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870A -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복합판유리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복합판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870A
KR20190038870A KR1020197006326A KR20197006326A KR20190038870A KR 20190038870 A KR20190038870 A KR 20190038870A KR 1020197006326 A KR1020197006326 A KR 1020197006326A KR 20197006326 A KR20197006326 A KR 20197006326A KR 20190038870 A KR20190038870 A KR 20190038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omposite
sheet glass
composite sheet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661B1 (ko
Inventor
마르셀 클라인
다니엘 다메아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9003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32B17/10201Dielectric coatings
    • B32B17/10211Doped dielectric layer, electrically conductive, e.g. SnO2: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41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mprising a light source or a light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windscreen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fron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08Sun roofs; Window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523Matrix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2Light emitting di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5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or in relation to the windshield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복합판유리(3)에 관한 것으로서, 열가소성 중간층(16)을 매개로 서로 접합되어 있는 외측 판유리(15) 및 내측 판유리(14), 그리고 시각적 상태정보를 발생하기 위해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8,12)으로 시각적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7)를 포함하며, 여기서 복합판유리(3)가 제어시스템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유닛(4)에 연결되고, 광원(8,12)이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를 재현하기 위해 제공되고, 복합판유리(3)에서 외측 판유리(15)와 내측 판유리(14) 사이에 있는 중간층에 광원이 배치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복합판유리
이 발명은 복합판유리, 제어장치로부터 상태정보를 얻는 방법, 및 자동차에 복합판유리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자동차들은 점점 더 추가적인 기능들을 갖추어 간다. 또한, 증가하고 있는 교통 안전을 위하여 자동차들은 운전자에게 현재 교통상황에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주는 운전자 보조시스템을 제공한다. 이것을 위하여, 운전자 시야에 정보를 제공해주는 시스템들이 알려져 있는데, 운전자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 교통상황으로부터 시선을 피해서는 안된다.
더나아가, 자동차 앞유리는 두개의 유리판들이 서로 열가소성 필름을 통해 붙혀진 유리를 사용한다. 판유리들은 서로 일정하지 않은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상대적 각도로 배치 된다. 이것은 또한 쐐기모양(wedge-shaped)필름 또는 쐐기(wedge) 필름으로 불린다. 쐐기 필름을 가진 복합유리들은, 예를 들어, EP1880243A2로부터 알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 앞유리들은 중앙 상부 섹션에 후방거울이나 스위칭 표면 (switching surfaces), 센서와 같은 다른 부품들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장비를 갖춘 앞유리는 부품들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자동차가 신호등 앞에 서 있는 첫번째 자동차일 때, 위쪽 가장자리에 자리한 부품들로 인하여 신호를 보는 운전자의 사야는 상당히 복잡해진다. 낮게 위치한 태양 또한 신호등을 바라 볼 때 받아들이기 어려울 정도로 운전자의 눈을 부시게 한다. 이것은 만약 운전자가 신호등을 시야에 두고 싶을 때 운전자가 원치 않은 고통스러운 자세를 취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편안한 자세로 신호등 상황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복합판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복합판유리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서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복합판유리는 열가소성 중간층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는 내측 판유리와 외측 판유리를 갖고 있다. 복합판유리는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상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빛을 내는 적어도 한 개의 광원으로 시각적인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기도 한다.여기에서
● 복합판유리는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받기 위한 수신유닛과 접속을 위해 제공된다,
● 광원은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를 재현하기 위해 제공되며, 복합판유리에서 내측 판유리와 외측 판유리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간 층에 배치된다.
복합판유리의 내측 판유리와 외측 판유리 중간층에 광원을 배치함으로써, 광원은 복합판유리의 제작 공정에 쉽게 통합된다.
편의상, 수신유닛은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 특히 교통 신호 정보를 무선으로 받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은 복합판유리의 내측 판유리와 외측 판유리 사이의 중간층에 배치되고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를 재현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어시스템 상태정보가 복합판유리에 운전자에게 표시되므로 운전자는 현재 상태정보를 인지하기 위하여 그 어떠한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하지 않아도 된다. 운전자는 복합판유리 상의 신호등 색깔을 쉽고 명확하게 알아볼 수 있다. 신호등을 기다리는 동안 운전자의 편안한 자세는 스트레스 요인 감소와 운전자의 조심성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는 결과를 낳는다. 더 나아가, 복합판유리 상에 신호등 색깔을 추가적으로 나타내줌으로써 교통 안전은 상당히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는, 차량 측에서는, 수신유닛은 상태정보를 수신유닛에 연결된 제어장치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장치는 제어신호를 생성해서 광원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광원의 기능으로써 광원은 제어시스템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빛을 생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제어장치가 데이터 버스 시스템을 통해 수신유닛 및/또는 광원과 연결된다.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CAN,LIN, MOST 시스템 일 수 있다. 수신유닛은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를 얻기 위한 카메라 또는 광센서가 될 수 있다. 수신유닛은 그 목적을 위해서 차량에 장착되고 운전자 보조 시스템 부품이 될 수 있다. 이는 에너지와 공간을 사용하는 부품을 자동차에 추가로 공급하는 것을 불필요하게 만들게 하여 여러가지를 절약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미지들은 카메라에 의해 상태정보로서 얻어질 수 있다. 그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빛-광학 신호(light-optical signal)가 광센서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카메라 및/또는 광센서가 자동차의 앞부분에, 예를 들어 차량 앞유리에 장착될 수 있고,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서 추가적인 일들을 맡을 수 있다.
이로운 실시 예에서, 수신유닛은 Bluetooth, NFC, Zigbee, 또는 DECT 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무선 데이터전송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신유닛은 제어시스템, 특히 신호등과 WLAN(IEEE 802.11, Wi-Fi)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상태 데이터를 WLAN 및/또는 인터넷 연결망(Internet network)을 통해서도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태정보 그 자체가 라디오 신호이다.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라디오 신호는 국지적으로 제한되는, 예를들어 Bluetooth 또는 WLAN 신호이다. 특히 상태정보는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차가, 특히, 자동차가 멈춰있다고 확정지어졌을 때, 신호등 전송 범위 내에서 감지되었을 때 생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예로는 광원은 중간층에 리세스(recess)되어 배치된다. 광원은 외측 판유리와 내측 판유리 사이에 직접적으로 배치되어, 운전자를 위해 특히 선명하고 분명하게 빛을 낸다.
예를들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및/또는 액정화면(LCD)에 있는 것과 같은 능동형 자기발광 광원이다. 발광 다이오드와 액정화면(LCD)의 특별한 이점은 작은 크기와 강렬한 발광성에 있다. 발광 다이오드와 액정화면(LCD) 모두 다 매우 적은 에너지 소비와 긴 사용 연한으로 두드러진다.
중간층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중간층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을,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PVB),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및/또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중간층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세테이트 수지(polyacetate resin), 주조용수지(casting resin), 아크릴(acrylates), 불소화 에틸 프로필렌 (fluorinated ethylenepropylenes),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fluoride polyvinyl), 및/또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ethylene-tetrafluoroethylene), 또는, 공중합체(copolymers), 또는 그들의 혼합물도 함유할 수 있다. 중간층 필름은 한 종류의 필름으로 또는 심지어 여러겹의 필름으로 구성 될 수 있고, 한 필름의 두께가 0.025mm 내지 1mm가 바람직하고 보통은 0.38mm 내지 0.76mm이다. 중간층 필름은 열가소성이고 적층(lamination)한 후 내측 판유리, 외측 판유리와 가능한 다른 중간층 필름들을 다른 층들과 밀착되게 접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적층(lamination)은 내측 판유리, 중간층 필름, 그리고 외측 판유리를 접착시키는 것이다.
복합판유리를 적층에 의해 생산하는 것은 예를들어, 진공 백 방식 (vacuum bag methods), 진공 링 방식(vacuum ring methods), 캘린더 방식(calender methods), 진공 적층(vacuum laminators), 오토클레이브 방식(autoclave methods), 또는 그들의 혼합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외측 판유리와 내측 판유리는 통상적으로 가열, 진공, 및/또는 압력의 작용을 통하여 접착된다. 복합판유리의 중간층필름에 광원을 적층함으로써, 발명에 의한 복합판유리의 생산은 비교적 단순하고 경제적이다.
복합판유리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차량 내부를 분리시키는데 적합하다. 복합판유리는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차량 앞유리, 지붕 판넬, 후방창문, 옆 창문으로 사용되거나 차량 내부 범위를 정하는 어떤 다른 글레이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복합판유리의 중앙 윗부분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배치한다. 그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합판유리의 왼쪽 아래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연한 포일 전도체 (평편한 전도체, 리본 전도체), 금속선, 특히 둥근 모양 전도체 또는 연선 전도체를 통하여 전압원과 신호선에 연결될 수 있고, 신호 라인은 CAN 버스를 통해서, 예를들어, 차량내 제어장치의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예를들어, 포일 전도체는 구리, 구리 주석도금, 알루미늄, 은, 금, 또는 그들의 합금으로 만든 가느다란 조각이나 끈 이다. 포일 전도체는, 예를들어, 폭이 2mm 내지 16mm이고 두께는 0.03mm 내지 0.1mm이다. 포일 전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예를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를 바탕으로한 절연 피복을 가질 수 있다. 그 대신에 얇은 금속선들도 전기배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복합판유리 즉 내측 판유리와 외측 판유리는 특히 판유리, 플로트 유리(float glass), 석영 유리(quartz glass), 붕규산 유리(borosilicate glass), 소오다 석회 유리(soda lime glass)와 같은 유리를 함유하는게 바람직하고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 염화 비닐(polyvinyl chloride), 및/또는 그들의 혼합물과 같은 단단하고 맑은 플라스틱을 함유하는게 바람직하다. 복합판유리 즉 내측 판유리와 외측 판유리는 차량용 앞유리로 사용하거나 높은 빛 투과율을 요구하는 데 사용할 때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투명한"이라는 의미는 판유리가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70%를 초과하는 투과율을 뜻한다. 운전자의 교통관련 시야와 관련이 없는 판유리들은, 예를들어, 천장 판유리는 투과율이 예를들면 5% 보다 큰 정도로 훨씬 낮을 수 있다.
외측 판유리와 내측 판유리는 실질적으로 면 평행한 (plane-parallel) 주 표면들과 그것들을 연결하는 주변 측면 모서리를 갖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한 실시예로 내측 판유리의 두께는 0.4mm 내지 3.5mm이고 0.9mm 내지 2.1mm가 바람직하다.
유리한 실시예로 외측 판유리의 두께는 최소 1.4mm이고 1.6mm가 바람직하다. 외측 판유리의 두께는 최대 4.5mm가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1mm이다. 이 범위에서 복합판유리는 기계적인 안정성과 방음 특성과 같은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차량 앞유리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얇고 가볍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외측 판유리와 내측 판유리가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되지 않는다. 그러나 판유리들을 접합하는 동안에는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이 특유한 분배가 이루어지고, 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그것들을 프리스트레스된 판유리 사용에 의해 의도적으로 발생되는 응력들과 어려움없이 구분할 수 있다.
외측 판유리, 내측 판유리, 그리고 중간층 필름은 맑고 색깔이 없을 수 있지만 엷은 색 또는 색깔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복합판유리의 총 투과율은 특히 복합판유리가 차량 앞유리일 때는 70%를 초과한다. "총 투과율"이라는 용어는 차동차 창문들의 빛 투과성을 실험한 ECE-R 43, 부속서 3, §9.1에 의해 정의된 방법에 근거한 것이다.
복합판유리는, 차동차 창문들이 통상적으로 그렇듯이, 일반적으로 곡률 반경들이 약 10cm 내지 40cm 내에 범위이고 한 방향 또는 여러 공간의 방향으로 굽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복합판유리는 예를 들어 버스, 기차, 또는 트렉터 용으로 제공될 때는 평면일 수 있다.
중간층 필름의 쐐기 각도(wedge angle)는 수직경로 상에서 일정할 수 있다. 중간층 필름의 두께, 일반적으로 아래에서부터 위로 두꺼워지는 선형적인 변화하게 된다. "아래에서부터 위로"라는 방향 표시는 하부 에지에서 상부 에지 방향, 즉 수직 경로를 나타낸다. 쐐기 각도가 아래에서부터 위로 선형적이거나 비선형적인 (다시 말해서 수직경로에서 위치 의존적인) 다소 복잡한 모양의 두께 일 수도 있다.
중간층의 두께는 아래에서부터 위로 수직경로의 적어도 몇몇 섹션에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의 두께는 수평 섹션에서 (다른 말로 하자면,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와 대략 평행한 섹션) 일정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두께는 복합판유리의 폭에 대해 일정하다. 그러나 두께는 수평 섹션들에서 변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께는 수직 경로에서 뿐만 아니라 수평 경로에서도 변화한다.
중간층은 적어도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쐐기각은 필름을 적절히 압출한다든가 또는 초기 상태에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필름을 연신해서(stretch) 만들 수 있다. 중간층은 단일 필름 혹은 하나 이상의 필름들에 의해서 만들어 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필름은 쐐기각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중간층은 또한 소음 저감 효과가 있는 "방음 필름"이라는 필름으로 만들 수도 있다. 그러한 필름들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세개의 겹들로 이루어지고, 중간에 있는 겹이 그것을 둘러싸는 바깥 층보다, 예를 들어 더 높은 가소제 함량으로 인하여, 더 높은 가소성이나 탄력성을 갖게 된다.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최소 두께 0.4mm 내지 1.5mm를 가지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0mm를 갖는다. "최소 두께" 라는 용어는 중간층의 가장 얇은 지점에서의 두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복합판유리의 하부 에지에서 두께이다. 더 얇은 중간층을 갖는 복합판유리들은 종종 차량 앞유리로 사용하기에는 안정성이 지나치게 낮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양태는,
● 차량의 수신유닛이 광신호 또는 라디오 신호에 의해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를 얻고 그것을 제어장치에 전달하며,
● 상태정보가 차량의 제어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상태정보를 재현하는 제어 신호가 광원에 전송되고, 광원은 복합판유리에서 복합판유리의 중간층에 있는 외측 판유리와 내측 판유리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 상태정보를 수신 후에 제어장치는 수신 유닛의 상태정보를 다시 요청하는,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 특히 신호등 상태정보를 얻는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차량의 속도가 임계속도치(speed threshold value)인 동안, 상태정보는 제어장치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요구된다.
차량이 정지해 있는 한 상태정보가 제어장치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요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태정보가 변화하면 그 변화는 제어장치에 의해 감지되고 변화된 제어 신호가 광원에 전송된다. 변화된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이 변화된 광 상태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표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복합판유리를 자동차에서 바람직하게는 승용차에서 앞유리 또는 옆 창문으로 사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어시스템 상태정보가 복합판유리 상에 운전자에게 표시되므로 운전자는 현재 상태정보를 인지하기 위하여 그 어떠한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하지 않아도 된다. 운전자는 복합판유리 상의 신호등 색깔을 쉽고 명확하게 알아볼 수 있다. 신호등을 기다리는 동안 운전자의 편안한 자세는 스트레스 요인 감소와 운전자의 조심성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는 결과를 낳는다. 더 나아가, 복합판유리 상에 신호등 색깔을 추가적으로 나타내줌으로써 교통 안전은 상당히 증가된다.
본 발명은 도면과 예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들은 개략도들이고 비율대로 그려진 것이 아니다. 도면들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판유리를 갖는 자동차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판유리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판유리를 차량 앞유리로 사용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판유리를 측면 창문으로 사용한 일 실시예의 평면도 이다.
도 5는본 발명에 따른 복합판유리를 측면 창문으로 사용한 다른 일 실시예의 평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판유리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판유리의 다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 이다.
도 1은 제어시스템의 신호등(2) 지역에 위치해 있는 자동차(1)를 나타낸다. 자동차(1)은 앞유리로 복합판유리(3)를 갖고 있고 교통 신호(2)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유닛을 갖추고 있다. 수신유닛은 자동차에서 자동차에 일체화 되어 있는 운전자 보조시스템의 카메라(4)로 구현된다.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수신유닛은 교통 신호(2)에 의해 전송되는 라디오 신호의 수신기로 구현된다. 그러한 수신기는 Wi-Fi (WLAN), Bluetooth, ZigBee, NFC 에 적합한 모바일 장치들 일 수 있다.
운전자 보조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7)와 같은 다른 구성품을 가질 수 있고 자동차(1)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더구나, 자동차(1)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6)을 통해 서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통합제어장치(5)을 갖는다. 데이터 버스 시스템(6)은 제어 신호들과 제어장치(5)의 상태정보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CAN, LIN, 또는 MOST 버스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자동차(1)는 앞유리로 복합판유리(3)를 포함하며 앞유리에는 운전자에게 시각적 상태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장치(7)가 있다. 디스플레이장치(7)는 LED(8)들로 구현되는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한다. LED(8)은 복합판유리(8)에 배치되어 차량 운전자 눈에 쉽게 보일 수 있다.
자동차(1)이 신호등(2)에 접근하고 신호등(2)이 빨간색 신호를 표시할 때, 자동차(1)은 신호등(2)의 앞에 있는 정지선에 멈춘다. 운전자 보조시스템의 카메라(4)는 예를 들면 신호등의 이미지 형태로 상태정보(빨간색)를 수신하고 저장 하는 것에 의해서 신호등(2)의 상태를 얻는다. 카메라(4)는 상태정보(빨간색)를 처리하여 데이터 버스시스템(6)을 거쳐 제어장치(5)에 전달한다. 제어장치(5)는 상태정보(빨간색)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상태정보(빨간색)을 표시하기 위해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해서 데이터 버스 시스템(6)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7)에 전달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디스플레이장치(7)과 제어장치(5)를 분리된 라인으로 구현할 수 있고, 분리된 라인은 상태정보(빨간색)를 데이터 버스 시스템(6) 없이 전송하는데 적합하다.
디스플레이장치(7)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등의 상태정보(빨간색)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7)의 LED(8)는 대응하는 색(빨간색)을 발산한다.
신호등(2)에서 차량(1)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 제어장치(5)는 신호등(2)의 상태정보를 다시 요청한다. 이를 위해 제어장치(5)는 상응하는 요청을 카메라(4)에 전송하고 상태정보(빨간색)을 새로이 요청된 상태정보와 비교한다. 만일 상태정보가 일치하면, 제어장치는 짧은 시간 간격으로 그러한 요청을 다시 되풀이 한다. 제어장치(5)의 평가가 상태정보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낼 때, 제어장치(5)는 새로이 요청된 상태정보를(녹색) 나타나기 위한 제어신호(5)를 디스플레이장치(7)에 전달한다. 제어장치(7)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등(2)의 상태정보(녹색)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7)의 LED(8)은 상응하는 색깔(녹색)을 발산한다. 운전자는 녹색 신호를 보고 자동차(1)을 움직인다.
만일 자동차가 거의 멈추었다면, 제어장치(5)는 현재의 차량(1) 속도와 자동차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임계치 속도와 비교한다. 만일 현재 속도가 임계치 속도 이하이면, 제어장치(5)는 카메라(4)에 요청을 전달한다. 만일 자동차가 움직이고 있고 차량(1)의 현재 속도가 임계치 속도 보다 크다면, 카메라에 아무런 요청도 전송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유리판을 디스플레이장치(7)을 갖고 있는 자동차(1)의 앞유리로 사용하는 예시적 일 실시예의 평먼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7)은 복합판유리(3)의 중앙 상부 섹션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7)은 LCD 화면(12), LED(8), 및/또는 OLED를 포함한다. 신호등(2)의 상태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그러한 광원들은 복합판유리(3)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합판유리(3)의 내부에 접합될 수 있다.
빗물 센서(10), 후방거울 또는 카메라(4) 등 기타 구성품들도 복합판유리(3)의 중앙 상부 섹션(11)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7)는 전선연결부(9)를 거쳐서 복합판유리(3)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어장치(5)에 연결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어장치(5)에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장치(7)는 독립적인 전원공급장치(배터리 또는 광전지 모듈)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7)을 갖고 있는 자동차(1)의 앞유리로 사용되는 복합판유리(3)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는 본 발명 도 2의 앞유리와 구조면에서 상응하므로, 이하에서는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디스플레이장치(7)은 도 2의 앞유리에서와는 달리 앞유리의 하부 섹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와 유사한 점으로는, 도 3에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는 두개의 광원(8,12)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앞유리 외부의 하부 에지에 제 1 광원이 복수개의 LED(8)를 구비하고 있고, 앞유리 중앙 하부섹션에 LCD화면(12)이 배치되어 있다. LCD화면(12)과 LED(8)들은 각각 전선접속부(9)를 통하여 복합판유리(3)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어장치(5)에 연결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판유리를 자동차의 옆 창문으로 사용한 실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복합판유리(3)는 자동차의 전면부 옆 창문 이고 LED(8)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7)을 갖고 있다. LED들은 운전자에게 쉽게 보이도록 복합판유리(3)의 하부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는 옆 창문으로 사용되는 복합판유리(3)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옆 창문과 유사한 점으로는 디스플레이장치(7)는 복합판유리 하부 외측 섹션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도 5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LCD화면으로 구현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판유리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복합판유리(3)는 중간층(16)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내측 판유리(14)와 외측 판유리(15)를 포함하고 있다. 내측 판유리(14)와 외측 판유리(15)는, 특히 복합판유리(3)가 차량 앞유리로 사용될 때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측 판유리(15)는 약간의 초록색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합판유리의 치수는 예를 들어 1.4mx1.2m 이다. 내측 판유리(14)는, 예를 들어, 설치된 위치에서 내부와 대면한다. 다른 말로 하자면, 내측 판유리(14)의 안쪽 면이 내측에서 접근 가능하고 외측 판유리(15)의 바깥 면은 외부를 지향한다. 내측 판유리(14)와 외측 판유리(15)는, 예를 들면, 플로트 공법으로 생산되는 소다석회 유리로 만든다. 내측 판유리(14)와 외측 판유리(15)는 강화될 수도 있고 강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내측 판유리(14)의 두께는, 예를 들어, 0.7mm이고 외측 판유리(15)의 두께는, 예를 들어, 2.1mm이다. 중간층(16)은 열가소성이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만든다. 그것의 두께는 예를 들면 0.76mm이다.
4개의 LED(8)들이 내측 판유리(14)과 외측 판유리(5) 사이에 중간층(16)에 접합되어 있다. 대안으로 혹은 추가적으로, LCD화면이 내측 판유리(14)와 외측 판유리(15)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LCD화면은 내측 판유리(14) 및/또는 외측 판유리(15)와 직접적으로 대향하여 놓인다. 동시에 복합판유리(3)는 예를 들어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로 만들어진 복수의 기능층들로 실질적으로 구성되는 투명 코팅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코팅들은 복수개의 층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층 스택은 적어도 하나의 판유리, 하나의 접착층, 하나의 기능층, 소위 하나의 배리어층(barrier layer) 및/또는 하나의 반사방지층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기능층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전도산화층(TCO), 바람직하게는 인듐 주석 산화물 (ITO), 불소 도핑 산화주석(fluorine-doped tin oxide (SnO2:F)), 안티몬 도핑 산화주석(antimony-doped tin oxide (SnO2:Sb)), 알미늄 도핑 산화아연(aluminum-doped zinc oxide (ZnO:Al)), 및/또는 갈륨 도핑 산화아연(gallium-doped zinc oxide (ZnO:Ga))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장치(7)의 광원으로서 LCD화면(12)를 갖는 본 발명에 복합판유리(3)의 또 다른 단면을 도시한다. LCD화면(12)는 내측 판유리(14)와 외측 판유리(15)사이에서 중간층(16)에 내장되어 있다. LCD화면(12)의 한 표면은 외측 판유리(15)와 직접적으로 마주 보고 놓여 있다.
1 자동차
2 신호등
3 복합판유리
4 카메라
5 제어장치
6 데이터 버스 시스템
7 디스플레이장치
8 LED
9 전선연결부
10 빗물 센서
11 복합판유리 섹션
12 LCD화면
14 내측 유리판
15 외측 유리판
16 중간층

Claims (14)

  1. 열가소성 중간층(16)을 매개로 서로 접합되어 있는 외측 판유리(15) 및 내측 판유리(14), 그리고 시각적 상태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8,12)으로 시각적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7)를 포함하는 복합판유리(3)에 있어서,
    - 복합판유리(3)가 제어시스템 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유닛(4)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고,
    - 광원(8,12)이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를 재현하기 위해 제공되고, 광원이 복합판유리(3)에서 외측 판유리(15)와 내측 판유리(1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간층에 배치되는 복합판유리(3)
  2. 제 1항에 있어서, 수신유닛(4)이 상태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제어장치(5)에 연결되고 제어장치(5)는 상태정보를 재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유리(3).
  3. 제 2항에 있어서, 제어장치(5)는 광원(8,12)을 제어하고 제어신호를 광원(8,12)에 전송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유리(3).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원(8,12)은 중간층(3) 리세스(recess)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유리(3).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5)는 데이터 버스 시스템(6)을 통하여 수신유닛(4) 및/또는 광원(8,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유리(3).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합판유리(3)가 자동차 앞유리인 복합판유리(3).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원(8,12)은 적어도 하나의 LED, OLED 및/또는 LCD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유리(3).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유닛(4)은 제어시스템 상태정보를 시각적으로 얻기 위한 카메라인 것을 특정으로 하는 복합판유리(3).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시스템은 신호등(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유리(3).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유닛(4)은 광 시각신호 및/또는 라디오 신호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유리(3).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합판유리(3)가 자동차 옆 창문인 복합판유리3).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7)가 복합판유리(3)의 상부 섹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유리(3).
  13. 제어시스템, 특히 신호등(2)의 상태정보를 얻는 방법으로서,
    (a) 자동차 수신유닛(4)이 광 시각신호 또는 라디오 신호에 의하여 제어시스템 상태정보를 얻고 그것을 제어장치(5)에 전달하며,
    (b) 상태정보가 자동차 제어장치(5)에 의해 수신되며, 상태정보를 재현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판유리(3)에 배치되는 광원(8,12)에 전송되고, 그리고
    (c) 상태정보를 수신한 후, 제어장치(5)는 수신유닛(4)로부터 상태정보를 다시 요청하는, 제어시스템의 상태정보를 얻는 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판유리(3)를 자동차, 특히 승용차에서 앞유리 또는 옆 창문으로 사용.
KR1020197006326A 2016-08-05 2017-06-23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복합판유리 KR102265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3053 2016-08-05
EP16183053.4 2016-08-05
PCT/EP2017/065478 WO2018024403A1 (de) 2016-08-05 2017-06-23 Verbundscheibe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870A true KR20190038870A (ko) 2019-04-09
KR102265661B1 KR102265661B1 (ko) 2021-06-16

Family

ID=5674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326A KR102265661B1 (ko) 2016-08-05 2017-06-23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복합판유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220090B2 (ko)
EP (1) EP3493985A1 (ko)
JP (2) JP2019530604A (ko)
KR (1) KR102265661B1 (ko)
CN (1) CN108349219B (ko)
BR (1) BR112019001678A2 (ko)
CA (1) CA3032785A1 (ko)
MA (1) MA45841A (ko)
MX (1) MX2019001423A (ko)
RU (1) RU2708101C1 (ko)
WO (1) WO20180244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O2018000469A1 (es) * 2017-11-30 2018-04-30 Agp America Sa Laminado automotriz con capa de compensación de sustrato de borde sólido invisible
WO2020053901A1 (en) * 2018-09-10 2020-03-19 Saint-Gobain Glass France Intelligent vehicle control system with an integrated glazing
KR20210042390A (ko) * 2018-09-25 2021-04-19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적층 유리판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210252835A1 (en) * 2020-02-18 2021-08-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glass with integrated sensor chip
CN113997764A (zh) * 2021-11-26 2022-02-01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基于光阀技术的智能触控汽车天幕系统及其控制方法
CN114236666B (zh) * 2021-11-30 2024-03-29 歌尔股份有限公司 胶合导光件的制造方法和性能测试系统以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560A (ja) * 2001-07-19 2003-02-07 Nippon Sheet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送受信装置
JP2010521353A (ja) * 2007-03-16 2010-06-24 ピルキントン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相互作用乗り物グレージング
WO2015041106A1 (ja) * 2013-09-18 2015-03-26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および車両用表示装置
JP2016112984A (ja) * 2014-12-12 2016-06-23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虚像表示システム、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7906A (en) * 1964-07-13 1967-05-02 Monsanto Co Laminated glass having electrically operated instrument indicator means embedded in the interlayer
DE4127656A1 (de) 1991-08-21 1993-02-25 Bosch Gmbh Robert Elektrolumineszenz-anzeige
JP2696044B2 (ja) * 1992-07-14 1998-01-14 株式会社ミツトヨ 合焦検出方法、これを用いた非接触変位測定方法及び装置
US5668663A (en) * 1994-05-05 1997-09-16 Donnelly Corporation Electrochromic mirrors and devices
DE19708610A1 (de) * 1997-03-03 1998-09-24 Siemens Ag Pixel-Matrix-Anzeigeeinrichtung für Transportsysteme
DE10101624A1 (de) * 2001-01-16 2002-07-18 Zeiss Carl Jena Gmbh Anordnung zur Scharfeinstellung für Mikroskope
DE10127284A1 (de) * 2001-06-05 2002-12-12 Zeiss Carl Jena Gmbh Autofokussiereinrichtung für ein optisches Gerät
BE1015302A3 (fr) * 2003-01-10 2005-01-11 Glaverbel Vitrage comportant des composants electroniques.
KR20080021011A (ko) 2005-05-11 2008-03-06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쐐기 프로파일을 갖는 중합체 중간층
JP5507243B2 (ja) * 2006-06-30 2014-05-28 コンチネンタル・テベス・アーゲー・ウント・コンパニー・オーハーゲー 車両内の、およびその車両からの車両関連情報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
DE102007012571A1 (de) 2006-07-15 2008-01-17 Volkswagen Ag Transparente Anzeigevorrichung für ein Kraftfahrzeug
JP4926182B2 (ja) * 2006-09-28 2012-05-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信号認識装置、信号認識方法、信号認識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GB0710808D0 (en) * 2007-06-06 2007-07-18 Pilkington Automotive Ltd Tinted laminated vehicle glazing
DE102009017385A1 (de) * 2009-04-14 2010-10-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Verbundscheibenanordnung
DE102009048491A1 (de) * 2009-09-25 2011-04-07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Nachrüstsystem für ein Fahrzeug, Nachrüstkomponente und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r Funktion zur Fahrerunterstützung
MX2012012035A (es) * 2010-04-16 2013-05-30 Flex Lighting Ii Llc Señal que comprende una guia de luz a base de pelicula.
US8461602B2 (en) * 2010-08-27 2013-06-11 Quarkstar Llc Solid state light sheet using thin LEDs for general illumination
DE102011080154B4 (de) 2011-07-29 2015-11-12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Fahrzeugfensterscheibe und Fahrzeug mit Verbundglasscheiben als Fahrzeugfensterscheiben
US20160109714A1 (en) * 2012-08-14 2016-04-21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Head-Up Display Device
EP2762950B1 (en) * 2013-02-01 2020-10-21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head-up display arrangement
BE1021978B1 (fr) * 2013-12-13 2016-02-01 Agc Glass Europe Vitrage automobile
US10131272B2 (en) * 2016-07-18 2018-11-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arning light system with dedicated windshield heating el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560A (ja) * 2001-07-19 2003-02-07 Nippon Sheet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送受信装置
JP2010521353A (ja) * 2007-03-16 2010-06-24 ピルキントン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相互作用乗り物グレージング
WO2015041106A1 (ja) * 2013-09-18 2015-03-26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および車両用表示装置
JP2016112984A (ja) * 2014-12-12 2016-06-23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虚像表示システム、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3985A1 (de) 2019-06-12
JP2019530604A (ja) 2019-10-24
CN108349219A (zh) 2018-07-31
JP2021120270A (ja) 2021-08-19
CN108349219B (zh) 2021-11-30
MX2019001423A (es) 2019-06-10
JP7202412B2 (ja) 2023-01-11
US20190176438A1 (en) 2019-06-13
CA3032785A1 (en) 2018-02-08
KR102265661B1 (ko) 2021-06-16
RU2708101C1 (ru) 2019-12-04
WO2018024403A1 (de) 2018-02-08
BR112019001678A2 (pt) 2019-05-14
US11220090B2 (en) 2022-01-11
MA45841A (fr)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6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복합판유리
US10647092B2 (en) Vehicle luminous glazing, vehicle incorporating it
US11407204B2 (en) Laminated glazing with an electrically controllable device and manufacture
CN109073928B (zh) 含有具有可电控光学性能的功能元件的复合玻璃板
JP6619081B2 (ja) 照明される複層ガラス
RU270250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оконного стекла с пластиной с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им покрытием и емкостным коммутационным участком
RU2730322C1 (ru) Композитная панель с электрической нагрузкой
US11110857B2 (en) Luminous laminated automotive glazing comprising in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nd manufacture thereof
CN215322261U (zh) 车窗玻璃、显示装置及车辆
CN114502370A (zh) 用于机动车辆的发光玻璃件和具有该发光玻璃件的机动车辆
CN110621498A (zh) 含有电控装置的层压窗玻璃和制备
JP2021522148A (ja) 熱可塑性中間層に電気的に切り換え可能な機能要素を有する複合ペイン
US20220185110A1 (en) An interactive system for a vehicle
EP3057149A1 (en) Kits comprising TOLED-containing multilayer films for providing windows with an image display
CN218316179U (zh) 一种多功能挡风玻璃
CN110446605B (zh) 具有功能元件和照明的复合玻璃板
CN110997317A (zh) 具有高传导性层的pdlc运输工具玻璃板
CN216526357U (zh) 玻璃组件、窗体总成及显示装置
CN115461218A (zh) 具有用于监控内部空间的安全传感器的用于交通工具天窗的复合板
JP2024506413A (ja) 投影アセンブリ用の加熱可能な複合ペイン
WO2023161181A1 (en) Illuminating glazed roof
CN113767010A (zh) 具有可电控光学性能的复合玻璃板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