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224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5224B1 KR101935224B1 KR1020187021657A KR20187021657A KR101935224B1 KR 101935224 B1 KR101935224 B1 KR 101935224B1 KR 1020187021657 A KR1020187021657 A KR 1020187021657A KR 20187021657 A KR20187021657 A KR 20187021657A KR 101935224 B1 KR101935224 B1 KR 1019352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low
- unit weight
- absorbent core
- absorbent art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2013/537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 A61F2013/537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with compressed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의 흡수 코어(31)는, 배설구 접촉 영역과 후측 영역 사이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과, 후측 영역에서 폭 방향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CL)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과, 후측 영역에서 중심선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압착부(88)를 갖는다. 배설구 접촉 영역의 흡수 코어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 및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의 단위중량보다 높은 단위중량으로 이루어진다.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은 제1 저단위중량 영역과 이어져 있다. 전후 압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리대 등의 속옷에 장착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경혈이나 대하(帶下) 등을 흡수하기 위한 생리대,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흡수성 물품 중 특히 생리대는, 속옷에 의해 착용자의 몸쪽으로 바짝 대어져 착용자의 몸에 밀착된다(하기 특허문헌 1). 생리대와 같은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흡수체를 갖는다. 흡수체는,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마련된다. 흡수체는, 피부 접촉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중고부(中高部)를 갖고 있다. 중고부는, 중고부 이외의 영역보다 두께가 두꺼운 흡수체의 일부분이다. 중고부는, 흡수성 물품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개별적으로 마련된다. 전방의 중고부와 후방의 중고부 사이에 절곡 기점이 형성된다. 절곡 기점은, 엠보스 가공에 의해 표면 시트와 흡수체를 서로 접합하기 위한 오목부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전방의 중고부는 착용자의 가랑이, 즉 질구(膣口) 대향 영역에 배치되고, 후방의 중고부는 착용자의 가랑이보다 뒤쪽 상방의 둔부의 갈라진 곳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흡수체를 둔부의 엉덩이 골을 따라서 밀착시키고 있다.
그러나, 착용자가 누워 있는 자세에서, 후방의 중고부는 착용자의 둔부 바로 아래, 즉 둔부와 바닥 사이에 배치된다. 중고부는 특히 강성이 높은 영역을 구성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누워 있는 자세에서 위화감을 느끼기 쉽다.
따라서, 누워 있는 자세에서 위화감을 느끼기 어렵고, 흡수체를 엉덩이 골을 따라서 밀착시키기 쉬운 흡수성 물품이 요구된다.
본 개시에 따른 흡수성 물품(흡수성 물품)은,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전후 방향(L)) 및 폭 방향(폭 방향(W))과,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배설구 접촉 영역(배설구 접촉 영역(S1))과,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후측 영역(S3))과, 적어도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 및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흡수 코어(31))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 사이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제1 저단위중량 영역(41))과,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폭 방향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중심선(CL))을 따라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저단위중량 영역(제2 저단위중량 영역(42))과,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중심선을 따라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압착부(전후 압착부(88))를 갖고 있고,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제1 저단위중량 영역 및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의 단위중량보다 높은 단위중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은 상기 제1 저단위중량 영역과 이어져 있고, 상기 전후 압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과는 반대측에서 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르는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르는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에게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에게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과는 반대측에서 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르는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르는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에게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에게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배설구 접촉 영역과,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적어도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 및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 사이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폭 방향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을 따라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저단위중량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중심선을 따라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압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제1 저단위중량 영역 및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의 단위중량보다 높은 단위중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은 상기 제1 저단위중량 영역과 이어져 있고,
상기 전후 압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누워 있는 자세에서, 흡수성 물품의 후측 영역은 착용자의 둔부의 바로 아래, 즉 둔부와 바닥 사이에 배치된다. 후측 영역에 형성된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은 비교적 강성이 낮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주는 위화감은 작다. 또한, 제1 저단위중량 영역 및 제2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해, 흡수 코어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는, 배설구 접촉 영역과, 후측 영역의 우측 부분과, 후측 영역의 좌측 부분 사이에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착용 중의 동작에 의해, 흡수 코어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가 국소적으로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의 착용 중에 착용자의 위화감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특히 누워 있는 자세에서도 위화감을 쉽게 느끼지 않는다.
후측 영역에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폭 방향에서의 후측 영역의 중심은 착용자의 몸쪽으로 돌출되기 쉽다. 또한, 제2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압착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폭 방향에서의 후측 영역의 중심은, 전후 압착부를 정점으로 하여 착용자의 몸쪽으로 돌출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후측 영역에서는, 흡수성 물품은, 누워 있는 자세에서 착용자의 엉덩이 골의 형상에 맞춰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는 둔부에서 흡수성 물품과의 편안한 밀착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해,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변형이 후측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하여, 배설구 접촉 영역과 후측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이 독립적으로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배설구 접촉 영역을 착용자의 가랑이의 형상을 따라서 배치하고, 또한 흡수성 물품의 후측 영역을 착용자의 둔부의 형상을 따라서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1 사이드 압착부와,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2 사이드 압착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사이드 압착부와 상기 제2 사이드 압착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제1 사이드 압착부와 제2 사이드 압착부가 전후 방향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배설구 접촉 영역(S1)에서의 흡수체의 변형이, 후측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의 양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2 사이드 압착부가 마련된다. 제2 사이드 압착부는 비교적 강성이 높기 때문에, 흡수 코어의 변형 기점이 된다. 한쌍의 제2 사이드 압착부 사이에 끼워진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은, 더욱 착용자의 몸쪽으로 융기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더욱 착용자의 몸에 잘 맞춰져, 착용자에 대하여 편안한 밀착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보다 낮은 단위중량으로 이루어진 제3 저단위중량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 사이드 압착부는, 상기 제3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분단된 분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후측 영역의 흡수 코어가 제3 저단위중량 영역부를 기점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이 몸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라운딩을 따라서 더욱 밀착되기 쉬워진다. 또한, 제3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 제2 사이드 압착부의 분단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분단부의 강성차에 의해 흡수 코어가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후측 영역의 흡수 코어는, 제3 저단위중량 영역 및 분단부를 기점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이 몸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라운딩을 따라서 더욱 밀착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2 사이드 압착부는, 상기 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로 이어지고, 전방을 향해 꺾이는 제2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분단부보다 후방의 영역에서, 흡수 코어의 강성을 높여, 흡수 코어의 형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흡수 코어의 후단부 근방은, 몸에 대하여 면으로 맞닿는 부분이 많아 형붕괴되기 쉽다. 상기 흡수 코어의 후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분단부보다 후방의 영역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흡수 코어의 후단부 근방의 강성을 높여 형붕괴를 억제하고, 몸에 계속 따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보다 낮은 단위중량으로 이루어진 제3 저단위중량 영역과, 상기 제3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압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후측 영역의 흡수 코어가 제3 저단위중량 영역 및 폭 압착부를 기점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이 몸의 전후 방향(L)을 따르는 라운딩을 따라서 더욱 밀착되기 쉬워진다. 또한, 폭 압착부를 갖는 것에 의해, 제3 저단위중량 영역의 폭 방향에서의 강성을 높이는 경우가 있다. 착용자에 따라서는, 흡수성 물품을 장시간 사용하여, 흡수성 물품이 뒤틀려 체액이 누설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체액의 누설은, 보행 시나 누워 있을 때에 변형되기 쉬운 후측 영역에서 특히 발생하기 쉽다. 폭 압착부는 비교적 강성이 높기 때문에, 후측 영역의 흡수 코어의 의도하지 않는 변형을 억제하여, 보행 시나 누워 있을 때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의 비피부면측에 위치하는 비피부면 시트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 영역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점착 영역은, 상기 제1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점착 영역과, 상기 제1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점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점착 영역과 상기 제2 점착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에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제1 점착 영역과 제2 점착 영역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전방의 영역과 제1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후방의 영역에서, 별개의 변형이나 움직임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배설구 접촉 영역과 후측 영역에서, 착용자의 몸의 형상에 맞춰 상이한 형상으로 더욱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은,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두께가 두꺼운 중고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전후 방향의 단면에서, 상기 중고부의 흡수체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고부의 흡수체의 후면과, 상기 중고부의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중고부의 흡수체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고부의 흡수체의 전면과, 상기 중고부의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중고부의 전면과 피부 대향면이 이루는 각도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중고부의 전측의 두께가 완만하게 변화하여, 착용자의 배설구보다 전방에 대하여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중고부의 후면과 피부 비대향면이 이루는 각도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중고부의 후면에 절곡 기점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배설구 접촉 영역과 후측 영역 사이에 중고부의 후단 가장자리에 의한 변형 기점을 형성할 수 있어, 배설구 접촉 영역과 후측 영역에서 착용자의 몸의 형상에 맞춰 상이한 형상으로 더욱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중심선을 따라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압착부를 가지며,
상기 중앙 압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후 압착부에 겹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전후 압착부에 겹쳐 배치됨으로써, 후측 영역에서의 폭 방향 중심이 더욱 얇아져, 폭 방향에서의 후측 영역의 중심을 정점으로 하여 변형했을 때에, 몸의 간극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압착부 및 전후 압착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의 흡수체를 분단할 수 있다. 흡수체를 복수로 분단함으로써, 분단하지 않은 구성과 비교하여 뒤틀리기 어려워, 장시간 사용했을 때에 흡수체가 붕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팬티 라이너(대하 시트)나 생리대나 실금 패드 등의 임의의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일회용의 생리대에 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1) 흡수성 물품의 전체적 구성
도 1은, 일 실시형태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과는 반대측에서 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르는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르는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흡수성 물품(1)은, 전후 방향(L)과 폭 방향(W)과 두께 방향(T)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배쪽)으로부터 후측(등쪽)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두께 방향(T)은, 착용자의 피부면측(T1)으로부터 비피부면측(T2)으로 연장되는 방향이고,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피부면측(T1)은, 사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쪽에 해당한다. 비피부면측(T2)은, 사용 시에 피부면측(T1)과는 반대측, 즉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해지는 쪽에 해당한다.
흡수성 물품(1)은, 배설구 접촉 영역(S1), 전측 영역(S2) 및 후측 영역(S3)을 갖는다. 배설구 접촉 영역(S1)은, 착용자의 배설구(예컨대 질구)에 대향하는 영역이다. 흡수성 물품이 속옷에 장착되었을 때에, 배설구 접촉 영역(S1)은 속옷의 가랑이부에 위치한다. 즉, 배설구 접촉 영역은, 착용자의 가랑이, 즉 착용자의 양 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전측 영역(S2)은, 배설구 접촉 영역(S1)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전측 영역(S2)의 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후측 영역(S3)은, 배설구 접촉 영역(S1)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후측 영역(S3)의 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후측 영역(S3)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배설구 접촉 영역(S1)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어도 좋다.
배설구 접촉 영역(S1)에는 날개(3)가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후측 영역(S3)에는, 폭 방향(W)의 외측으로 부풀어진 힙 플랩(4)이 마련되어도 좋다. 날개(3)의 전단 가장자리는, 날개(3)의 밑동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가장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2개의 부분 중 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날개(3)의 전단 가장자리는, 배설구 접촉 영역(S1)과 전측 영역(S2)의 경계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다. 날개(3)의 후단 가장자리는, 날개(3)의 밑동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가장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2개의 부분 중 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날개(3)의 후단 가장자리는, 배설구 접촉 영역(S1)과 후측 영역(S3)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 후술하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의 전단 가장자리가 배설구 접촉 영역(S1)의 후단 가장자리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고,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의 후단 가장자리가 후측 영역(S3)의 전단 가장자리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은, 피부면 시트(10), 비피부면 시트(20) 및 흡수체(30)를 갖는다. 피부면 시트(10)는, 흡수체(30)보다 피부면측(T1)에 마련된다. 비피부면 시트(20)는, 흡수체(30)보다 비피부면측(T2)에 마련된다. 흡수체(30)는, 피부면 시트(10)와 비피부면 시트(20) 사이에 마련된다.
피부면 시트(10)는, 표면 시트(11) 및 사이드 시트(12)를 갖고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11)는, 체액 등의 액체를 투과하는 액투과성의 시트이다. 표면 시트(11)는, 폭 방향(W)에서의 흡수체(30)의 중앙부를 덮는다. 표면 시트(11)는, 전후 방향(L)으로 전측 영역(S2)으로부터 후측 영역(S3)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12)는, 폭 방향(W)에서의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고, 표면 시트(1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12)는, 표면 시트(11)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12)는, 폭 방향(W)에서의 흡수체(30)의 외측 가장자리, 날개(3) 및 힙 플랩(4)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비피부면 시트(20)는 액불투과성의 시트이다.
흡수체(30)는, 적어도 배설구 접촉 영역(S1) 및 후측 영역(S3)에 배치된다. 또한, 흡수체(30)는, 배설구 접촉 영역(S1)으로부터 전측 영역(S2)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30)는,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31)와, 흡수 코어(31)를 둘러싸는 코어 랩(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코어 랩은, 적어도 흡수 코어(31)보다 피부면측에서 흡수 코어(31)를 덮고 있으면 된다. 흡수 코어(31)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는, 예컨대 친수성 섬유, 펄프 및 고흡수성 고분자(SAP)로 형성할 수 있다. 코어 랩은, 예컨대 부직포나 티슈 시트로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날개(3) 및 힙 플랩(4)을 갖는다. 날개(3) 및 힙 플랩(4)은, 배설구 접촉 영역(S1)에서의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날개(3) 및 힙 플랩(4)은, 사이드 시트(12)와 비피부면 시트(20)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날개(3)는, 비피부면 시트(20)측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날개(3)는, 사용 시에 속옷의 크로치부의 비피부면측으로 접는다.
힙 플랩(4)은, 날개(3)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후측 영역(S3)에 마련된다. 힙 플랩(4)은, 사용 시에 접히지 않고, 속옷과 착용자의 둔부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힙 플랩(4)에는 흡수 재료가 마련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힙 플랩(4)에는 흡수 재료가 마련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의 「흡수 코어의 두께」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이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어, 그 상태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측정 위치는, 흡수 코어의 제품 폭 방향 중앙부로 한다. 측정할 때에는, 흡수성 물품이 수축된 상태가 아니라, 흡수성 물품의 신축성 부재를 신장시킨 상태로 하여 측정한다. 또한, 흡수 코어 이외의 피부면 시트 및 비피부면 시트 등, 흡수 코어 이외의 부분을 제거한다. 오자키 제작소(주) 제조의 다이얼게이지 PEACOCK를 사용하고, 측정자는 직경 10 mm인 것을 채용하고, 크기가 30 mm×30 mm인 시험편을 준비하여, 그 시험편의 두께를 측정한다. 측정기는, 시험편에 대한 측정압이 3 g/㎠가 되도록 조정한다. 여기서, 10 샘플에 대하여, 각각의 상태로 전술한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치를 길이로 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 및 밀도」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이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어, 그 상태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포장체에 의해 포장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포장체를 개봉하고, 접혀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전개하여, 단위중량 및 밀도를 측정하는 부분의 두께 및 면적을 측정한다. 이어서, 단위중량 및 밀도를 측정하는 부분을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잘라내고, 잘라낸 부분의 중량을 측정한다. 이어서, 잘라낸 부분으로부터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 등, 흡수 코어 이외의 부분을 제거하고, 흡수체의 중량을 측정한다. 흡수체의 중량과, 단위중량 및 밀도를 측정하는 부분의 면적에 기초하여 단위중량을 산출한다. 단위중량 및 두께에 기초하여 밀도를 산출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길이」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이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어, 그 상태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이어서, 신와 측정 주식회사 제조의 스프링 메저(테이프: 유리 섬유가 들어 있는 염화비닐 피복)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를 따르게 하도록 하여 측정 대상 부위의 이 상태의 길이를 측정한다. 여기서, 10 샘플에 대하여 각각의 상태로 전술한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치를 길이로 하였다.
또한,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흡수체의 중고부의 각도」에 관해, 본 명세서에서의 「흡수체의 중고부의 각도」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포장체에 의해 포장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포장체를 개봉하고 접혀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전개하여, 흡수성 물품의 측면으로부터 사진을 촬영하고, 도 3에 나타내는 α, β의 각도를 분도기에 의해 측정한다.
(2) 흡수체의 상세 구성
다음으로, 흡수체(30)의 구성에 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흡수 코어(31)는, 적어도 배설구 접촉 영역(S1)에 중고부(33)를 갖는다. 중고부(33)는, 배설구 접촉 영역(S1)으로부터 전측 영역(S2)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중고부(33)는, 배설구 접촉 영역(S1)에서 중심선(CL)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중심선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며, 전후 방향을 따르는 선이다. 중고부(33)는,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의미한다. 중고부(33)의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은, 배설구 접촉 영역(S1) 내의 중고부(33) 이외의 영역에서의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보다 높아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보다 후측의 흡수 코어(31)는, 중고부(33)의 두께보다 얇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측 영역(S3) 전체의 흡수 코어(31)는, 중고부(33)의 두께보다 얇다. 중고부(33)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착용자의 배설구에 밀착시키기 쉽다. 한편, 후측 영역의 흡수 코어의 두께가 비교적 얇고, 후측 영역의 강성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에 따르기 쉬워져, 다리를 움직였을 때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중고부(33)의 후단 가장자리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의 전단 가장자리이다. 중고부(33)의 전단 가장자리는, 후술하는 제1 사이드 압착부(81)에 인접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L)을 따르는 단면에서, 중고부(33)의 후단 가장자리(33R)로부터 두께 방향(T)으로 연장되는 중고부(33)의 후면(33RS)과, 중고부(33)의 피부 비대향면이 이루는 각도 α는, 중고부(33)의 전단 가장자리(33F)로부터 두께 방향(T)으로 연장되는 중고부(33)의 전면(33FS)과, 중고부(33)의 피부 비대향면이 이루는 각도 β보다 크다. 각도 α는, 중고부(33)의 후면(33RS)과, 중고부(33)의 후단 가장자리(33R)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중고부(33)의 피부 대향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또한, 각도 β는, 중고부(33)의 전면(33FS)과, 중고부(33)의 전단 가장자리(33F)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중고부(33)의 피부 대향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중고부의 전면과 피부 대향면이 이루는 각도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중고부의 전단 가장자리의 두께가 완만하게 변화하여, 착용자의 배설구보다 전방에 대하여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중고부의 후단 가장자리측의 각도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중고부의 후단 가장자리가 굴곡 기점이 되기 쉽고, 배설구 접촉 영역과 후측 영역 사이에 중고부의 후단 가장자리에 의한 변형 기점을 형성할 수 있어, 배설구 접촉 영역과 후측 영역에서 착용자의 몸의 형상에 맞춰 상이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중고부의 후단 가장자리가 굴곡 기점이 되기 쉽기 때문에, 누워 있는 자세에서 굴곡 기점에 의해 흡수체가 변형되어, 더욱 몸에 잘 맞춰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흡수체(30)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 및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을 갖는다. 여기서, 「저단위중량 영역」은, 그 주위의 흡수 코어(31)보다 낮은 단위중량을 갖는 흡수 코어(31)로 이루어진 영역, 또는 흡수 코어(31)를 갖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저단위중량 영역」은,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이 0인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착용자가 누워 있는 자세에서, 흡수성 물품의 후측 영역은 착용자의 둔부 바로 아래, 즉 둔부와 바닥 사이에 배치된다. 후측 영역에 형성된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은 비교적 강성이 낮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주는 위화감은 작다. 또한, 제1 저단위중량 영역 및 제2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해, 흡수 코어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는, 배설구 접촉 영역(또는 날개 영역)과, 후측 영역의 우측 부분과, 후측 영역의 좌측 부분 사이에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착용 중의 동작에 의해, 흡수 코어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가 국소적으로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의 착용 중에 착용자의 위화감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특히 누워 있는 자세에서도 위화감을 쉽게 느끼지 않는다.
저단위중량 영역(41∼43)에서의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은, 저단위중량 영역(41∼43) 주위의 흡수 코어(중고부를 제외함)의 단위중량의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 코어(31)가 「저단위중량 영역」을 갖지 않는 영역인 경우에도, 코어 랩은, 저단위중량 영역에 걸쳐 흡수 코어(31) 전체를 둘러싼다. 이 경우, 흡수 코어(31)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단되어 있다 하더라도, 흡수체(30)는 코어 랩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 및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은, 흡수체(30)의 강성이 변화하는 경계가 된다. 따라서,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 및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은, 흡수체(30)가 변형되기 쉬운 영역에 해당한다.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은, 배설구 접촉 영역(S1)과 후측 영역(S3) 사이에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해, 배설구 접촉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변형이 후측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하여, 배설구 접촉 영역과 후측 영역에서 흡수성 물품이 독립적으로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배설구 접촉 영역을 착용자의 가랑이의 형상을 따라서 배치하고, 또한 흡수성 물품의 후측 영역을 착용자의 둔부의 형상을 따라서 배치할 수 있다.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은, 전후 방향(L)에서의 날개(3)의 중심보다 후측이자 흡수체(30)의 후측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마련된다.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은, 전후 방향(L)에서 날개(3)의 후단 가장자리에 걸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날개의 기단부가 되는 날개의 후단 가장자리를 전후 방향에 걸쳐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이 배치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로부터 날개에 가해지는 힘을 제1 저단위중량 영역에서 분단하여, 후측 영역으로 상기 힘이 전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은,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의 폭 방향(W)의 중앙이 후방으로 돌출된 곡선 형상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의 폭 방향(W)의 중심은,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 저단위중량 영역은, 위를 향해 누웠을 때에 속옷과 함께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부풀어, 신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출된다. 위를 향해 누웠을 때에는, 착용자의 둔부의 불룩한 부분이 눌려 찌부러지고, 찌부러진 부분은 가랑이측으로 이동한다. 제1 저단위중량 영역이 신체로부터 멀어지는 것에 의해, 위를 향해 누웠을 때의 둔부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저단위중량 영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배설구 접촉 영역 및 후측 영역이 신체의 라운딩을 따르는 형상으로 유지되어, 흡수성 물품 전체가 신체의 라운딩을 따라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W)에서의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의 길이는 25 mm 이상이다. 이에 따라, 배설구 접촉 영역(S1)에서의 흡수체(30)의 움직임이 후측 영역(S3)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은, 폭 방향(W)에서 흡수체(3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배설구 접촉 영역(S1)에서의 흡수체(30)의 움직임이 후측 영역(S3)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의 외측 가장자리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해도 좋다. 이에 따라, 제1 저단위중량 영역의 양측에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이 높은 영역이 배치되기 때문에, 체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전후 방향(L)에서의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의 길이는, 흡수성 물품(1)의 중심선(CL)의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50 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30 mm 이하이다. 제1 저단위중량 영역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10 mm 이상이므로, 배설구 접촉 영역의 변형과 후측 영역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분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저단위중량 영역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50 mm 이하이므로, 제1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해 신체의 변형을 흡수하면서 후측 영역에 의해 둔부측으로 흐른 체액을 흡수할 수 있다. 착용자는, 둔부측으로 경혈이 흐르는 불안을 느끼기 어렵고, 장착 시의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은, 후측 영역(S3)에서 흡수성 물품의 중심선(CL)을 따라서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은 전후 방향(L)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후측 영역에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폭 방향에서의 후측 영역의 중심은 착용자의 몸쪽으로 돌출되기 쉽다. 이에 따라, 후측 영역에서는, 흡수성 물품은, 누워 있는 자세에서 착용자의 엉덩이 골의 형상에 맞춰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는, 둔부에서 흡수성 물품과의 편안한 밀착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은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과 이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과, 제2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을 연동할 수 있어, 더욱 엉덩이 골의 깊은 위치에 도달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신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중고부와 제2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한 볼록 형상이 유사하게 이어지고, 체액을 흡수 가능한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체액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어, 체액이 피부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것을 억제하여, 체액의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의 후단 가장자리는, 흡수 코어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이자, 전후 방향에서의 후측 영역(S3)의 중심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착용자의 몸의 전후 방향(L)을 따르는 단면에서, 둔부 사이의 홈(엉덩이 골)은, 회음부보다 후방으로부터 미저골에 이르는 영역에 존재한다. 흡수성 물품의 사용 중에,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은, 착용자의 엉덩이 골의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영역에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이 대응된다.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의 양측에는,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이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보다 높고, 쿠션성이 높은 영역이 배치된다.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의 양측이 미저골에 대하여 부드럽게 닿아,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자극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은, 후측 영역(S3)에서,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으로부터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을 갖는 것에 의해, 후측 영역의 흡수 코어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형성된다. 흡수 코어는, 제3 저단위중량 영역을 기점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이 몸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라운딩을 따라서 더욱 밀착되기 쉬워진다.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은,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에 이어져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제3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과, 제2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연동할 수 있어, 더욱 둔부의 라운딩을 따라서 배치할 수 있다.
폭 방향(W)에서의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의 외측 가장자리는,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보다 폭 방향 외측에 제3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단위중량이 높은 흡수 재료가 배치되고, 상기 흡수 재료에 의해 체액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의 단위중량이 충분한 것에 의해, 새는 것에 대한 착용자의 불안감을 불식시킬 수 있다.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은,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된다. 따라서,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에 의한 변형 기점은,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고, 흡수 코어를 더욱 둔부의 라운딩을 따라서 배치할 수 있다.
(3) 압착부
흡수성 물품(1)은, 적어도 흡수 코어(31)가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압착부를 갖는다. 압착부가 형성된 영역은, 압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비교하여 밀도가 높은 부분이다. 압착부는, 제1 사이드 압착부(81)와, 제2 사이드 압착부(82)와, 폭 압착부(83)와, 중앙 압착부(84)와, 전후 압착부(88)를 갖고 있다(도 1 참조).
제1 사이드 압착부(81)는, 적어도 배설구 접촉 영역(S1)에 마련된다. 제1 사이드 압착부(81)는, 표면 시트(11)와 흡수체(30)가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사이드 압착부(81)는, 중고부(33)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된다. 제1 사이드 압착부(81)는, 중고부(33)의 외측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제1 사이드 압착부(81)는, 흡수 코어(31)의 전단 가장자리 부근에서 폭 방향(W)을 향해 굴곡되어 있고, U자형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다. 그 대신에, 제1 사이드 압착부(81)는, 중고부(33)의 폭 방향(W) 양측에 별개로 마련되어도 좋다. 즉, 한쌍의 제1 사이드 압착부(81)가, 서로 분단된 형태로 별개로 마련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에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졌을 때에, 제1 사이드 압착부(81)를 통해 중고부에 힘이 전달되기 쉬워져, 중고부를 질구에 대하여 밀착시키기 쉬워진다.
제2 사이드 압착부(82)는, 후측 영역(S3)에서,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마련된다. 제2 사이드 압착부(82)는,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과 이격되어 있고, 제2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한 볼록형의 변형을 저해하지 않는다. 제2 사이드 압착부(82)는 전후 방향(L)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1 사이드 압착부(81)와 제2 사이드 압착부(82)는 전후 방향에서 이격된다. 제1 사이드 압착부와 제2 사이드 압착부 사이에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이 배치된다. 제1 사이드 압착부와 제2 사이드 압착부가 전후 방향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배설구 접촉 영역(S1)에서의 흡수체의 변형이, 후측 영역에서의 흡수체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이드 압착부가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마련되기 때문에, 한쌍의 제2 사이드 압착부 사이에 끼워진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은, 더욱 착용자의 몸쪽으로 융기되기 쉬워진다. 흡수 코어가 더욱 착용자의 몸에 잘 맞춰져, 착용자에 대하여 편안한 밀착감을 줄 수 있다.
제2 사이드 압착부(82)는, 전후 방향으로 분단된 분단부(82a)를 갖는다. 분단부는, 흡수체(30)와 표면 시트(11)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지 않은 부분이다. 분단부(82a)는, 제3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 마련된다. 제3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 제2 사이드 압착부의 분단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분단부의 강성차에 의해 흡수 코어가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후측 영역의 흡수 코어는, 제3 저단위중량 영역 및 분단부를 기점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이 몸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라운딩을 따라서 더욱 밀착되기 쉬워진다. 특히,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이 엉덩이 골을 따라서 돌출되어 있는 경우, 후측 영역을 몸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라운딩을 따라서 변형시키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변형 기점이 되는 제3 저단위중량 영역 및 분단부에 의해, 후측 영역을 몸의 전후 방향(L)을 따르는 라운딩에 맞춰 변형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착용자의 몸에 잘 맞춰져, 착용자에 대하여 보다 편안한 밀착감을 줄 수 있다.
제2 사이드 압착부(82)는, 분단부(82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영역(82b)과, 제1 영역(82b)의 후단 가장자리에 이어지고, 전방을 향해 꺾이는 제2 영역(82c)을 갖는다. 제1 영역(82b)은, 후방에 위치하는 분단부(82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곡선 형상이다. 제2 영역(82c)은, 전방을 향해 꺾이는 원호 형상이다. 제2 사이드 압착부(82)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갖는 것에 의해, 분단부보다 후방의 영역에서의 흡수 코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흡수성 물품이 사용된 경우에도, 흡수 코어의 형붕괴나 분단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영역(82b)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제1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제1 영역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제1 영역(82b)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제1 영역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폭 방향 내외측으로 연장된다. 제3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후방의 영역은, 미저골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저골 부근의 몸의 형상은, 엉덩이 골에 비교하면 편평하지만, 완만하게 라운딩을 띠고 있다. 제1 영역(82b)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제1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제1 영역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완만하게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곡선 형상이므로, 제2 사이드 압착부에 끼워진 흡수 코어가, 완만하게 몸에 대하여 볼록한 형상이 된다. 그 때문에, 미저골 부근에서 몸과 흡수성 물품의 간극을 줄여, 착용자는, 편안한 장착감과 흡수성 물품에 의해 감싸인 것 같은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제2 영역(82c)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 코어(31)의 후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흡수 코어의 후단 가장자리 근방은, 누워 있는 자세에서 둔부에 의해 압력을 받기 쉬워, 비틀림이나 마찰이 발생하기 쉽다. 흡수 코어(31)의 후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흡수 코어의 후단부 근방의 강성을 높여, 장시간 흡수성 물품이 사용된 경우에도, 흡수 코어의 형붕괴나 분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82c)의 일단(후단 가장자리)은 제1 영역(82b)에 연속하고, 타단(전단 가장자리)은 제1 영역(82b)에 연속하지 않는다. 제2 영역(82c)의 타단이 제1 영역(82b)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 코어의 후단부가 지나치게 딱딱해지지 않아, 착용자가 위화감 없이 계속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제1 영역끼리 이어져 있는 구성에서는, 제3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후방의 영역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여, 제2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한 볼록형의 변형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좌우의 제1 영역끼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후방의 영역이 완만하게 볼록형으로 변형되고, 제2 저단위중량 영역에 의한 볼록형의 변형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 제2 영역의 형상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어도 좋다. 이에 따라, 흡수 코어의 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 근방에서의 외측 가장자리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복수의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을 갖는 구성에서는,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제3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후방의 영역은, 중앙 압착부(84) 및 제2 사이드 압착부(82)에 의해 4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4개의 구획 중 2개의 구획은, 중앙 압착부(84)와, 후측에 위치하는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과, 제2 사이드 압착부에 의해 둘러싸인 구획이며, 중앙 압착부(84)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마련된다. 다른 2개의 구획은, 제2 사이드 압착부와,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와, 후측에 위치하는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의 후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지는 것에 의해, 구획으로 나누어지지 않는 구성과 비교하여 흡수체가 뒤틀리기 어려워, 장시간 사용했을 때에 흡수체가 붕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보다 후방의 영역은, 둔부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기 쉬워 흡수체가 뒤틀리기 쉽다. 상기 영역에, 전후 압착부(88) 및 제2 사이드 압착부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나눔으로써, 장시간 사용되어 반복하여 둔부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흡수 코어의 변형을 억제하여 몸에 계속 밀착시킬 수 있다.
폭 압착부(83)는, 후측 영역(S3)에서,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 내에 형성되어 있다. 비교적 강성이 낮은 제3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 비교적 강성이 높은 폭 압착부(83)가 마련되기 때문에, 강성이 높은 부분과 강성이 낮은 부분이 교대로 형성되고, 복수의 굴곡 기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 코어가 보다 많은 기점을 통해 변형될 수 있어, 더욱 몸에 밀착시킬 수 있다. 폭 압착부(83)는, 복수의 점상 압착부의 집합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폭 압착부(83)의 외측 가장자리는, 제2 사이드 압착부(82)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폭 압착부(83)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폭 압착부(83)로부터 연장한 연장선 상에 분단부(82a)가 배치되어 있다. 폭 압착부(83)와 분단부(82a)에 의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을 형성한다. 비교적 강성이 낮은 분단부와 비교적 강성이 높은 폭 압착부에 의해 변형 기점을 구성함으로써, 변형 기점 내에서 강성차가 생긴다. 따라서, 복수의 굴곡 기점을 형성할 수 있고, 흡수 코어가 보다 많은 기점을 통해 변형될 수 있어, 더욱 몸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 코어는, 폭 방향에서 압착부 등을 통해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진다. 예컨대, 제2 사이드 압착부를 통과하고 또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서, 흡수 코어는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2 사이드 압착부보다 폭 방향 외측의 영역과, 제2 사이드 압착부와 제2 저단위중량 영역 사이의 영역,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와 전후 압착부 사이의 영역, 전후 압착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전후 압착부 사이의 영역은, 강성차에 의해 구획된다. 흡수 코어가 보다 작은 구획에서 변형됨으로써, 흡수 코어의 형붕괴를 방지함과 함께, 장시간 사용한 경우에도 흡수 코어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 압착부(84)는, 후측 영역에서, 중심선(CL)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중앙 압착부(84)는, 중심선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중앙 압착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의 흡수체를 분단할 수 있다. 흡수체를 복수로 분단함으로써, 분단하지 않은 구성과 비교하여 꼬이기 어려워, 장시간 사용했을 때에 흡수체가 붕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중앙 압착부(84)는, 복수의 점상 압착부의 집합체에 의해 구성된다. 중앙 압착부(84)는,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폭 압착부와 폭 압착부 사이의 영역에는, 폭 압착부(83)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폭 압착부(83)로부터 연장한 연장선이 위치한다. 폭 압착부(83)와, 중앙 압착부(84)끼리의 사이의 영역에 의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을 형성한다. 중앙 압착부끼리의 영역은, 비교적 강성이 낮아,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하여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강성이 낮은 영역을 포함하여 변형 기점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더욱 변형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강성이 낮은 영역을 포함하여 변형 기점을 형성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 중앙 압착부(84)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압착부(88)에 겹쳐 배치된다. 중앙 압착부(84)의 일부는, 전후 압착부(88)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전후 압착부(88)에 겹치지 않는다. 전후 압착부(88)와 중앙 압착부가 겹치는 것에 의해, 후측 영역에서의 폭 방향 중심이 더욱 얇아져, 폭 방향에서의 후측 영역의 중심을 정점으로 하여 변형되었을 때, 몸의 간극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전후 압착부(88)는, 후측 영역에서, 중심선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후 압착부(88)는, 제2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저단위중량 영역에는, 전후 압착부(88) 및 중앙 압착부(84)의 양쪽이 형성된 영역, 전후 압착부(88) 및 중앙 압착부(84) 중 어느 한쪽이 형성된 영역, 및 전후 압착부(88) 및 중앙 압착부(84)의 양쪽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마련된다. 전후 압착부(88)의 전단 가장자리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 위치해도 좋다. 비교적 단위중량이 낮은 제1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 전후 압착부(88)의 전단 가장자리가 배치되기 때문에, 전후 압착부의 전단 가장자리가 지나치게 딱딱해지는 것을 억제하여, 민감한 질구 근방에 대하여 부드럽게 접할 수 있다. 또한, 전후 압착부(88)의 전단 가장자리는,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의 전단 가장자리에 일치해도 좋다.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은, 엉덩이 골의 개시 위치(전단 가장자리)에 맞춰져 있고, 제2 저단위중량 영역 및 전후 압착부(88)에 의해 엉덩이 골의 개시 위치에 대하여 흡수 코어를 밀착시켜, 후방으로 체액이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후 압착부(88)의 후단 가장자리는, 제3 저단위중량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전후 압착부(88)의 후단 가장자리의 폭 방향 양측에는, 폭 압착부(83)의 내측 가장자리가 배치된다. 전후 압착부(88)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에는, 제3 저단위중량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를 경계로 한 강성차가 생기고, 전후 압착부(88)의 측방에는, 폭 압착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경계로 한 강성차가 생긴다. 전후 압착부(88)의 후단 가장자리와 주위의 영역 사이에서 강성차가 생겨, 더욱 흡수체의 변형 기점으로서 기능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3 저단위중량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방의 영역은, 엉덩이 골에 접촉하고, 제3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후방의 영역은, 엉덩이 골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미저골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의 흡수 코어에는, 전후 압착부(88)가 배치되지 않아, 전후 압착부에 의해 변형되기 쉽게 구성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3 저단위중량 영역(43)보다 후방의 영역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미저골에 대하여 편평한 상태로 계속 밀착시키기 쉬워진다.
제1 사이드 압착부(81), 제2 사이드 압착부(82), 폭 압착부(83) 및 중앙 압착부(84)는, 표면 시트(11)와 흡수체(30)가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에 압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전후 압착부는, 흡수 코어(31)가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피부 대향면에 압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4) 점착 영역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물품(1)을 속옷(S)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제가 마련된 점착 영역(60)을 갖는다. 점착 영역(60)은, 제1 점착 영역으로서의 제1 본체 점착 영역(61), 제2 점착 영역으로서의 제2 본체 점착 영역(62), 날개 점착 영역(63) 및 힙 플랩 점착 영역(64)을 갖는다. 이들 점착 영역(61∼64)은, 비피부면 시트(20)의 비피부면측에 마련된다.
제1 본체 점착 영역(61)은, 제2 본체 점착 영역(62)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본체 점착 영역(61) 및 제2 본체 점착 영역(62)은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본체 점착 영역(61)은, 제2 본체 점착 영역(62)으로부터 전후 방향(L)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본체 점착 영역(61)은,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제2 본체 점착 영역(62)은,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날개 점착 영역(63)은 날개(3)에 마련된다. 힙 플랩 점착 영역(64)은 힙 플랩(4)에 마련된다. 제1 점착 영역과 제2 점착 영역이 이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1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전방의 영역과, 제1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후방의 영역에서, 별개의 변형이나 움직임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배설구 접촉 영역과 후측 영역에서, 착용자의 몸의 형상에 맞춰 상이한 형상으로 더욱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은, 두께 방향(T)에서, 점착 영역(61∼64)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은, 제1 본체 점착 영역(61)과 제2 본체 점착 영역(62) 사이의 영역에 마련된다.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은, 두께 방향(T)에서, 점착 영역(61∼64)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은, 복수의 제2 본체 점착 영역(62)끼리의 사이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 및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이 더욱 변형 기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 및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흡수 코어(31)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흡수체(30)가 착용자의 가랑이 및 둔부의 형상에 맞춰 더욱 밀착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더욱 착용자의 몸에 잘 맞춰져, 착용자에 대하여 보다 편안한 밀착감을 줄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압착부(82)는, 제2 본체 점착 영역(62)과 겹치는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사이드 압착부(82)가 마련된 영역이 속옷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흡수 코어(31)가 제2 사이드 압착부(82)를 기점으로 변형될 때에, 속옷에 의해 제2 사이드 압착부(82)를 지지할 수 있다. 변형의 기점이 되는 제2 사이드 압착부(82)가 지지되기 때문에, 제2 사이드 압착부(82) 사이의 영역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5) 착용 중인 흡수성 물품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착용 중인 흡수성 물품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사용 중인 흡수성 물품의 도 1의 C-C선을 따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은, 사용 중인 흡수성 물품의 도 1의 B-B선을 따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또, 도 5 및 6에서는, 착용자의 몸의 형상을 나타내는 라인을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생리대로서의 흡수성 물품(1)을 착용할 때, 흡수성 물품(1)은 속옷(S)에 고정된다. 흡수성 물품(1)의 배설구 접촉 영역(S1)은, 착용자의 양 다리 사이에 끼워져, 폭 방향(W)의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W)의 내측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을 따르는 착용자의 몸의 단면 형상은, 가랑이 근방과 둔부 근방에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가랑이의 음열(陰裂; 경혈이 나오는 질구 근처) 근방의 몸의 단면 형상은, 대음순이 대음순의 밑동보다 튀어나와 있고, 흡수성 물품(1)측으로 돌출된 볼록한 형상이다. 이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에, 흡수성 물품의 배설구 접촉 영역(S1)이 대향하여 배치된다. 착용자의 가랑이에서는, 배설구 접촉 영역(S1)의 흡수 코어(31), 특히 중고부(33)가 몸을 따라서 배치되어, 가랑이에서 체액이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도 5 참조).
착용자의 대음순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회음부보다 후방에는, 항문이나 엉덩이 골이 위치한다. 이 회음부보다 후방 근처의 몸의 단면 형상은, 폭 방향의 중심이 우묵하게 들어간 형상이다. 이 착용자의 둔부에, 흡수성 물품의 후측 영역(S3)이 대향하여 배치된다.
후측 영역(S3)에서는, 중심선(CL)을 따라서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제2 저단위중량 영역(42) 및 전후 압착부(88)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폭 방향(W)에서의 후측 영역(S3)의 중심은 착용자의 몸을 향해 돌출되기 쉽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후측 영역(S3)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엉덩이 골의 형상에 맞춰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는, 둔부에서도 흡수성 물품(1)과의 편안한 밀착감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흡수성 물품(1)은, 배설구 접촉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서, 착용자의 몸의 형상에 맞춰 상이한 형상으로 변화하고자 한다.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은, 배설구 접촉 영역(S1)에서의 흡수체(30)의 변형이, 후측 영역(S3)에서의 흡수체(30)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하고 있다. 즉, 제1 저단위중량 영역(41)에 의해, 배설구 접촉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서 흡수성 물품이 독립적으로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또, 2015년 1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5-257070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
누워 있는 자세에서 위화감을 느끼기 어렵고, 흡수체를 엉덩이 골을 따라서 밀착시키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 흡수성 물품
10: 피부면 시트
20: 비피부면 시트
31: 흡수 코어
33: 중고부
41: 제1 저단위중량 영역
42: 제2 저단위중량 영역
43: 제3 저단위중량 영역
61: 제1 본체 점착 영역
62: 제2 본체 점착 영역
81: 제1 사이드 압착부
82: 제2 사이드 압착부
83: 폭 압착부
84: 중앙 압착부
88: 전후 압착부
L: 전후 방향
W: 폭 방향
T: 두께 방향
S1: 배설구 접촉 영역
S2: 전측 영역
S3: 후측 영역
CL: 중심선
10: 피부면 시트
20: 비피부면 시트
31: 흡수 코어
33: 중고부
41: 제1 저단위중량 영역
42: 제2 저단위중량 영역
43: 제3 저단위중량 영역
61: 제1 본체 점착 영역
62: 제2 본체 점착 영역
81: 제1 사이드 압착부
82: 제2 사이드 압착부
83: 폭 압착부
84: 중앙 압착부
88: 전후 압착부
L: 전후 방향
W: 폭 방향
T: 두께 방향
S1: 배설구 접촉 영역
S2: 전측 영역
S3: 후측 영역
CL: 중심선
Claims (8)
-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배설구 접촉 영역과,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 및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 사이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저단위중량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폭 방향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을 따라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저단위중량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중심선을 따라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압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제1 저단위중량 영역 및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의 단위중량보다 높은 단위중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은 상기 제1 저단위중량 영역과 이어져 있고,
상기 전후 압착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사이드 압착부와,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사이드 압착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사이드 압착부와 상기 제2 사이드 압착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서 이격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보다 낮은 단위중량으로 이루어진 제3 저단위중량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 사이드 압착부는, 상기 제3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분단된 분단부를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압착부는, 상기 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후단 가장자리에 이어지고, 전방을 향해 꺾이는 제2 영역을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제2 저단위중량 영역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보다 낮은 단위중량으로 이루어진 제3 저단위중량 영역과, 상기 제3 저단위중량 영역 내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압착부를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의 비피부면측에 위치하는 비피부면 시트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 영역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점착 영역은, 상기 제1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점착 영역과, 상기 제1 저단위중량 영역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점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점착 영역과 상기 제2 점착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에서 이격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구 접촉 영역은,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두께가 두꺼운 중고부(中高部)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전후 방향의 단면에서, 상기 중고부의 흡수체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고부의 흡수체의 후면과, 상기 중고부의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중고부의 흡수체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고부의 흡수체의 전면과, 상기 중고부의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큰 것인 흡수성 물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코어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전후 압착부에 겹쳐 배치되며, 동시에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중심선을 따라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압착부를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257070A JP6147842B1 (ja) | 2015-12-28 | 2015-12-28 | 吸収性物品 |
JPJP-P-2015-257070 | 2015-12-28 | ||
PCT/JP2016/087655 WO2017115673A1 (ja) | 2015-12-28 | 2016-12-16 | 吸収性物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0381A KR20180090381A (ko) | 2018-08-10 |
KR101935224B1 true KR101935224B1 (ko) | 2019-01-03 |
Family
ID=5906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1657A KR101935224B1 (ko) | 2015-12-28 | 2016-12-16 | 흡수성 물품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1) | JP6147842B1 (ko) |
KR (1) | KR101935224B1 (ko) |
CN (1) | CN108472166B (ko) |
MY (1) | MY179827A (ko) |
TW (1) | TWI620553B (ko) |
WO (1) | WO20171156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20690A1 (ja) * | 2016-07-29 | 2018-02-0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6884541B2 (ja) * | 2016-09-30 | 2021-06-09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6396547B1 (ja) * | 2017-07-14 | 2018-09-26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7291668B2 (ja) * | 2020-06-12 | 2023-06-1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7431700B2 (ja) | 2020-08-21 | 2024-02-15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89954A1 (en) | 2005-02-23 | 2006-08-24 | Uni-Charm Corporation | Sanitary napkin |
JP2012071102A (ja) | 2010-08-31 | 2012-04-12 | Daio Paper Corp | 吸収性物品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48002B2 (ja) * | 1998-12-25 | 2006-02-22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US20030225385A1 (en) * | 2002-05-28 | 2003-12-04 | Glaug Frank S. |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core |
JP4401309B2 (ja) | 2005-03-03 | 2010-01-20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4949875B2 (ja) * | 2007-01-29 | 2012-06-13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5328591B2 (ja) * | 2009-09-30 | 2013-10-3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
JP5623828B2 (ja) * | 2010-08-31 | 2014-11-12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5839685B2 (ja) * | 2012-01-19 | 2016-01-0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吸収性物品 |
JP5558616B2 (ja) * | 2012-11-29 | 2014-07-23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パッド |
JP6219573B2 (ja) * | 2013-01-31 | 2017-10-2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6196810B2 (ja) * | 2013-05-27 | 2017-09-1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2015
- 2015-12-28 JP JP2015257070A patent/JP6147842B1/ja active Active
-
2016
- 2016-12-16 KR KR1020187021657A patent/KR1019352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2-16 MY MYPI2018001108A patent/MY179827A/en unknown
- 2016-12-16 WO PCT/JP2016/087655 patent/WO201711567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2-16 CN CN201680076490.0A patent/CN108472166B/zh active Active
- 2016-12-23 TW TW105143043A patent/TWI620553B/zh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89954A1 (en) | 2005-02-23 | 2006-08-24 | Uni-Charm Corporation | Sanitary napkin |
JP2012071102A (ja) | 2010-08-31 | 2012-04-12 | Daio Paper Corp | 吸収性物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735887A (zh) | 2017-10-16 |
JP2017118984A (ja) | 2017-07-06 |
TWI620553B (zh) | 2018-04-11 |
CN108472166B (zh) | 2019-06-28 |
CN108472166A (zh) | 2018-08-31 |
MY179827A (en) | 2020-11-17 |
KR20180090381A (ko) | 2018-08-10 |
JP6147842B1 (ja) | 2017-06-14 |
WO2017115673A1 (ja) | 2017-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5224B1 (ko) | 흡수성 물품 | |
JP6080263B2 (ja) | 吸収性物品 | |
JP6453207B2 (ja) | 吸収性物品 | |
KR20130137621A (ko) |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 |
JP5827770B1 (ja) | 吸収性物品 | |
KR101907369B1 (ko) | 흡수성 물품 | |
JP6420779B2 (ja) | 吸収性物品 | |
KR102508046B1 (ko) | 흡수성 물품 | |
WO2016199614A1 (ja) | 吸収性物品 | |
JP6749349B2 (ja) | 吸収性物品 | |
WO2016002097A1 (ja) | 吸収性物品 | |
JP6239039B1 (ja) | 吸収性物品 | |
CN107708630B (zh) | 吸收性物品 | |
JP6018168B2 (ja) | 吸収性物品 | |
JP2017060781A (ja) | 吸収性物品 | |
JP6705839B2 (ja) | 吸収性物品 | |
JP6725451B2 (ja) | 吸収性物品 | |
WO2023120693A1 (ja) | 吸収性物品 | |
WO2016103774A1 (ja) | 吸収性物品 | |
JP6576205B2 (ja) | 吸収性物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