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746A -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 Google Patents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746A
KR20190037746A KR1020170127389A KR20170127389A KR20190037746A KR 20190037746 A KR20190037746 A KR 20190037746A KR 1020170127389 A KR1020170127389 A KR 1020170127389A KR 20170127389 A KR20170127389 A KR 20170127389A KR 20190037746 A KR20190037746 A KR 20190037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stage
wire
curved
curve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434B1 (ko
Inventor
김대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7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434B1/ko
Priority to PCT/KR2017/012103 priority patent/WO2019066126A1/en
Priority to EP17926342.1A priority patent/EP3688746B1/en
Priority to CN201780095238.9A priority patent/CN111133497B/zh
Priority to US15/837,138 priority patent/US10603843B2/en
Publication of KR20190037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곡면 글래스에 합착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로어공간이 형성된 로어 챔버와; 로어 챔버 상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어퍼공간이 형성된 어퍼 챔버와; 어퍼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고 디스플레이 유닛이 흡착되는 어퍼 흡착기구와; 로어공간에 수용되고 외형이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스테이지와; 곡면 글래스가 안착되는 와이어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와이어 스테이지는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 스테이지의 상측에 위치하고 외면에 곡면 글래스가 안착되는 복수개 와이어를 포함하며, 복수개 와이어는 적어도 한 쌍이 이격되게 위치되고, 복수개 와이어는 플렉서블 스테이지에 안착되거나 플렉서블 스테이지에서 이격되어, 복수개 와이어 및 플렉서블 스테이지가 곡면 글래스를 안정감 높게 지지한 상태에서 곡면 글래스와 디스플레이 유닛을 신뢰성 높게 합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Curved display Bo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면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곡면 글래스와 디스플레이 유닛을 합착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면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평면 스크린이 아닌 일정한 골률로 구부러진 형태의 디스플레이로서, 모바일(Mobile), 모니터(Monitor), TV 등의 전자제품이나 차량이나 건물의 외벽, 실내 조명 등의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된다.
곡면 디스플레이는 곡면 글래스와,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곡면 글래스를 향하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중 곡면 글래스를 향하는 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거나 곡면 글래스와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곡면 글래스와 디스플레이 유닛은 합착장치에 의해 합착 될 수 있고, 이러한 흡착장치의 일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76474 B1(2016년11월14일)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76474 B1(2016년11월14일)에는 곡면형상 기판에 플랙서블 소재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유체 가압을 이용하여 곡면 형상 기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합착할 수 있고, 유체 가압 탄성체부와, 플렉서블 소재 그리핑부를 포함한다.
유체 가압 탄성체부는 유체 가압에 의한 탄성 변형으로 플랙서블 소재를 곡면형 상 기판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플렉서블 소재 그리핑부는 유체 가압 탄성체부와; 플렉서블 소재의 양측부를 그리핑한 상태에서 유체가압 탄성체부가 플렉서블 소재의 중앙부터 외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가압하도록 변형 형태를 제어한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76474 B1(2016년11월14일)에 개시된 합착장치는 플렉서블 소재의 중앙부터 외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므로, 디스플레이 유닛이 플렉서블 소재가 아닐 경우, 그 적용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76474 B1(2016년11월14일 공고)
본 발명은 곡면 글래스를 안정감 높게 지지한 상태에서 곡면 글래스를 디스플레이 유닛과 합착할 수 있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곡면 글래스에 합착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로어공간이 형성된 로어 챔버와; 로어 챔버 상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어퍼공간이 형성된 어퍼 챔버와; 어퍼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고 디스플레이 유닛이 흡착되는 어퍼 흡착기구와; 로어공간에 수용되고 외형이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스테이지와; 곡면 글래스가 안착되는 와이어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와이어 스테이지는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 스테이지의 상측에 위치하고 외면에 곡면 글래스가 안착되는 복수개 와이어를 포함하며, 복수개 와이어는 적어도 한 쌍이 이격되게 위치되고, 복수개 와이어는 플렉서블 스테이지에 안착되거나 플렉서블 스테이지에서 이격된다.
플렉서블 스테이지의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는 이너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스테이지에는 이너공간의 유체를 조절하는 유체 조절기가 연결될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로어공간과 어퍼공간 사이로 이송하는 어퍼 흡착아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어퍼 챔버를 승강시키는 어퍼 챔버 구동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스테이지는 내부에 이너공간이 형성되고 이너공간 내의 유체에 의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플렉서블 바디와, 플렉서브 바디 외면에 형성된 점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와이어 각각은 이너 금속 와이어와, 이너 금속 와이어를 둘러싸는 점착 피복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스테이지는 상기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 조절기는 와이어가 연결된 로터와; 로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스테이지는 로터와 이격되고 와이어가 연결된 커넥터와; 텐션 조절기를 지지하는 텐션 조절기 프레임과; 커넥터를 지지하는 커넥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텐션 조절기 프레임 및 커넥터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텐션 조절기 프레임 및 커넥터 프레임 각각은 스테이지 승강기구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승강 바디와, 승강 바디에 수평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무빙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곡면 글래스를 복수개 와이어 위에 올리는 로어 흡착아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 글래스의 어느 한 곡면에 레진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흡착아암은 곡면 글래스의 양면 중 레진이 형성된 곡면의 반대편 곡면을 와이어에 올릴 수 있다.
로어 흡착아암은 로어 프레임과, 로어 프레임에 구비된 한 쌍의 아암과, 한 쌍의 아암에 배치되고 상기 곡면 글래스와 선접촉되거나 점접촉되는 점착 피복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 사이의 간격은 복수개 와이어 사이의 간격 보다 작을 수 있다.
한 쌍의 아암 각각은 로어 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어퍼 흡착기구는 어퍼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어퍼 흡착척과;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면이 흡착되고 디스플레이 유닛을 어퍼 흡착척으로 이동시키는 어퍼 흡착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곡면 글래스가 복수개 와이어에 올려진 상태에서 복수개 와이어와 함께 플렉서블 스테이지에 안착될 수 있고, 복수개 와이어 및 플렉서블 스테이지가 곡면 글래스를 안정감 높게 지지한 상태에서 곡면 글래스와 디스플레이 유닛을 신뢰성 높게 합착할 수 있다.
또한, 곡면 글래스의 크기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하나의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가 다양한 종류의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에 사용될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가 합착 대기 중일 때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스테이지와 로어 챔버 및 플렉서블 스테이지가 도시된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스테이지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로어 흡착아암이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곡면 글래스와 디스플레이 유닛이 로어 챔버와 어퍼 챔버 사이로 진입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곡면 글래스가 와이어 스테이지에 안착되고 디스플레이 유닛이 어퍼 흡착핀에 흡착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어퍼 흡착아암과 로어 흡착아암이 로어 챔버와 어퍼 챔버 사이에서 외부로 인출 완료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이 어퍼 흡착척에 흡착되고 와이어 스테이지가 플렉서블 스테이지로 하강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이 곡면 글래스로 하강되고 어퍼 챔버가 로어 챔버로 하강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과 곡면 글래스가 합착되는 도중일 때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어퍼 흡착기구가 디스플레이 유닛과 분리되고 어퍼 챔버가 상승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와이어 스테이지가 상승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 흡착아암이 곡면 디스플레이를 이송하기 위해 곡면 글래스의 하측으로 진입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로어 흡착아암이 도시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로어 흡착아암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가 합착 대기 중일 때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스테이지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스테이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로어 흡착아암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D)을 곡면 글래스(G)에 합착하는 장치로서, 곡면 글래스(G)의 어느 한 곡면에는 레진(R)이 형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는 레진(R)을 사이에 두고 합착될 수 있다.
레진(R)은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가 합착되기 이전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글래스(G)의 일면에 형성된 광학 접착 소재일 수 있다. 레진(R)는 곡면 글래스(G)의 일면에 도포된 투명 접착제가 경화된 광학 접착 수지일 수 있다. 레진(R)은 곡면 글래스(G)의 양면 중 오목한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는 레진(R)을 사이에 두고 레진(R)에 의해 합착될 수 있고, 합착 완료된 곡면 디스플레이는 곡면 글래스(G) 중 레진(R)의 반대면이 곡면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내부에 로어공간(S1)이 형성된 로어 챔버(1)와; 로어 챔버(1) 상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어퍼공간(S2)이 형성된 어퍼 챔버(2)와; 어퍼공간(S2)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고 디스플레이 유닛(D)이 흡착되는 어퍼 흡착기구(3)와; 로어공간(S1)에 수용되고 외형이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스테이지(4)와; 곡면 글래스(G)가 안착되는 와이어 스테이지(5)를 포함한다.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어퍼 챔버(2)를 승강시키는 어퍼 챔버 구동기구(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D)을 로어공간(S1)과 어퍼공간(S2) 사이로 이송하는 어퍼 흡착아암(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곡면 글래스(G)를 와이어 스테이지(5) 특히, 복수개 와이어(51) 위에 올리는 로어 흡착아암(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챔버(1)는 플레서블 스테이지(4)를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다.
로어공간(S1)은 로어 챔버(1)에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곡면 글래스(G)의 적어도 일부와 와이어 스테이지(5)의 일부는 로어공간(S1)의 상측에서 로어공간(S1)으로 진입될 수 있고, 로어공간(S1)에 수용된 플렉서블 스테이지(4)에 안착 및 지지될 수 있다.
로어 챔버(1)는 스테이지(4)의 외면과 접촉되는 내측 저면(11) 및 내둘레면(12)을 포함할 수 있고, 플렉서블 스테이지(4)의 형상은 로어 챔버(1)의 내측 하면(11) 및 내둘레면(1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로어 챔버(1)는 플렉서블 스테이지(4)가 팽창되었을 때, 플렉서블 스테이지(4)의 저면 외형 및 둘레면 외형을 결정할 수 있다.
어퍼 챔버(2)는 어퍼 흡착기구(3)를 보호할 수 있고, 어퍼공간(S2)은 어퍼 챔버(2)에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D) 및 곡면 글래스(G)의 적어도 일부는 어퍼 챔브(2)의 높이에 따라 어퍼공간(S2)으로 진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D) 및 곡면 글래스(G)가 어퍼 흡착기구(3)와 플렉서블 스테이지(4)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어퍼 팸버(2)가 어퍼 흡착기구(3)와 함께 하강되면, 디스플레이 유닛(D) 및 곡면 글래스(G)의 적어도 일부는 어퍼공간(S2)으로 진입될 수 있다.
어퍼 챔버(2)는 내측 상면(21)과, 어퍼 흡착기구(3)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내둘레면(2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챔버(2)는 로어 챔버(1)의 상측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챔버(2)의 상승시, 어퍼 챔버(2)와 로어 챔버(1)의 사이에는 어퍼 흡착아암(9) 및 로어 흡착아암(10)이 로어공간(S1)과 어퍼공간(S2)의 사이로 진입될 수 있는 틈(T)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챔버(2)의 하강시 어퍼 챔버(2)는 로어 챔버(1)와 밀착될 수 있고, 어퍼 챔버(2)와 로어 챔버(1)의 사이에는 밀폐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는 이러한 밀폐공간에서 합착될 수 있다.
어퍼 챔버(2)의 하강시, 그 하단(2A)은 로어 챔버(1)의 상단(1A)에 밀착될 수 있고, 어퍼 챔버(2)의 하단과 로어 챔버(1)의 상단 중 적어도 하나의 둘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챔버(2)의 하강시, 어퍼 챔버(2)의 어퍼공간(S2)과 로어 챔버(1)의 로어공간(S1)은 곡면 글래스(G)와 디스플레이 유닛(D)이 합착되는 합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어퍼 챔버(2)에는 어퍼 챔버 구동기구(8)가 연결될 수 있다.
어퍼 챔버 구동기구(8)는 모터 등의 구동원(81)과, 구동원의 구동력을 어퍼 챔버(2)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8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는 랙과 피니언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어퍼 챔버 구동기구(8)는 어퍼 챔버(2)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나 리니어 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어퍼 챔버 구동기구(8)는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가 로어 챔버(1)와 어퍼 챔버(2) 사이로 진입되기 이전에 상승모드일 수 있다. 어퍼 챔버 구동기구(8)는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의 합착시 하강모드일 수 있다. 어퍼 챔버 구동기구(8)는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의 합착이 완료되면 다시 상승모드일 수 있다.
한편, 로어 챔버(1)와 어퍼 챔버(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로어 챔버(1)와 어퍼 챔버(2)의 사이에 형성된 합착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 조절기구는 어퍼 챔버(2)의 하강이 완료된 후, 합착공간을 진공 또는 소정의 압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압력 조절기구는 곡면 글래스(G)와 디스플레이 유닛(D)의 합착이 이루어지는 동안 합착공간을 진공 또는 소정의 압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압력 조절기구는 곡면 글래스(G)와 디스플레이 유닛(D)의 합착이 완료되면, 합착공간을 대기압과 같게 조절할 수 있다.
곡면 글래스(G)와 디스플레이 유닛(D)의 합착이 완료된 후, 합착공간의 압력이 대기압과 같게 조절되면, 어퍼 챔버(2)는 상승될 수 있다.
어퍼 챔버(2)는 어퍼 흡착기구(3)의 일부가 관통되는 구조일 수 있다. 어퍼 챔버(2)에는 후술하는 흡착척 축(36)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축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어퍼 챔버(2)에는 후술하는 어퍼 흡착핀(32)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핀 관통공(23)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흡착기구(3)는 그 전부가 어퍼공간(S2)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일부가 어퍼공간(S2)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가 어퍼공간(S2)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퍼 흡착기구(3)는 어퍼공간(S2)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어퍼 흡착척(3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어퍼 흡착기구(3)는 디스플레이 유닛(D)이 흡착되는 어퍼 흡착핀(3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흡착척(31)는 어퍼 챔버(2)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고, 어퍼공간(S2)에 승강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어퍼 흡착척(31)에는 어퍼 흡착핀(32)이 승강 가능하게 관통되는 어퍼 핀 승강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D)의 상면은 어퍼 흡착척(31)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어퍼 흡착척(31)는 어퍼 흡착바디(34)와, 어퍼 흡착바디(33)의 저면에 형성된 점착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흡착척(31)은 디스플레이 유닛(D)를 곡면 글래스(G)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로 기능할 수 있다.
어퍼 흡착바디(34)는 판체 형상일 수 있고, 어퍼 흡착바디(34)에는 흡착척 축(36)이 구비될 수 있다.
흡착척 축(36)은 어퍼 흡착바디(35)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착척 축(36)은 하단이 어퍼공간(S2)이 위치되고, 상단이 상부챔버(2)의 위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흡착기구(3)의 점착부(35)는 디스플레이 유닛(D)의 상면이 실제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디스플레이 유닛(D)의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점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의 합착 완료시, 어퍼 흡착기구(3)는 디스플레이 유닛(D)과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퍼 흡착기구(3)의 점착부(35)는 수지 계열의 점착성 피복일 수 있고, 이러한 점착성 피복은 레진(R)과 디스플레이 유닛(D)의 점착력보다 약한 점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어퍼 흡착척(31)에는 디스플레이 유닛(D)을 어퍼 흡착척(31)의 저면 특히, 점착부(35)에 밀착시키는 흡착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어퍼 흡착기구(3)는 어퍼 흡착척(31)의 흡착공을 진공시키는 진공 형성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흡착기구(3)의 진공 형성기가 온되면, 디스플레이 유닛(D)은 어퍼 흡착척(31)의 흡착공의 진공에 의해 어퍼 흡착척(31)과 흡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어퍼 흡착기구(3)는 어퍼 흡착척(31)과 어퍼 흡착핀(32)이 함께 디스플레이 유닛(D)을 흡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어퍼 흡착핀(32)이 디스플레이 유닛(D)을 흡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퍼 흡착핀(32)에는 디스플레이 유닛(D)이 흡착될 수 있고, 어퍼 흡착핀(32)는 흡착된 디스플레이 유닛(D)을 어퍼 흡착척(3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어퍼 흡착핀(32)은 디스플레이 유닛(D)의 상면에 접촉되는 높이로 하강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D)의 상면은 어퍼 흡착핀(32)에 흡착될 수 있다.
어퍼 흡착핀(32)에는 디스플레이 유닛(D)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단(32A)이 형성될 수 있고, 어퍼 흡착핀(32)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유닛(D)을 접촉단(32A)에 밀착시키는 흡착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흡착기구(3)는 어퍼 흡착핀(32)의 흡착공을 진공시키는 진공 형성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진공 형성기의 온시, 디스플레이 유닛(D)은 어퍼 흡착핀(32)의 흡착공 내 진공에 의해 어퍼 흡착 핀(32)과 흡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어퍼 흡착핀(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되어 어퍼공간(S2)의 아래로 진입된 디스플레이 유닛(D)을 흡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D)을 흡착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되어 디스플레이 유닛(D)을 어퍼 흡착척(32)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어퍼 흡착 핀(32)은 디스플레이 유닛(D)의 상면이 어퍼 흡착척(31)의 저면 특히, 어퍼 흡착척(31)의 점착부(35)에 밀착되는 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어퍼 흡착기구(3)를 작동시키는 어퍼 구동기구(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구동기구(7)는 어퍼 흡착기구(3)를 이동 및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유닛(D)을 곡면 글래스(G)와 얼라인(align)할 수 있다. 그리고, 어퍼 구동기구(7)는 어퍼 흡착기구(3)가 디스플레이 유닛(D)을 곡면 글래스(G)로 가압하는 높이로 어퍼 흡착기구(3)를 하강시킬 수 있다.
어퍼 구동기구(7)는 어퍼 흡착척(31)과 어퍼 흡착핀(32)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어퍼 구동기구(7)는 어퍼 흡착척(31)을 구동시키는 어퍼 흡착척 구동기구(71)와, 어퍼 흡착핀(32)를 구동시키는 어퍼 흡착핀 구동기구(7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흡착척 구동기구(71)는 어퍼 흡착척(31)의 흡착척 축(36)을 3축 구동 및 회전시킬 수 있다.
어퍼 흡착척 구동기구(71)는 흡착척 축(36)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어퍼 흡착척 구동기구(71)는 흡착척 축(36)을 수평방향의 X,Y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흡착척 축(36)을 수직방향의 Z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흡착척 축(36)의 회전시킬 수 있다.
어퍼 흡착척 구동기구(71)는 이러한 3축 이동 및 회전을 위한 복수개 흡착척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흡착척 구동모터는 흡착척 축(36)을 X,Y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모터와, 흡착척 축(36)을 Z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모터와, 흡착척 축(36)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D)을 곡면 글래스(G)의 정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78)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에는 마킹이 표시되어 있고, 카메라(78)는 이러한 마킹의 일치, 불일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어퍼 흡착척 구동기구(71)는 이러한 마킹이 일치되게 어퍼 흡착기구(3) 특히, 흡착척 축(36)을 이동 및/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어퍼 흡착핀 구동기구(72)는 어퍼 흡착핀(32)를 승강시킬 수 있다.
어퍼 흡착핀 구동기구(72)는 어퍼 흡착핀(32)의 상부에 연결되어 어퍼 흡착핀(32)을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나 리니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플렉서블 스테이지(4)에 대해 설명한다.
플렉서블 스테이지(4)는 로어 챔버(1)에 수용 및 지지된 상태에서, 그 상면(4A)이 상측 방향으로 부풀어 오를 수 있다.
플렉서블 스테이지(4)의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는 이너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스테이지(4)에는 이너공간(S3)의 유체를 조절하는 유체 조절기(41)가 연결될 수 있다.
플렉서블 스테이지(4)는 내부에 이너공간(S3)이 형성되고 이너공간(S3) 내의 유체에 의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플렉서블 바디(4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스테이지(4)는 플렉서브 바디(42)의 외면에 형성된 점착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스테이지(4)의 점착부(43)는 플렉서블 바디(42)의 외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플렉서블 바디(42)의 상부 외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플렉서블 스테이지(4) 점착부(43)는 곡면 글래스(G)가 면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수지 계열의 점착성 피복일 수 있고, 곡면 글래스(G)가 미끌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도울 수 있다.
유체 조절기(41)는 플렉서블 바디(42)의 이너공간(S3)으로 유체를 주입하는 유체 주입기(44)와, 이너공간(S3)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체조절밸브(46)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주입기(44)는 플렉서블 바디(42)와 유체 주입채널(45)로 연결될 수 있고, 유체 주입채널(45)을 통해 이너공간(S3)으로 가스 등의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유체 주입채널(45)은 일단이 이너공간(S3)에 연통될 수 있고, 타단이 로어 챔버(1)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유체 주입기(44)는 에어펌프나 워터펌프 등의 유체펌프나 압축기로 구성될 수 있다. 유체 주입기(44)는 이너공간(S3)으로 에어나 물 등의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구성이면 에어펌프나 워터펌프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것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유체 주입기(44)는 로어 챔버(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유체 주입채널(45)을 통해 이너공간(S3)과 연통될 수 있다.
유체조절밸브(46)는 플렉서블 바디(42)와 유체 배출채널(47)로 연결될 수 있고, 이너공간(S3)에서 유체 배출채널(46)로 이동된 유체를 단속할 수 있다.
유체 배출채널(47)은 일단이 이너공간(S3)에 연통될 수 있고, 타단이 로어 챔버(1)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와이어 스테이지(5)에 대해 설명한다.
와이어 스테이지(5)는 복수개 와이어(5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와이어(51)는 적어도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적어도 한 쌍의 와이어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한 쌍의 와이어(51) 외면에는 곡면 글래스(G)가 안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한 쌍의 와이어(51)는 서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고, 복수개 와이어의 간격은 곡면 글래스(G)의 수평 방향 폭 보다 적을 수 있다.
복수개 와이어(51)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플렉서블 스테이지(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 와이어(51)는 플렉서블 스테이지(4)에 안착되거나 플렉서블 스테이지(4)에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 와이어 각각(51) 각각은 이너 금속 와이어(52)와, 이너 금속 와이어(52)를 둘러싸는 점착 피복(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금속 와이어(52)는 점착 피복(53) 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점착 피복(53)는 외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피복일 수 있고, 이너 금속 와이어(52)를 보호할 수 있고, 곡면 글래스(G)의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점착 피복(53)는 수지 계열의 점착성 피복일 수 있다.
와이어 스테이지(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51)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기(54)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 조절기(5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51)가 연결된 로터(55)와; 로터(55)를 회전시키는 모터(56)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스테이지(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55)와 이격되고 와이어(51)가 연결된 커넥터(57)와; 와이어 스테이지(5)는 텐션 조절기(54)를 지지하는 텐션 조절기 프레임(58)과; 커넥터(57)를 지지하는 커넥터 프레임(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스테이지(5)는 텐션 조절기(54)와, 와이어(51), 커넥터(57)가 한 셋트일 수 있고, 와이어 스테이지(5)는 이러한 셋트를 적어도 한 쌍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텐션 조절기 프레임(58) 및 커넥터 프레임(59)을 승강시키는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6, 도 5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6)는 텐션 조절기 프레임(58) 및 커넥터 프레임(59)을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 또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6)는 텐션 조절기 프레임(58)에 연결되어 텐션 조절기 프레임(58)을 승강시키는 텐션 조절기 승강기구와, 커넥터 프레임(59)을 승강시키는 커넥터 승강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텐션 조절기 승강기구와 커넥터 승강기구는 함께 구동될 수 있고, 함께 정지될 수 있다.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6)는 텐션 조절기 프레임(58)과 커넥터 프레임(59)이 함께 연결된 하나의 승강기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텐션 조절기 프레임(57) 및 커넥터 프레임(59) 각각은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텐션 조절기 프레임(57) 및 커넥터 프레임(59)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바디(61)와, 승강 바디(61)에 수평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무빙 바디(62)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바디(61)는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6)에 연결될 수 있고,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6)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무빙 바디(62)는 승강 바디(61)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6)는 승강 바디(61)에 연결된 리니어 모터 등의 승강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승강 바디(61)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와,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된 모터 등의 승강모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어퍼 흡착아암(9)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퍼 흡착아암(9)은 디스플레이 유닛(D)의 일면이 곡면 글래스(G)의 일면(C1)을 상하방향으로 마주보게 디스플레이 유닛(D)을 이송할 수 있다.
어퍼 흡착아암(9)은 어퍼 흡착아암(9)을 이동시키는 어퍼 흡착아암 로봇(98, 도 5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어퍼 흡착아암 로봇(98)는 어퍼 흡착아암(9)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1로봇일 수 있다.
어퍼 흡착아암(9)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흡착기구(3)의 아래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유닛(D)을 어퍼 흡착기구(3)의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어퍼 흡착아암(9)은 어퍼 흡착기구(3)가 디스플레이 유닛(D)을 흡착하여 상승시키면, 어퍼 흡착기구(3)의 아래에서 이동되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어퍼 흡착아암(9)는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이 가능한 로봇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로어 흡착아암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어 흡착아암(10)은 곡면 글래스(G)의 양면(C1)(C2) 중 레진(R)이 형성된 곡면(C1)의 반대편 곡면(C2)을 와이어(51)에 올릴 수 있다.
로어 흡착아암(10)은 로어 흡착아암(10)을 이동시키는 로어 흡착아암 로봇(99, 도 5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흡착아암 로봇(99)는 로어 흡착아암(10)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2로봇일 수 있다.
로어 흡착아암(10)은 플렉서블 스테이지(4) 위로 이동되어 곡면 글래스(G)를 와이어(51) 위로 이동시킨 후 하강되어 곡면 글래스(G)를 와이어(51)에 안착시킬 수 있고, 곡면 글래스(G)가 와이어(51)에 안착된 후, 하강되어 곡면 글래스(G)와 분리될 수 있다. 로어 흡착아암(10)은 곡면 글래스(G)와 플렉서블 스테이지(4) 사이에 하강된 후 곡면 글래스(G)와 플렉서블 스테이지(4) 사이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로어 흡착아암(10)은 어퍼 흡착아암(9)과 함께 작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어퍼 흡착아암(9)이 디스플레이 유닛(D)을 어퍼 흡착기구(3)의 하측으로 이송하는 동안 로어 흡착아암(10)은 곡면 글래스(G)를 와이어 스테이지(5)에 올릴 수 있다. 여기서, 어퍼 흡착아암(9)과 로어 흡착아암(10)은 동시에 동작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어퍼 흡착아암(9)과 로어 흡착아암(10)이 시간차를 두고 이동 개시되고,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먼저 이동 완료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로어 흡착아암(10)은 곡면 글래스(G)를 와이어 스테이지(5)에 올리는 기능 뿐만 아니라, 합착 완료된 곡면 디스플레이를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로어 흡착아암(10)은 합착 완료된 곡면 디스플레이의 아래로 진입된 후 곡면 디스플레이를 들어올린 후 로어 챔버(1)와 어퍼 챔버(2)의 외부로 곡면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곡면 글래스 합착장치는 후술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흡착아암(미도시)를 별도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반면에,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합착 완료된 곡면 디스플레이를 외부로 인출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흡착아암(미도시)를 별도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로어 흡착아암(10)은 곡면 글래스(G)를 와이어 스테이지(5)에 올리는 공정을 실시하고, 합착 완료된 곡면 디스플레이는 곡면 디스플레이 흡착아암에 의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곡면 디스플레이 흡착아암은 로어 흡착아암(10)과 동일한 구조일 수 있고, 그 동작 시기만 상이할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가 로어 흡착아암(10)과 곡면 디스플레이 흡착아암을 모두 포함할 경우, 로어 흡착아암(10)은 보다 신속하게 곡면 글래스(G)를 와이어 스테이지(5)에 올릴 수 있다.
일예로, 곡면 디스플레이 흡착아암이 합착 완료된 곡면 디스플레이를 외부로 인출하는 도중에 로어 흡착아암(10)은 곡면 글래스(G)를 와이어 스테이지(5)에 올릴 수 있고, 다수의 곡면 디스플레이를 보다 신속하게 합착할 수 있다.
로어 흡착아암(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프레임(101)과; 로어 프레임(101)에 구비된 한 쌍의 아암(102)과; 한 쌍의 아암(102)에 배치되고 곡면 글래스(G)와 선접촉되거나 점접촉되는 점착 피복(103)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프레임(101)은 그 길이가 일정한 것이 가능하고, 그 길이가 가변되게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로어 프레임(101)이 길이 가변되게 구성될 경우, 로어 프레임(101)은 복수개 프레임이 연결된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로어 프레임은 하나의 메인 프레임(107)과, 메인 프레임(107)을 따라 이동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무빙 플레임(108)(109)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아암(102) 중 어느 하나는 메인 프레임(107)에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아암(102) 다른 하나는 무빙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빙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한 쌍의 아암(102) 서로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한 쌍의 아암(101) 중 어느 하나는 한 쌍의 무빙 프레임 중 제1 무빙 플레임(108)에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아암(102) 중 다른 하나는 제2 무빙 프레임(109)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무빙 프레임(108)과 제2 무빙 프레임(109)의 이동에 따라, 한 쌍의 아암(102) 서로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102) 사이의 간격은 곡면 글래스(G)의 수평방향 폭 보다 짧을 수 있다.
한 쌍의 아암(102) 사이의 간격은 복수개 와이어(51) 사이의 간격 보다 작을 수 있다.
한 쌍의 아암(102) 각각은 로어 프레임(10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로어 프레임(101)에는 한 쌍의 아암(102)을 슬라이딩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102) 각각은 전체적으로 봉 형상일 수 있다. 한 쌍의 아암(102)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102)은 로어 프레임(10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102) 각각은 로어 프레임(101)에 로어 프레임(101)과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점착 피복(103)은 외둘레면이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 피복(103)는 한 쌍의 아암(102) 각각 외둘레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점착 피복(103)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아암(102)의 외둘레면을 에워 쌀 수 있다.
점착 피복(103)은 점착성 수지계열의 피복일 수 있고, 그 위에 안착된 곡면 글래스(G)의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시, 로어 흡착아암(10)은 한 쌍의 점착 피복(103) 각각이 곡면 글래스(G)의 곡면(C2)과 접촉될 수 있다.
곡면 글래스(G)가 로어 흡착아암(10)에 안착되었을 때, 곡면 글래스(G)는 한 쌍의 점착 피복(103)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과, 한 쌍의 점착 피복(103) 위에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곡면 글래스(G)는 로어 흡착아암(10)에서 미끌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조작하는 조작부(100)와, 조작부(100)에 의해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어퍼 흡착기구(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어퍼 흡착기구(3)의 진공 형성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플렉서블 스테이지(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유체 조절기(41)를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유체 주입기(44)와 유체조절밸브(46)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와이어 스테이지(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텐션 조절기(54)를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텐션 조절기(54)의 모터(5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6)를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6)의 승강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어퍼 구동기구(7)를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어퍼 흡착척 구동기구(71) 및 어퍼 흡착핀 구동기구(7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어퍼 흡착척 구동기구(71)의 구동원과, 어퍼 흡착핀 구동기구(72)의 구동원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어퍼 흡착척 구동기구(71)를 구성하는 흡착척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고, 어퍼 흡착핀 구동기구(72)를 구성하는 유압 실린더나 리니어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어퍼 챔버 구동기구(8)를 제어할 수 있고, 어퍼 챔버 구동기구(8)를 구성하는 유압 실린더나 리니어 모터 등 구동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어퍼 흡착아암(9)를 이동시키기 위해 어퍼 흡착아암 로봇(98)를 제어할 수 있고, 로어 흡착아암(10)를 이동시키기 위해 로어 흡착아암 로봇(99)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의 합착 공정을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곡면 글래스와 디스플레이 유닛이 로어 챔버와 어퍼 챔버 사이로 진입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제어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흡착아암(9) 및 로어 흡착아암(10)이 로어 챔버(1)와 어퍼 챔버(2)의 사이로 이동되게 어퍼 흡착아암 로봇(98) 및 로어 흡착아암 로봇(99)을 제어할 수 있다.
어퍼 흡착아암(9)과 로어 흡착아암(10)은 로어 챔버(1)와 어퍼 챔버(2)의 사이 옆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흡착아암(9)는 디스플레이 유닛(D)을 어퍼 흡착기구(3)의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로어 흡착아암(10)은 곡면 글래스(G)를 와이어 스테이지(5)의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 각각의 수평 방향 이동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이 서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고, 플렉서블 스테이지(4)와, 어퍼 흡착기구(3) 사이 위치에서 플렉서블 스테이지(4)와, 어퍼 흡착기구(3) 각각과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곡면 글래스가 와이어 스테이지에 안착되고 디스플레이 유닛이 어퍼 흡착핀에 흡착되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어퍼 흡착아암과 로어 흡착아암이 로어 챔버와 어퍼 챔버 사이에서 외부로 인출 완료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가 플렉서블 스테이지(4)와, 어퍼 흡착기구(3) 사이로 이동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어퍼 구동기구(7) 특히, 어퍼 흡착핀 구동기구(72)를 하강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어퍼 흡착핀(32)은 하강되어 디스플레이 유닛(D)을 흡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로어 아암 로봇(99)을 하강모드로 제어하거나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6)를 상승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곡면 글래스(G)가 와이어 스테이지(5)의 와이어(51)에 안착되는 높이로 하강되게 로어 흡착아암 로봇(99)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00)는 와이어 스테이지(5)의 와이어(51)가 곡면 글래스(G)에 접촉되는 높이로 상승되게 와이어 스테이지 구동기구(6)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10)는 어퍼 흡착핀(32)이 디스플레이 유닛(D)을 흡착하는 높이로 하강되고, 곡면 글래스(G)가 와이어 스테이지(5)의 와이어(51)에 안착되면, 도 7에 도시된 어퍼 흡착아암(9) 및 로어 흡착아암(10)이 로어 챔버(1)와 어퍼 챔버(2) 사이에서 외부로 인출되게 어퍼 흡착아암 로봇(98) 및 로어 흡착아암 로봇(99)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이 어퍼 흡착척에 흡착되고 와이어 스테이지가 플렉서블 스테이지로 하강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이 곡면 글래스로 하강되고 어퍼 챔버가 로어 챔버로 하강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과 곡면 글래스와 합착되는 도중일 때의 단면도이다.
어퍼 흡착아암(9) 및 로어 흡착아암(10)이 로어 챔버(1)와 어퍼 챔버(2) 사이에서 외부로 인출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흡착핀(32)이 디스플레이 유닛(D)을 어퍼 흡착척(31)으로 상승되게 어퍼 흡착핀 구동기구(72)를 상승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글래스(G)가 플렉서블 스테이지(4)에 안착되는 높이로 하강되게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6)를 하강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D)의 상승 및 곡면 글래스(G)의 하강이 완료되면, 제어부(110)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흡착척(31) 및 어퍼 챔버(2)가 하강되게 어퍼 흡착척 구동기구(71) 및 어퍼 챔버 구동기구(8)를 하강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어퍼 챔버(2)의 하강시, 어퍼 챔버(2)의 하단(2A)이 로어 챔버(1)의 상단(1A)에 밀착되는 높이로 어퍼 챔버 구동기구(8)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어퍼 흡착척(31)의 하강시, 어퍼 흡착척 구동기구(71)를 3축 구동시키면서 회전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D)을 곡면 글래스(G)와 얼라인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로어 챔버(2)의 하강시 로어 챔버(1)와 어퍼 챔버(2) 사이에는 로어 챔버(1) 및 어퍼 챔버(2)에 의해 밀폐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어퍼 챔버(2)의 하강이 완료된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어퍼 흡착척(31)이 추가 하강되게 어퍼 흡착척 구동기구(71)을 제어할 수 있고, 이때, 제어부(110)는 유체 조절기(4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플렉서블 스테이지(4)의 상면(4A)이 곡면 글래스(G)의 저면 전체를 감싸게 플렉서블 스테이지(4)의 유체 조절기(41)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는 어퍼 흡착척(31)에서 하측 방향으로가해진 압력과, 플렉서블 스테이지(4)에서 상측 방향으로 가해진 압력에 의해 강하게 밀착되면서 합착될 수 있고, 서로 합착된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는 곡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어퍼 흡착기구가 디스플레이 유닛과 분리되고 어퍼 챔버가 상승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와이어 스테이지가 상승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유닛(D)과 곡면 글래스(G)가 합착되면, 제어부(110)는 어퍼 챔버 구동기구(8) 및 어퍼 흡착척 구동기구(71) 각각을 상승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어퍼 흡착척(31)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글래스(G)와 흡착된 디스플레이 유닛(D)에서 분리될 수 있고, 어퍼 흡착척(31)은 어퍼 챔버(2)와 함께 상승될 수 있다.
어퍼 흡착척(31)과 어퍼 챔버(2)의 상승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곡면 디스플레이의 곡면 글래스(G)가 상승되게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6)를 상승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와이어 스테이지(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디스플레이를 상승시킬 수 있고, 곡면 글래스(G)는 플렉서블 스테이지(4)의 상면(4A)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 흡착아암이 곡면 디스플레이를 이송하기 위해 곡면 글래스의 하측으로 진입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와이어 스테이지(5)에 의해 곡면 디스플레이가 상승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흡착아암(10)이 곡면 글래스(G)의 저면에 접촉되게 로어 흡착아암 로봇(99)을 제어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로어 흡착아암(10)이 곡면 디스플레이를 로어 챔버(1)와 어퍼 챔버(2)의 사이 외부로 인출하게 로어 흡착아암 로봇(99)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곡면 디스플레이(G)와 디스플레이 유닛(D)을 합착하는 도중에, 제어부(110)는 와이어(51)의 장력이 조절되게 텐션 조절기(54)를 제어할 수 있고, 와이어(51)는 곡면 글래스(G)가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합착되게 도울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로어 흡착아암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로어 흡착아암(10')은 로어 프레임(101)과, 한 쌍의 아암(102') 및 한 쌍의 점착 피복(103')을 포함하되, 한 쌍의 아암(102') 및 한 쌍의 점착 피복(103') 각각의 형상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한 쌍의 아암(102')은 서로 동일한 형상일 있고, 아암(102')은 막대 형상의 로어 프레임(101)에 연결된 아암 베이스(102a)와, 아암 베이스(102a)의 상면에 돌출된 돌기(102b)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02b)는 아암 베이스(102a)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102b)는 한 쌍의 측면과, 한 쌍의 측면 상단을 잇는 반원형 형상의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한 쌍의 점착 피복(103')은 서로 동일 형상일 수 있고, 점착 피복(103')은 돌기(102b)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 피복(103')은 돌기(102b)의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점착 피복(103')은 돌기(102b)의 측면을 덮는 로어 피복부(103a)와, 로어 피복부 상단에 형성되어 돌기(102b)의 상면을 덮은 어퍼 피복부(103b)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 글래스(G)의 곡면(C2, 도 1 참조)은 점착 피복(103')의 어퍼 피복부(103b)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로어 흡착아암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로어 흡착아암(10")은 로어 프레임(101)과, 한 쌍의 아암(102") 및 다수의 점착 피복(103")을 포함하되, 한 쌍의 아암(102") 및 다수의 점착 피복(103") 각각의 형상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상이할 수 있다.
한 쌍의 아암(102")은 동일 형상일 있고, 아암(102")은 막대 형상이고 로어 프레임(101)에 연결된 아암 베이스(102a)와, 아암 베이스(102a)의 상면에 돌출된 복수개 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돌기는 아암 베이스(102a)에 함께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 돌기는 아암 베이스(102a)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아암(102")은 하나의 아암 베이스(102a)에 복수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돌기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측면과, 한 쌍의 측면 상단을 잇는 반원형 형상의 상면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전체가 곡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 점착 피복(103")은 동일 형상일 수 있고, 점착 피복(103")은 돌기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 피복(103")은 돌기의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 피복(103")는 저면이 개방된 반 구 형상일 수 있다.
점착 피복(103")은 돌기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점착 피복(103")의 일예는 돌기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와 같이, 측면과 곡면인 상면을 포함할 경우, 돌기의 측면을 덮는 로어 피복부와, 로어 피복부 상단에 형성되어 돌기의 상면을 덮은 어퍼 피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 피복(103")의 다른 예는 돌기가 반구 형상일 경우, 내부가 빈 반구 형상일 수 있다.
곡면 글래스(G)의 곡면(C2, 도 1 참조)은 점착 피복(103")에 접촉될 수 있다.
로어 흡착아암(10")은 아암 베이스(102a)의 길이 방향 및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점착 피복(10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아암 베이스(102a)가 그 길이방향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구성될 경우, 복수개 점착 피복(103") 사이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고,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곡면 글래스(G)에 대응될 수 있다.
로어 베이스(102a)은 로어 프레임(101)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고정 로어 베이스(102c)와, 고정 로어 베이스(102c)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무빙 로어 베이스(102d)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고정 로어 베이스(102c)의 돌기를 감싸는 점착 피복(103")과 무빙 로어 베이스(102d)의 돌기를 감싸는 점착 피복(103")는 로어 베이스(102a)의 전체 길이 따라 서로 간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로어 챔버 2: 어퍼 챔버
3: 어퍼 흡착기구 4: 플렉서블 스테이지
5: 와이어 스테이지 51: 와이어
D: 디스플레이 유닛 G: 곡면 글래스
S1: 로어공간 S2: 어퍼공간

Claims (16)

  1. 디스플레이 유닛을 곡면 글래스에 합착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로어공간이 형성된 로어 챔버와;
    상기 로어 챔버 상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어퍼공간이 형성된 어퍼 챔버와;
    `상기 어퍼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흡착되는 어퍼 흡착기구와;
    상기 로어공간에 수용되고 외형이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스테이지와;
    상기 곡면 글래스가 안착되는 와이어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스테이지는
    어도 일부가 상기 플렉서블 스테이지의 상측에 위치하고 외면에 상기 곡면 글래스가 안착되는 복수개 와이어를 포함하며,
    기 복수개 와이어는 적어도 한 쌍이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복수개 와이어는 상기 플렉서블 스테이지에 안착되거나 상기 플렉서블 스테이지에서 이격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스테이지의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는 이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플렉서블 스테이지에는 상기 이너공간의 유체를 조절하는 유체 조절기가 연결된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로어공간과 어퍼공간 사이로 이송하는 어퍼 흡착아암을 더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챔버를 승강시키는 어퍼 챔버 구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스테이지는
    내부에 이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공간 내의 유체에 의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플렉서블 바디와,
    상기 플렉서브 바디 외면에 형성된 점착부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와이어 각각은
    이너 금속 와이어와,
    상기 이너 금속 와이어를 둘러싸는 점착 피복을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스테이지는 상기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기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조절기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로터와;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스테이지는
    상기 텐션 조절기를 지지하는 텐션 조절기 프레임과;
    상기 로터와 이격되고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커넥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조절기 프레임 및 커넥터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와이어 스테이지 승강기구를 더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조절기 프레임 및 커넥터 프레임 각각은
    상기 스테이지 승강기구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승강 바디와,
    상기 승강 바디에 수평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무빙 바디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글래스를 상기 복수개 와이어 위에 올리는 로어 흡착아암을 더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글래스의 어느 한 곡면에 레진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 흡착아암은 상기 곡면 글래스의 양면 중 상기 레진이 형성된 곡면의 반대편 곡면을 상기 와이어에 올리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흡착아암은
    로어 프레임과,
    상기 로어 프레임에 구비된 한 쌍의 아암과,
    상기 한 쌍의 아암에 배치되고 상기 곡면 글래스와 선접촉되거나 점접촉되는 점착 피복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아암 사이의 간격은 복수개 와이어 사이의 간격 보다 작은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아암 각각은 상기 로어 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흡착기구는
    상기 어퍼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어퍼 흡착척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면이 흡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어퍼 흡착척으로 이동시키는 어퍼 흡착 핀을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KR1020170127389A 2017-09-29 2017-09-29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KR10241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389A KR102418434B1 (ko) 2017-09-29 2017-09-29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PCT/KR2017/012103 WO2019066126A1 (en) 2017-09-29 2017-10-30 CURVED DISPLAY PANEL CONNECTING APPARATUS
EP17926342.1A EP3688746B1 (en) 2017-09-29 2017-10-30 Apparatus for bonding a curved display
CN201780095238.9A CN111133497B (zh) 2017-09-29 2017-10-30 曲面显示器结合设备
US15/837,138 US10603843B2 (en) 2017-09-29 2017-12-11 Curved display bon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389A KR102418434B1 (ko) 2017-09-29 2017-09-29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746A true KR20190037746A (ko) 2019-04-08
KR102418434B1 KR102418434B1 (ko) 2022-07-08

Family

ID=6589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389A KR102418434B1 (ko) 2017-09-29 2017-09-29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03843B2 (ko)
EP (1) EP3688746B1 (ko)
KR (1) KR102418434B1 (ko)
CN (1) CN111133497B (ko)
WO (1) WO20190661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699B1 (ko) 2021-05-16 2022-05-02 송문선 빅 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대화형 노약자 친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1746B (zh) * 2020-05-27 2022-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翻折装置
CN114962403B (zh) * 2022-04-22 2022-12-13 广州韩乐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组合式液晶电视边框与显示板组合设备
CN115159118B (zh) * 2022-07-26 2023-06-23 潍坊新松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一种机器人自动框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701A (ko) * 2014-08-14 2016-02-24 안성룡 곡면형 윈도우 글래스에 플렉시블 소재 합착장치
KR20160043685A (ko) * 2014-10-14 2016-04-22 안성룡 곡면형상 기판에 플렉서블 소재를 합착하는 장치
US9446569B2 (en) * 2013-05-27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10453710B2 (en) * 2015-01-14 2019-10-22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01127A (en) * 1981-07-28 1986-03-14 Ppg Industries Inc Assembling flexible material with a bent glass sheet or sheets to form laminated windscreen
US20040148907A1 (en) * 2001-05-24 2004-08-05 Livio Serafini Method for curving platerboard panels, and components thus obtained
JP2003098533A (ja) * 2001-09-26 2003-04-03 Shibaura Mechatronics Corp 基板の貼合わせ装置、及び貼合わせ方法
KR100652042B1 (ko) * 2001-10-05 2006-11-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JP2003195246A (ja) * 2001-12-14 2003-07-09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固定装置、基板の固定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365851B1 (ko) * 2006-12-22 2014-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래스 반송 장치
US9439315B2 (en) * 2012-06-29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62368A (ko) * 2012-11-14 2014-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8913B1 (ko) * 2013-05-31 2019-1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탈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6403456B2 (ja) * 2014-06-27 2018-10-10 住友化学株式会社 貼合装置、貼合方法、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システムおよび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方法
KR20160070876A (ko) * 2014-12-10 2016-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6151288B2 (ja) * 2015-02-17 2017-06-21 クライ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貼合装置、および貼合方法
CN105629525B (zh) * 2016-01-04 2019-05-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基板弯曲装置、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7015675B (zh) * 2016-01-27 2020-01-07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基板贴合装置及方法
CN107039604B (zh) * 2017-04-18 2018-09-0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贴附装置及其贴附方法
KR102176615B1 (ko) * 2020-07-03 2020-11-09 (주)디바이스이엔지 디스플레이 소자의 트랜스퍼 장치 및 트랜스퍼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6569B2 (en) * 2013-05-27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160020701A (ko) * 2014-08-14 2016-02-24 안성룡 곡면형 윈도우 글래스에 플렉시블 소재 합착장치
KR20160043685A (ko) * 2014-10-14 2016-04-22 안성룡 곡면형상 기판에 플렉서블 소재를 합착하는 장치
KR101676474B1 (ko) 2014-10-14 2016-11-14 안성룡 곡면형상 기판에 플렉서블 소재를 합착하는 장치
US10453710B2 (en) * 2015-01-14 2019-10-22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699B1 (ko) 2021-05-16 2022-05-02 송문선 빅 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대화형 노약자 친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33497B (zh) 2022-04-05
WO2019066126A1 (en) 2019-04-04
CN111133497A (zh) 2020-05-08
EP3688746A4 (en) 2021-03-24
EP3688746A1 (en) 2020-08-05
US20190099958A1 (en) 2019-04-04
US10603843B2 (en) 2020-03-31
KR102418434B1 (ko) 2022-07-08
EP3688746B1 (en)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7746A (ko) 곡면 디스플레이 합착장치
US8393370B2 (en) Substrate laminating apparatus
KR101311855B1 (ko) 기판합착장치 및 기판합착방법
JPWO2018198194A1 (ja) 貼合装置
CN109143642B (zh) 保持装置、定位装置以及贴合装置
CN102169253B (zh) 液晶基板粘合系统
KR100550648B1 (ko) 기판조립장치
US20220250870A1 (en) Folding device
KR20190064081A (ko)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JP3823083B2 (ja) 基板組立装置
JP3823118B2 (ja) 基板組立装置
CN205810778U (zh) 吸附装置
KR100574433B1 (ko) 기판의 접합 장치 및 접합 방법
KR20200129358A (ko) 패널 이송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합착 장치
KR101456693B1 (ko) 기판 합착장치
KR101699718B1 (ko) 듀얼 스테이지를 구비한 진공챔버 합착장치
CN215943726U (zh) 一种屏幕定位贴合设备
KR101912885B1 (ko) 지지 척 및 기판 처리 장치
KR102356123B1 (ko) 라미네이팅 장치의 오토레벨링 시스템
JP2003255311A (ja) 基板貼り合わせ方法及び装置
KR101690560B1 (ko) 기판모듈 얼라인 보정장치
KR101668084B1 (ko) 정압 합착이 가능한 진공 합착장치
CN212460238U (zh) 板件贴合装置
KR20170106573A (ko)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JP3840451B2 (ja) 基板組立装置および基板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