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229B1 -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 Google Patents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229B1
KR101820229B1 KR1020160022483A KR20160022483A KR101820229B1 KR 101820229 B1 KR101820229 B1 KR 101820229B1 KR 1020160022483 A KR1020160022483 A KR 1020160022483A KR 20160022483 A KR20160022483 A KR 20160022483A KR 101820229 B1 KR101820229 B1 KR 10182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utter
suction groove
needle assembl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216A (ko
Inventor
백운
Original Assignee
운스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운스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운스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229B1/ko
Priority to PCT/KR2016/012729 priority patent/WO2017146343A1/ko
Publication of KR20170100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61B10/027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with sample notch, e.g. on the side of inner sty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8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with vacuum aspiration, e.g. caused by retractable plunger or by connected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검사용 바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생체검사용 바늘의 외경을 줄여 환부의 상처를 최소화하면서도 절단된 생체조직을 적은 흡인력으로 원활히 배출하도록 하며, 바늘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부드러운 시술 할 수 있도록 하며, 커터 회전축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바늘부의 원통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가압된 가이드부가 외경을 대략 240도를 감싸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Biopsy Needle Assembly}
본 발명은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압이 연결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를 통해 환부에 삽입되어 인체조직을 도려내어 인체 밖으로 배출하는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인체조직의 검사를 위해서 인체조직의 일부를 도려내거나 또는 환부조직을 도려내는 수술을 하기 위해서 바늘 조립체가 인체 환부에 삽입하여 사용되어왔다.
이하 4개의 선행기술의 요지를 인용하여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을 설명한다.
먼저, 첫 번째 선행기술인 2014년02월25일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2908호에 나타난 종래 기술을 설명한다. 도 1은 첫 번째 선행기술 명세서의 도 2로서, 종래의 예시적인 생체검사용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생체검사용 디바이스(10)는 프로브(20) 및 홀스터(30)를 포함한다. 프로브(20)는 프로브(20)의 케이스(casing)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말단으로 연장하는 바늘 조립체(100)를 포함하고, 바늘 조립체(100)는 생체조직 샘플들을 얻기 위해 환자의 조직에 삽입 가능하다. 생체검사용 디바이스(10)는, 바늘 조립체(100)로부터 적출된 조직 샘플들이 흡착되는 조직 샘플 홀더(4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생체검사용 디바이스에서 바늘조립체(100)는 인체 조직에 삽입되어 인체조직을 떼어내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첫 번째 선행기술 명세서의 도 6으로서, 도 1의 바늘조립체(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서 커터 수용 튜브(130)는 커터(미도시)가 회전 및 왕복 병진할 수 있도록 원형 단면을 갖는 튜브로서 구성된다. 커터 수용 튜브(130)가 부분적인 바늘 부분(124)에 고정될 때, 커터 수용 튜브(130)와 부분적인 바늘 부분(124)의 조합은 제 1 내강(lumen) 부분(140) 및 제 2 내강 부분(142)을 형성한다. 제 2 내강 부분(142)은, 날카로운 말단 에지를 갖는 관형 커터(미도시)가 그 안에서 회전하고 병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내부 직경(144)을 갖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제 1 내강 부분(140)은 커터 수용 튜브(130) 및 부분적인 바늘 부분(124)의 하부 부분에 의해 한정된 반원 단면을 갖는다.
위와 같이, 첫 번째 선행기술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에 유사해 바늘 조립체가 인체에 삽입되어 시술시 부드럽게 회전이 어렵고 또한 용접 등의 부착 공정이 부가되어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 선행기술인 2014년03월31일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39042호에 나타난 종래 기술을 설명한다. 도 3은 두 번째 선행기술 명세서의 도 6으로서, 종래의 바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의 바늘(300)은 폐쇄된 원위 단부(304)에 대해 근위 위치에 위치된 가로구멍(306)과 뭉특한 폐쇄된 원위 단부(304)를 가진 캐뉼라(302)를 포함한다. 하부 채널 영역(310)이 개방된 원위 단부(314)를 포함한다. 개방된 원위 단부(314)는 폐쇄된 원위 단부(304)의 세로 위치에 대해 근위 위치에 있는 세로 위치에 위치된다.
도 4는 두 번째 선행기술 명세서의 도 7로서, 종래의 삽입기 사시도이다. 도4의 삽입기(400)는 캐뉼라(402), 피어싱 팁(404), 및 상기 팁(404)에 대해 근위 위치에 위치된 가로구멍(406)을 포함한다. 그리고, 근위 방향으로 향하는 벽(410), 램프(412), 및 상기 램프(412)로부터 벽(410)으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쉘프(414)를 추가로 포함된다. 상기 특징부(410, 412, 414)는 팁(404)에 대해 바로 근위 위치에 배열된다.
도 5는 두 번째 선행기술 명세서의 도 8b로서, 도 4의 삽입기에, 도 3의 바늘이 삽입된 단면도이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것과 같이, 캐뉼라(302)는 커터(미도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 1 루멘(308)을 형성한다. 하부 채널 영역(310)의 원위 부분과 세로벽(320)은 제 1 루멘(308)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제 1 루멘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제 2 루멘(322)을 형성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루멘(308)과 제 2 루멘(322) 사이에 유체 소통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가 벽(320) 내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가로 구멍(306, 406)은 바늘(300)의 캐뉼라(302)가 삽입기(400)의 캐뉼라(402) 내에 삽입될 때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정렬된다. 게다가, 폐쇄된 원위 단부(304)는 근위 방향을 향하는 벽(410)과 접하며 쉘프(414) 위에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두 번째 선행기술은 삽입기 캐뉼라(402) 내에 바늘 캐뉼라(302)가 2중으로 형성되어 생체조직 적출시 캐뉼라(402) 외측과 카터 외측사이에 갭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세로벽(320)을 형성하는 복잡한 구조이다.
도 6은 두 번째 선행기술 명세서의 도 18로서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로 탄성핀(1030)과 결합된 마커 삽입기를 구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두 번째 선행기술 명세서의 도 19로서, 도 6의 19-19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두 번째 선행기술의 탄성 핀을 가진 마커 어플라이어와 적용된 또 다른 실시예로, 바늘(900)은 캐뉼라(902), 피어싱 팁(904), 및 상기 팁(904)에 대해 근위 위치된 가로 구멍(906)을 포함한다. 또한, 바늘(900)은 내부에 커터(970)가 배열되는 루멘(910)을 형성한다. 상기 루멘(910)은 팁(904)에 대해 근위 위치에 배열된 근위 방향을 향하는 벽(912)에서 끝을 이룬다(terminate). 커터(970)의 외측 직경과 루멘(910)의 직경 사이의 차이는 루멘(910)을 형성하는 바늘(900)의 내측 표면과 커터(970)의 외부 사이에 실질적인 틈(914)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커터(970)는 가로 구멍(906)을 통해 돌출하는 조직으로부터 조직 샘플을 절단하기 위해 바늘(900) 내에서 왕복운동한다. 틈(914)은 위에서 언급한 타입의 제 2 루멘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동 동안 틈(914)은 커터(970)의 루멘(972)에 유체소통(예를 들어, 대기로의 환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커터(970)가 원하는 개수의 조직 샘플들을 얻고 나면, 마커 어플라이어(1000)는 커터(970)의 루멘(972)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생검 부위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생검 부위 마커들을 전개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마커 어플라이어(1000)는 횡단 방향으로 돌출하는 핀(1030)을 포함할 수 있다. 핀(1030)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데, 이 탄성 재료는 팁(1006)으로부터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그 외에도 또는 대안으로, 핀(1030)은 리빙 힌지(living hinge) 또는 그 외의 다른 비슷한 특징부에 의해 팁(1006)에 결합될 수 있다(joined). 핀(1030)과 팁(1006)이 결합되도록 리빙 힌지가 사용되는 몇몇 형태에서, 리빙 힌지는 핀(1030)이 팁(1006)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배열되게 하도록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상기 틈(914)으로 인하여 커터(970)가 캐뉼러(902)내에서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를 탄성 핀(1030)으로 보정하고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적출하여야 할 생체조직이 견고할 경우 커터(970)는 흔들림이 발생하여 환부를 자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세 번째 선행기술 2010년12월22일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3903호에 나타난 종래 기술을 설명한다.
도 8은 세 번째 선행기술 명세서의 도 12로서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의 니들(20)은 조직 천공 팁(22)을 갖는 캐뉼러(cannular, 21), 측방향 개방부(24), 제1 루멘(lumen, 26) 및 제2 루멘(28)을 포함한다. 그리고, 커터(50)가 제1 루멘(26) 내에 배치되고, 제1 루멘(26) 내부에서 회전 및 병진이동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측방향 개방부(24)는 팁(22)에 대해 근위에 위치되고, 제1 루멘(26)과 유체 연통되며, 니들(20)이 가슴에 삽입되고 커터(50)가 후퇴될 때 조직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개구(27)들이 제1 루멘(26)과 제2 루멘(28)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 번째 선행기술도 첫 번째 선행기술의 복수의 개구 등과 같은 구조(위 세 번째 선행기술 명세서의 도 5 참조)로 별도 부착해야 하는 등의 이유로 바늘의 외경이 커지며 커터의 가이드에 불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네 번째 선행기술인 2015년10월20일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7501호에 나타난 종래 기술을 설명한다.
도 9는 네 번째 선행기술 명세서의 도 7으로서,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에 의하면, 에어 유입 통로(232)는 길이가 긴 중공 튜브를 니들(220)의 외면 하부에 용접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4가지를 정리하면, 커터로 생체조직을 도려내고 진공으로 생체조직 흡입과정에서 생체조직을 원활히 흡입되게 대기압 통로를 형성하는 구조가 보편적이다. 특히, 대기압 통로 틈을 형성하려고, 첫 번째 선행기술에서는 부분적인 바늘 부분(124)을 두어 커터를 잘 가이드 할수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바늘조립체 부분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타원형이 되며, 두 번째 선행기술에서는 세로벽(320)을 두어 새로운 부재가 추가되면서도 커터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어려우며, 세 번째 선행기술에서는 복수의 개구(27)를 만들면서도 커터를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가이드하지 못하며, 그리고 네 번째 선행기술에서는 중공 튜브등을 부착내지 고정 하는 등 새로운 부재를 추가하고 있어 첫 번째 선행기술과 같이 바늘 부분의 전체적인 단면이 원형이 아닌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인체에 삽입되는 캐뉼러의 직경을 크게 하는 문제점이 있고, 형상도 대체적으로 장방형으로 바늘 조립체를 회전 하는 경우 시술과정이 부드럽지 않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두 번째 선행기술에서, 도 6, 7의 경우는 원형 캐뉼러(902) 내에 원형 커터(970)로 구성되었지만 틈(914)으로 인하여 커터(970)가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2908호 (2014년02월25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39042호 (2014년03월31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3903호 (2010년12월22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7501호 (2015년10월20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터 회전축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또한 바늘 조립체 전체적인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하여 부드러운 시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통증을 완화하며, 또한 생체검사용 바늘의 외경을 줄여 환부의 상처를 줄이면서도 절단된 생체조직을 적은 흡인력으로 원활히 배출하도록 하는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는
모터 및 진공압력 등을 제어하는 홀스터와; 상기 홀스터로부터 회전동력을 공급받는 프로브 조립체와; 상기 프로브 조립체 말단에 연장하는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를 포함하는 생검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로서, 상기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는, 날부, 상기 날부와 그 일측이 결합되는 바늘부, 및 커터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바늘부에는 절단되는 생체 조직 대상물이 흡입되는 흡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내부가 빈 관 형태의 상기 커터부가 상기 흡입홈을 통해 흡입된 생체조직을 상기 바늘부 내부에서 이동하여 절단되도록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커터부가 상기 바늘부의 흡입홈이 형성된 방향의 내부측에 접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이격되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볼록한 가이드부가 바늘부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바늘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그 단면이 원형이며 그리고 상기 바늘부의 가이드부가 상기 커터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는 커터의 에지가 흡입홈 모서리까지 후진한 위치(흡입홈 최대개방상태)에서 2 ~ 4 mm 후진방향으로 벗어나서 형성되고. 바늘부의 원형단면 기준으로 흡입홈의 절단 부분을 전부 포함하여 190 ~ 300도 각도 범위로 내측으로 가압되어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늘부의 가이드부가 상기 커터부의 회전시 흔들림을 최소화하도록 길이방향으로는 커터의 에지가 흡입홈 모서리까지 후진한 위치(흡입홈 최대개방상태)에서 2 ~ 4mm 후진방향으로 벗어난 부분에서 시작하여 흡입홈의 전체 길이를 다 포함할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터부를 상기 바늘부의 가이드부가 떠받치면서 상기 바늘부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서 대기압을 소통하여 절단된 조직을 원활하게 배출하게 한다.
상기 공간부의 단면적의 크기는 상당한 실험에서 얻은 값으로 상기 커터부의 내경 단면적 대 상기 공간부의 단면적 비는 5 ~ 10 대 1의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기술들이, 대기압 통로 틈을 형성하고 커터를 잘 가이드하기 위하여, 부분적인 바늘 부분, 세로벽, 복수의 개구부들, 중공 튜브 등을 부착 내지 고정 등의 추가로 인하여 제작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는 바늘부에 그 외면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가이드만을 형성하는 단순한 구조로서 제작이 간단하다.
본 발명의 예의 경우 커터부를 감싸고 있는 가이드부가 커터의 회전 및 병진이동시 커터부의 흔들림을 별다른 부재 추가 없이 확실히 잡아주는 구조로서, 단순히 원형의 바늘 구조가 아니라 바늘조립체의 외경 자체를 최소화하면서도 적출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는, 원형의 바늘부(커터 수용 튜브)로서 쉽게 인체에 삽입하여 용이하게 회전을 시킬 수 있어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시술시 커터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는 도려낸 조직의 원활한 배출을 돕는 대기통로를 가로막는 장애가 되는 부재를 최소화하여, 바늘 조립체의 외경을 최소화하여, 상대적으로 환부의 상처는 작게 하고, 도려내는 환부의 생체조직은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생검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바늘 조립체의 바늘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바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종래의 삽입기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삽입기에, 도 3의 바늘이 삽입된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로 탄성핀(1030)과 결합된 마커 삽입기를 구현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19-19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는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의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10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의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11의 D-D 및 E-E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의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로 생체 조직을 흡입 도려내어 배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는, 모터 및 진공압력 등을 제어하는 홀스터(30)와 진공압력과 회전동력을 연장하는 프로브(20) 조립체와 상기 프로브 조립체 말단에 연장하는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100)로 구성된 생검 디바이스(10)의 일 부품으로서,
상기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는,
날부, 상기 날부와 그 일측이 결합되는 바늘부, 및 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부에는 절단되는 생체 조직 대상물이 흡입되는 흡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홈을 통해 흡입된 생체 조직을 상기 바늘부 내부에서 회전하고 병진 이동하여 절단하는 내부가 빈 관 형태의 상기 커터부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커터부가 상기 바늘부의 흡입홈이 형성된 방향의 내부측에 근접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이격되어서 회전하고 병진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바늘부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생체검사용 바늘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생검 디바이스나 수술용 디바이스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예로서의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10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의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12는 도11의 D-D 및 E-E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체검사용 바늘조립체(100)는 날부(1), 바늘부(2), 커터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날부(1)는 피부를 통해 인체조직을 천공하여 본 바늘조립체(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날부(1)에 상기 바늘부(2)가 결합되며, 상기 날부(1)측에 근접하여 상기 바늘부(2) 내부로 커팅될 생체 조직이 흡입 또는 밀려 들어올 수 있도록 흡입홈(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홈(7)의 크기는 상기 커터(3)의 내경의 직경과 상기 커터(3)에 연장된 진공펌프의 흡인 진공압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바늘부(2)의 내경은 상기 커터부(3)가 상기 바늘부(2)의 안에 들어가고 공간부(5)가 형성될 크기이며, 상기 커터부(3)가 상기 흡입홈(7)측으로 접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는 상기 커터부(3)를 떠받치고 상기 바늘부(2) 안쪽에 상기 공간부(5)를 형성하며, 상기 커터부(3)가 상기 바늘부(2)의 흡입홈(7)으로 흡인된 환부 조직을 도려내어 조직을 인체 밖으로 배출시 상기 공간부(5)에 대기압을 소통시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터부(3)는 튜브나 내부가 빈 원통으로 흡입홈(7) 방향에 내측으로 연마된 커터 에지(6)가 형성되었으며, 상기 바늘부(2)에 삽입되며, 또한 그 내부에는 외부의 진공장치와 연결되어 도려낼 생체 조직등을 상기 흡입홈(7)을 통하여 흡입하여 도려내고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커터부(3)는 상기 흡입홈(7)을 완전 개폐할 수 있을 정도의 범위로 왕복 직선운동하여 도려낼 수 있으며, 도려낸 생체조직을 흡입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늘부(2)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바늘조립체(100)를 인체 환부에 삽입된 이후 필요에 따라 회전을 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인데, 원통형인 본 발명의 생체검사용 바늘조립체(100)는 인체에 통증을 완화하고자 함이다. 이와 같은 바늘부(2)의 재질은 인체에 삽입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의 금속이 사용된다. 즉 인체에 무해하며 만들기 쉬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다른 재질로도 만들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부(2)안에 커터부(3)는 흡입을 위해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영역을 이루며, 커터부(3)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부(5)는 커터부(3)에서 도려낸 생체 조직을 외부로 배출할 때 밸브등을 개폐하여 공간부(5)에 대기압을 소통시키는 소통로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더 설명하면, 도 12의 D-D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커터부(3) 내경 단면적) 대 (상기 바늘부(2)의 내경단면적에서 상기 커터부(3)의 외경단면적을 제외한 상기 공간부(5)의 단면적) 비율이 5 ~ 10 대 1 일때 조직의 배출이 양호하였다. 통상적인 경우, 상기 비율이 5 대 1 보다 큰 경우, 즉 공간부(5)의 단면적이 더 커지는 경우에는, 배출에 유리하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바늘부(2)의 단면적이 너무 커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공간부(5)의 단면적이 더 작아지는 경우로서, 위의 비율이 10 대 1 보다 작아지는 경우에는 바늘부(2)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장점은 있으나 생체조직의 배출에 불리하다. 다만 상기 커터부(3) 내경 단면적이 큰 경우에는 상기 공간부(5)의 비율이 더 작아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대해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다만, 상기 공간부(5)는 상기 커터부(3)가 생체 조직을 빨아 들일 때는 외부와 차단되어 같은 밀폐영역을 이루고, 그리고 상기 커터부(3)가 전진을 완료하고 생체 조직을 완전히 도려내게 되면, 그때 상기 공간부(5)는 외부와 소통되어, 절단된 생체 조직을 원활히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간단하게는 커터부(3)가 커팅 시작전의 위치에 있을 때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등으로 공간부(5)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커터부(3) 커팅하면서 전진을 완료하면 상기 밸브 등이 작동하여 다시 공간부(5)가 외부의 대기압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배관하면 된다. 이와 같은 공기압 배관과 작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기존 장치나 기구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부(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하게 바늘부(2)의 외부의 면에서 내측으로 가압하여 가이드부(4)를 형성함으로써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늘부(2)의 재질이 스테인리스 재질이 사용되는 경우 단순하게 프레스 등으로도 쉽게 만들 수 있다. 다만 커터(3)를 가이드 하여야 하므로 가이드부(4)의 지름을 잘 조정하여야 한다. 특히 지그를 이용해서 가이드부(4)의 지름 크기를 한정하도록 하면서 프레스 등으로 가압을 하면 쉽게 가이드부(4)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4)는 바늘부(2)의 외부의 면 자체를 이용해서 만들게 되므로 별도의 부재나 대상물이 필요하지 않고 쉽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조 공정에서도 단순한 프레스 작업 등으로 쉽게 만들 수 있고 별도 부재의 삽입 등의 공정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부(2)가 프레스 등 작업에 적합하지 않은 재질로서 예를 들면 세라믹 등 소성재질이라면 성형시 가이드부(4)를 형성하면 된다. 하지만, 금속재질로서 프레스 등으로 제조하는 것이 제조 공정이나 비용면에서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늘부(2)의 가이드부(4)는 상기 커터부(3)를 잘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는 커터의 에지가 흡입홈 모서리까지 후진한 위치(흡입홈 최대개방상태)에서 2 ~ 4mm 후진방향으로 벗어나서 형성된 부분부터 시작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홈(7) 전체를 포함하며, 각도 범위로는 바늘부의 원형단면 기준으로 홉입홈의 절단된 호 부분을 전부 포함하여 190 ~ 300도 각도로 내측으로 가압되어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다.
길이방향의 한정은 커터부(3)의 이동의 시작 기준에 따른 것으로서 전진 및 후진시 잘 가이드 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생체조직의 흡입을 위하여 커터부(3)가 후진된 상태에서도 가이드부(4)가 상기 커터부(3)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커터부(3)가 생체조직을 커팅하기 위해 전진하는 구간을 최대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그리고 각도의 한정은 최소한 홉입홈의 호 부분을 전부 포함하며 커터부(3)가 완전히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최소 180 도의 각도는 넘어야 한다. 그러므로 190도 이상이 좋으며 가이드 되는 각도가 너무 많으면 공간부(5)의 단면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300도를 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다만 가이드부(4)의 가이드가 더 중요한 경우에는 300도를 넘을 수도 있다. 각도와 관련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와 공간부의 역할을 고려하여 220-260 도로 하는 것이다.
도 13은 도 10의 실시예에서 가이드부(4)의 폭이 매우 좁게 형성된 것으로서 그 폭이 흡입홈(7)을 덮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스 등으로 가이드부(4)를 형성할 때 그 폭을 좁게 하는 것으로서 그 위치는 커터의 에지가 흡입홈 모서리까지 후진한 위치(흡입홈 최대개방상태)에서 2 ~ 4mm 후진방향으로 벗어난 부분이다. 가이드부(4) 폭을 좁게 하는 것으로서 선과 같은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이유는 공간부(5)를 통한 대기압 소통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4 및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검사용 바늘조립체(100)로서 생체 조직을 흡입절단하여 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늘조립체(100)가 생체조직에 삽입된 후, 커팅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커터부(3)가 생체 조직을 흡입한 상태를 도시한다. 커터부(3)가 커팅을 대기하면서 커팅될 생체 조직을 화살표(v)와 같이 상기 커터부(3)에 연장된 진공펌프(미도시)로 흡입홈(7)을 통해 커터부(3)관 내부로 흡입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커터부(3)가 전진하여 흡입된 생체 조직을 커팅하게 된다. 도 15는 커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커터부(3)가 날부(1)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전진을 완료하였고, 커터부(3)가 커팅된 생체 조직(S)을 커터부(3)를 통해 흡입을 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 때 도 12와 같이 바늘부(2)의 커터부(3)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부(5)에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압을 소통되도록 밸브(미도시)를 열어주면, 별도의 가압 장치를 통해서 압력을 가할 필요 없이 단순히 대기압만으로도 충분히 밀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5)는 화살표(a)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절단된 생체 조직(s)을 커터부(3)를 통해서 외부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1 : 날부
2 : 바늘부
3 : 커터부
4 : 가이드부
5 : 공간부
6 : 커터 에지
7 : 흡입홈
8 : 조직 흡입통로
a : 대기압
v : 진공압
s : 환부 조직

Claims (5)

  1. 모터 및 진공압력 등을 제어하는 홀스터와;
    상기 홀스터로부터 회전동력을 공급받는 프로브 조립체와;
    상기 프로브 조립체 말단에 연장하는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를 포함하는 생검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는, 날부, 상기 날부와 그 일측이 결합되는 바늘부, 및 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부에는 절단되는 생체 조직 대상물이 흡입되는 흡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빈 관 형태의 상기 커터부가 상기 흡입홈을 통해 흡입된 생체조직을 상기 바늘부 내부에서 이동하여 절단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터부가 상기 바늘부의 흡입홈이 형성된 방향의 내부측에 접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이격되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바늘부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그 단면이 원형이며 그리고
    상기 바늘부의 가이드부가 상기 커터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는 커터의 에지가 흡입홈 모서리까지 후진한 위치(흡입홈 최대개방상태)에서 2 ~ 4 mm 후진방향으로 벗어나서 형성되고. 바늘부의 원형단면 기준으로 흡입홈의 절단 부분을 전부 포함하여 190 ~ 300도 각도 범위로 내측으로 가압되어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부의 가이드부가 상기 커터부의 회전시 흔들림을 최소화하도록 길이방향으로는 커터의 에지가 흡입홈 모서리까지 후진한 위치(흡입홈 최대개방상태)에서 2 ~ 4mm 후진방향으로 벗어난 부분에서 시작하여 흡입홈의 전체 길이를 다 포함할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를 상기 바늘부의 가이드부가 떠받치면서 상기 바늘부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서 대기압을 소통하여 절단된 조직을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의 내경 단면적 대 상기 공간부의 단면적 비는 5 ~ 10 대 1의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KR1020160022483A 2016-02-25 2016-02-25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KR10182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83A KR101820229B1 (ko) 2016-02-25 2016-02-25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PCT/KR2016/012729 WO2017146343A1 (ko) 2016-02-25 2016-11-07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83A KR101820229B1 (ko) 2016-02-25 2016-02-25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216A KR20170100216A (ko) 2017-09-04
KR101820229B1 true KR101820229B1 (ko) 2018-01-18

Family

ID=5992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483A KR101820229B1 (ko) 2016-02-25 2016-02-25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4657B (zh) * 2018-02-26 2024-05-03 温州市中心医院 骨穿刺活检针
KR102416005B1 (ko) * 2020-04-29 2022-06-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방 검체 절단 기구 및 유방 검체 절단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3076A (ja) * 2006-02-03 2007-08-16 Ethicon Endo Surgery Inc 生検針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3076A (ja) * 2006-02-03 2007-08-16 Ethicon Endo Surgery Inc 生検針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216A (ko) 201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1360B1 (ko) 생검 디바이스
JP6243461B2 (ja) 生検装置のための導入器
JP5107996B2 (ja) 真空補助式生検針セット
EP1673015B1 (en) Vacuum assisted biopsy needle set
KR101908148B1 (ko) 가요성 바늘을 가진 골수 채취 장치
EP2734162B1 (en) Device for the insertion of an ear pressure equalizing tube
US20110071431A1 (en) Biopsy marker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US9788819B2 (en) Introducer for biopsy device
JP2007520253A (ja) オリフィス制御サンプリング針
JP2014510551A (ja) 遠位吸引機能付き外科用切削器具
PL1890608T3 (pl) Element do wycinania tkanki dla urządzenia biopsyjnego
KR101820229B1 (ko)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US20160235435A1 (en) Device and method for access to interior body regions
KR101820230B1 (ko)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WO2017146343A1 (ko) 생체검사용 바늘 조립체
KR101580858B1 (ko) 수술용 피부 절개 블레이드
WO2006136588A1 (en) Biopsy device
CN113194841A (zh) 具有平移梭阀组件的活检装置
KR20190035980A (ko) 돌출 블레이드와 흡입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용 생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