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575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575A
KR20190038575A KR1020197005027A KR20197005027A KR20190038575A KR 20190038575 A KR20190038575 A KR 20190038575A KR 1020197005027 A KR1020197005027 A KR 1020197005027A KR 20197005027 A KR20197005027 A KR 20197005027A KR 20190038575 A KR20190038575 A KR 20190038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low
absorbent article
rigidity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224B1 (ko
Inventor
히데유키 기노시타
가즈야 니시타니
마리 야스이
기요코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characterised by the planar distribution of the apertures, e.g. in a predefined patte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6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the wicking layer not contacting the absorbent core
    • A61F2013/5377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the wicking layer not contacting the absorbent core with a deformable spacin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gro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1)은, 가랑이 영역(S1) 및 후측 영역(S3)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31)와, 흡수 코어(31)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피부면 시트(10)와, 흡수 코어(31) 및 피부면 시트(10)에 형성된 중앙 압착홈(81)을 갖는다. 후측 영역(S3)의 폭 방향(W)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중앙 압착홈(81)이 배치된 복수의 고강성 영역(R1)과,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고강성 영역(R1)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고강성 영역(R1)보다 강성이 낮은 저강성 영역(R2)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오목형 홈을 갖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오목형 홈은, 흡수체에 형성되어 있고, 후측 영역에서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단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가 오목형 홈 사이의 영역에서 절곡됨으로써, 후측 영역이 둔부를 따라 배치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63205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오목형 홈은, 흡수체에만 형성되어 있고, 톱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이 오목형 홈을 기점으로 반복해서 변형하면, 오목형 홈의 형상이 변형하여, 흡수체가 의도한 변형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흡수체의 비틀림이나 의도하지 않은 꺾어짐이 발생하여,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비틀림이나 의도하지 않은 꺾어짐을 억제하여,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일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길이 방향(L)) 및 폭 방향(폭 방향(W))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가랑이 영역(S1))과, 상기 가랑이 영역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후측 영역(S3))과, 상기 가랑이 영역 및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흡수 코어(31))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피부면 시트(피부면 시트(10))와, 상기 흡수 코어 및 상기 피부면 시트에 형성된 중앙 압착홈(중앙 압착홈(81))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후측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중앙에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앙 압착홈이 배치된 복수의 고강성 영역(고강성 영역(R1))과,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고강성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고강성 영역보다 강성이 낮은 저강성 영역(저강성 영역(R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X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착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B-B선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착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흡수성 물품을 장착한 착용자가 선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5(b)는 위를 향해 누운 착용자의 신체가 침구에 의해 압박되어 변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선 상태의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 및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피부면 시트와,
상기 흡수 코어 및 상기 피부면 시트에 형성된 중앙 압착홈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후측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중앙에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앙 압착홈이 배치된 복수의 고강성 영역과,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고강성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고강성 영역보다 강성이 낮은 저강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흡수 코어의 폭 방향의 중앙에는, 중앙 압착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고강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흡수 코어의 폭 방향의 중앙은, 착용 시에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폭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고강성 영역이 변형 기점이 되어 착용자를 향해 볼록형으로 변형하여, 좌우의 둔부 사이의 간극에 피트한다.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고강성 영역 사이에는, 저강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흡수 코어의 폭 방향의 중앙은,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저강성 영역이 변형 기점이 되어 신체의 전후 방향의 라운딩을 따라 배치된다.
고강성 영역의 중앙 압착홈은, 피부면 시트와 흡수 코어에 형성되어 있고, 흡수 코어에만 형성된 구성과 비교하여 높은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이 착용 시에 반복해서 변형한 경우라도, 고강성 영역이 변형 기점으로서 계속 기능하고, 흡수 코어의 비틀림이나 의도하지 않은 꺾어짐을 억제하여,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고정하기 위한 접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저강성 영역은, 상기 접합부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둔부의 라운딩의 곡률은, 변화하고 있다. 둔부의 라운딩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개소는, 착용 시에 변형하기 쉬운 부분이다. 둔부의 외형에 흡수성 물품을 보다 따르게 하기 위해서는, 신체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개소에 저강성 영역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합부에 의해 속옷에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둔부의 라운딩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개소보다 후측에 접합부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부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저강성 영역이 위치하기 때문에,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개소에 대응하여 저강성 영역을 배치하고, 둔부의 라운딩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개소보다 후측에 대응하여 접합부를 배치할 수 있다. 저강성 영역이 변형 기점이 되어, 둔부의 라운딩을 따라 흡수성 물품을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둔부의 라운딩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개소보다 후측에 접합부가 위치함으로써, 착용 시에 접합부가 변형하기 어려워, 속옷에의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주위의 상기 흡수 코어보다 흡수 재료의 단위 중량이 낮은 저단위 중량 영역을 갖고,
상기 저단위 중량 영역은, 상기 저강성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저강성 영역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의 외측 가장자리는, 후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저강성 영역이 저단위 중량 영역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저강성 영역이 변형하기 쉬워, 보다 흡수성 물품의 변형 기점으로서 기능하기 쉽다. 또한, 착용 시에 가랑이 영역이 착용 시에 착용자의 양다리에 의해 끼워짐으로써, 후측 영역에는,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또한 가랑이 영역측으로부터 후측 영역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진다. 경사부의 외측 가장자리가 후측으로 향함에 따라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측으로부터의 힘을 따라 경사부가 변형한다. 따라서, 경사부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로부터의 힘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여, 의도하지 않은 주름이나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저단위 중량 영역의 상기 경사부에는,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압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폭 압착홈은, 경사부 내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된다. 따라서, 후측 영역의 폭 방향의 중앙뿐만이 아니라, 후측 영역의 폭 방향 전체에 있어서, 신체의 전후 방향의 라운딩을 따르도록 흡수성 물품이 변형하기 쉬워진다. 흡수성 물품이 보다 둔부를 따라 배치되어,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폭 압착홈은, 상기 후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측 영역에는, 착용자의 양다리에 의해 끼워짐으로써, 전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으로 향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폭 압착홈은, 후측으로 향함에 따라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착용자의 양다리로부터의 힘을 따라 상기 힘을 전파하기 쉽다. 폭 압착홈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로부터의 힘을 폭 방향의 중앙측에 전달하여, 고강성 영역이 착용자측으로 융기하기 쉬워진다. 흡수성 물품이 보다 둔부를 따라 배치되어,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후측 영역의 상기 고강성 영역의 양 외측에는,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길이 압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으로 향하는 방향의 힘이 후측 영역에 가해졌을 때에, 한 쌍의 길이 압착홈이 변형 기점이 되어, 한 쌍의 길이 압착홈 사이의 영역이 착용자측으로 융기하기 쉬워진다. 고강성 영역이 착용자측으로 융기하기 쉬워지고, 흡수성 물품이 보다 둔부를 따라 배치되어,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길이 압착홈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길이 압착홈 사이의 영역은, 착용 시에 상기 저강성 영역과 함께 변형의 기점을 구성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길이 압착홈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길이 압착홈 사이의 영역이 변형 기점이 되어, 신체의 전후 방향의 라운딩을 따라 흡수성 물품이 배치되기 쉽다. 또한, 착용 시에 길이 압착홈 사이의 영역이 저강성 영역과 함께 변형의 기점을 구성하기 때문에, 후측 영역의 폭 방향의 중앙을 포함하는 폭 방향 전역이 신체의 전후 방향의 라운딩을 따라 배치되기 쉬워,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중앙 압착홈의 강성은, 상기 길이 압착홈의 강성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으로 향하는 방향의 힘이 후측 영역에 가해졌을 때에, 중앙 압착홈은, 길이 압착홈보다 변형하기 쉽고, 보다 착용자측으로 융기하기 쉬워진다. 또한, 중앙 압착홈의 강성이 낮기 때문에, 착용 시에 중앙 압착홈이 둔부에 밀착된 경우라도, 착용 시의 위화감을 억제하고, 감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길이 압착홈의 강성이 중앙 압착홈의 강성보다 높기 때문에, 길이 압착홈에 의해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으로 향하는 방향의 힘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압착홈 사이의 영역에 전달하기 쉽고, 중앙 압착홈이 착용자측으로 보다 융기하기 쉬워진다. 고강성 영역이 착용자측으로 융기하기 쉬워지고, 흡수성 물품이 보다 둔부를 따라 배치되어,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저강성 영역은, 제1 저강성 영역과, 상기 제1 저강성 영역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제2 저강성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저강성 영역과 제2 저강성 영역을 가짐으로써,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적어도 2개소의 변형 기점이 형성되어, 보다 둔부의 라운딩을 따라 배치되고, 고강성 영역이 착용자측으로 융기하기 쉬워져,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1 저강성 영역은, 착용자가 위를 향해 누운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둔부의 불룩한 곳이 찌부러진 부분에 있어서의 전측 단부(가랑이측의 단부)에 닿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강성 영역은, 착용자가 선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둔부가 외측으로 튀어나와,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부분에 닿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저강성 영역과 제2 저강성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가 위를 향해 누운 상태에 있어서도 착용자가 선 상태에 있어서도, 신체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부분에 흡수성 물품의 변형 기점을 형성하여, 흡수 코어의 비틀림이나 의도하지 않은 꺾어짐을 억제하면서,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양 외측에 있어서, 착용자측으로 기립 가능한 한 쌍의 입체 개더를 갖고,
각 입체 개더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갖고, 또한 상기 톱 시트로부터 상승 가능한 기립부를 가지며,
상기 저강성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립부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강성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의 변형 기점이 되어,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개소에 닿도록 배치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개소에 닿는 위치에 있어서 저강성 영역을 기점으로 변형하여, 상기 저강성 영역의 전측의 영역과 후측의 영역에 근접하도록 절곡된다. 또한, 착용자가 선 상태에서 입체 개더의 기립부는, 전후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기립부의 전단 가장자리와 기립부의 후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상승한다. 기립부의 상승하는 영역보다 후측에 저강성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체 개더의 기립부의 상승하는 영역 내에,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변형 기점을 형성하지 않고, 입체 개더의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저강성 영역은, 제1 저강성 영역과, 상기 제1 저강성 영역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제2 저강성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저강성 영역은, 상기 기립부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저강성 영역은, 상기 기립부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제1 저강성 영역에 의한 변형 기점과, 제2 저강성 영역에 의한 변형 기점을 형성할 수 있어, 신체의 전후 방향의 라운딩을 따라 흡수성 물품이 배치되기 쉽다. 제1 저강성 영역은, 착용자가 위를 향해 누운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둔부의 불룩한 곳이 찌부러진 부분에 있어서의 전측 단부에 닿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강성 영역은, 착용자가 선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둔부가 외측으로 튀어나와,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부분에 닿도록 배치할 수 있다.
착용자가 선 상태에서 기립부의 상승하는 영역보다 후측에 제2 저강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선 상태에 있어서 입체 개더의 기립부의 상승하는 영역 내에, 제2 저강성 영역에 의한 변형 기점이 형성되지 않고, 입체 개더의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누운 상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와 침구 사이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는, 위를 향해 누운 상태의 착용자는, 둔부의 불룩한 곳이 눌려 찌부러진다. 흡수성 물품은, 둔부의 불룩한 곳이 찌부러진 부분의 전측 단부보다 후측에 있어서 착용자와 침구 사이에 끼워지고, 둔부의 불룩한 곳이 찌부러진 부분보다 전측(둔부의 불룩한 곳이 찌부러진 부분의 전측 단부보다 전측)에 있어서 착용자와 침구 사이에 끼워지지 않고 신체를 따라 배치된다. 그 때문에, 입체 개더의 기립부는, 전후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기립부의 전단 가장자리와 둔부의 불룩한 곳이 찌부러진 부분에 닿는 위치를 연결하도록 상승한다. 따라서, 누운 상태에서 기립부의 상승하는 영역 내에 제1 저강성 영역에 의한 변형 기점이 형성되지 않고, 입체 개더의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팬티라이너(대하 시트)나 생리용 냅킨이나 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의 임의의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일회용의 생리용 냅킨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흡수성 물품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X부분의 확대도이다. 한편, 도 3에 있어서는, 입체 개더를 생략하고 있다. 흡수성 물품(1)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과 폭 방향(W)을 갖고, 또한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연장되는 두께 방향(T)을 갖는다. 피부 대향면측(T1)은, 사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에 상당한다. 피부 비대향면측(T2)은, 사용 시에, 피부 대향면측(T1)과는 반대측, 즉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해지는 측에 상당한다.
흡수성 물품(1)은, 가랑이 영역(S1), 전측 영역(S2) 및 후측 영역(S3)을 갖는다. 가랑이 영역(S1)은, 착용자의 배설구, 예컨대 질구에 대향하는 영역이다. 흡수성 물품(1)이 속옷에 장착되었을 때에, 가랑이 영역(S1)은 속옷의 가랑이부에 배치되고, 착용자의 양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전측 영역(S2)은, 가랑이 영역(S1)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전측 영역(S2)의 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후측 영역(S3)은, 가랑이 영역(S1)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후측 영역(S3)의 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흡수성 물품(1)은, 윙(3) 및 힙 플랩(4)을 갖는다. 윙(3) 및 힙 플랩(4)은, 가랑이 영역(S1)에 있어서의 흡수체(3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윙(3)은, 가랑이 영역(S1)에 형성되어 있다. 윙(3)의 전단 가장자리는, 윙(3)이 붙어 있는 부분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가장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2개의 부분 중, 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윙(3)의 전단 가장자리는, 가랑이 영역(S1)과 전측 영역(S2)의 경계를 규정한다. 윙(3)의 후단 가장자리는, 윙(3)이 붙어 있는 부분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가장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2개의 부분 중, 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윙(3)의 후단 가장자리는,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의 경계를 규정한다. 가랑이 영역(S1)의 길이 방향(L)의 중심은, 윙의 길이 방향의 중심과 일치한다. 힙 플랩(4)은, 후측 영역(S3)에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은, 피부면 시트(10), 비피부면 시트(20) 및 흡수체(30)를 갖는다. 피부면 시트(10)는, 흡수체(30)보다 피부 대향면측(T1)에 설치된다. 피부면 시트(10)는, 톱 시트(11) 및 사이드 시트(12)를 갖는다. 톱 시트(11)는, 체액 등의 액체를 투과시키는 액 투과성의 시트이다. 사이드 시트(12)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톱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고, 톱 시트(1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비피부면 시트(20)는, 액 불투과성의 시트이다. 비피부면 시트(20)는, 흡수체(30)보다 피부 비대향면측(T2)에 설치된다.
비피부면 시트(20)에는,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고정하기 위한 접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60)는, 가랑이 영역(S1)에 있어서 흡수체(30)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된 제1 본체 접합부(61)와, 후측 영역(S3)에 있어서 흡수체(30)와 겹쳐지는 영역에 배치된 제2 본체 접합부(62)와, 윙(3)에 배치된 윙 접합부(63)와, 힙 플랩(4)에 배치된 플랩 접합부(64)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의 양 외측에는, 착용자측으로 기립 가능한 한 쌍의 입체 개더(70)가 형성되어 있다. 각 입체 개더(70)는, 길이 방향(L)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71)를 갖는다. 탄성 부재(71)는, 사이드 시트(12)의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각 입체 개더(70)는, 피부면 시트(10)로서의 톱 시트(11)로부터 상승 가능한 기립부(72)와, 톱 시트(11)에 고정되고, 기립 불가능한 기단부(73)를 갖는다. 기단부(73)는, 기립부(72)의 전측과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기단부(73)는, 도 1에 있어서 사선을 붙여 나타낸 부분이다.
흡수체(30)는, 피부면 시트(10)와 비피부면 시트(20) 사이에 설치된다. 흡수체(30)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체(30)는,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 재료로 이루어지는 흡수 코어(31)와, 흡수 코어(31)를 둘러싸는 커버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흡수체(30)는, 저단위 중량 영역(41)과 고단위 중량 영역(42)을 갖는다. 여기서, 「저단위 중량 영역」은, 그 주위의 흡수 코어(31)보다 낮은 단위 중량을 갖는 흡수 코어(31)로 이루어지는 영역, 또는 흡수 코어(31)를 갖고 있지 않은 영역을 의미한다. 고단위 중량 영역(42)은, 저단위 중량 영역(41) 이외의 영역이다.
저단위 중량 영역(41)은,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의 경계에 걸쳐 있는 제1 저단위 중량 영역(411)과, 후측 영역(S3)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을 따라 배치된 제2 저단위 중량 영역(412)과, 후측 영역(S3)에 있어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제3 저단위 중량 영역(413)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적어도 제2 저단위 중량 영역(412)을 갖고 있으면 된다. 제2 저단위 중량 영역(412)은, 후측 영역(S3)의 폭 방향(W)의 중앙에 있어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다. 제2 저단위 중량 영역(412)의 전단 가장자리는, 제1 저단위 중량 영역(411)의 후단 가장자리에 연속해 있고, 제2 저단위 중량 영역(412)의 후단 가장자리는, 흡수 코어(31)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제3 저단위 중량 영역(413)은, 제2 저단위 중량 영역(412)에 연속해 있고, 제2 저단위 중량 영역(412)으로부터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3 저단위 중량 영역(413)은, 길이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3 저단위 중량 영역(413)의 내측 가장자리는, 제2 저단위 중량 영역(412)에 연속해 있고, 제3 저단위 중량 영역(413)의 외측 가장자리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3 저단위 중량 영역(413)은, 경사부(44)를 갖는다. 경사부(44)는, 후술하는 저강성 영역(R2)으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된다. 경사부(44)의 외측 가장자리(44E)는, 후측으로 향함에 따라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다. 경사부(44)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예컨대, 후측을 향해 폭 방향의 길이가 짧은 형상의 사다리꼴, 반원형, 삼각형이다. 도 1에 있어서 경사부(44)에 사선을 붙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이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고, 그 상태에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 있어서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포장체에 의해 포장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포장체를 개봉하여, 접혀진 흡수성 물품을 전개하고, 계속해서, 단위 중량을 측정하는 부분을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잘라내며, 잘라낸 부분의 중량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잘라낸 부분으로부터 피부면 시트 및 비피부면 시트 등, 흡수체 이외의 부분을 제거하고, 흡수체의 중량을 측정한다. 흡수체의 중량과, 단위 중량을 측정하는 부분의 면적에 기초하여 단위 중량을 산출한다.
흡수성 물품(1)에는, 압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압착홈은, 중앙 압착홈(81)과, 폭 압착홈(82)과, 길이 압착홈(83)을 갖는다. 압착홈은, 적어도 중앙 압착홈(81)을 갖고 있으면 된다. 중앙 압착홈(81)은, 적어도 피부면 시트(10)인 톱 시트(11)와 흡수 코어(31)가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폭 압착홈(82) 및 길이 압착홈(83)은, 적어도 흡수 코어(31)가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중앙 압착홈(81), 폭 압착홈(82) 및 길이 압착홈(83)은, 후측 영역(S3)에 있어서, 톱 시트(11), 커버 시트, 및 흡수 코어(31)에 형성되어 있다. 중앙 압착홈(81), 폭 압착홈(82) 및 길이 압착홈(83)은, 복수의 점형의 압착부의 집합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앙 압착홈(81)은,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착용 시에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을 구성한다. 중앙 압착홈(81)의 강성은, 길이 압착홈(83)의 강성보다 낮다. 구체적인 중앙 압착홈과 길이 압착홈의 구성으로서는, 중앙 압착홈의 폭 방향의 길이가 길이 압착홈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구성, 중앙 압착홈을 갖는 영역의 단위 중량이 길이 압착홈을 갖는 영역의 단위 중량보다 낮은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폭 압착홈(82)은, 중앙 압착홈(81)보다 폭 방향(W)의 양 외측에 있어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고, 착용 시에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을 구성한다. 폭 압착홈(82)은,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향함에 따라 폭 방향(W)의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중앙 압착홈(81) 및 폭 압착홈(82)은, 저단위 중량 영역(41)에 형성되어 있다. 폭 압착홈(82)의 적어도 일부는, 저단위 중량 영역(41)의 경사부(44) 내에 형성되어 있다.
길이 압착홈(83)은, 중앙 압착홈(81) 및 폭 압착홈(82)보다 폭 방향(W)의 양 외측에 있어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착용 시에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을 구성한다. 길이 압착홈(83)은, 저단위 중량 영역(41)과 고단위 중량 영역(42)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길이 압착홈(83)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길이 압착홈(83) 사이의 영역(83G)은, 착용 시에 후술하는 저강성 영역(R2)과 함께 변형의 기점을 구성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저강성 영역(R2)과 함께 변형의 기점을 구성하는 위치로서는, 제2 저단위 중량 영역(412)과 겹쳐지는 영역, 제2 저단위 중량 영역(412)의 연장선 상의 영역, 폭 압착홈(82)의 연장선 상의 영역, 저강성 영역(R2)으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영역, 저강성 영역(R2)으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비스듬히 전방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예시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의 후측 영역(S3)의 폭 방향(W)의 중앙에는, 고강성 영역(R1)과, 저강성 영역(R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고강성 영역(R1)과 저강성 영역(R2)에 상이한 사선을 붙여 나타내고 있다. 고강성 영역(R1)과 저강성 영역(R2)은, 저단위 중량 영역(41)에 형성되어 있고, 흡수성 물품(1)의 변형 기점으로서 기능한다. 고강성 영역(R1)은, 중앙 압착홈(81)이 배치된 영역이고, 착용 시에 착용자측으로 융기하는 변형의 기점이 된다. 고강성 영역(R1)의 길이 방향(L)의 길이는, 저강성 영역(R2)의 길이 방향(L)의 길이보다 길다. 저강성 영역(R2)은, 중앙 압착홈(81) 사이의 영역이고, 착용 시에 신체의 전후 방향의 라운딩을 따르도록 흡수성 물품이 변형하는 기점이 된다. 저강성 영역(R2)에는, 중앙 압착홈(81)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고강성 영역(R1) 및 저강성 영역(R2)은, 제2 저단위 중량 영역(412)에 형성되어 있고, 흡수 코어의 단위 중량이 낮아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변형 기점으로서 기능하기 쉽다.
저강성 영역(R2)의 강성은, 고강성 영역(R1)의 강성보다 낮다. 상기 강성은, 변형하기 어려움을 지표하는 것이며, 강성이 높을수록, 구부러지기 어렵다. 강성은, JIS L 1096의 측정 방법에 준거한 걸리 강성값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3개의 고강성 영역(R1)이 형성되어 있다. 저강성 영역(R2)은, 제1 저강성 영역(R21)과, 제1 저강성 영역(R21)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제2 저강성 영역(R22)을 갖는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적어도 2개소의 변형 기점이 형성되어, 둔부의 라운딩을 따라 흡수성 물품이 배치되기 쉽다.
착용자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형상은, 동일한 곡률이 아니며, 특히 둔부에 있어서의 곡률은, 착용자의 체위 및 부분에 따라 크게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선 상태에서는, 둔부가 가장 외측으로 튀어나온 부분(P2)에 있어서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고, 착용자가 위를 향해 누운 상태에서는, 둔부가 침구에 닿아 찌부러진 부분의 전측 단부(P1)에 있어서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한다. 흡수성 물품의 후측 영역을 보다 신체에 피트시키기 위해서는, 착용자가 위를 향해 누운 상태에서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부분(둔부가 침구에 닿아 찌부러진 부분의 전측 단부)(P1)과, 착용자가 선 상태에서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부분(둔부가 가장 외측으로 튀어나온 부분)(P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저강성 영역(R21)과 제2 저강성 영역(R22)을 형성해도 좋다.
제1 저강성 영역(R21)은, 가랑이 영역(S1)의 길이 방향(L)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90 ㎜~130 ㎜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가랑이 영역(S1)의 길이 방향(L)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90 ㎜~130 ㎜의 위치는, 착용자가 위를 향해 누운 상태에 있어서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부분(P1)에 대응하여 배치되기 쉽다. 착용자가 위를 향해 누운 상태에 있어서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부분에 대응하도록 제1 저강성 영역(R21)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가 위를 향해 누운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이 신체를 따르기 쉬워져, 흡수성 물품과 신체의 간극을 적게 할 수 있다.
제2 저강성 영역(R22)은, 가랑이 영역(S1)의 길이 방향(L)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130 ㎜~170 ㎜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가랑이 영역(S1)의 길이 방향(L)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130 ㎜~170 ㎜의 위치는, 착용자가 선 상태에 있어서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부분(P2)에 대응하여 배치되기 쉽다. 착용자가 선 상태에 있어서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부분(P2)에 대응하도록 제2 저강성 영역(R22)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가 선 상태에 있어서 둔부가 가장 외측으로 튀어나온 부분(P2)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이 신체를 따르기 쉬워져, 흡수성 물품과 신체의 간극을 적게 할 수 있다.
제1 저강성 영역(R21)은, 입체 개더(70)의 기립부(72)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저강성 영역(R21)은, 착용자가 위를 향해 누운 상태에 있어서 둔부의 불룩한 곳이 찌부러진 전측 부분(P1)에 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은, 둔부의 불룩한 곳이 찌부러진 전측 부분(P1)보다 후측에 있어서 착용자와 침구 사이에 끼워지고, 둔부의 불룩한 곳이 찌부러진 부분보다 전측에 있어서 착용자와 침구 사이에 끼워지지 않고 신체를 따라 배치된다. 그 때문에, 입체 개더의 기립부(72)는, 전후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기립부의 전단 가장자리와 둔부의 불룩한 곳이 찌부러진 부분에 닿는 위치를 연결하도록 상승한다. 따라서, 제1 저강성 영역(R21)이 입체 개더(70)의 기립부(72)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누운 상태에서 기립부의 상승하는 영역 내에 제1 저강성 영역(R21)에 의한 변형 기점이 형성되지 않고, 입체 개더(70)의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저강성 영역(R22)은, 입체 개더(70)의 기립부(72)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착용자가 선 상태에서 기립부의 상승하는 영역보다 후측에 제2 저강성 영역(R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체 개더(70)의 기립부(72)의 상승하는 영역 내에, 제2 저강성 영역(R22)에 의한 변형 기점이 형성되지 않고, 입체 개더의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저강성 영역(R2)은, 접합부(60)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접합부의 후단 가장자리는, 접합부 전체에 있어서의 후단 가장자리이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본체 접합부(62)의 후단 가장자리이다. 제1 저강성 영역(R21)은, 플랩 접합부(64)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 또한 제2 본체 접합부(62)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제2 저강성 영역(R22)은, 제2 본체 접합부(62)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접합부(60)는, 속옷에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둔부의 라운딩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개소보다 후측에 접합부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부가 둔부의 라운딩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개소보다 후측에 위치함으로써, 착용 시에 접합부가 변형하기 어려워, 속옷에의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개소에 대응하여 저강성 영역(R2)을 배치함으로써, 둔부의 라운딩을 따라 배치하고, 둔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개소보다 후측에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접합부에 의한 속옷에의 접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흡수성 물품의 착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폭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변형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의 변형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착용 시에 착용자의 양다리에 의해 끼워져,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으로의 힘이 가해진다. 착용 시에 폭 방향(W)의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으로 향하는 힘이 흡수성 물품(1)에 가해졌을 때에, 길이 압착홈(83)을 기점으로 하여 중앙 압착홈(81) 사이의 영역이 착용자측으로 융기하여, 중앙 압착홈(81)이 정점이 되도록 변형한다. 흡수 코어의 폭 방향의 중앙은, 고강성 영역이 변형 기점이 되어 착용자를 향해 볼록형으로 변형하여, 좌우의 둔부 사이의 간극에 피트한다. 이때, 중앙 압착홈의 강성이 길이 압착홈의 강성보다 낮기 때문에,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으로 향하는 방향의 힘이 후측 영역에 가해졌을 때에, 중앙 압착홈이 길이 압착홈보다 변형하기 쉬워, 보다 착용자측으로 융기하기 쉬워진다. 또한, 중앙 압착홈의 강성이 낮기 때문에, 착용 시에 중앙 압착홈이 둔부에 밀착된 경우라도, 착용 시의 위화감을 억제하고, 감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는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변형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흡수성 물품을 장착한 착용자가 선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5(b)는 위를 향해 누운 착용자의 신체가 침구에 의해 압박되어 변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저강성 영역(R22)은, 착용자가 선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부분(P2)에 닿도록 배치된다. 착용자가 선 상태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의 폭 방향의 중앙은,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제2 저강성 영역(R22)이 변형 기점이 되어 신체의 전후 방향의 라운딩을 따라 배치된다. 제1 저강성 영역(R21)은, 착용자가 위를 향해 누운 상태에 있어서, 둔부의 불룩한 곳이 찌부러진 부분의 전측 단부의, 곡률이 크게 변화하는 부분(P1)에 닿도록 배치된다. 고강성 영역(R1)에 형성된 중앙 압착홈(81)은, 톱 시트(11)와 흡수 코어(31)에 형성되어 있고, 흡수 코어(31)에만 형성된 구성과 비교하여 높은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이 착용 시에 반복해서 변형한 경우라도, 고강성 영역(R1)이 변형 기점으로서 계속 기능하고, 흡수 코어(31)의 비틀림이나 의도하지 않은 꺾어짐을 억제하여,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후측 영역에는, 중앙 압착홈(81), 폭 압착홈(82) 및 길이 압착홈(83)이 형성되어 있고, 압착홈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분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이 착용 시에 반복해서 변형한 경우라도, 고강성 영역(R1)이 변형 기점으로서 계속 기능하고, 흡수 코어(31)의 비틀림이나 의도하지 않은 꺾어짐을 억제하여,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후측 영역에는, 중앙 압착홈(81), 폭 압착홈(82) 및 길이 압착홈(83)이 형성되어 있고, 압착홈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분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이 착용 시에 반복해서 변형한 경우라도, 흡수 재료가 치우치기 어렵고, 흡수 코어를 신체에 대해 계속 닿게 할 수 있다.
또한, 저강성 영역(R2)의 폭 방향의 외측에는, 저강성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44)와, 경사부 내에 형성된 폭 압착홈(82)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및 폭 압착홈(82)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으로서 각각 기능한다. 따라서, 후측 영역의 폭 방향의 중앙뿐만이 아니라, 후측 영역의 폭 방향 전체에 있어서 신체의 전후 방향을 따른 단면을 따르도록 흡수 코어가 배치된다. 흡수성 물품이 보다 둔부를 따라 배치되어,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길이 압착홈(83)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길이 압착홈(83) 사이의 영역(83G)이 변형 기점이 되어 신체의 라운딩을 따라 배치된다. 길이 압착홈 사이의 영역과 저강성 영역(R2)은, 모두 변형의 기점을 구성하기 때문에, 후측 영역의 폭 방향의 중앙을 포함하는 폭 방향 전역이 신체의 전후 방향의 라운딩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후측 영역 전체가 신체에 대해 피트하기 쉬워진다.
도 6은 선 상태의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착용 시에, 가랑이 영역이 착용 시에 착용자의 양다리에 의해 끼워지고, 후측 영역에는,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또한 가랑이 영역측으로부터 후측 영역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진다. 경사부의 외측 가장자리가 후측으로 향함에 따라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측으로부터의 힘을 따라 경사부가 변형하고, 경사부 내에 후측으로 향함에 따라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형성된다. 경사부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로부터의 힘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여, 의도하지 않은 주름이나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보다 신체를 따라 흡수성 물품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폭 압착홈(82)은, 후측으로 향함에 따라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양다리로부터의 힘을 따라 상기 힘을 전파하기 쉽다. 폭 압착홈(82)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로부터의 힘을 폭 방향의 중앙측에 전달하여, 고강성 영역이 착용자측으로 융기하기 쉬워진다. 흡수성 물품이 보다 둔부를 따라 배치되어,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하등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강성 영역은, 고강성 영역보다 강성이 낮게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예컨대, 고강성 영역보다 흡수 재료의 단위 중량이 낮은 구성, 고강성 영역보다 압착홈의 면적률이 낮은 구성, 흡수 코어에 절입이 형성된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비틀림이나 의도하지 않은 꺾어짐을 억제하여,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일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 흡수성 물품 10: 피부면 시트
20: 비피부면 시트 30: 흡수체
31: 흡수 코어 41: 저단위 중량 영역
81: 중앙 압착홈 82: 폭 압착홈
83: 길이 압착홈 R1: 고강성 영역
R2: 저강성 영역 R21: 제1 저강성 영역
R22: 제2 저강성 영역 L: 길이 방향
W: 폭 방향

Claims (11)

  1.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 및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피부면 시트와,
    상기 흡수 코어 및 상기 피부면 시트에 형성된 중앙 압착홈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후측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중앙에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앙 압착홈이 배치된 복수의 고강성 영역과,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고강성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고강성 영역보다 강성이 낮은 저강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고정하기 위한 접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저강성 영역은, 상기 접합부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는, 주위의 상기 흡수 코어보다 흡수 재료의 단위 중량이 낮은 저단위 중량 영역을 갖고,
    상기 저단위 중량 영역은, 상기 저강성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저강성 영역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의 외측 가장자리는, 후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단위 중량 영역의 상기 경사부에는,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압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폭 압착홈은, 상기 후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영역의 상기 고강성 영역의 양 외측에는,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길이 압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압착홈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길이 압착홈 사이의 영역은, 착용 시에 상기 저강성 영역과 함께 변형의 기점을 구성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압착홈의 강성은, 상기 길이 압착홈의 강성보다 낮은 흡수성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영역은, 제1 저강성 영역과, 상기 제1 저강성 영역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제2 저강성 영역을 갖는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착용자측으로 기립 가능한 한 쌍의 입체 개더를 갖고,
    각 입체 개더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갖고, 또한 상기 피부면 시트로부터 상승 가능한 기립부를 가지며,
    상기 저강성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기립부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영역은, 제1 저강성 영역과, 상기 제1 저강성 영역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제2 저강성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저강성 영역은, 상기 기립부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저강성 영역은, 상기 기립부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197005027A 2016-07-29 2016-07-29 흡수성 물품 KR102341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2449 WO2018020690A1 (ja) 2016-07-29 2016-07-29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575A true KR20190038575A (ko) 2019-04-08
KR102341224B1 KR102341224B1 (ko) 2021-12-20

Family

ID=6101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027A KR102341224B1 (ko) 2016-07-29 2016-07-29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05839B2 (ko)
KR (1) KR102341224B1 (ko)
CN (1) CN109475441B (ko)
MY (1) MY190356A (ko)
WO (1) WO2018020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4541B2 (ja) * 2016-09-30 2021-06-0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205A (ja) 2005-03-24 2006-10-05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08541943A (ja) * 2005-06-02 2008-11-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横方向強化要素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2014104094A (ja) * 2012-11-27 2014-06-09 Kao Corp 吸収性物品
KR20160065125A (ko) * 2013-09-26 2016-06-08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JP2016119988A (ja) * 2014-12-24 2016-07-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0445B2 (ja) * 2002-12-05 2009-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吸収性物品
JP5264270B2 (ja) * 2008-04-28 2013-08-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39737B2 (ja) * 2011-03-02 2016-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59121B2 (ja) * 2013-03-29 2017-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20588B2 (ja) * 2013-07-26 2017-10-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47842B1 (ja) * 2015-12-28 2017-06-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205A (ja) 2005-03-24 2006-10-05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08541943A (ja) * 2005-06-02 2008-11-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横方向強化要素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2014104094A (ja) * 2012-11-27 2014-06-09 Kao Corp 吸収性物品
KR20160065125A (ko) * 2013-09-26 2016-06-08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JP2016119988A (ja) * 2014-12-24 2016-07-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75441A (zh) 2019-03-15
JP6705839B2 (ja) 2020-06-03
MY190356A (en) 2022-04-15
JPWO2018020690A1 (ja) 2019-03-07
KR102341224B1 (ko) 2021-12-20
CN109475441B (zh) 2021-07-27
WO2018020690A1 (ja)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1392B2 (ja) 吸収性物品
KR101947337B1 (ko) 흡수성 물품
KR102560297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6453207B2 (ja) 吸収性物品
KR102508046B1 (ko) 흡수성 물품
CN107613923B (zh) 吸收性物品
KR101935224B1 (ko) 흡수성 물품
KR101907369B1 (ko) 흡수성 물품
JP6420779B2 (ja) 吸収性物品
JP6749349B2 (ja) 吸収性物品
WO2016002097A1 (ja) 吸収性物品
KR101831753B1 (ko) 흡수성 물품
JP2005177087A (ja) 生理用ナプキン
CN111511325B (zh) 吸收性物品
KR20180000064U (ko) 팬츠형 흡수성 물품
JP5882594B2 (ja) 尿吸収パッド
KR20190038575A (ko) 흡수성 물품
WO2016088431A1 (ja) 吸収性物品
KR20180023946A (ko) 흡수성 물품
JP2017213213A (ja) 吸収性物品
JP6725451B2 (ja) 吸収性物品
CN111542293B (zh) 吸收性物品
JP6402142B2 (ja) 吸収性物品
WO2016104341A1 (ja) 吸収性物品
KR102354096B1 (ko) 팬티형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