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258A - 주둥이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 - Google Patents

주둥이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258A
KR20190040258A KR1020197007555A KR20197007555A KR20190040258A KR 20190040258 A KR20190040258 A KR 20190040258A KR 1020197007555 A KR1020197007555 A KR 1020197007555A KR 20197007555 A KR20197007555 A KR 20197007555A KR 20190040258 A KR20190040258 A KR 20190040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snout
flexible container
chamb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제이. 슐츠
라미 제이. 3세 쇼팽
미쉘 엘. 보벤
제프리 이. 보네캄프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40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8Ha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75/566Hand holes or suspension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7/00Standing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가요성 용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용기는 (A) 공통 주변 시일을 따라 인접한 4개의 패널을 포함한다. 공통 주변 시일은 제1 측면 시일, 대향하는 제2 측면 시일, 상부 시일, 및 대향하는 바닥 시일로 구성된다. 4개의 시일이 챔버를 형성한다. (B) 각각의 패널은 바닥면을 포함하고, 4개의 바닥면은 함께 밀봉되어 바닥 섹션을 한정한다. 가요성 용기는 (C) 제1 측면 시일로부터 제2 측면 시일까지 연장되는 상부 주둥이 시일을 포함한다. 가요성 용기는 또한 (D) 하부 주둥이 시일을 포함한다. (E) 상부 주둥이 시일 및 하부 주둥이 시일은 각각, 각각의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 및 각각의 챔버 시일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F) 챔버 시일 세그먼트는 밀봉된 챔버 상부를 한정한다. (G)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는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와 상호 정렬되어 주둥이를 형성한다. 주둥이는 밀봉된 챔버 상부로부터 제2 측면 시일까지 연장된다.

Description

주둥이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
본 개시 내용은 유동성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가요성 용기에 관한 것이다.
거싯형 본체 섹션을 갖는 가요성 용기는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거싯형 가요성 용기는 현재 접혀서 거싯을 형성하고 둘레 형태로 가열 밀봉된 가요성 필름을 사용하여 생산된다. 거싯형 본체 섹션은 펼쳐져서, 정사각형 횡단면 또는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가요성 용기를 형성한다. 거싯은 용기의 바닥에서 종결되어 실질적으로 편평한 기부를 형성하여, 용기가 일부 또는 전부 채워지는 경우 안정성을 제공한다. 거싯은 또한 용기의 상부에서 종결되어 단단한 장비(fitment) 및 마개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된 목부를 형성한다.
단단한 장비가 있는 가요성 용기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첫째, 단단한 장비의 비용은 통상적으로 가요성 용기의 비용을 초과한다. 둘째, 단단한 장비와 가요성 용기 사이의 기밀 밀봉을 보장하기 위한 생산 단계는 시간 소모적이며 에너지 집약적이어서, 이러한 장비-타입 가요성 용기의 전반적인 실행 가능성에 더욱 영향을 미친다. 요컨대, 단단한 장비 자체 및 장비 설치에 대한 생산 요구로 인해 많은 패키징 분야에서는 단단한 장비가 있는 가요성 용기가 비실용적이며, 특히 많은 저비용 포장 분야에서 비실용적이다.
본 기술분야에서는 단단한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주둥이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단단한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그러면서도 부울 수 있는 주둥이가 있고, 스탠드-업(stand-up) 용기이며, 사용하기에 편리한 가요성 용기에 대한 필요성이 더 존재한다.
본 개시 내용은 가요성 용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용기는 (A) 공통 주변 시일을 따라 인접한 4개의 패널을 포함한다. 공통 주변부는 제1 측면 시일, 대향하는 제2 측면 시일, 상부 시일 및 대향하는 바닥 시일로 구성된다. 4개의 시일이 챔버를 형성한다. (B) 각각의 패널은 바닥면을 포함하고, 4개의 바닥면은 함께 밀봉되어 바닥 섹션을 한정한다. 가요성 용기는 (C) 제1 측면 시일로부터 제2 측면 시일까지 연장되는 상부 주둥이 시일을 포함한다. 가요성 용기는 또한 (D) 하부 주둥이 시일을 포함한다. (E) 상부 주둥이 시일 및 하부 주둥이 시일은 각각, 각각의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 및 각각의 챔버 시일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F) 챔버 시일 세그먼트는 밀봉된 챔버 상부를 한정한다. (G)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는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와 상호 정렬되어 주둥이를 형성한다. 주둥이는 밀봉된 챔버 상부로부터 제2 측면 시일까지 연장된다.
본 개시 내용은 또 다른 가요성 용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용기는 (A) 공통 주변 시일 따라 인접한 4개의 패널을 포함한다. 공통 주변 시일은 제1 측면 시일, 대향하는 제2 측면 시일, 상부 시일, 및 대향하는 바닥 시일로 구성된다. 4개의 시일이 챔버를 형성한다. (B) 각각의 패널은 바닥면을 포함하고, 4개의 바닥면은 함께 밀봉되어 바닥 섹션을 한정한다. 가요성 용기는 (C) 제1 측면 시일로부터 상부 시일까지 연장되는 상부 주둥이 시일을 포함한다. 가요성 용기는 (D) 하부 주둥이 시일을 더 포함한다. (E) 상부 주둥이 시일 및 하부 주둥이 시일은 각각, 각각의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 및 각각의 챔버 시일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F) 챔버 시일 세그먼트는 밀봉된 챔버 상부를 한정하며, (G)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는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와 상호 정렬되어 주둥이를 형성한다. 주둥이는 밀봉된 챔버 상부로부터 상부 시일까지 연장된다.
도 1은 패널 샌드위치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힌 형상의 가요성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형상의 도 2의 가요성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확장된 가요성 용기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영역 5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영역 6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영역 7의 확대 사시도로서,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둥이의 원위 단부에 있는 접근 부재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접근 부재의 작동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가요성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붓는 사람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힌 형상의 또 다른 가요성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형상의 도 10의 가요성 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수치 범위는 하한치와 상한치를 포함해서, 그 사이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명시적인 값(예를 들어, 1, 또는 2, 또는 3 내지 5, 또는 6, 또는 7)을 포함하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의 2개의 명시적인 값 사이의 모든 하위범위도 포함된다(예를 들어, 1 내지 2; 2 내지 6; 5 내지 7; 3 내지 7; 5 내지 6; 등).
반대로 언급되거나 문맥으로부터 암시되거나 당업계의 관례적인 것이 아닌 한, 모든 부분 및 퍼센트는 중량 기준이며, 모든 시험 방법은 본 개시 내용의 출원일 현재 통용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재료로부터 형성된 반응 생성물과 분해 생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료의 혼합물을 언급한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갖는(having)" 및 이들의 파생어는, 어떠한 추가의 성분, 단계 또는 절차의 존재를 배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이는 이들이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든 그렇지 않든 간에 적용된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통해 청구된 모든 조성물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중합체성 또는 다른 것이건 간에, 임의의 추가적 첨가제, 보조제 또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본질적으로 구성된다(consisting essentially of)"는 용어는 작동 가능성에 필수적이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또는 절차의 임의의 후속적인 인용을 범위에서 제외한다. "이루어지는(consisting of)"이라는 용어는 구체적으로 묘사되거나 나열되지 않은 임의의 구성 요소, 단계 또는 절차를 제외한다.
"중합체"는 중합된 형태로, 중합체를 구성하는 다중 및/또는 반복 "단위" 또는 "mer 단위"를 제공하는, 동일한 유형이든 상이한 유형이든 간에, 단량체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화합물이다. 따라서, 중합체라는 총칭은 단지 한가지 유형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가리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단독중합체, 및 적어도 두 가지 유형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가리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공중합체를 포괄한다. 이는 또한, 모든 형태의 공중합체, 예컨대 랜덤, 블럭 등을 포괄한다. 용어 "에틸렌/α-올레핀 중합체" 및 "프로필렌/ α-올레핀 중합체"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각각과 하나 이상의 추가의 중합 가능한 α-올레핀 단량체를 중합시켜 제조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공중합체를 가리킨다. 중합체가 종종 명시된 단량체 함량을 "함유하는", 명시된 단량체 또는 단량체 유형에 "기반하는", 하나 이상의 명시된 단량체"로 제조된" 것 등으로서 언급되지만, 이와 관련하여 용어 "단량체"는 명시된 단량체의 중합체 잔사(remnant)를 언급하는 것이지 중합되지 않은 화학종을 언급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을 주지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중합체는 상응하는 단량체의 중합된 형태인 "단위"에 기초하는 것으로 언급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올레핀-기반 중합체"는 50 몰% 초과의 중합된 올레핀 단량체(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총 양을 기준)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는 중합체이다. 올레핀계 중합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에틸렌계 중합체 및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50 중량% 초과의 중합된 프로필렌 단량체(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총 양을 기준)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는 중합체이다.
"에틸렌계 중합체"는 50 중량% 초과의 중합된 에틸렌 단량체(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총 양을 기준)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는 중합체이다. 에틸렌계 중합체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 공중합체(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의미함)를 포함한다. 용어 "에틸렌계 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에틸렌계 중합체(폴리에틸렌)의 비 제한적인 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선형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선형 폴리에틸렌의 비 제한적인 예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초 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극 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다 성분 에틸렌계 공중합체(EPE), 에틸렌/α-올레핀 다중-블럭 공중합체(올레핀 블럭 공중합체(OBC)로도 알려짐), 단일-사이트 촉매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실질적인 선형, 또는 선형, 플라스토머/엘라스토머,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은 메탈로센, 비-메탈로센 금속 중심, 헤테로아릴, 헤테로밸런트 아릴옥시에테르(heterovalent aryloxyether), 포스핀이민 등등과 같은 4족 전이 금속 및 리간드 구조를 포함하는, 지글러-나타 촉매(Ziegler-Natta catalyst)와 같은 이질 촉매 시스템, 균질 촉매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상, 유동층 반응기, 액상 슬러리 공정 반응기 또는 액상 용액 공정 반응기에서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이질 및/또는 균질 촉매의 조합물이 단일 반응기 또는 이중 반응기 구성에 사용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또는 "HDPE")은 적어도 하나의 C4-C10 α-올레핀 공단량체, 또는 C4 α-올레핀 공단량체를 가지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단독중합체이며, 0.94 g/cc 초과 또는 0.945 g/cc, 또는 0.95 g/cc 또는 0.955 g/cc 내지 0.96 g/cc, 또는 0.97 g/cc 또는 0.98 g/cc의 밀도를 갖는다. HDPE는 단일모드 공중합체 또는 다중모드 공중합체일 수 있다. "단일모드 에틸렌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는 겔 침투 크로마토 그래피(GPC)에 하나의 고유한 피크를 갖는 에틸렌/C4-C10 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다중모드 에틸렌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는 GPC에 적어도 2개의 고유 피크를 가지는 에틸렌/C4-C10 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다중모드는 2개의 피크를 가지는 공중합체(이중모드) 뿐만 아니라 2개보다 많은 피크를 가지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HDPE의 비 제한적 예로는 DOW™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The Dow Chemical Company에서 입수 가능), ELITE™ 강화 폴리에틸렌 수지(The Dow Chemical Company에서 입수 가능), CONTINUUM™ 이중모드 폴리에틸렌 수지(The Dow Chemical Company에서 입수 가능), LUPOLEN™(LyondellBasell에서 입수 가능)뿐만 아니라, Borealis, Ineos 및 ExxonMobil의 HDPE 제품이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또는 "LDPE")은 0.915 g/cc 내지 0.940 g/cc의 밀도를 가지며 넓은 MWD를 갖는 장쇄 분지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C3-C10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C3-C4을 포함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단독중합체로 이루어진다. LDPE는 통상적으로 고압 자유 라디칼 중합반응(관형 반응기 또는 자유 라디칼 개시제를 갖는 오토클레이브)에 의해 생산된다. LDPE의 비 제한적인 예는 MarFlex™(Chevron Phillips), LUPOLEN™(LyondellBasell)뿐만 아니라 Borealis, Ineos, ExxonMobil, 및 기타의 회사의 LDPE 제품을 포함한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또는 "LLDPE")은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적어도 하나의 C3-C10 α-올레핀 공단량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C4-C8 α-올레핀 공단량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C6-C8 α-올레핀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는 이질 단쇄 분지 분포를 함유하는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LLDPE는 종래의 LDPE와는 달리 장쇄 분지가, 존재한다 해도, 거의 없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LDPE는 0.910 g/cc, 또는 0.915 g/cc, 또는 0.920 g/cc, 또는 0.925 g/cc 내지 0.930 g/cc, 또는 0.935 g/cc, 또는 0.940 g/cc의 밀도를 갖는다. LLDPE의 비 제한적인 예는 TUFLIN™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 DOWLEX™ 폴리에틸렌 수지(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 및 MARLEX™ 폴리에틸렌(Chevron Phillips로부터 입수 가능)을 포함한다.
"초 저밀도 폴리에틸렌"(또는 "ULDPE") 및 "극 저밀도 폴리에틸렌"(또는 "VLDPE") 각각은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적어도 하나의 C3-C10 α-올레핀 공단량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C4-C8 α-올레핀 공단량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C6-C8 α-올레핀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는 이질 단쇄 분지 분포를 함유하는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ULDPE 및 VLDPE 각각은 0.885 g/cc, 또는 0.90 g/cc 내지 0.915 g/cc의 밀도를 가진다. ULDPE 및 VLDPE의 비 제한적 예는 ATTANE™ 초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The Dow Chemical Company에서 입수 가능) 및 FLEXOMER™ 극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The Dow Chemical Company에서 입수 가능)를 포함한다.
"다 성분 에틸렌계 공중합체"(또는 "EPE")는, 특허 참조문헌 USP 6,111,023; USP 5,677,383; 및 USP 6,984,695에 개시된 것과 같이,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적어도 하나의 C3-C10 α-올레핀 공단량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C4-C8 α-올레핀 공단량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C6-C8 α-올레핀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EPE 수지는 0.905 g/cc, 또는 0.908 g/cc, 또는 0.912 g/cc, 또는 0.920 g/cc 내지 0.926 g/cc, 또는 0.929 g/cc, 또는 0.940 g/cc, 또는 0.962 g/cc의 밀도를 갖는다. EPE 수지의 비 제한적 예는 ELITE™ 강화 폴리에틸렌(The Dow Chemical Company에서 입수 가능), ELITE AT™ 첨단 기술 수지(The Dow Chemical Company에서 입수 가능), SURPASS™ 폴리에틸렌(PE) 수지(Nova Chemicals에서 입수 가능), 및 SMARTTM(SK Chemicals Co.에서 입수 가능)을 포함한다.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또는 "OBC")는, USP 7,608,668에 기재된 바와 같이 INFUSETM(The Dow Chemical Company에서 입수 가능)과 같은,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적어도 하나의 C3-C10 α-올레핀 공단량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C4-C8 α-올레핀 공단량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C6-C8 α-올레핀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는 에틸렌/α-올레핀 다중-블럭 공중합체이다. OBC 수지는 0.866 g/cc, 또는 0.870 g/cc, 또는 0.875 g/cc, 또는 0.877 g/cc 내지 0.880 g/cc, 또는 0.885 g/cc, 또는 0.890 g/cc의 밀도를 갖는다.
"단일-사이트 촉매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또는 "m-LLDPE")은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적어도 하나의 C3-C10 α-올레핀 공단량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C4-C8 α-올레핀 공단량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C6-C8 α-올레핀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는 균질 단쇄 분지 분포를 함유하는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m-LLDPE는 0.913 g/cc, 또는 0.918 g/cc, 또는 0.920 g/cc 내지 0.925 g/cc, 또는 0.940 g/cc의 밀도를 갖는다. m-LLDPE의 비 제한적 예는 EXCEEDTM 메탈로센 PE(ExxonMobil Chemical에서 입수 가능), LUFLEXEN™ m-LLDPE(LyondellBasell에서 입수 가능), 및 ELTEX™ PF m-LLDPE(Ineos Olefins & Polymers에서 입수 가능)를 포함한다.
"에틸렌 플라스토머/엘라스토머"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적어도 하나의 C3-C10 α-올레핀 공단량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C4-C8 α-올레핀 공단량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C6-C8 α-올레핀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는 균질 단쇄 분지 분포를 함유하는 실질적인 선형, 또는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에틸렌 플라스토머/엘라스토머는 0.870 g/cc, 또는 0.880 g/cc, 또는 0.890 g/cc 내지 0.900 g/cc, 또는 0.902 g/cc, 또는 0.904 g/cc, 또는 0.909 g/cc, 또는 0.910 g/cc, 또는 0.917 g/cc의 밀도를 갖는다. 에틸렌 플라스토머/엘라스토머의 비 제한적 예는 AFFINITY™ 플라스토머 및 엘라스토머(The Dow Chemical Company에서 입수 가능), EXACT™ 플라스토머(ExxonMobil Chemical에서 입수 가능), Tafmer™(Mitsui에서 입수 가능), NexleneTM(SK Chemicals Co.에서 입수 가능), Lucene™(LG Chem Ltd.에서 입수 가능)을 포함한다.
밀도는 ASTM D 792에 따라 측정하며, 값은 입방 센티미터(cubic centimeter, cc)당 그램인, g/cc로 보고된다.
용융 유속(MFR)은 ASTM D 1238, 280℃/2.16 kg의 조건에 따라 측정하며, 값은 10분당 그램인, g/10분으로 보고된다.
용융 지수(MI)는 ASTM D 1238, 190℃/2.16 kg의 조건에 따라 측정하며, 값은 10분당 그램인, g/10분으로 보고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융점" 또는 "Tm"(그래프화된 DSC 곡선의 형상과 관련하여 용융 피크라고도 함)은 통상적으로 USP 5,783,638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의 융점 또는 용융 피크를 측정하기 위한 DSC(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기술로 측정한다. 둘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다수의 블렌드는 하나보다 많은 융점 또는 용융 피크를 가질 것이며, 다수의 개별 폴리올레핀은 단 하나의 융점 또는 용융 피크를 포함할 것이라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융점 값은 섭씨온도(℃)로 보고된다.
1. 가요성 용기
본 개시 내용은 가요성 용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용기는 (A) 공통 주변 시일을 따라 인접한 4개의 패널을 포함한다. 공통 주변 시일은 제1 측면 시일, 대향하는 제2 측면 시일, 상부 시일 및 대향하는 바닥 시일을 포함한다. 4개의 시일이 챔버를 형성한다. (B) 각 패널은 바닥면을 포함한다. 4개의 바닥면은 함께 밀봉되어 바닥 섹션을 한정한다. (C) 상부 주둥이 시일은 제1 측면 시일로부터 제2 측면 시일까지 연장된다. 가요성 용기는 (D) 하부 주둥이 시일을 포함한다. (E) 상부 주둥이 시일 및 하부 주둥이 시일은 각각, 각각의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 및 각각의 챔버 시일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F) 챔버 시일 세그먼트는 밀봉된 챔버 상부를 한정한다. (G)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는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와 상호 정렬되어 주둥이를 형성한다. 주둥이는 밀봉된 챔버 상부로부터 제2 측면 시일까지 연장된다.
A. 패널
본 개시 내용의 가요성 용기는 4개의 패널로 제조된다. 제작 공정 중에, 가요성 필름 재료의 하나 이상의 웨브가 함께 밀봉될 때 패널이 형성된다. 웨브는 가요성 필름 재료의 분리된 조각일 수 있지만, 이음매 또는 이음매들의 효과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스 웨브를 접음으로써와 같이, 웨브 사이에 임의의 개수의 이음매가 "사전 제작"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4개 대신 2개의 웨브로부터 본 개시 내용의 가요성 용기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바닥, 좌측 중앙 및 우측 중앙 웨브는 3개의 분리된 웨브 대신에, 하나의 접혀진 웨브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 둘, 또는 그 초과의 웨브가 각각의 패널을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즉, 백-인-어-백(bag-in-a-bag) 구성 또는 블래더(bladder) 구성).
도 1은 4개의 웨브가 제작 공정을 통과하면서 ("원 업(one up)" 구성으로) 4개의 패널을 형성할 때 4개의 웨브의 상대적 위치를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해, 웨브는 4개의 개별적 패널로 도시되고, 패널은 분리되어 있으며 가열 밀봉은 만들어지지 않았다. 구성 웨브는 제1 거싯 패널(18), 제2 거싯 패널(20), 전방 패널(22) 및 후방 패널(24)을 형성한다. 각각의 패널(18-24)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요성 다층 필름이다. 거싯 폴드 라인(60, 62)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다. 적합한 밀봉 절차의 비 제한적인 예는 가열 밀봉 및/또는 초음파 밀봉 및/또는 접착성 밀봉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거싯 패널(18, 20)은 "패널 샌드위치"를 형성하도록 후방 패널(24)과 전방 패널(22) 사이에 배치된다. 거싯 패널(18)은 거싯 패널(20)에 대향한다. 패널(18-24)의 에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주변부(11)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달리 배열된다. 각 패널 웨브의 가요성 다층 필름은 가열 밀봉층이 서로 대면하도록 구성된다. 공통 주변부(11)는 각각의 패널의 바닥 단부를 포함하는 바닥 시일 영역을 포함한다.
가요성 용기(10)가 접힌 형상으로 있을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용기는 납작해지거나, 또는 달리 배기된 상태로 있다. 거싯 패널(18, 20)은 안쪽으로 접히고(도 1-2의 점선으로 표시된 거싯 폴드 라인(60, 62)), 전방 패널(22)과 후방 패널(24)에 의해 샌드위치된다.
가요성 용기(10)는 (도 3에 도시된) 확장된 형상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힌 형상을 갖는다. 도 2는 바닥 부분(I), 본체 부분(II) 및 상부 부분(III)을 가지는 가요성 용기(10)를 도시한다. 확장된 형상에서, 바닥 부분(I)은 바닥 섹션(26)을 형성한다 (도 3). 본체 부분(II)은 본체(14)를 형성한다. 상부 부분(III)은 챔버를 위한 밀봉된 상부를 형성하는 주둥이 시일을 포함하고, 주둥이 시일은 또한 주둥이를 형성한다. 주둥이는 챔버와 유체 연통하며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시일 세그먼트로 연장된다. 섹션(I, II 및 III)은 함께 폐쇄된 챔버(12)를 형성한다(도 3).
도 3은 확장된 형상의 가요성 용기(10)를 도시한다. 가요성 용기(10)는 4개의 패널인 전방 패널(22), 후방 패널(24), 제1 거싯 패널(18) 및 제2 거싯 패널(20)을 갖는다. 4개의 패널(18, 20, 22 및 24)은 본체(14)(도 2의 접힌 형상의 본체 부분(II)) 및 상부 섹션(16)(도 2의 접힌 형상의 상부 부분(III))을 형성한다. 4개의 패널(18, 20, 22 및 24)은 또한 바닥 섹션(26)(도 2의 접힌 형상의 바닥 부분(I))을 형성한다.
B. 가요성 다층 필름
각 패널(18, 20, 22, 24)은 가요성 다층 필름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패널(18, 20, 22, 24)은 적어도 1개, 적어도 2개, 또는 적어도 3개의 층을 갖는 가요성 필름으로부터 제조된다. 가요성 필름은 탄성적이고, 가요성이고, 변형 가능하며, 유연하다. 각 패널(18, 20, 22, 24)을 위한 가요성 필름의 구조 및 조성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18, 20, 22, 24) 각각은 분리된 웨브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웨브는 독특한 구조 및/또는 독특한 조성, 마감, 또는 프린트(print)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패널(18, 20, 22, 24) 각각은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조성일 수 있다.
가요성 다층 필름은 중합체 재료로 구성된다. 적합한 중합체 재료의 비 제한적 예는 올레핀계 중합체; 프로필렌계 중합체; 에틸렌계 중합체;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 에틸렌-아크릴산 또는 에틸렌-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아연, 나트륨, 리튬, 칼륨 또는 마그네슘 염과의 이오노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및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가요성 다층 필름은 감압 라벨 또는 가요성 용기(10) 상에 표시를 나타내기 위한 기타 유형의 라벨을 수용하도록 호환 가능하거나 프린트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다층 필름이 제공되고, 적어도 3개의 층: (i) 최외부 층, (ii) 하나 이상의 코어 층, 및 (iii) 최내부 시일층을 포함한다. 최외부 층 (i) 및 최내부 시일층은 (ii) 표면층 사이에 샌드위치된 (iii) 하나 이상의 코어층을 구비한 표면층이다. 최외부 층은 (a-i) HDPE, (b-ii) 프로필렌계 중합체, 또는 (a-i)와 (b-ii)의 조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LDPE와 같은 다른 올레핀계 중합체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비 제한적 예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랜덤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 공단량체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고 대부분의 함량이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 임펙트(impact) 공중합체(매트릭스 상에 분산된 이상(heterophasic)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고무 상)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코어층(ii)을 가질 때, 본 개시 내용의 다층 필름의 전체 층의 수는 3개의 층 (하나의 코어층), 또는 4개의 층(2개의 코어층), 또는 5개의 층(3개의 코어층), 또는 6개의 층(4개의 코어층), 또는 7개의 층(5개의 코어층) 내지 8개의 층(6개의 코어층), 또는 9개의 층(7개의 코어층), 또는 10개의 층(8개의 코어층), 또는 11개의 층(9개의 코어층), 또는 그보다 많을 수 있다.
다층 필름은 75 마이크론, 또는 100 마이크론, 또는 125 마이크론, 또는 150 마이크론 내지 200 마이크론, 또는 250 마이크론, 또는 300 마이크론, 또는 350 마이크론, 또는 4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다.
다층은 (i) 공압출되거나, (ii) 적층되거나, 또는 (iii) (i)과 (ii)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필름은 공압출된 다층 필름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패널(18, 20, 22, 24)은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조성을 갖는 가요성 다층 필름이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다층 필름은 적어도 3개의 층: 시일층, 외부층, 및 그 사이의 연결층(tie layer)을 갖는다. 연결층은 시일층을 외부층에 연결시킨다. 가요성 다층 필름은 시일층과 외부층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선택적 내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다층 필름은 적어도 2개, 또는 3개, 또는 4개, 또는 5개, 또는 6개, 또는 7개 내지 8개, 또는 9개, 또는 10개, 또는 11개, 또는 그보다 많은 층을 갖는 공압출된 필름이다. 예를 들어, 필름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몇가지 방법은 캐스트 공압출 또는 취입 공압출 방법, 접착 적층, 압출 적층, 열 적층, 및 기상 증착과 같은 코팅에 의한다. 이들 방법의 조합도 또한 가능하다. 필름 층은, 중합체성 재료에 추가하여, 패키징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안정제, 슬립 첨가제, 블로킹방지 첨가제, 가공 조제, 정화제, 핵형성제, 안료 또는 착색제, 충진제 및 보강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관능 특성 및/또는 광학 특성을 갖는 첨가제 및 중합체성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
일 실시예에서, 최외부 층은 HDPE를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HDPE는 The Dow Chemical Company가 제공하는 ELITE™ 수지와 같은 실질적인 선형 다 성분 에틸렌계 공중합체(EPE)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코어층은 0.908 g/cc, 또는 0.912 g/cc, 또는 0.92 g/cc, 또는 0.921 g/cc 내지 0.925 g/cc, 또는 0.93 g/cc 미만의 밀도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선형 또는 실질적인 선형 에틸렌계 중합체 또는 에틸렌/α-올레핀 다블럭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코어층 각각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초 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극 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EPE,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OBC), 플라스토머/엘라스토머 및, 단일-사이트 촉매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에틸렌/C3-C8 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일층은 0.86 g/cc, 또는 0.87 g/cc, 또는 0.875 g/cc, 또는 0.88 g/cc, 또는 0.89 g/cc 내지 0.90 g/cc, 또는 0.902 g/cc, 또는 0.91 g/cc, 또는 0.92 g/cc의 밀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일층은 EPE, 플라스토머/엘라스토머, 또는 m-LLDPE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에틸렌/C3-C8 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다층 필름은 공압출된 필름이고, 시일층은 55℃ 내지 115℃의 Tm 및 0.865 내지 0.925 g/cm3, 또는 0.875 내지 0.910 g/cm3, 또는 0.888 내지 0.900 g/cm3의 밀도를 갖는, 선형 또는 실질적인 선형 중합체와 같은 에틸렌계 중합체, 또는 1-부텐, 1-헥센 또는 1-옥텐과 같은 에틸렌 및 알파-올레핀 단량체의 단일-사이트 촉매화 선형 또는 실질적인 선형 중합체로 구성되고, 외부층은 170℃ 내지 270℃의 Tm을 갖는 폴리아미드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다층 필름은 적어도 5개의 층을 갖는 공압출된 및/또는 적층된 필름이며, 상기 공압출된 필름은 55℃ 내지 115℃의 Tm 및 0.865 내지 0.925 g/cm3, 또는 0.875 내지 0.910 g/cm3, 또는 0.888 내지 0.900 g/cm3 의 밀도를 갖는, 선형 또는 실질적인 선형 중합체와 같은 에틸렌계 중합체, 또는 1-부텐, 1-헥센 또는 1-옥텐과 같은 에틸렌 및 알파-올레핀 공단량체의 단일-사이트 촉매화 선형 또는 실질적인 선형 중합체로 구성된 시일층, 및 HDPE, EPE, LLDPE, OPET(2축 배향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OPP(배향 폴리프로필렌), BOPP(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구성된 최외부층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다층 필름은 적어도 7개의 층을 갖는 공압출된 및/또는 적층된 필름이다. 시일층은 선형 또는 실질적인 선형 중합체와 같은 에틸렌계 중합체, 또는 1-부텐, 1-헥센 또는 1-옥텐과 같은 에틸렌 및 알파-올레핀 공단량체의 단일-사이트 촉매화 선형 또는 실질적인 선형 중합체로 구성되고, 에틸렌계 중합체는 55℃ 내지 115℃의 Tm 및 0.865 내지 0.925 g/cm3, 또는 0.875 내지 0.910 g/cm3, 또는 0.888 내지 0.900 g/cm3의 밀도를 갖는다. 외부층은 HDPE, EPE, LLDPE, OPET, OPP, BOPP,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다층 필름은 모든 층이 에틸렌계 중합체로 구성되는 3개 이상의 층의 공압출된(또는 적층된) 필름이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가요성 다층 필름은 각 층이 에틸렌계 중합체로 구성되는 3개 이상의 층의 공압출된(또는 적층된) 필름이고, (1) 시일층은 선형 또는 실질적인 선형 에틸렌계 중합체, 또는 1- 부텐, 1-헥센 또는 1-옥텐과 같은 에틸렌과 알파-올레핀 공단량체의 단일-사이트 촉매화 선형 또는 실질적인 선형 중합체로 구성되고, 에틸렌계 중합체는 55℃ 내지 115℃의 Tm 및 0.865 내지 0.925 g/cm3, 또는 0.875 내지 0.910 g/cm3, 또는 0.888 내지 0.900 g/cm3 의 밀도를 가지며 (2) 외부층은 HDPE, EPE, LLDPE 또는 m-LLDPE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3) 하나 이상의 코어층 각각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초 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극 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EPE, 올레핀 블럭 공중합체(OBC), 플라스토머/엘라스토머, 및 단일-사이트 촉매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에틸렌/C3-C8 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다층 필름은 OPET 또는 OPP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는 공압출된 및/또는 적층된 5개 층의, 또는 공압출된(또는 적층된) 7개 층의 필름이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다층 필름은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는 공압출된(또는 적층된) 5개 층의, 또는 공압출된(또는 적층된) 7개 층의 필름이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다층 필름은 90℃ 내지 106℃의 Tm을 갖는, 에틸렌계 중합체, 또는 선형 또는 실질적인 선형 중합체, 또는 1-부텐, 1-헥센 또는 1-옥텐과 같은 에틸렌 및 알파-올레핀 단량체의 단일-사이트 촉매화 선형 또는 실질적인 선형 중합체로 구성된 시일층을 구비한 7개 층의 공압출된(또는 적층된) 필름이다. 외부 층은 170℃ 내지 270℃의 Tm을 갖는 폴리아미드이다. 필름은 시일층의 에틸렌계 중합체와는 상이한 제2 에틸렌계 중합체로 구성된 내부층(제1 내부층)을 갖는다. 필름은 외부층의 폴리아미드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내부층(제2 내부층)을 갖는다. 7개 층의 필름은 100 마이크로미터 내지 2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다층 필름 재료의 4개의 웨브가 제공되는데, 각각의 패널(18, 20, 22, 및 24)에 대해 하나의 필름 웨브가 제공되며, 각각의 다층 필름은 동일한 조성 및 구조를 가진다. 도 1-2는, 4개의 필름이 공통 주변부(11)를 형성하도록, "거싯 샌드위치(gusset sandwich)" 구성으로 서로 겹쳐진 필름을 도시한다. 각각의 필름은 인접한 필름 웨브에 밀봉되어 도 2-3에 도시된 공통 주변 시일(41)을 형성한다. 주변 테이퍼형 시일(40a-40d)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바닥 세그먼트(26) 상에 위치한다. 공통 주변 시일(41)은 공통 주변부(11)를 따라 위치한다.
도 2는 공통 주변 시일(41)이 4개의 시일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주변 시일(41)의 개별 시일은 제1 측면 세그먼트(42) 및 대향하는 제2 측면 세그먼트(43), 상부 세그먼트(44) 및 대향하는 바닥 세그먼트(45)를 포함한다. 공통 주변 시일(41)(시일(42, 43, 44, 45)로 구성됨)은 챔버(12)를 형성한다.
C. 바닥 섹션
가요성 용기(10)는 바닥 섹션(26)을 포함한다. 각각의 패널(18, 20, 22, 24)은 바닥 섹션(26)에 존재하는 각각의 바닥면을 갖는다. 4개의 바닥면은 함께 밀봉되어 바닥 섹션(26)을 한정한다. 도 4는 4개의 삼각형 바닥면(26a, 26b, 26c, 26d)을 도시하며, 각각의 바닥면은 각각의 필름 패널의 연장부이다. 바닥면(26a-26d)은 바닥 섹션(26)을 구성한다. 4개의 패널(26a-26d)은 바닥 섹션(26)의 중점에서 합쳐진다. 바닥면(26a-26d)은, 예컨대 가열-밀봉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함께 밀봉되어 바닥 손잡이(46)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바닥 손잡이(46)를 형성하고, 바닥 섹션(26)의 에지를 함께 밀봉하기 위해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적합한 가열-밀봉 기술의 비 제한적인 예는 고온 바 밀봉, 고온 다이 밀봉, 충격 밀봉, 고주파 밀봉, 또는 초음파 밀봉 방법을 포함한다.
도 4는 각각의 바닥면(26a-26d)이 2개의 대향하는 주변 테이퍼형 시일(40a-40d)에 의해 경계를 갖는 것을 도시한다. 각각의 주변 테이퍼형 밀봉부(40a-40d)는, 도 2-3에 도시된, 본체(14) 내의 각각의 주변 시일(41)로부터 연장한다. 도 4-5는 전방 패널(22) 및 후방 패널(24)에 대한 주변 테이퍼형 시일이 내부 에지(29a-29d) 및 외부 에지(31)를 갖는 것을 도시한다. 주변 테이퍼형 시일(40a-40d)은 바닥 시일 영역(33)에서 만난다.
전방 패널 바닥면(26a)은 제1 주변 테이퍼형 시일(40a)의 내부 에지(29a)에 의해 한정된 제1 라인(A) 및 제2 주변 테이퍼형 시일(40b)의 내부 에지(29b)에 의해 한정된 제2 라인(B)을 포함한다. 제1 라인(A)은 바닥 밀봉 영역(33)의 정점(35a)에서 제2 라인(B)과 교차한다. 전방 패널 바닥면(26a)은 바닥 최원위 내부 시일 포인트(37a)("BDISP(37a)")를 갖는다. BDISP(37a)는 내부 에지 상에 위치한다.
정점(35a)은 0 밀리미터(mm) 내지 8.0 mm 미만의 간격(S)으로 BDISP(37a)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방 패널 바닥면(26c)은 전방 패널 바닥면 상의 정점과 유사한 정점을 포함한다. 후방 패널 바닥면(26c)은 제1 주변 테이퍼형 시일(40c)의 내부 에지(29c)에 의해 한정된 제1 라인(C) 및 제2 주변 테이퍼형 시일(40d)의 내부 에지(29d)에 의해 한정된 제2 라인(D)을 포함한다. 제1 라인(C)은 바닥 밀봉 영역(33)의 정점(35c)에서 제2 라인(D)과 교차한다. 후방 패널 바닥면(26c)은 바닥 최원위 내부 시일 포인트(37c)("BDISP(37c)")를 갖는다. BDISP(37c)는 내부 에지 상에 위치한다. 정점(35c)은 0 밀리미터(mm) 내지 8.0 mm 미만의 간격(T)으로 BDISP(37c)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전방 패널 바닥면에 대한 하기 설명은 후방 패널 바닥면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하며, 여기서 후방 패널 바닥면에 대한 참조 번호는 인접한 폐쇄형 괄호 내에 보여지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BDISP(37a)(37c)는 내부 에지(29a)(29c) 및 (29b)(29d)가 교차하는 곳에 위치한다. BDISP(37a)(37c)와 정점(35a)(35c) 간의 간격은 0 mm이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시일 에지가 내부 에지(29a, 29b)(29c, 29d)로부터 분기되어,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시일 아크(seal arc)(39a)(전방 패널) 및 내부 시일 아크(39c)(후방 패널)를 형성한다. BDISP(37a)(37c)는 내부 시일 아크(39a)(39c) 상에 위치한다. 정점(35a)(정점(35c))은 0 mm 초과, 또는 1.0 mm, 또는 2.0 mm, 또는 2.6 mm, 또는 3.0 mm, 또는 3.5 mm, 또는 3.9 mm 내지 4.0 mm, 또는 4.5 mm, 또는 5.0 mm, 또는 5.2 mm, 또는 5.3 mm, 또는 5.5 mm, 또는 6.0 mm, 또는 6.5 mm, 또는 7.0 mm, 또는 7.5 mm, 또는 7.9 mm인 간격(S)(간격(T))로 BDISP(37a)(BDISP(37c))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점(35a)(35c)은 0 mm 초과 내지 6.0 mm 미만인 간격(S)(간격(T))으로 BDISP(37a)(37c)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점(35a)(35c)에서 BDISP(37a)(37c)까지의 간격(S)(간격(T))은 0 mm 초과, 또는 0.5 mm, 또는 1.0 mm, 또는 2.0 mm 내지 4.0 mm, 또는 5.0 mm, 또는 5.5 mm 미만이다.
일 실시예에서, 정점(35a)(정점(35c))은 3.0 mm, 또는 3.5 mm, 또는 3.9 mm 내지 4.0 mm, 또는 4.5 mm, 또는 5.0 mm, 또는 5.2 mm, 또는 5.3 mm, 또는 5.5 mm인 간격(S)(간격(T))로 BDISP(37a)(BDISP(37c))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위 내부 시일 아크(39a)(39c)는 0 mm, 또는 0 mm 초과, 또는 1.0 mm 내지 19.0 mm, 또는 20.0 mm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주변 테이퍼형 시일(40a-40d)(외측 에지) 및 각각의 주변 시일(41)(외측 에지)로부터 연장된 라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G)을 형성한다. 각(G)은 40°, 또는 42°, 또는 44°, 또는 45° 내지 46°, 또는 48°, 또는 50°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G)은 45°이다.
도 4에서, 바닥 섹션(26)은 그곳에 형성된 한 쌍의 거싯(54 및 56)을 포함하며, 이는 본질적으로 바닥면(26a-26d)의 연장부이다. 거싯(54 및 56)은 가요성 용기(10)가 직립하는 능력을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거싯(54 및 56)은 함께 연결되어 거싯(54 및 56)을 형성하는 각각의 바닥면(26a-26d)으로부터의 여분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거싯(54 및 56)의 삼각형 부분은 함께 밀봉되어 그 각각의 거싯 안으로 연장하는 2개의 인접한 바닥 세그먼트 패널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인접한 바닥면(26a 및 26d)은 교차 에지를 따라 이들의 바닥 표면의 평면 너머로 연장하며, 함께 밀봉되어 제1 거싯(54)의 일 측면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인접한 바닥면(26c 및 26d)은 교차 에지를 따라 이들의 바닥 표면의 평면 너머로 연장하며, 함께 밀봉되어 제1 거싯(54)의 다른 측면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 거싯(56)은 인접 바닥면(26a-26b 및 26b-26c)으로부터 유사하게 형성된다. 거싯(54 및 56)은 바닥 섹션(26)의 부분과 접촉할 수 있으며, 여기서 거싯 부분 거싯(54 및 56)은 이들을 덮는 바닥면(26b 및 26d)과 접촉할 수 있는 반면, 바닥 세그먼트 패널(26a 및 26c)은 바닥 단부(46)에 노출된 채로 남아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용기(10)의 거싯(54 및 56)은 바닥 손잡이(46) 안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거싯(54 및 56)이 바닥 섹션 패널(26b 및 26d)에 인접하여 배치된 양태에서, 바닥 손잡이(46)는 또한 바닥면(26b 및 26d)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패널 쌍(18 및 20)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바닥 손잡이(46)는 전방 패널(22)과 후방 패널(24) 사이의 바닥 섹션(26)의 중심 부분 또는 중점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도 5는 전방 패널(26a) 및 도 2의 바닥 시일 영역(33)(영역 5)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각각의 거싯 패널(18, 20)의 폴드 라인(60 및 62)은 0 mm, 또는 0 mm 초과, 또는 0.5 mm, 또는 1.0 mm, 또는 2.0 mm, 또는 3.0 mm, 또는 4.0 mm, 또는 5.0 mm 내지 12.0 mm, 또는 60.0 mm 초과(예를 들어, 대형 용기의 경우)인 간격(U)으로 분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U)은 0 mm 초과 내지 6.0 mm 미만이다. 도 5는 정점(35a)에서 라인(B)(내부 에지(29b)에 의해 한정됨)과 교차하는 라인(A)(내부 에지(29a)에 의해 한정됨)을 도시한다. BDISP(37a)는 원위 내부 시일 아크(39a) 상에 있다. 정점(35a)은 0 mm 초과 또는 1.0 mm, 또는 2.0 mm, 또는 2.6 mm, 또는 3.0 mm, 또는 3.5 mm, 또는 3.9 mm 내지 4.0 mm, 또는 4.5 mm, 또는 5.0 mm, 또는 5.2 mm, 또는 5.5 mm, 또는 6.0 mm, 또는 6.5 mm, 또는 7.0 mm, 또는 7.5 mm, 또는 7.9 mm의 길이를 갖는 S에 의해 BDISP(37a)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 5에서, 오버시일(overseal)(64)은 (도 4의) 4개의 주변 테이퍼형 시일(40a-40d)이 바닥 시일 영역에서 모이는 곳에 형성된다. 오버시일(64)은 4-겹 부분(66)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 패널의 일부분은 모든 다른 패널의 일부분에 가열 밀봉된다. 각 패널은 4-겹 가열 시일 내의 1-겹을 나타낸다. 오버시일(64)은 또한 2-겹 부분(68)을 포함하며, 여기서 2개의 패널(전방 패널 및 후방 패널)이 함께 밀봉된다. 결론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오버시일"은 주변 테이퍼형 시일이 모여서 후속적인 가열 밀봉 작업을 받게 되는(그리고 모두 합쳐 적어도 2개의 가열 밀봉 작업을 받게 되는) 영역이다. 오버시일은 주변 테이퍼형 시일에 위치하며 가요성 용기(10)의 챔버 내로 연장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정점(35a)은 오버시일(64) 위에 위치한다. 정점(35a)은 오버시일(64)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이와 접촉하지 않는다. BDISP(37a)는 오버시일(64) 위에 위치한다. BDISP(37a)는 오버시일(64)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이와 접촉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정점(35a)은 BDISP(37a)와 오버시일(64) 사이에 위치하며, 여기서 오버시일(64)은 정점(35a)과 접촉하지 않으며 오버시일(64)은 BDISP(37a)와 접촉하지 않는다.
정점(35a)과 오버시일(64)의 상부 에지 사이의 간격은 도 6에 도시된 간격(W)으로서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W)은 0 mm, 또는 0 mm 초과, 또는 2.0 mm, 또는 4.0 mm 내지 6.0 mm, 또는 8.0 mm, 또는 10.0 mm 또는 15.0 mm의 길이를 갖는다.
4개보다 많은 웨브가 용기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오버시일(64)의 부분(68)은 4-겹, 또는 6-겹, 또는 8-겹 부분일 수 있다.
D. 주둥이 시일
도 2-3은 가요성 용기(10)가 상부 주둥이 시일(70) 및 하부 주둥이 시일(72)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상부 주둥이 시일(70)은 지점(H), 즉 제1 측면 시일(42)과 상부 주둥이 시일(70) 사이의 교차점으로부터, 상부 주둥이 시일(70)과 제2 측면 시일(43) 사이의 교차점인 지점(I)까지 연장된다. 지점(I)은 바닥 섹션(26)이 기준 지점일 때 지점(H)보다 높다(또는 위에 있다). 지점(I)에서, 제2 측면 시일(43)은 후술될 바와 같이 개방 가능한 시일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부 주둥이 시일(70)과 하부 주둥이 시일(72)은 (i) 챔버(12)에 대한 상부 기하 형상을 형성하고 동시에 (ii) 또한 주둥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주둥이 시일(70, 72)은 2개의 개별 세그먼트, 즉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 및 챔버 시일 세그먼트를 갖는다. 상부 주둥이 시일(70)은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74)(또는 u-SSS(74)) 및 제1 챔버 시일 세그먼트(76)(또는 1-CSS(76))를 갖는다. 하부 주둥이 시일(72)은 하부 주둥이 시일(78)(또는 l-SSS(78)) 및 제2 챔버 시일 세그먼트(80)(또는 2-CSS(80))를 갖는다.
1-CSS(76)(상부 주둥이 시일(70)의 구성 요소) 및 2-CSS(80)(하부 주둥이 시일(72)의 구성 요소)는 챔버(12)의 상부를 밀봉한다. 도 2-3은 1-CSS 및 2-CSS(76, 80) 각각을 본체(14)에서 시작하여 주변 시일(41)과 교차하는 단부로서 도시한다. 각각의 1-CSS 및 2-CSS(76, 80)는 주변 시일(41)에 의해 생성된 내부 체적을 폐쇄하기 위해 각각의 측면 시일(42, 43)로부터 상향 및 내측으로 테이퍼진다. 1-CSS 및 2-CSS(76, 80)는 서로 함께 챔버(12)의 상부를 한정하고 챔버(12)를 폐쇄한다. 1-CSS 및 2-CSS(76, 80)는 챔버(12)에 "피크형 옥상(peaked rooftop)" 기하형상을 제공하도록 테이퍼진다. 챔버(12)의 폐쇄 상부에 대한 이러한 피크 옥상 기하형상으로 인해, 챔버 시일 세그먼트(76, 80)는 챔버(12)가 (예를 들어 일정량의 벌크 재료와 같은) 일정량의 재료로 채워질 때 가요성 용기(10)에 수직 및 상부 안정성을 제공하여, 흘림 및/또는 넘어짐(tipping)의 위험성을 줄이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1-CSS 및 2-CSS 각각은 각각의 측면 시일과 상부 챔버 각도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CSS(76)는 제1 측면 시일(42)과 제1 상부 챔버 각도(N)를 형성한다. 2-CSS(80)는 제2 측면 시일(43)과 제2 상부 챔버 각도(O)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상부 챔버 각도(N, O)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상부 챔버 및 제2 상부 챔버 각도에 대한 크기는 동일하고 각도(N, O)는 각각 110°, 또는 120°, 또는 130° 내지 140° 또는 150°의 크기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도(N) 및 각도(O)는 각각 135°이다.
상부 주둥이 시일(70) 및 하부 주둥이 시일(72)은 가요성 용기(10) 내에 주둥이를 생성하도록 공간적으로 배열된다. l-SSS(78)는 u-SSS(74)와 상호 정렬되어 주둥이를 형성한다. "상호 정렬된"이라는 용어는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의 서로에 대한 공간적 배향으로서, 주변 시일(41)의 측면 시일 중 하나와 챔버 사이에 연장하는 유체 채널을 형성하도록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가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와 함께 연장하게 되는 공간적 배향을 지칭한다.
비록 도 2는 주둥이(82)를 직선형 또는 실질적인 직선형 채널로서 도시하지만, 주둥이가 만곡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u-SSS(74)는 1-CSS(76)에 대해 상향 만곡될 수 있고, 이때 l-SSS(78)도 또한 u-SSS(74)와 상호 정렬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3은 주둥이(82)를 생성하기 위해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74)로부터 분리 간격(J)만큼 이격된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78)를 도시한다. 주둥이(82)는 챔버(12)와 유체 연통하는 근위 단부(83)를 가지며, 주둥이는 유동성 재료가 용기(10)로부터 방출되도록 챔버(12)로부터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채널이다. 주둥이(82)는 제2 측면 시일(43)에 위치한 원위 단부(84)를 갖는다.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74)와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78) 사이의 분리 간격(J)이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 일정할 수 있어서,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78)가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74)와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74)와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78) 사이의 분리 간격(J)은 주둥이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다. 분리 간격은 챔버로부터 주둥이 유출구(84)까지 감소할 수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74, 78)는 가요성 용기(10)로부터 챔버 내용물의 노즐 타입 방출을 위한 좁은 유출구를 형성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용기(10)는 상부 오버시일(50)을 포함한다. 상부 오버시일(50)은 가요성 용기(10)의 상부 부분(III)(도 2)에 위치한다. 상부 오버시일(50)은, 상부 오버시일(50)의 일 측면 상에 제1 챔버 시일 세그먼트(76) 및 상부 오버시일(50)의 다른 측면 상에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74)를 갖는, 상부 주둥이 시일(70)에 대한 중심점을 한정한다. 상부 오버시일(50)은 4-겹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 패널의 일부분은 모든 다른 패널의 일부분에 가열 밀봉된다. 각 패널은 4-겹 가열 시일 내의 1-겹을 나타낸다. 상부 오버시일(50)은 또한 2-겹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2개의 패널(전방 패널 및 후방 패널)이 함께 밀봉된다. 2-겹 부분은 거싯 폴드(60, 62) 사이의 갭(U)으로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부 오버시일(50)은 상부 섹션(16)(도 3)에 보강 및 추가된 강도를 제공한다. 상부 섹션(16)은 사람이 챔버로부터 주둥이를 통해 내용물을 붓기 위해 가요성 용기를 취급할 때 토크 및 다른 견인력을 받는다. 상부 오버시일(50)은 가요성 용기(10)로부터의 누출을 감소시키거나 없앤다.
E. 접근 부재
도 7은 원위 단부(84)가 제2 측면 시일(43)에서 폐쇄되게 밀봉된, 가요성 용기(10)의 사용전 형상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84)는 접근 부재를 포함한다. "접근 부재"는 주둥이(82)의 원위 단부(84)에 대한 접근 또는 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체이다. 주둥이에 대한 접근을 작동시킴으로써, 접근 부재는 챔버(12)의 내용물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도 7-8에서, (도 3의) 영역 7의 확대 사시도는 제2 측면 시일(43)에 위치한 주둥이 원위 단부(84)의 분리 간격을 가로 질러 연장하는 접근 부재(86)를 도시한다. 접근 부재(86)의 작동은 주둥이의 원위 단부(84)를 개방하고 챔버(12) 내에 저장된 내용물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용어 "작동시키다", "작동된"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주둥이(82)를 개방하기 위해 접근 부재를 조작하여 챔버(12) 내외로의 입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동작을 말한다. 작동은 주둥이 원위 단부(84)를 개방하기 위해 접근 부재(86)를 당기고, 찢고, 벗기고(peeling), 분리시키고, 접는 것(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비 제한적 동작을 포함한다. 적합한 접근 부재의 비 제한적 예는 파열 노치(tear notch), 파열 슬릿(tear slit), 천공(perforation), 취약선(line of weakness), 절단선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도 7은 접근 부재(86)가 천공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천공의 작동, 즉 천공을 가로 질러 견인력을 작동시키면 원위 단부(84)를 개방하고 개방된 주둥이(82)를 노출시킨다. 도 7은 접근 부재(86)를 천공으로서 도시하지만, 접근 부재는 천공과 조합하여, 또는 단독으로, 파열 노치, 파열 슬릿, 취약선, 절단선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고 이해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7-8은 액세서리 구조체가 접근 부재의 상류에 위치하는 가요성 용기(10)를 도시한다. 적합한 액세서리 구조체의 비 제한적 예는 압력 시일, 압력 지퍼 및/또는 슬라이드 지퍼(slide zipper)와 같은 재밀봉(re-seal) 구조체; 클램프, 클립; 미세모세관 스트립(microcapillary strip);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용기(10)는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력 지퍼(88)인 재밀봉 구조체를 포함한다.
용기 제작 공정에서, 4개의 패널의 원-업(one-up) 층 구성과 관련하여 2개의 대향하는 가열 밀봉 플레이트(전방 패널(22)과 후방 패널(24) 사이에 샌드위치 된 2개의 거싯(18, 20) 패널)는 2개의 패널, 즉 전방 패널(22) 및 제2 거싯 패널(20)에 의해 형성되는 주둥이(82)를 생성한다. 제작 공정은 또한 (정면도로부터 접힌 가요성 용기(10)를 볼 때) 주둥이(82) 바로 뒤에 있는 제2 주둥이(82a)를 생성한다. 도 3은 제2 주둥이(82a)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제2 주둥이(82a)는 제2 거싯 패널(20)과 후방 패널(24)로 형성된다. 제2 주둥이(82a)는 주둥이(82)와 유사하게,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와 챔버 시일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2 주둥이(82a)는 또한 원위 단부(84a)를 포함한다(도 3, 8).
제2 주둥이(82a)는 작동 주둥이일 수 있거나 비작동(dormant) 주둥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둥이(82a)는 작동 주둥이이며, 제2 주둥이(82a)를 작동시키기 위한 접근 부재를 포함한다. 접근 부재는 주둥이(82) 용 접근 부재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임의의 구조체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가요성 용기(10)는 용기 내용물의 신속한 배출을 위해 2개의 주둥이(82, 82a)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주둥이(82a)는 주둥이(82a)의 원위 단부(84a)에서의 시일이 영구 시일이고 접근 부재가 없는 비작동 주둥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주둥이(82)가 유일한 작동 주둥이다. 원 위 단부(84a)에서의 영구 시일은 주둥이(82a)로부터의 내용물 방출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8은 비작동 주둥이로서의 제2 주둥이(82a)를 도시한다. 원위 시일(84a)은 영구 시일이므로, 제2 주둥이(82a)는 개방될 수 없다.
일 실시예에서, 유동성 재료(즉, 제품)는 비작동 주둥이(82a)를 통해 가요성 용기(10) 내로 적재된다. 영구 시일(84a)은 제품 적재 후에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제품은 접근 부재(86)의 형성 이전에 활성 주둥이(82)를 통해 적재된다.
제2 주둥이(82a)가 비작동 주둥이일 때, 제2 (비작동) 주둥이(82a)에 제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챔버(12) 근처의 원위 단부(84a)의 상류에 가열 밀봉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둥이(82) 및 제2 주둥이(82a)는 함께 부착되거나, 달리 함께 고정되어, 주둥이(82) 및 제2 주둥이(82a)가 서로 직접 인접하거나, 달리 서로 직접적인 접촉을 한다. 가열 밀봉 및/또는 접착 재료는 주둥이(82)와 비작동 주둥이(82)를 서로 직접 접촉시켜 고정 또는 달리 배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F. 손잡이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용기(10)는 패널 재료(90)의 랜드(land)(이하, "랜드(90)"라고 함)를 포함한다. 랜드(90)는 상부 부분(III)(도 2)의 다각형 영역이다. 랜드(90)는 각각의 패널(18-24)의 부분을 포함하고 (바닥 상의) 상부 주둥이 시일(70), 제1 측면 시일(42), 상부 시일(44) 및 제2 측면 시일(4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용기(10)는 랜드(90) 내에 위치한 상부 손잡이(92)를 포함한다. 손잡이(92)는 손잡이 개구를 한정하는 절취 섹션(93)(도 3)을 포함한다. 도 3은 절취 섹션(93)이 플랩(94)을 형성하되, 플랩(94)이 제4 측면에서 랜드(90)에 부착된 채로 3개의 측면을 따라 절취된 플랩(94)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패널 재료의 플랩(94)은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 개구부를 통해 밀릴 수 있고 사용자의 손과 접촉하는 에지에 비교적 매끄러운 파지 표면을 제공하도록 접힐 수 있다. 랜드(90)는 선택적 시일(95a, 95b, 95c)을 포함할 수 있다. 시일(95a-95c)은 절취 섹션(93)을 제한하고 절취 섹션(93)에 추가적인 강도 및 보강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플랩(94)은 가요성 용기(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랜드(90)의 손잡이는 소비자의 안락과 편의를 위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용기(10)는 바닥 손잡이(46)를 포함한다. 바닥 손잡이(46)는 바닥 부분(Ⅰ)에 위치한다. 바닥 손잡이(46)는 손잡이 개구를 한정하는 절취 섹션(97)(도 3)을 포함한다. 도 3은 절취 섹션(97)이 플랩(98)을 형성하되, 플랩(98)이 제4 측면에서 바닥 부분(I)에 부착된 채로 3개의 측면을 따라 절취된 플랩(98)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패널 재료(98)의 플랩은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 개구부를 통해 밀릴 수 있고 사용자의 손과 접촉하는 에지에 비교적 매끄러운 파지 표면을 제공하도록 접힐 수 있다. 바닥 부분(I)은 선택적인 시일(99a, 99b)(도 2)을 포함할 수 있다. 시일(99a-99b)은 바닥 손잡이 개구부에 추가적인 강도 및 보강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플랩(98)은 가요성 용기(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2개의 손잡이(상부 손잡이(92) 및 바닥 손잡이(46))를 갖는 가요성 용기(10)를 도시하지만, 가요성 용기(10)는 손잡이(92 및/또는 4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손잡이(92, 46)를 도시하지만, 손잡이(92, 46)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 실시예에서, 파지 부재는 상부 손잡이(92) 또는 바닥 손잡이(46)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파지 부재는 상부 손잡이(92) 및/또는 바닥 손잡이(14)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파지 부재는 또한 가요성 용기 내로 성형될 수 있다. 파지 부재는 가요성 용기의 임의의 부분에 접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파지 부재는 가요성 용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달리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안락함을 제공한다. 파지 부재는 가요성 용기에 추가적인 보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파지 부재는 사용 후에 가요성 용기(10)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다른 가요성 용기에 재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가 그 바닥 섹션(26)으로 직립하여 세워졌을 때와 같이, 용기(10)가 비사용 위치에 있을 때, 바닥 손잡이(46)는 바닥 세그먼트(26) 및 인접한 바닥 패널(26a)에 평행하도록 용기(10) 아래로 접힐 수 있다. 가요성 용기(10)는 직립한 가요성 용기(10) 아래에 바닥 손잡이(96)가 위치된 채로도 직립하여 세워질 수 있다.
도 9는 가요성 용기(10)의 내용물을 방출하기 위해 손잡이(92, 46)를 사용하는 사람(100)을 도시한다. 손잡이(92, 46)는 챔버(12)의 내용물을 방출할 때, 사람에게 안정성, 편의성 및 안락함을 제공한다. 시일 기하형상, 및 주둥이 구조는 가요성 용기(10)가 벌크 재료의 저장, 운반 및 전달에 유리하게 한다. 도 9는 가요성 용기(10)에 함유된 대량의 조리 오일(102)이 음식 프라이어(fryer)(104) 안으로 부어지는 비 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2. 상부 주둥이를 구비하는 가요성 용기
본 개시 내용은 또 다른 가요성 용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용기는 (A) 공통 주변 시일을 따라 인접한 4개의 패널을 포함한다. 공통 주변 시일은 제1 측면 시일, 대향하는 제2 측면 시일, 상부 시일 및 대향하는 바닥 시일을 포함한다. 4개의 시일이 챔버를 형성한다. (B) 각 패널은 바닥면을 포함한다. 4개의 바닥면은 함께 밀봉되어 바닥 섹션을 한정한다. (C) 상부 주둥이 시일은 제1 측면 시일로부터 상부 시일까지 연장된다. 가요성 용기는 (D) 하부 주둥이 시일을 포함한다. (E) 상부 주둥이 시일 및 하부 주둥이 시일은 각각, 각각의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 및 각각의 챔버 시일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F) 챔버 시일 세그먼트는 밀봉된 챔버 상부를 한정한다. (G)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는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와 상호 정렬되어 주둥이를 형성한다. 주둥이는 밀봉된 챔버 상부로부터 상부 시일까지 연장된다.
도 10-11은 가요성 용기(210)를 도시한다. 가요성 용기(210)는, 상부 주둥이 시일 및 하부 주둥이 시일을 위한 구성이 차이점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가요성 용기(10)와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가요성 용기(10)는 측면 주둥이(즉, 주둥이(82))를 구현하는 반면, 가요성 용기(210)는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은 상부 주둥이를 구현한다.
도 10-11은 상부 주둥이 시일(270) 및 하부 주둥이 시일(272)을 갖는 가요성 용기(210)를 도시한다. 상부 주둥이 시일(270)은 지점(L), 즉 제1 측면 시일(42)과 상부 주둥이 시일(270) 사이의 교차점으로부터, 상부 주둥이 시일(270)과 상부 시일(44) 사이의 교차점인 지점(M)까지 연장되며, 여기서 지점(M)은 제2 측면 시일(43) 근방에 위치한다. 도 10-11은 바닥 섹션(26)(도 11)이 기준 지점일 때, 지점(M)이 지점(L)보다 높다(또는 위에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지점(M)은 상부 시일(44) 상에 위치한다.
상부 주둥이 시일(270)과 하부 주둥이 시일(272)은 (i) 챔버(12)에 대한 상부 기하 형상을 형성하고 동시에 (ii) 또한 주둥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주둥이 시일(270, 272)은 2개의 각각의 시일 세그먼트, 즉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 및 챔버 시일 세그먼트를 갖는다. 상부 주둥이(270)는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274)(또는 u-SSS(274)) 및 제1 챔버 시일 세그먼트(276)(또는 1-CSS(276))를 갖는다. 하부 주둥이 시일은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278)(또는 l-SSS(278)) 및 제2 챔버 시일 세그먼트(280)(또는 2-CSS(280))를 갖는다.
1-CSS(276)(상부 주둥이 시일(270)의 구성 요소) 및 2-CSS 세그먼트(280)(하부 주둥이 시일(272)의 구성 요소)는 챔버(12)의 상부를 밀봉한다. 도 10-11은 1-CSS 및 2-CSS(276, 280) 각각을 각각 본체 부분(II)에서 시작하여 주변 시일(41)과 교차하는 단부로서 도시한다. 각각의 1-CSS 및 2-CSS(276, 280)는 내부 체적을 폐쇄하고 챔버(12)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측면 시일(42, 43)로부터 상향 및 내측으로 테이퍼진다. 1-CSS 및 2-CSS(276, 280)는 서로 함께 챔버(12)의 상부를 한정하고 챔버(12)를 폐쇄한다. 1-CSS 및 2-CSS(276,280)는 앞서 개시한 바와 같이 챔버(12)에 "피크형 옥상(peaked rooftop)" 기하형상을 제공하도록 테이퍼진다.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278)는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274)와 상호 정렬되어 주둥이(282)를 형성한다. 도 10-11은 주둥이(282)를 생성하기 위해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274)로부터 분리 간격(J)만큼 이격된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278)를 도시한다. 분리 간격(J)의 길이는 앞서 개시한 바와 같이 균일할 수도 있고, 변할 수도 있다. 주둥이(282)는 챔버(12)와 유체 연통하는 근위 단부(283)를 가지며, 주둥이는 유동성 재료가 용기(210)로부터 방출되도록 챔버(12)로부터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채널이다. 주둥이(282)는 상부 시일(44)에 위치한 원위 단부(284)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284)는 도 10-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너 주둥이(284)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위 단부(284)에서, 주둥이 개구는 상부 시일(44)로부터 제2 측면 시일(43)로 비스듬히 하향 연장된다. 원위 단부(284)는 주둥이(282)의 원위 단부(284)를 개방하기 위한 접근 부재인 파열 시일(286)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 내용의 가요성 용기(10, 210)는 강성 주둥이 및/또는 강성 장비를 구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용기(10, 210)는 0.050 리터(L), 또는 0.1 L, 또는 0.15 L, 또는 0.2 L, 또는 0.25 L, 또는 0.5 L, 또는 0.75 L, 또는 1.0 L, 또는 1.5 L, 또는 2.5 L, 또는 3 L, 또는 3.5 L, 또는 4.0 L, 또는 4.5 L 또는 5.0 L 내지 6.0 L, 또는 7.0 L, 또는 8.0 L, 또는 9.0 L 또는 10.0 L, 또는 20 L, 또는 30 L의 체적을 갖는다.
3. 유동성 물질
가요성 용기(10, 210)는 그 안에 임의 개수의 유동성 물질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유동성 식료품이 가요성 용기(10, 21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샐러드 드레싱, 소스, 유제품, 마요네즈, 머스터드, 케첩, 간장, 기타 조미료, 물, 주스, 우유, 또는 시럽 같은 음료, 탄산 음료, 맥주, 와인, 동물 사료, 애완동물용 사료 등과 같은 유동성 식료품이 가요성 용기(10, 210)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가요성 용기(10, 21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오일, 페인트, 그리스, 화학약품, 액체 중의 고체의 현탁액, 및 고체 미립자 물질(분말, 그레인, 과립상 고체)을 포함하는 기타의 유동성 물질의 저장에 적합하다.
가요성 용기(10, 210)는 더 높은 점도를 갖고 방출을 위해 용기에 압착력(squeezing force)의 적용을 필요로 하는 유동성 물질의 저장에 적합하다. 이러한 압착 가능한 유동성 물질의 비 제한적인 예는 그리스, 버터, 마가린, 비누, 샴푸, 동물 사료, 소스 및 유아식을 포함한다.
특히 본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예 및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실시예의 일부 및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기 실시예의 수정된 형태를 포함하려는 것이다.

Claims (15)

  1. 가요성 용기로서,
    A. 공통 주변 시일을 따라 인접한 4개의 패널로서, 공통 주변 시일이 제1 측면 시일, 대향하는 제2 측면 시일, 상부 시일 및 대향하는 바닥 시일을 포함하고, 이들 4개의 시일이 챔버를 형성하는, 4개의 패널;
    B. 각각의 패널이 바닥면을 포함하고, 4개의 바닥면이 함께 밀봉되어 바닥 섹션을 한정하는 것;
    C. 제1 측면 시일로부터 제2 측면 시일까지 연장되는 상부 주둥이 시일;
    D. 하부 주둥이 시일;
    E. 상기 상부 주둥이 시일 및 상기 하부 주둥이 시일이 각각의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 및 각각의 챔버 시일 세그먼트를 각각 포함하는 것;
    F. 상기 챔버 시일 세그먼트가 밀봉된 챔버 상부를 한정하는 것; 그리고
    G. 상기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가 주둥이를 형성하도록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와 상호 정렬되고, 상기 주둥이가 밀봉된 챔버 상부로부터 제2 측면 시일까지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가요성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주둥이는,
    챔버의 상부와 유체 연통하는 근위 단부; 및
    제2 측면 시일에 있는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주둥이의 원위 단부가 접근 부재를 포함하는, 가요성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주둥이 시일 위에 패널 재료의 랜드를 포함하는, 가요성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랜드 내에 절취 손잡이를 포함하는, 가요성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패널이 가요성 다층 필름인, 가요성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4개의 패널이 제1 거싯 패널, 제2 거싯 패널, 전방 패널, 및 후방 패널을 포함하는, 가요성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 용기의 상부 섹션 내에 상부 오버시일을 포함하고 바닥 섹션 내에 오버시일을 포함하는, 가요성 용기.
  9. 가요성 용기로서,
    A. 공통 주변 시일을 따라 인접한 4개의 패널로서, 공통 주변 시일이 제1 측면 시일, 대향하는 제2 측면 시일, 상부 시일 및 대향하는 바닥 시일로 구성되고, 이들 4개의 시일이 챔버를 형성하는, 4개의 패널;
    B. 각각의 패널이 바닥면을 포함하고, 4개의 바닥면이 함께 밀봉되어 바닥 섹션을 한정하는 것;
    C. 제1 측면 시일로부터 상부 시일까지 연장되는 상부 주둥이 시일;
    D. 하부 주둥이 시일;
    E. 상기 상부 주둥이 시일 및 상기 하부 주둥이 시일이 각각의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 및 각각의 챔버 시일 세그먼트를 각각 포함하는 것;
    F. 상기 챔버 시일 세그먼트가 밀봉된 챔버 상부를 한정하는 것; 그리고
    G. 상기 하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가 주둥이를 형성하도록 상부 주둥이 시일 세그먼트와 상호 정렬되고, 상기 주둥이가 밀봉된 챔버 상부로부터 상부 시일까지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가요성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주둥이는 챔버의 상부와 유체 연통하는 근위 단부; 및 상부 시일에서의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주둥이의 원위 단부가 접근 부재를 포함하는, 가요성 용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부 주둥이 시일 위에 패널 재료의 랜드를 포함하는, 가요성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랜드 내에 절취 손잡이를 포함하는, 가요성 용기.
  14.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패널이 가요성 다층 필름인, 가요성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4개의 패널이 제1 거싯 패널, 제2 거싯 패널, 전방 패널, 및 후방 패널을 포함하는, 가요성 용기.
KR1020197007555A 2016-08-30 2017-08-28 주둥이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 KR201900402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51,630 2016-08-30
US15/251,630 US10106301B2 (en) 2016-08-30 2016-08-30 Flexible container with spout
PCT/US2017/048813 WO2018044756A1 (en) 2016-08-30 2017-08-28 Flexible container with spo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258A true KR20190040258A (ko) 2019-04-17

Family

ID=5985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555A KR20190040258A (ko) 2016-08-30 2017-08-28 주둥이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106301B2 (ko)
EP (1) EP3507211B1 (ko)
JP (1) JP7134943B2 (ko)
KR (1) KR20190040258A (ko)
CN (1) CN109641690A (ko)
AR (1) AR109396A1 (ko)
AU (1) AU2017321268A1 (ko)
BR (1) BR112019002911B1 (ko)
CA (1) CA3050251A1 (ko)
CO (1) CO2019002464A2 (ko)
ES (1) ES2963330T3 (ko)
MX (1) MX2019001801A (ko)
PL (1) PL3507211T3 (ko)
RU (1) RU2019106357A (ko)
WO (1) WO20180447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1961B2 (en) * 2016-12-16 2020-05-26 Fres-Co System Usa, Inc. Vacuum package with reclosable pour spout and handl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887281A4 (en) * 2018-11-30 2022-06-2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container with dispensing pump
US11945635B2 (en) * 2019-05-31 2024-04-0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container with handles
AR119345A1 (es) 2019-07-12 2021-12-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Recipiente flexible
JP7305181B2 (ja) * 2019-11-13 2023-07-10 カネソン株式会社 母乳保存袋
KR20230131296A (ko) 2021-01-12 2023-09-12 인스턴트 브랜즈 홀딩스 인크. 실리콘 식품 및 음료 저장 용기들
USD1022604S1 (en) 2022-01-11 2024-04-16 Instant Brands Holdings Inc. Combined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
USD1022606S1 (en) 2022-01-11 2024-04-16 Instant Brands Holdings Inc. Combined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
USD1022605S1 (en) 2022-01-11 2024-04-16 Instant Brands Holdings Inc. Combined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63172A1 (en) * 1974-03-07 1975-10-03 Dcpi Plastic container for liquids - is formed from sleeve by transverse welds and has finger hole forming support
DE8008250U1 (de) * 1980-03-26 1980-07-03 Hoechst Ag Prismatischer Standbeutel aus Verbundfolien mit Fuell- und Entleerungstuelle
JPS6287034U (ko) * 1985-11-16 1987-06-03
JPS6287033U (ko) * 1985-11-16 1987-06-03
US4988016A (en) * 1989-01-30 1991-01-29 James P. Hawkins Self-sealing container
US5847053A (en) 1991-10-15 1998-12-08 The Dow Chemical Company Ethylene polymer film made from ethylene polymer blends
US5783638A (en) 1991-10-15 1998-07-21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substantially linear ethylene polymers
US5677383A (en) 1991-10-15 1997-10-14 The Dow Chemical Company Fabricated articles made from ethylene polymer blends
JPH09328152A (ja) * 1996-06-11 1997-12-22 Kyoritsu Ramineeto Kk 流動体用袋
JP4103331B2 (ja) 2000-12-15 2008-06-18 東洋製罐株式会社 取っ手付きパウチ
JP2003104400A (ja) 2001-09-28 2003-04-09 Kau Pack Kk 注出性の安定した流体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FR2839295B1 (fr) 2002-05-06 2004-06-25 Guy Brucker Contenant pour un liquide en forme de poche souple rectangulaire dont un des angles comporte une decoupe en forme de bec verseur
CA2411183C (en) 2002-11-05 2011-06-14 Nova Chemicals Corporation Heterogeneous/homogeneous copolymer
JP4360853B2 (ja) 2003-05-30 2009-11-11 カウパック株式会社 包装用袋
US7608668B2 (en) 2004-03-17 2009-10-2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Ethylene/α-olefins block interpolymers
US8002468B2 (en) 2005-08-11 2011-08-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Bag with pouring spout
DE102006029119A1 (de) * 2006-06-22 2007-07-05 Nordenia Deutschland Halle Gmbh Werk Steinfeld Folienbeutel
US20080253700A1 (en) 2007-04-16 2008-10-16 Ting-Jen Sh Refill pack
ITBO20070387A1 (it) 2007-05-31 2008-12-01 Bordi Carlo S R L Sacchetto per il contenimento di un prodotto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detto sacchetto.
WO2009016654A2 (en) 2007-07-31 2009-02-05 Aparna Thirumalai Anandampilla A squirt free easy pouring pouch
SE534097C2 (sv) * 2008-10-22 2011-04-26 Ecolean Res & Dev As Återförslutbar förpackning
US8348509B2 (en) 2009-09-10 2013-01-08 Smart Bottle, Inc. Flexible container with fitment and handle
EP2658787A1 (en) * 2010-12-28 2013-11-06 Abbott Laboratories Pouch, method of manufacturing a pouch and a method of dispensing a product from a pouch
US8992084B2 (en) 2011-11-11 2015-03-31 Ampac Holdings Llc Pouch with rigid handle and suppo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7211B1 (en) 2023-09-20
JP2019524580A (ja) 2019-09-05
BR112019002911A2 (pt) 2019-05-21
AU2017321268A1 (en) 2019-03-28
JP7134943B2 (ja) 2022-09-12
US10106301B2 (en) 2018-10-23
ES2963330T3 (es) 2024-03-26
RU2019106357A (ru) 2020-09-07
CO2019002464A2 (es) 2019-03-29
US20180057225A1 (en) 2018-03-01
AR109396A1 (es) 2018-11-28
CA3050251A1 (en) 2018-03-08
WO2018044756A1 (en) 2018-03-08
PL3507211T3 (pl) 2023-12-27
CN109641690A (zh) 2019-04-16
EP3507211A1 (en) 2019-07-10
MX2019001801A (es) 2019-06-20
BR112019002911B1 (pt)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4943B2 (ja) スパウトを備える可撓性容器
JP6450776B2 (ja) 可撓性容器及びそれを製作するためのプロセス
JP6454732B2 (ja) 可撓性容器
US9856063B1 (en) Flexible container with comfort grip
JP2017524612A (ja) 付属部を有する可撓性容器、及びそれを製作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20190062431A (ko) 튜브 부재를 구비한 가요성 용기
JP2018519217A (ja) 微小毛細分注システムを有する可撓性容器を製作するためのプロセス
US11939137B2 (en) Flexible container with dispensing pump
JP2018522788A (ja) 微小毛細分注システムを有する可撓性パウ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