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220A - 취약부가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 Google Patents

취약부가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220A
KR20190035220A KR1020170124202A KR20170124202A KR20190035220A KR 20190035220 A KR20190035220 A KR 20190035220A KR 1020170124202 A KR1020170124202 A KR 1020170124202A KR 20170124202 A KR20170124202 A KR 20170124202A KR 20190035220 A KR20190035220 A KR 20190035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kin
airbag
interior materia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404B1 (ko
Inventor
전운관
김덕래
Original Assignee
전운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운관 filed Critical 전운관
Priority to KR102017012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4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차량용 내장재의 골격을 형성하는 기재부; 상기 기재부 상에 적층되는 스킨부; 상기 기재부와 상기 스킨부 사이에 삽입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제1 쿠션과 제2 쿠션이 연결된 것이며,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가상의 에어백 절개선을 따라 상기 제1 쿠션과 상기 제2 쿠션의 연결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라인은 상기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쿠션 취약부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취약부가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VEHICLE INTERIOR MATERIAL INCLUDING A WEAKENED POR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차량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내장재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 트림, 콘솔 등을 포함한다. 차량용 내장재는 기재, 기재 상에 설치된 쿠션층, 쿠션층 상에 설치된 스킨층을 갖는다.
기재는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면, 스킨층은 플렉시블한 평판 형상이다.
사고 발생으로 인한 에어백 개방시, 차량용 내장재는 에어백의 방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차량용 내장재는 평소에 에어백 절개선을 눈으로 볼 수 없도록 인비저블(invisible) 취약부를 가져야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7327호에는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에어백 절개선을 따라 봉합선이 외부에 노출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7327호
본 발명은 에어백 미개방시 에어백 절개선을 눈으로 볼 수 없도록 인비저블(invisible) 취약부가 형성되고, 에어백 개방시 에어백 절개선을 따라 정확하게 절개되는 차량용 내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차량용 내장재의 골격을 형성하는 기재부; 상기 기재부 상에 적층되는 스킨부; 상기 기재부와 상기 스킨부 사이에 삽입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제1 쿠션과 제2 쿠션이 연결된 것이며,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가상의 에어백 절개선을 따라 상기 제1 쿠션과 상기 제2 쿠션의 연결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라인은 상기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쿠션 취약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별개로 마련된 제1 쿠션과 제2 쿠션이 연결된 연결 라인을 이용해서, 에어백 개방시 에어백 절개선을 따라 정확하게 절개되는 쿠션 취약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쿠션과 제2 쿠션 간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연결 라인을 이용해서 쿠션 취약부가 형성되므로, 에어백 개방시 에어백 절개선을 따라 정확하게 절개되는 쿠션부가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라인으로 인해 쿠션부 상에 적층된 스킨부의 주름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쿠션과 제2 쿠션은 스킨부에 대면되는 일체의 연속된 외피에 의해 연결되거나 연결실에 의해 봉합될 수 있다.
연속된 외피 또는 연결실에 의해 연결된 제1 쿠션과 제2 쿠션으로 인해 쿠션부 상에 적층된 스킨부는 에어백 절개선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매끈한 외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쿠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쿠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100)는 기재부(110), 스킨부(130), 쿠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10)는 차량용 내장재(1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차량용 내장재(10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콘솔, 도어 트림, 글러브 박스(glove box), 필러 가니쉬 등일 수 있다. 도 1에는 기재부(110)의 예로 차량 실내 앞쪽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나타내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앞면 유리창 쪽에 형성되고 판면 유리챵을 향해 바람이 출력되는 제1 벤트 홀(101), 측면 유리창 쪽에 형성되고 측면 유리창 또는 실내를 향해 바람이 출력되는 제2 벤트 홀(103)이 마련될 수 있다.
기재부(110)는 차량용 내장재(100)의 강성을 제공하는 요소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기재부(11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 목재, 금속 등을 재료로 하여 성형될 수 있다.
스킨부(130)는 차량용 내장재(100)의 외면을 형성하는 요소로, 기재부(110) 상에 랩핑(wrapping)될 수 있다. 랩핑(wrapping)은 기재부(110)의 표면 상에 판 형상의 스킨부(130)를 팽팽하게 덮는 것일 수 있다.
스킨부(130)는 질감 향상, 촉감 향상, 미려한 외관 제공을 위한 것으로, 가죽, 모조 피혁, 직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10) 상에 랩핑된 스킨부(130)의 단부는 기재부(110)의 말단에서 안쪽으로 접혀져 기재부(110)의 밑면 또는 내측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기재부(110)에 랩핑되기 전에 스킨부(130)는 평판 형상의 시트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스킨부(130)는 사전 가공을 통해 기재부(110)의 외형에 맞게 입체적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시트를 서로 봉합하면 기재부(110)에 맞는 입체 형상의 스킨부(130)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스킨부(130)에는 스티치(stitch)에 해당하는 장식 시임(233)(seam)이 형성될 수 있다.
스킨부(130)와 기재부(110)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쿠션부(150)가 존재하는 경우, 쿠션부(150), 구체적으로 내피(220)와 기재부(110)의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접착제는 상온에서 접착력을 갖지 않고 상온보다 높은 설정 온도에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기재부(110) 상에 스킨부(130)가 랩핑되면 차량용 내장재(100)는 접착제가 동작하는 설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설정 온도로 가열된 접착제에 의해 기재부(110)와 스킨부(130)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차량용 내장재(100)에 부딪혔을 때의 부상을 방지하고 차량용 내장재(100)를 만졌을 때의 촉감 개선을 위해 기재부(110)와 스킨부(130)의 사이에는 쿠션부(150)가 삽입될 수 있다.
쿠션부(150)는 탄성을 갖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쿠션부(150)는 기재부(110)에 대면되는 판 형상의 내피(220), 스킨부(130)에 대면되는 판 형상의 외피(210), 내피(220)와 외피(210) 사이에 삽입되는 필라멘트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필라멘트층(230)은 가느다란 실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엉킨 솜 또는 편물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펀지, 고무 등으로 필라멘트층(230)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일 예로, 필라멘트층(230)은 내피(220)와 외피(210)를 오고가는 실 형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재그로 내피(220)와 외피(210)에 얽힌 필라멘트는 푹신푹신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내피(220)와 외피(210)는 필라멘트층(230)을 형성하는 필라멘트의 유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필라멘트층(230)을 대신해 기재부(110), 스킨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내피(220)는 기재부(110)에 접착되고, 외피(210)는 스킨부(130)에 접착될 수 있다.
차량용 내장재(100) 하부에는 사고 발생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이 수납될 수 있다. 기재부(110)의 일면에 스킨부(130)와 쿠션부(150)가 결합될 때, 에어백은 기재부(110)의 타면에 대면하게 설치될 수 있다.
기재부(110)의 타면 측에 설치된 에어백은 비상 상황시 기재부(110), 쿠션부(150), 스킨부(130)를 뚫고 기재부(110) 일면 측의 차량 내부로 개방 또는 방출되어야 한다.
에어백의 개방을 위해 기재부(110), 쿠션부(150), 스킨부(130)는 절개되어야 한다.
기재부(110), 쿠션부(150), 스킨부(130)의 절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에어백이 차량용 내장재(100)를 뚫고 개방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기재부(110), 쿠션부(150), 스킨부(130)의 절개가 불규칙하게 이루어지면, 에어백이 차량 내부로 개방될 때, 불규칙하게 절개된 기재부(110) 등이 사용자에게 돌진하여 안전 사고의 염려가 있고, 에어백이 정확한 위치를 향하여 개방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에어백 개방시 기재부(110), 쿠션부(150), 스킨부(130)의 절개가 정확한 라인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차량용 내장재(100)에는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에어백 절개선(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의 에어백 절개선(90)은 평소에는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인비저블 타입이라야 차량용 내장재(100)의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해하지 않는다. 인비저블 타입으로 에어백 덮개를 설계하는 것은 최신의 자동차 인테리어 추세이다.
기재부(110), 쿠션부(150), 스킨부(130)에는 에어백 절개선(90)에 대응되는 가상선을 따라 다른 부위보다 두께가 얇거나 구멍이 뚫린 취약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재부(110)에는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기재 취약부(119)가 에어백 절개선(9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기재 취약부(119)는 에어백 절개선(90)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멍 또는 에어백 절개선(90)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킨부(130)에는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스킨 취약부(139)가 에어백 절개선(9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스킨 취약부(139)는 에어백 절개선(90)을 따라 형성된 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150)에는 차량용 내장재(100)에서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가상의 에어백 절개선(90)을 따라 쿠션 취약부(159)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백 개방시 쿠션 취약부(159)가 에어백 절개선(90)을 따라 확실하게 절개되도록, 쿠션부(150)는 별도로 마련된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이 서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가상의 에어백 절개선(90)을 따라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의 연결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의 연결 라인은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쿠션 취약부(159)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의 연결 수단을 배제하고 살펴보면, 별개 부재에 해당하는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이 서로 맞대어 배치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의 개방 압력이 인가되면, 각 쿠션은 다른 쿠션에 대해 확실하게 절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이 연결된 쿠션부(150)에 따르면,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의 틈으로 인해 쿠션부(150)에 랩핑된 스킨부(130)에 주름이 발생될 수 있다. 틈을 없애기 위해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을 밀착시키면, 서로 맞대어진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의 가장자리가 위로 솟아서 스킨부(130)에 불필요한 돌기가 발생될 수 있다. 주름 또는 돌기 등의 에러 e는 차량용 내장재(100)의 인비저블 디자인을 훼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1 내지 도 2의 실시예를 더욱 개량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에어백 개방시 확실하게 절개되는 쿠션 취약부(159)를 제공하는 동시에 에러 e를 없애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쿠션부(15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쿠션부(150)는 에어백 절개선(9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쿠션(151), 에어백 절개선(9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쿠션(152), 에어백 절개선(90)의 일측으로터 타측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외피(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쿠션(151)은 기재부(110)에 적층되는 제1 내피(221), 외피(210)와 제1 내피(221) 사이에 삽입되는 제1 필라멘트층(231)을 가질 수 있다. 제1 쿠션(151)은 에어백 절개선(90)을 기준으로 외피(2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쿠션(152)은 기재부(110)에 적층되는 제2 내피(222), 외피(210)와 제2 내피(222) 사이에 삽입되는 제2 필라멘트층(232)을 가질 수 있다. 제2 쿠션(152)은 에어백 절개선(90)을 기준으로 외피(2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은 서로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별개로 마련된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은 공통된 하나의 외피(210)에 적층되므로,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은 외피(21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은 원천적으로 분리된 상태이므로, 에어백 개방시 에어백의 개방을 방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찢어지면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개방시 용이하게 절개되는 두께 또는 재질로 외피(210)가 형성되면, 쿠션부(150) 전체는 에어백 개방에 의해 확실하게 절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단부가 서로 밀착되게 배치된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이 하나의 연속된 외피(210)에 의해 덮이므로, 스킨부(130)에 대해 평평한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쿠션부(150)에 랩핑된 스킨부(130)는 에러 e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의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공통된 하나의 외피(210)에 의해 연결된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은 양자를 연결하는 외피(210)를 기준으로 쉽게 회동되는 너덜거리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너덜거리는 쿠션부(150)에 따르면, 쿠션부(150)가 스킨부(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고, 스킨부(130)가 부분적으로 주저앉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기재부(110)에 대한 스킨부(130)의 지지 높이를 에어백 절개선(90)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제1 쿠션(151)의 제1 내피(221)와 제2 쿠션(152)의 제2 내피(222)는 연결실(250)에 의해 서로 봉합될 수 있다. 연결실(250)에 의해 제1 내피(221)와 제2 내피(222)가 서로 연결되면,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은 하나의 부재처럼 취급될 수 있다.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을 서로 봉합하는 연결실(250)은 에어백 개방시 용이하게 끊어지도록 수 ~ 수백 데니아의 굵기로 형성될 수 있다. 데니아는 원사 g당 실 9000m를 뽑는 실 굵기의 단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쿠션부(15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 쿠션(151)은 기재부(110)에 대면되는 제1 내피(221), 스킨부(130)에 대면되는 제1 외피(210), 제1 외피(210)와 제1 내피(221) 사이에 삽입되는 제1 필라멘트층(231)을 가질 수 있다.
제2 쿠션(152)은 기재부(110)에 대면되는 제2 내피(222), 스킨부(130)에 대면되는 제2 외피(210), 제2 외피(210)와 제2 내피(222) 사이에 삽입되는 제2 필라멘트층(23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내피(221)와 제2 내피(222) 간의 봉합, 제1 외피(210)와 제2 외피(210) 간의 봉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피(221)와 제2 내피(222)가 연결실(250)에 의해 서로 봉합되고, 제1 외피(210)와 제2 외피(210)가 연결실(250)에 의해 서로 봉합될 수 있다.
스킨부(130)에 덮이는 제1 외피(210)와 제2 외피(210)를 연결하는 연결실(250)에 의해 스킨부(130)에 에러 e가 발생되면 공통된 하나의 외피(210)를 적용한 도 3의 실시예가 적합하다. 반면, 연결실(250)에 의해 에러 e가 설정 범위 내로 미소하다면, 에어백 절개선(90)의 개방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도 4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쿠션 취약부(159)는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 사이의 이격 틈,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을 연결하는 하나의 공통된 외피(210), 제1 쿠션(151)과 제2 쿠션(152)을 연결하는 연결실(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90...에어백 절개선 100...차량용 내장재
101...제1 벤트 홀 103...제2 벤트 홀
110...기재부 119...기재 취약부
130...스킨부 139...스킨 취약부
150...쿠션부 151...제1 쿠션
152...제2 쿠션 159...쿠션 취약부
210...외피
211...제1 외피 212...제2 외피
220...내피 221...제1 내피
222...제2 내피 230...필라멘트층
231...제1 필라멘트층 232...제2 필라멘트층
233...장식 시임 250...연결실

Claims (6)

  1. 차량용 내장재의 골격을 형성하는 기재부;
    상기 기재부 상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
    상기 기재부와 상기 스킨부 사이에 삽입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제1 쿠션과 제2 쿠션이 연결된 것이며,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가상의 에어백 절개선을 따라 상기 제1 쿠션과 상기 제2 쿠션의 연결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라인은 상기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쿠션 취약부를 형성하는 차량용 내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에는 상기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기재 취약부가 상기 에어백 절개선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스킨부에는 상기 에어백 개방시 절개되는 스킨 취약부가 상기 에어백 절개선을 따라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기재부에 대면되는 내피, 상기 스킨부에 대면되는 외피,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 사이에 삽입되는 필라멘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필라멘트층은 상기 내피와 외피를 오고가는 실 형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스킨부에 대면되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 적층되는 제1 내피, 상기 외피와 상기 제1 내피 사이에 삽입되는 제1 필라멘트층을 갖는 상기 제1 쿠션은 상기 에어백 절개선을 기준으로 상기 외피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재부에 적층되는 제2 내피, 상기 외피와 상기 제2 내피 사이에 삽입되는 제2 필라멘트층을 갖는 상기 제2 쿠션은 상기 에어백 절개선을 기준으로 상기 외피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쿠션과 상기 제2 쿠션은 상기 외피에 의해 연결된 차량용 내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스킨부에 대면되는 외피, 상기 기재부에 적층되는 제1 내피, 상기 외피와 상기 제1 내피 사이에 삽입되는 제1 필라멘트층, 상기 기재부에 적층되는 제2 내피, 상기 외피와 상기 제2 내피 사이에 삽입되는 제2 필라멘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피와 상기 제2 내피는 연결실에 의해 봉합된 차량용 내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의 제1 내피와 상기 제2 쿠션의 제2 내피 간의 봉합, 상기 제1 쿠션의 제1 외피와 상기 제2 쿠션의 제2 외피 간의 봉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제1 쿠션과 상기 제2 쿠션이 연결된 차량용 내장재.
KR1020170124202A 2017-09-26 2017-09-26 취약부가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KR10198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02A KR101987404B1 (ko) 2017-09-26 2017-09-26 취약부가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02A KR101987404B1 (ko) 2017-09-26 2017-09-26 취약부가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20A true KR20190035220A (ko) 2019-04-03
KR101987404B1 KR101987404B1 (ko) 2019-06-11

Family

ID=6616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202A KR101987404B1 (ko) 2017-09-26 2017-09-26 취약부가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4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985B1 (ko) * 2021-02-24 2023-10-19 덕양산업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스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5395A (ja) * 1996-07-19 1998-02-10 Inoac Corp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エアバッグドアの構造
KR20080057327A (ko) 2005-10-12 2008-06-24 이노파 게엠베하 테크니쉬 엔트비크룬겐 에어백 시스템, 에어백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시트 및에어백 시스템의 전개 방법
JP2009248910A (ja) * 2008-04-10 2009-10-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12972A (ja) * 2013-12-10 2015-06-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ドア用立体編クッション層及びそのテアライン加工方法
JP2015150951A (ja) * 2014-02-12 2015-08-24 豊田合成株式会社 表皮付き製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5395A (ja) * 1996-07-19 1998-02-10 Inoac Corp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エアバッグドアの構造
KR20080057327A (ko) 2005-10-12 2008-06-24 이노파 게엠베하 테크니쉬 엔트비크룬겐 에어백 시스템, 에어백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시트 및에어백 시스템의 전개 방법
JP2009248910A (ja) * 2008-04-10 2009-10-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12972A (ja) * 2013-12-10 2015-06-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ドア用立体編クッション層及びそのテアライン加工方法
JP2015150951A (ja) * 2014-02-12 2015-08-24 豊田合成株式会社 表皮付き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404B1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0179B1 (en) Airbag tear seam tape
JP4958465B2 (ja) 自動車用内装構造およびヘッドライナ内装材
US7625004B2 (en) Motor vehicle trim element having weakened area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CN102795190B (zh) 特别是用于汽车安全气囊的安全气囊盖及其制造方法
EP2562055B1 (en) Multi-layer vehicle airbag coverings
EP2801500A1 (en) Automobile airbag door
US20120223512A1 (en) Angled tear seams for airbag covers
JP2002538035A (ja) エアバッグのカバーに裂け線を形成する方法及び装置
US7093850B2 (en) Instrument panel with integral hidden door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EP2460696A1 (en) Improved tear seams for airbag covers
KR101987404B1 (ko) 취약부가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JP5191402B2 (ja) 車両内装部材の製造方法
US20170297509A1 (en) One-piece headliner and pillar trim assembly of a vehicle
JP6880382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2009120192A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94289B1 (ko) 취약부가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KR102008238B1 (ko) 패치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JP7059152B2 (ja) 自動車の内装部品の製造方法
US20230365076A1 (en) Cladding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a Cladding Part
KR101992291B1 (ko) 캐릭터 라인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JP4163051B2 (ja) エアバッグドア構造
JP4370084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る車両用リアシート
JPH05286404A (ja) 側突時における乗員保護装置
EP2411247B1 (en) Seamless cover panel for airbags having an improved breaking fea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3156634A (ja) 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