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980A -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 - Google Patents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980A
KR20190035980A KR1020170123275A KR20170123275A KR20190035980A KR 20190035980 A KR20190035980 A KR 20190035980A KR 1020170123275 A KR1020170123275 A KR 1020170123275A KR 20170123275 A KR20170123275 A KR 20170123275A KR 20190035980 A KR20190035980 A KR 20190035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rotruding
hollow tube
guide path
tub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376B1 (ko
Inventor
박석호
최현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2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3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4Suc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6Biopsy forceps, e.g. with cup-shaped ja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하여 연속 생검이 가능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관부와, 중공관부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중공관부의 타측 단부에서 생체조직의 표면을 흡입하는 흡입 수단과, 중공관부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블레이드유도로를 구비하는 몸체; 및 판형이며 블레이드유도로에 수용되며, 타측 끝단에 블레이드날을 구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블레이드가 블레이드유도로를 통하여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몸체의 타측 단부에서 블레이드가 돌출하되, 중공관부측으로 기울어져 돌출됨으로써, 흡입수단에 의해 흡입된 생체조직을 용이하게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Biopsy Module with Extended Blade and Suction Means}
본 발명은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생검 시술 조건에서 연속 생검이 가능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은 악어형(alligator jaw type)과 니들형(needle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악어형 생검 모듈의 작동 상태 사시도이며, 도 1b는 종래의 니들형 생검 모듈의 작동 상태 측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이동작동수단(P13)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악어형 겸자절단수단(P11)이 오무려짐과 벌어짐 작동을 반복한다. 겸자절단수단(P11)의 오무려짐과 벌어집 작동으로 생체 조직이 절단되고, 절단된 생체 조직은 내측공간(P12)에 보관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삽입부(P21)의 측면에 보관홈(P22)이 형성된다. 블레이드 절단수단(P23)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절단 작용하고, 동시에 보관홈(P22)을 개폐한다. 삽입부(P21)가 생체 조직에 삽입되면, 삽입부 측면의 생체 조직이 보관홈(P22)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블레이드 절단수단(P23)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보관홈(P22) 내측으로 밀려들어 간 생체 조직을 절단한다. 블레이드 절단수단(P23)은 보관홈(P22)을 닫으며, 절단된 생체 조직은 보관홈(P22) 내부에 보관된다.
한편, 적출대상이 되는 인체 장기는 그 크기와 경화 상태가 각각 다르고, 환자에 따라서 생검의 조건도 다양하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한 종래의 생검 모듈을 이용하면, 정확한 위치 및 필요한 크기 조직을 적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도 1a에 도시한 종래의 악어형 생검 모듈은, 생체 조직 표면에서 일정 깊이 이내의 조직을 적출하는데 적합하다. 그러나 장기 깊은 곳에 위치하는 적출 대상을 절단하여 적출하는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1b에 도시한, 종래의 니들형 생검 모듈은, 생체 조직 안으로 삽입되어 조직 깊은 곳에서 생검이 가능하다. 그러나 적출되어야 하는 조직 자체의 두께가 얇거나, 조직 적출 대상이 장기의 표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조직 적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미국 공개 특허 US 2006/0178699 A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악어형 생검 모듈과 니들형 생검모듈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1회의 내시경 시술로 복수의 생체 조직을 적출하고 보관할 수 있는,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중공관부와, 중공관부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중공관부의 타측 단부에서 생체조직의 표면을 흡입하는 흡입 수단과, 중공관부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블레이드유도로를 구비하는 몸체; 및 판형이며 블레이드유도로에 수용되며, 타측 끝단에 블레이드날을 구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블레이드가 블레이드유도로를 통하여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몸체의 타측 단부에서 블레이드가 돌출하되, 중공관부측으로 기울어져 돌출됨으로써, 흡입수단에 의해 흡입된 생체조직을 용이하게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유도로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하면서 중공관부로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는 돌출각도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돌출각도조절부의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서 블레이드가 생체조직을 절단하는 깊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이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돌출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제1몸체와 제1몸체를 제외한 제2몸체로 분리되어, 돌출각도조절부의 특정한 각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서로 다른 제1몸체를 선택하여, 제2몸체에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이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중공관부의 직경은, 타측 단부에 인접하여,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그 직경이 커졌다가 다시 작아지는 형상이며, 블레이드유도로 및 블레이드는 중공관부의 길이방향 형상과 맞춤됨으로써, 돌출된 블레이드의 돌출방향이 중공관부 측으로 내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이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몸체는, 타측 끝단에 블레이드유도로 외측에 배치되는 강성링을 더 구비하여, 블레이드유도로를 통하여 돌출되는 블레이드의 절단력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 블레이드의 돌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종래의 악어형 생검 모듈과 니들형 생검모듈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수단 및 중공관부를 이용함으로써, 1회의 내시경 시술로 복수의 생체 조직을 적출하고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a는 종래의 악어형(alligator jaw type) 생검 모듈의 작동 상태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니들형(needle type) 생검 모듈의 작동 상태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의 블레이드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의 측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내시경용 생검 모듈의 블레이드가 돌출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의 돌출블레이드 돌출각도(θ1)가 작은 경우의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의 돌출블레이드 돌출각도(θ2)가 큰 경우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에 돌출각도가 작은 제1몸체가 결합된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에 돌출각도가 큰 제1몸체가 결합된 측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 1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의 블레이드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도2a의 내시경용 생검 모듈의 블레이드가 돌출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생검 모듈은, 관형의 몸체(100)와 몸체(100)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블레이드(20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몸체(100)는, 중공관부(110)와 중공관부(11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흡입수단(120) 및 블레이드유도로(130)로 구성된다. 중공관부(110)는,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중공관부(100)의 직경 d1, d2 및 d3 상호간에는, d2>d3,d1의 관계식을 가질 수 있다.
즉, 일측 단부에 인접한 중공관부(110) 직경 변화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커졌다(d2)가 작아질 수 있다(d3). 중공관부(110)의 직경이 큰 위치(d2)는, 절단된 생체조직이 보관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좁아진(d3) 중공관부(110)는 흡입력을 높이며, 이미 절단되어 보관된 생체조직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흡입수단(120)은 중공관부(110)의 타측 단부에 흡입력을 인가하여, 생체조직(10)의 표면을 흡입한다. 블레이드(200)에 의해서 조직이 절단되면, 흡입수단(120)의 흡입력이, 절단된 조직(11)을 중공관부(110)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블레이드유도로(130)는 블레이드(200)를 수용하며, 블레이드(200)가 일측-타측방향으로 안내한다. 블레이드(200)는 타측 끝단에 블레이드날(210)을 구비하여, 돌출하는 과정에서 돌출방향 전방의 생체 조직을 절단할 수 있다. 블레이드(200)의 일측 끝단에는 와이어(220)가 구비되어, 블레이드(200)의 일측-타측 왕복 이동하는데 필요한 작동력을 제공한다.
제 1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생검 모듈은, 와이어(220)로부터 작동력을 제공받은 블레이드(200)가,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블레이드(200)가 몸체(100) 타측 단부에서 돌출하면, 블레이드날(210)이 생체조직을 절단한다.
중공관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흡입수단(120)은, 중공관부의 타측 단부인 흡입부(121)에 흡입력을 발생한다.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된 생체조직 표면의 일부는 흡입부(121) 안으로 인입하고, 몸체(100)는 생체조직에 흡착고정된다. 흡입부(121) 인근의 생체조직(11)은 돌출하는 블레이드(200)에 의해서 절단된다. 흡입부에서 흡입력이 지속됨으로써, 절단된 생체조직(11)은 중공관부(110)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보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은, 조직흡입, 조직절단, 조직이동, 조직보관의 개별 작동을, 상호 유기적이며 순차적으로 일괄 수행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의 돌출블레이드 돌출각도(θ1)가 작은 경우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의 돌출블레이드 돌출각도(θ2)가 큰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블레이드유도로(13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각도조절부(131)가 형성된다. 돌출각도조절부(131)는 돌출각도(θ1,θ2)가 서로 다르도록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200)는, 중공관부(110)측으로 내향하되, 서로 다른 각도로 내향 돌출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은, 돌출각도조절부(131)에 형성되는 블레이드유도로(130)와 몸체(100)의 길이방향 축이 이루는 돌출각도가 작다. 따라서, 생체 조직 깊은 곳의 조직 적출에 적합하다. 그러나 도 3b에 도시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은, 돌출각도가 크기 때문에, 조직 표면에서 조직 적출이 용이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블레이드와 흡입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은, 돌출각도조절부(131)에 형성되는 블레이드유도로(13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종래의 악어형 생검 모듈과 니들형 생검모듈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체 조직의 경질 여부, 크기, 모양에 따라서, 다양한 조직 적출 방법으로 작동하는 생검 모듈이 필요하다.
표면이 경화되어 신축성이 떨어지는 생체 조직에, 도 1a에 도시된 악어형 생검 모듈 또는 도 3b에 도시된 돌출각도(θ1)가 작은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을 사용하면, 조직 적출이 매우 어렵다. 반면에 도 1b 에 도시된 니들형 생검 모듈을 또는 도 3a에 도시된 돌출각도(θ2)가 큰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조직을 적출할 수 있다.
그러나, 경화되어 신축성이 떨어지는 생체 조직이, 도 1b의 생검 모듈 측면에 형성된 보관홈(P22)으로 밀려 들어가기 어렵다. 또한, 장기 표면에서의 조직 절단을 할 경우에 용이하지 않다. 반면에, 도 3b의 본 발명에 따른 생검 모듈은 흡입구(121)를, 적출할 조직 표면에 흡착시키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서 조직 적출이 가능하다. 또한, 돌출 블레이드가 조직 표면과 큰 각도를 이루며 삽입되기 때문에, 흡입된 조직 표면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생체 장기의 표면에서 넓게 조직을 절단하여 적출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도 1a 에 도시된 악어형 생검 모듈 또는 도 3b에 도시된 돌출각도(θ1)가 작은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이 적합하다. 그러나, 도 1a의 생검모듈은 정확한 위치에서 조직을 적출하기 어렵고, 적출된 조직이 내측 공간(12)으로 원활히 이동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이동력과 외부와 격리되는 안내 경로가 필요하다. 반면에, 도 3a의 생검모듈은 흡입부(121)에서 조직이 흡입된 상태로, 블레이드(200)에 의해서 절단 작용이 수행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조직 절단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흡입수단(120)이 계속 작동되면, 절단된 조직이 중공관부(110)의 일측으로 원활히 이동 되어 보관 된다.
변형 실시예의 동작
상기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로서, 블레이드 돌출 각도를 결정하는 돌출각도조절부를 교환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생검 모듈로서 종래의 니들형 및 악어형 생검 모듈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에 돌출각도가 작은 제1몸체가 결합된 측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에 돌출각도가 큰 제1몸체가 결합된 측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생검 모듈은, 종래의 악어형과 니들형 생겸 모듈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블레이드유도로(131)는 몸체(100)와 일체형으로이므로, 한번 제조되면 그 각도를 바꿀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가 돌출각도조절부(131)를 포함하는 제1몸체(140)와 이를 제외한 제2몸체(150)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140)와 제2몸체(150)는 서로 나사 결합하도록, 나사산(141, 151)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제2몸체(150)에, 서로 다른 각도의 블레이드유도로(130)가 구비된 서로 다른 제1몸체(140)가 탈착 가능하다. 시술 현장에서 생검모듈의 돌출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몸체(100)의 타측 끝단에, 블레이드유도로(130) 외측에 배치되는 강성링(1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블레이드유도로(130)를 이용하여 블레이드(200)의 돌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200)가 탄성 재질이어야 한다. 또한, 블레이드(200)가 돌출될 때, 블레이드의 타측 방향 이동력은, 돌출각도조절부(131)의 블레이드유도로(130) 내벽에 압력을 인가한다. 블레이드(200)의 탄성이 크면, 돌출되어 조직을 절단할 때, 돌출된 블레이드 부분에 휨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블레이드가 휘어지면, 절단력이 감소하고, 조직 표면에 불필요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블레이드(200)의 탄성이 작으면, 블레이드유도로(130) 외측 내벽에 인가되는 힘이 커진다.
따라서, 블레이드(200)는 적당한 정도의 탄성과 강도를 가져야 한다. 또한, 돌출각도조절부(131)에 형성되는 블레이드유도로(130) 내벽은 블레이드(200) 탄성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블레이드유도로(130) 외측에 강성링(1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강성링(160)은 블레이드(200) 탄성력과 와이어(220) 작동력을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생체 조직
11. 절단된 생체 조직
100. 몸체.
110. 중공관부
120. 흡입수단
121. 흡입부
130. 블레이드유도로
131. 돌출각도조절부
140. 제1몸체
150. 제2몸체.
200. 블레이드
210. 블레이드날
220. 와이어.

Claims (5)

  1. 중공관부와, 상기 중공관부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관부의 타측 단부에서 생체조직의 표면을 흡입하는 흡입 수단과, 상기 중공관부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블레이드유도로를 구비하는 몸체; 및
    판형이며 상기 블레이드유도로에 수용되며, 타측 끝단에 블레이드날을 구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블레이드유도로를 통하여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블레이드가 돌출하되, 상기 중공관부측으로 기울어져 돌출됨으로써,
    상기 흡입수단에 의해 흡입된 상기 생체조직을 용이하게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유도로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중공관부로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는 돌출각도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출각도조절부의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생체조직을 절단하는 깊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돌출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를 제외한 제2몸체로 분리되어,
    상기 돌출각도조절부의 상기 특정한 각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서로 다른 상기 제1몸체를 선택하여, 상기 제2몸체에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부의 직경은,
    타측 단부에 인접하여,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그 직경이 커졌다가 다시 작아지는 형상이며,
    상기 블레이드유도로 및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중공관부의 길이방향 형상과 맞춤됨으로써,
    돌출된 상기 블레이드의 돌출방향이 상기 중공관부 측으로 내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타측 끝단에 상기 블레이드유도로 외측에 배치되는 강성링을 더 구비하여,
    상기 블레이드유도로를 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절단력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

KR1020170123275A 2017-09-25 2017-09-25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 KR10203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275A KR102030376B1 (ko) 2017-09-25 2017-09-25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275A KR102030376B1 (ko) 2017-09-25 2017-09-25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980A true KR20190035980A (ko) 2019-04-04
KR102030376B1 KR102030376B1 (ko) 2019-10-11

Family

ID=6610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275A KR102030376B1 (ko) 2017-09-25 2017-09-25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3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520Y1 (ko) * 1992-06-29 1995-09-13 김서곤 자궁(子宮)거상용 겸자
JPH11225951A (ja) * 1998-02-17 1999-08-24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US6632182B1 (en) * 1998-10-23 2003-10-14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ultiple bit, multiple specimen endoscopic biopsy forceps
US20060178699A1 (en) 2005-01-20 2006-08-10 Wilson-Cook Medical Inc. Biopsy forcep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520Y1 (ko) * 1992-06-29 1995-09-13 김서곤 자궁(子宮)거상용 겸자
JPH11225951A (ja) * 1998-02-17 1999-08-24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US6632182B1 (en) * 1998-10-23 2003-10-14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ultiple bit, multiple specimen endoscopic biopsy forceps
US20060178699A1 (en) 2005-01-20 2006-08-10 Wilson-Cook Medical Inc. Biopsy force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376B1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8037B1 (en) Coaxial incisional full-core biopsy needle
EP2636375B1 (en) Tool for biopsy and tissue collecting method
US20060178674A1 (en) Surgical apparatus having configurable portions
EP3498176A1 (en) Biopsy device
JP6571183B2 (ja) 心嚢内視鏡システム
JP2016513554A (ja) 外科用器械の延長湾曲先端部
JP2014510551A (ja) 遠位吸引機能付き外科用切削器具
AU2004212963A1 (en) Transmitting an actuating force along a curved instrument
EP2292155A3 (en) Surgical instrument and loading Unit for use Therewith
KR20130131322A (ko) 봉합사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80146958A1 (en) Tissue collecting tool and tissue collecting system
US20170000509A1 (en) Tissue grasping device
JPWO2013065509A1 (ja) 内視鏡用処置具挿通具
KR20170103747A (ko) 측면 장입식 매듭 절단기
CN110545736A (zh) 腔内手术系统
WO2013161764A1 (ja) 操作部材
JP5914779B1 (ja) 組織把持器具
US20090005806A1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EP2967624B1 (en) Apparatus for tissue dissection with suction ring
JP2017099526A (ja) 組織採取具及び組織採取方法
KR20190035980A (ko)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
JP5580540B2 (ja) ガイドデバイス
KR102045383B1 (ko) 오버튜브
JP2018504997A (ja) 複数のステープルと内視鏡アプリケータとからなる内視鏡手術システム
KR101820229B1 (ko)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