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793A - 공기가 통과하는 행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조립체 - Google Patents

공기가 통과하는 행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793A
KR20190039793A KR1020197008064A KR20197008064A KR20190039793A KR 20190039793 A KR20190039793 A KR 20190039793A KR 1020197008064 A KR1020197008064 A KR 1020197008064A KR 20197008064 A KR20197008064 A KR 20197008064A KR 20190039793 A KR20190039793 A KR 20190039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anger
room
wall
ple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029B1 (ko
Inventor
장-마르크 쉐러
다미앙 랑
Original Assignee
장-마르크 쉐러
다미앙 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7964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3979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장-마르크 쉐러, 다미앙 랑 filed Critical 장-마르크 쉐러
Publication of KR2019003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04B9/3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for flexible tensioned memb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 E04B2009/02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the supporting ceiling grid acting as air diff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2009/049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with fabrics tensioned on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 대상 실내에 확장된 천장을 생성하기 위한 직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6a, 6b)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부착 부재는 연결 벽(62)에 의해 상호 연결된 2개 이상의 날개(61, 63)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는 슬롯(22)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배치되고,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슬롯과 함께 배치되어 상기 부착 부재를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로 개구부(19)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조 대상 실내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는 천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공조 대상 실내의 벽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부착 부재에 의해 상기 벽에 부착되는 확장된 직물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재 중 하나는 공기가 플레넘 챔버와 처리될 실내 사이를 통과하게 하는 부착 부재 (6a, 6b)이다.

Description

공기가 통과하는 행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조립체
본 발명은 인조 천장, 특히 확장된 천장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가 그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는 실내에서 확장된 천장의 구현하기 위해 캔버스를 걸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순환 공기는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가열, 냉각, 제습, 가습)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 대상 실내를 통과할 수 있는 인조 천장이 알려져있다. 특히, 인조 천장의 행거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된 브래킷 또는 스페이서에 의해 이격시켜 주변 공간을 생성하는 인조 천장 고정 시스템이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 특허출원 FR2815112가 인용될 수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시스템 또는 구성은, 실내의 주변에서 공기의 확산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실내 미학적으로 해로운 공기 흡입 그릴(grill)을 피할 수 없게된다.
한편, 프랑스 특허출원 FR2619531는 캔버스 행거부를 기술하는데, 그 중심 코어는 캔버스를 걸기 위한 비변형 후크를 고정하는 관통 가요성 블레이드에 의해 폐쇄되고, 가요성 블레이드는 복수의 천공을 갖고, 그 측면 반대편에는 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날개가 있다. 이러한 천공은 상대적으로 제한된 길이의 벽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세그먼트의 형태이고, 또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플레넘(plenum) 공간과 실내 사이의 공기가 용이하게 순환되기 어렵다. 특히, 캔버스의 고리를 유지하는 가요성 블레이드가 중앙 코어를 거의 완전하게 차단하기 때문에 공간이 좁아진다.
또한, 국제출원 WO02/06604는 벽과 캔버스에 대향하는 고정 날개가 캔버스 상측의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천공을 갖고, 그의 중앙 코어가 비변형 후크의 통로와 차단을 위한 비변형 후크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또한, 벽과 고정측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여, 상기 플레넘과 상기 실내 사이의 공기 순환이 상기 캔버스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FR2619531 WO02/06604
본 발명은 실내의 신선 및/또는 공조된 공기의 순환이 가능한 천장 조립체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는 행거부를 제안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주연부의 공기 확산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천장 조립체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 순환을 보장하면서, 공조 또는 실내 환기와 관련하는 모든 장치, 특히, 그릴을 사용하지 않는 천장 조립체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조 대상 실내에서 확장된 천장을 제조하기 위한 캔버스 행거부로서, 상기 행거부는 연결 측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날개를 포함하고, 날개들 중 하나의 날개는 공조 대상 실내의 벽에 행거부를 고정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행거부를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을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행거부의 제2 날개는 캔버스에 대한 후크의 잠금 단부가 제공되고, 연결 측부와 행거 날개는 상기 행거부를 통한 막히지 않는 공기 흐름 슬롯을 함께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한쪽은 행거 날개의 후크 잠금 단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행거부는 통로가 슬롯의 방향으로부터 또는 슬롯의 방향으로 상기 행거부를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 바람직하게 공기 통과 슬롯은 벽 또는 행거부 고정 날개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행거부의 구성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들과 다르게, 벽의 전체 길이를 따라 공기의 통과를 방해하거나 방해하지 않으면서 플레넘과 실내 사이의 개방된 공기 통로 슬롯을 형성할 수 있게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행거 날개 및/또는 행거부의 연결 측부에 설계된 개구부는, 각각 서로로부터 1cm 미만의 간격을 갖는 다양한 평방 센티미터의 개방 표면적(예를 들어, 4cm2)을 나타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1미터의 행거부에 대하여, 수백 평방 센티미터의 누적 개방 표면적을 형성하여, 최대의 공기 순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에는 기울어진 행거 날개와, 실내와 플레넘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연결 측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실내와 플레넘 사이의 공기 순환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캔버스 행거 날개들 중 하나는 행거부 또는 상기 행거부가 고정되는 벽을 고정하도록, 고정 날개쪽으로 수렴한다. 특정 구성에 따르면, 캔버스 행거 날개는 다른 날개에 대하여 90°미만, 바람직하게는 30°내지 50°의 각도를 갖도록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통로 개구부는 캔버스 행거 날개 또는 연결 측부에 제공된다. 대안적인 설계에 따라, 캔버스 고정 날개 및 연결 측부 모두가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행거부의 이러한 배치, 즉, 행거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렴하는 캔버스 행거 날개 및/또는 연결 측부에 형성된 관통 개구부의 위치 설정)의 이점은, 슬래브를 향하는 개방된 관통 개구부가 확장 천장부가 배치되었을 때 실내에서 눈에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캔버스 걸이 날개에 플레이트가 제공되어, 분리벽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날개는 상기 관통 개구부와 소통하는 슬롯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슬롯은 상기 행거부가 상기 벽 및 상기 캔버스 걸이 날개에 고정될 때, 상기 벽의 행거부의 고정 날개 또는 벽 자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
바람직하게, 상기 행거부는 공기가 상기 슬롯을 통해 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진입함에 따라, 상기 행거부를 통해 상기 관통 개구부 또는 상기 슬롯을 향하여 상기 공기 유동을 편향시키도록 배열된 상기 슬롯 내에 제공된 전향부를 구비한다.
이상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부는 서로 결합된 두 개의 별개 부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제1 부분은 일 구성을 형성하고, 그 중 하나의 가지는 체결 날개를 형성하며,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캔버스를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수단을 결합시키는 수단이 장착된 구성을 형성한다.
이 경우, 고정 수단은 행거부의 제2 부분의 두께로 제공된 행거부의 제1 부분의 가지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홈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행거부 구조 변형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는, 예를 들어, 벽의 해당 위치에 위치한 예술 작품과 같은 장식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이 위치에서의 공기 순환을 제한하기 위해 행거부의 특정 개구부에 배치할 수 있는 인서트이다.
실시 형태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행거부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
- 공기를 동시에 송풍하거나 빨아들일 수 있도록 허용.
- 종래 기술 시스템의 공기 그릴에서 스스로 해방.
- 실내의 공기 확산 제어.
- 주변 슬롯 위에 무엇이 위치하는지 보이지 않음.
- 확장된 천장을 쉽게 설치.
- 환기 및 공조(가열, 냉각, 제습, 가습)를 위한 장비의 연결을 허용.
또한, 본 발명은 공조 대상 실내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천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천장 조립체는 플레넘(plenum)이 장착되는 공조 대상 대상 실내의 상부 타일과 함께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확장된 천장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된 천장은 하나 이상의 확장된 캔버스가 공기 공조 대상 실내의 벽들 사이에서 연장되어 행거부에 의해 이들에 고정되며, 하나 이상의 행거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행거부로서, 공기가 실내와 플레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행거부의 날개는 관통 개구부와 연통하는 슬롯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행거부가 고정되는 벽을 따라 플레넘으로부터 공기가 유동하도록 배향된다.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행거부를 갖춘 수직벽을 따라 불어 넣어져, 벽이 따뜻해지고, 벽과 대기 사이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레넘은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제1 및 제2 공간을 가지며, 이들 공간들 중 하나는 상기 공간으로 들어오는 공기를 위한 플레넘 공간을 형성하고, 다른 공간은 상기 공간으로부터 나가는 공기를 위한 플레넘 공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천장 조립체는 공조 대상 실내에 인접한 실내 및 인접한 실내의 상부 슬래브에 장착된 확장된 천장에 의해 구획된 플레넘을 포함하며, 이러한 플레넘은 두 개의 플레넘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덕트에 의해 가로지르는 칸막이에 의해 공조 대상 실내의 플레넘으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천장 조립체는 적어도 입구측에서 공조 대상 실내의 플레넘에 유체 적으로 연결된 환기 시스템 및/또는 공조 시스템을 구비한다.
유리하게, 공조 시스템은 인접한 실내의 플레넘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립체 및 행거부는 제1 구성에 따라, 동일한 실내, 즉, 동일한 체적 내에서의 공기의 송풍 및 흡입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제2 구성에 따르면, 공기가 조절(환기 및/또는 공조)될 실내에 송풍과 인접한 실내의 공기 흡입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의 송풍 및 흡입이 동일한 실내에서 구현되는 경우, 상부 슬래브와 확장된 천장 사이의 플레넘은 두 개의 별도 체적으로 유리하게 분리되어 서로 밀봉된다. 이러한 분리는 두 가지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는데, 수직 칸막이 벽에 지지 된 "종래의" 분리부를 사용하여 확장된 천장에 분리부의 높이에서 "분리기"를 설치하거나, 행거부의 특수 구성(수직 분리벽을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가 있는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천장에 분리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립체 및 행거부는 다음의 3가지 경우를 처리할 수 있다.
- 인접한 실내에 공기 흡입구가 있는 공조 및/또는 환기되는 실내.
- 동일한 실내에서 공기를 송풍하고 흡입하는 공조 및/또는 환기되는 실내와, 확장된 천장의 높이에서 분리기의 구현.
- 동일한 실내에서 공조 및/또는 환기되는 실내와, 특별한 흡입 구성의 사용.
본 발명에 따른 행거부로 생성된 천장 조립체는 공기 송풍 또는 흡입 그릴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여, 실내의 미관이 개선된다.
또한, 가열 또는 공조 시스템의 사용 중에, 전력의 일부는 천장으로부터의 복사(고온 또는 저온)에 의해 전달되고, 나머지는 행거부를 통해 실내 주변부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거주자에게 우수한 열쾌적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장 조립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체결 조립체 내에 구현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2의 행거부를 사용하는 천장 조립체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행거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거부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행거부를 사용하는 천장 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보호 메쉬가 제공된 도 9의 행거부를 나타낸다.
도 14는 필터가 제공된 행거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거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행거부를 사용하는 천장 조립체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천장 조립체에 구현된 행거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벽에 장착되고 2개의 캔버스를 지지하는 제1 실시예에 따라 두 부분으로 제조된 행거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벽에 장착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두 부분 행거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캔버스를 지지하고 기능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내부 브래킷이 장착되어 있다.
도 20a 내지 도 20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행거부의 개구부에 대한 커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20a는 평면도, 도 20b는 저면도, 도 20c는 전방 3/4 사시도, 도 20d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1a 내지 도 21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행거부의 개구부에 대한 커버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21a는 평면도, 도 21b는 저면도, 도 21c는 전방 3/4 사시도, 도 21d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도 19의 행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상이한 실시예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1은 공조 대상 실내(1)에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천장 조립체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공조 대상 실내"는 사용된 시스템(도 1에 도시된 환기 시스템 또는 공조 시스템)에 따라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거나 공조되기 위한 실내를 의미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천장 조립체는 공조 대상 실내(1) 내부에 위치하는 확장된 천장(또는 인조 천장)을 사용하며, 이는 공조 대상 실내(1)의 벽(4a, 4b) 사이에서 연장하는 확장 캔버스(3)가 행거부에 고정되어 형성되면서 경계가 형성되고, 분리부(27)을 갖는 내벽(11)에 의해 밀봉되는 방식으로 분리되는 상부 슬래브(8), 플레넘(14), 플레넘(16)을 갖는다.
실내에서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2개의 실내 벽에는 공기가 플레넘(14, 16)과 공조 대상 실내(1)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배치된 행거부가 제공된다. 이들이 신선한 공기의 통과 또는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송풍 부(6a) 및 흡입부(6b)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들은 동일하다. 송풍/흡입 구성의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6b)은 송풍부(6a)가 제공된 벽에 대향하는 벽에 부착된다. 이는 공조 대상 실내(1)의 최적의 공기 교환을 이루는데 이점이 있다.
천장 조립체는 2개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플레넘(14)에 배열된 수직 분리 내벽(11)을 포함하는데, 하나는 실내로의 공기 유입을 위한 플레넘 공간을 정의하고, 다른 하나는 실내로부터 공기 배출을 위한 플레넘 공간을 정의한다. 다음으로, 송풍 플레넘(14)은 신선 공기가 수용되고, 흡입 플레넘(16)은 공조 대상 실내(1)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수용되는 곳이다.
2개의 공간 사이의 분리를 보장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내벽(11)은 그 하부에 의해 확장된 천장을 연결하는 분리부(27)에 부착된다. 이러한 분리부는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다.
송풍 플레넘(14)은 신선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공기 덕트(17)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 덕트는 송풍 플레넘을 형성하는 상부 슬랩(8)의 부분을 통과한다. 유사하게, 흡입 플레넘(16)은 공기의 흡입을 위한 공기 덕트(18)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덕트는 흡입 슬래브를 형성하는 상부 슬래브 부분을 통과한다.
도 2는 도 1의 천장 조립체 내에 구현된 공조 대상 실내(1)와 이와 관련하는 플레넘(14, 16) 사이에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송풍부 및 흡입부(6a, 6b)의 실시 형태의 예를 도시한다.
송풍부 및 흡입부(6a, 6b)은 수평 연결 내벽(62)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제1 수직 날개(60)와 제2 수직 날개(61)를 갖는다.
제1 날개는 부품이 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날개(60)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체결 날개는 나사, 리벳 또는 유사한 구성과 같은 체결 수단의 통과를위한 개구부(21)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체결 날개(60)는 연결 내벽으로부터(즉, 위로) 연장한다. 제3 수직 날개(63)에 의해 그 하부가 연장된다.
제2 날개는 캔버스가 걸릴 수 있도록 행거 날개(61)을 형성한다. 행거 날개는 제3 날개를 향해 수렴된다. 바람직하게는, 행거 날개는 제3 날개에 대해 30°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갖는다. 도 2에 따르면, 이러한 행거 날개(61)은 벽을 향하는 내벽에 캔버스 후크(50)를 위한 행거 수단(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공기가 통과하는 슬롯을 형성하도록 벽을 따라 캔버스 후크를 벽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행거 수단(30)은 행거 벽(61)의 하부 에지를 따라 캔버스 훅을 배치하여, 후크와 벽(또는 제3 수직 날개(63)) 사이에 공기 간극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행거 수단(30)으로부터 후크를 분리하는 거리는 0.5 내지 5cm,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c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cm 일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캔버스 후크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할 수 있으며, 행거 수단(30)은 행거 내벽(61)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된 C자 형태의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러한 내측과 함께 탄성적으로 변형된 후크용 홈 통로를 형성할 수 있고, 변형되지 않은 구성의 후크 수용홈과 이러한 수용홈 내의 후크 잠금 에지로 이어져, 행거 내벽(61)에 의해 벽(4a)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여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날개는 벽에 체결된 날개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개방축을 갖는 관통 개구부(22a)을 갖는 슬롯(22)을 제3 날개와 함께 형성한다. 이는 송풍부가 고정되는 벽을 따라 실내의 입구와 실내의 출구(따라서, 플레넘의 입구)에서의 공기 공급을 보장할 수 있고, 흡입부를 갖는 벽에 궤도를 갖는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공기 흡입을 보장할 수 있다. 슬롯은 체결 날개의 개구부와 함께 플레넘과 실내 사이의 공기 통과를 허용한다.
송풍부 및 흡입부(6a, 6b)는 공기가 플레넘과 실내 사이를 통과하는 관통 개구부(19)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부는 행거 날개를 따라 정렬된 직사각형 윈도우이다. 이는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이며, 개구부는 다른 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의 수는 가변적이며, 단일 개구부 또는 복수의 개구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가 없을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확장된 천장을 걸기 위한 "종래의" 구성(7)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행거부(6a, 6b)는 상이한 용량으로 이용 가능하며, 이러한 용량은 하부에 위치된 슬롯(22)의 폭을 변경할 수 있고, 따라서, 상이한 개구부(22a) 섹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용량의 송풍부를 사용하면, 이러한 구성이 있는 벽의 주변에서 송풍된 공기의 완벽한 속도 제어가 가능하다. 공기 속도는 송풍 공기의 유량의 함수로서 계산되며, 실내의 거주자에 의해 인식되는 것과 같은 매우 낮은 속도를 기대하면서 수직벽의 바닥에 도달하도록 송풍 공기의 충분한 범위를 얻을 수 있도록 결정되며, 따라서, 최적의 편안함을 보장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용량의 흡입부를 사용하면, 최적의 공기 교환을 보장하기 위해 흡입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8을 참조하면, 송풍부 및 흡입부(6a, 6b)는 공기가 슬롯 또는 관통 개구부를 통해 들어오는지의 여부에 따라 공기 흐름을 관통 개구부 또는 슬롯을 향해 편향시키는 전향부(23)를 갖는다. 전향부의 존재는, 공기 유동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기 압력 손실을 감소시켜 공기 유동을 개선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향부는 연결 내벽을 제3 날개에 연결시킨다. 전향부는 임의의 모양(직선, 곡선 등)일 수 있지만, 최적의 형상은 도 8과 같이 원호형이다.
신선 공기는 상부 슬래브를 지나 송풍 덕트를 통해 송풍 플레넘으로 송풍되어, 송풍부를 통과한다. 송풍부의 출구에서, 슬롯(22)의 배치로 인해, 신선 공기가 송풍부를 갖는 벽을 따라 흐른다.
흡입된 공기는 흡입부가 제공된 벽에 실질적으로 접하는 경로를 따라 확장된 천장을 향해 통과하게 된다. 흡입된 공기는 배출 덕트를 통해 송풍 플레넘으로부터 배출된다.
인접한 실내(2)은 확장된 천장을 갖고 있다. 이는 천장과 함께 장착될 수 없으며, 도 3 내지 도 7, 도 11, 도 12에 도시된 천장 조립체와는 달리, 인접한 공간이 공조 대상 실내의 공기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3은 공조 대상 실내(1)에 신선한 공기가 송풍되고, 인접 실내(2)에서 공기 흡입이 수행되는 특정 실시예를 나타낸다.
공조 대상 실내(1)에는 상부 슬래브와 함께 플레넘을 한정하는 확장된 천장(3)이 구비되어 있다. 확장된 천장은 행거부를 통해 실내의 벽(4a, 4b)에 매달려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에서 가장 먼 벽(4a) 중 하나에만 공기가 통과 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나머지 벽은 종래의 행거부(7)를 구비하고 있다(즉, 공기가 관통하도록 구성되지 않음). 이러한 종래의 행거부(7)는 날개(61) 상에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19)가 없는 구성(6a, 6b)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구성은 송풍부(6a)이다.
유사하게, 인접한 실내(2)에는 상부 슬래브과 함께 플레넘(15)을 한정하는 확장된 천장(5)이 구비된다. 확장된 천장은 행거부를 통해 인접한 실내의 벽에 매달려 있으며, 행거부 중 하나 이상은 흡입부(6b)이다. 모든 벽에 흡입부(6b)가 없는 경우, 나머지 벽에는 확장된 천장을 매달 수 있는 종래의 구성(7)이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조 대상 실내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하나의 벽(4c)만이 흡입부를 갖추고 있다.
인접한 실내(2)의 플레넘(15)이 흡입 플레넘을 형성하면서, 공조 대상 실내(1)의 플레넘(14)은 송풍 플레넘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흡입된 공기는 2개의 실내 사이의 현존하거나 생성 된 간극, 예를 들어, 2개의 실내를 분리하는 문(4) 아래의 공극을 통해, 공조된 실내 (1)의 부피와 인접한 실내(2)의 부피 사이를 통과한다. 흡입부(6b)를 설치함으로써 생성된 주변 흡입 슬롯(22)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플레넘(15)에 합류된다.
흡기된 공기는 인접한 실내의 플레넘으로부터 상부 슬래브를 지나 공기 덕트 (18)를 통해 인접한 실내의 플레넘으로부터 배출될 것이다.
도 4는 인접한 실내에 위치된 공조 장비(12)로부터 공조 대상 실내(1)로 순환된 공조되는 공기가 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천장 조립체는 도 3의 천장 조립체의 배열을 따르며, 신선한 공기 유입 덕트와 배기 덕트는 각각 공조 장비의 출구에 연결된 송기 덕트(9) 및 공조 장비의 입구에 연결된 흡기 덕트(10)로 교체될 수 있으며, 송기 덕트는 인접한 실내의 플레넘으로부터 공조 대상 실내의 플레넘을 분리하는 벽을 통과한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인접한 실내의 플레넘은 흡입 플레넘을 형성하면서, 공조 대상 실내의 플레넘은 송풍 플레넘을 형성한다.
공조된 공기는 송풍 덕트를 경유하여 공조 장치에 의해 공조 대상 실내의 플레 넘으로 송풍되며, 송풍부를 통과하는 이러한 송풍 덕트는 전술한 구성이 구비된 벽을 따라 주행한다. 흡입된 공기는 2개의 실내 사이의 간극을 통해 공조된 실내 (1)의 체적과 인접한 실내(2)의 체적 사이를 통과한다. 흡입된 공기는 흡기 덕트(10)를 통해 공조 장치에 도달하는 흡입부(6)에 의해 생성된 주변 흡입 슬롯(22)을 지나 인접한 실내의 플레넘(15)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있어서,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전달하기 위해 공조 대상 실내(1)과 인접한 실내(2) 사이에 충분한 간극을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향 차음을 제공해야하는 조건에서 이러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천장 조립품은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구현된 천장 조립체는 도 1의 천장 조립체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공조 대상 실내의 흡입 플레넘과 공조 장치가 설치되는 인접한 실내의 플레넘을 분리하는 칸막이를 통과하는 흡입 공기 덕트와, 두 개의 실내와 흡입 플레넘과 공조 대상 실내의 송풍 플레넘을 분리하는 분리 내벽(11)을 분리하는 칸막이를 통과하는 송기 덕트(9)를 포함한다. 이 경우, 인접한 실내에는 종래의 행거부(7)(즉, 공기를 통과시키도록 배열되지 않은)을 통해 인접한 실내의 벽에 고정된 확장된 천장(5)을 구비한다.
도 1의 천장 조립체에서와 같이, 흡입된 공기는 관련된 흡입부(6)을 설치함으로써 생성된 주변 흡입 슬롯(22)을 통해 흡입 플레넘(16)에 도달한다. 흡기된 공기는 흡기 덕트(10)에 의해 임의의 공조 장치에 도달한다. 그 다음, 공조된 공기는 송풍 덕트(9)를 통해 재순환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덕트(10)와 송기 덕트(9)를 인접한 실내 및 관련 플레넘 외부와 연통하는 추출/배출 공기 덕트(18) 및 신선 공기 유입 덕트(17)에 각각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조 및 통풍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천장 조립체는 인접한 실내(2)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음향적인 이유로 매우 좁은 실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행거부(24)는 제3 날개와 반대 방향으로 관통 개구부 아래로 연장되는 수평 플레이트(25)를 갖는 점을 제외하면 도 2의 구성들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 플레이트의 기능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분리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수직 칸막이 내벽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의 공기 순환을 보장하면서 확장된 천장의 미적 외관이 향상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24)은 송풍부를 형성된 벽에 대향하는 벽에 고정된다. 이것은 공조 대상 실내의 최적의 공기 교환을 얻는 이점이 있다.
플레이트(25)에는 수직 분리 내벽의 고정을 허용하도록 그 선단에 상향 부재 또는 임의의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송풍부, 흡입부(6a, 6b, 24)에는 이들을 덮기 위해 개구부(19) 위에 배치되는 메시가 장착될 수 있다. 메시를 통해, 임의의 불순물 또는 곤충이 상부 슬래브와 확장된 천장 사이에 위치된 플레넘(14, 15, 16)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흡입 및 송풍부(24)은 이러한 필터(26)로 예시된다(도 13 참조).
특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을 위한 구성(6b, 24)에 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는 시스템에 연결된 환기 및/또는 공조 기기에 있는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터는 교체 또는 청소를 위해 제거될 수 있다. 도 14는 이러한 필터를 부품(24) 유형의 흡입부에 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28)는 캔버스 행거홈을 형성하는 정지부(20b) 상에 설치되는 행거 윙(61)의 내면에 대해 유지되고, 연결 내벽(62)의 내면에 의해 지지되는 종방향 스트립(28)에 의해 유지된다. "내면"은 슬롯(22)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행거부는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특히, 제3 날개가 없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롯은 캔버스 행거 날개와 이러한 구성이 고정된 벽으로 구분된다. 유사하게, 제3 날개는 고정 날개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전술한 실시예에서, 관통 개구부(19)는 캔버스 고정 날개(61)에 의해 지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 개구부(19)는 고정 날개가 아니라 연결 내벽(62)에 제공될 수 있다. 도 9의 구성은 관통 개구부(19)(도 15 참조))가 이러한 위치 설정으로 도시되어 있다.
천장 조립체는 임의의 공조 및/또는 환기 기술과 호환 가능하다. 공기 조화 및/또는 환기 설비는 공조 대상 실내(1) 상측의 플레넘(14), 공조 대상 실내(1)에 인접하는 실내의 플레넘(15)와 건물의 모든 다른 장소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계 조작으로 인한 음향적 불편을 피하기 위해, 공조 대상 실내(1)의 체적 외부에 있는 장비의 설치가 선호될 것이다.
실내의 공조 및/또는 환기 가능성과 관계 없이, 본 발명은 임의의 확장된 천장의 구현(종래의 음향)이 가능하고, 확장된 천장과 호환 가능한 임의의 공정, 예를 들어, 백라이팅 시스템, 사운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LED 스트립 라이트 시스템은 날개(61)와 연결 내벽(62) 사이의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LED 스트립이 보이지 않고 실내를 위한 주변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조 대상 실내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벽에는 송풍부가 구비될 것이다. 송풍부(6)가 형성된 벽을 선택하여 공조된 공기 및/또는 신선 공기가 날아갈 벽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벽에는 확장된 천장을 매달기 위한 종래의 구성(7)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을 통해, 최적화될 실내의 쾌적한 실내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겨울에는 주변 공기보다 일반적으로 더 차갑고, 여름에는 주변 공기보다 따뜻한 방의 외부벽을 따라 공기를 불어넣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16은 상부 슬래브(8) 상에 고정된 광학 수단(40)을 포함하는 천장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에 도시된 천장 조립체는 공기 공조 대상 실내의 벽(4a, 4b) 사이에서 연장되는 2개의 확장된 캔버스(3a, 3b)에 의해 형성된 확장된 천장이다.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캔버스(3a, 3b)는 2개의 행거부(32, 34)에 의해 벽에 고정되고, 하나는 송풍부(32)를 구성하고, 다른 하나는 흡입부(34)를 구성한다. 송풍부(32)의 확대도가 도 17에 도시된다.
전술한 행거부의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송풍부(32)는 연결 내벽(62)에 의해 캔버스 고정 날개(61)에 연결된 고정 날개(60)를 포함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32)가 벽(4a)에 고정될 때, 고정 날개(61)가 연결 내벽이 벽(4a)을 향해 수렴하는 각도를 형성하도록 날개(60, 61)가 배치된다. 고정 날개(61)는 캔버스(3a, 3b)용으로 2개의 행거홈(20a, 20b)을 포함한다. 홈 중 하나는 고정 날개(61)의 상부에서 프로파일의 내부에 개구부로 제공되고, 다른 하나의 홈은 고정 날개(61)의 바닥에 제공된다. 상측의 확장된 캔버스(3b)의 상부에 위치하는 플레넘(14) 사이의 공기 통과를 위한 관통 개구부(19)는 연결 내벽(6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송풍부(32)는 고정 날개(61)와 반대 방향으로 고정 날개(60)에 평행 한 연결 내벽(62)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날개(64)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직 날개(64)는 연결 내벽(62)의 말단부에 제공된다. 수직 날개(64)는 관통 개구부(19) 및 관통 슬롯(22)을 통해 광학 수단(40)으로부터 빛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차단 날개(64)(또는 쉴드 형성 날개)라고 지칭한다.
캔버스 상에 그림자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천장 조립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부(32)의 주위에서 실내의 상부 슬래브(8)에 고정된 실질적으로 V-형상의 부품(36)을 갖는다. 특히, 신선 공기 공급 덕트(17)로부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차단 날개(64)과 부품(36)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남겨 두는 형태로 부품(36)이 행거부(32)에 대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행거부(32) 및 부품(36)은 2개의 별개의 독립적 인 부품이다. 그러나, 이러한 2개의 부품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일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 날개(64)은 연결 내벽(62)과 마찬가지로 공기 순환을 허용하는 관통 개구부를 포함한다.
흡입부(34)는 차단 날개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송풍부(32)의 모든 특성을 갖는다. 빛의 확산은 도 16에 도시된 천장 조립체에서 송풍 플레넘(14)의 분리 내벽(11) 및 실내의 흡입 플레넘(16)에 의해 차단된다. 명백하게, 송풍부(42)과 동일한 흡입부(34)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공될 수 있다.
천장 조립체의 플레넘(14)에 제공된 광학 수단(40)의 보완 또는 대체로서, 프레임 둘레에 조명을 제공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행거부의 상부에 광학 수단이 본 발명에 따른 행거부의 상부에 바람직하게는 차단 날개(64)의 측면에 고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 날개(64)를 갖는 흡입부(34)가 바람직하게 제공 될 것이다.
도시되지 않은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효율적인 소리의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관통 개구부(19)의 부근에 확성기 또는 다른 소리 방송 장비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부(6a) 및 흡입부(6b)은 서로 고정될 2개의 독립 부품(70, 71)이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부품(70)은 고정 날개(60)와 부분적으로 수평한 연결 내벽(62)이고, 제2 부품(71)은 수평한 연결 내벽(62) 및 경사 행거 날개(61)의 나머지 부분이다.
제1 부품(70) 부분은 L형 단면을 갖는 종방향 형태의 제1부분을 포함하며, 그 수직 가지부는 고정 날개(60)를 구성하며, 수평 가지부(73)는 수평 연결 내벽(62)의 일부를 구성한다.
공기 순환을 위해, L형 부품의 수평 가지부에는 공기의 통과를 위한 개구부 (19)가 제공될 것이다.
제2 부품(71) 부분은 다소 복잡하고, 긴 베이스(74), 짧은 베이스(77) 및 이들 사이에 놓여 경사진 체결 날개(61)를 형성하는 측면(75)을 포함하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종방향 형상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내며, 수평 연결 내벽(62)의 나머지 부분을 수평하게 형성하는 대향 측면(76)을 갖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품 부분은 제1 부품 부분(70)의 L형 수평 가지부(73)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종방향 홈(78)을 포함한다.
차단할 수 있도록 L형 수평 가지부 단부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오리피스(79)에 결합하도록 나사와 같은 부착 차단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부품 부분의 상부 측면의 두께를 통과한다. 나사 또는 다른 차단 수단이 오리피스(79)에 삽입되기 전에 오리피스(79)에 대향하도록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마크(80)는 제2 부품 부분의 상부 측면(76)의 외부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부품(71)의 제2 부분은 수직인 측면(75)의 외부 표면에, 변형된 형태로 통로를 허용하는 후크(30)를 포함하고, 메인 확장된 캔버스(3a)를 고정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후크(50)의 구속 상태를 차단한다.
바람직하게는, 부품(71)의 제2 부분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확장 캔버스(3b)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후크를 고정하는 제2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 수단(81)은, 예를 들어, 제2 캔버스의 하나 이상의 후크 보유 에지(도면상에서는 2개)에 부분적으로 인접한 종방향 홈의 형태로 제공되며, 예를 들어, 제1 부품 부분의 말단의 수용홈(78)의 바로 아래에 형성된 이러한 제2 부품 부분의 긴 베이스(74)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캔버스는 먼지 및/또는 벌레에 의해 야기되는 피해를 수집하고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들은 아래에 있는 주 캔버스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고, 예를 들어, 반투명하게 제공될 때, 캔버스를 통해 방에서 보이지 않도록 유지된다.
이들 공간을 구획하고 다수의 브래킷을 수용하거나 또는 각각의 오목부에서 이들을 차단하기 위해, 이들 오목부를 형성하는 내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러그(86)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부품 부분(71)의 선단에는, 수평 상측과 경사진 긴 베이스 사이에 접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외면에 평행한 이러한 제2 부품 부분의 두께로 경사홈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차단 날개 도는 쉴드 날개를 유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공기 순환을 위해, 공기 흐름을 위한 관통 개구부(19)가 서로 연통되는 짧은베이스 및 긴베이스를 구성하는 벽의 제2 부품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부품 부분에 존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들 개구부는 필요하다면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된 커버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들 커버(90)는 평행 육면체의 형태일 수 있으며, 그 상부면에는 고려되는 커버가 폐쇄되는 개구부(19)의 윤곽에 대해 적용되도록 의도된 측면 에지(91)가 제공되고, 하부면에는 개구부가 통과하여 이를 형성하는 윤곽 뒤에 고정될 때 사라지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블레이드(92)가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 블레이드는 블록의 모서리를 제외하고, 평행 육면체 블록의 측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과도한 두께 또는 길이 방향 비드 형태를 갖는 시각적 마크(88)는, 필요하다면 2개의 부품 부분 말단부를 단부에 쉽고 정밀하게 연결하기 위해, 각 부품 부분( 70,71)의 외부 영역에 제공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의된 2개의 부분에서의 흡입부 또는 송풍부의 형성은 제2 의 복잡한 부분(71)이 단일 치수로 큰 시리즈로 제조될 수 있고, 극히 단순한 제1 부품(70)이 간단하게 L형 형상을 선택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공조 대상 수 있도록 제2 부품에 고정되는 L의 가지부의 길이 면에서 다른 치수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며, 벽과 캔버스의 에지 사이에 소정의 간격, 슬롯의 크기와 공기 순환을 공조 대상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19의 L형 부품은 도 18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주 캔버스 (3)의 에지를 주 캔버스(3)의 에지보다 벽(4a)으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시키는 긴 수평 가지부를 가지며, L형 부품의 수평 방향 가지부는 더 짧다.
도 22는 도 19의 송풍부(6a) 및 흡입부(6b)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이 대안의 실시예에서, 부품의 제2 부분(71)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한편, 부품의 제1 부분(70)은 L형 단면이 아닌 직각 Z형 단면을 갖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부품의 제1 부분(70)은 수직 가지부에 의해 함께 연결된 2개의 수평 가지부로 구성되고, 이러한 수평 가지부는 2개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단의 수평 가지부(60)는 고정 날개이다. 이는 브라켓(60b)을 통해 벽(4a)에 고정된다. 하단의 수평 가지부(73)은 수평 연결 내벽(62)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공기 순환을 허용하기 위해, 수직 연결 브랜치(60a)에는 공기의 통과를 위한 관통 개구부(19)가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품의 제1 부분(70)에 형성된 개구부는, 부품의 제2 부분(71)의 개구부와 동일하게,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하다면 커버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로써 설명되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과 상이한 실시예들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7)

  1. 공조 대상 실내(1)에서 확장된 천장을 제조하기 위한 캔버스 행거부(6a, 6b, 24, 32, 34)로서,
    상기 행거부는 연결 내벽(6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날개(61, 63)를 포함하고, 날개들 중 제1 날개는 공조 대상 실내의 벽에 행거부를 고정하도록 배열되며, 캔버스 행거 날개를 구성하는 제2 날개는 캔버스 후크의 차단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내벽과 캔버스 행거 날개는, 상기 행거부를 관통하여 폐쇄되지 않은 공기 통로를 함께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행거 날개 후크의 차단 단부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행거부는, 공기가 상기 슬롯으로부터 또는 상기 슬롯을 향해 상기 행거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부(1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부(6a, 6b, 24, 32, 34).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 행거 날개는, 상기 행거부 또는 상기 행거부가 고정되는 벽을 고정하도록, 상기 날개의 방향으로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행거부(6a, 6b, 24, 32, 34).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상기 캔버스 행거 날개에 제공되는 관통 개구부(1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부(6a, 6b, 24, 32, 34).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상기 연결 내벽(62)에 제공된 관통 개구부(1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부(6a, 6b, 24, 32, 34).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버스 행거 날개는, 다른쪽 날개에 대한 경사각이 90°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부(6a, 6b, 24, 32, 34).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관통 개구부(19)와 연통하는 슬롯(22)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부(6a, 6b, 24, 32, 34).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상기 슬롯에 위치하는 전향부(23)를 포함하고, 공기가 상기 관통 개구부 또는 상기 슬롯을 통하여 들어오는지에 따라, 상기 관통 개구부 또는 상기 슬롯을 향하는 상기 행거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전향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부(6a, 6b, 24, 32, 34).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분리 칸막이가 지지되도록 하는 플레이트(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부(6a, 6b, 24, 32, 34).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서로 연계되는 2개의 별개 부품의 결합으로 형성되고,
    제1 부품은 가지부 중 하나가 고정 날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제2 부품은 상기 제1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 및 캔버스를 걸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부(6a, 6b, 24, 32, 34).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부품 가지부의 말단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홈의 형태이고, 상기 홈은 상기 제2 부품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행거부(6a, 6b, 24, 32, 34).
  11.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공기의 통과하는 관통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부(6a, 6b, 24, 32, 34).
  12. 공조 대상 실내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기 위한 천장 조립체로서,
    공조 대상 실내(1)의 상부 슬래브(8)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확장된 천장을 포함하고, 아래에는 플레넘(14, 16)이 형성되며,
    행거부를 통해 공조 대상 실내(1)의 벽(4a, 4b)에 고정되고, 상기 벽(4a, 4b) 사이에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확장된 캔버스(3, 3a, 3b)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부는, 상기 플레넘(14, 16)과 상기 공조 대상 실내(1) 사이에서 공기가 통과하도록,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행거부(6a, 6b, 24, 32,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립체.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6a, 6b, 24)의 날개는, 상기 관통 개구부(19)과 연통하는 슬롯 (22)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플레넘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행거부가 고정된 벽을 따라 순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립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넘은, 분리 내벽에 의해 분리되는 제 1 및 제 2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공간 중 하나는 상기 실내로 공기가 진입할 수 있는 플레넘 공간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실내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플레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립체.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조 대상 실내(1)에 인접한 실내(2)에 설치되는 확장된 천장과, 상기 인접한 실내의 상부 슬래브로 형성되는 플레넘(15)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넘은, 2개의 플레넘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도관이 가로지르는 칸막이에 의해 공조 대상 실내의 플레넘(14, 16)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립체.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있어서,
    공조 대상 실내의 플레넘에 적어도 입구에서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환기 및/또는 공조 시스템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천장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시스템은 상기 인접한 실내의 플레넘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립체.
KR1020197008064A 2016-08-24 2017-08-17 공기가 통과하는 행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조립체 KR102514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7910A FR3055342A1 (fr) 2016-08-24 2016-08-24 Profile d'accroche permettant le passage d'air et ensemble de plafond comprenant un tel profile
FR1657910 2016-08-24
FR1663456A FR3055343B1 (fr) 2016-08-24 2016-12-28 Profile d'accroche permettant le passage d'air et ensemble de plafond comprenant un tel profile
FR1663456 2016-12-28
PCT/FR2017/052238 WO2018037184A1 (fr) 2016-08-24 2017-08-17 Profile d'accroche permettant le passage d'air et ensemble de plafond comprenant un tel prof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793A true KR20190039793A (ko) 2019-04-15
KR102514029B1 KR102514029B1 (ko) 2023-03-24

Family

ID=5779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064A KR102514029B1 (ko) 2016-08-24 2017-08-17 공기가 통과하는 행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조립체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10900229B2 (ko)
EP (1) EP3504382B1 (ko)
JP (1) JP7087244B2 (ko)
KR (1) KR102514029B1 (ko)
CN (1) CN109642427B (ko)
AU (1) AU2017315205B2 (ko)
BR (1) BR112019003633B1 (ko)
CA (1) CA3033061A1 (ko)
ES (1) ES2934339T3 (ko)
FI (1) FI3504382T3 (ko)
FR (2) FR3055342A1 (ko)
HR (1) HRP20221500T1 (ko)
HU (1) HUE060864T2 (ko)
LT (1) LT3504382T (ko)
MX (1) MX2019002257A (ko)
PH (1) PH12019500352A1 (ko)
PL (1) PL3504382T3 (ko)
PT (1) PT3504382T (ko)
RS (1) RS63855B1 (ko)
RU (1) RU2745151C2 (ko)
SA (1) SA519401146B1 (ko)
SG (1) SG11201901429UA (ko)
SI (1) SI3504382T1 (ko)
WO (1) WO2018037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5342A1 (fr) 2016-08-24 2018-03-02 Jean Marc Scherrer Profile d'accroche permettant le passage d'air et ensemble de plafond comprenant un tel profile
WO2019191477A1 (en) * 2018-03-31 2019-10-03 Certainteed Ceilings Corporation Vented suspension ceiling beam and suspension ceiling system
FR3085174B1 (fr) 2018-07-03 2020-12-25 Scherrer Jean Marc Systeme d’accroche pour la realisation d’un faux-plafond tendu permettant le passage d’air
FR3085696B1 (fr) 2018-09-11 2020-12-25 Egis Batiments Plafond rayonnant reversible hybride assurant chauffage, climatisation et ventilation pour le traitement d’ambiance d’un local
EP3663477B1 (en) * 2018-12-03 2022-02-23 Saint-Gobain Ecophon AB Ceiling system and building system comprising such ceiling system
RU2716623C1 (ru) * 2019-08-26 2020-03-13 Андр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Сергелев Способ растяжения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FR3109623B1 (fr) 2020-04-23 2022-07-15 Scherrer Jean Marc Panneau climatique
FR3112196B1 (fr) 2020-07-02 2022-07-15 Scherrer Jean Marc Ilot climatique
FR3113940B1 (fr) 2020-09-08 2022-08-12 Scherrer Jean Marc Dispositif rayonnant à condensation
FR3115994B1 (fr) 2020-10-13 2023-03-03 Scherrer Jean Marc structure de plafond et installation comprenant une telle structure de plafond comprenant des moyens de stérilisation de l’air
CN114383239A (zh) * 2020-10-19 2022-04-22 黄荣芳 厂房通风散热结构
FR3130014B1 (fr) 2021-12-03 2024-01-19 Scherrer Jean Marc Ilot climatique avec modulation de flux
FR3129959B1 (fr) 2021-12-03 2024-06-21 Damien Lang Plafond diffusant hybride reversible pour elements rayonnants
CN114861280B (zh) * 2022-05-27 2024-10-01 广州市圆方计算机软件工程有限公司 一种整装天花的建模方法及系统
FR3139350B1 (fr) 2022-09-05 2024-08-30 Scherrer Jean Marc Profile pour espaces modulaires utilisant un plenum aeraulique
FR3144647A1 (fr) 2022-12-30 2024-07-05 Jean-Marc Scherrer Panneau climatique extrudé autoporta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9531A1 (fr) 1987-08-18 1989-02-24 Nicot Jean Pierre Dispositif pour accrochage de plafonds ou de toiles tendues de toutes natures
EP0528696A2 (en) * 1991-08-21 1993-02-24 BROD & McCLUNG - PACE CO. Directional air diffuser panel for clean room ventilation system
JPH1061050A (ja) * 1996-08-26 1998-03-03 Ig Tech Res Inc 軒天部の外壁構造
JPH10311118A (ja) * 1997-05-12 1998-11-24 Awano Seizaishiyo:Kk 水滴防止浴室天井構造
JP2000204683A (ja) * 1999-01-12 2000-07-25 Misawa Homes Co Ltd 軒天井構造
WO2002006604A1 (fr) 2000-07-13 2002-01-24 Newmat, S.A. Profile de lisse d'accrochage d'une nappe tendue, fausse paroi telle que faux plafond ou faux mur comprenant un tel profile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75093A1 (fr) 1980-02-05 1981-08-07 Scherrer Fernand Profile constituant une lisse exterieure d'un faux plafond ou un faux mur
JPS5980627U (ja) * 1982-11-25 1984-05-31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装置
US4676016B1 (en) * 1985-11-07 1995-09-05 Harold B Phillips Hanger for a wall covering
FR2597906A1 (fr) * 1986-04-25 1987-10-30 Bouttier Dominique Dispositif d'accrochage pour faux plafond souple tendu
FR2627207A1 (fr) 1988-02-12 1989-08-18 Bidini Jean Claude Dispositif et outil de montage de plafonds tendus
US4817699A (en) * 1988-03-30 1989-04-04 Dfb Sales, Inc. Wall track for fabric wall coverings
FR2630476B1 (fr) 1988-04-22 1990-08-24 Scherrer Fernand Faux-plafond constitue par une nappe tendue accrochee, le long de ses bords, a un support fixe aux murs d'une piece d'un batiment
SU1679150A1 (ru) * 1989-09-29 1991-09-23 Москов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ый институт типового и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го проектирования Вентил 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5058340A (en) 1990-03-16 1991-10-22 Muller Jurgen H Custom stretched ceilings
DE4228721A1 (de) 1992-08-28 1994-03-03 Wilhelmi Werke Gmbh & Co Kg Verfahren zum Verkleiden einer Decke und Verkleidung nach diesem Verfahren
FR2699613B1 (fr) * 1992-12-08 1995-03-31 Newmat Sa Accessoire de maintien provisoire à faible distance d'une feuille souple à tendre entre deux supports.
FR2703761B1 (fr) * 1993-04-06 1995-07-13 Ribo Robert Procede et dispositif de climatisation et/ou de chauffage de logements, notamment d'immeubles collectifs.
FR2721051B1 (fr) * 1994-06-14 1996-08-30 Alain Triboix Dispositif pour le montage entre des parois opposées, la tension et le démontage d'une ou plusieurs membranes flexibles.
FR2815112B1 (fr) 2000-10-09 2004-07-16 Alain Triboix Dispositif de climatisation mettant en oeuvre un faux plafond et assurant une diffusion d'air le long des parois
JP2002327511A (ja) * 2001-05-02 2002-11-15 Kyoraku Co Ltd プラスチック製天井材
JP2004027497A (ja) * 2002-06-21 2004-01-29 Sekisui House Ltd 軒裏見切
FR2870273B1 (fr) 2004-05-11 2008-04-11 Rene Philippe Ruhlmann Dispositif de maintien d'un faux plafond ou faux plancher.
JP4096917B2 (ja) * 2004-06-10 2008-06-04 大成建設株式会社 吊り天井の制振構造
US7712263B1 (en) * 2004-08-02 2010-05-11 Randall Lippie Bird repellant device
US20070283656A1 (en) * 2006-06-12 2007-12-13 Anderson Andy W Fabric Wall Panel System and Track
FR2914665B1 (fr) * 2007-04-06 2010-03-26 Normalu Lisse pour fausse paroi a toile tendue
JP2008303697A (ja) * 2007-06-08 2008-12-18 Hokkaido 空気清浄機能を有する天井構造
US20100077686A1 (en) * 2008-09-26 2010-04-01 Dockside Canvas Co. Decorative display
RU128227U1 (ru) * 2012-12-10 2013-05-20 Андр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Сергелев Система монтажа натяжного полотна и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секция для нее
FR3012159B1 (fr) 2013-10-18 2016-03-18 P2R Consulting Plafond technique a installer dans un volume ferme pour creation d'une zone fumoir
RU142080U1 (ru) * 2014-02-11 2014-06-20 Андр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Сергелев Несущий профиль для монтажа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с вентиляционными каналами
US9010046B1 (en) * 2014-06-17 2015-04-21 Novawell Systems, Inc. Molding strip for fabric walls and ceilings
ES2617177T3 (es) * 2014-07-24 2017-06-15 Normalu Vigueta iluminada para una pared falsa de tejido estirado y pared falsa que comprende dicha vigueta
RU150906U1 (ru) * 2014-09-15 2015-03-10 Ольга Викторовна Лисичкина Натяжной потолок
CN204152054U (zh) * 2014-10-27 2015-02-11 嘉兴市樱菲电器有限公司 一种换气吊顶
CN204238405U (zh) * 2014-11-05 2015-04-01 广州康普顿至高建材有限公司 一种吊顶天花的风口
CN105064587B (zh) * 2015-08-18 2017-08-11 浙江宝兰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室内空气循环净化的多功能吊顶结构
US10024063B2 (en) * 2016-03-01 2018-07-17 Denis P. Friel Weep screed
FR3055342A1 (fr) 2016-08-24 2018-03-02 Jean Marc Scherrer Profile d'accroche permettant le passage d'air et ensemble de plafond comprenant un tel profile
US10533324B2 (en) * 2017-11-30 2020-01-14 Alabama Metal Industries Corporation Below top of wall ventilation screed device and assemb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9531A1 (fr) 1987-08-18 1989-02-24 Nicot Jean Pierre Dispositif pour accrochage de plafonds ou de toiles tendues de toutes natures
EP0528696A2 (en) * 1991-08-21 1993-02-24 BROD & McCLUNG - PACE CO. Directional air diffuser panel for clean room ventilation system
JPH1061050A (ja) * 1996-08-26 1998-03-03 Ig Tech Res Inc 軒天部の外壁構造
JPH10311118A (ja) * 1997-05-12 1998-11-24 Awano Seizaishiyo:Kk 水滴防止浴室天井構造
JP2000204683A (ja) * 1999-01-12 2000-07-25 Misawa Homes Co Ltd 軒天井構造
WO2002006604A1 (fr) 2000-07-13 2002-01-24 Newmat, S.A. Profile de lisse d'accrochage d'une nappe tendue, fausse paroi telle que faux plafond ou faux mur comprenant un tel pro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15205B2 (en) 2021-07-08
FI3504382T3 (en) 2023-01-13
US20190186133A1 (en) 2019-06-20
FR3055343A1 (fr) 2018-03-02
BR112019003633B1 (pt) 2023-02-23
SA519401146B1 (ar) 2022-10-13
US10900229B2 (en) 2021-01-26
RS63855B1 (sr) 2023-01-31
RU2019106121A (ru) 2020-09-25
BR112019003633A2 (pt) 2019-05-21
PL3504382T3 (pl) 2023-01-23
PH12019500352A1 (en) 2019-05-15
FR3055342A1 (fr) 2018-03-02
CN109642427A (zh) 2019-04-16
SG11201901429UA (en) 2019-03-28
JP2019533099A (ja) 2019-11-14
EP3504382A1 (fr) 2019-07-03
RU2745151C2 (ru) 2021-03-22
LT3504382T (lt) 2023-01-10
AU2017315205A1 (en) 2019-03-14
HUE060864T2 (hu) 2023-04-28
FR3055343B1 (fr) 2021-03-19
ES2934339T3 (es) 2023-02-21
PT3504382T (pt) 2022-12-30
WO2018037184A1 (fr) 2018-03-01
KR102514029B1 (ko) 2023-03-24
CA3033061A1 (fr) 2018-03-01
RU2019106121A3 (ko) 2020-10-07
EP3504382B1 (fr) 2022-10-19
HRP20221500T1 (hr) 2023-02-03
MX2019002257A (es) 2019-10-14
CN109642427B (zh) 2022-04-05
SI3504382T1 (sl) 2023-04-28
JP7087244B2 (ja)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4029B1 (ko) 공기가 통과하는 행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조립체
KR102080512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US20070113527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55643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102052348B1 (ko) 환기장치
EP3252388B1 (en) Indoor air conditioning device
JP3141914U (ja) エアーカーテン装置
KR100611881B1 (ko)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CN109405072B (zh) 空调室内机
KR2009004336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KR102629027B1 (ko) 공기조화기
ES2977726T3 (es) Unidad interior de aire acondicionado
KR102643409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98284A (ko) 환기시스템
JPH04263710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3908650B2 (ja) 建物の部屋の換気装置における排気装置
KR20200075505A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JP2019108993A (ja) 送風構造
JPH0214615B2 (ko)
JP2001311547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H09100582A (ja) 建物の空調装置
JPH058322U (ja) 空気調和機の換気装置
JPH03293493A (ja) 部屋窓の結露防上方法
KR19990070388A (ko) 창문형 에어콘
JP200731565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