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847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847A
KR20190039847A KR1020180084856A KR20180084856A KR20190039847A KR 20190039847 A KR20190039847 A KR 20190039847A KR 1020180084856 A KR1020180084856 A KR 1020180084856A KR 20180084856 A KR20180084856 A KR 20180084856A KR 20190039847 A KR20190039847 A KR 20190039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member
curved surface
positioning
bear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172B1 (ko
Inventor
쿠니오 타케치
히로카즈 히라오카
유타카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90039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1Frame disassembly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gnetic Bearings And Hydrostatic Bearings (AREA)

Abstract

[과제] 커버를 위치 결정할 때에 사용되는 위치 결정 부분이 작은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커버(162)를 케이스 부재(161)에 장착할 때, 커버(162)를 위치맞춤하면서, 커버(162)를 케이스 부재(161)의 상단측의 개구에 씌운다. 위치맞춤할 때는, 케이스 부재(161) 내에 비집고 들어가는 멈춤쇠상 돌기(162BB)의 만곡면(162BBA)과, 돌출부(161B)의 선단면(161BA)이 합쳐지도록, 커버(162)의 위치(회전 위치 등)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버(162)는, 멈춤쇠상 돌기(162BB)와 돌출부(161B)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다. 커버(162)의 위치 결정에 이용하는, 복수조(複數組)의 돌출부(161B) 및 돌출부(162B)(멈춤쇠상 돌기(162BB))(당해 각 조를「위치 결정 부분」이라고도 말한다.)를, 서로 떨어진 위치에 점재시켰기 때문에, 당해 위치 결정 부분이 작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에는, 내부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스 부재와, 케이스 부재에 조임구에 의하여 단단히 조여지고, 수용 공간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케이스 부재로서 측판(10)을 채용하고, 커버로서 제1측 커버(13)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이 개시되어 있다. 이 양 베어링 릴에서는, 제1측 커버(13)의 전체 둘레에 단차부가 설치되고, 이 단차부를 측판(10)에 끼워 넣는 것으로, 제1측 커버(13)가 위치 결정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4729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에서는, 제1측 커버(13)의 위치 결정에 사용되는 단차부(위치 결정 부분)가, 제1측 커버(13)의 전체 둘레에 걸쳐져 있어 크다. 당해 단차부(위치 결정 부분)가 크면, 예를 들면, 내부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그 만큼 작아지기 때문에, 내부 부품의 크기 및 배치의 자유도가 내려가 버린다. 또한, 예를 들면, 내부 부품에, 배선 등의 위치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는 부품을 채용한 경우, 제1측 커버(13)의 위치 결정시(제1측 커버(13)의 장착시)에, 당해 부품이, 상기 단차부의 위치에 덮여 버리고, 단차부와 측판(10)이 당해 부품을 사이에 두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커버를 위치 결정할 때에 사용되는 위치 결정 부분이 작은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예를 들면, 양 베어링 릴(100))은,
내부 부품(예를 들면, 신호선(W) 등)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예를 들면, 수용 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스 부재(예를 들면, 케이스 부재(161))와,
상기 케이스 부재에 조임구(예를 들면, 볼트(B1))에 의하여 단단히 조여지고, 상기 수용 공간을 상방(예를 들면, 도 2등에 있어서의 상방향)으로부터 덮는 커버(예를 들면, 커버(162))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중 일방(一方)은, 서로 떨어진 위치에, 상하 방향(예를 들면, 도 2등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돌기(예를 들면, 멈춤쇠상(狀) 돌기(162BB))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중 타방(他方)은,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에 계합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가 위치 결정되는 복수의 계합부(예를 들면, 돌출부(161B))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위치 결정에 사용되는 돌기 및 계합부가 점재(點在)하고, 커버를 위치 결정할 때에 사용되는 위치 결정 부분을 작게 할 수 있다(특히, 위치 결정 부분을 커버 전체 둘레에 설치한 경우(예를 들면, 상기 단차부 참조)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부재는, 통상부(예를 들면, 원통부(161A))와, 상기 복수의 계합부(예를 들면, 돌출부(161B))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는, 상기 통상부로부터 내측(예를 들면, 원통부(161A)의 중심축 측)으로 돌출하고 있고(예를 들면, 도 4 참조),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은, 상기 커버가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통상부 내부에 비집고 들어가,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과 계합하도록(예를 들면, 도 4 참조)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계합부를 통상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부분으로 하였기 때문에, 그 만큼 통상부의 두께(내주면과 외주면과의 사이의 길이)를 얇게 할 수 있고, 통상부의 내부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부재는, 체결구와 나합(羅合)하는 복수의 나합 구멍(예를 들면, 나합 구멍(161C))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나합 구멍 각각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복수의 계합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도록(예를 들면, 도 3 및 도 4 참조)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나합 구멍을 통상부에 설치하지 않는 만큼, 통상부의 두께(내주면과 외주면과의 사이의 길이)를 얇게 할 수 있고, 케이스 부재 내부의 수용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그 측면에 제1 곡면(예를 들면, 만곡면(162BBA))을 구비하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제1 곡면에 맞는 형상의 제2 곡면으로서 상기 제1 곡면과 합쳐져 상기 커버가 위치 결정되는 제2 곡면(예를 들면, 선단면(161BA))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돌기와 계합부를 순조롭게 계합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에는, 배선(예를 들면, 신호선(W))이 통과하고 있고,
상기 수용 공간의 일부를 덮는 것으로 상기 배선을 가리는 가림판(예를 들면, 가림판(168))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가림판을 덮도록(예를 들면, 도 3 참조)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배선이, 돌기와 계합부에 끼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를 떼어 내었을 때의 의장성(意匠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를 위치 결정할 때에 사용되는 위치 결정 부분이 작은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제2 본체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제2 본체부로부터 커버를 떼어 내었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케이스 부재의 돌출부와 커버의 멈춤쇠상 돌기의 계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이 구비하는 수심 카운터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을, 수심 카운터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에 적용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같은, 또는, 동등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인다.
(양 베어링 릴의 구성)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100)의 구성을 도 1 ~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양 베어링 릴(100)은, 도 1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풋(110)과 제1 본체부(120)와 핸들(130)과 스풀(140)과 클러치 조작부(150)와 제2 본체부(160)와 연결부(170)를 구비한다. 양 베어링 릴(100)은, 릴 풋(110)에 의하여, 낚싯대에 장착된다. 양 베어링 릴(100)은, 스풀(140)에 균일하게 실을 감아 돌리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도시하지 않음) 등도 구비한다.
제1 본체부(120)는, 스풀(140)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1 본체부(120)에는, 핸들(130)이 장착되어 있다. 제1 본체부(120)는, 핸들(130)의 회전을 스풀(140)에 전달하여 스풀(140)을 회전시키는 회전 전달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이 회전 전달 기구는, 예를 들면,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본체부(120)는, 그 외, 클러치 기구, 메카니컬 브레이크, 드래그 기구 등도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 기구는, 온(on)일 때에, 핸들(130)의 회전을 스풀(140)에 전달하는 한편, 오프(off)일 때는, 당해 회전을 스풀(140)에 전달하지 않는다. 클러치 기구의 온/오프는, 클러치 조작부(150)에 의하여 전환할 수 있다.
제2 본체부(160)은, 도 2 ~ 도 4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161)와 커버(162)와 전지 케이스(165)와 센서 기판 수용부(167)와 가람판(168)과 가림판 장착부(169)와 볼트(B1 ~ B2)를 구비한다. 제2 본체부(160)는, 스풀(140)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베어링, 스풀(140)의 회전을 받아, 레벨 와인드 기구의 웜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기어 등도 구비한다(모두 미도시). 덧붙여, 상기 복수의 기어는, 제1 본체부(120) 내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케이스 부재(161)는, 원통상(圓筒狀)의 형상을 가진다. 케이스 부재(161)는, 양 베어링 릴(100)의 본체 틀의 일부(스풀(140)의 상기 타단측의 원통상 부분)이고, 제2 본체부(160)의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커버(162)는, 원형의 돔 형상을 가지고(도 3도 참조), 볼트(B1)에 의하여, 케이스 부재(161)에 단단히 조여져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커버(162)는, 케이스 부재(161)의 일단의 개구를 덮고 있다. 커버(162)는, 볼트(B1)에 의하여, 케이스 부재(16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61)와 커버(162)에 의하여, 전지 케이스(165), 센서 기판 수용부(167), 가림판(168), 상기 복수의 기어 등의 내부 부품(제2 본체부(160)의 케이스 내부에 넣은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S)이 확정(劃定)되어 있다. 당해 수용 공간(S)은, 케이스 부재(161)의 내부 공간(S1)과 돔상(狀)의 커버(162)의 내부 공간(S2)를 포함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161) 및 커버(162)에 관하여는, 다음에 더 상술(詳述)한다.
전지 케이스(165)는, 버튼형 전지(200)(도 5. 도 1 ~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한다. 전지 케이스(165)는, 케이스 본체(165A)와 덮개(165B)와 O링(165C)(도 3에서는 생략)을 구비한다. 케이스 본체(165A)는, 버튼형 전지(200)(도 5. 도 1 ~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165A)에는, 버튼형 전지(200)의 전극에 접촉하는 단자(도시는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케이스 본체(165A)는, 3개의 바요넷(bayonet) 홈(165AA)을 구비하고, 덮개(165B)는, 3개의 바요넷 홈(165AA) 각각과 계합 가능한 3개의 바요넷 돌기(도면에서는 가려져 보이지 않다)을 내측에 구비한다. 따라서, 덮개(165B)는, 회전하는 것으로, 바요넷식에 의하여 케이스 본체(165A)에 장착된다. O링(165C)는, 케이스 본체(165A)의 측부와 덮개(165B)의 측부에 의하여 끼여, 전지 케이스(165) 내부로의 해수 등의 침입을 방지한다.
센서 기판 수용부(167)는, 센서 기판(166)(도 5. 도 1 ~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고 있다. 즉, 제2 본체부(160)는, 센서 기판(166)도 구비한다. 센서 기판(166)은, 복수의 자기 센서(166A)를 탑재하고 있고, 자석이 설치된 스풀(140)의 회전(회전각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한다. 센서 기판(166)은, 검출한 스풀(140)의 회전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신호선(W)(도 2 등)에 의하여 후술의 제어 기판(173)에 공급한다. 직접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신호선(W)은, 센서 기판(166)과 제어 기판(173)을 연결하고 있고, 케이스 부재(161) 내, 즉 내부 공간(S1) 내를 통과하고 있다. 센서 기판 수용부(167)는, 케이스 본체(165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림판(168)은, 판상(板狀)의 부재이고, 신호선(W)보다도 커버(162) 측에 배치되고, 케이스 부재(161) 내를 통과하는 신호선(W)를 가리고 있다(도 2 및 3 참조). 가림판(168)은, 가림판 장착부(169)에 볼트(B2)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다. 가림판 장착부(169)는, 전지 케이스(165)의 케이스 본체(165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가림판(168)은,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연결부(170)는, 스풀(140)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는 제1 본체부(120)와 제2 본체부(160)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170)는, 표시 장치(171)와 전원/리셋 버튼(172)과 제어 기판(173)(도 5. 도 1 ~ 4에서는 미도시.)을 구비한다. 표시 장치(171)와 전원/리셋 버튼(172)과 제어 기판(173)은, 제2 본체부(160)가 구비하는 센서 기판(166)과 함께, 수심 카운터(이하, 수심 카운터(C)라고 한다. )를 구성하고 있다.
수심 카운터(C)의 전기적 구성을 도 5에 도시한다. 수심 카운터(C)는, 전지 케이스(165)에 수용된 버튼형 전지(200)에 의하여 동작한다. 표시 장치(171)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이고, 낚시 채비의 현재의 수심(방출한 낚싯줄의 길이)을 제어 기판(173)의 제어 하에서 표시한다. 전원/리셋 버튼(172)은, 채비의 수심의 표시를 개시하거나(전원 온), 종료하거나(전원 오프), 리셋하거나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어 기판(173)은, 연결부(170) 내부에 탑재되어 있다. 제어 기판(173)은,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당해 프로세서에 의하여, 표시 장치(171)의 제어 등을 행한다.
제어 기판(173)(프로세서)은, 센서 기판(166)으로부터의 상기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스풀(140)로부터 방출되거나 또는 스풀(140)에 감겨진 낚싯줄의 길이를 특정하고, 특정한 길이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171)에 표시하고 있는 채비의 현재의 수심을 증감시킨다. 전원/리셋 버튼(172)은, 눌러 내림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 눌러 내림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조작 신호를 제어 기판(173)에 공급한다. 제어 기판(173)은,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기동(수심의 표시 개시:전원 온)하거나, 셧다운(수심의 표시 종료:전원 오프)하거나, 표시 장치(171)에 표시하고 있는 채비의 현재의 수심을 리셋(수심의 표시의 리셋)하거나 한다(예를 들면, 짧게 누를 때는, 전원 온 또는 오프가 행하여지고, 길게 누를 때는, 수심의 리셋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케이스 부재(161) 및 커버(162)의 상세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하기의 설명에서는, 커버(162) 측(양 베어링 릴(100)을 장착한 낚싯대를 잡은 유저로부터 보아 좌측)을 「상(上)」, 핸들 측(상기의 유저로부터 보아 우측)을 「하(下)」라고 하여 설명한다(도 2도 참조). 또한, 케이스 부재(161)의 중심축 및 커버(162)의 중심축(양자는 일치한다)을 중심축(D)(도 2도 참조)으로 한다. 이것들 정의는, 다른 데에서도 적의(適宜) 사용된다(상하 방향은, 실제의 천지(天地) 방향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케이스 부재(161)는, 원통상의 원통부(161A)와, 당해 원통부(161A)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중심축(D)의 방향)으로 돌출한 3개의 돌출부(161B)와, 3개의 볼트(B1)와 각각 나합하는 3개의 나합 구멍(161C)을 구비한다. 원통부(161A)와 3개의 돌출부(161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3개의 돌출부(161B)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3개의 돌출부(161B)는, 중심축(D)를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161B)에 있어서의 상면과, 원통부(161A)에 있어서의 상면의 일부(돌출부(161B)의 상면에 계속되는 면)는, 면일(面一)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것들 면에 의하여 구성되는 케이스 부재(161)의 상면(M1)은, 단차가 없는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161B)는, 돌출 방향의 선단에, 원통부(161A)의 외측(중심축(D)의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여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선단면(161BA)을 가진다. 각 선단면(161BA)은, 내측(중심축(D)의 방향)을 향하고 있다.
3개의 나합 구멍(161C)은 케이스 부재(161)의 상면(M1)에 설치되어 있다. 각 나합 구멍(161C)은, 각 선단면(161BA)의 근방에 위치한다. 나합 구멍(161C)과 그 근방에 위치하는 선단면(161BA)은, 원통부(161A)의 경(徑)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나합 구멍(161C)은, 선단면(161BA)보다도 외측(원통부(161A)의 외주면 측)에 위치하고 있다. 각 나합 구멍(161C)은 각 돌출부(161B) 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나합 구멍(161C)은, 돌출부(161B)와 원통부(161A)에 걸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즉, 나합 구멍(161C)은, 그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부(161B)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원통부(161A)의 두께(내주면과 외주면과의 사이의 길이)를, 나합 구멍(161C) 만큼 확보하지 않아 좋고, 당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커버(162)는, 케이스 부재(161)에 상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커버(162)는,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원형으로, 또한, 돔 형상의 돔부(162A)와 돔부(162A)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중심축(D)의 방향)으로 돌출한 3개의 돌출부(162B)와 3개의 볼트(B1) 각각이 통과하는 관통 구멍(162C)을 구비한다. 돔부(162A)와 3개의 돌출부(162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3개의 돌출부(162B)는, 케이스 부재(161)의 3개의 돌출부(161B)와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3개의 돌출부(162B)도 서로 떨어진 위치에 있고, 여기에서는, 중심축(D)을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3개의 돌출부(162B)는, 각각, 돔부(162A)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중심축(D)의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인 돌출부 본체(162BA)와 당해 돌출부 본체(162BA)로부터 상하 방향(여기에서는 하방)으로 돌출한 멈춤쇠상 돌기(162BB)를 구비한다. 돌출부 본체(162BA)의 하면(下面)(멈춤쇠상 돌기(162BB)가 없는 면)과 돔부(162A)에 있어서의 하면의 일부(돌출부 본체(162BA)의 하면에 계속되는 면)는, 면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각 면에 의하여 구성되는 커버(162)의 하면(M2)은, 단차가 없는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당해 하면(M2)은, 케이스 부재(161)의 상면(M1)과 합쳐진다. 멈춤쇠상 돌기(162BB)는, 원기둥을 축 방향을 따라 자른 형상(대략 반원기둥상(狀) 이라고도 한다)으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자른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면(측면)으로서, 만곡면(162BBA)을 구비한다. 만곡면(162BBA)은, 곡면이고, 돔부(162A)의 외측(돔부(162A)의 외주 방향)을 향하여 당해 외측으로 부풀어 올라 있다.
멈춤쇠상 돌기(162BB)은, 케이스 부재(161)의 상면(M1)과 합쳐지는 커버(162)의 하면(M2)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162)를 케이스 부재(161)에 올바른 위치에서 장착하면, 각 멈춤쇠상 돌기(162BB)가 원통부(161A)(내부 공간(S1)) 내에 비집고 들어간다. 그리고, 각 만곡면(162BBA)과 각 선단면(161BA)은, 일대일로 접촉한다. 여기서, 만곡면(162BBA)과 돌출부(161B)의 선단면(161BA)(곡면)은, 대응하는 것끼리, 형상(곡율 등)이 맞추어 있다. 따라서, 커버(162)를 케이스 부재(161)에 올바른 위치에서 장착하면, 만곡면(162BBA)과 선단면(161BA)이 일대일로 합쳐지고, 만곡면(162BBA)(멈춤쇠상 돌기(162BB))과 선단면(161BA)(돌출부(161B))이 일대일로 계합한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멈춤쇠상 돌기(162BB)와 돌출부(161B)로, 커버(162)를 케이스 부재(161)에 장착할 때의 커버(162)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진다.
3개의 관통 구멍(162C)은, 커버(162)의 하면(M2)에 설치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162C)은, 케이스 부재(161)의 각 나합 구멍(161C)과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다. 관통 구멍(162C)과 나합 구멍(161C)은, 대응하는 것끼리 연통하고 있다. 볼트(B1)는, 관통 구멍(162C)를 통과하고 나합 구멍(161C)과 나합하는 것으로, 커버(162)를 케이스 부재(161)에 단단히 조이고, 고정한다. 3개의 관통 구멍(162C) 각각은, 3개의 멈춤쇠상 돌기(162BB)(또는 돌출부(161B)) 각각의 근방에 위치한다. 관통 구멍(162C)과 그 근방에 위치하는 멈춤쇠상 돌기(162BB)는, 하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돔부(162A)의 경방향(원통부(161A)의 경방향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162C)은, 각 멈춤쇠상 돌기(162BB)보다도 외측(돔부(162A)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관통 구멍(162C)은, 각각, 돌출부(162B)(특히 돌출부 본체(162BA))와 돔부(162A)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관통 구멍(162C)은, 돌출부(162B)(특히 돌출부 본체(162BA))의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관통 구멍(162C)은, 그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부(162B)(특히 돌출부 본체(162BA))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돔부(162A)의 두께(내주면과 외주면과의 사이의 길이)를, 관통 구멍(162C)만큼 확보하지 않아 좋고, 당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커버(162)를 케이스 부재(161)에 장착할 때, 커버(162)를 위치맞춤하면서, 커버(162)를 케이스 부재(161)의 상단 측의 개구에 상방으로부터 씌운다. 위치맞춤할 때는, 케이스 부재(161) 내에 비집고 들어가는 멈춤쇠상 돌기(162BB)의 만곡면(162BBA)과 돌출부(161B)의 선단면(161BA)이 합쳐지도록, 커버(162)의 위치(회전 위치 등)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버(162)는, 멈춤쇠상 돌기(162BB)와 돌출부(161B)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볼트(B1)를, 관통 구멍(162C)를 통하여 나합 구멍(161C)에 나합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커버(162)가 케이스 부재(161)에 단단히 조여지고, 고정된다.
상술(上述)한 바와 같이, 통상의 케이스 부재(161)는, 내부 공간(S1)을 형성하고 있고, 돔상의 커버(162)는, 내부 공간(S2)을 형성하고 있다. 내부 공간(S1)에는, 센서 기판 수용부(167), 가림판(168), 도시하지 않는 스풀(140)의 타단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 신호선(W) 등이 수용된다. 전지 케이스(165)는, 케이스 부재(161)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고(도 3 등을 참조), 내부 공간(S2)에 수용된다. 케이스 부재(161)는, 커버(162)와 함께 수용 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라고도 말할 수 있다. 커버(162)는, 케이스 부재(161)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센서 기판 수용부(167), 가림판(168), 전지 케이스(165) 등을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즉, 커버(162)는, 케이스 부재(161)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내부 공간(S2)을 덮고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S2)을 포함한 수용 공간(S)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부재라고도 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상의 효과)
이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162)의 위치 결정에 이용하는, 복수조(複數組)의 돌출부(161B) 및 돌출부(162B)(멈춤쇠상 돌기(162BB))(이하, 각 조를 「위치 결정 부분」이라고도 말한다.)를, 서로 떨어진 위치에 점재시켰기 때문에, 당해 위치 결정 부분이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수용 공간(S)이 넓게 되어 있다. 나아가, 커버(162)를 케이스 부재(161)에 장착할 때, 신호선(W)(특히, 가림판(168)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등이, 위치 결정부를 덮기 어렵고, 당해 위치 결정부에 의하여 끼이는 가능성도 낮아져 있다.
또한, 커버(162)가 구비하는 멈춤쇠상 돌기(162BB)(돔부(162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돌기)는, 커버(162)를 케이스 부재(161)에 장착할 때, 원통부(161A)의 내부에 비집고 들어가, 당해 원통부(161A)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돌출부(161B)에 계합하기 때문에, 원통부(161A)의 두께(내주면과 외주면과의 사이의 길이)가 얇아져 있고, 내부 공간(S1)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나합 구멍(161C)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부(161B)에 설치되는 것으로, 원통부(161A)의 두께(내주면과 외주면과의 사이의 길이)를, 나합 구멍(161C)만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져, 당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나아가, 관통 구멍(162C)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부(162B)(특히 돌출부 본체(162BA))에 설치되는 것으로, 돔부(162A)의 두께(내주면과 외주면과의 사이의 길이)(특히, 하단부의 두께)를, 관통 구멍(162C)만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져, 당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멈춤쇠상 돌기(162BB)의 만곡면(162BBA)과 돌출부(161B)의 선단면(161BA)을 맞추는 것으로, 멈춤쇠상 돌기(162BB)와 돌출부(161B)를 계합시키기 때문에, 커버(162)의 위치 결정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61B)(선단면(161BA))와 나합 구멍(161C)을, 근방, 또한, 케이스 부재(161)의 경방향을 따라 배열하고, 멈춤쇠상 돌기(162BB)(만곡면(162BBA))와 관통 구멍(162C)도, 근방, 또한, 커버(162)의 경방향(케이스 부재(161)의 경방향)을 따라 배열하였기 때문에, 커버(162)를 장착할 때, 유저는, 나합 구멍(161C) 및 관통 구멍(162C)의 위치로부터, 선단면(161BA) 및 만곡면(162BBA)(위치 결정 부분)의 위치를 파악하기 쉽고, 커버(162)의 위치 결정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수용 공간(S)(여기에서는, 내부 공간(S1))을 통과하는 신호선(W)을 가리는 가림판(168)을 설치하고, 커버(162)는, 수용 공간(S)과 가림판(168)을 덮기(예를 들면, 도 3 참조) 때문에, 신호선(W)이 가림판(168)에 의하여 억제되고, 신호선(W)이 위치 결정 부분에 끼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신호선(W)이 보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162)를 떼어 내었을 때의, 제2 본체부(160)의 내부의 의장성이 향상하고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실시 형태를 변경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수심 카운터를 갖지 않는 양 베어링 릴 등의 다른 양 베어링 릴에도 적용 가능하다.
케이스 부재 (161)가, 돌출부(162B)(수(雄)의 결합부)를 구비하도록 하고(멈춤쇠상 돌기(162BB)의 돌출 방향은 당연히 상하(上下) 역으로 된다), 커버(162)가, 돌출부(161B)(암(雌)의 결합부)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각종 부재 등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적의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멈춤쇠상 돌기(162BB)는, 다각기둥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케이스 부재(161) 등의 각종 부재는, 어느 부재의 일부라도 무방하고,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케이스 부재(161)는 커버(162)측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폐구(閉口)여도 무방하다. 케이스 부재(161)는, 단면이 다각형의 통상(통상이라는 것은, 그 단면이 원형이 아닌 것을 포함한다.)이어도 무방하다. 커버(162)도, 상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다각형의 돔상이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커버(162)는, 상단측이 폐구의 원통상(페트병의 뚜껑과 같은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커버(162)는, 원판상(圓板狀)이어도 무방하다. 케이스 부재(161)와 커버(162)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하여, 양 베어링 릴(100)의 내부 부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케이스 부재(161)와 커버(162)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S)에 수용되는 내부 부품은, 상기 전지 케이스(165)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용 공간(S)에 수용되는 내부 부품은, 각종 기판, 각종 기어, 및, 신호선(W) 이외의 다른 배선 중 어느 하나여도 무방하다. 상기 다른 배선으로서는, 전지 케이스(165)로부터 제어 기판(173) 또는 센서 기판(16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 등을 들 수 있다. 신호선(W)을, 제어 기판(173)과 센서 기판(166)을 접속하는 동력선 및 신호선을 모은 배선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것들 배선은, 가림판(168)에 의하여 가리게 되면 좋다. 수용 공간(S)에 수용되는 내부 부품은, 용수철 등이어도 무방하다.
100 양 베어링 릴
110 릴 풋
120 제1 본체부
130 핸들
140 스풀
150 클러치 조작부
160 제2 본체부
161 케이스 부재
161A 원통부
161B 돌출부
161BA 선단면
161C 나합 구멍
162A 돔부
162B 돌출부
162BA 돌출부 본체
162BB 멈춤쇠상 돌기
162BBA 만곡면
162C 관통 구멍
162 커버
B1 볼트
165 전지 케이스
165A 케이스 본체
165AA 바요넷 홈
165B 덮개
165C O링
166 센서 기판
166A 자기 센서
167 센서 기판 수용부
168 가림판
169 가림판 장착부
B2 볼트
170 연결부
171 표시장치
172 전원/리셋 버튼
173 제어 기판
C 수심 카운터
W 신호선
200 버튼형 전지

Claims (5)

  1. 내부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에 조임구에 의하여 단단히 조여지고, 상기 수용 공간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중 일방은, 서로 떨어진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중 타방은,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에 계합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가 위치 결정되는 복수의 계합부를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는, 통상부와, 상기 복수의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는, 상기 통상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은, 상기 커버가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통상부의 내부에 비집고 들어가, 상기 복수의 계합부 각각과 계합하는,
    양 베어링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는, 체결구와 나합하는 복수의 나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나합 구멍 각각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복수의 계합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그 측면에 제1 곡면을 구비하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제1 곡면에 맞는 형상의 제2 곡면으로서 상기 제1 곡면과 합쳐져 상기 커버가 위치 결정되는 제2 곡면을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는, 배선이 통과하고 있고,
    상기 수용 공간의 일부를 덮는 것으로 상기 배선을 가리는 가림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가림판을 덮는,
    양 베어링 릴.


KR1020180084856A 2017-10-06 2018-07-20 양 베어링 릴 KR102615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6258A JP7049093B2 (ja) 2017-10-06 2017-10-06 両軸受リール
JPJP-P-2017-196258 2017-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847A true KR20190039847A (ko) 2019-04-16
KR102615172B1 KR102615172B1 (ko) 2023-12-18

Family

ID=6606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856A KR102615172B1 (ko) 2017-10-06 2018-07-20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49093B2 (ko)
KR (1) KR102615172B1 (ko)
CN (1) CN109619056B (ko)
TW (1) TWI780208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729A (ko) 1998-06-30 2000-01-25 김영환 앤티퓨즈를 갖는 리던던시회로의 리페어회로
JP2006042741A (ja) * 2004-08-09 2006-02-16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部品組立体
JP2007195433A (ja) * 2006-01-25 2007-08-09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電池ケース
JP2010104276A (ja) * 2008-10-29 2010-05-13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6208860A (ja) * 2015-04-30 2016-12-1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211Y2 (ja) * 1993-12-27 1998-11-1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KR19990010082A (ko) * 1997-07-15 1999-02-05 오철석 베이트 케스팅 릴
US6152389A (en) * 1999-12-10 2000-11-28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clutch
JP2000166442A (ja) * 2000-01-01 2000-06-20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2007006782A (ja) * 2005-06-30 2007-01-1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934358B2 (ja) * 2006-06-22 2012-05-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5124435B2 (ja) * 2008-12-16 2013-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848086B2 (ja) * 2011-10-06 2016-01-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及び釣り用リール
JP6559036B2 (ja) * 2015-10-06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729A (ko) 1998-06-30 2000-01-25 김영환 앤티퓨즈를 갖는 리던던시회로의 리페어회로
JP2006042741A (ja) * 2004-08-09 2006-02-16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部品組立体
JP2007195433A (ja) * 2006-01-25 2007-08-09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電池ケース
JP2010104276A (ja) * 2008-10-29 2010-05-13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6208860A (ja) * 2015-04-30 2016-12-1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14420A (zh) 2019-04-16
JP2019068757A (ja) 2019-05-09
KR102615172B1 (ko) 2023-12-18
TWI780208B (zh) 2022-10-11
JP7049093B2 (ja) 2022-04-06
CN109619056B (zh) 2021-12-03
CN109619056A (zh)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4358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6559036B2 (ja) 両軸受リール
TWI787311B (zh) 釣魚用捲線器
KR20140115940A (ko) 양 베어링 릴
JP2017070236A5 (ko)
JP2014056155A (ja) カメラ装置
KR20190039847A (ko) 양 베어링 릴
JPH049528Y2 (ko)
JP2007195433A (ja) 釣り用リールの電池ケース
KR102611461B1 (ko) 낚시용 릴
TWI436536B (zh) 電氣設備
WO2014041611A1 (ja) 電子機器
JP2007267729A (ja) 魚釣用リール
JP2011193265A (ja) 監視カメラ装置
JP7187196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CN210381063U (zh) 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JP2023069338A (ja) 防犯用センサ装置
KR200391550Y1 (ko) 감시카메라
CN216485572U (zh) 一种安装支架及人体红外感应组件
CN215017026U (zh) 一种圆屏显示的便携式内窥镜显示器
CN111322499B (zh) 监测系统及其安装基座
JP2019125508A (ja) 照明装置
JP2017069686A (ja) コントローラ
JP2001169692A (ja) 釣り用リールのカウンターケース
JP2001169691A (ja) 釣り用リールのカウンタ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