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590A - 하드코트 필름 - Google Patents

하드코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590A
KR20190038590A KR1020197005851A KR20197005851A KR20190038590A KR 20190038590 A KR20190038590 A KR 20190038590A KR 1020197005851 A KR1020197005851 A KR 1020197005851A KR 20197005851 A KR20197005851 A KR 20197005851A KR 20190038590 A KR20190038590 A KR 20190038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film
coat layer
less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0461B1 (ko
Inventor
히로키 호시노
도모오 오루이
사토루 쇼시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Abstract

기재 필름(2)과, 기재 필름(2)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主面)측에 적층된 하드코트층(3)을 구비하고, 기재 필름(2)이 폴리이미드 필름이고, 당해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하드코트층(3)의 굴절률과의 차가 절대값으로 0.04 이하이고, 하드코트층(3)의 두께가 0.5㎛ 이상, 10㎛ 이하인 하드코트 필름(1)을 제공한다. 이러한 하드코트 필름(1)은, 반복의 굴곡에 견딜 수 있는 내굴곡성을 가짐과 함께, 간섭호(干涉縞)가 발생하기 어렵다.

Description

하드코트 필름
본 발명은, 기재 필름과 하드코트층을 구비한 하드코트 필름에 관한 것이고,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의 사용에 호적한 하드코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EL 디스플레이(OELD), 또한 터치패널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각종 디스플레이의 표면에는, 흠집 방지를 위하여, 기재 필름에 하드코트층을 마련한 하드코트 필름이 마련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최근,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로서, 굴곡 가능한 디스플레이, 소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만곡시켜서 원주상의 기둥에 설치하는 거치형 디스플레이용으로서, 혹은 절곡하거나 둥글게 해서 운반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으로서, 폭넓은 용도가 기대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의 하드코트 필름으로서는,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되어 있는 하드코트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1회만 곡면 성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복 굴곡시키는(절곡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 제5468167호 공보 일본 특개2015-69197호 공보 일본 특개2016-2764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도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종래의 하드코트 필름을 사용하면, 반복 굴곡시킨 부분에 굴곡 흔적이 생기거나 백화해서, 외관이 저하함과 함께, 디스플레이로서의 시인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하드코트 필름에는, 각종 요인에 의해 간섭호(干涉縞)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하드코트 필름에 간섭호가 발생하면, 역시 외관이 저하함과 함께, 디스플레이로서의 시인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반복의 굴곡에 견딜 수 있는 내굴곡성을 가짐과 함께, 간섭호가 발생하기 어려운 하드코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로 본 발명은,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主面)측에 적층된 하드코트층을 구비한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 필름이 폴리이미드 필름이고,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상기 하드코트층의 굴절률과의 차가, 절대값으로 0.04 이하이고, 상기 하드코트층의 두께가, 0.5㎛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을 제공한다(발명 1).
상기 발명(발명 1)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은, 기재 필름이 폴리이미드 필름이며, 또한, 하드코트층의 두께가 상기한 범위에 있음에 의해, 내굴곡성 및 내찰상성(耐擦傷性)이 우수하다. 또한, 당해 하드코트 필름은, 상기 굴절률차가 상기한 범위에 있음에 의해, 간섭호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발명(발명 1)에 있어서는, 하드코트층의 굴절률이, 1.40 이상, 1.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2).
상기 발명(발명 1, 2)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5㎛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3).
상기 발명(발명 1∼3)에 있어서는, 상기 하드코트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4).
상기 발명(발명 1∼4)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플렉서블 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5).
상기 발명(발명 1∼5)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측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6).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은, 반복의 굴곡에 견딜 수 있는 내굴곡성을 가짐과 함께, 간섭호가 발생하기 어렵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은, 기재 필름(2)과, 기재 필름의 한쪽의 주면측(도 1에 있어서의 상측)에 적층된 하드코트층(3)을 구비해서 구성된다.
상기 하드코트 필름(1)에 있어서, 기재 필름(2)은, 폴리이미드 필름이다. 기재 필름(2)이 폴리이미드 필름임에 의해, 당해 하드코트 필름(1)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해서 반복 굴곡했을 때에, 기재 필름(2)에 굴곡 흔적이 생기거나 백화하는 것이 억제되고, 내굴곡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을 사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부분에서 반복 굴곡시켰을 때에, 당해 굴곡 부분에서 외관이 저하하거나, 시인성이 저하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상기 하드코트층(3)의 굴절률과의 차는, 절대값으로 0.04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에서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하드코트층(3)의 굴절률과의 차가, 절대값으로 0.04 이하임에 의해, 하드코트층(3)의 기재 필름(2)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광의 반사가 억제되고, 하드코트층(3)의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광과의 간섭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그것에 의해서, 간섭호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굴절률의 측정 파장은 589㎚, 측정 온도는 25℃로 한다. 굴절률의 측정 방법의 상세는,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간섭호의 발생 억제의 관점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상기 하드코트층(3)의 굴절률과의 차는, 절대값으로 0.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드코트층(3)의 두께는, 0.5㎛ 이상, 10㎛ 이하이다. 하드코트층(3)의 두께가 10㎛를 초과하면, 하드코트 필름(1)의 굴곡성이 저하한다. 한편, 하드코트층(3)의 두께가 0.5㎛ 미만이면, 하드코트층(3)의 표면 경도가 낮아지고, 내찰상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된다. 즉, 하드코트층(3)의 두께가 상기한 범위에 있음에 의해, 하드코트 필름(1)은, 내굴곡성 및 내찰상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상기한 관점에서, 하드코트층(3)의 두께는, 0.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하드코트층(3)의 두께는,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 하드코트 필름의 구성 부재
(1-1) 기재 필름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의 기재 필름(2)은, 폴리이미드 필름이고, 디스플레이용인 경우에는, 투명하며 또한 황색미(黃色味)가 적은 폴리이미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클리어하며 또한 색재현성이 높은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서는, 투명성의 관점에서, 파장 550㎚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서는, 황색미를 적게 하는 관점에서, 투과 측정법에 의한 L*a*b* 표색계의 b*의 절대값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b*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 필름이란, 폴리이미드, 즉 주쇄에 이미드 결합을 갖는 폴리머를,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함유하는 필름을 말한다. 또, 폴리(메타)아크릴이미드는, 주쇄에 이미드 결합을 갖지 않기 때문에 폴리이미드가 아니고, 그와 같은 폴리(메타)아크릴이미드 필름을 반복 굴곡시키면, 백화해 버린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통상적으로, 테트라카르복시산무수물(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시산이무수물)과 디아민(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디아민)을 용액 중에서 중합해서 폴리아미드산을 생성한 후, 그 폴리아미드산을 필름상으로 성형하고, 다음으로 폴리아미드산 부위를 탈수 폐환함에 의해 얻을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는, 변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에 통상 포함되는 방향환은, 지방족 탄화수소로 변성되어 있어도 되고, 그것에 의해서, 기재 필름(2)은, 하드코트층(3)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은, 하한값으로서, 통상 1.5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이다. 또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은, 상한값으로서, 통상 1.8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75 이하이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는, 그 표면에 마련되는 층(하드코트층(3)이나, 후술하는 점착제층 등)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소망에 따라 편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처리, 산화법, 요철화법 등에 의해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산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크롬산 처리,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등을 들 수 있고, 요철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샌드 블라스트법, 용제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는, 하한값으로서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상기 이상임에 의해, 하드코트 필름(1)은,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발휘하고, 반복 굴곡시켰을 때에도 파단 등 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한편,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는, 상한값으로서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착색하기 쉽기 때문에,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상기 이하임에 의해, 투명성이 확보되며, 또한 상기 b*값도 낮게 억제되고, 광학용으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상기 이하이면, 하드코트 필름(1)은, 소정의 유연성을 발휘하여, 굴곡시키기 쉬운 것으로 된다.
(1-2) 하드코트층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의 하드코트층(3)은, 기재 필름(2)의 한쪽의 주면측(도 1에 있어서의 상측)에 적층되어, 하드코트 필름(1)에 높은 표면 경도를 부여한다.
하드코트층(3)의 굴절률은, 하한값으로서 1.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4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56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하드코트층(3)의 굴절률은, 상한값으로서 1.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7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3)의 굴절률이 상기한 범위에 있음에 의해,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의 차가, 절대값으로 0.04 이하로 되기 쉬워진다.
하드코트층(3)은, 상기한 굴절률차를 충족시킴과 함께, 소정의 경도를 갖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하는 조성물(이하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2-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서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해서 소정의 경도를 발휘하며, 또한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와의 관계에서 상술한 굴절률차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서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양자를 병용해도 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양쪽을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화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성이나 내찰상성의 관점에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등의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 카르복시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에 의해, 혹은, 다가 카르복시산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해서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옥실란환에, (메타)아크릴산을 반응하여 에스테르화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상의 프리폴리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1-2-2)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
본 실시형태의 하드코트층(3)을 구성하는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은,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함으로써, 하드코트층(3)의 굴절률을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에 가깝게 할 수 있고, 굴절률차를 절대값으로 0.04 이하로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드코트층(3)에 높은 표면 경도를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타늄, 산화탄탈륨, 산화아연, 산화하프늄, 산화세륨, 산화니오븀 등의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된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하드코트층(3)에 높은 굴절률을 부여할 수 있음과 함께, 하드코트층(3)의 헤이즈를 향상시키기 어려운, 제4족 원소의 산화물 미립자, 구체적으로는, 산화지르코늄 미립자 및 산화티타늄 미립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산화티타늄 미립자의 결정 구조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루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루틸형임에 의해, 광촉매 활성에 의한 하드코트층(3)의 경시 열화(劣化)를 억제할 수 있다.
산화지르코늄 미립자 및 산화티타늄 미립자는, 표면 처리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규소 등의 산화물에 의해 덮여 있어도 되고, 유기 화합물에 의해서 수식되어 있어도 된다. 유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 알칸올아민, 스테아르산, 실란커플링제, 티타네이트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에 의해, 분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한 효과를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형상은, 구상이어도 되고, 비구상이어도 된다.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하한값으로서,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 이상임에 의해, 분산성이 향상함과 함께, 얻어지는 하드코트층(3)이, 보다 높은 표면 경도를 갖는 것으로 된다. 또한,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상한값으로서,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500㎚ 이하임에 의해, 얻어지는 하드코트층(3)에 있어서 광의 산란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하드코트층(3)의 투명성이 높아진다. 또,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제타 전위 측정법에 의해서 일차 입경을 측정한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하드코트층(3)에 있어서의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함유량은, 하드코트층(3)에 있어서, 하한값으로서, 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함유량이 5질량% 이상임에 의해, 하드코트층(3)의 굴절률을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에 가깝게 하기 쉬워짐과 함께, 하드코트층(3)에 높은 표면 경도를 부여하기 쉬워진다. 한편,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함유량은, 하드코트층(3)에 있어서, 상한값으로서, 9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75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함유량이 95질량% 이하임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드코트층(3)의 굴절률을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에 가깝게 하기 쉬워짐과 함께,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층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함유량은, 배합 비율로부터 구할 수 있지만, 배합 비율이 불분명한 경우는, 다음과 같이 해서 구할 수 있다. 즉, 하드코트 필름(1)의 하드코트층(3)의 일부를 기재 필름(2)으로부터 단편(斷片) 등으로 해서 분리하고, 분리한 하드코트층(3)의 단편을 JIS 7250-1에 따라 유기 성분을 연소한다. 그리고, 얻어지는 회분(灰分)으로부터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질량%를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분산제를 사용해도 된다. 분산제로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1-2-3) 광중합개시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경화시키기 위한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은,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함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효율 좋게 중합시킬 수 있고, 또한 중합 경화 시간 및 자외선의 조사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터셔리-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온],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중에 있어서의 광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하한값으로서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2-4) 그 밖의 성분
본 실시형태의 하드코트층(3)을 구성하는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이외에,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각종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대전방지제, 실란커플링제, 노화방지제, 열중합금지제, 착색제, 계면활성제, 보존안정제, 가소제, 활제, 소포제, 유기계 충전재, 젖음성 개량제, 도면개량제 등을 들 수 있다.
(2) 하드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방법에서는, 일례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기재 필름(2)의 한쪽의 주면에, 하드코트층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층을 형성한다. 이때,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을 기재 필름(2)의 한쪽의 주면에 직접 도포하여, 조성물층을 형성해도 되고,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을 커버 시트에 도포한 후, 그 커버 시트 부착의 조성물층을 기재 필름(2)의 한쪽의 주면에 첩합해도 된다.
커버 시트로서는, 원하는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들 수지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이 박리제에 의해서 박리 처리된 박리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조성물층은, 하드코트층용 조성물과, 소망에 따라 용매를 더 함유하는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 필름(2) 또는 커버 시트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에 의해 형성된다. 도공액의 도포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서 행하면 되고, 예를 들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마이어 바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에 의해서 행하면 된다. 건조는, 예를 들면 40∼180℃에서 30초∼5분 정도 가열함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2-펜탄온, 이소포론,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는, 1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도공액의 농도·점도로서는, 코팅 가능한 범위이면 되고,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서 적의(適宜)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성물층에 대해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에 의해, 당해 조성물층을 경화시켜서 하드코트층(3)으로 한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 전자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퓨전 H 램프, 제논 램프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고, 자외선의 조사량은, 조도 50∼1000mW/㎠, 광량 50∼1000mJ/㎠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선 조사는, 전자선 가속기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고, 전자선의 조사량은, 10∼1000krad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층이 산소로부터 차단된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를 받지 않고, 표면 경도가 높은 하드코트층(3)이 효과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성물층을 산소로부터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성물층에 커버 시트가 들떠 있는 경우에는, 당해 커버 시트를 그대로 부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조성물층에 커버 시트가 들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새롭게 커버 시트를 상기 조성물층에 적층하거나, 기재 필름(2) 및 조성물층의 적층체를, 산소 농도가 낮은 분위기 하, 바람직하게는 질소 분위기 하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하드코트 필름의 물성
(3-1) 최대 반사율차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에 있어서는, 간섭호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것은, 목시에 의한 평가 이외에, 최대 반사율차의 측정값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최대 반사율차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필름 법선 방향을 0°로 하고, 입사각 8°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한 광을 적분구에 의해 집광함에 의해 반사광으로서 검출한다. 또, 광의 조사는, 파장을 변화시켜서 행하여, 각각의 파장에 대응하는 반사광을 검출한다.
반사광은, 황산바륨 결정에 의한 반사광을 100으로 한 상대값(이하, 이것을 「반사율」이라 한다)으로서 각 측정 파장에 대응해서 검출된다. 즉, 횡축이 측정 파장이고, 종축이 반사율인 차트를 얻을 수 있다. 당해 차트는, 복수의 극소값과 극대값을 갖는 물결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다.
여기에서, 측정 파장 500∼600㎚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차트에 있어서, 인접하는 극대값과 극소값의 차 중, 가장 큰 차를 「최대 반사율차」로서 측정한다. 당해 최대 반사율차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6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반사율이 1.5 이하임에 의해, 간섭호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3-2) 최소 맨드릴 직경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에 있어서는, 반복의 굴곡에 견딜 수 있는 내굴곡성이 우수한 것이지만, 그 굴곡의 정도에 대해서는, 최소 맨드릴 직경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은, JIS K5600-5-1에 준거한 원통형 맨드릴법에 의한 내굴곡성 시험에 있어서, 하드코트층(3)에 크랙이나 벗겨짐이 일어나지 않은 맨드릴 중 직경이 최소인 맨드릴의 직경(최소 맨드릴 직경)이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3-3) 상 선명도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은, 간섭호 방지를, 마이크로 오더의 미립자를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하드코트층(3)과 기재 필름(2)과의 굴절률차를 작게 함에 의해 해결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은, 마이크로 오더의 미립자를 첨가함에 의해 간섭호를 방지하는 경우보다도, 상 선명도가 우수한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상 선명도가 우수한 하드코트 필름을 디스플레이에 적용했을 경우,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 선명도는, 4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상 선명도는, JIS K7374에 준거해서, 5종류의 슬릿(슬릿폭 : 0.125㎜, 0.25㎜, 0.5㎜, 1㎜ 및 2㎜)에서 측정되는 각 상 선명도의 합계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3-4) 헤이즈값
디스플레이에 적용했을 때, 보다 선명한 화상을 표시시키는 관점에서, JIS K7136에 준거해서 측정되는 하드코트 필름(1)의 헤이즈값을 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8%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3-5) 60° 광택도
디스플레이에 적용했을 때, 보다 선명한 화상을 표시시키는 관점에서, 하드코트 필름(1)에 있어서의 하드코트층(3)의 JIS Z8741-1997에 준거한 60° 광택도(글로스값)를, 10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4) 다른 실시형태-1
상기 하드코트 필름(1)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2)의 다른 쪽의 주면측(하드코트층(3)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측)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하드코트층(4)이 적층되어도 된다(도 2에 나타내는 하드코트 필름의 부호를 「1A」로 기재한다). 이 제2 하드코트층(4)이 적층됨으로써, 기재 필름(2)의 다른 쪽의 주면측에 있어서의 내찰상성이 향상함과 함께, 당해 제2 하드코트층(4)의 경화 수축에 의해 하드코트층(3)의 경화 수축을 상쇄하고, 하드코트 필름(1A)의 컬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하드코트층(4)은, 상술한 하드코트층(3)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져도 되고,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져도 된다. 또한, 제2 하드코트층(4)의 두께는, 상술한 하드코트층(3)과 마찬가지의 두께여도 되고, 서로 다른 두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A)은,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하드코트 필름(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제조할 수 있다. 단, 하드코트층(3) 및 제2 하드코트층(4)의 경화는, 동시에 행해도 되고, 하드코트층(3)(또는 제2 하드코트층(4))의 조성물층을 형성해서 경화시킨 후, 제2 하드코트층(4)(또는 하드코트층(3))의 조성물층을 형성해서 경화시켜도 된다.
(5) 다른 실시형태-2
하드코트 필름(1)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2)의 다른 쪽의 주면측(하드코트층(3)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측)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5)이 적층되어도 된다(도 3에 나타내는 하드코트 필름의 부호를 「1B」로 기재한다). 이와 같은 점착제층(5)이 적층됨으로써, 하드코트 필름(1B)을 원하는 피착체에 간이하게 첩부할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하드코트 필름(1A)에 있어서의 제2 하드코트층(4)의 기재 필름(2)측과는 반대측에, 점착제층이 적층되어도 된다.
점착제층(5)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 공지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5)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100㎛, 바람직하게는 10∼60㎛의 범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B)은,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하드코트 필름(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제조할 수 있다. 점착제층(5)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서 형성하면 된다.
또, 점착제층(5)의 노출면(기재 필름(2)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박리 시트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6) 다른 실시형태-3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에는, 다른 층, 예를 들면, 점접착제층, 배리어층, 도전층, 저반사층, 이인쇄층(易印刷層), 방오층 등이 적층되어도 된다.
(7) 하드코트 필름의 용도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1, 1A, 1B)은, 예를 들면, 각종 전자기기, 특히 모바일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구체적으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EL 디스플레이(OELD), 전자페이퍼 모듈(필름상 전자페이퍼) 등의 각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층(보호 필름) 또는 중간층의 플렉서블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면, 하드코트 필름(1, 1A, 1B)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2)과, 하드코트층(3), 제2 하드코트층(4) 또는 점착제층(5)과의 사이에는, 다른 층이 개재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기재 필름의 제작 1)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매 중에서,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시산이무수물, 및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산이무수물을, 냉각 하에서 혼합 용해하고, 그 후, 상온에서 10시간 교반함에 의해, 폴리아미드산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아미드산 용액에, 무수아세트산 및 피리딘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유리판 상에 도공하고, 상온으로부터 180℃까지 천천히 승온했다. 180℃ 도달 후, 일정 시간 가열하고, 그 후, 진공 배기를 행함에 의해, 휘발분을 완전하게 제거했다. 마지막으로, 진공 하에서 상온까지 냉각함에 의해, 막두께 25㎛의 폴리이미드 필름 A를 얻었다. 당해 폴리이미드 필름 A에 대하여 측정했더니, b*는 0.61, 굴절률은 1.62, 파장 550㎚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90%였다.
또, 폴리이미드 필름의 막두께는, JIS K7130에 준거하여, 정압 두께 측정기(테크록샤제, 제품명 「PG-02」)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상기 b*에 대해서는, JIS Z8722에 따라, 측정 장치로서 동시 측정 방식 분광식 색차계(니혼덴쇼쿠고교샤제, 제품명 「SQ-2000」), 광원으로서 C광원 2° 시야(C/2)를 사용하여, 투과 측정법에 의해 L*a*b* 표색계의 b*를 측정했다.
상기 파장 550㎚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자외선 가시 근적외 분광 투과율계(시마즈세이사쿠죠제, 제품명 「UV3600」)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제조예 2〕(기재 필름의 제작 2)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매 중에서,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시산이무수물, 및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산이무수물의 배합 비율을 변경함과 함께, 얻어진 폴리이미드 도공액의 농도를 조정하는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제작 방법을 행함에 의해, 막두께가 15㎛, b*가 2.25, 굴절률이 1.70, 파장 550㎚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87%인 폴리이미드 필름 B를 얻었다(측정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다).
〔실시예 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서의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00질량부(고형분 환산; 이하 같다)와,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로서의 표면 수식 산화지르코늄 미립자(CIK나노텍샤제, 제품명 「ZRMIBK15WT%-F85」, 평균 입경 : 15㎚) 150질량부와, 광중합개시제로서의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5질량부를,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시클로헥산온을 1:1의 질량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 중에서 교반 혼합해서,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기재 필름으로서의 폴리이미드 필름 A의 편면에, 마이어 바를 사용해서 상기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도공하고, 70℃에서 1분간 가열 건조시켜서,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의 조성물층을 형성했다.
그 후, 상기 조성물층측으로부터 이하의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해서,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의 조성물층을 경화시켜서 하드코트층(두께 : 3㎛)을 형성하여, 하드코트 필름을 얻었다.
<자외선 조사 조건>
·자외선 조사 장치 : 디에스유아사코퍼레이션샤제 자외선 조사 장치
·광원 : 고압 수은등
·램프 전력 : 1.4kW
·조도 : 100mW/㎠
·광량 : 240mJ/㎠
·컨베이어 스피드 : 1.2m/min
·질소 분위기 하에서 자외선 조사(산소 농도 1% 이하)
〔실시예 2∼8, 비교예 1∼5〕
하드코트층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종류 및 배합, 하드코트층의 두께, 그리고 기재 필름의 종류 및 두께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하드코트 필름을 제조했다.
또, 표 1에 기재된 약호 등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A :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B :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에틸렌옥사이드 12몰 도입)
C : 표면 수식 산화지르코늄 미립자(CIK나노텍샤제, 제품명 「ZRMIBK15WT%-F85」, 평균 입경 : 15㎚)
D : 표면 수식 산화티타늄 미립자(테이카샤제, 제품명 「ND139」, 평균 입경 : 10㎚)
E :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PI-25 : 폴리이미드 필름 A
PI-15 : 폴리이미드 필름 B
PET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쥬시샤제, 제품명 「다이아포일T-60」, 두께 : 50㎛)
〔시험예 1〕(굴절률의 측정)
(1) 기재 필름의 굴절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기재 필름의 굴절률을, 측정 파장 589㎚, 측정 온도 25℃의 조건에서, 압베 굴절률계(아타고샤제, 제품명 「다파장 압베 굴절률계 DR-M2」)를 사용해서, JIS K7142(2008)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2) 하드코트층의 굴절률
편면이 이접착(易接着)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요보샤제, 제품명 「코스모샤인A4100」, 두께 : 50㎛)의 미처리면에, 실시예 및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해서, 두께 200㎚의 하드코트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이접착 처리면을 사포를 마찰하고, 유성 펜(제브라샤제, 제품명 「마키 흑」)으로 흑색으로 빈틈없이 칠했다.
그 후, 상기 하드코트층의 굴절률을, 측정 파장 589㎚, 측정 온도 25℃의 조건에서, 분광 엘립소미터(J.A.WOOLLAM사제, 제품명 「M-2000」」)를 사용해서, JIS K7142(2008)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3) 굴절률차의 산출
상기에서 측정한 기재 필름의 굴절률에서 하드코트층의 굴절률을 빼서, 굴절률차를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2〕(간섭호의 평가)
(1) 목시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코트 필름을, 양면 점착 시트(린텍샤제, 제품명 「OPTERIA MO-3006C」, 두께 : 25㎛)를 개재해서 흑색의 아크릴판(미쓰비시레이온샤제, 제품명 「아크릴라이트L502」)에 첩부했다. 이때, 하드코트 필름의 기재 필름이 아크릴판에 접촉하도록 첩부했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하여, 3파장 형광등 하에서 하드코트층측으로부터 목시에 의해 간섭호를 확인해서,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양호(◎) : 간섭호가 거의 보이지 않음
대략 양호(○) : 간섭호가 보기 어려움
약간 불량(△) : 간섭호가 보임
불량(×) : 간섭호가 확실히 보임
(2) 최대 반사율차의 측정
(1)에서 얻어진 적층체에 대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분광 광도계에서 반사율 스펙트럼의 파장 500∼600㎚ 간에서의 최대 반사율차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측정 조건>
·분광 광도계 : 시마즈세이사쿠죠사제, 제품명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UV-3600」
·시료 폴더 : 시마즈세이사쿠죠사제, 제품명 「대형 시료실 MPC-3100」
·적분구 : 시마즈세이사쿠죠사제, 제품명 「적분구 부속 장치 ISR-3100」
·입사각 : 8°
〔시험예3〕(내찰상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코트 필름의 하드코트층 표면에 대하여, #0000의 스틸울을 사용해서, 125g중/㎠의 하중에서 10왕복 마찰하고, 길이 100㎜, 폭 20㎜의 범위를 시험 범위로 했다. 그 시험 범위에 있어서의 흠집 개수를, 3파장 형광등 하에서 목시에 의해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내찰상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 : 흠집 개수가 20개 미만이었음
× : 흠집 개수가 20개 이상이었음
〔시험예 4〕(맨드릴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코트 필름에 대하여, 원통형 맨드릴 굴곡 시험기(코텍샤제)를 사용해서, JIS K5600-5-1에 준거한 맨드릴 시험을 실시했다. 당해 맨드릴 시험은, 하드코트 필름의 하드코트층을 외측으로 해서 행했다. 하드코트층에 크랙이나 벗겨짐 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은 맨드릴 중 직경이 최소인 맨드릴의 직경(최소 맨드릴 직경)을 구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5〕(내굴곡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코트 필름에 대하여, 내구 시험기(유아사시스템기키샤제, 제품명 「면상체(面狀體) 무부하 U자 신축 시험기 DLDMLH-FS」)를 사용하여, 하드코트층을 외측으로 해서, 시험 속도 60㎜/s에서, 시험 횟수(왕복수) 및 굴곡경을 각종 변경해서, 반복 굴곡시켰다. 그리고, 하드코트층의 크랙·벗겨짐이나, 하드코트 필름의 백화·굴곡 흔적의 발생 등의 불량의 발생의 유무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내굴곡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 : 굴곡경 5㎜ 이하, 또한 시험 횟수 2만회 이상에서도 불량의 발생이 없었음
○ : 굴곡경 10㎜ 이하, 또한 시험 횟수 2만회 이상에서도 불량의 발생이 없었음
× : ○의 기준에 미달이었음
〔시험예 6〕(상 선명도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코트 필름에 대하여, 사상성(寫像性) 측정기(스가시켄키샤제, 제품명 「ICM-10P」)를 사용하여, JIS K7374에 준거해서, 5종류의 슬릿(슬릿폭 : 0.125㎜, 0.25㎜, 0.5㎜, 1㎜ 및 2㎜)의 합계값을 상 선명도(%)로서 측정했다. 그 결과에 의거해, 상 선명도 400% 미만을 ×, 400% 이상 450% 미만을 ○, 450% 이상을 ◎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7〕(헤이즈값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코트 필름에 대하여, 헤이즈미터(니혼덴쇼쿠고교샤제, 제품명 「NDH5000」)를 사용하여, JIS K7136에 준거해서 헤이즈값(%)을 측정했다. 그 결과에 의거해, 헤이즈값 1% 초과를 ×, 1% 이하 0.5% 초과를 ○, 0.5% 이하를 ◎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8〕(60° 광택도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코트 필름에 대하여, 글로스미터(니혼덴쇼쿠고교샤제)를 사용하여, JIS Z8741-1997에 준거해서 60° 광택도(글로스값)를 측정했다. 그 결과에 의거해, 60° 광택도 100% 미만을 ×, 100% 이상 140% 미만을 ○, 140% 이상을 ◎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얻어진 하드코트 필름은, 내찰상성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함과 함께, 내굴곡성이 우수하고, 또한 간섭호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의 하드코트 필름은, 반복 굴곡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플렉서블 부재, 특히 표층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으로서 호적하다.
1, 1A, 1B : 하드코트 필름
2 : 기재 필름
3 : 하드코트층
4 : 제2 하드코트층
5 : 점착제층

Claims (6)

  1.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主面)측에 적층된 하드코트층을 구비한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 필름이 폴리이미드 필름이고,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상기 하드코트층의 굴절률과의 차가, 절대값으로 0.04 이하이고,
    상기 하드코트층의 두께가, 0.5㎛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트층의 굴절률이, 1.40 이상, 1.8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5㎛ 이상,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트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플렉서블 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측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KR1020197005851A 2016-08-23 2016-08-23 하드코트 필름 KR102610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4566 WO2018037488A1 (ja) 2016-08-23 2016-08-23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590A true KR20190038590A (ko) 2019-04-08
KR102610461B1 KR102610461B1 (ko) 2023-12-06

Family

ID=6124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851A KR102610461B1 (ko) 2016-08-23 2016-08-23 하드코트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91128B1 (ko)
KR (1) KR102610461B1 (ko)
CN (1) CN109642964A (ko)
TW (1) TWI773671B (ko)
WO (1) WO20180374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038A (ko) 2020-04-02 2021-10-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7959B2 (ja) 2017-10-27 2022-07-08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撓性カバーレンズフィルム
JP2021523413A (ja) 2018-05-10 2021-09-02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Incorporated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の交換可能なカバーレンズ
JP7070128B2 (ja) * 2018-06-15 2022-05-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体、ポリイミドフィルム、ディスプレイ用表面材、タッチパネル部材、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並びにポリイ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用表面材の製造方法
KR102274527B1 (ko) * 2018-11-20 2021-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서블 소자 제조용 적층체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자 제조 방법
KR20200066828A (ko) 2018-12-03 2020-06-11 에스케이아이이테크놀로지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21314B1 (ko) * 2018-12-26 2024-01-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102616107B1 (ko) 2019-06-26 2023-12-2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폴더블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플렉서블 다층 커버 렌즈 스택들
JP7190458B2 (ja) * 2020-01-08 2022-12-15 株式会社ダイセル 反射防止フィル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298A (ja) * 2003-09-25 2005-04-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の光学フィルムを具備する光学表示装置
JP2007046031A (ja) * 2004-12-17 2007-02-22 Nitto Denko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468167B1 (ja) 2013-05-20 2014-04-09 尾池工業株式会社 積層体
JP2015069197A (ja) 2013-10-01 2015-04-13 Dic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6002764A (ja) 2014-06-19 2016-01-12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体及びその用途、並びに積層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4922B2 (ja) * 1995-12-27 2003-03-1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被膜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被膜成形物
JPWO2009116363A1 (ja) * 2008-03-21 2011-07-21 株式会社きもと 光学用フィルム、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4126761A (ja) * 2012-12-27 2014-07-07 Mitsubishi Rayon Co Ltd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77807B1 (ko) * 2014-10-17 2021-07-15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 폴리이미드 필름 및 적층체
WO2016076243A1 (ja) * 2014-11-10 2016-05-19 住友化学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光学部材、表示部材、前面板、及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482977B2 (ja) * 2014-11-10 2019-03-13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用積層フィルム、光学部材、表示部材、前面板、及び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用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298A (ja) * 2003-09-25 2005-04-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の光学フィルムを具備する光学表示装置
JP2007046031A (ja) * 2004-12-17 2007-02-22 Nitto Denko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468167B1 (ja) 2013-05-20 2014-04-09 尾池工業株式会社 積層体
JP2015069197A (ja) 2013-10-01 2015-04-13 Dic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6002764A (ja) 2014-06-19 2016-01-12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体及びその用途、並びに積層体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038A (ko) 2020-04-02 2021-10-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37488A1 (ja) 2018-08-23
WO2018037488A1 (ja) 2018-03-01
JP6291128B1 (ja) 2018-03-14
TWI773671B (zh) 2022-08-11
TW201808643A (zh) 2018-03-16
CN109642964A (zh) 2019-04-16
KR102610461B1 (ko)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5894B1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
KR20190038590A (ko) 하드코트 필름
KR102610371B1 (ko) 하드 코트 필름
CN109073789B (zh) 硬涂膜
JP6532929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746863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材料及び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TWI497106B (zh) 抗反射膜及使用它之偏光板
WO2011040541A1 (ja) 光学積層体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KR20090004733A (ko) 하드코팅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7127823A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US20230311456A1 (en) Display device member, 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
JP4432544B2 (ja) ハードコート多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建材窓ガラス、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CN114509831A (zh) 防眩防反射片及防反射层层叠用防眩片
JP7067900B2 (ja) コートフィルム
WO2023085240A1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CN114509830A (zh) 防反射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