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344A - 관 내부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관 내부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344A
KR20190035344A KR1020170124435A KR20170124435A KR20190035344A KR 20190035344 A KR20190035344 A KR 20190035344A KR 1020170124435 A KR1020170124435 A KR 1020170124435A KR 20170124435 A KR20170124435 A KR 20170124435A KR 20190035344 A KR20190035344 A KR 20190035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eaning
pipe
cov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224B1 (ko
Inventor
안상진
Original Assignee
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2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9/00Clean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41A29/02Scrapers or clean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위치별로 공간의 직경 크기가 다른 관의 내부를 부드럽게 이동하며 효과적으로 세척하는 관 내부 청소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 내부 청소장치는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전방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유닛, 일단은 상기 회전유닛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일단을 축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세척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의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상기 세척유닛의 타단과 밀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유닛의 타단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커버부에서 상기 관을 향해 돌출되는 거리가 변경된다.

Description

관 내부 청소 장치{CLEANING APPARATUS FOR A PIP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관 내부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구의 약실을 청소하는 관 내부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포신과 같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관 형태의 구조는 내부공간의 직경이 변경되는 경우 청소장치가 관의 내부를 향해 가하는 압력이 변경되어 세척력이 감소되거나 이동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기존의 관 내부 청소장치를 포함하는 세척장치는 특정 직경을 가지는 관의 내부공간에서 관의 내측면을 강하게 또는 느슨하게 압박하여 세척력이 불균일하고 강한 압력에 의해 관 내부 청소장치의 이동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6657호는 포신 자동청소기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84537호는 포 내경 세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포신 내부공간의 직경이 달라지는 경우에 상관없이 동일한 압력을 포신 또는 약실을 포함하는 관의 내측면에 가하는 청소장치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
위치별로 공간의 직경 크기가 다른 포신의 내부 및 약실을 포함하는 관의 내부를 부드럽게 이동하며 효과적으로 세척하는 관 내부 청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 내부 청소장치는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전방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유닛, 일단은 상기 회전유닛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일단을 축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세척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의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상기 세척유닛의 타단과 밀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유닛의 타단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커버부에서 상기 관을 향해 돌출되는 거리가 변경된다.
또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가압유닛의 후방을 향한 탄성 가압을 통해 압력을 전달받고, 상기 관 및 커버부 사이의 거리에 상관없이 상기 관에 동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은 중앙 일부는 배면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가장자리와 중앙 일부 사이에 상기 세척유닛의 타단과 밀착되도록 상기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부는 상기 가압유닛 및 회전유닛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커버유닛 및 상기 가압유닛의 전면과 상기 커버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유닛의 일단은 상기 회전유닛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크랭크암 및 상기 크랭크암의 타단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과 밀착되어 회전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유닛의 일단은 상기 롤러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크랭크암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관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관과 밀착되는 세척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세척유닛들은 상기 회전유닛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 내부 청소장치는 이동방향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세척솔들을 통해 포신의 내부공간 및 약실을 포함하는 관의 내측면으로 전달하여 관의 내부공간의 크기에 상관없이 세척력이 균일한 장점이 있다.
또한, 관 내부 청소장치는 포신의 내부공간 및 약실을 포함하는 관의 내측면과 커버부 사이의 거리에 상관없이 세척솔이 관에 가하는 압력이 동일하므로 세척력이 균일하고 세척솔의 압력증가를 통한 관 내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 내부 청소장치는 전방에서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세척솔들을 포함하는 세척부가 형성되고, 내부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세척솔들이 회전하면서 관의 내측면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내부 청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관 내부 청소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세척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세척유닛 및 가압유닛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 내부 청소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내부 청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세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관 내부 청소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내부 청소장치(100)는 커버부(150), 구동부(200), 가이드부(400), 세척부(600) 및 손잡이부(7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관 내부 청소장치(100)의 구조 및 구동을 설명하기 위해 포신의 내부공간과 약실에 관 내부 청소장치(100)를 삽입하여 청소하는 구동을 설명하지만 포신의 내부 및 약실을 청소하는 용도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관 형태로 형성되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관 내부 청소장치(100)는 포구의 내부로 삽입되어 포구의 내부 및 약실을 청소하는 장치로써, 내부 구멍의 직경이 위치마다 다른 포구 및 약실의 특성상 관 내부 청소장치(100)가 상기 구멍의 크기에 상관없이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커버부(150)는 포구 또는 약실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구동부(200), 가이드부(400) 및 세척부(600)가 배치된다.
구동부(200)는 커버부(150)의 내부 중심에 커버부(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구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과 연결된 세척부(60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가이드부(400)는 커버부(150)의 내부에서 구동부(200)와 커버부(150)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부(200)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커버부(150)가 상기 포구 또는 약실 내부를 이동하는 경우 커버부(150)와 상기 포구 또는 약실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포구 또는 약실의 구멍의 직경에 상관없이 포구 또는 약실의 내측면을 향해 소정의 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커버부(150)가 포구 또는 약실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관 내부 청소장치(100)가 포구 또는 약실 내부에서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가이드부(400)는 구동부(200)를 둘러싸는 복수의 가이드유닛들이 형성되고, 가이드유닛들 각각은 커버부(150)의 내부 후방에 고정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내부에 삽입되고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로드 형태의 고정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로드 및 상기 스프링의 전방은 구동부(200)를 둘러싸는 환 형태로 형성되고 구동부(200)의 측면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가압판과 결합된다.
상기 가압판의 전방에는 복수의 암들이 관절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암들 사이에는 관절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암들의 전방은 세척부(600)의 후방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관절부는 커버부(150)와 상기 포구 또는 약실 사이에 돌출 배치되고, 구멍의 직경이 다른 약실이나 포구에 삽입되면 상기 관절부는 구동부(200)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암들 사이의 각도는 커지며, 상기 스프링은 수축되어 상기 암들에 전달하는 압력이 증가한다.
반면에, 상기 암들 사이의 각도가 커지면서 상기 암들을 통해 세척부(600)로 전달되는 상기 스프링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커져서 상기 관절부를 통해 상기 포구 또는 약실에 전달되는 압력은 상기 암들 사이의 각도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관 내부 청소장치(100)의 가이드부(400)는 상기 포구 또는 약실 내부의 구멍의 직경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포구 또는 약실에 동일한 압력을 가하므로 해당 작업자는 용이하게 관 내부 청소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세척부(600)는 커버부(150)의 전방에 형성되고, 커버부(150)의 외측에 복수의 브러시(Brush: 솔)들이 배치되며, 구동부(200)와 결합되어 구동부(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솔들을 상기 구동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상기 포구 또는 약실의 내측면을 청소한다.
손잡이부(700)는 커버부(150)의 후방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방 타단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이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관 내부 청소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700)는 복수의 마디들이 서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길이조정 후에는 상기 마디들 사이를 고정시켜 길이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할 수있다.
따라서, 해당 작업자는 관 내부 청소장치(100)를 포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구동부(200)를 작동하고, 손잡이부(700)를 잡고 관 내부 청소장치(100)를 이동시켜 약실을 청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부(600)는 회전축(610), 회전유닛(620), 세척유닛(630), 가압유닛(640), 스프링(650) 및 커버유닛(660)을 포함한다.
세척부(600)는 커버부(150)의 전방에 형성되고 구동부(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부(200)의 전방에 형성된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외측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상기 브러쉬들은 회전을 통해 상기 포구 또는 약실을 청소한다.
회전축(610)은 세척부(600)의 중앙에 형성되어 구동부(200)의 구동축과 결합되고, 회전유닛(620)은 회전축(610)을 둘러싸는 원판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축(610)이 회전하면 회전축(610)과 함께 회전한다.
회전유닛(620)의 일부는 가이드부(400)와 결합되는 링 형태의 커버에 상기 구동축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회전유닛(620)의 일부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세척유닛(630)의 일단은 회전유닛(620)의 가장자리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관 내부 청소장치(100)가 포구 또는 약실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을 축으로 상기 포구 또는 약실을 향해 이동하거나 이격되도록 구동한다.
세척유닛(630)의 타단에는 상기 브러시들이 상기 포구 또는 약실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회전유닛(620)이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여 상기 포구 또는 약실의 내측면을 세척한다.
가압유닛(640)은 회전유닛(620)의 전방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중앙 일부는 배면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가장자리와 중앙 일부 사이에 상기 세척유닛(630)의 타단과 밀착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즉 상기 경사면은 가압유닛(640)의 중앙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곡면을 형성하여 세척유닛(630)의 타단이 일단을 축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하며, 세척유닛(630)의 타단이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여 가압유닛(640)을 전방으로 밀어내면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커버유닛(660)은 가압유닛(640) 및 회전유닛(62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원판형태로 형성되고, 스프링(650)은 가압유닛(640)의 전면과 커버유닛(660)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유닛(640)이 세척유닛(630)의 타단에 의해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 스프링(650)이 수축하여 가압유닛(640)에 탄성력을 가하고, 상기 탄성력은 세척유닛(630)의 브러시들을 통해 포구 또는 약실로 전달되어 상기 브러시가 포구 또는 약실의 내측면을 향해 소정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복수의 세척유닛(630)들은 회전유닛(620)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세척유닛(630)에 결합되는 브러시의 강도 또는 유연성에 따라 세척유닛(630)의 숫자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세척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유닛(630)은 크랭크암(631), 롤러(632), 고정부재(633) 및 세척솔(634)을 포함한다.
크랭크암(631)의 일단은 회전유닛(620)의 가장자리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의 일부는 가압유닛(640)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 연장된다.
크랭크암(631)의 가압유닛(640)을 향해 돌출되는 부분은 가압유닛(640)을 향해 'ㄷ'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631)의 양측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롤러(632)는 크랭크암(631)의 타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표면 가장자리는 가압유닛(640)의 경사면과 밀착되어, 크랭크암(631)의 타단이 가압유닛(640)을 향해 이동하면, 가압유닛(64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압유닛(640)을 전방을 향해 이동시킨다.
고정부재(633)의 일단은 크랭크암(631)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포구 또는 약실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ㄷ' 형태로 형성되며, 'ㄷ' 형태의 양측벽은 세척솔(634)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스프링(650)의 탄성력이 가압유닛(640)을 후방을 향해 가압하면, 가압유닛(640)의 경사면이 롤러(632)에 압력을 가하여 크랭크암(631)의 타단이 상기 포구 또는 약실의 내측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가압한다.
또한, 스프링(650)의 압력이 크랭크암(631)을 통해 고정부재(633)에 전달되고, 고정부재(633)에 전달된 압력을 세척솔(634)에 전달하여 세척솔(634)이 상기 포구 또는 약실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도록 유지한다.
도 5는 도 3의 세척유닛 및 가압유닛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내부 청소장치(100)가 포신을 따라 약실(30)을 향해 이동하면 세척솔(634)은 회전하면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낮은 구멍을 가지는 포신 내측면을 청소한다.
포신 내부는 약실(30)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멍의 직경이 낮으므로, 세척솔(634)은 포신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유닛(640)을 향해 이동하고, 고정부재(633)와 크랭크암(631)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상태로 형성된다.
세척유닛(630)이 가압유닛(640)을 향해 이동하면서, 가압유닛(640)은 전방을 향해 이동하고, 스프링(650)은 수축되어 스프링(650)이 가압유닛(640)을 향해 가하는 압력이 증가한다.
이 때 크랭크암(631)과 가압유닛(640)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40)는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스프링(650)의 탄성력 대부분은 크랭크암(631)을 통해 회전유닛(620)으로 전달되며, 일부는 세척솔(634)을 통해 포신의 내측면으로 전달된다.
관 내부 청소장치(100)가 전방의 약실(3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면, 세척솔(634)은 스프링(650) 및 가압유닛(640)의 압력을 통해 약실(30)로 이동하여 밀착된다.
이 때 크랭크암(631)과 가압유닛(640)의 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45)는 상기 각도(40)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가압유닛(640)에서 전달되는 압력의 대부분은 롤러(632) 및 세척솔(634)을 통해 약실(30)로 전달된다.
즉 크랭크암(631)과 가압유닛(640)의 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45)가 감소할수록 가압유닛(640)에서 크랭크암(631)을 통해 회전유닛(620)으로 전달되는 압력은 감소하고, 세척솔(634)을 통해 약실(30)로 전달되는 압력은 증가한다.
따라서, 각도(45)가 증가하여 세척솔(634)을 통해 약실(30)로 전달되는 가압유닛(640)의 압력의 비율은 증가하지만, 스프링(650)이 가압유닛(640)에 전달하는 압력의 크기가 감소하므로 세척솔(634)이 포신의 내측면 및 약실(30)에 가하는 압력은 균일하게 유지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관 내부 청소장치 200: 구동부
400: 가이드부 600: 세척부
700: 손잡이부


Claims (7)

  1.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전방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유닛;
    일단은 상기 회전유닛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일단을 축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세척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의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상기 세척유닛의 타단과 밀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유닛의 타단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커버부에서 상기 관을 향해 돌출되는 거리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가압유닛의 후방을 향한 탄성 가압을 통해 압력을 전달받고, 상기 관 및 커버부 사이의 거리에 상관없이 상기 관에 동일한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청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중앙 일부는 배면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가장자리와 중앙 일부 사이에 상기 세척유닛의 타단과 밀착되도록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청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가압유닛 및 회전유닛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커버유닛; 및
    상기 가압유닛의 전면과 상기 커버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청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은,
    일단은 상기 회전유닛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크랭크암; 및
    상기 크랭크암의 타단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과 밀착되어 회전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청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은,
    일단은 상기 롤러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크랭크암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관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관과 밀착되는 세척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청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세척유닛들은 상기 회전유닛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청소장치.








KR1020170124435A 2017-09-26 2017-09-26 관 내부 청소 장치 KR101978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435A KR101978224B1 (ko) 2017-09-26 2017-09-26 관 내부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435A KR101978224B1 (ko) 2017-09-26 2017-09-26 관 내부 청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344A true KR20190035344A (ko) 2019-04-03
KR101978224B1 KR101978224B1 (ko) 2019-05-15

Family

ID=6616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435A KR101978224B1 (ko) 2017-09-26 2017-09-26 관 내부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8459S1 (en) * 2020-02-07 2023-06-06 Billy J. Wilson AR upper receiver cleaning to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358A (ja) * 1992-04-17 1994-02-15 Masuda Denki Kk 管径応動作業装置
KR101433063B1 (ko) * 2014-06-11 2014-08-25 김인영 포신 자동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358A (ja) * 1992-04-17 1994-02-15 Masuda Denki Kk 管径応動作業装置
KR101433063B1 (ko) * 2014-06-11 2014-08-25 김인영 포신 자동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8459S1 (en) * 2020-02-07 2023-06-06 Billy J. Wilson AR upper receiver clean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224B1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5245B2 (ja) 歯処理装置
US3897602A (en) Pipe cleanout accessory
US9649001B2 (en) Vacuum cleaner
US4499625A (en) Two-way gun cleaner tip and butterfly path for use therewith
US10531778B2 (en) Vacuum cleaner
JP2016505310A5 (ko)
GB2555449A (en) Cleaning appliance
KR101978224B1 (ko) 관 내부 청소 장치
US10624447B1 (en) Power driven duster and cleaner apparatus
KR101978201B1 (ko) 관 내부 청소 장치
EP2676592A2 (en) Vacuum cleaner and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with agitator and striking member
JP6913244B2 (ja) 挿入装置、及び、挿入装置の先端カバー
CN109530278B (zh) 旋转推进器及旋转清洗器
US10376347B2 (en) Attachment for an electric toothbrush handle and method of attaching
CN106999015B (zh) 插入设备和插入装置
KR101645340B1 (ko)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JP7480495B2 (ja) コネクタ洗浄器具
CN211415039U (zh) 一种用于电钻的防尘装置
JP3167915U (ja) 光コネクタ用清掃具
US10612230B2 (en) Cable control device for pipeline cleaner
CN209734108U (zh) 一种夹钳及夹取装置
KR101844320B1 (ko)
JP6843391B2 (ja) 可撓管保持具
KR101609873B1 (ko) 핸디 클리너
TWI695745B (zh) 管路清除器的簧線控制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