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658A - 광섬유 유닛 및 광섬유 케이블 - Google Patents

광섬유 유닛 및 광섬유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658A
KR20190038658A KR1020197007651A KR20197007651A KR20190038658A KR 20190038658 A KR20190038658 A KR 20190038658A KR 1020197007651 A KR1020197007651 A KR 1020197007651A KR 20197007651 A KR20197007651 A KR 20197007651A KR 20190038658 A KR20190038658 A KR 20190038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binding
fiber unit
bonding
bon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이치로 가네코
도모아키 가지
미즈키 이사지
고지 도미카와
겐 오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9003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복수의 광섬유와, 복수의 상기 광섬유를 결속하는 2개 이상의 결속재를 구비하는 광섬유 유닛으로서, 2개의 상기 결속재는 SZ형으로 복수의 상기 광섬유에 권취되고, 또한 각각의 반전부에 있어서 서로 접착되는 접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가 상기 광섬유 유닛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접착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를 L로 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결속재의 결속 피치를 P라고 할 때, 0.15≤L/(P/2)≤0.8을 만족시키는, 광섬유 유닛.

Description

광섬유 유닛 및 광섬유 케이블
본 발명은, 광섬유(optical fiber) 유닛 및 광섬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9월 20일자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6―18349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광섬유 심선(心線) 또는 광섬유 소선(素線)(이후, 단지 광섬유라고 함)에 결속재(結束材)를 권취한 광섬유 유닛이 알려져 있다. 이 광섬유 유닛에서는, 결속재를 권취함으로써 광섬유 심선의 다발이 흐트러지게 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결속재의 색에 의해 복수의 광섬유 유닛 사이의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광섬유의 다발에 복수의 결속재를 SZ형으로 감고, 권취 방향의 반전(反轉) 개소에서 2개의 결속재를 접착한 광섬유 유닛이 제안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2개의 결속재가 접착된 부분을 박리하면, 그 박리한 부분의 주변의 결속(結束)이 해제되고, 또 다른 부분에서의 결속은 유지된다. 이로써, 광섬유 유닛의 중간 후 분기(branching) 작업 등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0―26196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12―88454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광섬유 유닛에서는, 결속재의 반전 개소(箇所)끼리를 접착하므로, 이 접착부가 뜻하지 않게 박리됨으로써 결속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광섬유에 SZ형으로 권취된 결속재의 결속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에 관한 광섬유 유닛은, 복수의 광섬유와, 복수의 상기 광섬유를 결속하는 2개 이상의 결속재를 구비하는 광섬유 유닛으로서, 2개의 상기 결속재는 SZ형으로 복수의 상기 광섬유에 권취되고, 또한 각각의 반전부(反轉部)에 있어서 서로 접착되는 접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가 상기 광섬유 유닛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접착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를 L로 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결속재의 결속 피치를 P라고 할 때, 0.15≤L/(P/2)≤0.8을 만족시키고 있다.
상기 제1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유닛에 의하면, L/(P/2)의 값이 0.15 이상인 것에 의해, 결속재 전체에 차지하는 접착부의 면적을 확보하여, 접착부가 뜻하지 않게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L/(P/2)의 값이 0.8 이하인 것에 의해, 광섬유 유닛을 제조할 때, 접착부가 형성되고 나서 결속재를 반전시킬 때까지의 길이 방향의 거리 또는 시간이 짧은 것에 기인하는 접착 불량의 발생을 억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유닛에 의하면, 결속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유닛은, 상기 제1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유닛에 있어서, 상기 결속재의 중심선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부를 가지고, 상기 직선부가 상기 접착부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2 태양에 따르면, 예를 들면, 결속재의 중심선이 직선부를 가지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착부의 면적이 커져, 접착부를 더욱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유닛은, 상기 제2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유닛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결속재의 중심선에서의 상기 직선부끼리가, 상기 접착부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어 있다.
상기 제3 태양에 따르면, 접착부의 면적이 커져, 더욱 확실하게 결속재끼리를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유닛은, 상기 제1 또는 제2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유닛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결속재의 중심선이 상기 반전부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고, 복수의 교점(交点)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4 태양에 따르면, 결속재의 중심선이 복수의 교점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이 교점의 주위에 접착부가 형성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결속재를 반전시키는 위치나 반전부의 형상에 불균일이 생긴 경우라도, 2개의 결속재가 충분한 범위에서 서로 중첩된다. 그러므로, 접착부를 확실하게 형성하여, 결속재의 결속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유닛은, 상기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접착 강도가 12.5gf 이상 또한 91.0gf 이하이다.
상기 제5 태양에 따르면, 접착부의 접착 강도를 12.5gf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착부가 뜻하지 않게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착 강도를 91.0gf 이하로 함으로써, 접착부에 있어서 결속재끼리를 박리시킬 때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관한 광섬유 케이블은, 상기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유닛과, 상기 광섬유 유닛을 피복하는 시스(sheath)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6 태양에 관한 광섬유 케이블에 의하면, 결속재가 복수의 광섬유에 SZ형으로 권취되어 있고, 또한 결속재의 결속 상태가 안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광섬유의 다발이 흐트러지게 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광섬유 유닛의 식별성이 확보되어, 광섬유 케이블의 중간 후 분기 작업 등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태양에 의하면, 복수의 광섬유에 SZ형으로 권취된 결속재의 결속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섬유 유닛을 구비한 광섬유 케이블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a는 결속 장치를 직경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a는 결속재의 중심선끼리가 주위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의 접착부의 확대도이다.
도 4b는 결속재의 중심선끼리가 교차한 상태의 접착부의 확대도이다.
도 5a는 변형예의 광섬유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결속재의 전개도(展開圖)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유닛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을 위한 도면에 대해서는,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각각의 구성 부품의 도시한 생략, 축척의 변경, 형상의 간략화 등을 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 유닛(10)은, 복수의 광섬유(1)와, 복수의 광섬유(1)를 결속하는 2개의 결속재(2), (3)를 구비하고 있다.
(방향 정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광섬유(1)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으로 묶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원기둥의 중심축을 중심축선 O라고 한다. 또한, 광섬유 유닛(10)의 연장되는 방향, 즉 중심축선 O에 따른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도 1, 도 3a,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의 Z축은 길이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중심축선 O에 교차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이라고 하고, 중심축선 O 주위에 주회(周回)하는 방향을 주위 방향이라고 한다.
그리고, 복수의 광섬유(1)는 비원형[타원형, 각형(角形) 등]의 단면(斷面)을 가지는 기둥형으로 묶여져 있어도 되고, 길이 방향으로 그 단면 형상이 변화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광섬유 유닛(10)의 단면의 도심(圖心)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가상선이, 중심축선 O으로서 정의된다.
복수의 광섬유(1)로서는, 예를 들면, 12심의 간헐 접착형 광섬유 테이프 심선을 복수 개 다발로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결속재(2), (3)는, 밴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속재(2), (3)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고융점 재료 및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저융점 재료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복수 개 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결속재(2), (3)의 구성이나 재질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결속재(2), (3)는, SZ형으로 복수의 광섬유(1)에 권취되고, 각각의 반전부에 있어서 서로 접착되어 접착부(B)를 형성하고 있다. 결속재(2), (3)는 접착부(B)에 있어서, 후술하는 결속 장치(20)에 의해 서로 열융착되어 있다. 광섬유 유닛(10)은, 광섬유 케이블 내에 복수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광섬유 케이블 내에서의 복수의 광섬유 유닛(10) 사이의 식별을 위해, 결속재(2), (3)에는 상이한 착색이 행해져 있어도 된다.
광섬유 유닛(10)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광섬유 케이블(100) 내에 수용하여 사용된다.
이 광섬유 케이블(100)은, 복수의 광섬유 유닛(10)과, 랩핑 튜브(54)와, 통형(筒形)의 시스(55)와, 한 쌍의 항장력체(抗張力體)(56)와, 한 쌍의 인열(引裂) 끈(57)을 구비하고 있다.
랩핑 튜브(54)는, 복수의 광섬유 유닛(10)을 덮고 있다. 시스(55)는, 광섬유 유닛(10)을 랩핑 튜브(54)마다 피복하고 있다. 한 쌍의 항장력체(56)는, 시스(55) 내에 매설되어 있다. 한 쌍의 인열 끈(57)은, 시스(55) 내에 매설되어 있다. 한 쌍의 인열 끈(57)은, 시스(55)의 내주면(內周面)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시스(55)의 외주면(外周面) 중, 한 쌍의 인열 끈(57)이 배치된 위치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각각, 마커 돌기(58)가 돌출되어 있다. 마커 돌기(58)는, 인열 끈(57)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인열 끈(57)의 매설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광섬유 케이블(100)은, 랩핑 튜브(54), 항장력체(56), 인열 끈(57), 및 마커 돌기(58)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100)은, 광섬유 유닛(10)을 1개만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에, 도 1에 나타낸 광섬유 유닛(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섬유 유닛(10)은, 도 3a,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결속 장치(20)를 사용하여, 복수의 광섬유(1)에 결속재(2), (3)를 권취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3a는, 결속 장치(20)를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에서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a,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속 장치(20)는 복수의 원통형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결속 장치(20)는, 내측으로부터 순차로, 가이드 통(21), 제1 내측통(22), 제1 외측통(23), 제2 내측통(24), 및 제2 외측통(25)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부재는, 각각의 중심축이 중심축선 O 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통(21) 내에는, 복수의 광섬유(1)가 삽통(揷通)된다.
제1 내측통(22)은, 제1 외측통(23)에 대하여 중심축선 O 주위로 회동(回動) 가능한 상태로, 제1 외측통(23) 내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제1 내측통(22)의 외주면에는, 그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홈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22a) 내에는, 결속재(2)가 삽통된다.
제2 내측통(24)은, 제2 외측통(25)에 대하여 중심축선 O 주위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제2 외측통(25) 내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제2 내측통(24)의 외주면에는, 그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홈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24a) 내에는, 결속재(3)가 삽통된다.
제1 내측통(22) 및 제2 내측통(24)은, 공통되는 도시하지 않은 동력원에 접속되어 있고, 동력의 공급에 수반하여 연동하여 중심축선 O 주위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섬유 유닛(10)을 형성할 때는, 복수의 광섬유(1)가 가이드 통(21) 내를 통과하여 하류측으로 송출됨에 따라 홈부(22a), (24a) 내의 결속재(2), (3)가 복수의 광섬유(1)에 SZ형으로 감겨져 있다. 그리고, 결속재(2), (3)는 홈부(22a), (24a) 내에서 각각 가열되어 부분적으로 용융되므로, SZ 형상의 반전부에 있어서 서로 열융착된다.
그리고, 결속재(2), (3)는 홈부(22a), (24a) 내에서 가열되지 않고, 결속 장치(20)의 하류에 설치된 가열 다이스(dice)(도시하지 않음) 내에서 가열되어도 된다. 이 경우, 결속재(2), (3)는 복수의 광섬유(1)에 SZ형으로 감겨진 상태로 결속 장치(20)를 나온 후, 가열 다이스 내에서 열융착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유닛(1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C2는 결속재(2)의 중심선이며, C3은 결속재(3)의 중심선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선(C2), (C3)은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와, 직선부끼리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가지고 있다. 중심선(C2, C3)의 각각의 직선부는 접착부(B)에 포함되어 있고, 이로써, 접착부(B)는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착부(B)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중심선(C2, C3)의 각각의 직선부가, 접착부(B)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어 있다.
이하, 접착부(B)의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를 접착 길이 L이라고 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Z형으로 감겨진 결속재(2), (3)의, 길이 방향에서의 결속의 피치를 결속 피치 P라고 한다. 결속 피치 P는, 길이 방향에서의, 결속재(2), (3)의 형상이 반복되는 단위이다.
이 접착 길이 L 및 결속 피치 P를 파라미터로 하여 복수의 광섬유 유닛(10)을 작성하고, 접착부의 강도 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비교예 및 실시예 1∼8의 광섬유 유닛은, 복수의 광섬유(1)로서, 12심의 간헐 접착형 광섬유 테이프 심선을 6개 사용하고 있다. 또한, 6개의 간헐 접착형 광섬유 테이프 심선의 주위에 2개의 결속재(2), (3)를 SZ형으로 권취하고, 결속재(2), (3)의 반전부끼리를 열융착시켜 접착부(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비교예 및 실시예 1∼8에서는, PET 및 PP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복수 개 조합시켜 폭을 1[㎜]로 한 결속재(2), (3)를 사용하고 있다.
표 1에 나타낸 비교예에서는, 각각의 결속재(2), (3)의 중심선에 직선부가 없고, 각각의 결속재(2), (3)의 중심선(C2), (C3)끼리가 1점에서 교차하도록, 결속재(2), (3)끼리를 열 융착하고 있다. 각각의 결속재(2), (3)의 중심선(C2), (C3)끼리는 1점에서 교차하고 있지만, 각각의 결속재(2), (3)에는 1[㎜]의 폭이 있으므로, 접착 길이 L은 8[㎜]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실시예 2에서는 결속재(2), (3)의 중심선(C2), (C3)가 10[㎜]의 직선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접착 길이 L이 비교예보다 10[㎜]긴 18[㎜]로 되어 있다.
표 1에 나타낸 L/P는, 접착 길이 L[㎜]를 결속 피치 P[㎜]로 나눈 값이다. 예를 들면, 실시예 2에서는, 접착 길이 L=18[㎜], 결속 피치 P=150[㎜]이므로, L/P=18/150=0.12로 된다.
표 1에 나타낸 L/(P/2)는, 길이 방향에서의 광섬유 유닛(10)의 길이에 대한 접착부(B)의 길이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속재가 2개의 경우에는 결속 피치 P당 2개의 접착부(B)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접착 길이 L를 P/2로 나누어 얻어진 수치가, 길이 방향에서의 광섬유 유닛(10)의 길이에 대한 접착부(B)의 길이의 비율로 된다. 예를 들면, 실시예 2에서는, L/(P/2)=18/(150/2)= 0.24로 된다.
표 1에 나타낸 접착 강도[gf]는, 결속재(2), (3)를 접착부(B)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200[㎜/분]의 속도로 떼어내도록 인장시키고, 접착부(B)를 박리(剝離)시켰을 때의, 인장력의 피크값이다.
표 1에 나타낸 케이블화 후 손실[dB/km]은, 비교예 및 실시예 1∼9의 광섬유 유닛(10)을 사용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광섬유 케이블(100)을 작성하고, 측정 파장 1.55[㎛]에서의 광섬유(1)의 전송 손실의 최대값을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이 광섬유 케이블(100)로부터 광섬유 유닛(10)을 인출했을 때, 3[m]당 접착부(B)가 파괴(박리 또는 접착 불량)된 개수 및 그 확률[%]를 표 1에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결속재가 2개로 결속 피치 P가 150[㎜]의 경우에는, 75[㎜]에 1개의 비율로 접착부(B)가 포함되므로, 3[m]의 광섬유 유닛에는, 3000÷75= 40개의 접착부(B)가 포함된다. 비교예에 대해서는, 이 40개의 접착부(B)의 모두에 대하여 파괴가 확인되었으므로, 3[m]당 접착부(B)가 파괴된 확률이 100[%]로 되어 있다.
실시예 1은 비교예에 대하여, 3[m]당 접착부(B)가 파괴된 개수가 40개로부터 15개로 크게 저감되어 있다. 이것은, 비교예에 대하여 실시예 1의 중심선(C2), (C3)가 3[㎜]의 직선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접착 길이 L이 8[㎜]로부터 11[㎜]로 증가한 것에 의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부(B)의 비율을 나타내는 L/(P/2)의 값이 0.11로부터 0.15로 증가함으로써, 접착 강도가 4.0[gf]으로부터 12.5[gf]로 향상되어, 접착부(B)가 파괴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로써, L/(P/2)의 값을 0.15 이상으로 하고, 접착 강도를 12.5[gf]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착부(B)가 파괴되는 확률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L/(P/2)의 최적의 수치 범위에 대하여 고찰한다.
실시예 2∼8에 대해서는, 모두 3[m]당 접착부(B)가 파괴된 개수가 0개로 되어 있다. L/(P/2)의 값은 클수록, 결속재(2), (3)에 차지하는 접착부(B)의 비율이 커지므로, 접착부(B)가 쉽게 파괴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실시예 2∼8에서의 L/(P/2)의 최소값은 실시예 2의 0.24이다. 이 결과로부터, 접착부(B)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최적인 L/(P/2)의 값은, 이하의 수식 1에 나타낸 범위이다.
0.24≤L/(P/2) …(1)
한편, L/(P/2)의 값이 클 경우에는, 결속재(2), (3)를 복수의 광섬유(1)에 SZ형으로 권취할 때, 접착부(B)가 형성되고 나서 결속재(2), (3)를 반전시킬 때까지의 길이 방향의 거리 또는 시간이 짧아진다. 그러므로, 결속재(2), (3)의 접착부(B)에서의 접착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L/(P/2)로서, 어느 정도 작은 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표 1에 나타낸 예에서는, L/(P/2)의 값이 0.93인 실시예 6에서는, 결속재(2), (3)의 접착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실시예 5의 다음에, L/(P/2)의 값이 큰 것은 실시예 5의 0.80이지만, 실시예 5에 대해서는 정상(正常)으로 접착부(B)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L/(P/2)의 값은, 이하의 수식 2에 나타낸 범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L/(P/2)≤0.8 …(2)
상기한 고찰 및 수식 1, 2로부터, L/(P/2)의 값은, 이하의 수식 3에 나타낸 범위로 하는 것이 최적이라고 할 수 있다.
0.24≤L/(P/2)≤0.8 …(3)
다음에, 접착 강도의 최적의 수치 범위에 대하여 고찰한다.
실시예 2∼8에 대해서는, 모두 3[m]당 접착부(B)가 파괴된 개수가 0개로 되어 있다. 접착 강도가 클수록, 접착부(B)가 쉽게 파괴되지 않는다. 그리고, 실시예 2∼8에서의 접착 강도의 최소값은, 실시예 7의 24.5[gf]이다. 이 결과로부터, 접착부(B)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최적인 접착 강도의 값은, 24.5[gf] 이상이다.
한편, 접착 강도의 값이 너무 클 경우에는, 접착부(B)에 있어서 결속재(2), (3)가 쉽게 박리되지 않으므로, 중간 후 분기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려워진다. 실시예 1∼8의 광섬유 케이블(100)로부터 광섬유 유닛(10)을 인출하고, 접착부(B)에 있어서 결속재(2), (3)를 박리시킬 때의 작업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접착 강도가 102.1[gf]로 가장 큰 실시예 8에 대해서는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접착 강도가 실시예 8의 다음에, 큰 91.0[gf]인 실시예 6에 대해서는, 접착부(B)에서의 결속재(2), (3)의 박리가 용이하며, 작업성의 저하가 보여지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접착부(B)를 박리시킬 때의 작업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므로, 최적인 접착 강도의 값은, 91.0gf 이하이다.
따라서, 접착부(B)가 뜻하지 않게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접착부(B)에서의 결속재(2), (3)의 박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한 조건은, 접착 강도가 12.5gf 이상 또한 91.0gf 이하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L/(P/2) 및 접착 강도의 최적값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는데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 수치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유닛(10)에 의하면, 2개 이상의 결속재(2), (3)가 복수의 광섬유(1)에 SZ형으로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결속재(2), (3)의 반전부끼리가 서로 접착되는 접착부(B)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접착부(B)의 접착 면적이 확보되어 접착 강도가 향상되고, 또한 광섬유 유닛(10)의 제조 시에, 접착부(B)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결속재(2), (3)의 결속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결속재(2), (3)의 중심선(C2), (C3)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부를 가지고 있고, 이 직선부가 접착부(B)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결속재(2), (3)의 중심선(C2), (C3)가 직선부를 가지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착부(B)를 더욱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결속재(2), (3)의 중심선(C2), (C3)에서의 각각의 직선부가, 접착부(B)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어 있으므로, 접착부(B)의 면적이 커져, 더욱 확실하게 결속재(2), (3)끼리를 접착할 수 있다.
또한, 0.15≤L/(P/2)≤0.8을 만족시키도록 광섬유 유닛(10)을 구성한 경우에는, 결속재(2), (3)전체에 차지하는 접착부(B)의 면적을 확보하여, 접착부(B)가 뜻하지 않게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시에 결속재(2), (3)의 접착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B)의 접착 강도가 12.5gf 이상 또한 91.0gf 이하가 되도록 광섬유 유닛(10)을 구성한 경우에는, 접착 강도를 확보하여 접착부(B)가 뜻하지 않게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착부(B)에 있어서 결속재(2), (3)를 박리시킬 때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케이블(100)에 의하면, 결속재(2), (3)가 복수의 광섬유(1)에 SZ형으로 권취되어 있고, 또한 결속재(2), (3)의 결속 상태가 안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광섬유(1)의 다발이 흐트러지게 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광섬유 유닛(10)의 식별성이 확보되어, 광섬유 케이블(100)의 중간 후 분기 작업 등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결속재(2), (3)끼리를 열융착시켜 접착부(B)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결속재(2), (3)끼리를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켜 접착부(B)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결속재(2), (3)의 중심선(C2), (C3)에서의 직선부끼리가, 접착부(B)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속재(2), (3)의 중심선(C2), (C3)이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중심선(C2), (C3)의 직선부끼리가 중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중심선(C2), (C3)의 각각의 직선부는 접착부(B)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접착부(B)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부(B)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중심선(C2, C3)이 교차하고 있어도 된다. 도 4b에서는, 중심선(C2), (C3)가 결속재(2), (3)의 반전부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고, 복수의 교점을 형성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심선(C2), (C3)의 직선부는 주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이들 직선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端部)에 있어서, 중심선(C2), (C3)의 곡선부가 교차하고 있다. 도 4b와 같이 중심선(C2), (C3)을 교차시켰을 경우에는, 중심선(C2), (C3)이 교점 A1, A2의 2개의 교점을 이루고, 이 2개의 교점 A1, A2의 주위에 접착부(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결속재(2), (3)를 반전시키는 위치나 반전부의 형상에 불균일이 생긴 경우라도, 접착부(B)를 확실하게 형성하여, 결속재(2), (3)의 결속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중심선(C2), (C3)의 각각의 직선부는 접착부(B)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접착부(B)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광섬유 유닛(10)은 2개의 결속재(2), (3)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결속재를 구비하는 광섬유 유닛(10)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5a는, 4개의 결속재(4), (5), (6), (7)를 복수의 광섬유(1)에 SZ 형으로 권취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의 결속재(4), (5), (6), (7)를 평면으로 전개(展開)하면, 도 5b와 같이 된다.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9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결속재(4), (5), (6), (7)를 구비한 광섬유 유닛(10)을 작성한 것이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SZ형으로 권취하는 결속재가 2개보다 많은 경우라도, 결속재가 2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착 길이 L 및 결속 피치 P가 정의된다. 따라서, 3개 이상의 결속재를 SZ형으로 권취하는 경우라도, 0.15≤L/(P/2)≤0.8을 만족시키도록 광섬유 유닛(10)을 구성함으로써, 접착부(B)가 뜻하지 않게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시에 결속재(2), (3)의 접착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며,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시켜도 된다.
1: 광섬유, 10: 광섬유 유닛, 2, 3: 결속재, 100: 광섬유 케이블, C2, C3: 중심선, L: 접착 길이, O: 중심축선, P: 결속 피치

Claims (6)

  1. 복수의 광섬유(optical fiber); 및
    복수의 상기 광섬유를 결속하는 2개 이상의 결속재(結束材)를 포함하는 광섬유 유닛으로서,
    2개의 상기 결속재는 SZ형으로 복수의 상기 광섬유에 권취되고, 또한 각각의 반전부(反轉部)에 있어서 서로 접착되는 접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가 상기 광섬유 유닛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접착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를 L이라고 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결속재의 결속 피치를 P라고 할 때,
    0.15≤L/(P/2)≤0.8을 만족시키는,
    광섬유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재의 중심선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부가 상기 접착부에 포함되어 있는, 광섬유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결속재의 중심선에서의 상기 직선부끼리가, 상기 접착부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어 있는, 광섬유 유닛.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결속재의 중심선이 상기 반전부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고, 복수의 교점(交点)을 형성하고 있는, 광섬유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접착 강도가 12.5gf 이상 또한 91.0gf 이하인, 광섬유 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섬유 유닛; 및
    상기 광섬유 유닛을 피복하는 시스(sheath);
    를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
KR1020197007651A 2016-09-20 2017-09-08 광섬유 유닛 및 광섬유 케이블 KR201900386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83491 2016-09-20
JP2016183491A JP6298508B1 (ja) 2016-09-20 2016-09-20 光ファイバユニット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PCT/JP2017/032471 WO2018056078A1 (ja) 2016-09-20 2017-09-08 光ファイバユニット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658A true KR20190038658A (ko) 2019-04-08

Family

ID=6162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651A KR20190038658A (ko) 2016-09-20 2017-09-08 광섬유 유닛 및 광섬유 케이블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705305B2 (ko)
EP (1) EP3518012B1 (ko)
JP (1) JP6298508B1 (ko)
KR (1) KR20190038658A (ko)
CN (1) CN109716192B (ko)
AU (1) AU2017331879B2 (ko)
BR (1) BR112019004842A2 (ko)
CA (1) CA3037269C (ko)
ES (1) ES2961474T3 (ko)
HU (1) HUE063924T2 (ko)
TW (1) TWI646362B (ko)
WO (1) WO2018056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0748B (zh) * 2022-03-04 2022-05-17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光纤带、带缆及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6196A (ja) 2008-07-18 2010-02-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ァイバユニット
JP2012088454A (ja) 2010-10-18 2012-05-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5003A (en) * 1991-06-28 1992-11-17 Sumitomo Electric Fiber Optics Corp. Optical fiber cable including interlocking stitch binder
CN1113260C (zh) * 1995-05-10 2003-07-02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复合式光纤架空线及其制造方法
IN187896B (ko) 1995-06-02 2002-07-20 Siemens Ag
US6901191B2 (en) * 2001-11-12 2005-05-31 Corning Cable Systems Llc High density fiber optic cable
JP2011100115A (ja) 2009-10-06 2011-05-19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777998B2 (ja) * 2011-10-17 2015-09-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956961B2 (ja) 2013-08-02 2016-07-2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15052951A1 (ja) * 2013-10-07 2015-04-1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光ファイバ分岐方法、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17095544A1 (en) * 2015-11-30 2017-06-0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Fiber-bundle assembly for maintaining a select order in an optical fiber c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6196A (ja) 2008-07-18 2010-02-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ァイバユニット
JP2012088454A (ja) 2010-10-18 2012-05-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31879A1 (en) 2019-04-11
EP3518012A1 (en) 2019-07-31
CA3037269C (en) 2021-05-04
BR112019004842A2 (pt) 2019-06-04
JP6298508B1 (ja) 2018-03-20
EP3518012A4 (en) 2020-05-20
JP2018049086A (ja) 2018-03-29
TWI646362B (zh) 2019-01-01
CA3037269A1 (en) 2018-03-29
ES2961474T3 (es) 2024-03-12
WO2018056078A1 (ja) 2018-03-29
CN109716192A (zh) 2019-05-03
US20190271822A1 (en) 2019-09-05
US10705305B2 (en) 2020-07-07
EP3518012B1 (en) 2023-09-13
CN109716192B (zh) 2021-06-11
HUE063924T2 (hu) 2024-02-28
AU2017331879B2 (en) 2020-01-02
TW201818104A (zh)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7976B2 (ja) 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および光ケーブル
EP3410167B1 (en) Optical fiber cable
KR20190038658A (ko) 광섬유 유닛 및 광섬유 케이블
JP2005321420A (ja) 光ファイバテープ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852511B2 (ja) 光ファイババンドル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298507B1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
US11435543B2 (en) Optical fiber unit and optical fiber cable
CN109716191B (zh) 光纤单元以及光缆
JP2014095732A (ja) 光ケーブル
JP2015004906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7156560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離方法
JP2017026846A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2083475A (ja) 光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