브부분(21)을 포함하는 후방 케이스(12)로 나누어진다. 상기 전방 케이스(11)와 후방 케이스(12)는 각각 플라스틱 소재를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전방 케이스(11)는 스피커유닛(20)의 전방에서 생성되는 음을 방출하기 위한 제1 출력개구(15)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출력개구(15)는 팁 부분(14)에 구비된다. 상기 1차 출력개구(15)는 팁 부분(14)이 외이도 내에 위치할 때, 스피커유닛(20)에 의해 생성된 소리를 외이도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전방 케이스(1)의 본체 부분(13)에는 제2 출력개구(16)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출력개구(16)는 본체 부분(13) 내의 음을 외부로 배출한다. 즉, 제2 출력개구(13)는 상대적으로 작고 제어된 양의 공기를 외이도와 본체 부분(13)으로부터 외부로 누설하는 누설 포트(leak port)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출력개구(16)는 제어된 양의 공기를 외부로 누설하여 외이도 내측에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압력 레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높은 압력은 사용자에게 불쾌한 음향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개구(15) 및 제2 출력개구(16)에는 도시되지 않은 음향 댐퍼(acoustic protective material)가 설치될 수 있다. 음향 댐퍼는 음향 저항이나 필터링 효과를 제공하는 음향학적으로 설계된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스피커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특정 음압 웨이브를 필터링하도록 제조되는 메시(mesh) 또는 폼(foam)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 상기 후방 케이스(12)는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케이블(40)이 관통하는 튜브부분(21)이 구비된다. 상기 튜브부분(21)은 본체 부분(13)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부분(21)에는 케이블(4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음향 덕트(19)가 구비된다. 상기 음향 덕트(19)는 이어폰 케이스(10)의 내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부분(21)에는 스피커유닛(20)에 의해서 생성된 소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백홀(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백홀(22)은 스피커유닛(20)에서 생성된 소리를 외부로 배출하여 저음 특성을 좋게 한다.
상기 백홀(22)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크린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스피커유닛(20로부터 출력된 특정 음압 웨이브를 필터링 도록 제조되는 메시(mesh) 또는 폼(foam)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케이스(11)와 후방 케이스(12)를 전후로 서로 결합하면,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어폰 케이스(10)의 수용공간에는 스피커유닛(20)과 케이블 스토퍼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유닛(20)은 영구 자석, 보이스 코일, 진동판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스피커유닛과 동일하다.
상기 이어폰 케이스(10)의 본체 부분(13)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유닛(20)을 중심으로 전방챔버(23)와 백챔버(25)로 나누어진다. 상기 전방챔버(23)는 스피커유닛(20)의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전방챔버(23)는 이어폰 케이스(10)의 본체 부분(13)과 팁 부분(14)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스피커유닛(20)의 전면에서 생성된 음파는 상기 전방챔버(23)를 지나 제1 출력개구(15)를 통해 외이도로 배출된다. 또한, 전방챔버(23)는 제2 출력개구(16)를 통해 외이도 내부의 음압이나 공기 웨이브를 외부 환경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백챔버(25)는 스피커유닛(20)의 후면(back face) 주위에 형성된다. 상기 백챔버(25)는 이어폰 케이스(10)의 본체 부분(13)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유닛(20)의 후면에서 생성된 음파는 백챔버(25)를 지나 음향 덕트(19)로 배출되고, 그리고 음향 덕트(19) 내부의 음은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는 상기 스토퍼설치부(18)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진 스토퍼 본체(31)를 포함한다. 스토퍼 본체(31)는 플라스틱을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 본체(31)는 다각 뿔 바람직하게는 육각 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토퍼 본체(31)의 가운데에는 케이블(4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 구멍(32)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본체(31)의 선단에는 상기 케이블(40)의 외주 면에 고정되어 있는 클램프(41)가 안착 되도록 안착 홈(33)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클램프(41)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스토퍼 본체(31)를 성형할 때 케이블(40)을 인서트 성형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케이스(10)와 케이블 스토퍼부재(30) 사이에는 백챔버(25) 내의 음파를 튜브부분(21)의 음향 덕트(19)로 배출하기 위한 음향배출통로(17)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유닛(20)의 후면에서 생성되는 음파는 상기 음향배출통로(17)를 통해 음향 덕트(19)로 배출된다.
상기 음향배출통로(17)의 크기와 형태는 이어폰(1)의 음향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음향배출통로(17)의 형태를 변경하여 이어폰(1)의 음향 성능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에 따라 스피커유닛(10)의 특성이 자주 바뀌는데, 이때 이어폰(1)의 음향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음향배출통로(17)의 크기와 형태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이어폰 케이스(10)의 크기와 형태를 바꾸는 것은 금형 비용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이어폰 케이스(10)는 그대로 두고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의 형태를 바꿈으로써 음향 성능을 수정할 수 있다. 즉, 케이블 스토퍼부재(30)는, 이어폰 케이스(10) 내에서 별도의 구조체이므로, 케이블 스토퍼부재(30)의 형태는 이어폰 케이스(10)의 크기와 모양을 변경하지 않고 원하는 음향 성능을 달성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는 실질적으로 다각형이나 다각 뿔 모양의 구조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 케이스(10)에 형성된 스토퍼설치부(18)는 실질적으로 원형이나 원뿔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각형이나 다각 뿔 형태의 케이블 스토퍼부재(30)를 원형이나 원뿔 형태의 스토퍼설치부(18)에 삽입하면,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의 외주 면과 스토퍼설치부(18) 사이에 대략 삼각형상의 음향배출통로(1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음향배출통로(17)는 케이블 스토퍼부재(30)의 모서리와 모서리 사이에 형성되므로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의 모서리의 크기가 변하도록 케이블 스토퍼부재(30)의 형상을 바꾸면, 상기 모서리 사이에 형성되는 음향배출통로(17)의 크기와 형태를 쉽게 바꿀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어폰 케이스(10)의 후방에 형성되는 백챔버(25)의 크기와 모양도 이어폰(1)의 전체적인 음향 성능에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케이블 스토퍼부재(30)는 백챔버(25)의 일부를 정의하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는 이어폰(1)의 음향 성능을 수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는 그 형태와 크기를 변경하여 백챔버(25)의 형태와 크기를 바꿀 수 있다.
즉, 이어폰 케이스(10) 자체의 크기와 모양을 변경하여 백챔버(25)의 형태와 크기를 바꿀 때는 많은 금형 비용이 소요되나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는 저렴한 비용으로 크기와 형태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백챔버(25)의 크기와 형태를 바꿈으로써 이어폰(1)의 주파수 응답을 쉽게 튜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 케이스(10)에는 스토퍼설치부(18)와 연결되도록 튜브부분(21)이 형성된다. 상기 튜브부분(21)에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유닛(20)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선을 포함하는 케이블(40)이 설치된다. 상기 튜브부분(21)에는 케이블(40)을 설치하기 위한 음향 덕트(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음향 덕트(19)에는 하나 이상의 백홀(22)이 형성된다. 상기 백홀(22)은 상기 음향 덕트(19) 내부의 음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백홀(22)에는 먼지 및 다른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시되지 않은 스크린이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은 백홀(22)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스크린은 실질적으로 음파의 전송에 방해가 되지 않는 음향학적으로 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은 이어폰 케이스(10)의 크기와 형태를 바꾸지 않고서도 케이블 스토퍼부재(50)의 크기와 형태만을 바꿔서 백 볼륨(25)과 음향배출통로(17)의 크기와 형태를 바꿀 수 있다. 특히, 이어폰(1)의 음향 성능은 스피커유닛(20)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어폰 케이스(10)를 변경하지 않고 케이블 스토퍼부재(30)에 의해 백 볼륨(25)과 음향배출통로(17)의 크기와 형태를 바꿈으로써 이어폰(1)의 음향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피커유닛(20)의 전면에서 생성되는 음파는 전방챔버(23)를 통해서 제1 출력개구(15)로 배출된다. 그리고 팁 부분(14)이 외이도에 삽입된 상태에서 음파는 외이도로 배출된다. 그리고 외이도 내부의 음압이나 공기 웨이브는 제2 출력개구(1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스피커유닛(20)의 후면에서 생성되는 음파는 백챔버(25)와 음향 출력 통로(17)를 통해서 음향 덕트(19)로 배출된다. 그리고 음향 덕트(19) 내의 음파는 백홀(22)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백 볼륨(25)과 음향 출력 통로(17)는 원하는 음향 응답을 달성하도록 교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1)의 저음 응답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백 볼륨(25), 음향 출력 통로(17), 음향 덕트(19), 백홀(2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면적이 증가 되어야 한다. 반대로 저음 응답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백 볼륨(25), 음향 출력 통로(17), 음향 덕트(19), 백홀(2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면적이 감소 되어야 한다.
이 중 음향 덕트(19)와 백홀(22)은 이어폰 케이스(10)에 형성되므로 이어폰 케이스(10)를 바꾸어야 그 크기와 형태를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이어폰 케이스(10)를 바꾸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반면에 상기 백 볼륨(25)과 음향 출력 통로(17)는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를 크기와 형태를 바꿈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그 크기와 형태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백 볼륨(25)과 음향 출력 통로(17)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작은 단면적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의 크기와 형태를 키울 수 있다. 반대로, 반대로 백 볼륨(25)과 음향 출력 통로(17) 중 하나 이상에 대해 큰 단면적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의 크기와 형태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30)는 크기에 따라 준비된 성형물을 사용하거나 케이블 스토퍼부재(30)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덧붙여서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 스토퍼부재(30)의 크기와 형태를 바꿈으로써 백 볼륨(25)과 음향 출력 통로(17)의 크기와 형태를 조절하여 이어폰의 음향 필드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이어폰 10: 이어폰 케이스
11: 전반 케이스 12: 후방 케이스
13: 본체 부분 14: 팁 부분
15: 제1 출력개구 16: 제2 출력개구
17: 음향배출통로 18: 스토퍼설치부
19: 음향 덕트 20: 스피커유닛
21: 튜브부분 22: 백홀
23: 전방챔버 25: 백챔버
30: 케이블 스토퍼부재 31: 스토퍼 본체
32: 관통 구멍 33: 안착 홈
40: 케이블 41: 클램프

Claims (9)

  1. 일정한 크기의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이어폰 케이스와;
    상기 이어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을 재생하는 스피커유닛과;
    상기 스피커유닛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유닛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폰 케이스는, 하나 이상의 출력개구가 구비된 전방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음향 덕트가 형성된 튜브부분이 일체로 형성된 후방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음향 덕트와 연결되는 스토퍼설치부가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설치부는 원통이나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는 다각형이나 다각 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스토퍼설치부에 케이블 스토퍼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면,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의 외주 면과 상기 스토퍼설치부의 내측면 사이에 삼각 형상을 갖는 다수의 음향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배출통로의 크기와 형태는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의 형태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4. 일정한 크기의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이어폰 케이스와;
    상기 이어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을 재생하는 스피커유닛과;
    상기 스피커유닛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유닛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폰 케이스는, 하나 이상의 출력개구가 구비된 전방 케이스와,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음향 덕트가 형성된 튜브부분이 일체로 형성된 후방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음향 덕트와 연결되는 스토퍼설치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설치부에 케이블 스토퍼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면,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의 외주 면과 상기 스토퍼설치부의 내측면 사이에 다수의 음향배출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는 상기 스토퍼설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진 스토퍼 본체와, 상기 스토퍼 본체의 가운데에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과, 상기 케이블의 외주 면에 고정되어 있는 클램프가 안착 되도록 상기 스토퍼 본체의 선단에 형성된 안착 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는 상기 스토퍼설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케이블이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고정된 스토퍼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유닛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전방챔버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백챔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케이스에는 상기 스피커유닛의 전면에서 생성된 음을 외이도를 배출하기 위한 제1 출력개구와, 상기 외이도 및 전방챔버 내의 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출력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백챔버의 크기와 형태는 상기 케이블 스토퍼부재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분에는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백홀이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음향 덕트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KR1020150021539A 2015-02-12 2015-02-12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KR101644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539A KR101644738B1 (ko) 2015-02-12 2015-02-12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539A KR101644738B1 (ko) 2015-02-12 2015-02-12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738B1 true KR101644738B1 (ko) 2016-08-01

Family

ID=5670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539A KR101644738B1 (ko) 2015-02-12 2015-02-12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7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263B1 (ko) * 2018-09-12 2019-12-06 이근형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이어폰
KR20200136592A (ko) *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이엠텍 세미 커널 타입 이어셋
KR102252020B1 (ko) * 2019-11-19 2021-05-14 주식회사 이엠텍 체적 조절 부재를 구비하는 음향 재생 장치
KR102420264B1 (ko) * 2021-01-12 2022-07-13 에스텍 주식회사 헤드폰 장치
KR102442961B1 (ko) * 2021-04-09 2022-09-15 주식회사 이엠텍 기압 평형홀와 백홀을 구획하는 덕트 유닛을 구비하는 이어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60B1 (ko) 2005-12-29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덕트부를 가지는 이어폰
KR100882328B1 (ko) 2006-06-29 2009-02-11 코트론 코포레이션 스피커와 하우징 사이에 후방 챔버의 조절 가능한 체적을가진 귀 삽입형 및 이어플러그 유형 이어폰
KR100899757B1 (ko) * 2007-09-28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셋
KR20110103624A (ko) * 2010-03-15 2011-09-21 서기영 동축용 음발생부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투웨이 이어폰
JP2011216992A (ja) * 2010-03-31 2011-10-27 D&M Holdings Inc ヘッドホン装置
KR20150000906A (ko) 2012-06-20 2015-01-05 애플 인크. 제어된 음향 누설 포트를 갖는 이어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60B1 (ko) 2005-12-29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덕트부를 가지는 이어폰
KR100882328B1 (ko) 2006-06-29 2009-02-11 코트론 코포레이션 스피커와 하우징 사이에 후방 챔버의 조절 가능한 체적을가진 귀 삽입형 및 이어플러그 유형 이어폰
KR100899757B1 (ko) * 2007-09-28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셋
KR20110103624A (ko) * 2010-03-15 2011-09-21 서기영 동축용 음발생부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투웨이 이어폰
JP2011216992A (ja) * 2010-03-31 2011-10-27 D&M Holdings Inc ヘッドホン装置
KR20150000906A (ko) 2012-06-20 2015-01-05 애플 인크. 제어된 음향 누설 포트를 갖는 이어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263B1 (ko) * 2018-09-12 2019-12-06 이근형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이어폰
WO2020055167A1 (ko) * 2018-09-12 2020-03-19 이근형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이어폰
KR20200136592A (ko) *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이엠텍 세미 커널 타입 이어셋
KR102219490B1 (ko) * 2019-05-28 2021-02-24 주식회사 이엠텍 세미 커널 타입 무선 이어셋
KR102252020B1 (ko) * 2019-11-19 2021-05-14 주식회사 이엠텍 체적 조절 부재를 구비하는 음향 재생 장치
KR102420264B1 (ko) * 2021-01-12 2022-07-13 에스텍 주식회사 헤드폰 장치
KR102442961B1 (ko) * 2021-04-09 2022-09-15 주식회사 이엠텍 기압 평형홀와 백홀을 구획하는 덕트 유닛을 구비하는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966B2 (en) Earphone having a controlled acoustic leak port
JP5695703B2 (ja) 音響チューニングメカニズムを有するイヤホン
CN109218888B (zh) 具有通风室的质量加载耳塞
US9237394B2 (en) Canal type earphone with pressure equilibrium means
KR101644738B1 (ko)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US8971545B2 (en) Earpiece
US11234085B2 (en) Earpieces and related articles and devices
AU2018206774B2 (en) An earphone having an acoustic tun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