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235A -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 - Google Patents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235A
KR20190038235A KR1020170175356A KR20170175356A KR20190038235A KR 20190038235 A KR20190038235 A KR 20190038235A KR 1020170175356 A KR1020170175356 A KR 1020170175356A KR 20170175356 A KR20170175356 A KR 20170175356A KR 20190038235 A KR20190038235 A KR 20190038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ede
knitted fabric
polyurethane
knitted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649B1 (ko
Inventor
허유랑
박서현
송권빈
송은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190038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ultra-fine two-component fibres, e.g. island/sea, or ultra-fine one component fibres (< 1 deni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9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knitt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6Vehicles, transportation
    • D06N2211/263Cars

Abstract

본 발명은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장재용 부품에 사용되는 스웨이드에 있어서, 상기 스웨이드를 제조할 때 별도의 유성 폴리우레탄 용액에 함침 처리 없이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만으로 고급형 스웨이드와 동등 수준의 감성 및 표면 물성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편물 스웨이드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Method for manufacturing knitted suede and knitted suede manufactured therefrom}
본 발명은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장재용 부품에 사용되는 스웨이드에 있어서, 상기 스웨이드를 제조할 때 별도의 유성 폴리우레탄 용액에 함침 처리 없이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만으로 고급형 스웨이드와 동등 수준의 감성 및 표면 물성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편물 스웨이드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장재용 부품의 표면을 형성하는 표피재는 탑승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고, 지속적으로 신체적 접촉이 있는 부분이므로 디자인성 측면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표피재는 종래부터 고급스러운 감성을 위해 스웨이드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일 예로, 부직포를 이용하여 스웨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스웨이드는 고급형 스웨이드로써, 원재료 값이 비싸 고급 차종에만 한정적으로 이용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경제형 스웨이드 제조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619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직물로 제직 후 천연 가죽의 스웨이드와 같은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 있는 느낌을 부여하기 위해 유성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용액에 함침해왔다.
상기 유성 폴리우레탄 용액은 유기 용제로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를 사용하는데, 상기 유성 폴리우레탄 용액에 제직한 직물을 함침하고, 응고 후 수세 및 건조 공정을 거쳐 디메틸포름아마이드를 제거하여도 스웨이드 내에 디메틸포름아마이드가 잔류되어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아울러, 표면 물성 및 외관을 위해 상기 스웨이드를 점도가 25℃에서 400-500cps인 표면처리제로 추가로 표면코팅을 해야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5-0061936호 (공개일: 2005.06.2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편물을 별도의 유성 폴리우레탄 용액에 함침 처리 없이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만으로 고급형 스웨이드와 동등 수준의 감성 및 표면 물성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편물 스웨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용 부품에 사용되는 스웨이드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면서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 등의 감성이 우수한 편물 스웨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커버링사를 형성하는 단계;
(b)상기 커버링사를 편직(kniting)하여 편물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편물을 알칼리 용액에 넣어 해도형 극세사의 도 성분만 남도록 하는 감량 단계;
(d)상기 감량된 (c)단계의 편물을 사포로 1차 버핑하는 단계;
(e)상기 (d)단계의 편물을 염색하는 단계;
(f)상기 (e)단계의 편물을 외관 정리를 위해 사포로 2차 버핑하는 단계;
(g)상기 (f)단계의 편물을 점도가 25℃에서 100-250cps인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은 별도의 유성 폴리우레탄 용액에 함침 처리 없이 수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만으로 함침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디메틸포름아마이드가 잔류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도 고급형 스웨이드와 동등 수준의 감성 및 표면 물성을 모두 구현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편물 스웨이드는 자동차 내장재용 부품에 사용되는 스웨이드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면서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 등의 감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원단의 제작 방법은 직물과 편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물은 2개의 실이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얽혀 원단을 이루는 것으로, 세로 방향의 실 즉 경사와, 가로 방향의 실 즉, 위사가 서로 얽히는 것이다. 상기 직물은 제조 방법에 따라서 평직, 능직, 주자직으로 나뉠 수 있으나, 직물은 조직이 견고하나 신축성이 없어 자동차 내장재용 부품에 부착 시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편물은 직물과 달리 한 개의 실로 고리를 연속시켜 짠 것으로 신축성이 좋고, 제조 방법에 따라서 환편과 경편으로 구분 될 수 있다.
상기 환편은 위사 방향으로 실이 급사되어 원단을 이루는 것이고, 경편은 경사 방향으로 실이 급사되어 원단을 이루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커버링사를 형성하는 단계;
(b)상기 커버링사를 편직(kniting)하여 편물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편물을 알칼리 용액에 넣어 해도형 극세사의 도 성분만 남도록 하는 감량 단계;
(d)상기 감량된 (c)단계의 편물을 사포로 1차 버핑하는 단계;
(e)상기 (d)단계의 편물을 염색하는 단계;
(f)상기 (e)단계의 편물을 외관 정리를 위해 사포로 2차 버핑하는 단계;
(g)상기 (f)단계의 편물을 점도가 25℃에서 100-250cps인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커버링사 형성 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a)단계의 커버링사는 심사; 및 상기 심사를 감싸는 해도형 극세사로 이루어진 사(絲)로 정의한다.
상기 심사는 폴리에스테르계 고수축사로 단사 섬도(C)가 1-5데니아, 또는 1-3데니아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탄력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편물로 제직 후 버핑 공정 등의 후가공에서 공정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감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의 데니아일 수 있다.
상기 해도형 극세사는 다른 말로, 분할형 극세사라고도 하며, 즉 알칼리에 대해 용해 특성이 현저하게 다른 해(海) 성분과 도(島) 성분인 2종 이상의 수지의 조합체를 배치 방사하여 얻어지는 해도형 복합 섬유를 알칼리 용액에 넣어 해 성분이 용출되고 도 성분만을 남김으로써 필라멘트의 극세화를 달성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해도형 극세사의 구체적인 일 예로, 해 성분이 이소프탈레이트 및 폴리알킬렌글리콜이 공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고, 도 성분이 나일론 6인 2종 이상의 수지의 조합체를 배치 방사하여 얻어지는 해도형 복합 섬유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해도형 극세사의 다른 일 예로, 해 성분이 이소프탈레이트 및 폴리알킬렌글리콜이 공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고, 도 성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2종 이상의 수지의 조합체를 배치 방사하여 얻어지는 해도형 복합 섬유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해도형 극세사의 또 다른 일 예로, 해 성분이 이소프탈레이트 및 폴리알킬렌글리콜이 공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고, 도 성분이 폴리에틸렌인 2종 이상의 수지의 조합체를 배치 방사하여 얻어지는 해도형 복합 섬유일 수 있다.
상기에서 서술한 해도형 극세사의 종류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이용되는 해도형 극세사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해도형 극세사의 감량 후 단사 섬도는 0.01-0.5데니아, 또는 0.01-0.3데니아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원하는 감촉을 확보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꼬임이 필요하여 경제적이지 못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버핑 가공이 용이하지 않고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을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데니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링사는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 식 1-
3≤ [(A/100) X (B)]/[C] ≤80
여기서, A는 상기 심사 1미터를 감싸는 해도형 극세사의 꼬임 수이고, B는 해도형 극세사의 감량 후 필라멘트의 수이고, C는 상기 심사의 단사 섬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 1의 조건을 만족하는 커버링사로 한정한 이유는 상기 식 1의 조건을 충족하는 심사 및 상기 심사를 감싸는 해도형 극세사로 이루어진 커버링사를 이용하면 자동차 내장재용 부품에 사용되는 스웨이드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면서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 등의 감성이 우수한 스웨이드를 형성할 수 있고, 특히 상기 A, B 및 C가 상기 물성 및 감성을 결정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상기 식 1의 값은 3-80, 또는 10-8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 등의 감성이 저하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자동차 내장재용 부품에 사용되는 스웨이드로서의 요구되는 신율 및 강도를 만족할 수 없어 작업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의 값을 만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사를 감싸는 해도형 극세사의 꼬임 수(A)는 심사 1미터 당 300-500회, 또는 350-500회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자동차 내장재용 부품에 사용되는 스웨이드로서 요구되는 신율 및 강도를 만족시키지 못해 작업성이 좋지 못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꼬임 수(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해도형 극세사의 감량 후 필라멘트의 수(B)는 5-16분할사, 또는 8-16분할사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자동차 내장재용 부품에 사용되는 스웨이드로서 요구되는 신율 및 강도를 만족시키지 못해 작업성이 좋지 못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필라멘트 수(B)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a)단계는 상기 심사 및 상기 심사를 감싸는 해도형 극세사를 인터레이스에 공급하여 1-5kg/cm2, 또는 1.5-4kg/cm2의 공기압으로 공기 교락하여 커버링사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해도형 극세사의 꼬임 수(A)가 너무 적어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해도형 극세사의 꼬임 수(A)가 너무 많아 신율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의 공기압으로 공기 교락할 수 있다.
(b)편물 형성 단계
상기 (b)단계는 (a)단계를 통해 제조된 커버링사를 편직하여 편물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편물은 위사 방향으로 실이 급사되어 제조된 환편, 또는 경사 방향으로 실이 급사되어 제조된 경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b)단계의 편물은 중량 250-290g/yd, 후도 0.2-0.8㎜일 수 있다. 상기 편물의 중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성형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주름이 많아지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너무 무거워 신율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도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강도가 너무 약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부품 성형 시 작업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 내의 후도일 수 있다.
(c)알칼리 감량 단계
상기 (c)단계는 편물을 알칼리 용액에 넣어 해도형 극세사의 해 성분이 용출되어 도 성분의 필라멘트만 남기는 단계로, 상기 알칼리 용액으로 농도가 0.5-3%, 또는 0.5-2%의 액상 가성소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감량이 적절하게 되지 못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과도하게 감량되어 전체적인 품질의 저하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미세한 스웨이드 표면이 생성되도록 감량 시 처리 조건은 85-95℃에서, 15-40분 정도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감량율은 15-35%, 또는 20-30%일 수 있다. 감량율이란 (감량 전 편물의 중량-감량 후 편물의 중량) X 100/(감량 전 편물의 중량)으로 도출되는 값으로, 감량율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감량에 따른 해도형 극세사의 극세화 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고, 상기 범위를 초과한 경우 지나친 감량에 따른 형태안정성 저하로 인하여 외관 불량 및 스웨이드의 강도 저하 등을 초래하므로 상기 범위 이내의 감량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편물의 감량 후 상기 커버링사 내 심사와 해도형 극세사의 중량비는 15:85-30:70일 수 있다. 상기 심사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상대적으로 해도형 극세사의 중량이 증가하여 감성은 좋을 수 있으나, 자동차 내장재용 부품에 사용되는 스웨이드로서의 요구되는 신율 및 강도를 만족시키지 못해 작업성이 좋지 못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해도형 극세사의 중량이 감소하여 감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d)1차 버핑 단계
상기 (d)단계는 (c)단계를 통해 감량 처리된 편물을 사포로 1차 버핑(buffing)하여 이후의 염색작업 시 염료가 잘 침투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구체적 일 예로, 상기 (d)단계는 버핑 작업을 #100 사포로 시작하여 점점 고운 #180 사포로 끝내는 방법이거나 또는 #180 사포로 약하게 처리할 수 있다.
(e)편물 염색 단계
상기 (e)단계는 상기 (d)단계를 통해 1차 버핑된 편물을 원하는 색상의 스웨이드가 되도록 염색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e)단계는 100-150℃ 또는 110-140℃에서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염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미만일 경우 섬유에 분산 염료가 잘 침투되지 않아 염색 효율이 저하되고, 상기 온도를 초과할 경우 염료가 분해되어 염색 효율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온도에서 염색할 수 있다.
(f)2차 버핑 단계
상기 (f)단계는 염색된 편물을 사포로 2차 버핑(buffing)하여 스웨이드 외관을 정리하는 단계이다.
구체적 일 예로, 상기 (f)단계는 버핑 작업을 #150 사포로 시작하여 점점 고운 #320 사포로 끝내는 방법이거나 또는 #220 사포로 약하게 처리할 수 있다.
(g)편물 코팅 단계
상기 (g)단계는 (f)단계를 통해 2차 버핑된 편물을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여 편물 내로 2액형 코팅 용액이 함침되도록 함으로써, 편물의 우수한 감성, 표면물성 강화 및 외관정리를 구현하는 단계이다.
상기 2액형 코팅 용액은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경화제 10-25중량부 및 첨가제 0.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수 분산된 폴리우레탄 수지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아세탈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티오에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가수분해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할 수 있다.
구체적 일 예로,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내의 폴리우레탄 함량은 20-35% 또는 20-3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감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신율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의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보디이미드계, 아지리딘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5중량부, 또는 10-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경화 반응 시간이 길어지거나 경화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미반응 경화제가 불순물로 남아 사용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광안정제, 분산제, 레벨링제, 소포제 및 소광제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2액형 코팅 용액은 점도가 25℃에서 100-250cps, 또는 100-200cps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스웨이드의 감촉이 부드럽지 않고 비교적 뻣뻣해지고 코팅 용액이 흘러내려 코팅 효율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코팅 시 코팅 용액이 뭉쳐 편물 내로 함침이 잘 되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점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g)단계의 코팅방법은 다이 코팅, 그라비아 코팅, 나이프 코팅, 바 코팅, 스프레이 코팅, 또는 스크린 인쇄로부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원단 내부까지 상기 2액형 코팅 용액의 함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그라비아 코팅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단계를 통해 편물에 2액형 코팅 용액의 함침이 이루어지며 이때 함침되는 폴리우레탄의 함량은 20-50g/linear meter, 또는 25-40g/linear meter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신율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편물 스웨이드 고유의 표면 효과보다 폴리우레탄 충진제의 느낌이 너무 강하게 발현되므로 상기 범위 내로 함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은 선택적으로, 상기 (g)단계 이후에 (h)난연처리 단계 및 (i)열처리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편물 난연처리 단계
상기 (h)단계는 난연제를 편물 배면에 처리하여 편물 스웨이드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다. 난연제를 편물에 처리하는 방법은 위 2액형 코팅 용액의 코팅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거나 메쉬롤을 이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i)편물 열처리 단계
상기 (i)단계는 상기 (h)단계를 통해 난연처리된 편물을 텐터(tenter)에서 130-150℃에서 120초 정도 열처리하여 스웨이드 폭을 맞추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침된 폴리우레탄이 황변 및 경화되어 터치가 딱딱해지므로 상기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은 별도의 유성 폴리우레탄 용액에 함침 처리 없이 수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만으로 함침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디메틸포름아마이드가 잔류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도 고급형 스웨이드와 동등 수준의 감성 및 표면 물성을 모두 구현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편물 스웨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는 자동차 내장재용 부품에 사용되는 스웨이드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면서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 등의 감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커버링사 제조
<실시예 1>
심사로, 단사 섬도(C)가 2데니아인 폴리에스테르계 고수축사와, 감량 후 단사 섬도가 0.1데니아이고 필라멘트 수(B)가 10분할사인 해도형 극세사를 인터레이스에 공급하고 2.3kg/cm2의 공기압으로 공기 교락하여 꼬임 수(A)가 심사 1미터 당 500회인 커버링사를 형성하였다((a)단계).
2. 스웨이드 제조
상기 1에서 형성한 실시예 1의 커버링사를 편직하여 중량 260g/yd, 후도 0.6㎜의 편물을 형성하였다((b)단계).
이어서, 상기 편물을 액류 감량기에 넣고 1.5%의 액상 가성소다를 94℃에서 20분간 투입하여 감량률이 25%가 되도록 알칼리 감량을 실시한다((c)단계).
이어서, #180 사포로 1차 버핑 후 분산염료로 130℃에서 염색하고 수세, 환원세정하여 미착염된 염료를 제거한다((d)단계 및 (e)단계).
이어서, 스웨이드 외관 정리를 위해 #220 사포로 2차 버핑 후, 점도가 25℃에서 200cps인 2액형 코팅 용액으로 그라비아 코팅하여 폴리우레탄이 편물 내로 함침 되도록 한다((f)단계 및 (g)단계).
상기 2액형 코팅 용액은 수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경화제로 카르보디이미드 15중량부, 분산제로 계면활성제 1중량부 및 소포제로 폴리실록산 1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편물 배면에 난연제를 그라비아 코팅하여 난연성을 부여하고 140℃에서 120초 정도의 열처리를 통해 스웨이드 폭(131 inch)을 맞춰 편물 스웨이드를 제조한다((h)단계 및 (i)단계).
<비교예 1>
비교예 1은 감량 후 단사 섬도가 0.1데니아인 해도형 극세사만을 이용하여 중량 260g/yd, 후도 0.6㎜의 부직포를 제조한 후,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안료 20중량부 및 난연제 15중량부를 유기 용매인 디메틸포름아마이드 250중량부에 용해시켜 형성한 유성 폴리우레탄 용액에 함침하여 폴리우레탄이 상기 부직포 내로 함침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온도 30℃에서 응고시킨 후 60℃에서의 열탕으로 탈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및 수세시킨 후 150℃에서 70초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상기 부직포를 액류 감량기에 넣고 1.5%의 액상 가성소다를 94℃에서 20분간 투입하여 감량률이 25%가 되도록 알칼리 감량을 실시한 후, #180 사포로 1차 버핑 후 분산염료로 130℃에서 염색하고 수세, 환원세정하여 미착염된 염료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스웨이드 외관 정리를 위해 #220 사포로 2차 버핑 후에 점도가 25℃에서 400cps인 수성 표면처리제를 그라비아 코팅하여 편물의 외관정리를 하였다.
상기 수성 표면처리제는 수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경화제 10중량부, 분산제 1중량부, 레벨링제 1중량부 및 증점제 5중량부를 포함하였다.
이어서, 편물 배면에 난연제를 도포하여 난연성을 부여하고 140℃에서 120초 정도의 열처리를 통해 스웨이드 폭(131 inch)을 맞춘 후 고급형 스웨이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대비할 때 부직포를 수성 표면처리제를 이용하여 그라비아 코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편물 스웨이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대비할 때 (f)단계인 2차 버핑 후 (g)단계인 편물을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는 대신, (b)단계인 편물 제직 후 (c)단계인 알칼리 감량 단계 전에 편물을 2액형 코팅 용액으로 그라비아 코팅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편물 스웨이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대비할 때 상기 (g)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2액형 코팅 용액 대신, 비교예 1에서 사용된 점도가 25℃에서 400cps인 수성 표면처리제를 이용하여 코팅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편물 스웨이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스웨이드의 폴리우레탄 함침량, 잔류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량, 물성 및 감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편물 스웨이드 내의 폴리우레탄 함침량, 잔류 디메틸포름아마이드량, 물성(신율, 강도) 및 감성(부드러운 감촉, 충진감)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편물 스웨이드 내의 폴리우레탄 함침량은 [(폴리우레탄 함침 가공 시 고형분 중량) / (전체 원단 중량) X 100]으로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잔류 디메틸포름아마이드량은 스웨이드를 일정량 채취하여 이를 메탄올에 담가 4시간 동안 추출하는 공정을 거친다.
이어서, 상기 공정에 의해 디메틸포름아마이드가 추출되어 함유된 메탄올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as-Chromatogtaphy)를 통해 분석하여 편물 스웨이드 내 잔류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신율은 인장기를 이용하여 편물 스웨이드의 시편을 일정한 속도로 인장하였을 때, [(파단 시 표점거리-처음 표점거리)/ (처음 표점거리) X 100]를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강도는 인장기를 이용하여 편물 스웨이드의 시편을 일정한 속도로 인장하였을 때, 파단 시 최대 하중을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부드러운 감촉은 스웨이드 전문가들이 직접 만져보아 매우 우수/ 우수/ 보통/ 나쁨/ 매우 나쁨으로 나타내었다.
-충진감은 스웨이드 전문가들이 직접 만져보아 매우 우수/ 우수/ 보통/ 나쁨/ 매우 나쁨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기준
스웨이드 원단 편물 부직포 부직포 편물 편물 -
폴리우레탄 함침량 (g/linear meter) 30 35 35 15 0 20-50
잔류 디메틸포름아마이드량 (g) 0 8 8 0 0 5 이하
신율 (%) 112 55 90 100 105 90 이상
강도 (kgf/50mm) 150 248 120 100 153 100 이상
부드러운 감촉 매우 우수 매우 우수 보통 나쁨 매우 나쁨
충진감 우수 우수 보통 보통 매우 나쁨 -
상기 표 1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물 스웨이드인 실시예 1은 별도의 유성 폴리우레탄 용액에 함침 처리 없이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만으로 유성 폴리우레탄 용액에 함침하는 습식 과정을 거치는 비교예 1의 폴리우레탄 함침량과 유사하여 고급형 스웨이드인 비교예 1에 비해 우수한 물성을 가지면서도 동등 수준의 감성을 가질 수 있어 경제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물 스웨이드는 수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 처리한바, 유기 용제인 디메틸포름아마이드를 포함하지 않아 잔류되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는 0g으로 친환경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는 유성 폴리우레탄 용액으로 함침하였으나, 별도의 표면처리를 하지 않아 실시예 1에 비해 물성 및 감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편물 제직 후 알칼리 감량 단계 전에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는 비교예 3은, 2차 버핑 후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는 실시예 1에 비해 폴리우레탄 함침량이 적어 물성 및 감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는 2액형 코팅 용액으로 그라비아 코팅하는 단계 대신 종래 점도가 25℃에서 400cps인 고점도의 수성 표면처리제로 그라비아 코팅을 하여, 스웨이드 내로 함침되는 폴리우레탄 양이 없어 감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2. 스웨이드의 물성(신율 및 강도), 감성(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 측정
실시예 1과 상이한 커버링사를 이용하여 스웨이드의 물성 및 감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심사로, 단사 섬도(C)가 2.5데니아인 폴리에스테르계 고수축사와, 감량 후 단사 섬도가 0.1데니아이고 필라멘트 수(B)가 15분할사인 해도형 극세사를 인터레이스에 공급하고 2.3kg/cm2 의 공기압으로 공기 교락하여 꼬임 수(A)가 심사 1미터 당 400회인 커버링사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링사를 이용하여 위에서 서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물 스웨이드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1>
심사로, 단사 섬도(C)가 2데니아인 폴리에스테르계 고수축사와, 감량 후 단사 섬도가 0.1데니아이고 필라멘트 수(B)가 35분할사인 해도형 극세사를 인터레이스에 공급하고 2.3kg/cm2 의 공기압으로 공기 교락하여 꼬임 수(A)가 심사 1미터 당 500회인 커버링사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링사를 이용하여 위에서 서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물 스웨이드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2>
심사로, 단사 섬도(C)가 0.5데니아인 폴리에스테르계 고수축사와, 감량 후 단사 섬도가 0.1데니아이고 필라멘트 수(B)가 10분할사인 해도형 극세사를 인터레이스에 공급하고 2.3kg/cm2 의 공기압으로 공기 교락하여 꼬임 수(A)가 심사 1미터 당 500회인 커버링사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링사를 이용하여 위에서 서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물 스웨이드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3>
심사로, 단사 섬도(C)가 2데니아인 폴리에스테르계 고수축사와, 감량 후 단사 섬도가 0.1데니아이고 필라멘트 수(B)가 10분할사인 해도형 극세사를 인터레이스에 공급하고 2.3kg/cm2 의 공기압으로 공기 교락하여 꼬임 수(A)가 심사 1미터 당 2000회인 커버링사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링사를 이용하여 위에서 서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물 스웨이드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4>
심사로, 단사 섬도(C)가 2데니아인 폴리에스테르계 고수축사와, 감량 후 단사 섬도가 0.1데니아이고 필라멘트 수(B)가 10분할사인 해도형 극세사를 인터레이스에 공급하고 2.3kg/cm2 의 공기압으로 공기 교락하여 꼬임 수(A)가 심사 1미터 당 50회인 커버링사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링사를 이용하여 위에서 서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물 스웨이드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5>
단사 섬도(C)가 2데니아인 폴리에스테르계 고수축사와, 감량 후 단사 섬도가 0.1데니아이고 필라멘트 수(B)가 10분할사인 해도형 극세사를 단순 에어펀칭으로 합사하여 복합사를 형성하고, 상기 복합사를 이용하여 위에서 서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물 스웨이드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6>
참조예 6은 상기 참조예 5의 복합사를 경사 및/또는 위사로 제직하여 직물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위에서 서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 스웨이드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7>
참조예 7은 감량 후 단사 섬도가 0.1데니아인 해도형 극세사만을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서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급형 스웨이드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8>
실시예 1의 커버링사를 경사 및/또는 위사로 제직하여 직물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위에서 서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물 스웨이드를 제조한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2 및 참조예 1-8의 스웨이드의 신율 및 강도의 물성과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의 감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2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커버링사를 이용하여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는 감성 및 물성이 모두 우수한 반면, 참조예 1 및 3의 스웨이드는 각각 필라멘트 수와 꼬임 수가 너무 많아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은 우수하나 유연성이 부족하여 신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조예 2는 고수축사의 단사 섬도가 너무 얇아 신율 및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조예 4 및 참조예 5의 스웨이드는 꼬임 수가 너무 적거나 꼬임이 없어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조예 6 및 참조예 8은 직물 스웨이드로 편물 스웨이드인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비해 신율이 저하되고, 특히 참조예 6은 복합사를 이용한 직물 스웨이드인 바, 부드러운 감촉 및 충진감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조예 7은 해도형 극세사만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급형 스웨이드로 본 발명의 스웨이드와 감성이 유사하나, 고수축사를 포함하지 못해 신율이 저하되고 아울러 제조 원가가 상승하여 적절하지 못하였다.

Claims (14)

  1. (a)커버링사를 형성하는 단계;
    (b)상기 커버링사를 편직(kniting)하여 편물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편물을 알칼리 용액에 넣어 해도형 극세사의 도 성분만 남도록 하는 감량 단계;
    (d)상기 감량된 (c)단계의 편물을 사포로 1차 버핑하는 단계;
    (e)상기 (d)단계의 편물을 염색하는 단계;
    (f)상기 (e)단계의 편물을 외관 정리를 위해 사포로 2차 버핑하는 단계;
    (g)상기 (f)단계의 편물을 점도가 25℃에서 100-250cps인 2액형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커버링사는 심사; 및 상기 심사를 감싸는 해도형 극세사로 이루어진 사(絲)인 것인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는 폴리에스테르계 고수축사로 단사 섬도(C)가 1-5데니아인 것인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도형 극세사의 감량 후 단사 섬도는 0.01-0.5데니아인 것인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사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인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으로,
    - 식 1-
    3≤ [(A/100) X (B)]/[C] ≤80
    여기서, A는 상기 심사 1미터를 감싸는 해도형 극세사의 꼬임 수이고, B는 해도형 극세사의 감량 후 필라멘트의 수이고, C는 상기 심사의 단사 섬도인 것인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를 감싸는 해도형 극세사의 꼬임 수(A)는 심사 1미터 당 300-500회이고,
    상기 해도형 극세사의 감량 후 필라멘트의 수(B)는 5-16분할사인 것인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감량율은 15-35%인 것인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편물의 감량 후 상기 커버링사 내 심사와 해도형 극세사의 중량비는 15:85-30:70인 것인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에서 상기 2액형 코팅 용액은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경화제 10-25중량부 및 첨가제 0.1-10중량부를 포함한 것인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수 분산된 폴리우레탄 수지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아세탈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티오에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인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에서 코팅방법은 다이 코팅, 그라비아 코팅, 나이프 코팅, 바 코팅, 스프레이 코팅, 또는 스크린 인쇄으로부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에서 상기 편물 스웨이드에 함침되는 폴리우레탄의 함량은 20-50g/linear meter인 것인 감성이 우수한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 이후에 (h)난연처리 단계 및 (i)열처리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14. 제 1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의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편물 스웨이드.
KR1020170175356A 2017-09-29 2017-12-19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 KR102202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872 2017-09-29
KR20170127872 2017-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235A true KR20190038235A (ko) 2019-04-08
KR102202649B1 KR102202649B1 (ko) 2021-01-13

Family

ID=659081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047A KR101963041B1 (ko) 2017-09-29 2017-10-11 편물 스웨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70175356A KR102202649B1 (ko) 2017-09-29 2017-12-19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047A KR101963041B1 (ko) 2017-09-29 2017-10-11 편물 스웨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9630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328B1 (ko) * 2021-10-29 2024-02-02 주식회사 휴비스 크리너용 복합사 및 그를 이용한 원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980A (ko) * 1997-09-24 1999-04-26 나카무라 하사오 피혁모양시이트
KR20020025416A (ko) * 2000-09-29 2002-04-04 구광시 촉감 및 마모강도가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및 그의제조방법
KR20040020208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코오롱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편물
KR20050061936A (ko) 2003-12-19 2005-06-23 케이.엠.에프 주식회사 나일론 해도사를 사용한 스웨드조 극세사 편직물의 제조방법
KR100625110B1 (ko) * 2005-03-31 2006-09-20 케이.엠.에프 주식회사 폴리우레탄함침 스웨이드조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KR20090109234A (ko) * 2008-04-15 2009-10-20 케이.엠.에프 주식회사 충진감이 풍부한 환편조직의 스웨드조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858B1 (ko) * 2002-04-19 2006-10-18 주식회사 코오롱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US7951452B2 (en) 2002-09-30 2011-05-31 Kuraray Co., Ltd. Suede artificial leath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624147B1 (ko) * 2002-10-30 2006-09-18 주식회사 코오롱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극세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980A (ko) * 1997-09-24 1999-04-26 나카무라 하사오 피혁모양시이트
KR20020025416A (ko) * 2000-09-29 2002-04-04 구광시 촉감 및 마모강도가 우수한 직편물 스웨이드 및 그의제조방법
KR20040020208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코오롱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편물
KR20050061936A (ko) 2003-12-19 2005-06-23 케이.엠.에프 주식회사 나일론 해도사를 사용한 스웨드조 극세사 편직물의 제조방법
KR100625110B1 (ko) * 2005-03-31 2006-09-20 케이.엠.에프 주식회사 폴리우레탄함침 스웨이드조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KR20090109234A (ko) * 2008-04-15 2009-10-20 케이.엠.에프 주식회사 충진감이 풍부한 환편조직의 스웨드조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041B1 (ko) 2019-03-28
KR102202649B1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914B1 (ko) 서로 다른 액상 실리콘 고무 코팅액을 이용한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KR100658097B1 (ko) 강도 및 신율 특성이 우수한 스웨이드조 인공피혁
KR101235778B1 (ko) 난연성이 우수한 스웨이드조 인공 피혁 및 그 제조 방법
KR100813459B1 (ko) 환편조직의 스웨드조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CN110073053B (zh) 合成皮革
JP7162205B2 (ja) 複合布帛
KR20190030570A (ko) 경편인 이면층을 포함하는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3812B1 (ko) 폴리올레핀계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6270B1 (ko) 인공피혁 및 그 제조방법
CN113710838B (zh) 泳衣
KR20210027659A (ko) 스웨이드조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 방법
JPWO2019004180A1 (ja) 合成皮革
KR20190038235A (ko) 편물 스웨이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편물 스웨이드
KR20180076839A (ko) 차량용 인조피혁의 제조 방법, 및 차량용 인조피혁
KR101888221B1 (ko) 섬유 직물의 제조 방법 및 섬유 직물
KR20160038526A (ko)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JP2016069790A (ja) 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1862A (ja) 合成皮革
CN111962309B (zh) 一种水性聚氨酯定岛超细纤维复合片材的制备方法
KR100951976B1 (ko) 신율 특성이 우수한 차량용 인공피혁
KR20090109235A (ko) 인공피혁용 환편타입 베이스원단의 제조방법
KR102360128B1 (ko) 촉감이 향상된 편성물 기재의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KR101921231B1 (ko) 활동성이 향상된 아웃도어 웨어용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1892A (ko) 외관 품질이 향상된 인공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35810A (ko) 합포후 함침에 의한 장섬유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