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159A - 배수용 홀 플러그 - Google Patents

배수용 홀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159A
KR20190037159A KR1020180115213A KR20180115213A KR20190037159A KR 20190037159 A KR20190037159 A KR 20190037159A KR 1020180115213 A KR1020180115213 A KR 1020180115213A KR 20180115213 A KR20180115213 A KR 20180115213A KR 20190037159 A KR20190037159 A KR 20190037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ubular portion
drain hole
tank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047B1 (ko
Inventor
요시아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9003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7Water drainage or guide means not integral with roof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1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by means of a plu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패널에 대한 장착상태에 있어서 차외측으로의 돌출량을 줄여도 양호한 배수성을 확보하면서 밖에서 빗물이 차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한다.
(해결 수단) 돌출부 및 통형상부를 구비하고, 차체측 패널의 장착구멍에 대하여 통형상부를 삽입통과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차내에 들어간 빗물 등의 액을 통형상부의 통내에 유입시키고, 유입된 통내의 액을 돌출부에 형성된 배수구멍으로부터 차외로 유출시키는 배수용 홀 플러그로서, 돌출부는 대략 접시형상의 플랜지(1)로 이루어지고, 해당 플랜지의 내면측에 통형상부(2)를 돌출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배수구멍(14)을 갖고, 통형상부(2)는 주위에 형성되어 장착구멍(4a)에 걸거나 벗기는 걸어맞춤다리(25) 및 배수구멍(14)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해당 배수구멍의 수평단면보다 크고, 또한 통내와 배수구멍을 연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차폐벽(24)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배수용 홀 플러그{HOLE PLUG FOR DRAIN}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체측 패널에 장착되어 차내에 들어간 빗물 등의 액(이 빗물 등의 액은 예를 들어 도어의 포켓이나 러기지 룸에 모인 액 등을 포함한 광의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이하 동일함)을 차외로 유출시키는 배수용 홀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홀 플러그이다. 이 플러그 구조는 단일의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통형상부(1) 및 돌출부인 커버부(5)를 구비하고, 차체측 패널(9)의 장착구멍(99)에 대하여 통형상부(1)를 삽입통과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차내에 들어간 빗물 등의 액을 통형상부(1)내의 공동부(11)에 유입시키고, 유입된 통내의 액을 커버부(5)에 형성된 배수로(6)로부터 차외로 유출시킨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형상부(1)는 내부에 형성된 세로통형상의 공동부(11)와, 외주부에 형성된 탄성변위 가능한 걸어맞춤돌조(2)를 갖고 있다. 커버부(5)는 세로통형상 공동부(11)에 연속해서 형성된 컵형상의 물고임부(3)와, 물고임부(3)의 외주부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배수로(6)와, 물고임부(3)와 배수로(6)를 연통하고 있는 연통로(4)와, 걸어맞춤돌조(2)와 마주보는 측에 형성되어 탄성변형 가능한 지느러미형상 플랜지부(55)를 갖고 있다. 연통로(4)는 공동부(11)와 물고임부(3)를 형성하는 공간부의 접합부 근방에 배수로(6)의 일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사용상태에 있어서 차실내에 침입한 빗물은 물고임부(3)으로부터 연통로(4)를 통해 배수로(6)측으로 배출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4409457호 공보
상기한 플러그 구조에서는 연통로(4)가 공동부(11)와 물고임부(3)를 형성하는 공간부의 접합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고임부(3)에 들어간 물은 연통로(4)의 높이까지는 배수로(6)로부터 밖으로 양호하게 배출되지만, 연통로(4)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모인 물은 배출되지 않고, 주행진동 등에 의해 공동부(11)로부터 차내로 튈 우려가 있다. 또한, 세차나 호우 등에 있어서 물이 밖에서 배수로(6)에 침입하면 연통로(4)로부터 물고임부(3), 또한 공동부(11)측으로 들어오기 쉽다. 이 배수로(6)로부터 물고임부(3)측으로의 침입을 억제하려면 커버부(5)의 돌출량을 크게 하여 배수로(6)를 길게 하는 것이 유효하지만, 커버부의 돌출량을 크게 할수록 외관이 나빠지며 경량화를 희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에 대한 장착상태에 있어서 차외측으로의 돌출량을 줄여도 양호한 배수성을 확보하면서 밖에서 빗물이 차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설명중에서 분명히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돌출부 및 통형상부를 구비하고, 차체측 패널의 장착구멍에 대하여 상기 통형상부를 삽입통과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차내에 들어간 빗물 등의 액을 상기 통형상부의 통내에 유입시키고, 유입된 통내의 액을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배수구멍으로부터 차외로 유출시키는 배수용 홀 플러그로서, 상기 돌출부는 대략 접시형상의 플랜지로 이루어지고, 해당 플랜지의 내면측에 상기 통형상부를 돌출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배수구멍을 갖고, 상기 통형상부는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구멍에 걸거나 벗기는 걸어맞춤다리 및 상기 배수구멍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해당 배수구멍의 수평단면보다 크고, 또한 통내와 상기 배수구멍을 연통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차폐벽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5로 특정한 바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 상기 통형상부내와 상기 배수구멍은 상기 통형상부의 통내에 있으며 내주면과 상기 차폐벽의 측면의 사이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차폐벽의 하측을 지나 상기 배수구멍까지 연장되어 있는 연통로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
(나) 상기 차폐벽은 상기 통형상부가 상기 패널의 장착구멍에 상기 걸어맞춤다리를 개재하여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통형상부의 통내 중 통 안쪽 내지는 상기 패널과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3).
(다) 상기 걸어맞춤다리는 상기 통형상부에 한 쌍의 세로슬릿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또한 선단이 상기 플랜지의 내면측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4).
(라) 상기 차폐벽은 상기 플랜지 및 통형상부와 함께 수지로 일체성형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5).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패널의 장착구멍에 대하여 걸어맞춤된 사용상태에 있어서, 차내에 침입한 빗물 등의 액은 통형상부의 통내로부터 차폐벽에 방해받지 않고 배수구멍을 지나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세차나 호우 등에 있어서 물이 밖에서 배수구멍에 침입하면, 배수구멍의 바로 위에 형성되어 배수구멍의 수평단면보다 큰 차폐벽에 닿아 튀어 되돌아오기 때문에 통형상부의 통내측으로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홀 플러그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배수구멍에 침입한 액이 차폐벽에 닿아 튀어 되돌아오기(이하 이것을 액의 되튐작용이라고 함) 때문에, 특허문헌 1의 커버부와 같이 돌출량을 크게 확보하지 않아도 되며 외관향상과 경량화를 모두 도모하기 쉬운 등의 이점을 갖고 있다. 물론 패널에 대한 장착작업은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걸어맞춤다리에 의해 원터치로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통형상부내와 배수구멍이 통형상부의 내주면과 차폐벽의 사이를 통과하고, 또한 차폐벽의 하측을 지나 배수구멍까지 연장되어 있는 연통로를 개재하여 연통되기 때문에, 전술한 배수구멍에 밖에서 침입한 액이 통형상부의 통내로 흐르기 어려워지고, 나아가서는 돌출부로서 편평한 플랜지구조를 채택 가능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패널에 대한 장착상태에서 차폐벽이 통형상부의 통내 중 통 안쪽 내지는 패널과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액의 되튐작용을 양호하게 유지 가능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걸어맞춤다리가 통형상부에 한 쌍의 세로슬릿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또한 선단이 플랜지의 내면측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4(b)와 도 10(b)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다리의 변위정도를 억제하여 걸어맞춤력을 강하게 하거나 걸어맞춤상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차폐벽이 플랜지 및 통형상부와 함께 수지로 일체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일체 성형에서는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지사출형성금형으로서 차폐벽이 통형상부의 통내형성용 및 배수구멍형성용의 상하형틀을 적어도 사용하여 구획된 성형공간에 의해 형성 가능해지는 점, 청구항 2의 연통로가 세로슬릿을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딩형틀을 사용하여 형성 가능해지는 점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형태의 배수용 홀 플러그를 나타내고, (a)는 상측에서 본 개략 외관도, (b)는 아래위를 거꾸로 한 상태에서의 개략 외관도이다.
도 2의 (a)와 (b)는 상기 홀 플러그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의 (a)와 (b)는 상기 홀 플러그의 상면도와 하면도이다.
도 4의 (a)와 (b)는 도 2의 A-A선 단면도와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홀 플러그용 성형금형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상기 홀 플러그의 배수작용을 나타내며, (a)는 패널 위쪽에서 본 도면, (b)는 (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홀 플러그의 변형예 1을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의 A1-A1선 단면도, (c)는 (b)의 B1-B1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홀 플러그의 변형예 2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의 A2-A2선 단면도, (c)는 (b)의 B2-B2선 단면도이다.
도 10의 (a)와 (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물기제거용 플러그(특허문헌 1의 도 1과 도 3)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 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형태의 홀 플러그의 구조, 그 주된 작동, 변형예 1과 2의 순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조)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배수용 홀 플러그(3)는 수지의 사출성형체로 이루어지고, 돌출부인 플랜지(1) 및 플랜지(1)의 내면측으로 돌출된 통형상부(2)를 구비하고, 차체측 패널(4)의 장착구멍(4a)에 대하여 통형상부(2)를 삽입통과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차내에 들어간 빗물 등의 액을 통형상부(2)의 통내(20)에 유입시킴과 함께 플랜지(1)에 형성된 배수구멍(14)으로부터 차외로 유출시키는 것이다. 주된 고안점은 플랜지(1)가 대략 접시형상을 이루고, 세로구멍형상의 배수구멍(14) 및 내면측에 통형상부(2)를 돌출형성하고 있는 점, 통형상부(2)가 주위에 형성된 걸어맞춤다리(25)에 더하여 배수구멍(14)의 바로 위에 위치한 차폐벽(24) 및 통내(20)와 배수구멍(14)을 연통하고 있는 비직선형의 연통로(28)를 갖고 있는 점에 있다. 이하, 이들의 세부를 분명히 한다.
플랜지(1)는 원반형상의 중앙부(10)과 중앙부(10)의 주위에 일체화되어 있는 우산형상의 차양부(11)로 이루어진다. 중앙부(10)에는 배수구멍(14)이 중심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이 배수구멍(14)은 후술하는 연통로(28)를 개재하여 통형상부(2)의 통내(20)와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플랜지(1)의 형상은 원형접시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타원접시형상, 직사각형의 접시형상 등이어도 상관없다. 마찬가지로 배수구멍(14)은 직육면체의 구멍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정육면체, 또한 단면이 다각형, 원형, 타원형인 구멍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이 예에서는 배수구멍(14)을 구획하고 있는 대향한 긴 면이 통형상부(2)의 걸어맞춤다리(25)와 대응하는 측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차양부(11)는 둥근 차양모양이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10)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 차양부(11)는 통형상부(2)가 장착구멍(4a)에 걸어맞춤다리(25)를 개재하여 걸어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차양선단이 패널(4)의 외면에 밀접하는 형상으로, 빗물 등의 액이 차양선단과 패널(4)의 사이를 통해 침입하여 장착구멍(4a)으로부터 패널(4)의 내측으로 예기치 않게 침입하지 않도록 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형상부(2)는 중앙부(10) 내면에 세워 형성된 원통형상이고, 주위에 대향하고 있는 2개의 걸어맞춤다리(25)와, 통내(20)의 안쪽에서 배수구멍(14)의 바로 위에 배치된 차폐벽(24)과, 통내(20)와 배수구멍(14)을 연통하고 있는 연통로(28) 등을 일체로 갖고 있다.
각 걸어맞춤다리(25)는 상단(25a)을 통형상부(2)의 상부에 접속하고, 하단(25b)을 통형상부(2)의 하부 내지는 플랜지(1)에 접속하고, 대략 중간부에 돌출형성한 걸어맞춤단차(25c)를 갖고 있다. 또한, 걸어맞춤다리(25)는 세로슬릿(21)끼리의 사이에 구획되어 탄성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세로슬릿(21)은 홈폭이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앙부(10)에 가까워지는 하부(21a)가 상부측에 비하여 약간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사출성형에 의해 후술하는 연통로(28)를 형성할 때 차폐벽(24)의 하측에 배수구멍(14)에 통하도록 형성되는 가로구멍(28b)의 구멍폭을 소정 크기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차폐벽(24)은 배수구멍(14)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해당 배수구멍의 수평단면보다 한 둘레 크게 되어 있는 점, 통내(20)와 배수구멍(14)을 연통로(28)를 개재하여 연통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 홀 플러그(3)가 패널의 장착구멍(4a)에 걸어맞춤다리(25)를 개재하여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통내(20) 중 통 안쪽 내지는 패널(4)과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는 점 등이 중요한 구성이 된다.
이 중 차폐벽(24)의 크기 및 통내(20)의 안쪽에 형성한다는 구성은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밖에서 배수구멍(14)에 침입한 빗물 등의 액이 배수구멍(14)보다 큰 차폐벽(24)에 닿아 튀어 되돌아오기 쉽게 함과 함께 연통로(28)를 통해 통내(20)측으로 흘러들기 어렵게 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요건이 된다.
여기서 연통로(28)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내(20)와 배수구멍(14)이 통내측으로부터 차폐벽(24)의 측면(23)을 통과하고, 또한 차폐벽(24)의 하측을 지나 배수구멍(14)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연통로(28)는 도 3 및 도 7의 각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폐벽(24) 중 각 세로슬릿(21)과 대향하는 벽부분에 있으며 통내(20)의 내주면과 차폐벽(24)의 사이를 대략 D자 형상으로 잘라낸 좌우의 세로구멍(28a)과,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세로구멍(28a)의 하측에서 세로슬릿(21)의 대응부로부터 차폐벽(24)의 하면측을 지나 배수구멍(14)까지 잘라내진 가로구멍(28b)으로 구획형성되어 있다.
세로구멍(28a)은 통내(20)의 내주면과 차폐벽(24)의 대응측면(23)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벽(24)의 두께에 상당하는 구멍이다. 가로구멍(28b)은 각 세로구멍(28a)의 하측에 있어서 각 세로슬릿(21)의 연장선에 형성된 한쪽 2개, 합계 4개의 구멍이다. 가로구멍(28b)끼리의 사이는 도 7(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칸막이벽(22)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 칸막이벽(22)은 통내(20)에 있으며, 세로슬릿(21)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걸어맞춤다리(25)에 대응한 벽부분이다.
(작동)
다음에 이상의 홀 플러그(3)의 주된 작동에 대하여 분명히 한다.
(1) 홀 플러그(3)는 사출성형금형을 이용하여 수지성형된다. 이 때문에 차폐벽(24) 및 연통로(28)는 플랜지(1) 및 통형상부(2)와 함께 수지로 일체로 성형된다. 도 6은 해당 사출형성금형에 있어서 도 5의 단면에 대응한 개소의 금형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금형 구성에 있어서 차폐벽(24)은 통형상부(2)의 통내(20)를 형성하는 상형틀(5) 및 플랜지(1)의 배수구멍(14)을 형성하는 하형틀(6)을 적어도 사용하여 구획된 형성공간(2B)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연통로(28) 중 세로구멍(28a)은 상형틀(5)의 선단형상에 의해 형성 가능해진다. 연통로(28)의 가로구멍(28b)은 각 세로슬릿(21)을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딩형틀(8A, 8B) 등을 사용하여 형성 가능해진다. 따라서, 형태예의 홀 플러그(3)는 배수구멍(14)의 수평단면보다 큰 되튐용 차폐벽(24) 및 비직선형상의 연통로(28)를 갖고 있어도 대량생산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며 성형성이 우수하다.
(2) 도 7은 홀 플러그(3)가 차체측 패널(4)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홀 플러그(3)는 패널에 대한 장착조작에 있어서 패널의 장착구멍(4a)에 통형상부(2)를 밀어넣음 조작하면, 밀어넣음 도중에서 걸어맞춤다리(25)가 통내(20)측으로 직경이 축소 변위하고, 장착구멍(4a)을 통과하면 원상태로 복귀하여 장착구멍(4a)에 걸어맞춤되어 동 (b)와 같이 차양부(11)가 패널(4)에 압접한 상태로 유지된다. 장착된 사용상태에서는 차양부(11)의 선단이 패널(4)의 외면에 압접하고 있기 때문에 빗물 등의 액이 차양선단과 패널(4)의 사이로부터 차양부(11) 내측으로 침입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다리(25)는 통형상부(2)에 한 쌍의 세로슬릿(21)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또한 선단이 플랜지의 내면측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도 4(b)와 도 10(b)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다리의 변위정도를 억제하여 걸어맞춤력을 강하게 하거나 걸어맞춤상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홀 플러그(3)의 사용상태에서는 차내에 침입한 빗물 등의 액이 통형상부(2)의 통내(20)에 세로슬릿(21) 등을 통해 유입되면 차폐벽(24)에 방해받지 않고 세로구멍(28a) 및 가로구멍(28b)으로 형성된 연통로(28)로부터 배수구멍(14)을 지나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 가능해진다.
(4) 또한, 세차나 호우 등에 있어서 물이 밖에서 배수구멍(14)으로 침입하면, 배수구멍(14)의 바로 위에 형성되어 배수구멍(14)의 수평단면보다 큰 차폐벽(24)에 닿아 튀어 되돌아오기 때문에 통형상부(2)의 통내측으로의 침입을 확실히 억제 가능하게 된다. 이 홀 플러그(3)에서는 배수구멍(14)에 침입한 액이 차폐벽(24)에 닿아 튀어 되돌아오는 이른바 액의 되튐작용 때문에 특허문헌 1에 비해 패널 외측으로의 돌출량을 크게 확보하지 않아도 되며, 외관 향상과 경량화를 모두 도모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이 차폐벽(24)은 통형상부의 통내(20) 중, 통 안쪽 내지는 패널(4)과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의 되튐작용이 최적의 상태로 발휘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통로(28)는 세로구멍(28a) 및 가로구멍(28b)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선형상 배수로의 구성에 비해 역류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변형예)
도 8 및 도 9는 이상의 홀 플러그의 변형예 1과 2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설명에서는 중복 기재를 최대한 피하기 위해서 상기 형태와 동일한 부위 내지는 작용적으로 동일한 부위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변경점을 분명히 한다.
도 8에 도시한 변형예 1의 홀 플러그(1)는 플랜지(1)의 차양부(11)가 상기 형태에 비해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 6의 사출형성금형에 있어서 연통로(28)의 가로구멍(28b)은 각 세로슬릿(21)을 형성하기 위한 슬라이딩형틀(8A, 8B)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점에서 상기 형태와 동일하지만, 예를 들어 상기 형태에 비해 사출성형후의 슬라이딩형틀(8A, 8B)의 형틀제거조작에서의 슬라이딩 저항을 완화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하여 도 9에 도시한 변형예 2의 홀 플러그(1)는 플랜지(1)의 차양부(11)가 상대적으로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통로(28)를 구성하고 있는 가로구멍(28b)끼리의 사이는 도 9(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칸막이벽(22A)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 칸막이벽(22A)은 형태 및 변형예 1의 칸막이벽(22)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고, 차폐벽(24)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6의 사출성형금형에 있어서 상형틀(5)의 중앙부에 돌출되어 있는 통내형성용 돌출부 선단의 형상이 단면을 대략 평탄면이 되도록 변경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청구항으로 특정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세부는 이상의 형태나 각 변형예를 참고로 하여 더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한 것이다. 그 예를 들면 통형상부의 통내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세로통형상의 복수의 공동부로 나누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플러그 형상으로서는 플랜지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하거나 통형상부를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걸어맞춤다리는 통형상부의 주위에 형성되어 패널의 장착구멍에 걸거나 벗기는 구성이면 되고, 다리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작은 돌기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용도는 자동차에 한정되지 않고, 차체로서 예를 들어 농기구나 토목공사용 트랙터, 또한 그 외의 탈것이어도 된다.
1 - 플랜지(돌출부)(10은 중앙부, 11은 차양부)
2 - 통형상부(20은 통내)
3 - 홀 플러그
4 - 패널(4a는 장착구멍)
14 - 배수구멍
21 - 세로슬릿
24 - 차폐벽(23은 측면)
25 - 걸어맞춤다리(25a는 기단, 25b는 선단)
25c - 걸어맞춤단차
28 - 연통로(28a는 세로구멍, 28b는 가로구멍)
5 내지 8 - 사출성형금형을 구성하고 있는 각 슬라이딩형틀

Claims (5)

  1. 돌출부 및 통형상부를 구비하고, 차체측 패널의 장착구멍에 대하여 상기 통형상부를 삽입통과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차내에 들어간 빗물 등의 액을 상기 통형상부의 통내에 유입시키고, 유입된 통내의 액을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배수구멍으로부터 차외로 유출시키는 배수용 홀 플러그로서,
    상기 돌출부는 대략 접시형상의 플랜지로 이루어지고, 해당 플랜지의 내면측에 상기 통형상부를 돌출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배수구멍을 갖고,
    상기 통형상부는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구멍에 걸거나 벗기는 걸어맞춤다리 및 상기 배수구멍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해당 배수구멍의 수평단면보다 크고, 또한 통내와 상기 배수구멍을 연통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차폐벽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홀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내와 상기 배수구멍은 상기 통형상부의 통내에 있으며 내주면과 상기 차폐벽의 사이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차폐벽의 하측을 지나 상기 배수구멍까지 연장되어 있는 연통로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홀 플러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폐벽은 상기 통형상부가 상기 패널의 장착구멍에 상기 걸어맞춤다리를 개재하여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통형상부의 통내 중 통 안쪽 내지는 상기 패널과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홀 플러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다리는 상기 통형상부에 한 쌍의 세로슬릿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또한 선단이 상기 플랜지의 내면측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홀 플러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벽은 상기 플랜지 및 통형상부와 함께 수지로 일체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홀 플러그.

KR1020180115213A 2017-09-28 2018-09-27 배수용 홀 플러그 KR102110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88671 2017-09-28
JP2017188671A JP6826514B2 (ja) 2017-09-28 2017-09-28 排水用ホールプラ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159A true KR20190037159A (ko) 2019-04-05
KR102110047B1 KR102110047B1 (ko) 2020-05-12

Family

ID=6580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213A KR102110047B1 (ko) 2017-09-28 2018-09-27 배수용 홀 플러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15259B2 (ko)
JP (1) JP6826514B2 (ko)
KR (1) KR102110047B1 (ko)
CN (1) CN1095725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4262B2 (en) 2017-01-12 2020-03-31 Bell Helicopter Textron Inc. Flexible aircraft seat configurations
US11608893B2 (en) * 2018-05-25 2023-03-21 Illinois Tool Works Inc. Light weight hole plug
US10926861B2 (en) * 2018-06-04 2021-02-23 Textron Innovations Inc. Puck cover
KR20210076498A (ko) * 2019-12-16 2021-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웨이 플러그
CN113276963A (zh) * 2021-05-27 2021-08-20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封堵件及车辆
CN113815733B (zh) * 2021-09-06 2022-08-23 浙江零跑科技股份有限公司 兼顾防水和排水的汽车用堵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9457A (en) 1979-03-08 1983-10-11 Bridgeport Tire Co. Ltd. System for manufacturing tire molding metal molds wi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KR0125828Y1 (ko) * 1995-12-07 1998-09-15 한승준 차체의 배수 글로멧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11B2 (ja) * 1980-12-12 1984-01-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
JP4409457B2 (ja) * 2005-02-09 2010-02-03 日本スタッドウェルディング株式会社 水抜き用プラグ
JP4409458B2 (ja) * 2005-02-09 2010-02-03 日本スタッドウェルディング株式会社 水抜き用プラグ
US7240700B2 (en) * 2005-04-04 2007-07-10 Illinois Tool Works Inc Noise blocking drain plug
JP4715620B2 (ja) * 2006-04-28 2011-07-0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排水構造
KR20090062294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수를 위한 플러그
JP5334176B2 (ja) * 2009-03-06 2013-11-06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CN201544882U (zh) * 2009-11-17 2010-08-11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用排水装置及汽车地板
KR101382886B1 (ko) 2012-07-20 2014-04-08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자동차 트렁크용 밸브형 드레인 플러그
JP6463165B2 (ja) * 2015-02-19 2019-01-3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取付孔への係止具
JP6673727B2 (ja) * 2016-03-18 2020-03-25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オープンカーの排水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9457A (en) 1979-03-08 1983-10-11 Bridgeport Tire Co. Ltd. System for manufacturing tire molding metal molds wi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KR0125828Y1 (ko) * 1995-12-07 1998-09-15 한승준 차체의 배수 글로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15259B2 (en) 2022-08-16
JP2019065878A (ja) 2019-04-25
KR102110047B1 (ko) 2020-05-12
CN109572586A (zh) 2019-04-05
CN109572586B (zh) 2022-03-08
US20190093812A1 (en) 2019-03-28
JP6826514B2 (ja)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7159A (ko) 배수용 홀 플러그
CN109253206B (zh) 液压发动机悬置
WO2012077507A1 (ja) 車両ドア用ベルトモール
KR100550621B1 (ko) 캐리어 구조
KR20170139691A (ko) 전기식, 기계식, 또는 전자기계식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용 환기 부품
US10189193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luid container for a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fluid container
KR20170038948A (ko)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US9610828B2 (en) Transmitted sound insulating member, and transmitted sound insulating structure including the transmitted sound insulating member
KR101744897B1 (ko) 차량 리어패키지트레이의 취부 구조
CN106183755A (zh) 用于车辆的车门装饰板和车门内挡水条的结构
US10531169B2 (en) Combination glove box and speaker box device
JP2008184001A (ja) 車両用ドアトリム構造
JP4597000B2 (ja) バンパーラバーおよびバンパーラバーの製造方法
US20210188171A1 (en) Vehicle door mirror
CN116096593A (zh) 一体车窗调节器及其制作方法
JP4398041B2 (ja) 自動車用アームレ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15711B1 (ko) 차량용 오버슬램 범퍼
JP2019139976A (ja) グロメット
JP6100670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6146619B2 (ja) 車両用電子キー
JP4409457B2 (ja) 水抜き用プラグ
JP6115733B2 (ja) 車両用電子キー
KR100792900B1 (ko) 자동차의 도어프레임 커버
JP4297005B2 (ja) 自動車用外装部品
WO2019123598A1 (ja) 車両用ドアトリム及び車両用ドアトリ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