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096B1 - 팬티형 패드 - Google Patents

팬티형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096B1
KR102354096B1 KR1020177010117A KR20177010117A KR102354096B1 KR 102354096 B1 KR102354096 B1 KR 102354096B1 KR 1020177010117 A KR1020177010117 A KR 1020177010117A KR 20177010117 A KR20177010117 A KR 20177010117A KR 102354096 B1 KR102354096 B1 KR 102354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width direction
center
excretory
rear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717A (ko
Inventor
노부유키 가토
수광 야오
신페이 고마츠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6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3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 A61F13/4724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with asymmetry around the x or y axis
    • A61F13/4725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with asymmetry around the x or y axis with a tanga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팬티형 패드(1)는, 피부면 시트(11) 및 흡수체(13)를 갖는 흡수성 본체(10)와, 앞몸통 둘레 영역(S1)에 배치되는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41)와, 뒷몸통 둘레 영역(S2)에 배치되는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42)와,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41)의 외측 가장자리와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42)의 외측 가장자리가 접합된 사이드 접합부(29)와, 피부면 시트(11) 및 흡수체(13)가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부(80)를 갖는다. 압착부(80)는,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배설구 대향부보다도 폭 방향의 양외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배설구 압착부(81)를 갖고, 배설구 압착부(81)의 전후 방향의 중심(81LC)은, 가랑이 아래 영역(S3) 내에 있어서 패드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보다도 전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팬티형 패드{PANTY-TYPE SANITARY NAPKIN}
본 발명은 팬티형 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트성을 높여 경혈(經血)의 누설을 억제하는 생리용 패드가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의 생리용 패드는, 생리용 패드의 전후 방향 중심 또한 폭 방향 중심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 한 쌍의 홈을 갖는다. 특허문헌 1의 홈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볼록 형상이다. 특허문헌 1의 생리용 패드는, 생리용 패드의 전후 방향 중심 또한 폭 방향 중심이 내(內)방향측으로 불룩해진다(특허문헌 1의 도 2 참조).
일본국 특개2008-302238호 공보
그러나, 상술의 생리용 패드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의 생리용 패드를 사용할 때는, 착용자가 속옷의 크로치부를 대강의 표지로 하여, 생리용 패드를 속옷에 장착한다. 이때, 속옷과 생리용 패드의 위치 결정의 확실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착용자에 따라 생리용 패드의 흡수체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어긋난다. 또, 같은 착용자라도, 매회 동일한 위치에 장착하지 못하여, 생리용 패드의 흡수체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흡수체의 위치가 부적절한 경우에는, 흡수체의 피트성이 저하하여 체액의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어떠한 착용자라도 흡수체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팬티형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팬티형 패드는, 착용자의 신체 전측(前側)과 신체 후측(後側)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 착용자를 향하는 내방향, 및 상기 내방향과 반대측을 향하는 외(外)방향을 갖고, 신체 전측에 배치되는 앞몸통 둘레 영역과, 신체 후측에 배치되는 뒷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배치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구비하며, 피부면 시트 및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와,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와, 상기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가 접합된 사이드 접합부와, 상기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와, 상기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배치되는 허리 둘레 개구부와, 상기 피부면 시트 및 상기 흡수체가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부를 갖는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압착부는,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배설구 대향부보다도 폭 방향의 양외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배설구 압착부를 갖고, 상기 배설구 압착부의 전후 방향의 중심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전측에 위치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팬티형 패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팬티형 패드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A-A 단면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팬티형 패드의 폭 방향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전후 방향을 따른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흡수성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팬티형 패드의 장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팬티형 패드의 전체 구성
도 1부터 도 5를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련된 팬티형 패드(1)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팬티형 패드(1)는, 미리 속옷형으로 형성된 팬티형 패드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팬티형 패드(1)는, 밤(夜)용 팬티형 패드여도 되고, 낮(晝)용 팬티형 패드여도 된다.
팬티형 패드(1)는, 착용자의 신체 전측에 배치되는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착용자의 신체 후측에 배치되는 뒷몸통 둘레 영역(S2)과,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대응하고,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뒷몸통 둘레 영역(S2)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S3)을 갖는다.
팬티형 패드(1)는, 착용자의 신체 전측과 신체 후측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L)과,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W)과, 착용자를 향하는 내방향(T1) 및 내방향과 반대측을 향하는 외방향(T2)으로 연장되는 두께 방향(T)을 갖는다.
팬티형 패드(1)는, 흡수성 본체(10)와 섀시(Chassis)(20)를 구비한다. 흡수성 본체(10)는, 액체 투과성의 본체 톱 시트(11)와, 액체 불투과성의 본체 필름(12)과, 본체 톱 시트(11)와 본체 필름(12)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13)와, 본체 백 시트(14)를 구비한다. 섀시(20)는, 흡수성 본체(10)보다도 외방향(T2)에 배치되어 있고, 외장 톱 시트(21)와 외장 백 시트(22)를 갖는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팬티형 패드(1)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 평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평면도는, 팬티형 패드(1)를 구성하는 본체 톱 시트(11)나 본체 백 시트(14)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신축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도 4는, 팬티형 패드의 폭 방향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전후 방향을 따른 단면의 단면도이다.
팬티형 패드(1)는, 앞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41)와, 뒷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42)와, 가랑이 아래 영역에 배치되는 크로치 부재(43)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팬티형 패드(1)는,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41)와,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42)와, 크로치 부재(43)가 전후 방향으로 연속하여 섀시(20)를 구성한다. 또한 팬티형 패드는, 크로치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41) 및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42)를 구비하고,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41)와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42)를 흡수성 본체에 의해 연결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패드(1)의 전후 방향(L)에서의 중심(1LC)을 기점으로 앞몸통 둘레 영역(S1)과 뒷몸통 둘레 영역(S2)이 겹치도록 접고,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41)의 외측 가장자리와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42)의 외측 가장자리를 접합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팬티형 패드가 형성된다.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41)의 외측 가장자리와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42)의 외측 가장자리가 접합되는 사이드 접합부(29)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사이드 접합부(29)보다도 전후 방향의 내측은, 가랑이 아래 영역(S3)이다.
본체 톱 시트(11)는, 흡수체(13)보다도 내방향(T1)(내방향측)에 위치한다. 본체 톱 시트(11)에는, 부직포나 개공(開孔) 플라스틱 필름 등의 액체 투과성의 시트 등이 사용된다.
본체 필름(12)은, 흡수체(13)보다도 외방향(T2)측으로서, 섀시(20)보다도 내방향(T1)측에 배치된다. 본체 필름(12)에는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 등이 사용된다.
흡수체(13)는, 본체 톱 시트(11) 및 본체 필름(12)의 사이에 설치되어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을 흡수한다. 흡수체(13)에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 등이 사용된다. 펄프의 단위중량(目付)은 100∼800g/㎡이고,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단위중량은 0∼100g/㎡이다. 또, 흡수체(13)는, 시트상(狀)으로 된 에어레이드 시트여도 된다.
본체 백 시트(14)는, 본체 필름(12)의 외방향(T2)측과, 본체 톱 시트(11)의 내방향(T1)측의 양쪽에 배치된다. 본체 백 시트(14)의 폭 방향(W)의 중앙부는, 본체 필름(12)의 외방향(T2)측에 배치된다. 본체 백 시트(14)의 중앙부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은, 본체 필름(12)의 외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폭 방향의 내측으로 되접혀 본체 톱 시트(11)의 내방향(T1)측에 배치된다. 본체 백 시트(14)에는 부직포 등의 시트 등이 사용된다. 본체 톱 시트(11)와, 본체 백 시트(14)의 일부는 흡수체의 피부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피부면측 시트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본체 백 시트(14)는, 본체 필름(12)의 외방향(T2)측과 본체 톱 시트(11)의 내방향(T1)측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지만, 변형예에서는, 본체 백 시트(14)가 본체 필름(12)의 외방향(T2)측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당해 변형예에서는, 본체 톱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고, 또한 후술하는 방누(防漏) 개더를 구성하는 시트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체 필름(12)과 본체 백 시트(14)는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본체 필름(12)과 본체 백 시트(14)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A1)을 나타낸다. 도 5는 흡수성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사선을 표시한 영역이 비접합 영역(A1)이다. 비접합 영역(A1)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본체 백 시트와 본체 필름은, HMA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흡수체(13)의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영역에 있어서, 본체 필름(12)과 본체 백 시트(14)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본체 필름(12)과 본체 백 시트(14)의 비접합 영역(A1)은, 평면도로 보아(平面視) 후술하는 압착부(8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다. 비접합 영역(A1)은, 본체 백 시트(14)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전측에 치우쳐(偏倚) 있다.
또, 본체 필름(12)과 본체 백 시트(14) 이외의 팬티형 패드의 다른 구성 부재끼리(예를 들면, 본체 톱 시트와 흡수체)도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팬티형 패드(1)에는, 착용자의 허리 둘레가 삽입되는 허리 둘레 개구부(31)와, 착용자의 다리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32)가 형성된다. 허리 둘레 개구부(31)는, 섀시(20)의 전단 가장자리(20F) 및 섀시(20)의 후단 가장자리(20R)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섀시(20)는, 외장 톱 시트(21)와, 외장 백 시트(22)와, 적어도 폭 방향(W)으로 신장된 상태로 배치된 신축성 부재를 갖는다. 섀시(20)를 구성하는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41)의 폭 방향의 길이 및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42)의 폭 방향의 길이는, 흡수성 본체(10)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다.
외장 톱 시트(21)는, 적어도 폭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외장 백 시트(22)는, 외장 톱 시트(21)의 외방향(T2)측에 배치된다. 외장 백 시트(22)는 비신축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외장 톱 시트(21)는, 앞몸통 둘레 영역(S1)측에 위치하는 전측 외장 톱 시트(24)와, 뒷몸통 둘레 영역(S2)측에 위치하는 후측 외장 톱 시트(25)를 갖는다. 전측 외장 톱 시트(24)와 후측 외장 톱 시트(25)는 전후 방향(L)으로 이격(離間)하고 있다. 외장 백 시트(22)는, 앞몸통 둘레 영역(S1), 가랑이 아래 영역(S3) 및 뒷몸통 둘레 영역(S2)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전측 외장 톱 시트(24)의 전단 가장자리(24F) 및 외장 백 시트(22)의 전단 가장자리(22F)는 앞몸통 둘레 영역(S1) 내에 위치하고, 섀시(20)의 전단 가장자리(20F)에 있어서 후측으로 되접혀 있다. 전측 외장 톱 시트(24)의 전단 가장자리(24F) 및 외장 백 시트(22)의 전단 가장자리(22F)가 되접힌 부분에는, 신축성 부재로서의 허리 둘레 신축성 부재(26)가 배치되어 있다. 허리 둘레 신축성 부재(26)는, 폭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전측 외장 톱 시트(24)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후측 외장 톱 시트(25)의 후단 가장자리(25R) 및 외장 백 시트(22)의 후단 가장자리(22R)는 뒷몸통 둘레 영역(S2) 내에 위치하고, 섀시(20)의 후단 가장자리(20R)에 있어서 전측으로 되접혀 있다. 후측 외장 톱 시트(25)의 후단 가장자리(25R) 및 외장 백 시트(22)의 후단 가장자리(22R)가 되접힌 부분에는, 신축성 부재로서의 허리 둘레 신축성 부재(26)가 배치되어 있다. 허리 둘레 신축성 부재(26)는, 폭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후측 외장 톱 시트(25)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전측 외장 톱 시트(24)의 후단 가장자리(24R)는 가랑이 아래 영역(S3) 내에 위치하고,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보다도 전측에 위치한다. 후측 외장 톱 시트(25)의 전단 가장자리(25F)는 가랑이 아래 영역(S3) 내에 위치하고,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보다도 후측에 위치한다.
후측 외장 톱 시트(25)와 외장 백 시트(22)의 사이에는, 신축성 부재로서의 다리 둘레 신축성 부재(27)가 배치되어 있다. 다리 둘레 신축성 부재(27)는, 다리 둘레 신축성 부재(27)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 1 영역(27A)과, 제 1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영역(27B)을 갖는다.
흡수성 본체(10)는, 피부면측 시트 및 흡수체가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부(80)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압착부(80)는, 흡수체(13)와 피부면측 시트를 구성하는 본체 톱 시트(11)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다. 압착부(80)는, 흡수체(13)와 본체 톱 시트(11)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톱 시트(11)에 배출된 체액을, 본체 톱 시트(11)를 통해 흡수체(13)로 끌어들일 수 있다.
압착부(80)는, 배설구 압착부(81)와, 전측 압착부(82)와, 후측 압착부(83)를 갖는다. 배설구 압착부(81)와, 전측 압착부(82)와, 후측 압착부(83)는 전후 방향(L)으로 연속하고 있다. 압착부(80)는 평면도로 보아 환상(狀)이다. 도 5에, 배설구 압착부(81)의 전후 방향의 범위와, 전측 압착부(82)의 전후 방향의 범위와, 후측 압착부(83)의 전후 방향의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압착부는, 배설구 압착부(81)와 전측 압착부(82)가 전후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배설구 압착부(81)와 후측 압착부(83)가 전후 방향(L)으로 연속하고 있지 않아도 되며, 배설구 압착부(81), 전측 압착부(82) 및 후측 압착부(83) 중 어느 쪽이 복수의 분단된 압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압착부(80)는 평면도로 보아 환상이 아니어도 된다.
배설구 압착부(81)는,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배설구 대향부보다도 폭 방향의 양외측에 위치한다. 배설구 압착부(8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배설구 대향부는, 한 쌍의 배설구 압착부(81)에 의해 끼인 영역이다. 배설구 대향부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다리 둘레 개구부(32)의 내측 가장자리(32E)가 배치된 영역을 포함하고, 당해 내측 가장자리(32E)로부터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의 배설구 대향부는,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사이드 접합부(29)보다도 전후 방향의 내측 쪽에 위치한다.
배설구 압착부(81)는, 폭 방향(W)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제 1 볼록부(811)와, 제 1 볼록부(811)의 전방에 위치하고,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제 2 볼록부(812)와, 제 1 볼록부(811)의 후방에 위치하고, 폭 방향(W)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제 3 볼록부(813)를 갖는다. 제 2 볼록부(812)와, 제 1 볼록부(811)와, 제 3 볼록부(813)는 전후 방향으로 이어져 있다.
배설구 압착부(81)의 전후 방향(L)의 중심(81LC)은, 신장 상태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 영역(S3) 내에 위치하고, 또한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보다도 전측에 위치한다. 배설구 압착부(81)의 전후 방향(L)의 중심(81LC)은, 제 1 볼록부(811) 내에 위치한다. 제 1 볼록부(811)는, 제 1 볼록부(811)의 정점(頂点)(내측 가장자리)과 제 2 볼록부(812)의 정점의 중간점(814)부터, 제 1 볼록부(811)의 정점(내측 가장자리)과 제 3 볼록부(813)의 정점의 중간점(815)까지의 범위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설구 압착부(81)의 전후 방향(L)의 중심(81LC)이 제 1 볼록부(811)의 정점(내측 가장자리)과 일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 전후 방향(L)에 있어서 제 1 볼록부(811)가 배치된 범위 내에는, 다리 둘레 개구부(32)의 내측 가장자리(32E)가 배치되어 있다. 배설구 압착부(81)의 전후 방향의 중심(81LC)과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 간의 거리는, 10mm 이상 90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mm 이상 60mm 이하이다. 또, 흡수체(13)의 폭 방향의 길이가 80mm 이상 100mm 이하이고, 한 쌍의 제 1 볼록부의 간격은 35mm 이상 4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의 폭 방향의 길이는 90mm이며, 한 쌍의 제 1 볼록부 간의 거리는 40mm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거리는, 흡수성 물품의 신장 상태에서의 거리이다.
전측 압착부(82)는, 배설구 압착부(81)의 전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전측 압착부(821)와, 한 쌍의 제 1 전측 압착부(821)의 전단 가장자리로 이어지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전측 압착부(822)를 갖는다. 제 1 전측 압착부(821)의 후단 가장자리와 배설구 압착부(81)의 전단 가장자리는 이어져 있다. 제 1 전측 압착부(821)와 배설구 압착부(81)의 경계는,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 내에 위치한다.
후측 압착부(83)는, 배설구 압착부(81)의 후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후측 압착부(831)와, 한 쌍의 제 1 후측 압착부(831)의 후단 가장자리로 이어지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후측 압착부(832)를 갖는다. 제 1 후측 압착부(831)의 전단 가장자리와 배설구 압착부(81)의 후단 가장자리는 이어져 있다. 제 1 후측 압착부(831)와 배설구 압착부(81)의 경계는,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 내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전측 압착부(821) 및 제 1 후측 압착부(831)는, 전후 방향(L)을 따른 직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전후 방향(L)을 따른 직선과 제 1 전측 압착부(821) 등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예각측)가 45도 이하인 것으로 한다. 한편, 제 2 전측 압착부(822) 및 제 2 후측 압착부(832)는, 폭 방향(W)을 따른 직선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폭 방향(W)을 따른 직선과 제 2 전측 압착부(822) 등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예각측)가 45도 미만인 것으로 한다.
전측 압착부(82)의 폭 방향의 외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측 사이드 압착부(84)가 형성되어 있다. 후측 압착부(83)의 폭 방향의 외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후측 사이드 압착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전측 사이드 압착부(84)와 전측 압착부(82)는 폭 방향으로 이격하고 있다. 후측 사이드 압착부(85)와 후측 압착부(83)는 폭 방향으로 이격하고 있다. 전측 사이드 압착부(84)의 후단 가장자리는, 배설구 압착부(81)의 전단 가장자리보다도 전측에 위치한다. 후측 사이드 압착부(85)의 전단 가장자리는, 배설구 압착부(81)의 후단 가장자리보다도 후측에 위치한다.
후측 사이드 압착부(85)는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에 겹쳐져 있지 않다. 전측 사이드 압착부(84)는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에 겹쳐져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의 단위중량은 일정하지 않다. 흡수체(13)는, 단위중량이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전측 압착부(82)가 형성된 부분의 흡수체의 단위중량은, 배설구 대향부의 폭 방향의 중심에서의 흡수체의 단위중량보다도 낮다. 또, 배설구 대향부의 폭 방향의 중심에서의 흡수체의 단위중량은, 배설구 압착부(81)가 형성된 부분의 흡수체의 단위중량보다도 높다. 구체적으로는, 배설구 대향부의 폭 방향의 중심에서의 흡수체의 단위중량은 600g/㎡이고, 배설구 압착부(81)가 형성된 부분의 흡수체의 단위중량은 300g/㎡이다. 배설구 대향부의 폭 방향의 중심에서의 흡수체의 단위중량은, 배설구 압착부(81)가 형성된 부분의 흡수체의 단위중량의 2배이다. 또, 전측 압착부(82)가 형성된 부분의 흡수체의 단위중량은 150g/㎡이다. 또한, 흡수체는 단위중량이 일정해도 된다.
흡수성 본체(10)는 기립성의 방누 개더를 갖는다. 방누 개더(60)는 흡수성 본체(10)의 외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다. 방누 개더(60)는 흡수체(13)보다도 내방향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개더이다. 방누 개더(60)는, 본체 백 시트(14)와, 본체 백 시트(14) 사이에 배치된 방누 신축성 부재(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방누 개더(60)는, 방누 개더(60)보다도 외방향측에 위치하는 본체 톱 시트(11) 등의 이면측 부재에 접합되는 접합 부분(61)과, 방누 신축성 부재(15)가 배치되고, 이면측 부재에 접합되지 않으며, 방누 신축성 부재(15)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수축하는 수축부(62)를 갖는다. 방누 개더(60)에 있어서, 본체 백 시트(14)와 본체 톱 시트(11)가 접합된 접합 부분(61)에 사선을 표시하여 나타낸다. 접합 부분(61)은, 수축부(62)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접합 부분(61A)과, 수축부(62)보다도 전후 방향의 양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접합 부분(61B)을 갖는다.
이면측 부재는, 방누 개더(60)보다도 외방향측에 위치하는 부재이면 되고, 예를 들면, 본체 톱 시트(11), 본체 필름(12) 및 본체 백 시트(14)를 예시할 수 있다. 방누 개더(60)는, 착용 시에는 접합 부분(61)을 기단부로 하여 일어서고(立上), 수축부(62)가 정점부로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한다. 즉, 접합 부분은 방누 개더의 일어섬의 기단부가 된다. 본체 백 시트(14)가 발수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누 개더에 의해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경혈 등이 옆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수축부(62)는, 전측의 제 2 접합 부분(61B)과 후측의 제 2 접합 부분(61 B)의 사이에 위치한다. 수축부(62)는, 방누 신축성 부재(15)에 의해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수축된 부분이며,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은 상태에서 방누 신축성 부재(15)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개념이다.
압착부(80)는 수축부(62)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따라서, 압착부의 전단 가장자리는 수축부의 전단 가장자리보다도 전방에 위치한다. 또, 압착부의 후단 가장자리는 수축부의 후단 가장자리보다도 후방에 위치한다. 또, 압착부(80)는 방누 신축성 부재(15)의 전단 가장자리보다도 전방에 위치한다. 압착부(80)는 방누 신축성 부재(15)의 후단 가장자리보다도 전방에 위치한다.
신장 상태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신장 상태란, 허리 둘레 신축성 부재, 다리 둘레 신축성 부재 및 방누 신축성 부재를 신장시킨 상태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성 물품을 자연 상태로부터 신축성 부재에 의한 주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까지 연신한 상태이다.
흡수성 물품이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어, 그 상태에서 (20-2∼20+2)℃, 상대습도 (60-5∼60+5)%RH의 분위기하에서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이어서, 사이드 접합 부분을 콜드 스프레이 등으로 깨끗이 분리시켜 흡수성 물품을 전개한다. 이어서, 신장 상태까지 흡수성 물품을 잡아당겨 판에 고정하고, 측정 대상 부위를 따르게 하여 자로 측정한다.
또, 흡수체의 단위중량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단위중량을 측정하는 부분을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잘라내고, 본체 톱 시트 및 본체 필름 등, 흡수체 이외의 부분을 제거하여 흡수체의 중량을 측정한다. 흡수체의 중량과 단위중량을 측정하는 부분의 면적에 의거하여 단위중량을 산출한다.
(2) 팬티형 패드의 장착 상태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팬티형 패드의 장착 상태를 설명한다. 도 6(a), (b)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팬티형 패드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는, 도 1의 A-A 단면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1의 B-B 단면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6(c)는, 비교예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변형 양태를 나타낸다. 도 6(c)는, 도 1의 A-A 단면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장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양다리에 의해 팬티형 패드가 끼이면, 팬티형 패드에는,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힘이 걸린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설구 압착부(81)의 전후 방향의 중심을 지나는 단면에 있어서는, 배설구 압착부(81)를 기점으로, 배설구 압착부(81)보다도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설구 대향부가 내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한다. 따라서, 배설구 대향부가 질구에 피트된다. 흡수체의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 본체 백 시트(14)와 본체 필름(12)이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체 필름(12) 및 흡수체(13)는, 섀시(20) 및 본체 백 시트(14)로부터 이격하여, 내방향측으로 융기한다.
또,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사이드 압착부(85) 및 후측 압착부(83)를 지나는 단면에 있어서는, 후측 사이드 압착부(85)에 의해 후측 압착부(83)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후측 사이드 압착부(85)가 설치된 부분이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도시하지 않지만, 전측 사이드 압착부(84) 및 전측 압착부(82)를 지나는 단면에 있어서도, 전측 사이드 압착부(84)에 의해 전측 압착부(82)보다도 폭 방향의 외측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측 사이드 압착부(84)가 설치된 부분이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전측 압착부(82)의 폭 방향의 양외측 및 후측 압착부(83)의 폭 방향의 양외측의 4개소에 평탄한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압착부(8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폭 방향의 내측으로 압압(押壓)되어, 압착부(8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전체가 내방향측으로 융기한다.
또, 도 6(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방누 개더(60)의 수축부(62)에 의해, 본체 백 시트(14)만이 내방향측으로 일어서 있고, 흡수성 본체의 측단 가장자리가 내방향측으로 일어서 있지 않다.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외측 가장자리의 위치와 배설구 압착부(81)의 위치가 대략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착용자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힘이 흡수성 본체(10)에 걸렸을 때에, 흡수성 본체(10)의 외측 가장자리를 통해 폭 방향을 따른 힘이 배설구 압착부(81)에 걸린다. 배설구 압착부(81)는 흡수성 본체(10)의 두께가 오목하게 패인 부분이다. 따라서, 폭 방향을 따른 힘이 배설구 압착부(81)에 걸리면, 배설구 압착부(81)보다도 폭 방향의 내측에는, 폭 방향의 내측 또한 내방향(T1)을 향하는 힘이 걸린다. 따라서, 배설구 압착부(81)에 끼인 배설구 대향부가 내방향측으로 융기한다.
이것에 대해, 도 6(c)는, 비교예에 관련된 팬티형 패드이다. 비교예에 관련된 팬티형 패드는, 수축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압착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고, 수축부에 의해 흡수성 본체의 측단 가장자리가 내방향으로 변형하고 있다. 도 6(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방누 개더의 수축부에 의해, 본체 백 시트뿐만 아니라, 흡수성 본체의 외측 가장자리가 내방향측으로 일어서 있다. 흡수성 본체의 외측 가장자리의 위치가, 배설구 압착부(81)의 위치보다도 내방향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착용자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힘이 흡수성 본체에 걸렸을 때에, 흡수성 본체의 외측 가장자리를 통해 폭 방향의 내측 또한 외방향(T2)으로 향하는 힘이 배설구 압착부(81)에 걸린다. 폭 방향의 내측 또한 외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배설구 압착부(81)에 걸리면, 배설구 압착부(81)보다도 폭 방향의 내측에는, 더욱 폭 방향의 내측 또한 외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걸린다. 따라서, 배설구 압착부(81)에 끼인 배설구 대향부가 외방향측으로 융기한다.
(3) 작용·효과
팬티형 패드이므로, 착용자는, 속옷에 장착하는 일 없이 팬티형 패드를 그대로 착용한다. 팬티형 패드는, 허리 둘레 개구와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 및 허리를 삽입하면, 어떠한 착용자라도 전후 방향의 중심 위치는 신체에 대하여 거의 일정한 위치가 된다.
출원인이 여러 가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질구는, 가랑이 아래 영역 내에 있어서 팬티형 착용 물품(속옷, 팬티형 패드)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전측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섀시(20)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사이드 접합부(29)의 사이에는, 배설구 압착부(81)의 전후 방향의 중심(81LC)이 위치한다. 배설구 압착부(81)의 전후 방향의 중심(81LC)에 의해 끼인 영역은, 팬티형 패드가 끼였을 때에, 배설구 압착부(81)를 기점으로 폭 방향의 내측으로 변형하여, 내방향측으로 융기한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배설구 압착부(81)의 전후 방향의 중심(81LC)이 질구와 대향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배설구 압착부(81)를 기점으로 융기한 부분을 질구에 대하여 댈 수 있다. 착용자의 질구에 대하여 흡수체(13)의 불룩해진 부분이 피트되어,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팬티형 패드는 팬티형이므로, 흡수체(13)의 전후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고, 어떠한 착용자에 있어서도, 질구에 대하여 흡수체(13)의 불룩해진 부분을 댈 수 있어 누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배설구 대향부의 폭 방향의 중심에서의 흡수체(13)의 단위중량은, 배설구 압착부(81)가 형성된 부분의 흡수체(13)의 단위중량보다도 높다. 따라서, 배설구 대향부의 폭 방향의 중심은, 변형 전의 상태에서 내방향으로 불룩해져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다리에 의해 끼였을 때에, 착용자의 질구에 대하여 배설구 대향부의 폭 방향의 중심이 피트되기 쉽다. 또, 배설구 대향부의 흡수 능력이 높아져, 경혈이 퍼지기 어렵다. 따라서, 다량의 경혈을 흡수한 경우에 있어서도 누설이 발생하기 어렵다. 배설구 압착부(81)가 형성된 부분의 흡수체(13)의 단위중량이 비교적 낮다. 예를 들면, 배설구 압착부(81)가 형성된 부분의 흡수체(13)의 단위중량이 너무 높으면, 배설구 압착부(81)가 형성된 부분이 딱딱해져, 배설구 압착부(81)가 다리에 닿았을 때에 위화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배설구 압착부(81)가 형성된 부분의 흡수체의 단위중량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배설구 압착부(81)가 다리에 닿았을 때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배설구 압착부(81)의 전후 방향의 중심(81LC)이 제 1 볼록부(811)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리에 의해 흡수체(13)가 끼였을 때에, 흡수체(13)가 제 1 볼록부(811)를 기점으로 변형하기 쉽다. 따라서, 좌우의 배설구 압착부(81)의 제 1 볼록부(811)에 끼인 부분이 내방향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변형하기 쉬워, 착용자의 질구에 피트된다.
또, 다리 둘레 개구부(32)의 내측 가장자리(32E)는, 착용자의 다리가 가장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다리 둘레 개구부(32)의 내측 가장자리(32E)의 전후 방향의 위치와 제 1 볼록부(811)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겹쳐져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에 의해 끼인 힘이 배설구 압착부(81)의 제 1 볼록부(811)에 걸리기 쉬워져, 보다 확실히 착용자의 질구에 닿는 불룩함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방누 개더(60)에 의해, 팬티형 패드가 전후 방향으로 너무 수축하면,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누 신축성 부재(15)에 의해 흡수성 본체(10)의 외측 가장자리가 내방향(T1)으로 돌출하고, 흡수성 본체(10)의 폭 방향 중앙(방누 신축성 부재보다도 폭 방향의 내측)의 영역이 외방향(T2)으로 돌출하도록 변형한다. 즉, 팬티형 패드(1)는, 폭 방향을 따른 단면도로 보아(斷面視) 외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한다. 당해 변형 상태에서는, 배설구 대향부가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멀어져 피트성이 저하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팬티형 패드의 압착부(80)는, 방누 개더(60)의 수축부(62)보다도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압착부(80)가 형성된 영역은, 압착부(8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비교하여 강성이 높다. 그 때문에, 수축부(62)에 의해 전후 방향의 내측으로 수축하는 힘이 걸려도, 압착부(80)의 강성에 의해 흡수체(13)의 형상을 유지한다. 따라서, 팬티형 패드가 외방향(T2)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흡수성 본체(10)의 외측 가장자리는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고,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 중앙(방누 신축성 부재보다도 폭 방향의 내측)의 영역이 배설구 압착부(81)를 기점으로 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변형한다. 따라서, 팬티형 패드(1)는, 폭 방향을 따른 단면도로 보아 내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한다.
또, 착용자의 질구는, 팬티형 착용 물품(속옷, 팬티형 패드)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전측으로서, 팬티형 착용 물품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착용자의 질구 간의 거리가 40mm 이상 60mm 이하인 경우가 많다. 착용자의 질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설구 압착부(81)의 전후 방향의 중심을 배치함으로써, 착용자의 양다리에 의해 팬티형 패드가 끼였을 때에, 팬티형 패드가 배설구 압착부(81)를 기점으로 폭 방향의 내측으로 변형하여, 한 쌍의 배설구 압착부(81)에 끼인 부분이 내방향측으로 불룩해진다. 따라서, 착용자의 질구에 대하여 흡수체의 불룩해진 부분이 피트되어,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흡수체의 폭 방향의 길이가 80mm 이상 100mm 이하이고, 한 쌍의 제 1 볼록부(811)의 간격은 35mm 이상 45mm 이하이다. 속옷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팬티형 패드는, 속옷의 치수(크로치부의 폭 방향의 길이)에 맞출 필요가 있어, 일반적으로, 흡수체의 폭 방향의 길이가 75mm 이하이다. 속옷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팬티형 패드는, 흡수체(13)의 폭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경혈의 옆으로의 누설이 발생하거나, 배설구 대향부를 내방향측으로 충분히 불룩해진 상태로 변형할 수 없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팬티형 패드(1)는, 속옷의 치수에 맞출 필요가 없어, 충분히 흡수체(13)의 폭을 확보하여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한 쌍의 제 1 볼록부(811) 간의 거리가 35mm 이상 45mm 이하이다. 한 쌍의 제 1 볼록부(811) 간의 거리를 넓게 확보함으로써, 내방향측으로 보다 높게 융기하여, 보다 피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배설구 압착부(81)의 전측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전측 압착부(822)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전측 압착부(822)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질구와 대향하는 부분(배설구 대향부)보다도 전측에 있어서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힘이 걸렸을 때에 의도하지 않은 변형(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배설구 대향부보다도 전측의 단위중량이 너무 높으면, 위화감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전측 압착부(82)가 형성된 부분의 흡수체의 단위중량은, 배설구 대향부의 폭 방향의 중심에서의 흡수체의 단위중량보다도 낮아,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전측 압착부(82)의 폭 방향의 외측의 강성 및 후측 압착부(83)의 폭 방향의 외측의 강성이 낮은 경우는, 팬티형 패드(1)를 장착했을 때에,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의 압축력에 의해 전측 압착부(82)의 폭 방향의 외측 및 후측 압착부(83)의 폭 방향의 외측이 내방향측으로 융기한다. 이 상태에서, 팬티형 패드에 대하여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압축력이 더욱 작용하면,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힘에 의해 전측 압착부에 끼인 부분 및 후측 압착부에 끼인 부분이 외방향측으로 변형하기 쉽다.
그러나, 전측 사이드 압착부(84) 및 후측 사이드 압착부(85)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전측 사이드 압착부(84) 및 후측 사이드 압착부(85)가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여, 전측 압착부(82)의 폭 방향의 외측 및 후측 압착부(83)의 폭 방향의 외측이 내방향측으로 솟아오르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전측 압착부(82)의 폭 방향의 외측 및 후측 압착부(83)의 폭 방향의 외측은, 전측 압착부(82) 및 후측 압착부(83)와 동등한 위치(상하 방향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팬티형 패드(1)에 대하여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압축력이 더욱 작용하면, 전측 압착부(82)의 폭 방향의 외측 및 후측 압착부(83)의 폭 방향의 외측을 통해 흡수체(13) 하부에 대하여 상향의 힘을 걸 수 있어, 흡수체의 폭 방향의 중심이 내방향측으로 융기한다.
전측 사이드 압착부(84) 및 후측 사이드 압착부(85)는,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에 겹쳐져 있지 않다. 팬티형 패드(1)는,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을 기점으로 접혀진 상태로 사이드 접합부(29)가 형성되어 있고,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을 기점으로 접혀진 상태로 유통된다. 따라서,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에는 접힌 자국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전측 사이드 압착부(84) 및 후측 사이드 압착부(85)가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에 겹쳐져 있으면, 전측 사이드 압착부(84) 및 후측 사이드 압착부(85)에 의한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저감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전측 사이드 압착부(84) 및 후측 사이드 압착부(85)는, 패드(1)의 전후 방향의 중심(1LC)에 겹쳐져 있지 않기 때문에, 전측 사이드 압착부(84) 및 후측 사이드 압착부(85)에 의해 평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체 필름(12)과 본체 백 시트(14)의 접합 영역은, 흡수체(13)의 폭 방향 중앙에 설치되지 않고, 흡수체(13)의 폭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 필름(12) 및 본체 필름(12)보다도 내방향(T1)에 위치하는 흡수체(13)는, 흡수체(13)의 폭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본체 백 시트(14) 및 본체 백 시트(14)보다도 외방향(T2)에 위치하는 섀시(20)로부터 떨어져 변형 가능해진다. 따라서, 흡수체(13)의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 흡수체가 보다 자유롭게 변형 가능해져, 흡수체가 내방향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변형하기 쉽다. 따라서, 피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팬티형 패드는, 착용자가 직접(속옷을 개재하지 않고) 장착한다. 따라서, 장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배설구 대향부의 흡수체의 단위중량은 700g/㎡ 이하이다. 배설구 대향부의 흡수체의 칭량이 너무 높으면, 배설구 압착부(81)가 너무 딱딱해져 장착감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배설구 대향부의 흡수체의 단위중량은 700g/㎡ 이하임으로써, 배설구 압착부(81)가 너무 딱딱해지지 않아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배설구 대향부보다도 전방의 흡수 코어의 두께, 및 배설구 대향부보다도 후방의 흡수 코어의 두께는 3.0mm 이하이다. 배설구 대향부보다도 전방 및 후방의 흡수 코어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장착 시에 땀이 차거나 위화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배설구 대향부보다도 전방의 흡수 코어의 두께, 및 배설구 대향부보다도 후방의 흡수 코어의 두께의 최대치는 2.8mm이다. 한편, 배설구 대향부의 흡수 코어의 두께는 8.0mm 이상이다. 배설구 대향부의 흡수 코어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질구에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섀시를 구성하는 외장 톱 시트는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다. 외장 톱 시트는, 착용자의 허리 둘레의 전체 주위를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팬티형 패드의 섀시 전체가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피트되어, 팬티형 패드가 신체로부터 떨어지거나 느슨해지거나 하는 일이 없고, 사용자는 속옷과 같은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4) 그 밖의 실시형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진다.
팬티형 패드는, 흡수체와 표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시트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 팬티형 패드는, 복수의 표면 시트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 배설구 압착부의 전후 방향의 중심이,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의 볼록부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의 볼록부 내에 배설구 압착부의 전후 방향의 중심이 위치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다리에 의해 끼였을 때에, 흡수체가 볼록부를 기점으로 변형하여, 좌우의 배설구 압착부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 끼인 부분을 내방향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변형시키기 쉽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4-191867호(2014년 9월 19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어떠한 착용자라도 흡수체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팬티형 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1: 팬티형 패드 1LC: 패드의 전후 방향의 중심
10: 흡수성 본체 11:본체 톱 시트
12: 본체 필름 13: 흡수체
14: 본체 백 시트 15: 방누 신축성 부재
20: 섀시 21: 외장 톱 시트
22: 외장 백 시트 24: 전측 외장 톱 시트
25: 후측 외장 톱 시트 26: 허리 둘레 신축성 부재
27: 다리 둘레 신축성 부재 29: 사이드 접합부
31: 허리 둘레 개구부 32: 다리 둘레 개구부
41: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 42: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
60: 방누 개더 61: 접합 부분
62: 수축부 80: 압착부
81: 배설구 압착부 81LC: 배설구 압착부의 전후 방향의 중심
82: 전측 압착부 83: 후측 압착부
84: 전측 사이드 압착부 85: 후측 사이드 압착부
A1: 비접합 영역 S1: 앞몸통 둘레 영역
S2: 뒷몸통 둘레 영역 S3: 가랑이 아래 영역
L: 전후 방향 T: 두께 방향
W: 폭 방향

Claims (9)

  1. 착용자의 신체 전측(前側)과 신체 후측(後側)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 착용자를 향하는 내(內)방향, 및 상기 내방향과 반대측을 향하는 외(外)방향을 갖고,
    신체 전측에 배치되는 앞몸통 둘레 영역과, 신체 후측에 배치되는 뒷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배치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구비하며,
    피부면 시트 및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와,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는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와,
    상기 앞웨이스트 벨트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뒷웨이스트 벨트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가 접합된 사이드 접합부와,
    상기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와,
    상기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배치되는 허리 둘레 개구부와,
    상기 피부면 시트 및 상기 흡수체가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압착부를 갖는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압착부는,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배설구 대향부보다도 폭 방향의 양외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배설구 압착부를 갖고,
    상기 배설구 압착부의 전후 방향의 중심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 내에 있어 상기 패드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전측에 위치하고,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의 가장 상기 폭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패드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전측이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설구 압착부가 배치된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기립성의 방누(防漏) 개더를 갖고 있으며,
    상기 방누 개더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방누 신축성 부재에 의해 수축하는 수축부와,
    상기 수축부보다도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방누 개더보다도 외방향측에 위치하는 이면측 부재에 접합된 제 1 접합 부분과,
    상기 수축부보다도 상기 전후 방향의 양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면측 부재에 접합된 제 2 접합 부분을 갖고,
    상기 압착부의 전단 가장자리는, 상기 수축부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팬티형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구 대향부의 폭 방향의 중심에서의 흡수체의 단위중량은, 상기 배설구 압착부가 형성된 부분의 흡수체의 단위중량보다도 높은, 팬티형 패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구 압착부는, 상기 폭 방향의 외측 또는 상기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배설구 압착부의 전후 방향의 중심은 상기 볼록부 내에 위치하는, 팬티형 패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의 상기 가장 상기 폭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배치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팬티형 패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배설구 압착부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상기 패드의 전후 방향의 중심의 거리는 40mm 이상 60mm 이하인, 팬티형 패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의 길이는 80mm 이상 100mm 이하이고,
    상기 한 쌍의 배설구 압착부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서의 폭 방향의 간격은 35mm 이상 45mm 이하인, 팬티형 패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보다도 상기 외방향측에 배치되는 본체 필름과,
    상기 본체 필름보다도 상기 외방향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필름과 접합되어 있는 본체 백 시트를 갖고,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의 가장 상기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패드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전측이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설구 압착부가 배치된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 필름과 상기 본체 백 시트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이,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비접합 영역은, 상기 본체 백 시트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전측에 치우쳐(偏倚) 있는, 팬티형 패드.
  8. 삭제
  9. 삭제
KR1020177010117A 2014-09-19 2014-10-31 팬티형 패드 KR102354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1867 2014-09-19
JP2014191867A JP5898285B1 (ja) 2014-09-19 2014-09-19 ショーツ型ナプキン
PCT/JP2014/079069 WO2016042680A1 (ja) 2014-09-19 2014-10-31 ショーツ型ナプキ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717A KR20170063717A (ko) 2017-06-08
KR102354096B1 true KR102354096B1 (ko) 2022-01-24

Family

ID=5214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117A KR102354096B1 (ko) 2014-09-19 2014-10-31 팬티형 패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98285B1 (ko)
KR (1) KR102354096B1 (ko)
CN (1) CN104257458B (ko)
TW (1) TWI556801B (ko)
WO (1) WO2016042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1729A (zh) * 2019-10-30 2021-05-0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短裤型吸收性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775A (ja) * 2003-02-04 2004-08-26 Kao Corp パンツ型生理用ナプキン
JP2008289771A (ja) * 2007-05-28 2008-12-04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10148708A (ja) * 2008-12-25 2010-07-08 Uni Charm Corp 薄型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2054B (en) * 1993-08-31 1997-05-07 Kimberly Clark Co Disposable panty
JP3747967B2 (ja) * 1996-11-29 2006-02-22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生理用ショーツ
JP3874499B2 (ja) * 1997-08-29 2007-01-31 花王株式会社 ショーツ型ナプキン
JP4756588B2 (ja) * 2005-11-25 2011-08-2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722168B2 (ja) 2008-08-07 2011-07-13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5727246B2 (ja) * 2011-01-31 2015-06-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17686B2 (ja) * 2012-04-02 2015-05-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30876B2 (ja) * 2012-07-19 2016-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775A (ja) * 2003-02-04 2004-08-26 Kao Corp パンツ型生理用ナプキン
JP2008289771A (ja) * 2007-05-28 2008-12-04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10148708A (ja) * 2008-12-25 2010-07-08 Uni Charm Corp 薄型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1797A (en) 2016-04-01
JP5898285B1 (ja) 2016-04-06
CN104257458A (zh) 2015-01-07
TWI556801B (zh) 2016-11-11
KR20170063717A (ko) 2017-06-08
WO2016042680A1 (ja) 2016-03-24
CN104257458B (zh) 2016-11-30
JP2016059713A (ja) 201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6378B (zh) 吸收性物品
KR102560297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5280276B2 (ja) 使い捨ておむつ
EP1269953A2 (en) Sanitary napkin
JP5789423B2 (ja) 吸収性物品
JP6456137B2 (ja) 吸収性物品
JP6034452B1 (ja) 吸収性物品
KR20140109453A (ko) 일회용 기저귀
JP6697010B2 (ja) 吸収性物品
KR102411325B1 (ko) 흡수성 물품
JP5916345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17118984A (ja) 吸収性物品
KR102354096B1 (ko) 팬티형 패드
JP6510329B2 (ja) ショーツ型ナプキン
JP6018168B2 (ja) 吸収性物品
WO2016104341A1 (ja) 吸収性物品
JP5955942B2 (ja) 吸収性物品
CN215503783U (zh) 轻失禁垫
KR102674151B1 (ko) 흡수성 물품
JP2019188104A (ja) 吸収性物品
JP6359221B1 (ja) 吸収性物品
JP2018000248A (ja) 吸収性物品
JP5955941B2 (ja) ショーツ型ナプキン
JP6456136B2 (ja) 吸収性物品
JP6520809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