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198A -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198A
KR20190035198A KR1020170124160A KR20170124160A KR20190035198A KR 20190035198 A KR20190035198 A KR 20190035198A KR 1020170124160 A KR1020170124160 A KR 1020170124160A KR 20170124160 A KR20170124160 A KR 20170124160A KR 20190035198 A KR20190035198 A KR 20190035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urethane
coating composition
acrylate
curabl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석화
박규엽
김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70124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5198A/ko
Priority to CN201880059083.8A priority patent/CN111094464B/zh
Priority to EP18861432.5A priority patent/EP3689976A4/en
Priority to PCT/KR2018/011058 priority patent/WO2019066367A1/ko
Priority to US16/649,762 priority patent/US11008465B2/en
Publication of KR20190035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19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43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in the form of urethane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하이솔리드형 도료를 적용함에 따라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인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재질의 자동차용 성형품, 예를 들어 자동차 헤드램프 PC 렌즈(polycarbonate lens)의 하드코팅 용도로 사용되는 도료 조성물에는 우수한 생산성, 부착성, 내수성, 내후성 등이 요구된다. 또한, 자동차 부품용의 경우, 스프레이(Air Spray) 도장 등의 방법으로 도장이 가능하여야 우수한 외관, 작업성 및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Air spray)나 플로우코팅(Flow coating) 등의 도장용 도료 조성물은 고형분(NV) 함량이 낮고 상대적으로 용제 함량이 높기 때문에, 환경설비가 갖춰지지 않은 곳에서 도장 시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이 많이 발생되어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증기압이 높아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지칭한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오존 등의 광화학 산화성 물질 생성 및 광화학 스모그 유발을 초래하며, 발암물질이기도 하다. 따라서, 근래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량에 대한 규제가 엄격해졌고, 이러한 규제에 따라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설비의 운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폐기비용 및 환경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수계 도료,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분체도료, 도료의 고형분을 늘린 하이솔리드형 도료를 사용하는 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하이솔리드 타입의 도료의 경우, 휘발성 유기화합물 함량을 감소시키면서 동시에 작업성과 도막 물성(외관, 건조시간, 부착성 등)을 확보하기 힘들었다.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로서 고형분 함량이 70% 이상인 하이솔리드형(high solid type) 도료를 적용함에 따라, 종래 도료 조성물이 보유하는 기본 물성은 확보하면서, 용제 함량 감소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이 적은 환경친화적인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구비하는 성형품(예를 들어, 자동차 헤드램프용 렌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은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첨가제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5관능 이상의 제1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4관능 이하의 제2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솔리드형 도료를 적용함에 따라,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량이 감소되어 환경 오염이 경감되는 동시에, 용제 함량 감소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고, 높은 고형분으로 인해 우수한 건조성, 부착성, 내열성, 내습성, 내냉열성, 미려한 외관 특성 등의 도막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솔리드형 도료는 환경부 규제기준협의안의 국내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환경 규제뿐만 아니라 강화되는 해외 환경규제 기준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고, 종래 환경설비의 사용 및 관리비용을 최소화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솔리드형 도료는 도료의 재활용(Recycle)이 가능하여 도료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량체" 와 "모노머"는 동일한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량체는 올리고머 및 폴리머와 구별되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이하인 화합물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중합성 관능기"는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불포화 그룹, 예컨대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말한다.
<자외선(UV) 경화성 도료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은 광경화형 올리고머(oligomer), 광경화형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서, 상기 광경화형 올리고머 성분으로 2종의 다관능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하고, 광경화형 모노머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레벨링제 등을 비롯한 통상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은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첨가제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5관능 이상의 제1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4관능 이하의 제2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자외선(UV) 경화성 도료 조성물의 조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에서,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도막을 형성하는 주(主)성분으로서, 도막 전체의 가교밀도를 컨트롤하여 하드코팅 도막의 강도, 고온 내구성 및 부착성을 발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서 5관능 이상의 제1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4관능 이하의 제2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혼용(混用)한다. 이와 갈은 2종 이상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할 경우, 도료 내 고형분이 높아져서 내열성, 내후성, 경도 면에서 우수한 도막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합 가능한 불포화 그룹인 중합성 관능기를 5개 이상(예컨대 5 내지 16), 예를 들어 6개 이상(예컨대 6 내지 10), 다른 예로 6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800 내지 2,500 g/mol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00 내지 2,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제1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전술한 중량평균분자량 범위를 가질 경우, 반응성이 우수하고 건조도막의 내열성, 내후성 및 경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상기 제2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합성 관능기를 4개 이하(예컨대 1 내지 4), 예를 들어 3개 이하(예컨대 2 내지 3), 다른 예로 3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500 내지 3,000 g/mol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700 내지 2,3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제2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전술한 중량평균분자량 범위를 가질 경우, 건조도막의 내열성, 내후성 및 부착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5관능 이상의 제1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4관능 이하의 제2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 비율은 1-3 : 1 중량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당해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도막의 우수한 강도와 내열성이 발현되고, 기재와의 부착성이 개선된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 제1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제2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혼용(混用)하는 경우, 당해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20 내지 30 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10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 메타 )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고분자간 가교밀도를 조절하는 가교제 역할을 하며, 도막의 경도, 부착성, 외관 특성, 작업성 등의 경화물성을 보조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3관능 이상의 제1(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관능 이하의 제2(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이들을 혼용할 수 있다. 2관능 이하 및 3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2종 이상 사용함으로써 도료의 작업성, 외관 특성 및 경화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분자 내 중합성 관능기를 3개 이상(예컨대 3 내지 10), 예를 들어 3개 내지 5개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분자량은 100 내지 300 g/mol일 수 있으며, 유리전이온도(Tg)는 40 내지 80℃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제1(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TMPTMA),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TMPEOTA),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A), 글리세릴프로폭시레이티드 트리아크릴레이트(GPTA),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TA),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DPPA),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상기 2관능 이하의 제2(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분자 내 중합성 관능기를 2개 이하, 예컨대 2개 포함하는 공지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점도가 낮아 희석력이 좋고, 경화 후 작은 중합수축성(low shrinkage)을 가져 적절하다.
상기 제2(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분자량은 100 내지 250 g/mol일 수 있으며, 유리전이온도(Tg)는 30 내지 100℃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제2(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HDDMA),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BDDA),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PGDA),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EGDA),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NPGDA), 폴리에틸렌글리콜400 디아크릴레이트(PEG400DA), 폴리에틸렌글리콜200 디아크릴레이트(PEG200DA),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DPGDA),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TEGDA),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TTEGDMA), 9-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9-EGDA),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TEGDMA),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3관능 이상의 다관능 제1(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2관능 이하의 제2(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혼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2관능 이하의 제2(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의 혼합 비율은 1-2 : 1 중량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당해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도막의 고온 접착력이 향상되며, 우수한 강도, 내열성 및 외관 특성을 발현하고, 다른 기재와의 부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 제1(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제2(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혼용(混用)하는 경우, 당해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은 5 내지 13 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은 5 내지 12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사용 비율은 1-4 : 1 중량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3 : 1 중량비일 수 있다.
광개시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에서, 광개시제는 자외선(UV) 등에 의해 여기되어 광중합을 개시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당 분야의 통상적인 광중합 개시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광개시제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Irgacure 184, Irgacure 369, Irgacure 651, Irgacure 819, Irgacure 907, 벤지온알킬에테르(Benzionalkylether), 벤조페논(Benzophenone), 벤질디메틸카탈(Benzyl dimethyl katal), 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아세톤(Hydroxycyclohexyl phenylacetone), 클로로아세토페논(Chloroacetophenone),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1,1-Dichloro acetophenone), 디에톡시아세토페논(Diethoxy acetophenone),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 Acetophenone), 2-클로로티옥산톤(2-Choro thioxanthone), 2-ETAQ(2-EthylAnthraquinone),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파논(2-Hydroxy-2-methyl-1-phenyl-1-propanone),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파논(2-Hydroxy-1-[4-(2-hydroxyethoxy)phenyl]-2-methyl-1-propanone), 메틸벤조일포메이트(methylbenzoylformate) 등이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 혼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광개시제는 230 내지 340 nm 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단파장용 개시제, 300 nm 초과 파장을 흡수하는 장파장용 개시제 또는 이들 모두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당해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도막의 물성 저하 없이 광중합 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용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은 당 분야의 도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용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용제는 전술한 도료 조성물이 도장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점도로 희석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용 가능한 용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톡시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등의 케톤류,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테이트류 또는 톨루엔 등의 방향족 화합물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제의 함량은 당해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의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량의 범위일 수 있으며, 일례로 당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작업성 및 레벨링이 떨어질 수 있으며, 도막 형성이 저하되기 쉽다.
첨가제
전술한 성분들 이외에,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은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 분야에 공지된 첨가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등을 1종 이상 혼용함으로써 도료의 평활성 및 도막의 외관 특성, 내후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은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도막의 장파장 및 단파장 영역 모두(예컨대, UV-A, UV-B 및 UV-C 영역 포함)에서의 내후성, 특히 300 nm 이하의 단파장 영역(예컨대, UV-B 및 UV-C 영역)에서의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입되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둘 이상의 자외선 흡수기를 갖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성 에스테르기를 둘 이상 갖는 하이드록시 페닐 트리아진 유도체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분자량은 500 g/mol 이상(예컨대, 500 내지 2,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분자량이 500 g/mol 미만이면 휘발성과 추출성이 커서 옥외 폭로 시 자외선 흡수제 성분이 도막에 잔존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도막의 내구성 및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은 당해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도막의 내후성 향상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우며, 자외선 경화 시 경화장애가 초래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다른 첨가제로는 광안정제(예컨대, HALS), 산화방지제(예컨대, 페놀계 산화방지제), 습윤제(예컨대,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레벨링제(예컨대, 실리콘 디아크릴레이트계 또는 실리콘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윤활제, 표면 조정제, 계면 활성제, 소포제(예컨대, 디메틸폴리실록산), 슬립제, 얼룩 방지제, 유연제, 증점제, 폴리머 등이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 혼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성분들은 도료의 작업성 및 도막의 평활성을 강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당 분야에 공지된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첨가제 각각의 사용량은 당해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서 5 중량%를 넘지 않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은 당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0-50 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25 중량%, 광개시제 1-5 중량%, 첨가제 2~10 중량% 및 상기 조성물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량의 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은, 당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5관능 이상의 제1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30 중량%, 4관능 이하의 제2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20 중량%, 3관능 이상의 제1(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5 중량%, 2관능 이하의 제2(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0 중량%, 광개시제 1~5 중량%, 자외선 흡수제(예컨대, HPT) 1-5 중량%, 광안정제(예컨대, HALS) 0.5-3 중량%, 습윤제(예컨대,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0.5-3 중량% 및 용제(예컨대, 1-메톡시-2-프로판올) 20-40 중량%를 포함한다.
전술한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70% 이상인 하이솔리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일례로 전술한 2종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용제 및 1종 이상의 첨가제 등을 디졸버, 교반기 등과 같은 혼합용 장비에 투입한 후, 적절한 온도(예컨대 상온)에서 혼합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은 자동차 헤드램프의 구성요소, 예컨대 헤드램프 렌즈를 도장하는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공정단계 및 용도에 적용 가능하다.
<성형품>
본 발명은 전술한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용 성형품, 예를 들어 자동차 헤드램프(PC 렌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는 플라스틱 기재 및 상기 플라스틱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형성되고, 전술한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플라스틱 기재는 헤드램프 분야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기재(substrate) 성분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열가소성 플라스틱, 열경화성 플라스틱 등이 있다. 사용 가능한 플라스틱 기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조합 등이 있다. 전술한 성분의 플라스틱 기재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과의 초기 및 고온 부착성이 우수하다.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화코팅층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일례로 5 내지 25 ㎛, 다른 예로 5 내지 20 ㎛ 범위일 수 있다. 전술한 두께 범위를 가질 경우, 플라스틱 기재 표면과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은 플라스틱 기재 표면 상에 도포 및 건조한 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경화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플라스틱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은 당 분야의 통상적인 도포 방법, 예컨대 스프레이 코팅, 브러싱, 플로 코팅, 딥 코팅, 스핀 코트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500 내지 3,000 mJ/cm2 범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화코팅층이 형성된 플라스틱 기재는 자동차 헤드램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화코팅층이 그 표면에 형성된 헤드램프의 렌즈(lens)일 수 있다. 이러한 헤드램프는 플라스틱 기재(예컨대, PC 소재)와의 부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외관, 내열성, 내습성, 내냉열성 등 도막의 전반적인 물성 면에서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12]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6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 3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 2관능 또는 3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C), 광개시제(D), 자외선 흡수제(E), 광안정제(F), 실리콘 첨가제(G), 용제(H) 등을 사용하여, 실시예 1-12의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 각 조성물의 사용량 단위는 중량%이다.
[ 비교예 1-8]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6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 3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 2관능 또는 3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C), 광개시제(D), 자외선 흡수제(E), 광안정제(F), 실리콘 첨가제(G), 용제(H) 등을 사용하여 비교예 1-8의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A-1: 6관능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w: 1,800, 점도(25℃): 100,000 cps, 비중: 1.19, NV: 100, 굴절률: 1.496)
A-2: 6관능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w: 1,000, 점도(60℃): 2,000 cps, 유리이온도: 69℃, 밀도: 1.15 g/m3)
B: 3관능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w: 2,000, 산가: 1 mgKOH/g, 밀도: 1.15g/m3, NV: 100)
C-1: 2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1,6-hexanediol diacrylate)
C-2: 3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D: 광개시제(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상품명: Micure CP-4, 미원상사)
E: 자외선 흡수제(Hydroxyphenyl Triazines, HPT)
F: 광안정제(HALS, TINUVIN123, BASF)
G: 실리콘 첨가제(BYK-333, BYK)
H: 용제(1-Methoxy-2-propanol)
[ 실험예 . 자동차 헤드램프용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의 물성 평가]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8에서 제조된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시편(PC)에 약 12 ㎛(Top layer, 건조 도막 두께 기준)로 에어 스프레이 코팅한 후, 80℃의 온도 조건에서 약 300초 동안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 180 mW/㎠의 고압 수은등으로 공기 중 약 20 cm 위치에서 3,500 mJ/㎠의 에너지로 조사시켜 경화하여 물성시험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 표 3와 같은 항목들의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전술한 실험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구비하는 성형품은 외관, 초기부착성, 내열성, 내습성 및 내냉열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하이솔리드형 도료이므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함량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개시제, 첨가제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5관능 이상의 제1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4관능 이하의 제2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3관능 이상의 제1(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2관능 이하의 제2(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사용 비율은 1-4 : 1 중량비인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제2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사용 비율은 1-3 : 1 중량비인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제2(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1-2 : 1 중량비로 혼용하는 것인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당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0-50 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25 중량%, 광개시제 1-5 중량%, 첨가제 2-10 중량% 및 상기 조성물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량의 용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고형분 함량이 70% 이상의 하이솔리드형인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170124160A 2017-09-26 2017-09-26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KR20190035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60A KR20190035198A (ko) 2017-09-26 2017-09-26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CN201880059083.8A CN111094464B (zh) 2017-09-26 2018-09-19 紫外线固化性涂料组合物
EP18861432.5A EP3689976A4 (en) 2017-09-26 2018-09-19 ULTRAVIOLET CURING PAINT COMPOSITION
PCT/KR2018/011058 WO2019066367A1 (ko) 2017-09-26 2018-09-19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US16/649,762 US11008465B2 (en) 2017-09-26 2018-09-19 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60A KR20190035198A (ko) 2017-09-26 2017-09-26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575A Division KR102234354B1 (ko) 2020-05-25 2020-05-25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98A true KR20190035198A (ko) 2019-04-03

Family

ID=6590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160A KR20190035198A (ko) 2017-09-26 2017-09-26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08465B2 (ko)
EP (1) EP3689976A4 (ko)
KR (1) KR20190035198A (ko)
CN (1) CN111094464B (ko)
WO (1) WO201906636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593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US11183755B2 (en) 2019-11-26 2021-11-23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magnetic-wave transmitting cover and door outer handle including same
KR20230067177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진성아스타 항균 uv 도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7473A (zh) * 2020-10-25 2021-01-29 郑州奥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喷墨打印机喷头的长效保湿方法和保湿湿巾
CN115141541B (zh) * 2021-03-30 2023-10-03 株式会社Kcc 紫外线固化型涂料组合物
CN113248668B (zh) * 2021-06-15 2022-04-05 浙江大学 一种聚氨酯泡沫的回收与再利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0396B2 (ja) * 2004-04-09 2009-12-0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塗料および塗膜付き透明プラスチック製基材
KR20060072476A (ko) * 2004-12-23 2006-06-28 (주)디피아이 홀딩스 필름코팅용 자외선 경화 도료 조성물
KR100724797B1 (ko) * 2005-10-10 2007-06-04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저점도 다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JP2007284485A (ja) * 2006-04-13 2007-11-01 Tsutsunaka Plast Ind Co Ltd 紫外線硬化型塗料
KR100774076B1 (ko) * 2006-09-11 2007-11-06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칼라코팅용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CN100567413C (zh) * 2007-11-01 2009-12-09 凌云剑 高耐磨真空镀膜紫外光固化涂料
CN101659785B (zh) * 2009-01-14 2011-12-28 佛山市顺德区德美油墨化工有限公司 一种100%固含量的高官能度水性uv树脂组合物的制备方法
CN101787229B (zh) * 2010-03-11 2012-12-26 北京雷特新技术实业公司 喷涂型紫外光固化木器清面漆
KR101127952B1 (ko) * 2011-03-16 2012-03-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용 하드코팅 필름
CN102558927A (zh) * 2011-07-01 2012-07-11 深圳市美丽华油墨涂料有限公司 一种用于塑料的uv固化金属质感涂料
CN104603212B (zh) * 2012-02-07 2017-07-07 阿塔卡北美公司 Uv可固化金属装饰性组合物
KR101540657B1 (ko) * 2013-05-31 2015-07-30 주식회사 케이씨씨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CN103525194B (zh) * 2013-09-29 2015-04-29 山东德创喷墨科技有限公司 Led光固化喷墨墨水及其在图案记录物中的应用
KR101739072B1 (ko) * 2015-05-27 2017-05-26 조광페인트주식회사 무광건식도금 코팅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CN105693641A (zh) * 2015-12-29 2016-06-22 新秀化学(烟台)有限公司 一种三嗪紫外线吸收剂的制备方法
KR102036100B1 (ko) * 2016-07-11 2019-10-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하드코팅 도료 조성물
CN106497170A (zh) * 2016-11-09 2017-03-15 广州慧谷工程材料有限公司 用于车载触摸屏防爆膜硬化涂层的uv光固化涂料及制备
CN106752741B (zh) * 2016-12-07 2019-03-08 江苏乘鹰新材料股份有限公司 紫外光固化耐碱性涂料组合物
KR101919245B1 (ko) * 2017-08-10 2018-11-15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동차 부품용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3755B2 (en) 2019-11-26 2021-11-23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magnetic-wave transmitting cover and door outer handle including same
KR20210117593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KR20230067177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진성아스타 항균 uv 도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9976A4 (en) 2021-06-23
CN111094464B (zh) 2021-10-26
CN111094464A (zh) 2020-05-01
US20200239700A1 (en) 2020-07-30
US11008465B2 (en) 2021-05-18
WO2019066367A1 (ko) 2019-04-04
EP3689976A1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5198A (ko)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KR101540657B1 (ko)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42800B1 (ko)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TWI815807B (zh) 活性能量線硬化型硬塗劑、硬化塗膜、積層薄膜
KR102203088B1 (ko) 하드코팅 조성물
KR101106565B1 (ko) 아크릴 변성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듀얼 경화 일액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듀얼 경화 시스템
CN108300292B (zh) 一种含丙烯酸酯改性的有机硅树脂高耐候性光固化涂料
WO2018235816A1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被膜、硬化被膜付き基材、こ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ウイルス不活化方法
KR100199406B1 (ko) 대전방지성 광경화용 하드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코팅방법
KR102240224B1 (ko)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2234354B1 (ko)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CN102070985A (zh) 一种能在低能量下固化的紫外光固化涂料
KR102265563B1 (ko) 하드코팅 조성물
JP2016079363A (ja) 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ハードコート材及びハードコート膜、並びに積層体
JP5503104B2 (ja) 光硬化型着色塗料及び塗装樹脂製品
KR102419836B1 (ko)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JPH1192690A (ja) ハードコート材組成物およびそれを施した合成樹脂製品
KR20190033958A (ko)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KR20220098420A (ko) 자동차 보수용 엘이디 자외선 경화 상도도료
KR101869203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JP2015066751A (ja) 被覆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710508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用樹脂組成物、ハードコート付き透明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4340598B2 (ja) 防曇性用光硬化型樹脂組成物
KR100252030B1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스크래치성 필름
JP4078138B2 (ja) 防汚性、易洗浄性を有する光硬化性樹脂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硬化塗装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