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586B1 - 스피커 유닛의 음향 제어 단일 덕트 구조 - Google Patents

스피커 유닛의 음향 제어 단일 덕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586B1
KR102538586B1 KR1020220036366A KR20220036366A KR102538586B1 KR 102538586 B1 KR102538586 B1 KR 102538586B1 KR 1020220036366 A KR1020220036366 A KR 1020220036366A KR 20220036366 A KR20220036366 A KR 20220036366A KR 102538586 B1 KR102538586 B1 KR 102538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tructure
sound
single duct
housing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구
천승우
김하림
조동현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6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유닛에 적용되는 단일형 덕트 구조가,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며 요크와 독립되어 설치되므로 다양한 중심각을 가지는 덕트 구조를 실현할 수 있고, 단일 덕트 구조의 일부를 개방형으로 제작하여 컴팩트한 구조의 스피커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유닛의 음향 제어 단일 덕트 구조{Unitary type duct structure of speaker unit for sound effect control}
본 발명은 스피커 유닛의 음향 제어 단일 덕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의 경우 구조에 따라 커널형의 폐쇄형과 오버이어(overear)형의 개방형이 있다. 종래에는 주로 개방형 이어폰을 이용하였으나, 2000년 중반 이후 커널형 이어폰이 보급되면서 현재 폐쇄형 이어폰이 보편화되었다. 커널형 이어폰의 경우 음악을 누설 없이 들을 수 있고 타인에게 소리가 전달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귀의 외이도를 완전히 막는 결과 착용감이 불편하고, 외부 소리를 거의 들을 수 없으며, 외이도에 형성된 고압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두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개방형 이어폰의 경우 귀의 외이도를 막지 않고 귓바퀴에 걸치는 유형이므로 착용감이 좋고 외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점에서 좋지만, 사용자가 듣는 음이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므로 예를 들어 많은 사람이 모인 공간에서 음을 크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최근 TWS등 고급 기기의 보급에 따라 이어폰의 종류에 관계없이 후방으로 방사되는 음을 조절하고 튜닝하는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경우 후방 방사음의 제어를 위한 튜닝이 중요하다.
출원인은 특허 제10-2287937호에서,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진동판(100')과, 진동판(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음향코일(210'), 마그네틱(220') 및 요크(230')로 구성된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후방음의 전달을 위하여 도 12에 도시한 덕트프레임을 제안하였다.
덕트프레임은 하부프레임(400')과 상부프레임(500')으로 이루어진다. 하부프레임(400')의 하면에는 진동판(100')의 음이 유입되는 음유입부(320')가 형성되며, 음의 전달을 차단하는 격벽(340')에 튜닝구멍(350')이 형성된다. 상부프레임(500')은 하부프레임(400')을 덮으며, 설치패널(500a')은 조립형이고, 상면에 음방출부(330')가 형성된다. 메쉬(360')는 튜닝구멍(350')을 덮도록 장착된다.
음유입부(320')를 통해 전달된 음향은 두 경로로 나뉘어진다. 구체적으로, 덕트공간(310')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전달되는 오디오 덕트 경로를 따르는 것과, 반시계 방향으로 전달되어 튜닝구멍(350')의 메쉬(360')를 통과하는 오디오 메쉬 경로가 있다. 두 경로를 지난 음은 하나의 음방출부(330')에서 합류되어 외부로 방사된다.
그런데, 위 구조는 원형의 도넛형 덕트프레임을 채용하는 결과 제적을 많이 점유하여 스피커의 소형화에 다소 불리한 단점이 있다. 또, 하나의 음유입부(320')를 상정하는 결과, 진동판(100')의 후방 체적에 넓게 존재하는 후방음의 음방출은 고려하지 않아 음향 제어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단점을 일거에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피커 유닛에 적용되는 단일형 덕트 구조로서 오디오 덕트 경로와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제공하여 음파를 최적으로 튜닝할 수 있는 덕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향기기에 결합되는 단일 덕트 구조로서, 상기 단일 덕트 구조는 음향기기의 내부를 둘러 형성된 관로를 제공하며, 음향기기의 외부는 하우징이 둘러싸고, 상기 단일 덕트 구조는 하우징의 내벽에 긴밀히 결합되며, 음향기기의 요크를 둘러싸도록 요크와 독립하여 배치되고, 단일 덕트 구조는 개방된 입구부와, 격벽으로 폐쇄된 출구부를 포함하며, 격벽에 인접하여 제1음방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크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유입부가 형성되고, 하우징에는 제1음방출부와 인접하여 외부 방출부가 형성되며, 음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진동음은 단일 덕트 구조의 입구부를 통하여 단일 덕트 구조가 제공하는 관로를 따라 흘러 제1음방출부를 통하여 단일 덕트 구조를 벗어난 후, 외부 방출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방사되는 제1경로를 이루고, 상기 요크의 후면과 하우징 사이에는 진동판의 진동음이 존재하는 후면체적(Rv)이 형성되고, 단일 덕트 구조에는 후면체적(Rv)에 존재하는 음을 단일 덕트 구조 내부로 연통시키는 통로가 형성되며, 메쉬가 상기 통로를 덮도록 장착되고, 단일 덕트 구조에는 상기 외부방출부와 인접하여 제2음방출부가 형성되어, 후면체적(Rv)에 존재하는 음은 통로의 메쉬를 통과하여 단일 덕트 구조의 내부를 흘러 제2음방출부를 통하여 단일 덕트 구조를 벗어난 후, 외부 방출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방사되는 제2경로를 이루는, 덕트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단일 덕트 구조는 환형의 고리형 또는 부분 고리형일 수 있다.
상기 단일덕트 구조의 상면과 이격된 상부에는 음향기기의 하우징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브라켓이 형성되며, 후면체적(Rv)의 상부 경계는 상기 브라켓에 의하여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단일덕트 구조의 상면은 개방되며 개방된 상면은 하우징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필름에 의하여 폐쇄되며, 후면체적(Rv)의 상부 경계는 상기 필름에 의하여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단일덕트 구조의 하면의 일부는 개방되며 개방된 하면은 하우징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필름에 의하여 폐쇄되며, 후면체적(Rv)의 상부 경계는 상기 제2필름에 의하여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단일덕트 구조의 상면은 개방되며 개방된 상면은 하우징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상부덕트에 의하여 폐쇄되며, 후면체적(Rv)의 경계는 상기 상부덕트에 의하여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음방출부와 상기 제2음방출부는 동일한 구조로 공통의 음방출부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덕트 구조를 요크와 독립하여 제작하여 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덕트 구조의 설계와 제작이 간편하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방체적에 존재하는 모든 진동음이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거쳐 튜닝되므로, 음향기기 진동음에서 전달되는 음을 저역대와 중역대 주파수 범위에 걸쳐 다양하고 최적으로 튜닝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덕트를 폐쇄형뿐만 아니라 개방형으로 제작하고 브라켓트 이외에 필름 또는 추가의 다른 덕트를 이용하여 단일 덕트의 폐쇄 구조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전장이 낮고 보다 컴팩트 한 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일 덕트 구조를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면에서 상부를 절단하여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일 덕트 구조를 절단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와 같은 평면도로서, 제2경로(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단일 덕트 구조를 절단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하우징의 방출부를 보이기 위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일 덕트 구조를 절단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b)는 단일 덕트 구조에서 제1경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일 덕트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그리고 도 7(c)는 제2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일 덕트 구조를 절단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b)는 단일 덕트 구조에서 제1경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일 덕트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그리고 도 8(c)는 제2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일 덕트 구조를 절단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9(b)는 단일 덕트 구조에서 제1경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일 덕트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그리고 도 9(c)는 제2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은 주파수-음압 그래프를 참조로 본 발명의 덕트 구조의 효과를 설명한 도면;
도 11은 선행기술의 덕트 프레임을 포함한 음향기기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도 10의 덕트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마이크로스피커와 같은 음향기기에 일체로 장착되는 덕트 구조에 있으며, 음향기기의 드라이버나 하우징은 어느 것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음향기기의 예로 마이크로스피커를 전제로 설명하지만, 대형의 우퍼 스피커, 헤드셋 등 다른 음향기기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동일한 설명이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일 덕트 구조(1)를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면에서 상부를 절단하여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마이크로스피커의 외부는 돔형의 하우징(9)이 둘러싸고 있다. 본 발명의 단일 덕트 구조(1)는 하우징(9)의 내부에, 도시한 예에서는 대략 90도 내외의 중심각을 가지는 원호를 따르는 고리형으로 제작된다. 단일 덕트 구조(1)는 하우징(9)의 내벽에 긴밀히 결합되도록 그리고 요크(20)를 바깥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단일 덕트 구조(1)의 입구부(2)는 개방되며 출구부는 격벽(12)으로 폐쇄된다. 격벽(12)에 인접하여 상면에 제1음방출부(3a)가 형성된다. 도면에서 요크(20)의 측면을 이루는 테두리의 일면(마이크로스피커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외이도와 반대쪽의 외향면)에는 슬롯형의 예를 들어 5개의 음유입부(20a)가 원호 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하우징(9)에는 제1음방출부(3a)와 인접하여 방출부(90)가 형성된다.
음유입부(20a)를 통하여 들어온 진동음은 제1경로(A)를 따라, 구체적으로 입구부(2)를 통하여 단일 덕트 구조(1)가 제공하는 환형의 튜브 채널을 따라 흘러 제1음방출부(3a)를 통하여 단일 덕트 구조(1)를 벗어난 후, 인접한 방출부(90)를 통하여 하우징(9)의 외부로 방사된다. 방출부(90)는 제1음방출부(3a)보다 충분히 더 큰 크기로 제작되어 제1음방출부(3a)를 통과한 진동음이 누설 없이 방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경로(A)는 진동판(100)의 진동음을 주로 전달하는 점에서 “오디오 덕트 경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 덕트 구조(1)의 구조적 특징은, 선행 기술과 달리 음유입부(20a)가 고리형 덕트 구조의 경로나 그 연장선과 동일한 평면상에 있지 않으며, 단일 덕트 구조(1)와 독립하여 모두 그 안쪽에 배치되므로, 단일 덕트 구조(1)를 반호형 또는 1/4 고리형으로 자유롭게 설계 및 배치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또, 음유입부(20a)를 단일 덕트 구조(1)의 안쪽에 다수 임의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음유입부(20a)가 복수인 경우라도 모든 음유입부(20a)를 통과한 진동음이 단일 덕트 구조(1)의 입구부(2)로 진입하므로 광범위한 대역에서 효율적으로 음을 튜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일 덕트 구조(1)를 절단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와 같은 평면도이며, 제2경로(B)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마이크로스피커의 하우징(9)의 상부를 가로질러 브라켓(11)이 설치된다. 브라켓(11)에 의하여 진동음의 상부 진입이 폐쇄되므로 도시한 것과 같이 요크(20)의 후면에서 브라켓(11) 사이의 공간에 후면체적(Rv)이 형성된다. 후면체적(Rv)에는 음유입부(20a)를 통하여 들어온 진동음과 그 외 다른 경로로 진동판(100)에서 전달된 음파가 존재하고 있다.
단일 덕트 구조(1)의 적절한 곳 예를 들어 하면에는 통로(5)가 형성되며, 메쉬(7)가 통로(5)를 덮도록 장착된다. 통로(5)는 개구 또는 좁은 채널일 수 있다. 또, 단일 덕트 구조(1)의 상면에는 제2음방출부(3b)가 형성된다. 제2음방출부(3b)는 방출부(9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체적(Rv)에 존재하는 음은 제2경로(B)를 따라, 구체적으로 통로(5)를 통하여 메쉬(7)를 통과하여 단일 덕트 구조(1)의 내부를 흐른 후 제2음방출부(3b)와 방출부(9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사된다. 제2경로(B)는 메쉬(7)를 이용하여 진동판의 진동음의 튜닝 기능을 주로 하는 점에서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라고 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음방출부(3b)와 제1음방출부(3a)가 동일한 것을 보였는데, 이 경우 제1및 제2경로(A, B)를 거친 각각의 음파는 합류하여 공통의 음방출부인 제1음방출부(또는 제2음방출부)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하우징 방출부(9)를 통과하는 셈이 된다. 하지만, 제2음방출부(3b)는 제1음방출부(3a)와 별개로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및 제2경로(A, B)를 거친 각각의 음파는 방출부(9)를 통과하기 전에 최종적으로 합류하는 셈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일 덕트 구조(1)를 절단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은 하우징(9)의 방출부(90)를 보이기 위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하우징(9)은 브라켓(11)을 경계로 상부하우징(9a)과 하부하우징(9b)이 결합된 구조이다. 브라켓(11)에 의하여 후방체적(Ra)의 경계가 정해지므로 브라켓(11)의 설치 높이를 변경하여 후방체적(Rv)의 크기를 변경하여 음의 튜닝을 조절할 수 있는 점에서 브라켓(11)의 설치는 유리하다. 마이크로스피커는 진동판(100)에서 센터돔과 엣지돔과의 경계면에 보이스코일(102)이 장착되며, 마그넷(M)이 보이스 코일(102)이 이루는 공간 안쪽에 배치되는 내자형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그넷(M)이 외측에 배치되는 외자형 또는 내자형과 외자형의 하이브리드형에도 본 발명의 덕트 구조(1)는 적용될 수 있다.
단일 덕트 구조(1)가 제공하는 통로의 단면적은 사각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 제1음방출부(3a)와 제2음방출부(3b)는 단일 덕트 구조(1)의 상면이 아니라 측면에 또는 상면과 측면으로 나누어 설치하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단일 덕트 구조와 필름 또는 덕트와의 결합 구조>
다음, 도 7내지 도 9를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단일 덕트 구조(1)의 상면 또는 하면이 개방형인 점에서 다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일 덕트 구조(1)를 절단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b)는 단일 덕트 구조(1)에서 제1경로(A)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일 덕트(1)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그리고 도 7(c)는 제2경로(B)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앞서의 실시예와 달리 브라켓(11) 대신에 PET소재의 필름(111)을 장착하였다. 이 경우 경량화와 비용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단일 덕트 구조(1)는 이전과 달리 거의 360도에 이르는 원형의 링 구조이며, 음유입부(20a)가 형성된 요크 일면과 소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된다. 단일 덕트 구조(1)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면은 필름(111)에 의하여 폐쇄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스피커의 전장을 줄여 더욱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후방 공간(Rv)은 요크(20)의 후면과 필름(111)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된다.
음유입부(20a)에서 나온 진동음은 입구부(2)를 통하여 단일 덕트 구조(1) 내부로 진입한다. 입구부(2)는 음방출부(20a)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음방출부(20a)의 음은 모두 입구부(2)로 들어온다. 그리고 제1경로(A)를 따라 이동한 후 제1음방출부(3a)를 통하여 하우징(9)의 방출부(90)를 통해 외부로 방사된다.
도 7의 실시예는 단일 덕트 구조(1)가 상부가 개방된 개방형이지만, 필름(111)에 의하여 차폐되어 결국 폐쇄된 경로를 제공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필름(111)은 하우징 내부 전체를 가로질러 설치되므로 단일 덕트 구조(1) 역시 필름(111)에 맞추어 거의 원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하지만, 도 1의 경우와 같이 부분 고리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단일 덕트 구조(1)는 음유입부(20a)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음유입부(20a)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도 7(c)에서와 같이 후방 공간(Rv)에 존재하는 진동음은 제2경로(B)를 따라, 구체적으로 통로(5)와 메쉬(7)를 통과하여 제2음방출부(3b)를 통과한 후 방출부(90)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된다. 제1음방출부(3a)는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하는 채널 형상이며, 제2음방출부(3b)는 단순한 개구의 형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지만, 서로의 출구단이 바로 인접하여 직접 방출부(90)와 연통되므로 진동음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두 음방출부(3a, 3b)는 서로 다른 구조를 제시하였으나, 공통의 음방출구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일 덕트 구조(1)를 절단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b)는 단일 덕트 구조(1)에서 제1경로(A)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일 덕트(1)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그리고 도 8(c)는 제2경로(B)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와 기본 구조와 작용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실시예는 필름(111)을 상부필름(111a)과 하부필름(111b)으로 구성하고, 상부필름(111a)은 도 7에서와 같이 단일 덕트 구조(1)의 상면을 폐쇄하지만, 하부필름(111b)은 단일 덕트 구조(1)의 하면을 폐쇄하도록 한 점에서 다르다. 하부필름(111b)은 단일 덕트 구조(1)의 하면 전체를 덮지는 않으며, 입구부(2)에서 시작하는 제1경로(A)를 제공하는 하면 대부분을 밀봉하도록 설치된다.
단일 덕트 구조(1)에서 적어도 제1 및 제2음유출부(3a, 3b)가 형성된 부분은 그 보다 밑에 위치한 하우징(9)의 방출부(90)와 인접해야 하므로 제1경로(A)의 단면적보다는 긴 높이를 가지도록 제작되고, 따라서 하부필름(111b)은 이 두터운 부분(도 8(b)의 흑색 점선 영역)을 제외한 단일 덕트 구조(1)의 나머지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단일 덕트 구조(1)의 상면의 전부와 하면의 상당 부분을 개방형으로 제작하고, 두께가 얇은 필름으로 단일 덕트 구조(1)의 개방면을 폐쇄하므로 마이크로스피커의 전장을 줄여 더욱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다. 후방 공간(Rv)은 요크(20)의 후면과 하부필름(111b)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되며 하부 공간(Rv)에 존재하는 진동음은 제2경로(B)를 따라, 구체적으로 통로(5)와 메쉬(7)를 통과하여 제2음방출부(3b)를 통과한 후 방출부(90)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일 덕트 구조(1)를 절단하여 마이크로스피커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9(b)는 단일 덕트 구조(1)에서 제1경로(A)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일 덕트(1)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그리고 도 9(c)는 제2경로(B)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의 실시예가 앞서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부덕트(300)가 필름(111) 과 브라켓(11)의 역할을 동시에 겸하도록 설치한 점이다. 상부덕트(300)의 테두리(302)에 오목한 채널(304)을 형성하여, 상부가 개방된 단일 덕트 구조(1)의 개방부를 밀봉하도록 장착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브라켓(11)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점에서 유리하다.
다음, 도 10의 주파수-음압 그래프를 참조로 본 발명의 덕트 구조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경로(A)를 이루는 오디오 덕트 경로를 긴 관(튜브) 형상으로 배치하면, 긴 관로를 통과하는 음파가 서로 공명 현상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가장 큰 진동을 가져오는 공진점(F0)을 변화시킬 수 있다. 공진점(F0)의 변화로 초저역대의 음역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 유효 범위는 도 5의 “①” 영역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제2경로(B)를 이루는 오디오 볼륨 메쉬 경로를 통과하는 음은 하부체적(Rv)에 존재하는 모든 음이다. 또, 메쉬(7)를 통과하여 튜닝된 음파의 눌리는 정도(damping degree)는 체적의 크기와 메쉬(4)의 밀도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본원발명과 같이 체적의 모든 음을 이용하는 경우 눌림이 작아지며 녹색의 점선과 같이 중역대의 음압이 증가한다. 중역대의 음압을 조절할 수 있는 유효 영역을 “②”로 표시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Claims (7)

  1. 음향기기에 결합되는 단일 덕트 구조로서, 상기 단일 덕트 구조는 음향기기의 내부를 둘러 형성된 관로를 제공하며,
    음향기기의 외부는 하우징이 둘러싸고, 상기 단일 덕트 구조는 하우징의 내벽에 긴밀히 결합되며, 음향기기의 요크를 둘러싸도록 요크와 독립하여 배치되고,
    단일 덕트 구조는 개방된 입구부와, 격벽으로 폐쇄된 출구부를 포함하며, 격벽에 인접하여 제1음방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크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음유입부가 형성되고, 하우징에는 제1음방출부와 인접하여 외부 방출부가 형성되며,
    음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진동음은 단일 덕트 구조의 입구부를 통하여 단일 덕트 구조가 제공하는 관로를 따라 흘러 제1음방출부를 통하여 단일 덕트 구조를 벗어난 후, 외부 방출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방사되는 제1경로를 이루고,
    상기 요크의 후면과 하우징 사이에는 진동판의 진동음이 존재하는 후면체적(Rv)이 형성되고, 단일 덕트 구조에는 후면체적(Rv)에 존재하는 음을 단일 덕트 구조 내부로 연통시키는 통로가 형성되며, 메쉬가 상기 통로를 덮도록 장착되고, 단일 덕트 구조에는 상기 외부방출부와 인접하여 제2음방출부가 형성되어,
    후면체적(Rv)에 존재하는 음은 통로의 메쉬를 통과하여 단일 덕트 구조의 내부를 흘러 제2음방출부를 통하여 단일 덕트 구조를 벗어난 후, 외부 방출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방사되는 제2경로를 이루는, 덕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덕트 구조는 환형의 고리형 또는 부분 고리형인, 덕트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덕트 구조의 상면과 이격된 상부에는 음향기기의 하우징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브라켓이 형성되며, 후면체적(Rv)의 상부 경계는 상기 브라켓에 의하여 규정되는, 덕트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덕트 구조의 상면은 개방되며 개방된 상면은 하우징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필름에 의하여 폐쇄되며, 후면체적(Rv)의 상부 경계는 상기 필름에 의하여 규정되는, 덕트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덕트 구조의 하면의 일부는 개방되며 개방된 하면은 하우징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필름에 의하여 폐쇄되며, 후면체적(Rv)의 상부 경계는 상기 제2필름에 의하여 규정되는, 덕트 구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덕트 구조의 상면은 개방되며 개방된 상면은 하우징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상부덕트에 의하여 폐쇄되며, 후면체적(Rv)의 경계는 상기 상부덕트에 의하여 규정되는, 덕트 구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음방출부와 상기 제2음방출부는 동일한 구조로 공통의 음방출부인, 덕트 구조.
KR1020220036366A 2022-03-24 2022-03-24 스피커 유닛의 음향 제어 단일 덕트 구조 KR102538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366A KR102538586B1 (ko) 2022-03-24 2022-03-24 스피커 유닛의 음향 제어 단일 덕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366A KR102538586B1 (ko) 2022-03-24 2022-03-24 스피커 유닛의 음향 제어 단일 덕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586B1 true KR102538586B1 (ko) 2023-05-31

Family

ID=8654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366A KR102538586B1 (ko) 2022-03-24 2022-03-24 스피커 유닛의 음향 제어 단일 덕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5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884B1 (ko) * 2018-03-15 2019-03-12 부전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피커 구조
KR102227138B1 (ko) * 2019-11-01 2021-03-15 주식회사 이엠텍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KR102287937B1 (ko) * 2020-05-07 2021-08-09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어폰용 스피커유닛의 덕트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884B1 (ko) * 2018-03-15 2019-03-12 부전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피커 구조
KR102227138B1 (ko) * 2019-11-01 2021-03-15 주식회사 이엠텍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KR102287937B1 (ko) * 2020-05-07 2021-08-09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어폰용 스피커유닛의 덕트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5985B2 (en) Mass loaded earbud with vent chamber
JP6993414B2 (ja) 音響トランスデューサ
KR102227138B1 (ko)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KR102287937B1 (ko) 이어폰용 스피커유닛의 덕트구조
US11095969B2 (en) Earphone including internal duct
CN111918161A (zh) 具有声学增强的装置及其方法
EP3652962B1 (en) Audio device
US11696059B2 (en) Two-way receiver having front bass duct
US7536024B2 (en) Loudspeaker
US10721549B2 (en) Direct-radiating earphone drivers
KR102538586B1 (ko) 스피커 유닛의 음향 제어 단일 덕트 구조
KR100490868B1 (ko) 다채널 헤드폰
KR102559769B1 (ko)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세트 덕트 구조
KR102553220B1 (ko) 스피커 유닛의 일체형 덕트 구조
KR102053263B1 (ko) 음질 개선을 위한 구조를 갖는 이어폰
KR102663390B1 (ko) 음향기기의 통기량 조절 밸브 구조
JP2001309477A (ja) ヘッドホン・ユニット
JP7212264B2 (ja) ディフューザー、および、これを備えるスピーカー、電子楽器
KR102676512B1 (ko)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KR102167470B1 (ko) 관로 형성용 브라켓을 구비하는 개방형 이어폰
KR102611945B1 (ko) 음향 튜닝 메쉬를 이용한 쇼트 방지 구조
KR101901419B1 (ko) 파이프 스피커 장치
KR100853898B1 (ko) 전기 음향 변환기
KR20220015917A (ko) 기압 평형 구조를 구비하는 리시버
KR20240050956A (ko) 투웨이 스피커용 사운드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